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0475A - 주파수를 자체 최적화하는 전송기 회로 - Google Patents

주파수를 자체 최적화하는 전송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0475A
KR20010090475A KR1020010013664A KR20010013664A KR20010090475A KR 20010090475 A KR20010090475 A KR 20010090475A KR 1020010013664 A KR1020010013664 A KR 1020010013664A KR 20010013664 A KR20010013664 A KR 20010013664A KR 20010090475 A KR20010090475 A KR 20010090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frequency range
amplifier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비타인블라디미르
가르시아죠세마르셀리노
Original Assignee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10090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47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23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feed-forwar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41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with linearisation using feed-forw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ransmitters (AREA)
  • Amplifier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 전송기 회로에서, 전송기 회로의 전송 업컨버터가 동작되게 하는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내의 특정의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기 회로내의 고전력 증폭기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고전력 증폭기는 제어 신호에 의해 나타내어진 주파수에 기초해서 그의 동작들을 자동으로 최적화한다. 예를 들면, PCS 기지국 전송기의 전송기 회로의 경우에 알람 제어 보드로부터 전송 업컨버터에 의해 수신된 제어 신호들은 기지국 전송기를 위한 특정의 5MHz나 15MHz PCS 주파수 블록을 식별한다. 업컨버터는 60MHz PCS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내의 3개의 20MHz 주파수 부범위들 중 하나를 식별하는 2비트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주파수 정보를 이용한다. 고전력 증폭기는 동조가능 파라미터들을 위한 메모리로부터 값들을 검색하기 위해 그 2비트 제어 신호를 이용하고 그 동조가능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그의 동작들을 최적화하며, 그에 따라서 전체 60MHz PCS 주파수 범위내의 소정의 PCS 주파수 블록에서의 상호변조 왜곡의 레벨을 허용가능하도록 낮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주파수를 자체 최적화하는 전송기 회로{Transmitter circuit with frequency self-optimization}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전자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격 통신용 전력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들은 통상적으로 신호 주파수들의 특정 범위에 걸쳐 동작한다. 예컨대, CDMA(code-division multiple-access) 통신을 위한 미국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표준에 따르면,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순방향 링크 전송은 1930-1990MHz의 60MHz 주파수 범위내에서 일어난다.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역방향 링크 전송은 다른 주파수 범위내에서 일어난다.) 60MHz의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는 6개의 주파수 블록들로 분할된다. 즉, 각각의 주파수 채널이 예컨대 64개의 상이한 CDMA 코드 채널들까지 지원할 수 있는 경우, 총 42개의 주파수 채널들에 대해서, 11개의 1.25MHz 주파수 채널들을 각각 갖는 3개의 15MHz 주파수 블록들 및 3개의 1.25MHz 주파수 채널들을 각각 갖는 3개의 5MHz 주파수 블록들로 분할된다.
현장에서 구성되는 경우에, 특정 기지국이 특정 PCS 주파수 블록내에서 동작하도록 할당된다. 6개의 다른 유형들의 기지국 전송기들(다른 PCS 주파수 블록들각각에 대해 하나)을 설계하고 구축하고 조사해야할 필요를 회피하기 위하여, 하나의 일반적인 기지국 전송기 설계가 모든 주파수 블록에 대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그런 경우에, 일반적인 기지국 전송기가 60MHz의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내의 모든 주파수들에서 만족스럽게 동작한다는 것은 중요하다.
