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0244A - 광고용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에 상품광고정보를기입하는 방법 및 상품광고정보 입력기 - Google Patents

광고용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에 상품광고정보를기입하는 방법 및 상품광고정보 입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0244A
KR20010090244A KR1020000014996A KR20000014996A KR20010090244A KR 20010090244 A KR20010090244 A KR 20010090244A KR 1020000014996 A KR1020000014996 A KR 1020000014996A KR 20000014996 A KR20000014996 A KR 20000014996A KR 20010090244 A KR20010090244 A KR 20010090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product
information
data fil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기
Original Assignee
홍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기 filed Critical 홍순기
Priority to KR1020000014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0244A/ko
Publication of KR20010090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244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소스 광고 데이터 파일을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처리수단과, 상기 판독된 소스 광고데이터에 광고상품에 대한 상품식별정보, 중계자 또는 판매자 정보 등 광고상품 검색 및 구매와 관련된 상품광고정보를 부가 기입하는 상품광고정보 기입처리수단과, 상기 소스 광고 데이터에 상품광고정보를 부가 기입함으로써 생성된 독립된 일체형의 목적 광고 데이터 파일을, 지정된 영역에 저장기록처리하는 데이터 저장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의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를 제공함에 따라, 간단한 방법으로 종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상품광고정보를 일체로서 부가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임의의 상품을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자가 검색엔진을 가지고 있는 검색 사이트에서 질의어를 입력함으로써,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해당 상품의 광고와 함께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상품광고정보가 부가된 멀티미디어 파일이 독립적으로 이곳저곳으로 이동되더라도, 자체에 상품광고정보를 포함한 상태가 되므로, 온라인은 물론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뷰어를 이용하여 해당 멀티미디어의 광고와 관련된 상품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광고용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에 상품광고정보를 기입하는 방법 및 상품광고정보 입력기{EDITOR FOR INSERTING ADVERTISING INFORMATIONS INTO MULTIMEDIA ADVERTISING DATA AND INSERTING METHOD THEROF}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망, 인터넷 통신망 등을 통해 제공될 멀티미디어 광고 데이터 파일에 상품광고정보로서 색인어 및 제어정보를 입력하는 상품광고정보 입력기에 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로 만들어진 광고물등을 검색하는 데 사용되는 검색색인어를 이미 작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에 기록함과 동시에, 검색된 데이터 파일을 기초로 주문, 신청 등을 행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기록하는 상품광고정보 입력기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 인터넷 통신망 등을 통해 제공되는 광고데이터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흔히 배너(banner)라고 불리우는 이미지 파일이 있다. 또한, 텔레비젼 방송 등을 통해 제공되었거나 제공될 광고방송 데이터 파일 등이 있다. 그리고, 또 다른 것으로는 화면보호기, 독립실행파일의 형태로 제공되는 광고데이터 파일이 있다. 이들 데이터 파일은 뷰어 등에 의해 확인될 수 있는 정지영상, 동영상, 또는 음성 등에 목적하는 광고 내용을 담음으로서, 시청자 또는 검색자가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목적하는 광고를 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광고목적의 멀티미디어 파일의 제작목적은, 광고대상을 널리 알기가 위한 것으로서, 그 광고가 특정 웹 사이트의 광고라면 해당 웹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링크를 부가하는 하는 일반적인 기능 이외에, 해당 파일을 검색할수 있도록 하는 색인어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상의 어느 위치에 검색할 수 있도록 놓여 있더라도, 그 파일이 내용으로서 가지고 있는 영상 또는 음성 등의 속성을 다른 파일이 가진 영상 음성 등의 속성과 구별하여 검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더구나, 현재의 멀티미디어 파일은 광고목적을 가지고 있을 뿐이며, 확인된 파일을 기초로 다양한 형태의 주문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목적을 가지고 있지 않다. 종래의 경우, 주문 등의 과정은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에 하이퍼 링크를 설정하여 주문서 작성을 위한 페이지로 이동하여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어느 광고용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이 해당 HTML파일과 독립된 위치에 놓여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해당 파일을 열어 확인하여, 광고 내용을 볼 수 있을 뿐이며, 그 이외에 그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이 포함하는 정보를 기초로 직접 주문 등을 행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종래의 광고용 멀티미디어 파일이 가지는 검색이 제한된다는 한계와, 주문 등을 행할 수 있는 기초가 되지 못한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광고정보 또는 색인어를 목적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기입할 수 있도록 보조하며, 또한, 검색된 광고용 멀티미디어 파일을 기초로 다양한 형태의 주문, 신청 등을 그 광고 제작자 또는 해당 상품의 판매자, 중계자 등에게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입력하는 상품광고정보 입력기 및 상품광고정보의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광고정보 입력기의 구성과, 이 입력기를 포함하는 광고제작자 컴퓨터와 인터넷 상에 접속된 다른 컴퓨터의 접속상태 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광고정보 입력기가 수행하는 역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광고정보 입력기에서 실행되는 상품광고정보 입력방법을 실행하는 실행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광고정보 입력기의 실행초기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광고의 대상이 동산판매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광고정보 입력기에서의 입력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광고의 대상이 부동산매매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광고정보 입력기에서의 입력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광고의 대상이 사람찾기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광고정보 입력기에서의 입력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광고의 대상이 구인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광고정보 입력기에서의 입력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광고의 대상이 중고물품판매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광고정보 입력기에서의 입력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광고의 대상이 