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9218A - 무선 통신 장치의 qam 송신기 유닛을 위한 자동 전력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의 qam 송신기 유닛을 위한 자동 전력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9218A
KR20060029218A KR1020057022378A KR20057022378A KR20060029218A KR 20060029218 A KR20060029218 A KR 20060029218A KR 1020057022378 A KR1020057022378 A KR 1020057022378A KR 20057022378 A KR20057022378 A KR 20057022378A KR 20060029218 A KR20060029218 A KR 20060029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power level
output
re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0928B1 (ko
Inventor
마잔 라딘마쿠카트
토마스 마렛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60029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89Control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05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366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undesirable properties of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odulator and the demodulator
    • H04L27/367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undesirable properties of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odulator and the demodulator using predistortion
    • H04L27/368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undesirable properties of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odulator and the demodulator using predistortion adaptive predist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에 배치되는, 코히런트 변조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간과 온도 변화에 따른 전력 안정성을 보장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QAM 송신기(200a/b/c)에 내장된 전력 증폭기(205)의 출력 포트에서 송신되는 변조 RF 신호(x(t))의 출력 전력(Pout)을 제어하기 위한 3가지 다른 타입의 전력 제어 회로(201E)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출력 전력(Pout)은, QAM 송신기(200b)의 변조단(204E)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합성 유닛(202)에 의해 발생된 발신기 신호의 전력 레벨(Pc)을 감쇠시킴으로써(S0) 제어된다. RF 출력 신호(x(t))의 실제 전력 레벨(Pout)은 자동 전력 제어 루프(201E)의 피드백 체인 내의 비교단(212)의 제1 입력 포트로 피드백되고(S2), 비교단(212)의 제2 입력 포트에 공급된 RF 신호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와 비교된다(S3).
QAM, 송신기, 전력 제어, 무선 통신 장치, 변조기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의 QAM 송신기 유닛을 위한 자동 전력 제어 회로{AUTOMATIC POWER CONTROL CIRCUITRY FOR A QAM TRANSMITTER UNI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에 배치되는 코히런트 변조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장치의 QAM 송신기에 내장된 전력 증폭기의 출력 포트에서 송신되는 변조 RF 신호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3가지 다른 타입의 전력 제어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간, 무선 통신 장치에 적용되는 고효율 전력 제어 회로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폐루프 전력 제어에 있어서 중요한 하나의 작업은, 시간 t에서 송신되는 RF 신호(x(t))의 출력 전력(Pout)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무선 RF 송신기의 아날로그 프런트 엔드(front end)에 내장되는 아날로그 회로의 설계이다. 너무 빠른 램핑은 RF 스펙트럼의 불필요한 확산을 일으키고, 너무 느린 램핑은 규정된 시간 제약을 어기게 된다. 여기서, 무선 RF 송신기의 출력 포트에서 PA(power amplifier)에 의해 통상 공급되는, 출력 전력(Pout)은 외부 제어 전압(Vctrl)에 의해 설정된다. Vctrl과 Pout 간의 관계는, 종종 비선형이며, 온도, 허용 오차, 공급 전압, 주파수 및 PA 입력 전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Pout의 충분한 안정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일부 설계자가, 예를 들어, PA 공급 전압을 제어하는 등의, 비피드백 개념을 여전히 이용하지만, 전력 제어 루프가 필요하다. 통상, 상기와 같은 제어 루프는, 기저 대역 제어기로부터 입력 신호에 의해 공급되는 루프 증폭기 및 RF 검출기를 구비한다. 종래 전력 제어 루프 설계는, 주로 각각 적용된 RF 검출기가 다르지만, 루프 증폭기도 흥미로운 설계 관점을 필요로 한다.
전력 제어 루프 설계에 있어서, 하나의 중요한 문제는 동적 범위이다. GSM 기반 이동 전화의 경우, 최대 안테나 전력은 33 dBm이고, 최소 전력 레벨은 5 dBm이다. 검출기의 동적 범위는, 상당히 높아야 하는데, 예를 들어, 34 dB보다 커야 하고, 이는, 좋은 다이오드 검출기가 할 수 있는 능력에 비교적 가깝다. 넓은 동적 범위의 필요에 대한 다른 이유는, 예를 들어, 종래 TDMA 기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RF 레벨이 잡음과 누화에 의해 결정되는 "전력 강하(power-down)" 모드에서 전력 증폭기가 시작한다는 것이다. GSM 시스템의 경우, 상기 레벨이 약 -48 dBm보다 낮아야 하므로, 동적 범위가 70 dB 이상으로 된다. 제어 Vctrl 전압이 전력 증폭기의 제어 입력에 인가되면, 출력 전력(Pout)이 증가한다. 그러나, 제한된 검출기 동적 범위로 인해, 루프가 닫히지 않고, 검출기가 응답하는 시점에서 큰 오버슈트가 발생할 수도 있다.
다음 2개의 문제가 전력 제어 루프 설계를 어려운 작업으로 만든다. 그 중 하나의 문제는, 일부 전력 증폭기가 그다지 빠르지 않아, 제어 입력에서의 스텝 Δ Vctrl과 출력 전력에서의 대응하는 변화 ΔPout 간에 상당한 지연이 생길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전력 제어 루프의 속도가 제한되므로 불안정을 일으킬 수 있다. 두 번째 문제는, 전력 증폭기와 다수의 검출기가 비선형 회로 소자라는 것이다. 전력 제어 루프가 이상적인 선형 검출기와 선형 루프 증폭기로 구축된다면, 이상적인 전력 증폭기는 일정 기울기 dPout/dVctrl을 갖게 되지만, 실제로는, dPout/dVctrl이 제어 전압(Vctrl)의 함수이므로, 바이어스에 의존하는 전체 루프 이득으로 되고, 피드백 시스템의 주파수 보상을 더 어렵게 만든다. 그러나, 루프가 안정하면, 회로가 일정 전력 레벨에 대해 너무 느릴 수도 있다.
도 1a와 도 1b에서, QAM 송신기(100a) 및 QAM 수신기(100b)로 이루어진 종래 무선 통신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의 송신기측(100a)에서, 기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디지털 데이터가 부호화되고(ik, qk), 그 다음에, D/A(digital-to-analog) 변환기(102)로 제공된 후, 구상 변조기(104)에 의해 복소값 직교 I(in-phase) 및 Q(quadrature) 채널이 조합된다. 그 결과로서 생성된 신호 조합은 내부 믹싱단에 의해 RF 대역으로 업 컨버트(up-convert)된다. 그 다음에, 필터링단을 통과한 후, RF 신호가 전력 증폭기(106)를 구동하고, 그 출력 신호(x(t))가 송신(TX) 안테나(108)에 공급된다. 안테나는 그 신호를 공중으로 방출하고, 송신이 완료된다. 약간 다른 구성 요소가 이용되긴 하지만, 수신기측(100b)은 단순히 그 반대이다. 우선, 수신된 RF 신호(x(t))를 필터링하여 관심 있는 RF 대역을 선택한다. 그 후, 그 신호가 LNA(112; low-noise amplifier)에 공급된다. 통상, 그 다음에 신호가 필터링되고, RF 대역에서 기저 대역으로 직접 다운 컨버트(down-convert)되거나(homodyne 수신기의 경우), 하나 이상의 IF(intermediate frequency)단으로 믹싱된다(heterodyne 또는 super heterodyne 수신기가 채택되는 경우). 여기서, 최종 믹싱단은 그 신호를 자신의 I 및 Q 성분으로 분리하게 된다. 일단 기저 대역에서는, I 및 Q 신호가 더 처리되기 전에 A/D(analog-to-digital) 변환기(120)로 제공된다.
전력 증폭기는, 송신 안테나(108)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필요 전력 레벨(Pout)로 송신되는 RF 신호(x(t))를 증폭하는 QAM 송신기(100a)의 구성 요소이다. 대부분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상 안테나에 송신되어야 하는 전력량(출력 전력) 자체가 매우 크므로, 전력 증폭기가 가장 많이 전력을 소비한다. 이는, 전력 증폭기 내에서 소비되는 전체 전력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안테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을 포함할 뿐이다. 능동 장치와 주변 회로에서 일정 전력이 항상 소비되므로, 전력 증폭기가 소비하는 전체 전력은 반드시 출력 전력보다 크게 된다. 출력 전력 명세 자체가 RF 시스템 내의 나머지 블록의 소비 전력보다 종종 크고, 상기 전력 증폭기의 소비 전력이 지정된 출력 전력보다 높아지므로, 명백히, 전력 증폭기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주요한 전력 소비자이다.
