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9234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9234A
KR20010089234A KR1020010012172A KR20010012172A KR20010089234A KR 20010089234 A KR20010089234 A KR 20010089234A KR 1020010012172 A KR1020010012172 A KR 1020010012172A KR 20010012172 A KR20010012172 A KR 20010012172A KR 20010089234 A KR20010089234 A KR 20010089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ank
pump
disposed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7388B1 (ko
Inventor
기따무라히로시
야기게이지로
모리야도시유끼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20010089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3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small size, e.g. portable mini dishwashers for small kitchens, office kitchens, boats, recreational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세척조와, 세척조 아래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와, 세척 펌프와, 세척 펌프의 작동에 의해 탱크로부터 세척조 내의 식기로 세척수를 분무하기 위한 노즐을 포함하고, 세척 펌프가 길이 방향에 대해 세척조 하부의 세척조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고, 탱크로부터 노즐로 세척수가 통과하기 위한 세척수 통로가 세척 펌프의 배치와 동일한 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척된 식기를 건조시키는 히터가 세척조 내에 세척 펌프와 대향하는 측면 상에 배치되고, 토출 펌프가 세척조의 하부 후방측 및 세척 펌프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예컨대, 상부판 및 하부판 바스켓이 세척조 내에 배치되고 축을 따라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길이가 긴 세척 노즐이 상부판 및 하부판 바스켓 사이에 배치되며 2개의 좌우 평면 회전식 세척 노즐들이 하부판 바스켓 아래에 배치된 일본 특허 공개 평10-57295호의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길이가 긴 세척 노즐, 세척수를 순환되도록 평면 회전식 세척 노즐에 공급하는 세척 펌프, 및 세척 후에 기계로부터 세척수를 토출하는 토출 펌프는 세척조 아래에 배치된다. 또한, 세척조의 외측에서, 세척수를 평면 회전식 세척 노즐로 이송하는 v자형 도관 튜브가 세척조의 아래에 배치되고, 세척수를 수직으로 연장하는 길이가 긴 세척 노즐로 이송하는 수직 도관 튜브가 세척조의 배면측 상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전술된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일본 특허 공개 평10-57295호의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유동 경로의 구조가 복잡하고 수직 도관 튜브가 세척조 내부로 돌출하기 때문에 전체 기계의 크기를 소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고 전체 크기가 소형인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세척조와, 세척조 아래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와, 세척 펌프와, 세척 펌프의 작동에 의해 탱크로부터 세척조 내의 식기로 세척수를 분무하기 위한 노즐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는 세척 펌프가 길이 방향에 대해 세척조 하부의 세척조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고, 탱크로부터 노즐로 세척수가 통과하기 위한 세척수 통로가 세척 펌프의 배치와 동일한 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척된 식기를 건조시키는 히터가 세척조 내에 세척 펌프와 대향하는 측면 상에 배치되고, 토출 펌프가 세척조의 하부 후방측 및 세척 펌프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점이 특징이다. 세척수를 탱크로부터 세척조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 수단이 세척 펌프의 배치와 같이 동일한 측면 상에 배치된다. 식기 세척기가 간단하고 소형인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세척된 식기를 건조시키는 히터가 세척조 내에 세척 펌프와 대향하는 측면 상에 배치되고, 토출 펌프가 세척조의 하부 후방측 및 세척 펌프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 배치된다. 히터와 토출 펌프 등의 배치는 식기 세척기를 간단하고 소형으로 제작하도록 한다.
노즐은 세척조의 하부 일측면 부분에 배치되는 하부 회전 노즐, 세척조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하부 고정 노즐들,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척조 내의 하부 회전 노즐 및 고정 노즐 위에 배치되는 각각의 상부 회전 노즐들 및 상부 노즐 위에 배치된 분사 노즐이다. 이러한 노즐의 배치는 단시간 내에 세척될 대상을 고르게 세척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 외관의 사시도.
도2는 제1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분해된 부품들의 사시도.
도3은 제1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전방 단면도.
도4는 도3의 선 A-A를 따라 취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5는 도3의 선 B-B를 따라 취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6은 도3의 선 C-C를 따라 취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7은 도3의 선 D-D를 따라 취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8은 도3의 선 E-E를 따라 취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9는 도3의 선 F-F를 따라 취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10은 도3의 선G-G를 따라 취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11은 도3의 선H-H를 따라 취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12는 도3의 선I-I를 따라 취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13은 도1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선을 따라 취한 식기 세척기의 확대 단면도.
도14은 도1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선을 따라 취한 식기 세척기의 확대 단면도.
도15는 도1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선을 따라 취한 식기 세척기의 확대 단면도.
도16은 제1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일부분의 확대도.
도17은 제1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에 사용된 세척 펌프의 단면도.
도18은 펀, 펀 덕트, 및 이들을 둘러싼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실시에의 식기 세척기의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19는 제1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20은 제1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에 이용되는 세척수 분사 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21은 제1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전방 하부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22는 제1 실시예의, 도어가 개방된 식기 세척기의 내부의 사시도.
도23은 제1 실시예의 운전실의 수용 상태를 도시한 식기 세척기의 평면도.
도24는 도23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예의 운전실의 수용 상태를 도시한 식기 세척기의 평면도.
도25a 및 도25b는 제1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운전실의 사시도.
도26a 및 도26b는 제1 실시예의 운전실의 개폐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27a 및 도27b는 제1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개폐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28은 제1 실시예의 도어의 코일 스프링을 도시한 개략도.
도29는 제1 실시예의 분해된 상부 노즐 부분의 각각의 단면도.
도3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세척조
61 : 탱크
81 : 세척 펌프
82 : 히터
83 : 전자 밸브
84 : 토출 펌프
163 : 노즐
200 : 필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후 설명되어질 것이다.