동산상품판매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광고정보 입력기에 의해 상품광고정보가 부가 기입된 후의 광고데이터의 포맷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광고의 대상이 부동산상품판매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광고정보 입력기에 의해 상품광고정보가 부가 기입된 후의 광고데이터의 포맷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광고의 대상이 사람찾기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광고정보 입력기에 의해 상품광고정보가 부가 기입된 후의 광고데이터의 포맷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광고정보 입력기를 포함하는 광고제작자 컴퓨터가 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특히, 광고검색용 웹 사이트 컴퓨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14는 광고검색용 웹 사이트에서 방문자의 접속으로부터 광고데이터의 검색과 검색된 광고에 기초한 주문/신청의 처리까지의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는 광고검색 웹 사이트에서의 초기 검색화면으로서, 광고대상을 선택하는 단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동산상품광고의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부동산 매매광고의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사람찾기 광고의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16에서의 동산 상품광고의 검색결과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도 17에서의 부동산 매매광고의 검색결과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도 19에서의 사람찾기 광고의 검색결과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검색을 마친 방문자가 구매를 선택한 경우에 신청서/주문서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요청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구매자 또는 신청자가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광고제작자 컴퓨터 2: 데이터 통신망
3: 광고데이터 검색용 웹 사이트 컴퓨터 4: 광고제작자 컴퓨터 웹 사이트
5: 방문자 컴퓨터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소스 광고 데이터 파일을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처리수단과, 상기 판독된 소스 광고데이터에 광고상품에 대한 상품식별정보, 중계자 또는 판매자 정보 등 광고상품에 대한 검색과 관련된 상품광고정보를 부가 기입하는 상품광고정보 기입처리수단과, 상기 소스 광고 데이터에 상품광고정보를 부가 기입함으로써 생성된 독립된 일체형의 목적 광고 데이터 파일을, 지정된 영역에 저장기록처리하는 데이터 저장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의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를 제공함에 따라, 간단한 방법으로 종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상품광고정보를 일체로서 부가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임의의 상품을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자가 검색엔진을 가지고 있는 검색 사이트에서 질의어를 입력함으로써,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해당 상품의 광고와 함께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상품광고정보가 부가된 멀티미디어 파일이 독립적으로 이곳저곳으로 이동되더라도, 자체에 상품광고정보를 포함한 상태가 되므로, 온라인은 물론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뷰어를 이용하여 해당 멀티미디어의 광고와 관련된 상품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는 상기 소스 광고 데이터 파일에 부가 기입되는 상품광고정보와 상기 목적데이터 파일의 저장위치를 포함하는 광고색인정보를,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된 정해진 주소의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상품광고정보가 부가된 광고용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을 인터넷 상의 특별한 위치에 저장하고, 그 저장위치와 상기 상품광고정보를 포함하도록 광고색인정보를 별도로 작성하여 광고검색을 행하는 광고검색 웹 사이트 등에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해당 광고검색 웹 사이트에서는 다량의 공간을 차지하는 멀티미디어 광고를 직접저장하지 않으면서도, 방문자의 검색의뢰에 대해서 단순한 웹 페이지 링크, 또는 데이터 링크에 불과한 부정확한 정보 대신에 정확한 상품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는 소스 광고 데이터 파일에 부가 기입되는 상품광고정보에 가격정보를 또한 포함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를 제공한 결과, 특히, 상품을 유료로 판매하는 경우에, 상품의 가격을 검색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다수의 검색결과에 대해서 광고를 볼 수 있음과 동시에, 구매를 위한 기초정보로서 제공하는 가격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는, 상기 소스 광고 데이터 파일의 상품광고정보에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 내용 또는 신청 내용을 전송하기 위한 접속주소정보를 또한 부가시키도록 한다.
이때, 접속주소정보는 주문/상담/신청용 전화번호, 문자메시지 수신용 전화번호, 전자메일주소, 주문/신청서 수신위치 주소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를 제공함으로써, 상품광고정보를 포함하는 광고용 멀티미디어 파일을 검색하는 것은 물론, 이 파일에 포함된 상품광고정보의 접속주소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광고용 멀티미디어의 광고 대상이 되는 상품의 구매 등을 위해 광고제작자, 판매자, 제조자 또는 중계자 등과, 전자메일 접속, 상담전화접속, 주문전화접속, 문자메시지 발송, 주문서/신청서 발송 등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상품구매주문 또는 접속신청을 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는 상기 소스 광고 데이터 파일에 부가 기입되는 상품광고정보에는 해당 광고데이터의 검색을 제한하는 광고게시 만료일 정보를 포함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를 제공함으로써, 시기 또는 수량을 정한 이벤트 상품의 경우, 검색사이트에서 일정시간 후에는 검색결과가 제공하지 않거나, 검색은 허용하되 구매 또는 신청 등이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형태의 상품광고정보 입력기에서 사용하는 입력처리방법과 이러한 입력처리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기계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용어를 정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품"이란 시장의 형태를 가지는 장소에서 유상 또는 무상으로 거래되며 광고의 대상이 될 있는 유무형의 것을 의미하며, 반드시 유형의 동산 상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동산시장에서의 동산상품, 서비스 시장에서의 각종 서비스, 중고시장에서의 중고물품, 부동산시장에서의 부동산, 인력시장에서의 노동력, 중매시장에서의 배우자 후보 등을 포괄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광고데이터"란 전기신호의 형태로 저장되고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로서, 그 판독형태가 적어도 영상, 음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지는 신호의 총체로서, 영상 또는 음향에 담긴 메시지가 제작자가 취급하는 상품에 대한 홍보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광고데이터는 단일의 정지영상 데이터, 다수의 정지영상을 포함하는 동적 에니메이션 영상 데이터, 연속된 영상프레임을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 음악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를 구성하는 일 예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12)는 광고제작자 컴퓨터(1)의 일부로서 구성되며, 그 기본적인 기능은 광고제작자 컴퓨터의 기억장치(11)에 사전에 작성되어 기록된 다수의 소스 광고 데이터 중 선택된 하나에 상품광고정보를 부가 기입하여 목적 광고 데이터를 생성한 후(도 2 참조), 그 결과를 자신 또는 타인이 운영하는 웹 서버 컴퓨터(4)의 데이터 서버(41) 등의 지정된 장소에 기록하는 것이다.
