KR20010090943A - 냉장고의 증발기 착상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증발기 착상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0943A
KR20010090943A KR1020000018463A KR20000018463A KR20010090943A KR 20010090943 A KR20010090943 A KR 20010090943A KR 1020000018463 A KR1020000018463 A KR 1020000018463A KR 20000018463 A KR20000018463 A KR 20000018463A KR 20010090943 A KR20010090943 A KR 20010090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evaporator
circulation duct
air circulation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8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2434B1 (ko
Inventor
이상욱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18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434B1/ko
Publication of KR20010090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4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냉장고의 증발기에 착상되는 서리을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음식물이 저장되는 냉동실(110) 및 냉장실(120)과; 상기 냉동실(110) 후방에 설치되는 증발기(140)와; 상기 냉동실(110)과 상기 냉장실 (120)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냉동실(110) 및 냉장실(120)로부터의 유출되는 냉기를 상기 증발기(140)로 안내하는 냉기순환덕트(130)와; 상기 냉기순환덕트(130) 내에 구비되어, 상기 냉기순환덕트(130)를 통과하는 냉기가 착상되는 착상부재(131)와; 상기 착상부재(131)에 착상되는 서리를 제상하는 제상수단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증발기 착상 저감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증발기 착상 저감장치{device for decreasing frost of evaporation in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냉장고의 냉장실 후면에 구비되는 증발기의 착상을 저감하여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가 압축-응축-팽창-증발하는 냉동사이클을 반복함에 따라 고내를 저온화시켜 음식물을 일정기간 동안 신선하게 유지시켜 주는 기기이다.
도 1 은 이와 같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보관하는 냉동실(10) 및 냉장실(20)과, 상기 냉동실(10)과 냉장실(20) 사이에 구비되는 냉기순환덕트(30)와, 상기 냉동실(10) 후방에 설치되는 증발기(40)와, 상기 증발기(40) 상부에 설치되는 순환팬(50) 및 모터(60)와, 상기 냉장실(20) 후방측에 설치되는 압축기(70) 및 응축기(미도시)로 크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냉장고는 상기 냉동실(10) 및 상기 냉장실(20)을 순환한 공기가 상기 냉기순환덕트(30)를 따라 상기 증발기(40)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증발기(40)를 통과하는 냉매가 상기 증발기(40)측으로 유동한 공기로부터 증발잠열을 흡수하여 냉매 자신은 증발하는 대신, 공기는 열을 빼앗겨 차갑운 냉기가 된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 진 냉기는 상기 순환팬(50)에 의해 냉동실(10) 및 냉장실(20)로 보내지고, 상기 냉동실(10) 및 냉장실(20)을 순환한 냉기는 다시 상기 냉기순환덕트(30)를 따라 증발기(40)로 유동하여 열교환된 후, 재공급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상기 증발기(40)와 냉동실(10) 및 냉장실(20)을 순환한 냉기와의 온도차 때문에, 상기 증발기(40) 표면에 서리가 끼는 착상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증발기(40)에 착상이 일어나면, 증발기(40)의 열교환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증발기(40)에 착상된 서리를 제상하기 위해 히터를 주기적으로 가동해야 함에 따라 소비전력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증발기에 착상되는 서리를 최대한 지연하여,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을 유지함과 함께 제상주기를 길게 하여 냉장고의 소비전력을 절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측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상부재가 냉기순환덕트에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터가 냉기순환덕트를 이루는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30. 증발기 160. 냉기순환덕트
161. 상부프레임 162. 하부프레임
163. 착상부재 164. 히터