먼저, 식기 세척기의 요점이 기술된다. 도1 내지 도3 및 도19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1)은 외부 프레임 판(2), 후방 판(3), 기부(4), 전방 패널(26) 등으로 구성된다. 외부 프레임(1)의 전방면에서, 하부 도어(6) 및 상부 도어(7) 각각은 개폐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강철판으로 제조된 외부 프레임 판(2)은 양 측부의 측판 부분(8)과 상부판 부분(9)으로 구성되고, 역 U 자로 형성된다. 강철판으로 제조된 후방판(3)은 하부 부분에 만곡부(20)를 갖는다. 외부 프레임 판(2)의 각각의 측면판 부분(8)의 하부 모서리 부분은 만곡부(20)가 끼워맞춤되도록 절결된다.
강철판으로 제조된 기부(4)는 바닥부(21), 측면부(22) 및 후방부(23)를 갖는다. 바닥부(21)는 고무 푸트(24; foot)가 제공된다. 후방판(3)의 만곡부(20)의 하향 연장부는 기부(4)의 후방 부분(23)의 내부 표면 상에서 겹쳐지고 고정되어질 나사(25)에 의해 체결된다.
합성 수지로 제조된 전방 패널(26)은 기부(4)의 전방 개구부를 막도록 배치된다. 전방 패널(26)은 기부(4)에 장착되고 나사, 누수 방지(caulking) 등에 의해 고정된다. 전방 패널(26)은 내부 표면에 제어기(27)가 제공된다. 조작자의 콘솔(29)은 전방 패널(26)의 중앙에 형성된 측방향으로 긴 개구(28)에 끼워맞춤된다. 작동 패널(30)은 조작자의 콘솔(29)의 표면에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전방 패널(26)은 상부 에지부에 오목부(40)가 제공된다. 이후에 상세히 기술될 찌꺼기를 수집하기 위한 필터(200)는 당겨서 개방되거나 밀어서 폐쇄될 수 있도록 오목부(40)에 제공된다.
하부 도어(6)는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아래로 열려서(tumble) 개방된다. 내부 커버(41)는 도어(6)의 내부 표면에 제공된다. 손잡이(43)는 하부 도어(6)의 표면의 개방부(42)에 제공된다.
상부 도어(7)는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업(flip up)되도록 개방된다. 상부 도어(7)는 2개의 도어편(44, 45)으로 구성된다. 도어편(44)의 상부 모서리와 도어편(45)의 하부 모서리는 (도시되지 않은) 힌지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부 도어가 개방될 때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된다. 내부 커버(46)가 도어편(44, 45)의 내부 표면 상에 또한 제공된다. 도어편(44)에는 투명 재료로 형성되는 윈도우(47)가 제공된다. 창문(47)을 통해 식기 세척기의 내부를 볼 수 있다. 도어편(44)에는 도시되지 않은 손잡이가 제공된다. 도어편(45)에는 토출 포트(48)가 제공된다. 이 토출 포트(48)로부터, 세척 및 건조 작동 중에 생성되는 증기 등이 이후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토출된다.
세척조(washing tub; 60)는 외부 프레임(1)의 외부 프레임판(2) 내부에 장착되고 세척조(60)의 하부에 장착된 섬프 탱크(sump tank; 61)는 기부(4)의 내부에 배치된다.
세척조(60)는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양 측면 상의 측부(62), 상부(63) 및 후방부(64)를 가진다. 세척조(60)의 전방부 및 하방부는 개방된다. 외향 돌출하는 플랜지부(65)는 측부(62) 및 상부(63)의 전방 에지부에 형성되다. 이후에 기술되는 송풍기를 장착하기 위한 오목부(66)는 세척조(60)의 우측부(62)에 있다. 이후에 기술되는 수준 센서 또는 게이지를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67)는 후방부(64)의 하부측에 형성된다. 양 오목부(66, 67)는 내측을 향해 들어가도록 형성되다.
세척조(60)의 플랜지부(65)는 도어(6, 7)의 주연 모서리와 접한다. (도시되지 않은) 방수 패킹이 플랜지부(65)에 제공되기 때문에, 도어(6, 7)는 패킹을 통해 플랜지부(65)와 접한다.
섬프 탱크(61)는 측방향으로 긴 형상의 외향 돌출된 플랜지부(68)를 가진다. 세척조(50)의 하단부는 도시되지 않은 방수 패킹을 통해 플랜지부(68)에 접하여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플랜지부(68)는 전방측에서 절결된 절결부(69)를 가진다. 절결부(69)는 이후에 기술되고 자유롭게 당겨지는 찌꺼기 수집용 필터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섬프 탱크(61)는 도3, 도4, 도11 및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에 세척 펌프의 흡입부와 연통하는 개구부(80)를 가진다. 개구부(80)는 최하위에 위치된다. 개구부(80)의 좌측 상의 섬프 탱크(61)의 바닥부는 얕게 상승한다. 따라서, 섬프 탱크(61)의 좌측 바닥부 아래에 공간이 형성된다. 세척 펌프(81)는 상기 공간에 설치된다.
또한, 우측 상의 섬프 탱크(61)의 바닥부는 앝게 바닥에서 부분적으로 상승한다. 적절한 공간이 도3, 도9, 도4, 도5, 도6, 도7, 도9, 도11, 도13, 도14 및 도1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섬프 탱크(61)의 상승된 바닥부 아래에 형성된다. 도9,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에 의해 지시되는 공간에 히터(82)의 연결을 위한 외부 단자가 위치되고 공급 세척수 전자 밸브(83)는 B에 의해 지시되는 공간에 배치된다. C에 의해 지시되는 공간에서, 방출 펌프(84)가 배치된다. 히터(82)는 열이 섬프 탱크(61)에 직접 전도되지 않도록 바닥으로부터 약간 상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섬프 탱크(61)는 열변형되지 않고 열변형으로 인한 누수와 같은 위험이 사라지고 안정성이 보장된다.
