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0079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안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안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0079A
KR20010090079A KR1020010055549A KR20010055549A KR20010090079A KR 20010090079 A KR20010090079 A KR 20010090079A KR 1020010055549 A KR1020010055549 A KR 1020010055549A KR 20010055549 A KR20010055549 A KR 20010055549A KR 20010090079 A KR20010090079 A KR 20010090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호
서종원
Original Assignee
김호영
기가텔레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영, 기가텔레콤 (주) filed Critical 김호영
Priority to KR1020010055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0079A/ko
Publication of KR20010090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07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9Charging or discharging for charge maintenance, battery initiation or rejuven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중인 이동통신 단말기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순간적으로 전원이 차단될 경우 전원을 자동으로 복귀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배터리 전원, 충전기, 핸드프리기 등의 외부 전원을 입력시키는 전원입력수단;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켜기 위해 전원 스위치신호를 인가하는 전원인가스위치수단; 상기 전원인가스위치수단에서 전송되는 전원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처리하는 전원제어수단; 상기 전원제어수단에서 처리된 상기 전원입력수단의 전원을 입력하는 단말기전원수단; 상기 단말기전원수단에 전원이 인가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내장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기 전원제어수단에 전원 제어 신호를 계속 인가하는 단말기제어수단;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있는 경우 비정상적인 전원 차단을 감지하여 해당 감지신호를 상기 전원제어수단에 전송하는 전원차단감지수단을 포함하는데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순간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차단될 경우 전원을 자동으로 복구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안정화 장치{Apparatus for stabilizing the source of electric power with mobile-tele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중인 이동통신 단말기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순간적으로 전원이 차단될 경우 전원을 자동으로 복귀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거나 충전기, 핸즈프리기 등의 외부 전원을 사용하여 구동되는데, 대부분의 사용 기간이 통화 대기 상태이며 외부의 기계적 혹은 전기적인 충격에 의해 순간적으로 전원이 차단될 경우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면 전원이 계속 차단된 상태가 지속되므로 통화 수신을 계속 못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안정화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전원입력수단(10)은 배터리 전원 및 충전기, 핸드프리기 등의 외부 전원을 입력시키며, 전원인가스위치수단(20)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도시되지 않음)의 전원을 켜기 위해 전원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전원제어수단(30)은 전원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입력수단(10)으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단말기전원수단(40)에 입력시키며, 단말기제어수단(50)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동하는 중앙 처리 장치로서 단말기전원수단(4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원제어수단(30)에 전원 제어 신호를 계속 인가한다.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전원인가스위치수단(20)의 스위치를 누르면 전원제어수단(30)에 해당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고, 전원입력수단(10)의 전원이 전원제어수단(30)에 의해 단말기전원수단(40)으로 입력된다. 이때, 사용자가 전원인가스위치수단(20)의 신호를 제거하기 전에 전원이 인가된 단말기제어수단(50)은 전원 인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원제어수단(3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전원인가스위치수단(20)의 스위치를 누르는 과정에서 전원이 켜지도록 되어 있는 바, 외부의 기계적 혹은 전기적인 충격에 의해 순간적으로 전원이 차단될 경우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면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통화 수신을 계속 못하게 되는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중인 이동통신 단말기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순간적으로 전원이 차단될 경우 전원을 자동 복구하여 통화 대기 상태를 계속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안정화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안정화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원입력수단 200 : 전원인가스위치수단
300 : 전원제어수단 400 : 단말기전원수단
500 : 단말기제어수단 600 : 전원차단감지수단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배터리 전원, 충전기, 핸드프리기 등의 외부 전원을 입력시키는 전원입력수단;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켜기 위해 전원 스위치신호를 인가하는 전원인가스위치수단; 상기 전원인가스위치수단에서 전송되는 전원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처리하는 전원제어수단; 상기 전원제어수단에서 처리된 상기 전원입력수단의 전원을 입력하는 단말기전원수단; 상기 단말기전원수단에 전원이 인가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내장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기 전원제어수단에 전원 제어 신호를 계속 인가하는 단말기제어수단;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있는 경우 비정상적인 전원 차단을 감지하여 해당 감지신호를 상기 전원제어수단에 전송하는 전원차단감지수단을 포함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차단감지수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켜져 있는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전원이 순간적으로 차단될 경우 전원이 차단된 일정한 시간 동안 전원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차단감지수단은 차단된 전원이 다시 연결되면 감지 및 유지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상태에 의해 전원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안정화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원입력수단(100), 전원인가스위치수단(200), 전원제어수단(300), 단말기전원수단(400), 단말기제어수단(500) 및 전원차단감지수단(600)으로 구성된다.