도 1은 PCS 원격 통신 시스템들의 순방향 링크 전송기들에 사용된 종래의 기지국 전송기 회로(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기지국 전송기 회로(100)는 869 내지 894 MHz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RF(radio frequency) 신호(104)를 발생시키는 발진기(102)와, 1930-1990 MHz PCS 범위내의 PCS 주파수 블록들중 하나에 대응하는 주파수(예컨대, 특정의 5MHz 또는 15MHZ PCS 주파수 블록에 대한 중심 주파수)를 갖는 PCS 블록 신호(108)로 RF 신호(104)를 변환시키는 전송 업컨버터(106)를 구비한다. 그 특정 PCS 주파수 블록은 알람 제어 보드(alarm control board)(ACB)(118)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제어 신호(120)에 의해 지정된다. 그리고 업컨버터(106)에 의해 발생된 PCS블록 신호(108)는 고전력 증폭기(110)에 제공되고, 상기 고전력 증폭기는 후속적인 전송 처리(예컨대, PCS 주파수 블록내의 특정의 PCS 주파수 채널에의 동조, 데이터 및 코드 변조, 및 전송)(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를 위해 증폭된 PCS 블록 신호(112)를 발생하도록 PCS 블록 신호를 또한 포함한다. 기지국 전송기 회로(100)의 한 실시예에서, 고전력 증폭기(110)는 뉴욕 하우파그 소재의 마이크로웨이브 파워 디바이스사의 자회사인 MPD 테크놀로지사에서 제조되는 모델 번호 34874/EB500600-3인 증폭기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기 알람 신호(114)는 고전력증폭기(110)내에 알람 조건의 존재를 나타내도록 고전력 증폭기(110)로부터 다시 전송 업컨버터(106)로 공급된다. 전송 업컨버터 알람 신호(116)는 또한 전송 업컨버터(106)나 고전력 증폭기(110)중 어느 하나 내에서의 알람 조건의 존재를 나타내도록 전송 업컨버터(106)로부터 알람 제어 보드(118)로 다시 공급된다.
도 2는 도 1의 기지국 전송기 회로(100)를 위한 종래의 전송 업컨버터(106)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대로, 업컨버터(106)는 1dB 패드(202)에서 도 1의 발진기(102)로부터 RF 신호(104)를 수신한다. 믹서(206)는 원하는 PCS 블록 주파수를 갖는 믹서 출력 신호(204)로 수신된 RF 신호를 변환시키기 위하여 저역 통과 필터(222)로부터의 믹싱 신호(224)와 그 수신된 RF 신호를 믹스한다. 믹서 출력 신호(204)는 도 1의 고전력 증폭기(110)로의 전송을 위해 PCS 블록 신호(108)를 발생하도록 포텐셔미터(208)와, 5dB 증폭기(210)와, 20dB 증폭기(212)와, 대역 통과 필터(214)를 경유하여 처리된다.
합성기(218)는 ACB(118)로부터 제어 신호(120)를 수신하고, 5dB 증폭기(220)와 저역 통과 필터(222)와 결합해서 제어 신호(120)에 의해서 지정된 원하는 PCS 블록 주파수를 갖는 믹서 출력 신호(204)를 믹서(206)가 발생시키게 하도록 적절한 주파수를 갖는 믹싱 신호(224)로 15MHz 로컬 클록 신호(216)를 변환한다. 위상 폐쇄 루프 회로나 다른 제어가능 신호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는 합성기(218)는 믹싱 신호(224)에 대한 원하는 주파수가 달성된 때를 나타내도록 로크 검출 신호(226)를 발생한다.
논리 회로들(228)은, (1) 합성기(218)로부터 로크 검출 신호(226), 고전력증폭기(110)로부터 증폭기 알람 신호(114)를 수신하고, (2) 전압 조정기들 및 스위치(232)를 위한 제어 신호들(230)을 발생하며, 차례로 증폭기(210, 212, 220)들의 이득을 제어하도록 신호들을 발생한다. 또한, 전송 업컨버터 알람 신호(116)는 노리 회로들(228)로부터 다시 알람 제어 보드(118)로 공급된다.