브랜치 탱크(85)는 도13 내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61) 아래에 배치된다. 탱크(61)의 하부 표면과 기부(4) 사이의 거리가 작으므로, 브랜치 탱크(85)는 낮은 높이와 넓은 폭의 형상으로 제조된다. 브랜치 탱크(85)의 내부는 중공형으로 제조되어 탱크(81)로부터 세척수를 수용하기 위한 흡입 포트(86), 세척수를 세척 펌프(81)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포트(87), 방출 펌프(84)와 통해 있는방출 포트(88) 및 레벨 게이지 유닛(100)과 연결된 연통 포트(89)와 통해 있다.
탱크(61)의 개구 포트(80)는 누설이 발생되지 않도록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방수 패킹을 통해 브랜치 탱크(85)의 흡입 포트(86) 내에 끼워맞춤된다. 세척 펌프(81)는 공급 포트(87)에 연결된다. 방출 펌프(84)는 도11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포트(88)에 연결된다. 레벨 덕트(100)는 도11 및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포트(89)에 연결된다.
레벨 센서(102)는 도2,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튜브(101)를 통해 레벨 덕트(100)에 연결된다. 레벨 센서(102)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61)보다 더 높은 오목부(67) 내에 배치된다.
히터(82)와의 연결을 위한 외부 단자, 공급수를 위한 전자 밸브(83) 및 방출 펌프(84)가 공간(A), 공간(B) 및 공간(C) 내에 각각 설치되므로, 그 측부 표면 및 후반 표면 위의 돌출량이 적어지게 됨으로써 외부 프레임(1)의 폭 및 깊이가 작아지도록 가압될 수 있고 프레임이 밀집되게 제도될 수 있다.
방출 펌프(84)가 모터 섹션(103) 및 펌프 섹션(104)으로 구성되고, 펌프 섹션(104)이 모터 섹션(103)을 모터 섹션(103)의 축방향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펌프(84)는 축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는다. 방출 펌프(84)는 그 길이가 탱크(61)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공간(C) 내에 배치되므로, 특히 방출 펌프(84)의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가압될 수 있어서 소형화에 더기여할 수 있다.
공간(C)은 예를 들어 도3 및 도9의 조합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간(A) 및 공간(B)보다 상방으로 더 확장된다. 이것은 방출 펌프(84)의 외부 직경이 공급수의 전자 밸브(83)보다 더 크고 공간(C)이 직경 차에 의해 상승되기 때문이다. 방출 호스(106)는 사이펀 브레이커(105)를 통해 방출 펌프(84)의 운반 포트에 연결된다. 사이펀 브레이커(105)는 방출수가 방출 호스(106)로부터 브랜치 탱크(85)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브랜치 탱크(85)로의 역류가 방지되므로, 악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동로 내에 밸브 등을 제공함으로써 기계 내로 바퀴벌레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랜치 탱크(85)의 방출 포트(88)가 상방으로 개방되지만, 방출 포트를 하방으로 개방시키도록 변경함으로써 브랜치 탱크(85) 내에 남아 있는 방출수의 양이 더 적어지고 악취가 억제될 수 있다.
공급수 호스(107)는 공급수 전자 밸브(83)의 공급 포트 측에 연결된다. 공급수 덕트(108)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밸브(83)의 운반 측에 연결된다. 공급수 덕트(108)는 탱크(61) 및 세척조(60)의 외부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그리고 상단부 출구는 세척조(60)의 내측으로 개방되도록 배치된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펌프(81)는 모터 섹션(120) 및 펌프 섹션(121)으로 구성된다. 펌프 섹션(121)의 펌프 러너(122)는 모터 섹션(120)의 회전 축 상에 지지된다. 펌프 섹션(121)에는 흡입 포트(123) 및 운반 포트(124)가 제공된다. 냉각 송풍기(125)는 펌프 섹션(121)의 반대 측면에서 모터 섹션(120)의 회전 축 상에 제공된다. 세척 펌프(81)는 모터 섹션(120), 펌프 섹션(121) 및 송풍기(125)는 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므로 축방향으로 긴 형상을 구비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탱크(61)의 좌측 하부 공간 내에 배치된 세척 펌프(81)는세척 펌프(81)의 축방향 및 탱크(61)의 길이 방향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세척 펌프(81)는 탱크(61)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는 송풍기(125)의 일부분을 제외하고 외부 프레임(1) 영역 내에 배치되어, 세척 펌프(81)가 탱크(61)의 측방향 또는 후방 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과 비교하여 폭과 깊이가 더 작고 보다 소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세척 펌프(81)의 흡입 포트(123)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랜치 탱크(85)의 공급 포트(87)에 연결된다. 방수 패킹(126)이 흡입 포트(123)의 외주연부에 제공되므로, 세척수는 연결부로부터 누수되지 않는다. 운반 포트(124)는 탱크(61)의 일부를 통과하여 브랜치 파이프(127)의 하단부 연결 포트에 연결된다. 방수 패킹(128)(도17)이 운반 포트(124)의 외주연부 주위로 제공되므로, 연결부에서는 세척수가 새지 않는다.