변조 RF 신호(x(t))를 신뢰성 있게 송신하는데 필요한 전력 레벨이 종종 비교적 높으므로, 전력 증폭기 내에서 많은 전력이 소비된다. 다수의 무선 응용에서는, 상기 증폭기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중요하지는 않다; 송신중인 신호가 충 분한 전력이라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제한된 양의 에너지만이 이용가능한 상황에서는, 그 에너지가 송신 절차에 충분하지 않으므로, 그 에너지가 이용가능한 시간 길이를 최대화하기 위해, 모든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해야 한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서로 다른 클래스의 전력 증폭기 수가 너무 많아 헤아릴 수가 없고, 그 전력 증폭기는, 아주 간단한 것에서 상당히 복잡한 것뿐만 아니라, 완전히 선형에서 완전히 비선형까지 그 범위가 다양하다. PA 용어에 있어서, "선형(linear)" 전력 증폭기는 그 입력과 출력 간에 선형 관계를 갖는 것을 말한다. 전력 증폭기가 비선형 방식으로 동작하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할 수도 있지만(예를 들어, FET가 컷오프와 포화 간에서 전환되는 경우 등), 여전히 선형으로 간주될 수 있다. 비선형 전력 증폭기는 비교적 고효율의 특징을 갖지만, 그 비선형성으로 인해 출력 신호가 확산된다(상호 변조파로 인해, 특히, 국부 발진기 내에 많은 잡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입력이 전력 증폭기로 확산된다).
통상의 전력 증폭기는 몇몇의 직렬 단으로 이루어진다. 통상, 각각의 단은 이전 단보다 크고 강력하다. 대부분의 대기(quiescent) 전류가 고전력단에서 이용되어, 무선 통신에서 필요한 저출력 전력 레벨에서는 필요하지 않으므로, 필요하지 않은 경우 고전력단을 우회하는 수단에 의해, 소비 에너지가 상당히 감소하게 된다.
또한, 무선 전화가 전지 전력으로 동작하므로, 그 송신기가 되도록 전력을 보존하고 전지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효율적으로 동작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UMTS 표준이 적용되는, W-CDMA 시스템의 경우에 이상적으로는, 전력 증폭단이 그 필요한 동적 범위에서 효율적이며 선형으로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아직 이상적인 것에 접근하지 못했고, 현재, 다수의 무선 전화는 열악한 전력 관리만을 갖고 있을 뿐이다. 저전력 송신 동안에는, 필요치 않은 캐스케이드형 증폭단에 의해 전력이 낭비된다. 따라서, 이용하지 않는 단을 우회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정상적인 동작 조건하에서, 종래 무선 RF 송수신기 장치는 APC(automatic power control) 회로를 이용하여 그 증폭단의 출력 전력을 제어한다. 대부분의 RF 송수신기에서 발견되는 APC 회로는, 선형 전력 증폭기에 접속하기 위한 외부 접속 수단을 갖는다. 최종 전력 증폭기의 출력 포트에서 변조 RF 신호의 전력을 검출한 후, 상기 신호를 DC 전압으로 변환하고, 가변 이득 IF(intermediate frequency)단으로 피드백하여 오랜 시간 동안 최종 출력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APC 전압 생성이 매우 쉽게 이루어지나, 열 편차에 의해 발생하는 이득 편차나, 동작 전압 편차 등이 그 회로에 의해 보상되지는 않는다. 다른 선택은, 최종 증폭기의 구동 전력으로부터 APC 전압을 얻어, 이를 RF 송수신기의 외부 APC 입력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 이론은, 전력 증폭기가 혹사된 경우, 송수신기의 APC 회로로 피드백되는 음 전압을 생성한다는 것이다. 상기 음 전압은 송수신기의 송신단에서 이득 제어로서 기능을 하고, 또한, 구동 전력(송수신기의 출력 전력)을 자동으로 낮추고 혹사된 증폭기의 왜곡을 제한한다.
도 2a는, RF 신호 발생기를 실현하는 아날로그 회로의 RF 출력 포트(214b') 에서 전력을 안정시키는데 이용되는, 최신 기술에 따른 종래 APC 루프(200a)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회로는 진폭 변조를 실행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회로는, FSU(202'; frequency systhesizing unit), 변조 RF 출력 신호의 반사파를 광대역 검출 다이오드(208')에 공급하는, 전력 분배기(206'; 예를 들어 방향성 결합기), 및 예를 들어, 혼성 MIC(microwave integrated circuit) 기술로 가변 저항기를 실현하는 전류 제어 PIN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진폭 변조단 등의,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감쇠기(204')에 그 출력 신호가 공급되는 증폭단(212')을 구비한다. 상기 RF 신호 발생기가 스위프(sweep) 주파수 응용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통상, 외부 검출기(208"; 도시안함)를 적용하여 검사된 RF 유닛의 입력 포트에서의 전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도 2는, QAM 송신기(200)의 RF 출력 포트(210)에서 전력 레벨(Pout)을 안정시키는데 이용되는, 최신 기술에 따른 APC 루프(201)를 구비하는 EDGE 기반 통신 환경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를 위한 QAM 송신기(20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광대역 검출 다이오드(208)에 의해 APC 루프(201)로 피드백되는 실제 출력 전력 레벨(Pout)과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가 공급되는, 비교단(212)의 출력 포트는, QAM 송신기(200)의 출력 전력 레벨(Pout)을 제어하는, 가변 이득 전력 증폭기(205)의 이득 제어 입력 포트에 접속된다.
여기서, 복소값 아날로그 기저 대역 신호(xLP(t); 송신되는 실수값 RF 대역 통과 신호(x(t))의 복소 포락선 또는 이와 등가인 저역 통과 신호)는 다음과 같이 기재될 수 있다.
Figure 112005067413077-PCT00001
(1)
여기서,
Figure 112005067413077-PCT00002
(1a)
Figure 112005067413077-PCT00003
(1b)
Figure 112005067413077-PCT00004
(1c)
Figure 112005067413077-PCT00005
(1d)
이고,
Figure 112005067413077-PCT00006
은 허수 단위이다. 여기서,
i(t)는 시간 영역에서 xLP(t)의 I(in-phase) 성분을 나타내고,
q(t)는 시간 영역에서 xLP(t)의 Q(quadrature) 신호를 나타내고,
a(t)는, x(t)의 포락선에 의해 주어지는, xLP(t)의 크기 성분을 나타내며,
Ψ(t)는, x(t)의 위상 성분도 되는, xLP(t)의 위상 성분을 나타낸다.
i(t)와 q(t)는, 다음과 같은 사인파형을 갖는 고주파수 반송파 신호를 제공 하는 국부 발진기(202)에 의해 구동되는, 2개의 변조단(204a 및 204b)에 의해 기저 대역에서 RF 대역으로, 각각, 직접 업 컨버트되고,
Figure 112005067413077-PCT00007
, (2a)
여기서, Ac(t)(
Figure 112005067413077-PCT00008
단위)는 반송파 신호(ci(t))의 진폭 계수이고, fLO(GHz 단위)는 국부 발진기(202)에 의해 공급되는 반송파 주파수이다. 업 컨버전 믹서(204a)의 한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힐버트 변환기(204c)는, 반송파 신호(ci(t))의 90도 위상 편이를 제공하고, 기저 대역에서 RF 대역으로 구상(quadrature) 신호(q(t))의 직접적인 업 컨버전에 이용되는 반송파 신호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5067413077-PCT00009
. (2b)
xLP(t)(또는, i(t)와 q(t), 각각)을 이용하면, 상기와 같이 송신되는 변조 RF 신호(x(t))는 다음과 같이 기재될 수 있다:
Figure 112005067413077-PCT00010
Figure 112005067413077-PCT00011
(3)
일정 거리에 있는 수신기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일정 출력 전력 레벨(Pout)이 필요하므로, 송신하기 전에, 얻은 RF 신호(x(t))를 증폭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이득 제어 전력 증폭기(205)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TDM(time-division multiplexing)에 기초한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 장치의 EDGE 기반 QAM 송신기에 관한 것으로, 업스트림 방향으로 각각의 QAM 채널이 미리 규정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채널 수로 세분되므로, 동일 반송파 주파수 fLO를 이용하여 8개의 물리적 TDMA 채널이 실현되어야 한다. 도 3a는 8개의 시간 슬롯을 갖는 TDMA 프레임(300a)의 전형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 TDMA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각각은 156.25 비트의 슬롯 길이(TS)와 148 비트의 버스트 길이(TBurst)를 갖는다. 8개의 서로 다른 이동 채널이 이들 8개의 시간 슬롯 상에 사상될 수 있으므로, 모든 이동 단말기는, 각각,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하나의(GPRS의 경우에는 여러개의) TDMA 채널을 갖는다; 다른 TDMA 채널에서는, 대응하는 시간 슬롯이 다른 이동 단말기에 할당되므로, 이동 단말기가 송신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TDMA 기반 통신 시스템의 업링크에서 송신된 신호 스트림의 RF 전력의 버스트(burst) 특성 때문에, 서로 다른 TDMA 채널의 시분할 다중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RF 출력 전력이 송신 동안 일정해야 하므로, 무선 RF 송신기의 출력 전력은, 각각, 서로 다른 시간 슬롯 간에 적절한 레벨로 램프 업(ramp up) 되거나 0으로 램프 다운(ramp down) 되어야 한다. 시간 t에 따라 TDMA 기반 통신 시스템의 업링크에서 송신된 신호 스트림의 RF 출력 전력(Pout)의 전형적인 버스트 특성(300b)이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서로 다른 TDMA 채널 간의 시분할 다중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출력 전력 레벨(Pout)이 송신 동안 일정해야 하므로, 무선 RF 송신기(200b)의 출력 전력(Pout)이, 인접한 시간 슬롯 TSi와 TSj 간에 적절한 레벨로 램프 업 되거나 0으로 램프 다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여기서, j:=(i+1) mod 8 이며, i∈{0, 1, 2, ..., 7}). 데이터 송신을 시작하기 전에 일정 시간 동안, 이동 단말기는 0에서 소망하는 출력 전력(Pout)으로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다. 각각의 시간 슬롯(TSi)에서 상기와 같은 부분을 "램프 업(ramp up)"으로 지칭한다. 소망하는 출력 전력(Pout)에 도달한 후, 데이터 송신을 시작한다. 각각의 시간 슬롯(TSi)에서 상기와 같은 부분을 "유용한 부분(useful part)"으로 보통 지칭한다. 그 다음에, TSi의 마지막 부분을 "램프 다운(ramp down)"으로 지칭한다.