이때,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12)의 다수의 구성 요소는 하드웨어로 실현될 수 있으며, 또한,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는 범용 컴퓨터의 기억장치에 기록되고, 중앙처리장치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실현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광고제작자 컴퓨터(1)의 기억장치(11)에는 광고제작자 등이 사전에 제작완성한 다수의 소스 광고데이터(111)가 저장되며, 이 소스 광고 데이터(111)에는 본 발명의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의 제조자가 배포하는 다수의 견본 광고데이터가 포함된다.
이때, 소스 광고 데이터(111)의 파일포맷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정지영상, 동영상, 음향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면 족하다. 예를 들면, 종래의 정지영상 데이터 파일형식(예를 들면, GIF 포맷, JPG 포맷, Tiff 포맷), 동영상 이미지 데이터(예를 들면 Avi 포맷, MPEG 포맷, MOV 포맷, VOD 포맷 등), 음향 데이터 포맷(MP3 포맷, WAV 포맷) 또는 VRML 파일들이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그 외에 일정한 영상과 음향을 표시할 수 있도록 독립실행될 수 있는 독립실행파일의 포맷으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포맷을 가지는 새로운 형태의 파일형식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새로운 형태의 파일형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이 파일형식을 검색한 자가 그 파일을 상품광고정보 기입상태에서 열어볼 수 있도록 별도의 뷰어가 입력기 내에 부가 될 수 있다.
또한, 기억장치(11)에는,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의 제조자가 제공하는 다수의 입력양식 데이터(112)가 저장되어, 광고제작자가 상품광고정보를 입력할 때 광고 대상에 적합한 양식을 선택하여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목적 광고 데이터(113)는 광고제작자가 소스 광고 데이터(111) 중 적어도 하나에 상품광고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부가 기입한 광고데이터로서, 인터넷 통신망에 올리기 전에 드래프트 상태로 기억장치(11)에 임시로 저장한 경우에 생성되는 것이다.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12)는 데이터 판독처리수단(121)과 상품광고정보 기입처리수단(122)과 목적 광고 데이터 전송처리수단(12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데이터 판독처리수단(121)은 광고제작자의 선택에 의해 지정된 소스 광고 데이터 및 입력양식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며, 드래프트 상태의 목적 광고 데이터를 기억장치(11)에 기입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품광고정보 기입처리수단(122)은 광고제작자가 판독된 양식화면을 보면서 정해진 항목의 상품광고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제작자의 입력이 종료하면 소스 광고 데이터에 입력된 상품광고정보를 부가 기입하여 목적 광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생성된 목적 광고 데이터는, 인터넷에 접속된 제작자 자신 또는 타인이 제공하는 웹 서버 컴퓨터(4)의 지정된 저장영역인 광고데이터 서버(41)에 저장됨으로써 인터넷 상에 공개된다. 이러한 기능은 목적광고 데이터 전송처리수단(125)에 의해 수행된다.
한편, 광고색인정보 추출수단(123)은 전술한 상품광고정보 기입처리수단(122)이 기입한 상품광고정보와, 광고 데이터 전송처리수단(125)에 의해 전송처리된 목적 광고데이터가 저장된 광고데이터 서버(41)의 주소(URL)를 포함하는 광고색인정보를 작성한다. 그리고, 광고색인정보 전송수단(124)은, 작성된 광고색인정보를 인터넷에 접속되어 광고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용 웹 사이트(3)의 지정된 주소로 전송한다.
이후, 광고색인정보 전송수단(124)에 의해 전송된 광고색인정보는 광고검색웹 사이트(3)에서 수신되고, 자체의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되어 지정된 위치에 저장된다. 그리고, 저장된 광고색인정보는 제3의 검색자가 광고검색을 하는 경우, 입력한 질의어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데이터 베이스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이 과정은 도 13을 참고로 후술한다.
도 3은 전술한 상품광고정보 입력기에서 상품광고정보를 입력하는 절차의 흐름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내지 도 10은 이러한 절차를 실행하는 각 단계에서 제작자에게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상품광고정보를 입력하는 첫 번째 단계는 제작자 자신이 제작하려는 광고의 대상이 어떤 것인지를 제작자가 선택하는 단계 S1이다. 도 4는 제작자가 이러한 선택의 제1단계를 수행하는 과정을 돕기 위한 표시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단계는, 광고대상이 어떤 것이냐에 따라 색인어로서 역할하게 될 상품광고정보의 입력 카타고리가 다른 점을 고려해서 제공된 것이다. 그러므로, 각 상품 분류별로 전용의 상품정보 입력기를 제공하는 경우라면, 이 선택과정인 단계 S1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에서, 다수로 분류되어 제공되는 광고 대상 중 하나를 선택하면, 단계 S2에서 상품정보 입력기(12)는 기억장치(11)에 저장된 입력양식(112)을 판독하여 제작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제작자가 상품광고정보의 입력을 간단히 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제작자는 단계 S3에서 상품광고정보를 부가 기입할 대상이 되는 소스 광고 데이터를 선택하고, 제공된 양식을 열람한 상태에서 해당 기입란에 상품광고정보를 입력한다(단계 S4). 이때, 소스 광고 데이터 파일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전에 제작자의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전제한다. 또는 상품광고정보 입력기의 제공자가 함께 제공하는 다수의 클립아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 후, 상품광고정보의 입력을 마치면, 목적 광고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단계 S5), 저장할 위치(인터넷에 접속된 웹 서버, 또는 데이터 서버의 저장위치)를 지정하여, 해당 위치에 목적 광고 데이터 파일을 저장한다(단계 S6).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단계 S6 이후에 광고검색 사이트의 검색을 돕기 위한 수단으로 전술한 단계에 의해 생성된 상품광고정보 및 목적 광고 데이터 파일의 저장 위치를 포함하는 광고색인정보를 생성하여, 이 생성된 광고색인정보를 검색사이트로 즉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단계 S7).