원격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IMD(intermodulation distortion : 상호변조 왜곡)(또한 CDMA시스템에서 SR(spectral regrowth)로서 알려져 있음)를 제한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상호변조 왜곡은 증폭기에서 주요 성능 악화 요인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필터 아웃될 수 있는 인접 채널들에 대해 간섭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IMD는 선형이기보다는 비선형인 증폭기의 입출력 전력 특성들에 의해 야기되는 비선형 효과이다. 비선형 특성은 증폭기에 사용된 전력 트랜지스터들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반도체 재료의 물리적 특성들에 기인한다. 선형 입출력 특성을 얻기 위하여, 피드포워드 및/또는 사전왜곡과 같은 소정 형태의 선형화가 통성 사용되고 있지만, 그것은 대개는 넓은 주파수 범위에 걸쳐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증폭기가 특정의 좁은 주파수 범위(예컨대, 약 20MHz 주파수 범위까지)에 걸쳐 충분히 최적화될 수 있을 지라도, PCS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기들이 지원할 수 있어야 하는 전체 60MHz 주파수 범위에 걸쳐 저레벨의 IMD를 제공하도록 단일의 증폭기를 최적화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가지 선택은 도 1의 PCS 블록 신호(108)와 같은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측정하고 그리고나서 그 측정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증폭기의 동작들을 자동으로 최적화하는 복잡한 회로(예컨대, 주파수 검출 회로)를 갖는 소위 스마트 증폭기라 칭하여지는, 도 1의 고전력 증폭기(110)와 같은 증폭기들을 설계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선택은 통상적인 PCS 원격 통신 시스템들의 기지국들에서 구현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도 1의 기지국 전송기 회로(100)와 같은 통상의 기지국 증폭기들은 전체 60MHz PCS 순방향 링크 주파수 범위에 대해 가능한한 최상이 되게 제조 중에 최적화가 이루어지고, 기지국이 현장에서 후속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기지국에 대한 특정의 PCS 주파수 블록을 처음으로 알게 되는 경우)에는 최적화가 행하여지지 않는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미국 PCS 표준에 부합하는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기들에 사용하기 위한 주파수 자체 최적화를 갖는 전송기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체 최적화 기지국 전송기 회로는 특정의 PCS 주파수 블록에 기초해서 증폭기 동작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기지국에 할당된 특정의 PCS 주파수 블록을 나타내는 디지털 정보를 이용하며, 종래의 기지국 전송기 회로들이 현장에서 동작을 위해 구성된 이후에는 종래의 기지국 전송기 회로들에서도 이미 사용가능하다. 따라서, 자체 최적화 기지국 전송기 회로는 전송기 회로내에 고가의 스마트 증폭기들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종래의 기지국 전송기 회로들에 의해 제공된 것보다 전체 60MHz PCS 주파수 범위에 걸쳐 더 양호한 성능(예컨대, 더 낮은 상호변조 왜곡)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특정의 PCS 주파수 블록을 나타내는데 사용된 실제 디지털 정보에 의존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블록 주파수를 검출하기 위하여 스마트 증폭기들에 의존하고 있는 전송기 설계보다 훨씬 더 정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호변조 왜곡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은 다른 주파수 대역들에서의 전송과의 간섭에 관련하여 FCC 규칙에 부합하면서도 보다 더 높은 전송 전력 레벨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스템 용량(예컨대, 보다 많은 PCS 주파수 채널 대 CDMA 코드 및/또는 보다 더 큰 기지국 커버리지 영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 전송기 회로에 있어서, 제 1 주파수에서 제 1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발진기와; 상기 제 1 주파수와는 다른 제 2 주파수에서 상기 제 1 신호를 제 2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업컨버터로서, 상기 제 2 주파수는 상기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내에 있고 상기 업컨버터내에서 사용가능한 주파수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업컨버터와; 상기 제 2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업컨버터는 상기 제 2 주파수를 지정하기 위해 이용된 상기 주파수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증폭기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증폭기는 상기 제 2 신호를 증폭하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그의 동작들을 최적화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사용하는, 전송기 회로를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 전송기 회로에 사용하기 위한 증폭기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상기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내의 입력 주파수를 갖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증폭기는 상기 입력 신호의 상기 입력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증폭기는 