현재, 상기와 같이 QAM 송신기(200)의 출력 전력 레벨(Pout)을 안정시키기 위한 램프 업 및 램프 다운 절차는, 도 2에 도시된 최신 기술에 따른 APC 회로(201)에 의해 실현된다. 여기서, 실제 출력 전력 레벨(Pout)과 RF 출력 신호의 전력(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가 공급되는 비교단(212)의 출력 포트는 상기 출력 전력 레벨(Pout)을 제어하는 가변 이득 전력 증폭기(205)의 이득 제어 입력 포트에 접속된다. 실제 출력 전력 레벨(Pout)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out의 일부가 방향성 결합기(206)에 의해 밖으로 결합되어 광대역 검출 다이오드(208)에 의해 APC 루프(201)로 피드백되는)직접 측정이나 (예를 들어, 출 력 전력(Pout)에 정비례하는, 전력 증폭기(205)의 출력 전류를 측정하는 등의)간접 측정에 의해 공급된다. 그 다음에, 측정된 전력 레벨(Pout)이 공칭 전력 레벨(Pref)과 비교된다. 실제 전력 레벨(Pout)이 기준 신호의 전력 레벨(Pref)보다 높은 경우에는, 가변 이득 전력 증폭기(205)의 이득(GPA)을 감소시켜 Pout을 조정한다. 역으로, Pout이 Pref보다 낮은 경우에는 GPA를 증가시켜 Pout을 조정한다. "램프 업" 부분 동안에는, 공칭 전력 레벨(Pref)이 증가하고, "램프 다운" 부분 동안에는, 공칭 전력 레벨(Pref)이 감소하며, "유용한" 부분 동안에는, 공칭 전력 레벨(Pref)이 안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APC 루프(201E)가 기준 신호의 전력 레벨(Pref)에 따라 출력 전력 레벨(Pout)을 조정하므로, 출력 전력(Pout)은, 각각, 램프 업 또는 다운되거나, "유용한" 부분 동안 미리 규정된 레벨을 유지한다.
<본 분야의 상황에 대한 간단한 설명>
EP 0 961 402 A2에서 설명된 발명은, RF 신호에 대해 서로 다른 이득을 갖는 서로 다른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송신되는 상기 RF 신호의 전력 레벨에서의 글리치(glitch)를 회피하고 전지 전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CDMA에 기초한 스펙트럼 확산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QAM 송신기에서의 이득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송신기에 관한 것이다.
다음으로, US 2002/0123363 A1에서 설명된 발명은, 선형 변조로 인해 발생하 는 전력 측정의 데이터 의존성을 보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송신된 출력 전력의 제1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반사파의 제2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양 측정은 시간 다중 방식으로 수행된다. 상기 방법은, 제1 측정 동안 송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평균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제2 측정 동안 송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평균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및 제1 평균 전력과 제2 평균 전력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측정된 전력값 중 적어도 하나를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US 5,276,917은, 송신기의 안정한 동작을 보장하는데 필요한, APC 루프를 구비한 이동 무선전화의 이중 모드 송신기에서 송신기 전력 스위치 온(switch-on)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중 회로에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송신 전력 증폭단의 스위치 온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개시한다. 전력 증폭단의 전단에는, 전압 제어 증폭기 및 감쇠기(VCA; voltage-controlled amplifier and attenuator)가 배치되어, APC 루프의 피드백 체인 내의 전력 제어 블록으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전력 증폭단을 순차적으로 스위치 온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후, 송신 전력 제어 신호(TXC; transmit power control signal)가 스위치 온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 출력 전력 증폭단이, 송신 인에이블 신호(TXE; transmit enable signal)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스위치 온 된다. 그 후, 입력 전력 증폭단이, 램프 업 제어 신호(RAMP-UP; ramp-up control signal)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스위치 온 되고, 끝으로, 송신 전력 제어 신호(TXC; transmit power control signal)가 스위치 온 된다. 그 다음에, 전력 증폭기가 증 폭된 RF 신호(x(t))를 이중 회로의 송신 단자에 출력한다.
WO 03/001688 A2에서 설명된 발명은, 내장된 전력 증폭기의 스위칭으로 인해 발생하는 과도 스퓨리어스(spurious) 신호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평활 필터의 대역폭이, 송신되는 RF 신호(x(t))의 전력 레벨(Pout) 및/또는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이동 통신 장치의 무선 송신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필터의 대역폭은 필터 내의 트랜스컨덕턴스(transconductance) 소자를 제어함으로써 조정된다. 이를 위해, 허용 가능한 스위칭 스펙트럼이 달성되도록 필터 특성을 제어함으로써, 전력 증폭기의 출력 전력(Pout)이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빨리 램프 업 되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장치가 동작하고 있는 적용 통신 표준(예를 들어, GSM-850, GSM-900, DCS, 또는 PCS 등)과, 송신되는 RF 신호(x(t))의 전력 레벨(Pout)에 따라, 필터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EP 0 944 175 A1과 US 6,212,367 B1에서 개시된 발명은, 수신(Rx) 대역에서 송신기 잡음에 관한 엄격한 명세를 만족시킬 수 있는 이동 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이동 전화 장치는, 송신(Tx) 대역에서 송신되는 변조 RF 신호(x(t))를 발생시키는 변조기, 상기 RF 신호(x(t))를 송신 안테나에 공급하는 전력 증폭기, 통과 대역 및 감쇠 대역을 가지며, 변조기와 전력 증폭기 간에 배치되는, 조정가능 필터, 및 통과 대역이 Tx 대역에 있고 감쇠 대역이 이동 전화 장치의 Rx 대역에 있도록 필터를 조정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한다.
US 5,752,172에서는, 무선 전화에서 이용되는 송신기 출력 전력 제어 회로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 회로는, 증폭된 변조 RF 신호(x(t))를 송신하는 안테나에 출력이 연결된 전력 증폭기, 전력 증폭기의 입력 포트에 출력 포트가 연결되며 변조기의 출력 포트에 입력 포트가 연결되고, 소정의 동적 전력 범위 내에서 변조 RF 신호(x(t))를 출력하는데 필요한, 가변 이득 구동 증폭기(VGA; variable-gain driver amplifier), 및 변조기의 출력 포트와 VGA의 입력 포트 간에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가능 이득 증폭기(PGA1, PGA2)를 구비한다. 프로그램가능 이득 증폭기는, 가변 이득 구동 증폭기의 동적 범위 요구를 감소시켜 상기 소정의 동적 전력 범위보다 작아지도록 선택된 동적 범위를 갖는다.