브랜치 파이프(127)는 도2, 도3, 도9, 및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운반 포트를 갖는다. 그것은 하부 회전 노즐용 운반 포트(131), 하부 고정 노즐용 운반 포트(129),상부 노즐용 운반 포트(130)이다. 하부 회전 노즐용 운반 포트(131)를 형성하는 파이프(140)는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팁은 상향 절곡되어 있다. 하부 회전 노즐(141)은 파이프(140)의 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부 회전 노즐(141)은 물보라 형태로 제트류를 분출하기 위한 분출 수단이다. 하부 고정 노즐용 운반 포트(129)를 형성하는 튜브(142)는 탱크(61)의 측부 표면을 따라 전방 면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파이프(142)의 단부에연결되는 연장 파이프(143)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61)의 전방 내벽을 따라 배치된다. 하부 고정 노즐(144)은 중간 통로 및 단부에서 연장 파이프(143)에 연결된다. 하부 고정 노즐(144) 각각은 물보라 형태로 제트류를 분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두 개의 하부 고정 노즐(144)은 각각 대략 직각으로 탱크(61)를 횡단하도록 전방 측면에서부터 후방 측면으로 배치된다. 하부 고정 노즐(144) 및 하부 회전 노즐(141) 각각에는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노즐편(145)이 제공된다. 노즐편(145)은 분출 구멍(146)을 갖는다. 하부 회전 노즐(141)에는 중앙 세척수 공급 포트의 각 반부 측면을 위한 두 개의 작은 노즐편(145)가 제공된다. 반부 노즐을 위한 노즐편(145)의 수는 두 개에 제한되지 않고, 두 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노즐편의 분출 구멍(146)은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반부 노즐을 위한 노즐편의 분출 구멍(146)은 타반부 노즐편의 분출 구멍에 대해 역방향으로 배향되어, 하부 회전 노즐(141)은 분출 구멍(146)로부터 분출되는 세척수의 반작용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도3,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회전 노즐(141)은 세척조(60)의 좌측에 위치되고, 하부 고정 노즐(144)은 세척조(60)의 우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세척조(60)의 좌측 영역에서의 세척은 하부 회전 노즐(141)에 의해 이루어지고, 우측 영역에서의 세척은 하부 고정 노즐(144)에 의해 이루어진다.
세척조(60)의 좌측 외부면에 제공되는 통로 수단(147)의 하단부는 도2, 도3, 도4 및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랜치 파이프(127)의 상부 노즐용 운반 포트(130)에 연결된다. 통로 수단(147)은 제트류 공급 유동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합성 수지로 제작된다. 내부 유동 통로(148)는 수직으로 연장하도록 통로 수단(147)의 내부에 제공되는 두 개의 구획벽(149)에 의해 한정된다. 외부 유동 통로(160)는 내부 유동 통로(148)의 양 측면 상에 거의 대칭으로 제공된다. 외부 유동 통로(160)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외벽(161)에 의해 형성되어 구획벽(149) 외부에 있도록 통로 수단(147)에 제공된다. 내부 유동 통로(148)는 세척조(60)의 상부(63)에 이르는 높이를 갖는다. 외부 유동 통로(160)는 세척조(60)의 중간 스테이지에 이르는 높이를 갖는다. 내부 및 외부 유동 통로(148, 160)는 그 상단부에서 폐쇄된다. 내부 및 외부 유동 통로(148, 160)는 그 하단부에서 상호 연통된다. 통로 수단(147)은 세척조(60)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다. 구획벽(149) 및 외벽(161)은 접착, 용접 등에 의해 세척조(60)의 외부 표면에 고정된다. 두 개의 관통 구멍(162)은 세척조(60)의 좌측부에 형성된다.
관통 구멍(162)들이 외부 유동 통로(160)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어, 외부 유동 통로(160)는 관통 구멍(162)과 연통한다.
물보라 형태로 제트류를 분출하는 분출 수단으로서의 상부 회전 노즐(163)은 도3, 도18 및 도2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능하도록 세척조(60)내에 제공된다. 상부 회전 노즐(163)은 긴 튜브형 회전 노즐이고 세척조(60)의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복수의 상부 회전 노즐(163)은 세척조(60)의 폭방향으로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배치된다. 상부 회전 노즐(163)은 긴 튜브의 주위에 복수의 소형 노즐편(145)을 갖는다. 상부 회전 노즐(163)의 일 단부는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62)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상에 캡 너트(164)를 조임으로써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부 회전 노즐(163)의 타단부는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60)의 우측상에 핀(16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부 회전 노즐(163)의 각각은 중공으로 제조되어 캡 너트(164)측의 개구가 관통 구멍(162)과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타단부는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노즐이 회전할 때 소형 구멍으로부터 분출된 세척수로 회전 노즐(163)과 핀의 사이에 형성된 수막에 의해 회전 노즐(163)과 핀의 사이의 마찰의 감소를 위한 소형 구멍을 갖는다.
상부 회전 노즐(163)에 제공된 소형 노즐편(145)의 분출 구멍(146)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지름 선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부 회전 노즐(163)은 분출 구멍(146)으로부터 분출된 유동의 반응에 의해 회전한다. 2개의 상부 회전 노즐(163)은 동일한 중간 높이에서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다. 3개 또는 그 이상의 회전 노즐을 제공할 수 있다.