상기 입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그의 동작들을 자동으로 최적화하도록 구성되는, 증폭기를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 전송기 회로에서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주파수에서 제 1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주파수와는 다른 제 2 주파수에서 상기 제 1 신호를 제 2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주파수는 상기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내에 있고 상기 전송기 회로내에서 사용가능한 주파수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변화 단계와; 상기 제 2 주파수를 지정하기 위해 이용된 상기 주파수 정보에 기초해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신호를 증폭기로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기는 상기 제 2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그의 동작들을 최적화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사용하는, 신호 변환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PCS 원격 통신 시스템들의 순방향 링크 전송기들에 이용된 종래의 기지국 전송기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기지국 전송기 회로를 위한 종래의 전송 업컨버터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는 PCS 원격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링크 전송기들에 사용된 기지국 전송기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도 3의 기지국 전송기 회로를 위한 전송 업컨버터를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 기지국 전송기 회로
102, 302 : 발진기 106, 306 : 전송 업컨버터
110, 310 : 고전력 증폭기 118, 318 : 알람 제어 보드
206 : 믹서 218, 418 : 합성기
228 : 논리 회로 434 : 프로그램가능 논리 장치
438 : 처리 블록
발명의 다른 양태들과, 특징들과, 이점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는 PCS 원격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링크 전송기들에 이용된 기지국 전송기 회로(300)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지국 전송기 회로(300)는 발진기(302)와, 전송 업컨버터(306)와, 고전력 증폭기(310)와, 알람 제어 보드(318)를 포함한다. 도 1의 종래의 기지국 전송기 회로(100)에서와 같이, 60MHz PCS 주파수 범위에서의 특정의 PCS 주파수 블록이 알람 제어 보드(318)로부터 전송 업컨버터(306)에 의해 수신된 제어 신호(320)에서 지정되는 경우에, 기지국 전송기 회로(300)의 발진기(302)는 RF 신호(304)를 발생하고, 상기 RF 신호는 전송 업컨버터(306)에 의해서 PCS 블록 신호(308)로 변환되고 다음으로 상기 블록 신호(308)는 고전력 증폭기(310)에 의해 증폭되어 후속적인 전송 처리(도시하지 않음)를 위해 증폭된 PCS 블록 신호(312)를 발생한다. 종래의 기지국 전송기 회로(100)에서와 같이, 고전력 증폭기(310)는 알람 신호(314)를 다시 공급하고, 전송 업컨버터(306)는 알람 신호(316)를 다시 알람 제어 보드(318)로 공급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신호들 이외에, 전송 업컨버터(306)는 고전력 증폭기(310)를 위한 제어 신호(322)들의 세트를 발생시킨다. 이들 제어 신호들은 알람 제어 보드(318)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320)에서 식별된 PCS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60MHz PCS 주파수 범위내의 특정 부범위(sub-range)의 주파수들을 식별한다. 하나의 그 구현예에 있어서, 제어 신호(322)들은 60MHz PCS 주파수 범위내에서 3개의 20MHz 부범위들(예를 들면, 1930-1950MHz에 대해서는 (0 1), 1970-1990MHz에 대해서는 (1 1)) 중 하나를 식별하는데 이용된 2비트의 정보를 포함한다. 4번째의 2비트값 (0 0)은 새로운 값이 제공되고 있음을 회로 테스트 동안에 고전력 증폭기에게 알리도록 리셋 신호로서 예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구현예에 따라, 고전력 증폭기(310)는 제어 신호(320)에서 식별된 특정의 20MHz 부범위에 기초해서 자동으로 그것의 동작을 최적화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증폭기들은 통상의 PCS 용도를 위해 20MHz 주파수 범위에 대해 충분하게 최적화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이 구현예는 기지국 전송기 회로(300)의 만족스런 성능을 보장해준다(예컨대, 충분히 낮은 상호변조 왜곡). 한 구현예에 있어서, 고전력 증폭기(310)는 지정된 주파수 부범위에 대한 동조가능 파라미터들용의 메모리(예컨대, 룩업 테이블)로부터의 값들을 검색하고, 그 동조가능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증폭기의 동작을 미세 동조시킨다. 다른 구현예들에 있어서는, 보다 많은 특정의 블록 주파수 정보가 전송 업컨버터(306)에 의해서 고전력 증폭기(310)로 제공되어, 보다 더 좁은 주파수 부범위들(예컨대, 특히 5MHz 또는 15MHz PCS 주파수 블록)에 대해 최적화를 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도 3의 기지국 전송기 회로(300)를 위한 전송 업컨버터(306)의 블록도이다. 전송 업컨버터(306)의 요소들(402-432)은 도 2의 종래의 전송 업컨버터(106)의 대응하는 요소들(202-232)과 유사하며 유사하게 동작한다. 그러나,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업컨버터(306)는 적분기와 함께 쉬미트 트리거를 포함하는 처리 블록(438)과 프로그램가능 논리 장치(PLD)(또는 다른 적당한 처리 장치)(434)를 갖는다.