이렇게 하여 전송된 광고색인정보는 광고 검색사이트의 광고색인정보 처리수단(도 15의 32)에 의해 처리되어, 광고색인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고, 검색을 위해 검색대상이 된다. 그 결과, 방문자의 질의어에 응답한 검색을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고 검색 사이트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멀티미디어로 구성된 데이터를 전부가 아닌 색인어 및 저장위치를 포함하는 광고색인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으므로, 그 저장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경제적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도 4에서 제작자가 광고대상을 선택하고 나서, 각각의 광고 대상에 적합한 양식에 따라 상품광고정보를 입력하고, 그 결과를 소스 광고데이터를 읽어와 그 광고 데이터에 부가 기입하여 목적 광고 데이터를 생성하여 지정위치에 저장하는 등의 작업을 행하는 작업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상품광고정보 입력기가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광고정보 입력의 예일 뿐이며, 그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5는, 광고대상이 상품판매광고인 경우의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업 화면 예를 도시한 것이며, 광고제작자는 이 기입화면을 열람한 상태에서 먼저 클립아트 또는 자신이 제작한 멀티미디어 광고 소스 데이터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품광고정보를 입력한다. 상품광고정보 입력란은 상품정보, 가격정보, 판매자 정보로 분류되어 있다.
상품정보 기입란에는 상품명, 상표명, 모델명, 제조회사명, 제조일 등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약속된 상품코드를 키보드 입력 또는 바코드 인식 등으로 입력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가격정보 기입란에는, 소비자가, 할인가, 할인율, 배송료 등을 기입할 수 있도록 하며, 판매자 기입란에는 제조자와 판매자가 다른 경우에, 그 식별사항을 기재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광고게시자/판매자/중계자 등이 가입등록된 자라면, 약속된 판매자 코드 예를 들면, 사업자 등록번호, 법인등록번호, 주민등록번호, 가입자 ID 등을 입력하는 것으로 대신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이 광고의 검색을 제한하기 위한 유효 게시일 등을 설정하는 수단으로, 판매시한, 광고게시만료일 등이나 판매한정수량을 기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품광고를 보고 온라인 상태에서 주문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매자의 주문서를 수신하기 위한 주문서 수신 위치(URL)와, 자동응답 안내전화 또는 주문전화를 받기 위한 전화번호, 주문서를 문자메시지로 받을 이동통신 전화번호 등의 주문접속주소 또는 주문접속 전화번호를 기입하는 기입란을 제공한다.
한편, 데이터 파일로 구성된 상품, 예를 들면, 프로그램, 게임, 음악, 영화, 서적, 만화 또는 인터넷 TV 등에서의 온라인 방영상품 등을 광고하는 광고 데이터에 대해 상품광고정보를 부가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그 상품을 온라인 상에서 다운로드로 구매할 수 있는 상품다운로드 위치(URL)를 기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품광고정보의 입력을 마친 후에는, 입력한 상품광고정보를 소스 광고데이터 파일에 일체로서 부가 기입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 생성된 목적 광고 데이터 파일이 저장되는 위치를 지정하도록 목적광고 데이터 파일 저장위치 기입란을 제공한다.
또한, 상품광고정보를 목적광고 데이터파일의 저장위치 정보와 결합하여, 광고색인 정보를 생성한 후, 그 값을 적어도 하나의 광고검색 사이트로 전송하도록 전송목적지를 입력하도록 그 기입란을 함께 제공하도록 한다. 그 결과, 광고검색용 웹 사이트에서는 광고색인정보를 수신하여 광고색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방문자가 검색질의어를 입력하면 일차적으로 데이터 베이스화된 광고색인정보 중에서 검색질의어와 동일한 색인어를 가지는 상품광고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되어, 검색의 정밀도와 신속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러한 각종 사항의 기입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였지만, 단계적으로 기입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소스 광고 데이터 파일을 불러오는 단계, 상품광고정보를 기입하는 단계, 구매접속주소 또는 전화번호를 기입하는 단계, 목적 광고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광고색인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들을 적어도 2개의 단계로 나누어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화면으로 상품광고정보 입력란을 제공하는 경우라면, 상품광고정보 기입란의 식별란의 표시를 상위 카타고리를 선택기입함에 따라 하위 카타고리 기입란의 식별항목은 그에 연동하여 변화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도 6은 광고대상이 부동산 상품인 경우의 상품광고정보 입력화면 예를 도시한 것이며, 부동산 소유주 또는 중개업자 등의 광고제작자는 먼저 클립아트 또는 자신의 부동산 내외부 사진 등 자신이 특별히 디자인하여 제작한 멀티미디어 광고데이터를 소스 광고 데이터로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데이터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동산 상품정보, 가격 및 비용정보, 광고주/중개인 정보를 상품광고정보로서 부가 기입한다. 이때, 부동산 상품정보에는 그 부동산에 대한 양도하려는 권리 즉 광고목적이 매매, 전세, 월세, 임대차, 지상권설정 등으로 제한적으로 분류되므로 선택입력할 수 있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광고목적이 달라지면, 기재하여야 할 대상도 달라지므로, 하나의 페이지에서 상품광고정보의 입력을 완료하도록 설계하는 경우에는 상위 카타고리를 선택함에 따라 하위 카타고리의 기입란의 식별항목도 달라지도록 연동 표시 설계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위 카타고리로 매매를 선택하였다면, 하위 카타고리의 기입란은 매매와 관련된 내용으로 기입란이 변경되고, 상위 카타고리로 월세를 선택하였으면 하위의 기입란은 월세와 관련된 것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과정 중 일부는 다수의 입력창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형태로 설계될 수도 있다.