도2 내지 도6과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보라 형태로 세척수를 분출하는 수단으로서의 세척수 분사 부재(166)는 세척조(60)의 상부에 제공된다. 세척수 분사 부재(166)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중앙 부분(167)의 주위에 형성된 환형 요홈(168)을 갖는다. 복수의 소형 노즐편(145)에는 환형 요홈(168)이 제공된다. 세척수 공급 요홈(169)은 환형 요홈(168)의 좌측상에 형성된다. 세척수 공급 요홈(169)은 세척조(60)의 좌측부에 형성된 미도시한 관통 구멍을 통해 내부 유동 통로(148)의 상단부와 연통한다. 세척수 분사 부재(166)는 스크루에 의해 세척조(60)상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세척은 세척수 분사 부재(166)를 탈거함으로써 만족스럽게 달성되어, 위생 조건이 유지될 수 있고 또한 악취의 발산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탱크(61)의 일측의 하부 공간에 배치된 세척 펌프(81)의 분배 포트(124)에 연결된 브랜치 파이프(127)는 세척조(60)의 일측에 배치되고 하부 회전 노즐용 분배 포트(131)와 하부 고정 노즐용 분배 포트(129)에 제공된 하부 회전 노즐(141)과 하부 고정 노즐(144)과 연통하고, 하단부와 브랜치 튜브(127)의 상부 노즐용 상부 운반 포트(130)와 연통하도록 연결된 유동 통로 수단(147)은 수직하게 배치되고, 유동 통로 수단(147)에 제공된 내부 유동 통로(148)와 외부 유동 통로(160)는 세척조(60)의 내부의 중간에 제공된 상부 회전 노즐(163)과 노즐(163) 위의 상부상에 제공된 세척수 분사 부재(166)와 연통하기 위해 구성되어, 유동 통로 구성은 전체적으로 단순하고 컴팩트하게 되고 접시 세척기는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더구나,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지만, 세척은 3단계, 즉 하부 회전 노즐(141) 및 고정 노즐(144)에 의한 하부 단계 세척, 상부 회전 노즐(163)에 의한 중간 단계 세척 및 세척수 분사 부재(166)에 의해 상부 단계 세척로 실시될 수 있어, 세척수는 접시상에 균일하게 분사되어 세척 시간이 감소되고, 동력 소모가 감소하며 세척 효율이 증가한다.
도2, 도3, 도7, 도8 및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180)는 세척조(60)의 우측의 오목부(66)에 끼워맞춤되도록 배치된다. 송풍기(180)는 세척조(60)의 좌측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오목부(66)는 좌측에 배치되어야 하고, 세척 펌프(81), 브랜치 파이프(127) 및 통로 수단(147) 등은 좌측에 배치되어야 한다.
송풍기(180)는 송풍부(181) 및 모터부(182)로 구성된다. 송풍부(181)는 송풍 케이싱 및 원심 날개로 구성된다. 송풍 케이싱의 흡입측은 외부 프레임(1)의 외부측과 연통한다. 송풍 덕트(183)는 송풍 케이싱의 운반측과 연결되어 있다. 송풍 덕트(183)는 세척조(60)의 측부의 내부 표면을 따라 수직으로 배치된다. 송풍 덕트(183)의 운반 포트의 하단부는 세척조(60)의 내부 중간 스테이지 주위로 위치한다.
송풍기(180) 및 송풍 덕트(183)를 포함하는 공기 유동로 구조와 세척 펌프(81), 브랜치 파이프(127) 및 유동 통로 수단(147)을 포함하는 분사 세척수 공급로 구조는 공기 유동로 및 분사 세척수 공급로 구조가 세척조(60)의 좌측 및 우측 중 일 측부에만 배치되는 구조와 비교해서 복잡하지 않도록 상호 분리되어 세척조의 좌측 및 우측에 개별적으로 배치되므로, 송풍기(180)는 분사 세척수 공급로로부터 분리되어 송풍기(180)는 세척수에 닿지 않고 안전이 보장된다. 송풍기(180)가 세척조의 오목부(66) 내에 끼워맞춤되도록 제공되더라도, 송풍기는 측부 표면(62)보다 더 외향 돌출한다. 그러나, 식기 세척기의 폭이 작게 제작되고 식기 세척기가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송풍기는 측부 부분(62) 및 상부 부분(63)의 플랜지 부분(65)의 외향 돌출 단부와 대략 동일한 표면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수직 거터(gutter; 통로 수단)(147) 또한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플랜지 부분(65)의 외부 모서리의 실질적인 안쪽에 배치된다.
찌꺼기 가이드판(184)은 도2, 3, 16 및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60)의내부 중앙 주위에 탈착 가능하게 공급된다. 찌꺼기 가이드판(184)은 세척조(60)의 우측 반부를 수직으로 구획하기 위해 존재하고, 세척 중 상부로부터 떨어지는 찌꺼기를 수납하고 찌꺼기가 히터(82)에 고착하는 것을 방지한다. 찌꺼기가 히터(82)에 고착 및 뭉치는 것을 방지하고 악취와 다양한 세균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찌꺼기 가이드판(184)은 히터(82)의 보호막으로 소용될 수 있다.
전술한 송풍 덕트(183)의 하단부의 운반 포트는 찌꺼기 가이드판(184)의 상단부에 위치한다. 찌꺼기 가이드판(184)에는 송풍 덕트(183)의 하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환기 구멍(185)이 제공되어, 공기가 환기 구멍(185)으로부터 히터(82)로 이송된다.
찌꺼기 가이드판(184)은 세척조(60)의 내부 표면에 제공되는 지지 리브(186)에 의해 지지된다. 찌꺼기 가이드판(184)에 형성되는 컷-오프부(187)에서 공간(C)의 돌출부가 끼워맞춤된다.
직각편(188; crosspiece)은 찌꺼기 가이드판(184)의 내부 단부에 제공된다. 직각편(188)은 탱크(61)의 좌측 하부 공간의 모서리 부분인 계단 부분(189)에 위치한다. 찌꺼기 가이드판(184)이 부착된 경우에, 탱크(61)의 좌측 하부 공간 및 찌꺼기 가이드판(184)의 상부 표면은 대략 동일한 높이이고, 찌꺼기 가이드판(184)의 좌측 단부 및 탱크의 좌측 하부 공간의 우측 단부 사이에 형성된 직각편(188)의 길이에 대응하는 홈(pitfall) 구멍이 형성된다. 찌꺼기 수집 필터(200)는 세척조(60)의 외부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다. 찌꺼기 수집 필터(200)는 전방 제어 패널(26)의 오목부(40) 및 세척조(61)의 컷-오프부(69)를 통해 인출 및 삽입될 수 있다.
