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9413A - 약물 의존증 치료제 - Google Patents

약물 의존증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9413A
KR20010089413A KR1020017005777A KR20017005777A KR20010089413A KR 20010089413 A KR20010089413 A KR 20010089413A KR 1020017005777 A KR1020017005777 A KR 1020017005777A KR 20017005777 A KR20017005777 A KR 20017005777A KR 20010089413 A KR20010089413 A KR 20010089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dependence
formula
dependent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0347B1 (ko
Inventor
스즈키츠토무
미타시로
마츠노기요시
Original Assignee
모리타 다카카즈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타 다카카즈,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타 다카카즈
Publication of KR20010089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3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07D295/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s
    • C07D295/09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s with the ring nitrogen atoms and the oxygen or sulfur atoms separated by carbocyclic rings or by carbon chains interrupted by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Addic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1,4-(디페닐알킬)피페라진 유도체의 신규한 용도를 발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1,4-(디페닐알킬)피페라진 유도체 또는 그것의 염을 포함하는 약물 의존증에 대한 예방제 또는 치료제를 제공한다.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은 하기 화학식 II로 표시된다. 식 중에서, R1은 저급 알콕시이고, R2는 저급 알콕시이며, A는 저급 알킬렌이고, B는 저급 알킬렌이다.
화학식 I
화학식 II

Description

약물 의존증 치료제{DRUG DEPENDENCE REMEDIES}
약물 의존증은 생체와 약물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변화된 중추신경계의 기능적 적응 상태이다. 약물 의존증은 약물의 정신적 효과에 의존하는 정신 의존증과 금단(금단 증상)으로 인한 불쾌한 생체 반응을 피하기 위한 신체 의존증으로 분류된다. 약물 의존증에서 항상 관찰되는 증상은 섭취한 약물에 대한 정신 의존증과 그 약물을 구하려고 하는 강한 충동이다[Pharmacia,34, 900-904(1998)].
약물 남용으로 인한 약물 의존증의 공포는 심각한 사회 문제 중 하나이다. 약물 의존증의 본질인 정신 의존증과 그것의 증상인 중독의 직접적인 치료법은 아직까지 없다[Pharmacia,34, 905-909(1998)]. 코카인 등의 아고니스트 치료가 약물 의존증의 약물요법으로서 활발하게 연구 중에 있다[Pharmacia,34, 877-882(1998)].
모든 의존성 약물은 주작용 또는 부작용으로서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며, 대략 오피오이드 진통제, 중추신경계 억제제, 중추신경계 흥분제 및 정신 이상 발현제로 분류된다.
오피오이드 진통제의 예로는 아편, 그것에 함유된 모르핀, 모르핀으로부터 반합성되는 헤로인 및 이들과 유사한 약리학적 작용 및 의존성을 가진 페티딘 및 메타돈과 같은 합성 마약성 진통제, 및 펜타조신 및 부프레노르핀과 같은 길항성 진통제가 있다.
중추신경계 억제제의 예로는 바르비투르산 유도체, 메타콸론, 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및 수화클로랄과 같은 수면제, 메프로바메이트 및 벤조디아제핀 유도체와 같은 항불안제, 시너, 알코올 등과 같은 유기 용제가 있다.
중추신경계 흥분제의 예로는 대표적인 마약의 일종인 코카인, 암페타민과 같은 흥분제, 펜메트라진과 같은 식욕 억제제, 메틸페니데이트 및 피프라드롤과 같은 흥분제, 및 니코틴 및 카페인과 같은 기호 식품에 함유된 약물이 있다.
정신 이상 발현제의 예로는 LSD, DOM(2-아미노-1-(2,5-디메톡시-4-메틸)페닐프로판) 및 메스칼린과 같은 환각제, PCP(펜시클리딘), 대마 등이 있다("NEW Pharmacology", p. 606-611, Nankodo, 1989).