165. 구획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음식물이 저장되는 냉동실 및 냉장실과; 상기 냉동실 후방에 설치되는 증발기와; 상기 냉동실과 상기 냉장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로부터의 유출되는 냉기를 상기 증발기로 안내하는 냉기순환덕트와; 상기 냉기순환덕트 내에 구비되어, 상기 냉기순환덕트를 통과하는 냉기가 착상되는 착상부재와; 상기 착상부재에 착상되는 서리를 제상하는 제상수단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증발기 착상 저감장치가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은 냉기가 증발기측으로 유동하여 증발기와 열교환하기 전에 냉기순환덕트에 구비되는 착상부재에 착상되도록 하여, 증발기에서 착상되는 서리를 지연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2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고,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상부재가 냉기순환덕트에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 2 "A" 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히터가 냉기순환덕트를 이루는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 2 "A" 부 확대 절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동실(110) 및 냉장실(120)과, 상기 냉동실(110) 후방에 설치되는 증발기(140)와, 상기 증발기(140) 상부에 설치되는 순환팬(150) 및 모터(160)와, 상기 냉동실(110)과 상기 냉장실(120) 사이에 구비되는 냉기순환덕트(130)와, 상기 냉기순환덕트(130) 표면에 구비되는 착상부재(131)와, 상기 냉기순환덕트(130)의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제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착상부재(131)는 상기 냉기순환덕트(130)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되어 상기 냉기순환덕트(130)를 유동하는 냉기가 착상되는 것으로, 얕은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착상부재(131)의 일측(공기유동측)은 상기 냉기순환덕트(130)에 부착되지 않고, 상기 냉기순환덕트(130)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기울어져 떨어지도록 하여,냉기가 상기 냉기순환덕트(130)를 유동할 경우에 상기 착상부재(131)의 일측이 냉기에 의해 냉기유동방향에 대하여 대략 대향되도록 꺾여지고, 냉기가 유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착상부재(131)가 원래 상태로 돌아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착상부재(131)는 냉기와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닐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상부재(131)의 일측이 냉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부착하였지만, 반대로 상기 착상부재(131)의 타측(증발기측)을 기울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상수단으로서, 상기 냉기순환덕트(130)를 이루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내부에 보조히터(132)가 삽입 설치된다.
또한, 증발기(140)에 착상되는 서리를 제상하기 위한 히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동실(110) 및 냉장실(120)을 순환한 냉기는 냉기순환덕트(130)로 유입되어 증발기(140)로 유동되는데, 이 때 냉기가 상기 냉기순환덕트(130)에 부착된 다수개의 착상부재(131)와 접촉하면서 착상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착상부재(131)의 일측이 유동하는 냉기에 의해 증발기(140)측으로 꺾여짐에 따라 냉기유동방향에 대하여 대략 대향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착상부재(131)와 냉기가 접촉하게 되는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착상부재(131)에 착상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상기 착상부재(131)는 비닐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냉기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냉기순환덕트(131)에 부착된 착상부재(131)에 의해 일차적으로 착상된 냉기는 증발기(140)로 유입되어 상기 증발기(140)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교환한 후, 순환팬(150)의 회전에 의해 일부는 냉동실(110)로 유동하고, 나머지는 냉장실(120)로 유동하는 냉기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증발기(140)로 유입된 냉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냉기순환덕트(130)에 부착된 다수개의 착상부재(131)에 의해 일차적으로 착상되어 습도가 낮아진 상태임에 따라, 상기 증발기(140) 표면에 발생하는 착상이 지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증발기(140)에 맺힌 서리를 제상하는 주기가 종래 냉장고보다 길어지고 냉기가 순환되는 운전시간이 증가하여, 음식물을 신선하게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증발기(140)에 착상이 계속되어 상기 증발기(140)의 열교환 성능이 저하됨에 따라 상기 증발기(140)에 맺힌 서리를 제상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증발기(140)에 착상된 서리를 히터(미도시)로 제상함과 동시에, 상기 냉기순환덕트(130) 프레임 내에 설치된 보조히터(132)를 가동하여 착상부재(131)에 착상된 서리를 제상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전체적인 구성은 동일하며, 냉기순환덕트(130)에 보조프레임(133)을 설치하여, 냉동실(110)으로부터의 냉기와 냉장실로(120)부터의 냉기를 구분하여 증발기(140)로 안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133) 내부에도 제상수단으로서 보조히터(132)를 삽입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냉동실(110)로부터의 냉기 및 냉장실(120)로부터의 냉기가 각각 구분되어 냉동실측 냉기순환덕트(130a) 및 냉장실측 냉기순환덕트(130b)로 유입되어 통과하면서 착상부재(131)에 착상된다.