그 이외에도,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상품에 대한 부가적인 상세설명과, 청약 등을 위한 접속주소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하며, 청약시한 및 광고게시시한을 기입할 수 있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광고제작자는, 완성된 목적 광고 데이터 파일을 저장할 위치를 지정하여 저장을 실행하고, 상품광고정보와 데이터 파일 저장위치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광고색인정보를 생성하여 광고검색 사이트 등의 지정된 위치로 전송한다. 나머지 부분은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7은 광고대상이 사람찾기인 경우의 상품광고정보 입력화면 예를 도시한 것이며, 광고제작자는 이 기입화면에서 먼저 클립아트 또는 자기 사진, 옛날에 찾고자 하는 사람과 찍은 사진, 또는 자신이 특별히 디자인하여 제작한 멀티미디어 광고데이터를 소스 광고 데이터로 선택한다. 그리고, 광고목적란의 주어진 하나를 선택하여 광고목적을 기입하고, 신청자 정보, 대상자 정보 및 자기소개 등의 설명을 기입한다. 최종적으로, 자신과의 연락을 위해 연락신청 접속정보로서, E-mail 주소와, 수신전화번호를 선택하여 기재한다. 또한, 문자메시지의 수신을 위한 전화번호를 별도로 기재할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부를 기재할 필요는 없으며, 또한 기입된 접속방법 중 자신이 원하는 것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형태로 기입된 광고는 이성친구찾기, 동호회 모집, 헤어진 가족, 옛친구찾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기입양식의 표시와 관련해서는 광고목적란에서 자신이 원하는 광고를 선택함으로써, 이 아래에서는 해당 목적에 맞는 다양한 기입양식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이성친구찾기의 예를 주로 나타내었으며, 그 이외의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또한, 그 나머지 기입란의 목적은 도 5의 경우와 대략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광고대상이 구인광고인 경우의 상품광고정보 입력화면 예를 도시한 것이며, 광고제작자는 먼저 클립아트 또는 회사로고 등을 포함하도록 자신이 특별히 디자인하여 제작한 멀티미디어 광고데이터를 소스 광고 데이터로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광고데이터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인자정보, 응시자격정보, 전형방법, 보수정보, 구인상세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응시원서 양식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위치와, 신청접속정보로서, 응시원서 수신위치, E-mail 주소와, 수신전화번호를 선택하여 기재하여 기입을 종료하게 된다.
그 나머지 기입란의 목적은 도 5의 경우와 대략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광고대상이 중고물품매매인 경우의 상품광고정보 입력화면 예를 도시한 것이며, 클립아트 또는 자신이 특별히 디자인하여 제작한 멀티미디어 광고데이터를 소스 광고 데이터로 선택하고, 그 선택된 광고데이터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고물품정보, 가격정보, 판매자 정보, 물품상세설명을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란을 제공한다. 그리고,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전화번호, E-mail 주소와, 수신전화번호를 구매신청 접속정보로서 선택하여 기재할 수 있도록 입력란을 제공한다.
특히, 가격정보에는 판매희망가, 판매희망최소가, 판매시한 등을 기재함으로써, 판매자가 다수의 구매희망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판매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그 나머지 기입란의 목적은 도 5의 경우와 대략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하고 전술한 예와 같은 과정을 거쳐 최종 생성된 목적 광고 데이터 파일의 포맷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품광고정보를 기록하기 전의 소스 광고데이터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정지영상 데이터 파일형식 동영상 이미지 데이터, 음향 데이터 포맷, 또는 기타 인터넷 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파일들이면 바람직하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독립실행파일이나 별도의 포맷을 가지는 새로운 형태의 파일형식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새로운 형태의 파일형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이 파일형식을 검색한 자가 그 파일을 온라인 상태에서 종래의 브라우저를 가지고 열어볼 수 있도록, 플러그 인 용 뷰어 프로그램을 별도 제공할 수도 있고, 그 외에도 광고검색을 위한 전용의 브라우저를 제공할 수도 있다.
기존의 포맷을 소스로 사용하여 기존의 소스 포맷의 이미지 정보를 손상시키지 않고 상품광고정보를 기재하는 데는 일정한 제한이 있지만, GIF 파일형식의 데이터의 경우, 확장 블록의 코멘트 확장영역(comment extension) 또는 응용 확장영역(application extension)의 내용의 일부를 대체 또는 부가하는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고, JPG 파일형식의 데이터의 경우 확장 데이터 영역(extension data)에 부가 될 수 있다. 다른 포맷의 멀티미디어 파일의 경우에도 그 적용예는 대략 동일하다.
소스 광고 데이터 파일의 포맷이 어느 것이냐에 따라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다르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포맷의 구성의 구성을, 헤더블록(header blocks), 멀티미디어 데이터 블록(mutimedia data blocks) 및 확장블록(extension blocks)으로 구별하도록 한다. 헤더 블록에서는 그 파일이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의 크기 등의 규격을 정의하며, 멀티미디어 데이터 블록은 데이터가 영상이나 음향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의 영역이며, 확장 영역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표시형식 등을 제어하는 제어확장블록(control extension blocks) 영역과,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광고정보를 포함하는 상품광고용 확장블록(advertisement extension blocks) 영역이 제공된다.