찌꺼기 수집 필터(200)는 합성 수지로 제작되고 프레임(202), 손잡이(201) 및 그물(203)로 구성된다. 손잡이(201)에는 손가락에 걸기 위한 오목부가 제공된다. 찌꺼기 가이드판(184) 및 좌측 하부 공간의 상부 표면은 찌꺼기 수집 필터(200)의 위치가 최하위에 있도록 찌꺼기 수집 필터(200) 쪽으로 기울어진다. 따라서, 찌꺼기는 세척수와 함께 찌꺼기 가이드판(184)의 상부면 및 좌측 하부 공간 상을 유동하여 찌꺼기 수집 필터(200)에 의해서 수집된다. 찌꺼기는 세척 펌프(81) 및 토출 펌프(84)로 흡입되는 세척수 내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펌프 러너는 외부 물질에 의해서 진동하지 않는다.
세척조(60) 내부에는 접시를 수납하기 위한 하부 케이지(210) 및 상부 케이지(211)가 각각 마련된다. 상부 및 하부 케이지(210, 211) 각각은 격자형으로 형성된 강철 와이어 등으로 제작된다. 강철 와이어의 표면은 합성 수지로 충분히 코팅된다. 두 개의 하부 케이지(210)가, 도3, 도18, 도23 및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회전 노즐(141) 및 하부 고정 노즐(144) 위에 배치된다. 각각의 하부 케이지(210)의 전방 측단부는 힌지 주위를 회전하여서, 도22, 도23, 도24 및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는 세척조로부터 당겨서 빼낼 수 있고, 그 안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가이드 바아(213)는 각각의 하부 케이지(210) 아래에 마련되고, 하부 측에서부터 가이드 바아(213)를 지지하는 가이드 롤러(214)는 세척조(60)의 측부 상에 마련된다. 각각의 하부 케이지(210)는 하부측에서부터 가이드 바아(213) 및 가이드 롤러(214)에 의해서 지지된 채 회전하여 안정한 회전이 보장될 수 있고, 케이지 그 자체가 접시의 중량 등에 의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 바아(213) 및 가이드 롤러(214)가 마련되지 않을 때,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하부 도어(6)의 상부면 상에서 하부 케이지(21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하부 케이지(210)를 당겨서 빼는 것이 가능하다.
당겨서 뺄 수 있고, 밀어 넣을 수도 있는 받침 접시(215)가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지(210) 아래에 마련된다. 받침 접시(215)는 하부 케이지(210)의 하부 상에 마련된 가이드 파이프(216)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25a는 받침 접시(215)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25b는 받침 접시(215)가 빠진 상태를 도시한다. 받침 접시(215)는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하부 케이지(210)에 마련되었지만, 각각의 하부 케이지(210)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하부 케이지(210)에는 도5, 도6, 도12 및 도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받침대 및 스틱 케이지(217)가 마련된다.
도24는 하부 케이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스틱 케이지(218)는 두 개의 하부 케이지(210) 사이의 공간 내에 마련된다.
하부 회전 노즐(141) 위의 좌측 하부 케이지(210)와 하부 고정 노즐(144) 위의 우측 하부 케이지(210)는 높이가 상이하도록 배치된다. 우측 하부 케이지(210)는, 하부 고정 노즐(144)이 하부 회전 노즐(141)보다 낮게 위치되는 범위로 좌측 하부 케이지(210)보다 낮게 위치된다. 따라서, 비교적 큰 접시는 우측 하부 케이지(210) 내에 수용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다양한 접시는 2개의 하부 케이지(210)를 사용하여 세척될 수 있다.
상부 케이지(21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회전 노즐(163)위에 마련된다. 상부 케이지(211)는 도22 및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겨서 뺄 수 있도록 세척조(60) 내에 배치된다. 상부 케이지(211)의 하부를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가이드(230)는 세척조(60)의 양 측(62)에 마련된다. 지지 가이드(230) 각각은 전방 측을 향해서 낮아지는 경사부(231)와 내측을 향해서 수평으로 연장하는 수평부(232)로 구성된다. 상부 케이지(211)의 상부는 멈치용 가이드(234)에 의해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다. 가이드(234)는 또한 세척조(60)의 양측 상에 배치된다.
상부 케이지(211)가 꺼내졌을 때, 도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지(211)는 지지 가이드(230)의 수평부(232)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진 경사부(231)로 이동되어 접시를 넣고 꺼내기에 용이하다. 이 때, 상부 케이지(211)의 상부를 가이드하는 멈치 가이드(234)는 상부 케이지의 상단부를 이와 결합하도록 하여서, 상부 케이지(211)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서, 안전이 보장된다.
상부 케이지(211)가 밀려서 넣어질 때, 상부 케이지(211)는 지지 가이드(230)의 수평부(232)로 이동되어, 도2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되어, 상부 케이지(211) 내에 수용된 접시는 안정한 상태에서 세척될 수 있다.
하부 케이지(210)는 하부 회전 노즐 및 고정 노즐(141, 144)과 상부 회전 노즐(163)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된다.