이하의 과정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를 참조하면 이해 가능하므로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순환하는 냉기가 증발기에서 열교환되기 전에 냉기순환덕트 상에 구비된 착상부재에 일차적으로 착상됨에 따라, 냉기는 습도가 낮아져 증발기에서의 착상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상기와 같이 증발기에서의 착상이 저감되어 제상하는 주기가 길어져 소비전력을 절감하게 된다.
세째, 증발기에서의 착상이 저감되기 때문에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의 감소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음식물이 저장되는 냉동실 및 냉장실과;
    상기 냉동실 후방에 설치되는 증발기와;
    상기 냉동실과 상기 냉장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로부터의 유출되는 냉기를 상기 증발기로 안내하는 냉기순환덕트와;
    상기 냉기순환덕트 내에 구비되어, 상기 냉기순환덕트를 통과하는 냉기가 착상되는 착상부재와;
    상기 착상부재에 착상되는 서리를 제상하는 제상수단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증발기 착상 저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부재는 상기 냉기순환덕트의 표면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되며, 상기 제상수단은 상기 냉기순환덕트를 이루는 프레임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보조히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증발기 착상 저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부재는 그 일측이 상기 냉기순환덕트 표면에서 떨어져 기울어진 상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증발기 착상 저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부재는 냉기와의 유동저항이 적은 비닐소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증발기 착상 저감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순환덕트를 냉동실측 냉기순환덕트와 냉장실측 냉기순환덕트로 구분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증발기 착상 저감장치.
KR1020000018463A 2000-04-08 2000-04-08 냉장고의 증발기 착상 저감장치 KR100352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463A KR100352434B1 (ko) 2000-04-08 2000-04-08 냉장고의 증발기 착상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463A KR100352434B1 (ko) 2000-04-08 2000-04-08 냉장고의 증발기 착상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943A true KR20010090943A (ko) 2001-10-22
KR100352434B1 KR100352434B1 (ko) 2002-09-11

Family

ID=1966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463A KR100352434B1 (ko) 2000-04-08 2000-04-08 냉장고의 증발기 착상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24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222B1 (ko) * 2002-01-04 200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예착상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CN105571241A (zh) * 2016-02-01 2016-05-1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222B1 (ko) * 2002-01-04 200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예착상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CN105571241A (zh) * 2016-02-01 2016-05-1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2434B1 (ko) 200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84963B1 (en) Built-in refrigerator
KR100352434B1 (ko) 냉장고의 증발기 착상 저감장치
JP2004293820A (ja) 冷蔵庫
JP2000283626A (ja) 冷蔵庫
KR20010076101A (ko) 냉장고
KR100577180B1 (ko) 냉장고
KR0122353Y1 (ko) 냉장고
KR0133933Y1 (ko) 냉장고의 냉동/냉장실 냉기흐름 분리장치
JPH07294089A (ja) 冷蔵庫の着霜低減装置
KR960002857Y1 (ko) 냉장고의 증발기 설치구조
US20220146155A1 (en) Refrigerator
KR0152862B1 (ko) 냉장고의 온습도조절장치
KR100311370B1 (ko) 냉장고의냉기순환장치
KR0118463B1 (ko) 격벽을 설치한 냉장고의 증발기
KR0115209Y1 (ko) 직냉식 냉장고
JP2000028257A (ja) 冷蔵庫
KR0159713B1 (ko) 냉장고
KR200171919Y1 (ko) 냉장고
KR0132888Y1 (ko) 냉장고 냉각장치
KR20000001438U (ko) 제상이 용이한 냉장고 증발기
KR100335054B1 (ko) 냉장고용 분리냉각 장치
KR950009346Y1 (ko) 냉장고의 증발기 착상장치
KR20000020426A (ko) 다공 착상판을 이용한 냉장고 제습장치
KR200149420Y1 (ko) 냉장고의 착상판
KR20010001467A (ko) 무착상 냉장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