또한, 의존성 약물도 이들의 내성-의존성 교차 유무에 따라서 분류한다. 모르핀형 의존성 약물은 모르핀, 코데인, 메타돈, 페티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바르비투레이트-알코올형 의존성 약물은 바르비투레이트, 알코올, 약한 신경안정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코카인형 의존성 약물로는 코카인 등이 있다. 암페타민형 의존성 약물로는 암페타민, 메탐페타민 등이 있다. 대마형 의존성 약물로는 마리화나, 하시시 등이 있다. 환각제형 의존성 약물로는 LSD-25, 메스칼린, 사일로시빈 등이 있다. 유기 용제형 의존성 약물로는 톨루엔, 아세톤, 사염화탄소 등이있다("Opioid", p. 118-120, Kagakudojin, 1991).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인 1,4-(디페닐알킬)피페라진 유도체는 σ수용체에 대한 강한 친화성을 가지며, 치매, 우울증, 정신 분열증 및 불안증과 같은 뇌 신경 기능 장애, 면역 이상 및 내분비 이상에 수반되는 질환, 소화기계 궤양 등에 치료제로서 유용한 것으로 보고되었다(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89949/1995호). 이 유도체들은 망막 신경 세포에 대한 보호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안질환, 특히 당뇨병성 망막증, 망막 혈관 폐색증 및 녹내장에 대한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다고 보고되었다(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120569/1998호).
1,4-(디페닐알킬)피페라진 유도체의 약물 의존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행해지지 않았으며, 매우 관심을 끄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1,4-(디페닐알킬)피페라진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물에 관한 것이며, 약물 남용으로 인한 약물 의존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다.
1,4-(디페닐알킬)피페라진 유도체의 새로운 약리학적 작용을 발견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행함으로써, 본 발명자들은 1,4-(디페닐알킬)피페라진 유도체가 약물 의존성에 대한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자들은 1,4-(디페닐알킬)피페라진 유도체가 약물 남용으로 인한 약물 의존성에 대하여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을 함유하는 약물 의존성에 대한 예방제 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R1은 저급 알콕시이고, R2는 저급 알콕시이며, A는 저급 알킬렌이고, B는 저급 알킬렌이다.
전술한 기들을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저급 알콕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또는 부톡시와 같은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저급 알콕시이다. 저급 알킬렌은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부틸렌과 같은 1 내지 6 탄소 원자를 가진 저급 알킬렌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는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각각의 기가 다음과 같은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이다:
(1a) A는 2 내지 4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저급 알킬렌이고; 및/또는
(2a) B는 2 내지 4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저급 알킬렌이다.
즉,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상기 (1a)로 규정된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상기 (2a)로 규정된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 및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상기 (1a) 및 상기 (2a)의 조합으로 규정된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
본 발명의 화합물의 특히 바람직한 예는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각각의 기가 다음과 같은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이다:
(1b) R1은 메톡시이고; 및/또는
(2b) R2는 메톡시이다.
즉,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상기 (1b)로 규정된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상기 (2b)로 규정된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 및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상기 (1b) 및 상기 (2b)의 조합으로 규정된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의 예는 하기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1-[2-(3,4-디메톡시페닐)에틸]-4-(3-페닐프로필)피페라진 또는 그것의 염이다.
전술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일 수 있으며, 염산염, 황산염, 인산염, 락트산염, 말레산염, 푸마르산염, 옥살산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전술한 화합물은 수화물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약물 남용으로 인한 약물 의존증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특정한 약물 의존증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약물의 정신적 의존 유발능의 유무 또는 강도를 검정하는 방법으로서 테스트 약물에 대한 선택적 흡수 행동 또는 자기 흡수 행동을 관찰하는 방법이 오래 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비교적 간단하고 신뢰성있는 방법으로서 조건부 장소 기호성(conditioned place preference)에 대한 효과를 지표화하는 방법(CPP법)이 적용되고 있다("Opioid", p. 118-120, Kagakudojin, 1991). 본 발명자들은 조건부 장소 기호 테스트 방법(CPP법)을 이용하여 1,4-(디페닐알킬)피페라진 유도체의 존재 하에서 의존성 약물의 정신적 의존 유발능의 유무 또는 강도를 연구하였다. 상세한 설명은 문헌(Pharmacological Tests)에 기재되어 있다. 1,4-(디페닐알킬)피페라진 유도체가 의존성 약물의 정신적 의존 유발능에 대한 탁월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의존성 약물 남용으로 인한 약물 의존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약물의 투여 형태의 예로는 정제, 캡슐 및 과립과 같은 경구제, 주사제 등이 있다. 이들 제제는 일반적인 기술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 캡슐 및 과립과 같은 경구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락토스, 전분, 결정 셀룰로스 또는 식물유와 같은 증량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또는 탤크와 같은 윤활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또는 폴리비닐 피롤리돈과 같은 결합제, 칼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와 같은 붕괴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마크로골또는 실리콘 수지와 같은 코팅제, 또는 젤라틴 필름 형성제를 첨가함으로써 화합물(I) 또는 그것의 염을 그러한 제제로 조제할 수 있다.