소정의 하부 케이지 내에 수용된 식기는 상부 및 하부측으로부터 물보라 형태로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어 불충분한 세척 부분 등은 없어지고 세척 시간은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하부 도어(6)는 도27a 및 도27b에 도시된 것처럼 개폐된다. 코일 스프링(241)은 개폐용 도어(6)를 지지하는 힌지(240)를 구비한다. 힌지(240) 상에 고정된 코일 스프링(241)은 일단부에서 도어(6)와 결합되고 타단부에서 외부 프레임(1)과 결합된다. 코일 스프링(241)은 코일(241) 스프링력이 도어(1)를 폐쇄하기 위해 도어(6) 상에 작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도어는 도어(6)가 개방될 때 안전을 위해 도27b에 도시된 것처럼 도어(6)의 무게에 의해 한번에 하강되지 않는다. 또한, 도어(6)는 코일 스프링(241)력 및 도어(6)에 인가되는 각각의 마찰력에 의해 적절한 개방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다.
다음,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작동은 아래에 설명한다.
우선, 세척될 식기는 상부 및 하부 케이지(211, 210)에 셋팅된다. 작동은 작동 패널(30)의 작동에 의해 지시되어 작동이 시작된다. 세척수 공급용 전자 밸브(83)는 세척수가 제공되도록 개방된다. 탱크(61) 내에 저장된 세척수의 세척수 레벨은 레벨 게이지(102)에 의해 검출되고, 세척수 레벨이 소정의 레벨에 이르면 전자 밸브(83)는 세척수 공급을 중지하도록 폐쇄된다. 계속해서, 히터(82)는 탱크(61) 내의 세척수를 가열시키기 위해 전류를 제공하고 세척수가 소정의 온도에 이르면 세척 펌프(81)는 세척 작동을 실시하기 위해 작동된다. 탱크(61) 내의 세척수가 세척 펌프(81) 안으로 흡입되고 세척 펌프(81)에 의해 가압된 뒤 브랜치 파이프(127)로 보내어진다. 상기 세척수는 브랜치 파이프(127)에서 분사 수단을 위한 각각의 세 방향의 유동으로 분기된다.
세 유동 중 하나는 하부 회전 노즐 이송 포트(131)를 통해 하부 회전 노즐(141)로부터 분사된다. 다른 유동은 하부 고정 노즐 이송 포트(129)를 통해 하부 고정 노즐(144)로부터 분사된다. 나머지 유동은 통로 수단(147) 안으로 흐른다. 통로 수단(147)으로 유동하는 세척수는 내부 유동 통로(148) 및 외부 유동 통로(160)로 더 분할되고, 외부 유동 통로(160) 내의 유동은 상부 회전 노즐(163)로부터 물보라로 분사되고 내부 유동 통로(148) 내의 유동은 세척수 분사 부재(166)로부터 분사된다.
하부 케이지(210)에 셋팅된 식기는 하부 회전 노즐(141) 및 하부 고정 노즐(144)로부터 상향 분사되는 물보라 및 상부 회전 노즐(163)로부터 하향 분사되는 물보라에 의해 세척되어 깨끗이 세척된다.
상부 케이지(211)에 세팅된 식기는 상기 설명한 상부 회전 노즐(163)로부터 상향 분사되는 물보라와 세척수 분사 부재(166)로부터 하향 분사되는 물보라에 의해 양방향으로부터 세척되어 깨끗이 세척된다.
도30은 하부 회전 노즐(141), 하부 고정 노즐(144), 상부 회전 노즐(163) 및 세척수 분사 부재(166)로부터 분출되는 물보라 유동의 개략도이다. 식기는 이러한 물보라 유동에 의해 충분히 세척된다.
상부 회전 노즐(163)은 상부 및 하부 케이지(210, 211)가 서로 세척될 수 있도록 하부 케이지(210)의 상부면과 상부 케이지(211)의 하부면 사이에 배치된다. 두 개의 케이지가 세척될 수 있도록 하나의 노즐이 공동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구조는 간단해지고 소형화된다. 또한, 상부 노즐(163)은 물보라 유동이 모든 식기상에 균일하게 내리거나 또는 강타하도록 회전하여 식기들은 균일하게 세척될 수 있다.(고르지 않은 세척 범위는 작아진다.) 또한, 상부 회전 노즐(163)들은 각각 세척조(60)의 폭 이상의 길이를 가지고, 전방 및 내부 측 상에 배치되어 샤워형 제트 유동은 세척조(60)의 전방 내측 및 좌우측 상에 분출될 수 있고 이러한 특징으로부터 균일한 세척이 이루어진다. 또한, 두 개의 상부 회전 노즐(163)이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균일하지 않은 세척은 보다 감소한다. 특히, 아래 칸 내의 식기들은 아래에서 보아 노즐이 안쪽을 향하여 회전할 때 전후 샤워 분무에 의해 맞게 되고 이로써 더욱 균등한 식기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기 세척 동작이 소정 기간의 시간 동안 이루어진 후에, 식기 세척 펌프(81)는 정지되고 토출 펌프(84)가 작동된다. 탱크(61) 내의 세척수는 브랜치 탱크(85)를 통하여 토출 펌프(84)에 의해 기계로부터 토출된다. 식기 세척수가 토출된 후에, 토출 펌프(84)는 정지되고, 세척수 공급용 전자 밸브(83)는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다시 개방된다. 세척수가 소정의 수준까지 공급된 후, 전자 밸브(83)는 닫힌다. 식기 세척 펌프(81)는 히터에 의한 가열 없이 식기 세척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작동된다. 상하 칸 내의 식기들은 식기 세척 동작과 유사한 분무 물보라 유동에 의해 균일하고 충분히 헹궈진다.
또한, 헹굼은 뜨거운 세척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뜨거운 세척수 헹굼은 앞서 설명한 헹굼과 거의 동일하지만, 이는 탱크(61) 내에 저장된 세척수가 히터(82)에 의해 가열된 후 식기 세척 펌프가 작동되는 것이 다르다.