끝으로, US 6,118,988에서 개시된 발명은, 송신되는 변조 RF 신호(x(t))의 송신 전력(Pout)의 크기를 기지국(BS; base station)과 사용자의 이동국(MS; mobile station) 간의 거리에 비례하여 제어하기 위한, 이동 전화에서 이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대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송신 전력(Pout)의 크기에 따른 이득 제어값과 실제 이득 간의 오차를 보상함으로써, 정확한 송신 전력 레벨(Pout)을 제공한다. 상기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전력 제어 시스템은, 송신부, 이동국 모뎀, 전력 검출기, 이득 차이 제어부, 및 전력 증폭기 제어부를 구비한다. 우선, 송신부에 의해 공급되는 송신 전력 신호가 전력 검출기에 의해 DC 전압으로 변환된다. 그 다음에, 이동국 모뎀은, DC 전압에 기초하여, 각각, 제1 및 제2 이득 제어값을 출력한다. 그 후, 이득 차이 제어부는, 이득 차이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이득 제어값과 감쇠된 신 호에 따라 상기 이득 차이 제어 신호를 송신부에 인가한다. 전력 증폭기 제어부는, 송신 전력 신호를 나타내는 얻어진 DC 전압과 제2 이득 제어값에 따라 송신부에 전력 증폭기 제어값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과제>
상기 최신 기술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감쇠 모드("OFF 단계")와 증폭 모드("ON 단계")간의 전이 동안 다단식 전력 증폭기에서의 잡음 발생 문제를 감소시키는, R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APC(automatic power control)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항의 특징에 의해 실현된다. 부가적인 특징은 종속항에서 규정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TDM(time-division multiplexing)에 기초한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 환경에서 무선 통신 장치의 QAM 송신기에 관한 것으로, 업스트림 방향으로 각각의 QAM 채널은 미리 규정된 TDMA(time-division multiple access) 채널 수로 세분되고, 통신에 관여하는 각각의 이동 단말기는 소정 길이(TTS)의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시간 슬롯(TSi)에 할당된다. 상기 QAM 송신기는, 송신되는 복소값 아날로그 기저 대역 신호(xLP(t))의 I(in-phase) 및 Q(quadrature) 신호를 기저 대역에서 RF 대역으로 직접 업 컨버트하기 위해 국부 발진기에 의해 구동되는, 2개의 업 컨버전 믹서, 업 컨버전 믹서의 한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90도 위상 시프터 (shifter), 및 2개의 업 컨버전 믹서의 RF 출력 신호를 조합하기 위한 덧셈 요소를 갖는 변조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QAM 송신기는, QAM 송신기의 출력 포트에서 변조 RF 신호(x(t))의 전력 레벨(Pout)을 안정시키는 자동 전력 제어 루프를 구비한다. 상기 전력 제어 루프는, 방향성 결합기에 의해 공급되며 광대역 검출 다이오드에 의해 자동 전력 제어 루프로 피드백되는, 실제 출력 전력 레벨(Pout)과 RF 출력 신호(x(t))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가 공급되는, 비교단을 포위한다. 상기 비교단의 출력 신호는 변조단 내에 위치한 전압 제어 감쇠기의 제어 입력 포트에 공급되어, 변조단의 국부 발진기에 의해 공급되는 발진기 신호의 전력 레벨(Pc)을 감쇠시키는데 이용된다.
다음의 설명, 첨부된 청구항,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이로운 특징, 태양, 및 유용한 실시예를 명백하게 알 수 있다.
도 1a는, 최신 기술에 따른 I/Q 변조기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위한 종래 QAM 송신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b는, 최신 기술에 따른 I/Q 복조기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위한 종래 QAM 수신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QAM 송신기의 출력 포트에서 전력 레벨을 안정시키는데 이용되는, 최신 기술에 따른 APC(automatic power control) 회로를 갖는 QAM 송신기로서, 실 제 출력 전력 레벨과 RF 출력 신호의 전력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가 공급되는 비교단의 출력 포트가 출력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가변 이득 PA(power amplifier)의 이득 제어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상기 QAM 송신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최신 기술에 따른 RF 신호 발생기의 출력 포트에서 전력 레벨을 안정시키기 위한 종래 APC 루프를 구비하는 아날로그 RF 신호 발생기로서, 실제 출력 전력 레벨과 RF 출력 신호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가 공급되는 비교단의 출력 신호가 출력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감쇠기의 제어 입력 포트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아날로그 RF 신호 발생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예 따른 내장형 전력 증폭기의 출력 포트에서 전력 레벨을 안정시키기 위한 APC 루프를 구비하는 QAM 송신기로서, 폐루프 회로로 실현되고, 실제 출력 전력 레벨과 RF 출력 신호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가 공급되는 내장형 비교단의 출력 신호가 출력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VCA(voltage-controllable attenuator)의 제어 입력 포트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QAM 송신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전력 증폭기의 출력 포트에서 전력 레벨을 안정시키기 위한 APC 루프를 구비하는 QAM 송신기로서, 개루프 회로로 실현되고 상기 VCA의 제어 입력 포트가 외부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마이크로제어기(μC)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QAM 송신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 낸다.
도 2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출력 포트에서 전력 레벨을 안정시키기 위한 APC 루프를 구비하는 QAM 송신기로서, 폐루프 회로로 실현되고, RF 출력 신호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와, 전력 증폭기의 DC 공급 전류가 공급되는, 내장형 비교단의 출력 신호가 출력 전력 레벨을 제어하는 VCA의 제어 입력 포트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QAM 송신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a는, TDMA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8개의 시간 슬롯을 갖는 TDMA 프레임의 전형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도 3b는, 시간에 따라 TDMA 기반 통신 시스템의 업링크에서 송신된 신호 스트림의 RF 출력 전력의 얻어진 버스트 특성으로서, 서로 다른 RF 송신기의 시분할 다중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송신 동안 RF 출력 전력 레벨이 일정하도록, 무선 RF 송신기의 출력 전력을, 인접한 시간 슬롯 간에 적절한 레벨로 램프 업하거나 0으로 램프 다운하는, 상기 버스트 특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QAM 송신기에 의해 송신되는 변조 RF 신호의 전력 레벨을 안정시키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4에서 참조 부호로 지정된 기호의 의미는 첨부된 테이블로부터 알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출력 전력 레벨(Pout)을 제어하기 위한 새 접근 방법을 나타낸다. 여기서, 시간에 따른 Pout의 셰이핑(shaping)은, 즉, TBurst 시간 동안 Pout을 안정시키는 절차뿐만 아니라 램프 업 및 램프 다운 절차도 국부 발진기(202)의 전력 레벨(Pc), 즉, 반송파 신호의 진폭(Ac)을 제어함으로써, 실행된다. 그 감쇠 계수(a; dB 단위)를 계속 조정할 수 있는 전압 제어 감쇠기(203)를 적용하는 것이 요점이다(a=0 dB에서 시작). 아날로그 기저 대역 신호(i(t) 및 q(t))가 사인 반송파 신호(ci(t) 및 cq(t))에 의해 RF 대역으로 업 컨버트되므로, 변조단(204E)의 출력 전력(PMod)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5067413077-PCT00012
(4a)
여기서,
Figure 112005067413077-PCT00013
(4b)이고,
GMod는 변조기의 이득 계수이고, Pi와 Pq(W 단위)는, 각각, 동상 신호(i(t))와 구상 신호(q(t))의 전력 레벨이고, Pc(W 단위)는, 반송파 신호(ci(t) 및 cq(t))의 전력 레벨이고, PMod(W 단위)는, 변조기 출력 신호의 전력 레벨이고, k(W-1 단위)는, 올바른 단위(W 단위)의 Pout을 얻는데 필요한 스케일링 계수이다. 다음에서는, k=1 W- 1 이고, GMod는 전체 변조기 이득을 나타내는 무차원 변수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면, QAM 송신기(200b)의 출력 전력 레벨(Pout)은 다음과 같이 기재될 수 있다.