투여량은 증상, 연령, 투여 형태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하며, 경구제의 경우, 보통 일일 투여량이 1 내지 1000 mg이고, 단일 투여 또는 수 회 분할 투여로 제공할 수 있다.
약리학적 테스트를 실시예로서 하기에 나타낸다.
약리학적 테스트
의존성 약물에 의한 정신적 의존 유발능에 대한 1,4-(디페닐알킬)피페라진 유도체의 효과를 스즈키(Suzuki) 등의 보고[Life Science, 57, 1277-1284(1995)]에 따라서 조건부 장소 기호성 테스트(CPP법)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실시예 1
의존성 약물의 정신적 의존 유발능에 대한 테스트 화합물의 효과
동물
체중이 약 250 g인 5.5 주령의 수컷 스프라그 돌리 래트를 군당 8 마리 사용하였다.
장치
직방형 평행육면체 상자를 슬라이드식 격벽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중심부에서 두 개의 구획으로 나누고, 한 구획을 백색으로 한 반면에 다른 구획은 흑색으로 한 장치를 사용하였다.
테스트 화합물과 의존성 약물의 용액
사용하고자 하는 테스트 화합물과 의존성 약물을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켰다.
투여 방법
테스트 화합물의 용액(1 mg/㎖ 및 3 mg/㎖)을 래트에게 피하 투여하였다(1 ㎖/kg). 의존성 약물의 용액은 모르핀 투여군(생리식염수와 8 mg/㎖의 모르핀 염산염 용액)에 피하 투여하고, 코카인 투여군(생리식염수와 4 mg/㎖의 코카인 염산염 용액)과 메탐페타민 투여군(생리식염수와 2 mg/㎖의 메팀페타민 염산염 용액)에는 복강내 투여하였다(각각 1 ㎖/kg).
장소 조건부 방법(Place conditioning procedure)
전 조건부:
격벽을 제거한 상자에 래트를 넣었다. 이들 래트가 각기 백색 구획과 흑색 구획 내에서 체류한 누적 시간을 15 분 동안 측정하고, 래트가 보다 긴 시간 동안 체류한 구획 내 체류 시간(전 값)은 이들 간의 차로부터 결정하였다. 이 조작은 3 일 동안 일일 일 회 실행하였다.
조건부:
상자를 격벽에 의해 두 구획으로 분할하였다. 테스트 화합물의 용액을 래트에게 투여하고, 30 분 후에, 의존성 약물의 용액을 래트에게 더 투여하였다. 전 조건부에서 래트가 보다 짧은 시간 동안 체류한 구획 내에 래트를 50 분 동안 가두었다. 그 다음 날, 단지 생리식염수만을 그 래트에게 투여한 다음, 래트가 보다 긴 시간 동안 체류한 구획 내에 래트를 50 분 동안 가두었다. 이 훈련을 3 회 반복하였다(2 X 3 일).
후 조건부:
격벽을 상자에서 제거하고, 조건부 래트를 상자에 넣었다. 래트가 백색 구획과 흑색 구획 각각에서 체류한 각각의 누적 시간을 15 분 동안 측정하고, 래트가 긴 시간을 체류한 구획 내 체류 시간(후 값)을 이들의 차로부터 결정하였다.
측정 방법
래트가 각각의 구획에서 체류한 누적 시간은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데이터 분석
의존성 약물의 정신적 의존 유발능은 지표로서 조건부 약물의 동기 효과(motivational effect)를 나타내는 CPP 스코어(초)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CPP 스코어(초) = 후 값(초) - 전 값(초)
의존성 약물의 정신적 의존 유발능에 대한 테스트 화합물의 효과는 억제율(%)로서 하기 수학식에 의해 결정하였다.