뜨거운 세척수 헹굼이 끝난 후, 식기 세척 펌프(81)는 정지되고 토출 펌프는세척수를 토출하도록 작동된다. 토출이 끝난 후, 히터(82)는 전류가 공급되고 송풍기(180)는 건조 동작을 행하도록 작동된다. 기계의 외측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송풍기(180)에 의해 송풍기 덕트(183)를 통하여 탱크(61) 안으로, 즉, 찌꺼기 가이드판(184)의 환기 포트(185)로부터 찌꺼기 가이드판(184) 아래의 탱크(61) 안으로 흐르고, 공기는 히터(82)에 의해 탱크 내에서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찌꺼기 수집 필터(200)의 그물부(203)를 통하여 식기 세척조(60) 내에서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가열된 공기의 헹굼 중 상하 칸 내에 수용된 식기들로부터 세척수를 가져가고 토출 포트(48)로부터 토출된다. 건조 동작은 소정의 시간 후에 정지되고 이로써 식기 세척에서 건조까지의 모든 공정이 완료된다. 이어서, 찌꺼기 수집 필터(200)는 외부 프레임으로부터 끌어당겨져, 그물부(203)에 접착된 찌꺼기가 제거되고 찌꺼기 수집 필터(200)는 다시 설치되며, 이로써 식기 세척기는 다음 사용에 대비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구조에 있어서 간단하고 소형화된 식기 세척기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9)

  1.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하부에 배치된 세척수 저장 탱크와, 세척 펌프와, 상기 세척 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세척조에서 세척될 대상물에 세척수를 분무하기 위한 노즐들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 펌프는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세척조의 일 측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세척수를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노즐로 통과시키기 위한 세척수 통로 수단은 상기 세척 펌프의 배치와 동일한 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펌프는 상기 세척 펌프의 축이 거의 직각으로 상기 세척조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세척 후에 상기 대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히터는 상기 세척조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세척 펌프에 대향하여 상기 세척조 내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세척수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 펌프 및 세척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밸브는 상기 세척 펌프 반대편 측면 상의 상기 세척조의 후방측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세척조의 하부 일측면 부분에 배치되는 하부 회전 노즐과, 상기 세척조의 길이 방향의 횡단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하부 고정 노즐들,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세척조 내의 상기 하부 회전 노즐 및 고정 노즐들 위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 회전 노즐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들은 상기 상부 회전 노즐들 위에 분사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하부에 배치된 세척수 저장 탱크와, 세척 펌프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 펌프는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세척조의 일측면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 펌프의 흡입측은 상기 탱크와 연통하고,
    상기 세척 펌프로부터 운반된 세척수가 통과하는 유동 통로 수단은 상기 세척조의 측면을 따라 상기 세척 펌프와 동일 측면 상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물보라 형태의 세척수를 상기 세척조의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 수단과 상기 유동 통로 수단은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건조용 히터는 상기 세척 펌프의 반대편 측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탱크 내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조로의 세척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밸브 및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 펌프는 상기 세척 펌프의 반대편 측면 상의 세척조의 후방측 상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공기를 상기 탱크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기는 상기 세척 펌프의 반대편 측면 상의 상기 세척조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01-0012172A 2000-03-09 2001-03-09 식기 세척기 KR1003873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71034A JP2001252234A (ja) 2000-03-09 2000-03-09 食器洗浄機
JP2000-71034 2000-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234A true KR20010089234A (ko) 2001-09-29
KR100387388B1 KR100387388B1 (ko) 2003-06-18

Family

ID=18589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172A KR100387388B1 (ko) 2000-03-09 2001-03-09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1252234A (ko)
KR (1) KR100387388B1 (ko)
CN (1) CN123912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458B1 (ko) * 2004-04-22 2007-03-0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식기 세정기
KR101250618B1 (ko) * 2005-12-14 2013-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3516A (ja) * 2003-11-11 2005-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ES2422592T3 (es) * 2009-03-27 2013-09-12 Electrolux Home Prod Corp Lavavajillas
CN104939783A (zh) * 2015-06-25 2015-09-30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内胆、洗碗机和洗碗机内胆的制造方法
CN109953728B (zh) * 2017-12-14 2024-02-20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洗碗机
CN111608926B (zh) * 2019-02-22 2023-08-01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排水系统及洗涤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458B1 (ko) * 2004-04-22 2007-03-0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식기 세정기
KR101250618B1 (ko) * 2005-12-14 2013-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9122C (zh) 2006-02-01
JP2001252234A (ja) 2001-09-18
KR100387388B1 (ko) 2003-06-18
CN1319374A (zh) 200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311B1 (ko) 식기 세척기
US20080163904A1 (en) Nozzle Structure of Dish Washer
KR20180129287A (ko) 식기 세척기
KR20150109944A (ko) 식기세척기
KR20090061479A (ko) 식기세척기
KR100387388B1 (ko) 식기 세척기
CN112244721B (zh) 一种清洗机及清洗方法
JP2019080603A (ja) 食器洗い機
JP2019080605A (ja) 食器洗い機
JP5636894B2 (ja) 食器洗い機
KR20220056415A (ko) 식기 세척기
KR20070113637A (ko) 식기 세척기
JP2003260015A (ja) 食器洗浄機
JP5636895B2 (ja) 食器洗い機
JP5636896B2 (ja) 食器洗い機
JP3799719B2 (ja) 食器洗浄機
KR102120787B1 (ko) 언더 커버형 식기세척기
KR101268821B1 (ko) 식기 세척기
KR200159322Y1 (ko) 식기세척기의 세제 투입장치
CN109717809B (zh) 餐具清洗机
JP2007020928A (ja) 食器洗浄機
KR20070105056A (ko) 식기 세척기
KR20070078128A (ko) 식기 세척기
JPH0852103A (ja) 食器洗浄機
KR20050105705A (ko) 식기 세척기의 전도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