합성기(418)와 유사하게, PLD(434)는 알람 제어 보드(318)로부터 제어 신호(320)를 수신한다. PLD(434)는 전송 업컨버터(306)를 위한 제어 신호(320)에 지정된 특정의 PCS 주파수 블록을 결정하도록 제어 신호(320)내의 정보를 처리한다. PLD(434)는 동작을 최대화하도록 고전력 증폭기(310)에 의해 사용된 대응하는 20MHz 주파수 부범위를 식별하는 2비트 제어 신호(436)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PCS주파수 블록 정보를 사용한다. 제어 신호(436)는 도 3에 도시된 제어 신호들(322)의 일부를 형성한다. 한 구현예에 있어서, PLD(434)는 또한 ACB(318)로부터 이네이블 및 클록 신호들을 수신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업컨버터(306)는 전송 업컨버터(306)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 고전력 증폭기(310)가 60MHz PCS 주파수 범위의 중심(즉, 약 1960MHz)으로 최적화되게 하는 적절한 디폴트값들이 인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제어 신호(436)에 대해 구속된 풀업 저항기들로 구성된다.
또한, 블록(438)은 고전력 증폭기(310)를 위한 리셋 신호(440)를 발생하도록 논리 회로들(428)로부터 알람 신호들(316)을 모니터한다. 특히, 블록(438)내에서, 적분기는 알람 신호(316)들을 누적하고, 쉬미트 트리거는 그 결과로 얻어지는 누적된 적분기 신호에 기초해서 리셋 신호(440)를 발생한다. 제어 신호(436)와 유사하게, 리셋 신호(440)는 도 3에 도시된 제어 신호들(322)의 일부를 형성한다. 고전력 증폭기(310)는 리셋 신호(440)를 이용하여 그 동작을 리셋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알람 제어 보드(318)에 의해서 발생된 제어 신호(320)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 PCS주파수 블록을 식별하는 19 비트 값을 포함한다. 표 1에 나타낸 대로, 19비트 제어값 각각의 처음의 6비트 및 마지막 3비트는 모든 6개의 상이한 PCS 주파수 블록들에 대해 동일하고, 중간의 10비트만이 상이한PCS 주파수 블록들에 대해 변화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PLD(434)는 그들 10개의 중간 비트를 처리하여, 지정된 PCS 주파수 블록을 식별하고 표 1에 나타낸 대로 고전력 증폭기(310)에 전송되는 2비트 제어 신호(436)에 대해 비트 A 및 비트 B를 발생시킨다.