억제율(%) = [(A - B)/A] X 100
A: 생리식염수 투여군의 CPP 스코어(초)
B: 테스트 화합물 투여군의 CPP 스코어(초)
결과
의존성 약물로서 모르핀 염산염, 코카인 염산염 및 메탐페타민 염산염과, 테스트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1-[2-(3,4-디메톡시페닐)에틸]-4-(3-페닐프로필)피페라진 이염산염(이하, "화합물 A"라고 한다)을 각기 사용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이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의존성 약물 억제율(%)*
화합물 A(1 mg/kg) 화합물 A(3 mg/kg)
모르핀 투여군 38 50
코카인 투여군 26 55
메탐페타민 투여군 55 57
*) 1 군 내 8 마리 샘플의 평균
표 1은 화합물 A를 투여했을 때, 조건부 약물의 동기 효과의 억제율이 모든 투여군에서의 투여량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며, 화합물 A가 의존성 약물의 정신적 의존 유발능을 명백히 억제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2
테스트 화합물 및 의존성 약물의 정신적 의존 유발능 테스트
동물
체중이 약 250 g인 5.5 주령의 수컷 스프라그 돌리 래트를 군당 8 마리 사용하였다.
장치
직방형 평행육면체 상자를 슬라이드식 격벽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중심부에서 두 개의 구획으로 나누고, 한 구획을 백색으로 한 반면에 다른 구획은 흑색으로 한 장치를 사용하였다.
테스트 화합물과 의존성 약물의 용액
사용하고자 하는 테스트 화합물과 의존성 약물을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켰다.
투여 방법
테스트 화합물의 용액(0.3 mg/㎖, 1 mg/㎖ 및 3 mg/㎖)을 래트에게 피하 투여하였다(1 ㎖/kg). 의존성 약물의 용액은 모르핀 투여군(2 mg/㎖, 4 mg/㎖ 및 8 mg/㎖의 모르핀 염산염 용액)에 피하 투여하고, 코카인 투여군(2 mg/㎖, 4 mg/㎖ 및 8 mg/㎖의 코카인 염산염 용액)과 메탐페타민 투여군(1 mg/㎖, 2 mg/㎖ 및 4 mg/㎖의 메팀페타민 염산염 용액)에는 복강내 투여하였다(각각 1 ㎖/kg). 생리식염수는 각각의 투여군의 투여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투여하였다(각각 1 ㎖/kg).
장소 조건부 방법(Place conditioning procedure)
전 조건부:
격벽을 제거한 상자에 래트를 넣었다. 이들 래트가 각기 백색 구획과 흑색 구획 내에서 체류한 누적 시간을 15 분 동안 측정하고, 래트가 보다 긴 시간 동안 체류한 구획 내 체류 시간(전 값)은 이들 간의 차로부터 결정하였다. 이 조작은 3 일 동안 일일 일 회 실행하였다.
조건부:
상자를 격벽에 의해 두 구획으로 분할하였다. 의존성 약물의 용액 또는 테스트 화합물의 용액을 래트에게 피하 투여하였다. 전 조건부에서 래트가 보다 짧은시간 동안 체류한 구획 내에 래트를 50 분 동안 가두었다. 그 다음 날, 단지 생리식염수만을 그 래트에게 투여한 다음, 래트가 보다 긴 시간 동안 체류한 구획 내에 래트를 50 분 동안 가두었다. 이 훈련을 3 회 반복하였다(2 X 3 일).
후 조건부:
격벽을 상자에서 제거하고, 조건부 래트를 상자에 넣었다. 래트가 백색 구획과 흑색 구획 각각에서 체류한 각각의 누적 시간을 15 분 동안 측정하고, 래트가 긴 시간을 체류한 구획 내 체류 시간(후 값)을 이들의 차로부터 결정하였다.
측정 방법
래트가 각각의 구획에서 체류한 누적 시간은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데이터 분석
의존성 약물의 정신적 의존 유발능은 지표로서 조건부 약물의 동기 효과를 나타내는 CPP 스코어(초)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조건부 약물인 의존성 약물과 테스트 화합물의 동기 효과는 하기 수학식에 의해 결정하였다.