Figure 112005067413077-PCT00014
(5a)
여기서,
Figure 112005067413077-PCT00015
(5b)이고,
GPA는 전력 증폭기(205)의 이득 계수이다. 전압 제어 감쇠기(203)가 추가되면, 식 (5a)는 다음과 같고,
Figure 112005067413077-PCT00016
(6a)
a는 전압 제어 감쇠기(203)의 감쇠 계수이다. Pout은 G, k, Pi ,q 및 Pc가 일정하다면 a만의 함수인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5067413077-PCT00017
(6b)
G, Pi ,q 및 Pc가 높은 경우에는, 전압 제어 감쇠기(203)의 감쇠 계수(a)를 조정함으로써, Pout을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 2b에 도시된 QAM 송신기(200b)에 관한 것으로, RF 출력 신호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는 비교단(212)의 제1 입력 포트에 공급되고, RF 신호(x(t))의 실제 전력 레벨(Pout)을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FS)는 비교단(212)의 제2 입력 포트에 공급된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 전력 제어 회로(201E)는 폐루프 회로로 실현되고, 상기 전압 제어 감쇠기(203)의 제어 입력 포트는 비교단(212)의 출력 포트에 접속되며, 송신되는 RF 신호(x(t))의 검출된 신호 진폭이나 전력 증폭기(205)의 공급 전류(IPA)는 상기 피드백 신호로 이용된다.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 전력 제어 회로(201E)는 개루프 회로로 실현되고, 상기 전압 제어 감쇠기(203)의 제어 입력 포트는 외부 제어 신호(PA 제어)를 제공하는 마이크로제어기(μC)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무선 통신 장치에 할당되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시간 슬롯(TSi)의 버스트 기간(TBurst) 동안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QAM 송신기(200b)에 의해 송신되는 변조 RF 신호(x(t))의 전력 레벨(Pout)을 안정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400)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RF 출력 신호(x(t))의 실제 전력 레벨(Pout)을 검출하고(S1), 상기 실제 전력 레벨(Pout)을 자동 전력 제어 루프(201E)의 피드백 체인 내의 비교단(212)의 제1 입력 포트로 피드백하며(S2), 비교단(212)의 제2 입력 포트에 공급된 RF 출력 신호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와 상기 실제 전력 레벨(Pout)을 비교한(S3) 후, 변조단(204E)의 국부 발진기(202)에 의해 공급된 대략 사인 발진기 신호의 전력 레벨(Pc)을 감쇠시키는데 이용되는, QAM 송신기(200b)의 변조단(204E) 내의 전압 제어 감쇠기(203)의 감쇠 계수(a)를 제어함으로써, 실제 전력 레벨(Pout)을 조정한다(S0). Pref와 Pout 간의 차이의 절대값이 미리 규정된 문턱값(ΔPthres)보다 적거나 같은 경우에는, 알고리듬이 종료한다; 이와 반대인 경우에는, 단계 S1부터 절차가 계속된다. 여기에서는, 비선형 PA 이득 제어(도 2 참조)를 선형 회로 소자(즉, 전압 제어 감쇠기(203; VCA))로 대체함으로써, 감쇠 모드("OFF 단계")와 증폭 모드("ON 단계") 간의 전이 동안 다단식 전력 증폭기에서의 잡음 발생 문제를 회피하게 된다. 또한, 외부 PA 제어 신호에 의해 전력 증폭기(205)의 이득 계수(GPA)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트 기간(TBurst) 동안에는 최대로 전환되고, 버스트 기간(TBurst) 외에는 턴오프 되어, 인접한 채널 격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접근 방법에 따라, RF 출력 신호(x(t))의 실제 전력 레벨(Pout)을 검출하고(S1), 자동 전력 제어 루프(201E)의 피드백 체인 내의 비교단(212)의 제1 입력 포트에 상기 실제 전력 레벨(Pout)을 피드백하고(S2), 비교단(212)의 제2 입력 포트에 공급된 RF 출력 신호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와 Pout을 비교하며(S3), 실제 전력 레벨(Pout)과 공칭 전력 레벨(Pref) 간의 차이의 부호와 크기에 기초하여 전압 제어 감쇠기(203)의 감쇠 계수(a)를 제어함으로써 RF 출력 전력(Pout)의 불안정을 보상하는(S4) 대신, 송신되는 변조 RF 신호(x(t))의 전력 레벨(Pout)을 안정시키기 위한 다음 2가지 접근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접근 방법에 따르면, 장치 제조자에 의해 명백히 지시되는, 장치 고유의 하드웨어 허용 오차에 관하여 무선 통신 장치의 내장형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 및/또는 Pout을 실제로 측정할 필요 없이, 무선 통신 장치의 개발 동안 측정되는, 온도 편차(dT/dt)나, 전지 전압 편차(dUbatt/dt) 등에 의해 발생하는 영향에 관한 정보에 접근함으로써(S1'), RF 출력 전력(Pout)의 불안정이 보상된다(S2').
본 발명의 제3 접근 방법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205)의 DC 공급 전류(IPA)를 측정하고(S1"), IPA에 비례하는 전압(URM)을 비교단(212)의 제1 입력 포트에 공급하고(S2"), 비교단(212)의 제2 입력 포트에 공급된 RF 출력 신호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와 URM을 비교함으로써(S3"), 이들 불안정이 보상된다(S4"). 제1 접근 방법과는 달리, 상기 출력 전력 레벨(Pout)은 직접 관측되지 않는다. 전력 증폭기(205)의 측정된 소비 전류가 무선 통신 장치의 RF 출력 전력 레벨(Pout)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는, 상기 장치의 내장형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에 접근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검출기는, RF 센서(208)가 아니라 전류 센서이고, 저저항 저항기(RM)로 실현되며, 전력 증폭기(205)의 전력 공급선 내에 배치된다.
모든 3가지 접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205)의 이득 계수(GPA)는 외부 PA 제어 신호에 의해 고정되거나 제어될 수 있다. 첫 번째 경우에 있어서, 어느 이득단을 언제 스위치 온 할 건지를 결정하는데 어떤 논리도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이득 계수(GPA)가 최대값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이용되지 않는 이득단에서 전력이 낭비된다. 나중 경우에는, 직렬 연결된 다수의 이득단을 스위치 온 또는 오프 하는데 마이크로제어기를 이용할 수 있다.
소망하는 RF 출력 전력(Pout) 값을 얻는데 필요한 각각의 이득 계수(GPA)에 따라, 통상, 1개, 2개 또는 3개의 이득단이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제어기가 필요한 이득단을 턴 온 하고, 상기 3가지 접근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실현함으로써 Pout의 미세 조정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205)의 이득 계수(GPA)는 외부 전력 증폭기 제어 신호(PA 제어)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득 계수(GPA)를 버스트 기간(TBurst) 내에서는 그 최대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버스트 기간(TBurst) 외에서는 0으로 설정하여, 인접한 채널 격리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TDM(time-division multiplexing)에 기초한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업스트림 방향으로 각각의 QAM 채널은 미리 규정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채널 수로 세분되고, 통신에 관여하는 각각의 이동 단말기는 미리 규정된 길이(TTS)의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시간 슬롯(TSi)에 할당되며, 상기 QAM 송신기(200b)가 적용된다.