도 10, 도 11 및 도 12는 광고 데이터가 각각 상품판매광고인 경우, 부동산상품판매광고인 경우, 및 사람찾기 광고인 경우의 파일포맷을 나타내며, 나머지의 구인광고나 중고물품광고의 경우에도 도 8 및 도 9의 기입에 따라 도 10내지 도 12의 경우와 대동 소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의 각각을 다른 데이터와 구별하는 수단은 상품광고정보의 첫 번째 영역인 광고대상 식별자이다. 이 영역은 상품광고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다른 데이터와 구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품정보의 경우에는 해당 상품에 대해 이미 사용하고 있는 고유코드로 대체할 수 있다. 그 이하의 영역은 광고대상이 어떤 것이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도 10의 판매자 정보, 도 11의 중계자 정보, 도 12의 신청자 정보는 가입자 코드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검색사이트 컴퓨터에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된 경우에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광고정보 입력기에 의해 멀티미디어 광고데이터에 상품과고정보를 부가 기입하여 특정 웹 사이트에 저장한 후, 제3의 방문자가 이를 검색하여 구매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광고정보 입력기를 포함하는 광고제작자 컴퓨터(1)와 광고검색 사이트 컴퓨터(3)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상태와, 광고검색 사이트 컴퓨터(3)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서 광고검색 사이트 컴퓨터(3)는 웹 서버(31), 검색처리수단(32), 광고색인정보 처리수단(34), 주문서 작성수단(37), 주문처리수단(38)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그 외에 데이터 베이스로서 광고데이터(33), 광고색인정보(35), 가입자정보(36), 주문처리기록(44)을 포함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 검색처리수단(32)은 다수의 방문자가 자신의 컴퓨터(5, 5')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된 광고검색사이트 컴퓨터(3)의 웹 서버(31)에 접속하고 질의어를 입력하여 검색을 요청하면, 실시간 검색, 또는 데이터 베이스의 검색을 통해, 질의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색인어를 가지는 상품광고정보를 검색하고, 방문자가 검색결과에 따라 해당 광고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광고데이터 파일을 제공한다. 이때, 광고데이터가 멀티미디어 파일로서 동영상 등으로 작성된 경우라면, 해당 파일의 데이터 일부만을 추출하여 맛보기 형태로 제시하고 전체 데이터는 방문자의 선택에 따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시간 검색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므로 이러한 부하를 경감하기 위한 수단으로, 광고색인정보 데이터 베이스(35)를 검색하는 실시예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고색인정보 처리수단(34)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광고제작자가 본 발명의 상품광고정보 입력기를 이용하여 광고색인정보를 전송하면, 전송된 광고색인정보를 수신하여 광고색인정보 데이터 베이스(35)에 저장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
이렇게 생성되는 광고색인정보 데이터 베이스(35)의 광고색인정보는, 광고데이터의 제작자가 제작하여 자신이 원하는 어느 웹 사이트에 저장하는 즉시, 광고데이터 제작자가 상품광고정보와 광고데이터의 저장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하여 전송한 것이므로, 이 광고색인정보를 검색하는 것은 실시간 정보를 검색하는 것과 사실상 동일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한편, 검색결과의 표시에서, 검색처리수단(32)은 광고색인정보의 게시만료일 기재영역에 게시만료일이 있는 경우, 그 검색대상의 검색게시를 생략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검색결과는 게시하되 주문을 하지 않는 방법을 선택할 수도 있다.
광고데이터 데이터 베이스(33)는 광고제작자가 광고데이터를 저장할 자신의 데이터 서버를 가지지 못한 경우, 예를 들면 광고제작자가 개인인 경우에 제작한광고를 저장하여 주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광고제작자가 단체, 법인 등의 경우라면, 자신이 운영하는 웹 사이트(4)의 데이터 서버(41)에 광고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를 분산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고데이터가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 가는 부차적인 문제이다.
가입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3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광고정보 입력기의 사용에 권한을 부여한 경우, 입력기를 이용한 입력에서 광고제작자인 제조사, 판매사, 중계사, 개인 등의 자기정보입력을 간단히 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또한, 광고료를 유료로 하는 경우라면, 과금청구에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가 부가될 수도 있다.
주문서 작성수단(36)은 방문자가 광고를 검색하고, 다수의 검색결과 중 하나의 광고를 선택하여, 해당 광고의 대상이 되는 상품에 대해 주문을 하려는 경우, 주문서 양식을 표시하고, 이 양식에 맞게 주문서가 작성되면 작성된 데이터를 주문처리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주문처리수단(38)은, 주문서 발송처리수단, 전화접속 처리수단, 전자메일 방송수단, 문자메시지 발송처리수단 등을 포함하여, 광고제작자가 제시하고 구매자가 선택한 주문방식을 실현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주문방식은, 주문서의 우편발송, 주문서의 팩스발송, 주문서의 E-mail 발송, 또는 주문서의 특정 인터넷 웹 사이트의 지정위치로 정해진 형식에 따라 전송, 문자메시지로 발송, 자동응답전화로 전송, 직접통화 등이 될 수 있다. 광고제작자, 판매자, 중계인 등은 이러한 다수의 주문방식 중에서 자신의 상품 등에 적합한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구매자는 다수의 제시된 주문방식 중 자신이 원하는 방식을 선택하고 주문서를 작성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문서 발송처리수단(381)은 구매자가 주문서의 작성과, 발송방식 선택을 완료하면, 해당 광고에 대한 광고색인정보의 기재사항을 확인하여 해당 발송처 주소를 확인하고, 그 발송처로 우편발송, 팩스발송, 주문서 발송을 수행한다.
전화접속처리수단(382)은 방문자가 광고 검색을 행한 후, 해당 광고 대상이 되는 상품의 주문을 전화로 행하려는 경우, 해당 광고의 광고색인정보를 참조하여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해당 전화번호로 접속을 중계한다. 이때, 전화는 최근 상품화된 다이알 패드 등의 인터넷 전화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구매자는 판매자와 자동응답전화, 또는 직접통화를 할 수 있어 상세한 상담 및 협상을 진행할 수도 있다.
문자메시지 발송처리수단(383)은 광고를 검색한 자가 자신의 주문/신청 내용을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한 문자메시지로 하려는 경우, 해당광고의 광고색인정보를 참조하여 전화번호 등의 접속번호를 확인하고, 검색자가 기입한 내용을 문자메시지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전자메일 발송처리수단(384)은 광고를 검색한 자가 자신의 주문/신청 내용을 전자메일로 전송하려는 경우, 해당 광고의 광고색인정보를 참조하여 광고제작자, 중계인, 판매인 등의 E-mail 주소를 확인하고, 검색자가 기입한 주문내용/신청내용을 문자메시지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주문처리기록(44)은, 전술한 바와 같은 주문처리수단의 주문처리를 기록하는 기능을 하며, 이 기록은 이후 비용 청구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광고검색 웹 사이트에서의 광고검색과정과 검색된 결과를 기초로 하는 주문처리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간략히 요약하면, 광고검색 페이지에 방문자가 접속하여(단계 S11), 검색질의어를 입력하고 검색을 요청하면(단계 S12), 검색처리수단(32)은 광고색인정보 데이터 베이스(35)의 광고색인정보를 검색하여(단계 S13), 검색질의조건에 적합한 다수의 광고색인정보를 검색결과로서 방문자에게 표시한다. 이때, 광고색인정보의 상품광고정보는 문자의 형태로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광고색인정보의 광고데이터 위치정보는, 상품광고정보를 담고 있는 멀티미디어 광고데이터를 읽어오는 데 사용된다.