비록 본 발명이 전송 업컨버터를 갖는 기지국 전송기 회로의 경우에 대해 기술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대안적인 전송기 회로는 PCS 주파수 범위로 업컨버트할 필요 없이 적절한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설계된 무선 장치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고전력 증폭기로부터 분리하거나 고전력 증폭기내에서 실행되는 처리 장치(예컨대, PLD)가 고전력 증폭기의 최적화에 사용된 적절한 주파수 부범위를 결정하도록 알람 제어 보드(또는 유효한 주파수 정보를 갖는 기지국내의 다른 회로)로부터 제어 신호를 처리한다. PLD가 고전력 증폭기내에서 실행되는 경우, 알람 제어 보드로부터의 제어 신호는 소정의 중간 회로를 통하지 않고서도 고전력 증폭기에 직접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1930-1990 MHz의 60MHz PCS 순방향 링크 주파수 대역의 경우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른 주파수 범위들에서도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미국 PCS 표준 이외의 원격 통신 표준들에 부합하는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들을 위한 기지국의 전송기들용 기지국 전송기 회로들을 설계하는데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 전송기들이나 또는 다른 상황에 사용하기 위해 자체 최적화 전송기 회로를 달성하도록 특정의 블록이나 채널 주파수를 식별하는 디지털 정보가 사용가능한 다른 용도에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기술되고 도시된 부분들의 상세 내용, 재료들, 배열들의 각종 변형이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재된 발명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실시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5)

  1.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 전송기 회로에 있어서,
    제 1 주파수에서 제 1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발진기와;
    상기 제 1 주파수와는 다른 제 2 주파수에서 상기 제 1 신호를 제 2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업컨버터로서, 상기 제 2 주파수는 상기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내에 있고 상기 업컨버터내에서 사용가능한 주파수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업컨버터와;
    상기 제 2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된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업컨버터는 상기 제 2 주파수를 지정하기 위해 이용된 상기 주파수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증폭기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증폭기는 상기 제 2 신호를 증폭하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그의 동작들을 최적화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사용하는, 전송기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증폭기는 하나 이상의 동조가능 파라미터들을 위한 메모리로부터 하나 이상의 값들을 검색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그의 동작들을 최적화하도록 상기 동조가능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전송기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주파수 정보를 상기 업컨버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알람 제어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컨버터는 상기 증폭기를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주파수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프로그램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송기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정보는 상기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내의 6개의 상이한 주파수 블록들 중 하나를 식별하는 19비트 값으로서 상기 알람 제어 보드로부터 상기 업컨버터로 전송되는 전송기 회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업컨버터는 상기 증폭기를 위한 리셋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업컨버터로부터 상기 알람 제어 보드로 알람 신호들을 모니터하도록 구성된 처리 블록을 더 포함하는 전송기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블록은 적분기와 함께 구성된 쉬미트 트리거를 포함하고, 상기 적분기는 상기 알람 신호들을 누적하여 누적된 적분기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쉬미트트리거는 상기 누적된 적분기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리셋 신호를 발생하는 전송기 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는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을 위한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이고,
    상기 제 2 주파수는 상기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내의 특정의 주파수 블록에 대응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특정의 주파수 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내에서의 부범위를 식별하는 전송기 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는 PCS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이며,
    상기 특정의 주파수 블록은 상기 PCS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내의 6개의 상이한 PCS 주파수 블록들 중의 하나인 전송기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PCS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내의 3개의 상이한 주파수 부범위들 중 하나를 식별하는 2비트값을 포함하는 전송기 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주파수 정보를 상기 업컨버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알람 제어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컨버터는 상기 증폭기를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주파수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프로그램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정보는 상기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내의 6개의 상이한 주파수 블록들 중 하나를 식별하는 19비트 값으로서 상기 알람 제어 보드로부터 상기 업컨버터로 전송되고,
    상기 업컨버터는 상기 증폭기를 위한 리셋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업컨버터로부터 상기 알람 제어 보드로의 알람 신호들을 모니터하도록 구성된 처리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 블록은 적분기와 함께 구성된 쉬미트 트리거를 포함하며, 상기 적분기는 상기 알람 신호들을 누적하여 누적된 적분기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쉬미트 트리거는 상기 누적된 적분기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리셋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증폭기는 하나 이상의 동조가능 파라미터들을 위한 메모리로부터 하나 이상의 값들을 검색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그의 동작들을 최적화하도록 상기 동조 가능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전송기 회로.