CPP 스코어(초) = 후 값(초) - 전 값(초)
결과
표 2는 모르핀 염산염과 코카인 염산염을 사용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표 3은 메탐페타민 염산염을 사용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표 4는 테스트 화합물로서 화합물 A를 사용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CPP 스코어(초)*
생리식염수 2 mg/kg 4 mg/kg 8 mg/kg
모르핀 투여군 19 171 187 228
코카인 투여군 19 141 178 259
*) 1 군 내 8 마리 샘플의 평균
생리식염수 1 mg/kg 2 mg/kg 4 mg/kg
메탐페타민 투여군 19 155 224 151
*) 1 군 내 8 마리 샘플의 평균
표 2 및 표 3에는 의존성 약물인 모르핀, 코카인 또는 메탐페타민을 투여하였을 때, 조건부 약물의 동기 효과[CPP 스코어(초)]가 플러스이므로 이들 의존성 약물이 욕구 효과(정신적 의존 유발능)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CPP 스코어(초)*
생리식염수 0.3 mg/kg 1 mg/kg 3 mg/kg
화합물 A 투여군 -13 -37 -45 -64
*) 1 군 내 8 마리 샘플의 평균
반면에, 표 4에는 화합물 A를 투여하였을 때, 조건부 약물이 어떠한 투여량에서도 동기 효과[CPP 스코어(초)]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화합물 A는 정신적 의존 유발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술한 결과로부터, 1,4-(디페닐알킬)피페라진 유도체가 의존성 약물의 정신적 의존 유발능에 대해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약물 남용으로 인한 약물 의존증에 대한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서 1,4-(디페닐알킬)피페라진 유도체를 함유하며, 약물 남용으로 인한 약물 의존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약물을 제공한다.

Claims (3)

  1. 유효 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1,4-(디페닐알킬)피페라진 유도체 또는 그것의 염을 포함하는 약물 의존증에 대한 예방제 또는 치료제: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R1은 저급 알콕시이고, R2는 저급 알콕시이며, A는 저급 알킬렌이고, B는 저급 알킬렌이다.
  2. 유효 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을 포함하는 약물 의존증에 대한 예방제 또는 치료제:
    화학식 II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약물 의존증은 모르핀 유발 약물 의존증, 코카인 유발 약물 의존증, 메탐페타민 유발 약물 의존증, 니코틴 유발 약물 의존증, 알코올 유발 약물 의존증, 페니실린 유발 약물 의존증 또는 벤조디아제핀 유도체 유발 약물 의존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의존증에 대한 예방제 또는 치료제.
KR1020017005777A 1998-11-09 1999-11-04 약물 의존증 치료제 KR100700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17468 1998-11-09
JP31746898 1998-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413A true KR20010089413A (ko) 2001-10-06
KR100700347B1 KR100700347B1 (ko) 2007-03-29

Family

ID=18088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777A KR100700347B1 (ko) 1998-11-09 1999-11-04 약물 의존증 치료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492369B2 (ko)
EP (1) EP1130018B1 (ko)
KR (1) KR100700347B1 (ko)
CN (1) CN1131221C (ko)
CA (1) CA2349452C (ko)
DE (1) DE69934902T2 (ko)
ES (1) ES2281196T3 (ko)
NO (1) NO321735B1 (ko)
WO (1) WO20000278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16539A1 (en) 2008-04-25 2009-11-11 Laboratorios Del. Dr. Esteve, S.A. 1-aryl-3-aminoalkoxy-pyrazoles as sigma ligands enhancing analgesic effects of opioids and attenuating the dependency thereof
EP2353598A1 (en) 2010-02-04 2011-08-10 Laboratorios Del. Dr. Esteve, S.A. Sigma ligands for use in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postoperative pain
EP2353591A1 (en) 2010-02-04 2011-08-10 Laboratorios Del. Dr. Esteve, S.A. Sigma ligands for potentiating the analgesic effect of opioids and opiates in post-operative pain and attenuating the dependency thereof
EP2388005A1 (en) 2010-05-21 2011-11-23 Laboratorios Del. Dr. Esteve, S.A. Sigma ligands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emesis induced by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EP2415471A1 (en) 2010-08-03 2012-02-08 Laboratorios Del. Dr. Esteve, S.A. Use of sigma ligands in opioid-induced hyperalgesia
EP2524694A1 (en) 2011-05-19 2012-11-21 Laboratorios Del. Dr. Esteve, S.A. Use of sigma ligands in diabetes type-2 associated pain