전원입력수단(100)은 배터리 전원, 충전기, 핸드프리기 등의 외부 전원을 입력시키며, 전원인가스위치수단(200)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도시되지 않음)의 전원을 켜기 위해 전원 스위치신호를 인가한다. 전원제어수단(300)은 전원인가스위치수단(200)과 전원차단감지수단(600) 및 단말기제어수단(50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입력수단(100)으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단말기전원수단(400)에 입력시킨다. 단말기제어수단(500)은 단말기전원수단(4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내장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원제어수단(300)에 전원 제어 신호를 계속 인가하고, 또한 단말기제어수단(50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있는 상태의 신호를 전원차단감지수단(600)에 인가한다. 전원차단감지수단(60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전원이 순간적으로 차단될 경우,전원이 차단된 일정한 시간 동안단말기제어수단(500)으로부터 감지된 전원 상태를 유지하며, 차단된 전원이 다시 연결되면 감지 및 유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상태에 의해 해당 감지신호를 전원제어수단(300)에 전송하여 전원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안정화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발생한다.
즉, 외부의 충격에 의해 순간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차단될 경우 전원을 자동으로 복구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배터리 전원, 충전기, 핸드프리기 등의 외부 전원을 입력시키는 전원입력수단;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켜기 위해 전원 스위치신호를 인가하는 전원인가스위치수단;
    상기 전원인가스위치수단에서 전송되는 전원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처리하는 전원제어수단;
    상기 전원제어수단에서 처리된 상기 전원입력수단의 전원을 입력하는 단말기전원수단; 상기 단말기전원수단에 전원이 인가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내장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기 전원제어수단에 전원 제어 신호를 계속 인가하는 단말기제어수단;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있는 경우 비정상적인 전원 차단을 감지하여 해당 감지신호를 상기 전원제어수단에 전송하는 전원차단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안정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차단감지수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켜져 있는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전원이 순간적으로 차단될 경우 전원이 차단된 일정한 시간 동안 전원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안정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차단감지수단은
    차단된 전원이 다시 연결되면 감지 및 유지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상태에 의해 전원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안정화 장치.
KR1020010055549A 2001-09-10 2001-09-10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안정화 장치 KR20010090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549A KR20010090079A (ko) 2001-09-10 2001-09-10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안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549A KR20010090079A (ko) 2001-09-10 2001-09-10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안정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079A true KR20010090079A (ko) 2001-10-18

Family

ID=1971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549A KR20010090079A (ko) 2001-09-10 2001-09-10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안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00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366B1 (ko) * 2004-12-27 2007-05-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2424A1 (en) * 1989-08-03 1991-02-21 Motorola, Inc. Portable telephone with power source/mode change during calls
KR910021099A (ko) * 1990-05-07 1991-12-20 정용문 무선전화기의 전원 변환회로
KR960006316A (ko) * 1994-07-26 1996-02-23 조병일 이동 단말기의 전력소비 감소방법
WO2000045520A1 (en) * 1999-01-29 2000-08-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which is electronically switched on and of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2424A1 (en) * 1989-08-03 1991-02-21 Motorola, Inc. Portable telephone with power source/mode change during calls
KR910021099A (ko) * 1990-05-07 1991-12-20 정용문 무선전화기의 전원 변환회로
KR960006316A (ko) * 1994-07-26 1996-02-23 조병일 이동 단말기의 전력소비 감소방법
WO2000045520A1 (en) * 1999-01-29 2000-08-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which is electronically switched on and of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366B1 (ko) * 2004-12-27 2007-05-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8786B1 (en) Activation of a keyboard lock for a telephone apparatus
US4893348A (en) Power source control device in car telephone mobile station system
KR101354798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탈착 감지 장치 및 방법
JP2007532069A (ja) センサスクリーンセーバー
KR100630077B1 (ko) 휴대폰의 전원을 이용한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의 충전장치 및 방법
KR2001009007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안정화 장치
US8989664B2 (en) Portable device
US5819170A (en) Power supply unit with switch-on/off facility for powering radio equipment
KR20050001157A (ko) 긴급 위치보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1274744A (ja) 充電器内蔵携帯電話機
KR970007604B1 (ko)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
GB2594510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01006478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US9154600B2 (en) Hold func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KR20170128651A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의하여 차단된 대기 전력의 자동 복구 시스템 및 자동 복구 방법
JP2000341430A (ja) 通信装置
US6304656B1 (en) Power supplying to CPU of telephone
KR1011911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키인식방법
KR100348271B1 (ko) 이동 단말기의 수신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17791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27900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
KR19980026613A (ko) 핸드폰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KR950007980B1 (ko) 무선전화기 핸드셑의 전원차단시 통화종료처리회로
JP3487794B2 (ja) 電話装置
KR960013700B1 (ko) 무선전화기의 충전 채널 교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