  11.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 전송기 회로에 사용하기 위한 증폭기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상기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내의 입력 주파수를 갖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증폭기는 상기 입력 신호의 상기 입력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증폭기는 상기 입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그의 동작들을 자동으로 최적화하도록 구성되는, 증폭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증폭기는 하나 이상의 동조가능 파라미터들을 위한 메모리로부터 하나 이상의 값들을 검색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그의 동작들을 최적화하도록 상기 동조 가능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증폭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리셋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리셋 신호에 기초해서 그의 동작들을 리셋하도록 구성되는 증폭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는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을 위한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이고,
    상기 입력 주파수는 상기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내의 특정의 주파수 블록에 대응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특정의 주파수 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내에서의 부범위를 식별하는 증폭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는 PCS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이며,
    상기 특정의 주파수 블록은 상기 PCS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내의 6개의 상이한 PCS 주파수 블록들 중의 하나인 증폭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PCS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내의 3개의 상이한 주파수 부범위들 중 하나를 식별하는 2비트값을 포함하는 증폭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증폭기는 하나 이상의 동조가능 파라미터들을 위한 메모리로부터 하나 이상의 값들을 검색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그의 동작들을 최적화하도록 상기 동조 가능 파라미터들을 사용하고,
    상기 증폭기는 리셋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리셋 신호에 기초해서 그의 동작들을 리셋하도록 구성되는 증폭기.
  18.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 전송기 회로에서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주파수에서 제 1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주파수와는 다른 제 2 주파수에서 상기 제 1 신호를 제 2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주파수는 상기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내에 있고 상기 전송기 회로내에서 사용가능한 주파수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변화 단계와;
    상기 제 2 주파수를 지정하기 위해 이용된 상기 주파수 정보에 기초해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신호를 증폭기로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기는 상기 제 2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그의 동작들을 최적화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사용하는, 신호 발생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증폭기는 하나 이상의 동조가능 파라미터들을 위한 메모리로부터 하나 이상의 값들을 검색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그의 동작들을 최적화하도록 상기 동조가능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신호 발생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정보는 상기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내의 6개의 상이한 주파수 블록들 중 하나를 식별하는 19비트 값으로서 사용가능한 신호 발생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를 위한 리셋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전송기 회로내에서 알람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호 발생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는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을 위한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이고,
    상기 제 2 주파수는 상기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내의 특정의 주파수 블록에 대응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특정의 주파수 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내에서의 부범위를 식별하는 신호 발생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는 PCS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주파수 범위이며,
    상기 특정의 주파수 블록은 상기 PCS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내의 6개의 상이한 PCS 주파수 블록들 중의 하나인 신호 발생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PCS 기지국 순방향 링크 전송 주파수 범위내의 3개의 상이한 주파수 부범위들 중 하나를 식별하는 2비트값을 포함하는 신호 발생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를 위한 리셋 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전송기 회로내에서의 알람 신호들을 모니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증폭기는 하나 이상의 동조가능 파라미터들을 위한 메모리로부터 하나 이상의 값들을 검색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그의 동작들을 최적화하도록 상기 동조가능 파라미터들을 사용하고,
    상기 주파수 정보는 상기 지정된 전송 주파수 범위내의 6개의 상이한 주파수 블록들 중 하나를 식별하는 19비트 값으로서 사용가능한 신호 발생 방법.