소니 에릭슨
P27855EP
테이블:도시된 특징과 그 대응하는 참조 부호
번호 시스템 구성 요소 또는 절차 단계
100a 최신 기술에 따른 I/O 변조기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위한 종래 QAM 송신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100b 최신 기술에 따른 I/O 복조기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위한 종래 QAM 수신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102 QAM 송신기(100a)의 기저 대역 부분에서의 D/A(digital-to-analog) 변환기
104 송신되는 복소값 아날로그 기저 대역 신호(xLP(t)=i(t)+jq(t))를 기저 대역에서 RF 대역으로 직접 업 컨버트하는 QAM 송신기(100a)의 I/O 변조단(여기서, j:=√-1는 허수 단위임)
106 QAM 송신기(100a)의 RF 부분에서의 PA(power amplifier)
108 QAM 송신기(100a)의 TX(transmitting) 안테나
110 QAM 수신기(100b)의 RX(receiving) 안테나
112 QAM 수신기(100b)의 RF 부분에서의 LNA(low-noise amplifier)
114 수신된 RF 신호(x(t))를 통과 대역에서 IF(intermediate frequency)로 다운 컨버트하는 QAM 수신기(100b)의 다운 컨버전 믹서
116 채널 선택 필터(116)의 출력 포트에서 얻은 IF 신호의 신호 스펙트럼에 포함된 스퓨리어스 대역외 성분을 감쇠시키기 위해, BPF(band-pass filter)로 실현되는, QAM 수신기(100b)의 채널 선택 필터
118 채널 선택 필터(116)의 출력 포트에서 얻은 IF 신호를 IF에서 기저 대역으로 다운 컨버트하는 QAM 수신기(100b)의 I/O 복조단
120 QAM 수신기(100b)의 기저 대역에서의 A/D(analog-to-digital) 변환기
122 조정 가능한 주파수를 갖는 사인 발진기 신호를 제공하는, QAM 수신기(100b)의 LO(local oscillator)
번호 시스템 구성 요소 또는 절차 단계
200 QAM 송신기(200)의 출력 포트에서 전력 레벨(Pout)을 안정시키는데 이용되는, 최신 기술에 따른 APC(automatic power control) 회로(201)를 갖는 QAM 송신기로서, 방향성 결합기(206)에 의해 공급되며 광대역 검출 다이오드(208)에 의해 APC 루프(201)로 피드백되는, 실제 출력 전력 레벨 (Pout)과 RF 출력 신호(x(t))의 전력(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가 공급되는 비교단(212)의 출력 포트가, 상기 출력 전력 레벨(Pout)을 제어하는 가변 이득 전력 증폭기(205)의 이득 제어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상기 QAM 송신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200a RF 신호 발생기(200a)의 출력 포트에서 전력 레벨(Pout)을 안정시키는데 이용되는, 최신 기술에 따른 종래 APC(automatic power control) 루프(201S)를 구비하는 아날로그 RF 신호 발생기로서, 방향성 결합기(206')에 의해 공급되며 광대역 검출 다이오드(208')에 의해 APC 루프(201S)로 피드백되는, 실제 출력 전력 레벨(Pout)과 RF 출력 신호(x(t))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가 공급되는 비교단(212')의 출력 신호가, 상기 출력 전력 레벨(Pout)을 제어하는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감쇠기(203')의 제어 입력 포트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아날로그 RF 신호 발생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200b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전력 증폭기(205)의 출력 포트에서 전력 레벨(Pout)을 안정시키기 위한 APC 루프(201E)를 구비하는 QAM 송신기로서, 폐루프 회로로 실현되고, 방향성 결합기(206)에 의해 공급되며 광대역 검출 다이오드(208)에 의해 APC 루프(201E)로 의해 피드백되는, 실제 출력 전력 레벨(Pout)과, RF 출력 신호(x(t))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가 공급되는 내장형 비교단(212)의 출력 신호가, 출력 전력 레벨(Pout)을 제어하는 VCA(203; voltage-controlled attenuator)의 제어 입력 포트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QAM 송신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200c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전력 증폭기(205)의 출력 포트에서 전력 레벨(Pout)을 안정시키기 위한 APC 루프를 구비하는 QAM 송신기로서, 개루프 회로로 실현되며 상기 VCA(203)의 제어 입력 포트가 외부 제어 신호(PA 제어)를 제공하는 마이크로제어기(μC)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QAM 송신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200d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205)의 출력 포트에서 전력 레벨(Pout)을 안정시키기 위한 APC 루프(201E)를 구비하는 QAM 송신기로서, 폐루프 회로로 실현되며 전력 증폭기(205)의 DC 공급 전류(IPA)와, RF 출력 신호(x(t))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가 공급되는 내장형 비교단(212)의 출력 신호가 출력 전력 레벨(Pout)을 제어하는 VCA(203)의 제어 입력 포트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QAM 송신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번호 시스템 구성 요소 또는 절차 단계
201 QAM 송신기(200)의 출력 포트에서 전력 레벨(Pout)을 안정시키는데 이용되는, 최신 기술(도 2 참조)에 따른 QAM 송신기(200)의 APC(automatic power control) 루프로서, 방향성 결합기(206)에 의해 공급되며 광대역 검출 다이오드(208)에 의해 APC 루프(201)로 피드백되는, 실제 출력 전력 레벨(Pout)과 RF 출력 신호(x(t))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가 공급되는 비교단(212)의 출력 신호가, RF 출력 신호(x(t))의 전력 레벨(Pout)을 제어하는 가변 이득 전력 증폭기(205)의 이득 제어 입력 포트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QAM 송신기의 APC 루프
201E 송신되는 RF 신호의 출력 전력(Pout)을 안정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도 2b 참조)에 따른 QAM 송신기(200b)의 APC 루프로서, 방향성 결합기(206)에 의해 공급되며 광대역 검출 다이오드(208)에 의해 APC 루프(201E)로 피드백되는, 실제 출력 전력 레벨(Pout)과 RF 출력 신호(x(t))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가 공급되는 비교단(212)의 출력 신호가, RF 출력 신호(x(t))의 전력 레벨(Pout)을 제어하는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감쇠기(203)의 제어 입력 포트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QAM 송신기의 APC 루프
201S RF 신호 발생기(200a)의 출력 포트에서 전력 레벨(Pout)을 안정시키는데 이용되는, 최신 기술(도 2a 참조)에 따른 QAM 송신기(200a)의 APC 루프로서, 방향성 결합기(206')에 의해 공급되며 광대역 검출 다이오드(208')에 의해 APC 루프(201S)로 피드백되는, 실제 출력 전력 레벨(Pout)과 RF 출력 신호(x(t))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가 공급되는 비교단(212')의 출력 신호가, RF 출력 신호(x(t))의 전력 레벨(Pout)을 제어하는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감쇠기(203')의 제어 입력 포트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QAM 송신기의 APC 루프
202 각각, 조정가능한 주파수를 갖는 사인 발진기 신호(c(t))를 제공하는, QAM 송신기(200 및 200b)의 변조단(204 및 204E)의 LO(local oscillator)
202' 진폭 변조단(203')에 사인 발진기 신호(c(t))를 제공하는, RF 신호 발생기(200a)의 LO(local oscillator)
203 변조단(204E)의 국부 발진기(202)에 의해 공급되는 발진기 신호의 전력 레벨(Pc)을 감쇠시키는데 이용되는, QAM 송신기(200b)의 변조단(204E) 내의 VCA(voltage-controlled attenuator)
203' 예를 들어, 국부 발진기(202')에 의해 공급되는 발진기 신호의 전력 레벨(Pc)을 감쇠시키는데 이용되는, 혼성 MIC(microwave integrated circuit) 기술로 조정가능 저항기를 실현한 전류 제어 PIN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진폭 변조단 등의, RF 신호 발생기(200a)의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감쇠기
204 송신되는 신호의 I(in-phase) 및 Q(quadrature) 신호를 기저 대역에서 RF 대역으로 직접 업 컨버트하기 위해, 국부 발진기(202)에 의해 구동되는, 2개의 업 컨버전 믹서(204a 및 204b), 업 컨버전 믹서(204a)의 한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90도 위상 시프터(204c), 및 2개의 업 컨버전 믹서(204a 및 204b)의 RF 출력 신호를 조합하는 덧셈 요소(204d)를 구비하는, QAM 송신기(200)의 변조단
번호 시스템 구성 요소 또는 절차 단계
204E 송신되는 신호의 I(in-phase) 및 Q(quadrature) 신호를 기저 대역에서 RF 대역으로 직접 업 컨버트하기 위해, 국부 발진기(202)에 의해 구동되는, 2개의 업 컨버전 믹서(204a 및 204b), 업 컨버전 믹서(204a)의 한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90도 위상 시프터(204c), 2개의 업 컨버전 믹서(204a 및 204b)의 RF 출력 신호를 조합하는 덧셈 요소(204d), 및 변조단(204E)의 국부 발진기(202)에 의해 공급되는 발진기 신호의 전력 레벨(Pc)을 감쇠시키는 VCA(203; voltage-controlled attenuator)를 구비하는, QAM 송신기(200b)의 변조단