도 15는 광고검색 사이트의 초기 검색화면이며, 검색대상을 선택하는 선택란이 제시된 상태를 예로서 도시한 것이다. 이 화면에서, 방문자가 예를 들어, 상품판매광고의 검색을 선택하면 도 16에 도시한 예와 같은 상품광고 검색화면이 표시되며, 부동산상품광고검색을 선택하면, 도 17에 도시한 예와 같은 부동산상품광고 검색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사람찾기 광고검색을 선택하면 도 18에 도시한 예와 같은 사람찾기 광고검색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검색어 입력창에서는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검색된 결과를 표시하는 우선순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검색된 결과의 활용을 위해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멀티미디어 광고데이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를 고려하면, 멀티미디어 광고데이터의 게시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고, 이후, 검색결과 화면에서 필요한 하나씩을 별도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멀티미디어 광고의 크기가 큰 경우에 이를 동시에 상영하는 것이 속도의 지연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며, 또한 동영상 멀티미디어 광고의 경우에는 별도의 외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야 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도 19 내지 도 21은 검색된 결과를 나타내는 검색결과 화면의 예이다. 각 검색결과 화면은, 도 16 내지 도 18의 검색어 입력창의 검색 결과로서 각각 표시되는 것이며, 검색어를 입력한 방문자는 검색결과로서, 주요정보와 함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고데이터를 검색하여 볼 수 있다. 또한, 검색된 결과를 원하는 순서로 재배치하여 중요도가 높은 것을 최초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검색된 결과의 각각의 광고데이터에는 해당 광고의 대상이 되는 상품에 대해 온라인 상에서 직접 다양한 형태의 주문 또는 신청을 행할 수 있도록 화면이 구성된다. 그리하여, 검색을 마친 방문자는 검색된 다수의 광고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원하는 형식으로 주문을 행할 수 있다. 이후의 주문에서도, 본 발명의 상품광고정보 입력기에 의해 입력되어 해당 광고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검색사이트의 광고색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광고정보가 주문 또는 신청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4에서, 단계 S16 내지 단계 S18은 이러한 구매과정을 나타낸다. 단계 S 15에서의 검색된 결과를 확인하고, 방문자/검색자/신청자가 검색된 다수의 광고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구매 또는 신청을 선택하면(단계 S16), 구매자 정보를 기입하는 주문서 작성창이 표시된다. 이후, 방문자/주문자/신청자가 주문서/신청서의 제출방식을 지정한 후(단계 S17, 도 22 참조), 구매자 정보를 입력하여 주문서/신청서의 작성을 완료하고 전송을 요청하면(단계 S18, 도 23 참조), 전술한 예들 중 지정된 주문/신청방식에 따라 주문/또는 신청을 수행하고 결과를 기록하도록 한다(단계 S19).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상품광고정보 입력기에 의해 입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부가 기입된 광고정보를 기초로, 제3의 방문자가 검색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고, 검색된 결과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다양한 형태로 주문또는 신청을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광고검색 웹 사이트에 대한 접속은 익스플로러나 넷스케이프 등의 범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전용의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파일을 종래에 인터넷 상에서 널리 사용하는 포맷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전용포맷을 가지도록 구성한 경우라면, 뷰어를 제공하여 범용 브라우저에 플러그인 하여 광고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도 있고, 전용의 브라우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경우에서 검색사이트는 인터넷 웹 사이트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개인 컴퓨터를 통해 접속가능한 형태의 사이트를 의미하지 않으며, 인터넷 TV, 디지털 TV등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형태의 광고데이터 검색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상품광고정보 입력기를 제공함으로써, 법인이나 단체의 경우는 물론 개인들도 간단한 방법으로 멀티미디어를 포함하는 광고데이터를 소스 데이터로 하여 자신이 광고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각종의 색인어를 편리하고도 간단히 입력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웹 사이트 등에 공개하여 제3자가 검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 광고제작자는 별도의 홈페이지 구축 등을 하지 않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자신이 원하는 상품에 대한 광고를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작성하여 인터넷 상에 올릴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검색자의 경우에는 상품광고데이터가 인터넷 상의 어느 곳에 위치하거나 관계없이, 자신이 원하는 상품에 대한 정확하고도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함께 검색할 수 있으며 , 동시에 자신이 검색한 상품 검색 결과를 기초로 다양한 형식으로 신뢰성 있는 주문/신청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광고검색 사이트의 운영자의 입장에서는 부하가 분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사이트의 구축에 필요한 하드웨어 시스템을 크게 늘리지 않고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검색결과에 대한 별도의 수공업적 처리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정밀한 검색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는, 광고제작자가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적인 광고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은 물론, 다양한 형태의 정지영상, 동영상을 포함하는 광고 디자인의 개발등에 노력을 기울이게 되어 이 분야의 기술개발을 촉진하는 간접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5)

  1.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소스 광고 데이터 파일을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처리수단과,
    상기 판독된 소스 광고데이터에 광고상품에 대한 상품식별정보와, 중계자 또는 판매자 정보 등 광고상품에 대한 검색과 관련된 상품광고정보를 부가 기입하는 상품광고정보 기입처리수단과,
    상기 소스 광고 데이터에 상품광고정보를 부가 기입함으로써 생성된 독립된 일체형의 목적 광고 데이터 파일을, 지정된 영역에 저장기록처리하는 데이터 저장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광고 데이터 파일에 부가 기입되는 상품광고정보와 상기 목적데이터 파일의 저장위치를 포함하는 광고색인정보를,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된 정해진 주소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광고색인정보 전송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광고 데이터 파일에 부가 기입되는 상품광고정보에는, 해당 상품에 대한 가격정보가 또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광고 데이터 파일에 부가 기입되는 상품광고정보에는,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 내용 또는 신청 내용을 전송하기 위한 접속주소정보가 또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주소정보에는 주문/상담/신청용 전화번호, 문자메시지 수신용 전화번호, 전자메일주소, 주문/신청서 수신위치 주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
  6. 제1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광고 데이터 파일에 부가 기입되는 상품광고정보에는 해당 광고데이터의 검색을 제한하는 광고게시 만료일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광고정보 입력작성기.