AU2014364647A1 (en) 2013-12-17 2016-06-23 Laboratorios Del Dr. Esteve, S.A.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SNRIs) and Sigma receptor ligands combinat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6857A (en) * 1991-05-08 1996-09-17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Disturbance-of-consciousness improving agent
EP0591426A4 (en) * 1991-06-27 1996-08-21 Univ Virginia Commonwealth Sigma receptor ligands and the use thereof
WO1995000131A1 (en) * 1993-06-23 1995-01-05 Cambridge Neuroscience, Incorporated Sigma receptor ligands and the use thereof
CN1042029C (zh) * 1993-07-28 1999-02-10 参天制药株式会社 1,4-(二苯基烷基)哌嗪衍生物及含有它的药物组合物
JP2883970B2 (ja) 1993-07-28 1999-04-19 参天製薬株式会社 新規1,4−(ジフェニルアルキル)ピペラジン誘導体
JPH10120569A (ja) 1996-10-21 1998-05-12 Santen Pharmaceut Co Ltd 眼疾患予防または治療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27833A1 (fr) 2000-05-18
ES2281196T3 (es) 2007-09-16
NO20012226D0 (no) 2001-05-04
DE69934902D1 (de) 2007-03-08
EP1130018A1 (en) 2001-09-05
NO321735B1 (no) 2006-06-26
NO20012226L (no) 2001-06-12
CN1325391A (zh) 2001-12-05
US6492369B2 (en) 2002-12-10
EP1130018B1 (en) 2007-01-17
EP1130018A4 (en) 2003-01-15
US20020019399A1 (en) 2002-02-14
CN1131221C (zh) 2003-12-17
KR100700347B1 (ko) 2007-03-29
DE69934902T2 (de) 2007-10-18
CA2349452C (en) 2009-02-10
CA2349452A1 (en) 200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ldberg et al. A comparison of the vascular dopamine receptor with other dopamine receptors
Mash et al. Medication Development of Ibogaine as a Pharmacotherapy for Drug Dependence a
Evans et al. Amphetamine-like effects of anorectics and related compounds in pigeons.
CZ298298A3 (cs) Kompozice pro léčení bolesti
Singh et al. Drugs affecting learning and memory
KR100700347B1 (ko) 약물 의존증 치료제
Kocher Systemic naloxone does not affect pain-related behaviour in the formalin test in rat
EP0278161A1 (en) Ketone derivatives as medicament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the withdrawal syndrome
Cooper et al. Food and water intake in the non-deprived pigeon after morphine or naloxone administration
Fanselow et al. Modulation of appetitively and aversively motivated behavior by the kappa opioid antagonist MR2266.
AU4043793A (en) Agents for treating substance abuse disorders
Lal et al. Alleviation of narcotic withdrawal syndrome by conditional stimuli
Nader et al. Clonidine antagonizes the aversive effects of opiate withdrawal and the rewarding effects of morphine only in opiate withdrawn rats.
Ehrenpreis et al. Interaction of drugs of dependence with receptors
DE69731657T2 (de) Die verwendung von nk-1 rezeptor antagonisten für die behandlung von substanz-verwendung störungen
JP3752580B2 (ja) 薬物依存症治療剤
RU2197245C2 (ru) Пиридил- и пиримидил-пиперазины в лечении болезней, вызываемых злоупотреблением лекарственными и/или наркотическими веществами
CN1119100A (zh) 使用三环化合物制备治疗记忆识别失调的药物
EP193724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rug or alcohol addiction or bipolar disorder using sodium phenylbutyrate
CA2203914A1 (en) Method of inhibiting conditions associated with bradykinin
Shook et al. A cyclic somatostatin analog that precipitates withdrawal in morphine-dependent mice
Bhakthavatsalam et al. Tolerance pattern to amphetamine anorexia after selective lesions in the hypothalamic dopaminergic projection
Chahl The Enteric Nervous System as a Model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for Studies of Opiate Dependence
EP0755680B1 (en) Use of piperazine compounds as narcotic antagonists
Ates et al. Effects of loreclezole on epileptic activity, EEG and behaviour in rats with absence seiz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