204a 각각, 송신되는 신호의 Q(quadrature) 신호를 기저 대역에서 RF 대역으로 직접 업 컨버트하기 위해, 국부 발진기(202)에 의해 구동되는, 변조단(204 및 204E)의 제1 업 컨버전 믹서
204b 각각, 송신되는 신호의 I(in-phase) 신호를 기저 대역에서 RF 대역으로 직접 업 컨버트하기 위해, 국부 발진기(202)에 의해 구동되는, 변조단(204 및 204E)의 제2 업 컨버전 믹서
204c 각각, 업 컨버전 믹서(204a)의 한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변조단(204 및 204E)의 90도 위상 시프터(힐버트 변환기)
204d 각각, 2개의 업 컨버전 믹서(204a 및 204b)의 RF 출력 신호를 조합하는, 변조단(204 및 204E)의 덧셈 요소
205 각각, 비교단의 출력 신호(도 2 참조)나 외부 PA 제어 신호(도 2b 참조)에 의해 그 이득(GPA)을 제어하는, QAM 송신기(200 및 200b)의 RF 출력 신호의 전력 레벨(Pout)을 제어하는 가변 이득 PA(power amplifier)
206 각각, APC 루프(201 및 201E)에 추출된 피드백 신호(송신되는 RF 신호의 반사파)를 제공하는, QAM 송신기(200 및 200b)의 APC 루프(201 및 201E) 내의 방향성 결합기
206' APC 루프(201S)에 추출된 피드백 신호(송신되는 RF 신호의 반사파)를 제공하는, QAM 송신기(200a)의 APC 루프(201S) 내의 방향성 결합기
208 각각, 상기 피드백 신호의 실제 전력 레벨(Pout)을 검출하기 위한, APC 루프(201 및 201E)의 피드백 체인 내의 광대역 검출 다이오드
208' 상기 피드백 신호의 실제 전력 레벨(Pout)을 검출하기 위한, APC 루프(201S)의 피드백 체인 내의 광대역 검출 다이오드
208" 상기 피드백 신호의 실제 전력 레벨(Pout)을 검출하기 위한, 외부 APC(automatic power control) 검출기(도시안함)
209'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Pout)의 공칭값(Pref)에 그 세기가 정비례하는 전류(IG)를 발생시키기 위한 RF 신호 발생기(200a)의 제어가능한 전류원
210 QAM 송신기(200 및 200b)의 Tx(transmit) 안테나
212 각각, 광대역 검출 다이오드(208)에 의해, APC 루프(201 또는 201E)로 피드백되는 실제 출력 전력 레벨(Pout)과 RF 출력 신호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가 공급되며, 각각, 그 출력 신호가 전력 증폭기(205; 도 2 참조)나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감쇠기(203; 도 2b 참조)의 이득 제어 입력 포트에 공급되는, QAM 송신기(200 또는 200b)의 비교단
212' 광대역 검출 다이오드(208')에 의해, APC 루프(201S)로 피드백되는 실제 출력 전력 레벨(Pout)과 RF 출력 신호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가 공급되며, 그 출력 신호가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감쇠기(203'; 도 2a 참조)의 제어 입력 포트에 공급되는, RF 신호 발생기(200a)의 APC 루프의 비교단
번호 시스템 구성 요소 또는 절차 단계
214a' 외부 APC 검출기(208")의 RF 신호 발생기(200a)의 입력 포트
214b' RF 신호 발생기(200a)의 RF 출력 포트
300a TDMA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며, 각각 156.25 비트의 슬롯 길이와 148 비트의 버스트 길이를 갖는, 8개의 시간 슬롯을 갖는 TDMA 프레임의 전형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300b 시간 t에 따라 TDMA 기반 통신 시스템의 업링크에서 송신된 신호 스트림의 RF 출력 전력(Pout)의 버스트 특성으로서, 서로 다른 TDMA 채널 간의 시분할 다중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송신 동안 출력 전력 레벨(Pout)이 일정하도록, 무선 RF 송신기(200 또는 200a, 200b)의 출력 전력을 인접한 시간 슬롯(TSi 및 TSj) 간에 적절한 레벨로 램프 업하거나 0으로 램프 다운해야 하는, 상기 버스트 특성을 나타낸 도면(여기서, i∈{0, 1, 2, ..., 7}이며, j:=(i+1) mod 8)
400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QAM 송신기(200b)에 의해 송신되는 변조 RF 신호(x(t))의 전력 레벨(Pout)을 안정시키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S 내부 APC 검출기(208') 또는 외부 검출기(208")를 선택적으로 선택하는 스위치
S0 제0 단계: 변조단(204E)의 국부 발진기(202)에 의해 공급된 사인 발진기 신호(c(t))의 전력 레벨(Pc)을 감쇠시키는데 이용되는, QAM 송신기(200b)의 변조단(204E) 내의 전압 제어 감쇠기(203)의 감쇠 계수(a)를 제어함으로써 실제 전력 레벨(Pout)을 조정하는 단계
S1 제1 단계: RF 출력 신호(x(t))의 실제 전력 레벨(Pout)을 검출하는 단계
S2 제2 단계: 자동 전력 제어 루프(201E)의 피드백 체인 내의 비교단(212)의 제1 입력 포트에 상기 실제 전력 레벨(Pout)을 피드백하는 단계
S3 제3 단계: 비교단(212)의 제2 입력 포트에 공급된 RF 출력 신호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와 상기 실제 전력 레벨(Pout)을 비교하는 단계
S4 제4 단계: 실제 전력 레벨(Pout)과 공칭 전력 레벨(Pref) 간의 차이의 부호와 크기에 기초하여 전압 제어 감쇠기(203)의 감쇠 계수(a)를 제어함으로써, RF 출력 전력(Pout)의 불안정을 보상하는 단계
S1' 제1' 단계: 장치 고유의 하드웨어 허용 오차와, 온도 편차(dT/dt)와 전지 전압 편차(dUbatt/dt)에 의한 영향에 관한 정보를 갖고 있는, 무선 통신 장치에 내장된 ROM(read-only memory)에 기억된 데이터 베이스에 접근하는 단계
S2' 제2' 단계: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RF 출력 전력(Pout)의 불안정을 보상하는 단계
S1" 제1" 단계: 전력 증폭기(205)의 전력 공급선에 배치된 저저항 저항기(RM)에서 공급 전류(IPA)에 비례하는 전압 강하(URM)를 감지함으로써, 전력 증폭기(205)의 DC 공급 전류(IPA)를 측정하는 단계
S2" 제2" 단계: 자동 전력 제어 루프(201E)의 피드백 체인 내의 비교단(212)의 제1 입력 포트에 상기 전압(URM)을 공급하는 단계
S3" 제3" 단계: 비교단(212)의 제2 입력 포트에 공급된 RF 출력 신호(x(t))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와 감지된 전압(URM)을 비교하는 단계
번호 시스템 구성 요소 또는 절차 단계
S4" 제4" 단계: 감지된 전압(URM)과 기준 신호(Vref) 간의 차이의 부호와 크기에 기초하여 전압 제어 감쇠기(203)의 감쇠 계수(a)를 제어함으로써, RF 출력 전력(Pout)의 불안정을 보상하는 단계
S5 제5 단계: 외부 전력 증폭기 제어 신호(PA 제어)에 의해 전력 증폭기(205)의 이득 계수(GPA)를 조정하는 단계

Claims (11)

  1. TDM(time-division multiplexing)에 기초한 셀룰러 네트워크 환경 내의 무선 통신 장치의 QAM 송신기(200b)로서, 업스트림 방향으로 각각의 QAM 채널이 소정의 TDMA(time-division multiple access) 채널 수로 세분되고, BS(base station)와의 통신에 관여하는 각각의 이동 단말기(MTi)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시간 슬롯(TSi)에 할당되는, 상기 QAM 송신기(200b)로서,
    복소값 아날로그 기저 대역 신호(xLP(t))의 I(in-phase) 및 Q(quadrature) 신호를 기저 대역에서 RF 대역으로 직접 업 컨버트하기 위해, 국부 발진기(202)에 의해 구동되는, 몇몇의 업 컨버전 믹서(204a 및 204b), 업 컨버전 믹서(204a)의 한 입력 포트에 접속되는 90도 위상 시프터(204c), 및 업 컨버전 믹서(204a 및 204b)의 RF 출력 신호를 조합하는 덧셈 요소(204d)로 이루어진 변조단(204), 및
    가변 이득 전력 제어기(205)와, 상기 전력 증폭기(205)의 출력 포트에서 송신되는 RF 신호(x(t))의 전력 레벨(Pout)을 안정시키기 위한 자동 전력 제어 회로(201E)로서, RF 신호(x(t))의 실제 전력 레벨(Pout)을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FS)와 RF 출력 신호(x(t))의 소망하는 전력 레벨(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가 공급되는 비교단(212)을 구비하는, 상기 자동 전력 제어 회로(201E)를 구비하고,
    상기 변조단(204E) 내에 위치한 전압 제어 감쇠기(203)는, I(in-phase) 및 Q(quadratu신호를 직접 업 컨버트하는데 이용되는 국부 발진기(202)에 의해 공급된 대략 사인 발진기 신호(c(t))의 전력 레벨(Pc)을 감쇠시킴으로써, RF 출력 신호(x(t))의 전력 레벨(Pout)을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AM 송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전력 제어 회로(201E)는 폐루프 회로로 실현되고, 상기 전압 제어 감쇠기(203)의 제어 입력 포트는 비교단(212)의 출력 포트에 접속되고, 송신되는 RF 신호(x(t))의 검출된 신호 진폭은 상기 피드백 신호(FS)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AM 송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전력 제어 회로(201E)는 폐루프 회로로 실현되고, 상기 전압 제어 감쇠기(203)의 제어 입력 포트는 비교단(212)의 출력 포트에 접속되고, QAM 송신기(200b)에 내장된 전력 증폭기(205)의 공급 전류(IPA)는 상기 피드백 신호(FS)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AM 송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전력 제어 회로(201E)는 개루프 회로로 실현되고, 상기 전압 제어 감쇠기(203)의 제어 입력 포트는 외부 제어 신호(PA 제어)를 제공하는 마이크로제어기(μC)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AM 송신기.