KR1020010013664A 2000-03-16 2001-03-16 주파수를 자체 최적화하는 전송기 회로 KR200100904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27,010 US6597925B1 (en) 2000-03-16 2000-03-16 Transmitter circuit with frequency self-optimization
US09/527010 2000-03-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475A true KR20010090475A (ko) 2001-10-18

Family

ID=2409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664A KR20010090475A (ko) 2000-03-16 2001-03-16 주파수를 자체 최적화하는 전송기 회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97925B1 (ko)
EP (1) EP1134904A3 (ko)
JP (1) JP2001298372A (ko)
KR (1) KR20010090475A (ko)
CN (1) CN1314767A (ko)
AU (1) AU2646001A (ko)
BR (1) BR0100844A (ko)
CA (1) CA23341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2442A1 (en) * 2000-01-10 2001-07-19 Airnet Communication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qualization in transmit and receive levels in a broadband transceiver system
US7035617B2 (en) * 2001-01-29 2006-04-25 U.S. Monolithics, L.L.C. High power block upconverter
US7471738B2 (en) * 2002-12-02 2008-12-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transmitter power efficiency
US8428181B2 (en) * 2002-12-02 2013-04-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transmitter power efficiency
US7333563B2 (en) 2004-02-20 2008-02-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ower amplifier efficien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having high peak to average power ratios
US8761305B2 (en) 2006-06-14 2014-06-24 Blackberry Limited Input drive control for switcher regulated power amplifier modules
EP2027650B9 (en) * 2006-06-14 2013-02-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Input drive control for switcher regulated power amplifier modules
JP5185115B2 (ja) 2006-06-14 2013-04-17 リサーチ イン モ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スイッチャ調整パワーアンプモジュールの改良された制御
CN1983851B (zh) * 2006-06-16 2010-07-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使功放支持多功率的方法及射频模块
CN101212244B (zh) * 2006-12-29 2011-07-2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调整压铸td-scdma功率放大器标识的方法和装置
US8872333B2 (en) 2008-02-14 2014-10-28 Viasat,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waveguide packaging
JP5255986B2 (ja) * 2008-10-20 2013-08-07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パターンドメディア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US8620238B2 (en) 2010-07-23 2013-12-31 Blackberry Limited Method of power amplifier switching power control using post power amplifier power detection
AU2011218651B2 (en) 2010-08-31 2014-10-09 Viasat, Inc. Leadframe package with integrated partial waveguide interface
US8514014B2 (en) * 2011-02-09 2013-08-20 Analog Devices, Inc. Reset and resettable circui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0536A (en) * 1993-03-16 1995-05-30 Victoria University Of Technology Linearized power amplifier
US5339041A (en) * 1993-07-06 1994-08-16 The Boeing Company High efficiency power amplifier
US5774017A (en) * 1996-06-03 1998-06-30 Anadigics, Inc. Multiple-band amplifier
US6097251A (en) * 1998-05-29 2000-08-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re-recorded sigma delta values for power amplifier control
US6259318B1 (en) * 1999-05-28 2001-07-10 Motorola, Inc. Method for extending the liner range of an ampl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646001A (en) 2001-09-20
EP1134904A2 (en) 2001-09-19
CA2334157A1 (en) 2001-09-16
EP1134904A3 (en) 2004-01-28
US6597925B1 (en) 2003-07-22
BR0100844A (pt) 2001-10-30
CN1314767A (zh) 2001-09-26
JP2001298372A (ja) 200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15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linearized transmitter including a power amplifier
Sowlati et al. Quad-band GSM/GPRS/EDGE polar loop transmitter
KR100312367B1 (ko) 이동체통신장치및방법
US1047644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power yield and linearization in radio frequency transmitters
KR20010090475A (ko) 주파수를 자체 최적화하는 전송기 회로
US2009015437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89487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ensating for distortion in a transmitter by utilizing a digital predistortion scheme with a feedback mixer configuration
KR20130126889A (ko) 반도체 장치
US201202303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ensating for estimated distortion in a transmitter by utilizing a digital predistortion scheme with a single feedback mixer
US7515648B2 (en) Transmitt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same
JP2004537907A (ja) 固定バンド幅フィルタを使用したプログラム可能なifバンド幅
JP2000228646A (ja) 携帯移動端末および送信装置
US20030003886A1 (en) Radio transmission apparatus and radio transmission method
KR20060029218A (ko) 무선 통신 장치의 qam 송신기 유닛을 위한 자동 전력제어 회로
KR101053136B1 (ko) 공유 기능 블록 멀티 모드 멀티 밴드 통신 트랜시버
US20060222103A1 (en) Radio transmission apparatus with variable frequency bandwidth of transmission signal or variable method of modulating transmission signal
US6785324B1 (en) Transceiver including reactive termination for enhanced cross-modulation performance and related methods
US20050136846A1 (en) RF transceiver
US20050136847A1 (en) Communicatio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electrical apparatus
US7062231B2 (en) Direct modulation transmitter utilizing signals squaring
Rohde et al. A Modern HF/VHF/UHF Transceiver for All Applications-What Would it Look Like Today?
EP1489750B1 (en) Reduction of radio frequency leakage
KR20040036964A (ko) 선형화된 자동 이득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