  7. 상품광고대상에 적합한 기입양식을 제공하여, 광고제작자가 상품식별정보, 중계자 또는 판매자 정보 등 광고상품 검색에 관련된 상품광고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품광고정보의 입력과 함께, 광고제작자가 입력된 상품광고정보를 부가 기입할 소스 광고데이터 파일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광고제작자가 상품광고정보에 대한 입력과 소스 광고데이터 파일에 대한 선택을 완료하면, 소스 광고데이터 파일에 상품광고정보를 부가 기입하여 목적 광고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목적 광고 데이터 파일을 인터넷에 접속된 웹 사이트 중 제작자가 지정하는 장소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데이터 파일에 상품광고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광고 데이터 파일에 부가 기입되는 상품광고정보와 상기 목적데이터 파일의 저장위치를 포함하는 광고색인정보를, 인터넷 통신망에 접속된 정해진 주소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광고색인정보 전송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데이터 파일에 상품광고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광고 데이터 파일에 부가 기입되는 상품광고정보에는, 해당 상품에 대한 가격정보가 또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데이터 파일에 상품광고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광고 데이터 파일에 부가 기입되는 상품광고정보에는,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 내용 또는 신청 내용을 전송하기 위한 접속주소정보가 또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데이터 파일에 상품광고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주소정보에는 주문/상담/신청용 전화번호, 문자메시지 수신용 전화번호, 전자메일주소, 주문/신청서 수신위치 주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데이터 파일에 상품광고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광고 데이터 파일에 부가 기입되는 상품광고정보에는 해당 광고데이터의 검색을 제한하는 광고게시 만료일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데이터 파일에 상품광고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13.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품광고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에서 제공되는 상품광고정보 기입양식은 광고제작자가 선택한 광고대상분류에 따라 서로 다른 양식으로 제공되며, 하위 분류의 양식은 상위 분류의 선택입력에 따라 동일 페이지 내에서 자동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데이터 파일에 상품광고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14.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광고데이터 파일의 파일형식과, 상기 목적 광고데이터 파일의 파일형식은 동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데이터 파일에 상품광고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15. 제7항 내지 제14항에 기재된 광고데이터 파일에 상품광고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실행프로그램을 내장하는 기계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00014996A 2000-03-24 2000-03-24 광고용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에 상품광고정보를기입하는 방법 및 상품광고정보 입력기 KR20010090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996A KR20010090244A (ko) 2000-03-24 2000-03-24 광고용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에 상품광고정보를기입하는 방법 및 상품광고정보 입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996A KR20010090244A (ko) 2000-03-24 2000-03-24 광고용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에 상품광고정보를기입하는 방법 및 상품광고정보 입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244A true KR20010090244A (ko) 2001-10-18

Family

ID=19658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996A KR20010090244A (ko) 2000-03-24 2000-03-24 광고용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에 상품광고정보를기입하는 방법 및 상품광고정보 입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02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935A (ko) * 2000-12-05 2002-06-12 최종덕 인터넷에서의 동영상 광고시스템 및 방법
KR100911014B1 (ko) * 2007-06-05 2009-08-06 주식회사 위피아 스폰서 매치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935A (ko) * 2000-12-05 2002-06-12 최종덕 인터넷에서의 동영상 광고시스템 및 방법
KR100911014B1 (ko) * 2007-06-05 2009-08-06 주식회사 위피아 스폰서 매치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3997B2 (en) System, program product, and methods for online image handling
JP5881929B2 (ja) サーバ装置、広告情報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06331610B8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reation, distribution and tracking of advertising via electronic networks
US20110231260A1 (en) Method for providing an online video advertising platform and marketplace
US93241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web display
US20080140523A1 (en) Association of media interaction with complementary data
JP4740630B2 (ja) 流行創出型広告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158539A1 (en) Linking a Retail User Profile to a Social Network User Profile
US20020026353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urchase information to consumers relating to advertisements displaying the product
WO2009137368A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on and playback of supplemented videos
JP2004528585A (ja) 広告を挿入するためインターネットブラウザを使用する広告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417357B2 (ja) アフィリエイトシステムにおいて広告主のrssフィードを随時取得してバナー広告にして配信する方法と装置
TW200901069A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JP4248193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043267B1 (ko)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JP5034049B2 (ja) アフィリエイト管理サーバ装置、アフィリエイト管理方法、およびアフィリエイト管理サーバプログラム
US20060206383A1 (en) Method for advertising and selling products online
KR20190107835A (ko) 멀티채널 쇼핑몰 시스템
JP451315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20010090244A (ko) 광고용 멀티미디어 데이터 파일에 상품광고정보를기입하는 방법 및 상품광고정보 입력기
KR100915467B1 (ko) 인터랙티브 쇼핑파일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EP1215610A2 (en) Web pages as a memory device
JP6994533B2 (ja) 広告配信装置、広告配信方法、及び広告配信プログラム
JP2002117324A (ja) ネットワーク広告管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広告管理システムの管理サイト装置及び記録媒体
KR20070094356A (ko) 동영상 기반 상품 정보 제공 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