  5. 무선 통신 장치의 QAM 송신기(200b)에 내장된 전력 증폭기(205)의 출력 포트에서 송신되는 변조 RF 신호(x(t))의 전력 레벨(Pout)을 안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장치에 할당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시간 슬롯(TSi)의 버스트 기간(TBurst) 동안 수행되는, 상기 방법으로서,
    상기 변조단(204E)에 내장된 국부 발진기(202)에 의해 공급되는 대략 사인 발진기 신호의 전력 레벨(Pc)을 감쇠시키는데 이용되는, QAM 송신기(200b)의 변조단(204E)에 내장된 전압 제어 감쇠기(203)의 감쇠 계수(a)를 제어함으로써, 전력 레벨(Pout)의 실제값을 조정하는 단계(S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RF 출력 신호(x(t))의 실제 전력 레벨(Pout)을 검출하는 단계(S1),
    상기 실제 전력 레벨(Pout)을, 자동 전력 제어 루프(201E)의 피드백 체인 내의 비교단(212)의 제1 입력 포트로 피드백하는 단계(S2),
    상기 비교단(212)의 제2 입력 포트에 공급되는 RF 출력 신호(x(t))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와 상기 실제 전력 레벨(Pout)을 비교하는 단계(S3), 및
    상기 실제 전력 레벨(Pout)과 공칭 전력 레벨(Pref) 간의 차이의 부호와 크기에 기초하여 전압 제어 감쇠기(203)의 감쇠 계수(a)를 제어함으로써, RF 출력 전력(Pout)의 불안정을 보상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장치 고유의 하드웨어 허용 오차와, 온도 편차(dT/dt)나 전지 전압 편차(dUbatt/dt)에 의해 발생하는 영향에 관한 정보를 갖고 있는 무선 통신 장치에 내장된 ROM(read-only memory)에 기억된 데이터 베이스에 접근하는 단계(S1'), 및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RF 출력 전력(Pout)의 불안정을 보상하는 단계(S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205)의 전력 공급선에 배치된 저저항 저항기(RM)에서 공급 전류(IA)에 비례하는 전압 강하(URM)를 감지함으로써, 전력 증폭기(205)의 DC 공급 전류(IPA)를 측정하는 단계(S1"),
    상기 전압(URM)을, 자동 전력 제어 루프(201E)의 피드백 체인 내의 비교단 (212)의 제1 입력 포트에 공급하는 단계(S2"),
    상기 비교단(212)의 제2 입력 포트에 공급된 RF 출력 신호(x(t))의 소망하는 출력 전력 레벨(Pout)에 대한 공칭 전력 레벨(Pref)을 나타내는 기준 신호(Vref)와, 감지된 전압(URM)을 비교하는 단계(S3"), 및
    상기 감지된 전압(URM)과 기준 신호(Vref) 간의 차이의 부호와 크기에 기초하여 전압 제어 감쇠기(203)의 감쇠 계수(a)를 제어함으로써, RF 출력 전력(Pout)의 불안정을 보상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전력 증폭기 제어 신호(PA 제어)에 의해 전력 증폭기(205)의 이득 계수(GPA)를 조정하는 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205)의 이득 계수(GPA)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시간 슬롯(TSi)의 버스트 기간(TBurst) 내에서는 그 최대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버스트 기간(TBurst) 외에서는 0으로 설정되어, 인접한 채널 격리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TDM(time-division multiplexing)에 기초한 셀룰러 네트워크 환경 내의 무선 통신 장치로서, 업스트림 방향으로 각각의 QAM 채널이 소정의 TDMA(time-division multiple access) 채널 수로 세분되고, BS(base station)와의 통신에 관여하는 각각의 이동 단말기(MTi)가 소정 길이(TTS)의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시간 슬롯(TSi)에 할당되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QAM 송신기(200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0057022378A 2003-05-23 2004-03-19 무선 통신 장치의 qam 송신기 유닛을 위한 자동 전력제어 회로 KR101050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011716.2 2003-05-23
EP03011716A EP1480402B1 (en) 2003-05-23 2003-05-23 Automatic power control circuitry for a QAM transmitter uni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CT/EP2004/002898 WO2004105338A1 (en) 2003-05-23 2004-03-19 Automatic power control circuitry for a qam transmitter uni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218A true KR20060029218A (ko) 2006-04-05
KR101050928B1 KR101050928B1 (ko) 2011-07-20

Family

ID=33041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378A KR101050928B1 (ko) 2003-05-23 2004-03-19 무선 통신 장치의 qam 송신기 유닛을 위한 자동 전력제어 회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80402B1 (ko)
KR (1) KR101050928B1 (ko)
CN (1) CN100579103C (ko)
AT (1) ATE347221T1 (ko)
DE (1) DE60310038T2 (ko)
WO (1) WO20041053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47221T1 (de) 2003-05-23 2006-12-15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Automatische leistungregelungschaltung für eine qam-sendeeinrichtung in einem drahtlosen kommunikationsgerät
US7282995B2 (en) * 2005-01-31 2007-10-16 Infineon Technologies, Ag Variable gain amplifier
US7330070B2 (en) * 2005-11-10 2008-02-1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rrangement for optimizing efficiency of a power amplifier
US7933570B2 (en) 2006-02-03 2011-04-26 Quantance, Inc. Power amplifier controller circuit
US7869542B2 (en) 2006-02-03 2011-01-11 Quantance, Inc. Phase error de-glitching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ng
US8032097B2 (en) 2006-02-03 2011-10-04 Quantance, Inc. Amplitude error de-glitching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ng
CN101401261B (zh) 2006-02-03 2012-11-21 匡坦斯公司 功率放大器控制器电路
US7917106B2 (en) 2006-02-03 2011-03-29 Quantance, Inc. RF power amplifier controller circuit including calibrated phase control loop
CN104682969B (zh) * 2013-11-27 2017-01-18 贵州航天天马机电科技有限公司 超短波跳频发射机
CN106304304B (zh) * 2016-08-16 2019-05-03 江苏本能科技有限公司 射频识别发射功率控制方法及装置
CN109459733B (zh) * 2018-10-26 2021-01-22 中电科仪器仪表有限公司 基于调相方式的防撞雷达目标速度模拟装置、系统及方法
CN110231516B (zh) * 2019-06-14 2021-05-11 北京无线电计量测试研究所 一种快速可变温微波噪声源
CN112787675B (zh) * 2019-11-11 2022-09-16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发射机性能的方法、存储介质及通信设备
JP2021175084A (ja) * 2020-04-24 2021-11-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回路および通信装置
CN111682904B (zh) * 2020-05-14 2021-04-27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稳定相干光模块调制驱动器射频信号幅度的装置及方法
CN114499704B (zh) * 2022-01-14 2023-08-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功率检测电路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72133B (en) * 1992-11-02 1996-06-12 Motorola Inc Radio system
GB2309342B (en) * 1996-01-18 2000-08-23 Motorola Israel Ltd Linear transmitter and method of operation
GB9811382D0 (en) * 1998-05-27 1998-07-22 Nokia Mobile Phones Ltd A transmitter
ATE347221T1 (de) 2003-05-23 2006-12-15 Sony Ericsson Mobile Comm Ab Automatische leistungregelungschaltung für eine qam-sendeeinrichtung in einem drahtlosen kommunikations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80402B1 (en) 2006-11-29
KR101050928B1 (ko) 2011-07-20
DE60310038D1 (de) 2007-01-11
WO2004105338A1 (en) 2004-12-02
CN100579103C (zh) 2010-01-06
EP1480402A1 (en) 2004-11-24
CN1792073A (zh) 2006-06-21
ATE347221T1 (de) 2006-12-15
DE60310038T2 (de)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052B1 (ko) 모바일 단말기에서 자동 전력 제어의 기준 신호 추가적조정
KR101050928B1 (ko) 무선 통신 장치의 qam 송신기 유닛을 위한 자동 전력제어 회로
AU6744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on and limitation of transmitter power on the reverse link of a mobile radio telephone system
EP1450479B1 (en) Efficient modulation of RF signals
KR100986029B1 (ko) 파워증폭기의 동작범위 감소를 위한 방법과 장치
US6563883B1 (en) Transmitter
GB2331419A (en) A transceiver with measurement of transmitter splatter using the receiver
EP1026833B1 (en) Portable mobile terminal and transmission unit with power control
JP2000286652A (ja) 制御装置
EP1652294A1 (en) Cartesian loop transmitter and method of adjusting an output level of such transmitter
US9853608B2 (en) Temperature compensation technique for envelope tracking system
US6904268B2 (en) Low noise linear transmitter using cartesian feedback
GB2359680A (en) A linear transmitter with stabilization of loop gain under load variation
EP1364464B1 (en) Adjustment of bias current in a first integrated circuit based on a signal gain of a second integrated circuit
JPH0722999A (ja) デジタル変調式無線電話装置
US85598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dio power level control
JP2000183762A (ja) 送信電力制御回路とその制御方法及び送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