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7883A - 드릴의 다기능 분진포집장치 - Google Patents

드릴의 다기능 분진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7883A
KR20010087883A KR1020000011714A KR20000011714A KR20010087883A KR 20010087883 A KR20010087883 A KR 20010087883A KR 1020000011714 A KR1020000011714 A KR 1020000011714A KR 20000011714 A KR20000011714 A KR 20000011714A KR 20010087883 A KR20010087883 A KR 20010087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corrugated pipe
hole
guide tube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 찬 한
Original Assignee
김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국 filed Critical 김영국
Priority to KR1020000011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7883A/ko
Publication of KR20010087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88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포집기능과 더불어 천공 깊이 및 천공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드릴의 다기능 분진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드릴 포집장치는 포집기가 짧은 관형상으로 되어 후퇴시 드릴의 척이나 케이스 선단에 걸릴 우려가 있고, 후측이 개구되어 있어 분진이 후방으로 유출되는 폐단이 있다. 특히 경사진 구멍을 천공해야 할 경우에는 포집기의 전면이 벽면과 틈이 발생하게 되어 포집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바라형 주름관(20)과, 주름관의 선단에 결합되는 선단링(21)과, 후측에 조임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주름관을 드릴의 목부(12)에 결합하는 클램프(25)로 포집부를 구성하고, 선단이 선단링 상부에 각도조절나사(24)로 각도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봉(41)과, 작동봉이 출몰 안내되는 안내관(40)과, 클램프의 상부에 설치되어 안내관이 전후로 삽탈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안내관을 고정시키는 조임나사(28)를 구비한 고정관(26)으로 지지부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신축 가능한 주름관을 통해 분진을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안내봉을 통해 구멍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음과 아울러 주름관의 선단부에 설치된 선단링에 의해 구멍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드릴의 다기능 분진포집장치{The multi functional dust heap-up apparatus of a drill}
본 발명은 드릴의 분진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진포집기능과 더불어 천공 깊이 및 천공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드릴의 다기능 분진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작업을 실시하다 보면 드릴비트가 구멍을 천공하면서 많은 분진을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콘크리트 벽체와 같은 곳에 구멍을 천공할 때에는 콘크리트 가루들이 외부로 방출되며, 천장과 같이 높은 위치에 구멍을 천공할 때에는 많은 분진들이 하부로 떨어지면서 작업자의 눈이나 코로 유입되는 등 드릴작업에 많은 지장을 주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드릴의 전방에 포집기를 설치하여 구멍을 천공할 때 발생된 분진들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포집기는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된 가이드를 타고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가이드 또한 전후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천공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포집장치는 포집기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짧은 관형상으로 되어 있어 후퇴시 드릴의 척이나 케이스 선단에 걸릴 우려가 있어 특정 드릴이 아니면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는 단점이 있고, 또 후측이 개구되어 있어 분진이 후방으로 유출되는 폐단이 있다. 특히 경사진 구멍을 천공해야 할 경우에는 포집기의 전면이 벽면과 틈이 발생하게 되어 포집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천공구멍의 깊이를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드릴의 포집장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경사진 구멍을 천공할 때 주름관의 선단이 벽면과 일치되도록 하여 완벽한 포집기능과 아울러 천공깊이 및 천공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드릴의 다기능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릴의 다기능 분진포집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의 다기능 분진포집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릴의 다기능 분진포집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진포집장치의 요부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지포집장치로 경사진 구멍을 천공할 때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드릴 11 - 드릴척 12 - 목부
13 - 비트 20 - 주름관 21 - 선단링
22 - 브래킷 23 - 축공 24 - 각도조절나사
25 - 클램프 26 - 고정관 28 - 조임나사
29 - 부쉬 30 - 브래킷편 40 - 안내관
41 - 작동봉 42a,42b - 눈금 43 - 연결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천공시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부와, 상기 포집부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되어 드릴의 선단부에 장치되는 포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자바라형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의 선단에 결합되는 선단링과, 후측에 조임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주름관을 드릴의 목부에 결합하는 클램프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선단이 상기 선단링 상부에 각도조절나사로 각도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이 출몰 안내되는 안내관과, 상기 클램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관이 전후로 삽탈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에 안내관을 고정시키는 조임나사를 구비한 고정관으로 구성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릴의 다기능 분진포집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의 다기능 분진포집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릴의 다기능 분진포집장치의 측면도이다.
드릴(10)은 선단부에 노출된 회전축에 드릴척(11)이 있고, 이 드릴척(11)에 드릴비트(13)가 장착된다. 드릴몸체의 선단부에는 회전축을 지지하도록 목부(12)가 형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분진포집장치는 이 목부(12)에 장착된다.
포집장치는 크게 포집부와 포집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되는데, 포집부는 주름관(20)과 그 전후부에 장착되는 선단링(21) 및 클램프(25)로 구성된다.
주름관(20)은 자바라와 같이 전후로 신축되는 구조이고, 재질은 플라스틱과 같이 가벼우면서 작업시 드릴비트(13)의 천공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이면 더욱더 바람직하다. 주름관(20)의 크기는 드릴비트(13) 및 드릴척(11)에 전혀 간섭을 주지 않을 정도의 직경과 드릴비트의 선단부를 충분히 가릴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좋다.
선단링(21)은 천공 작업시 주름관(20)의 선단이 벽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에는 두 개의 브래킷(22)이 형성되어 있고, 이 브래킷(22)에는 횡방향의 축공(23)이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25)는 드릴(10)의 크기에 관계없이 목부(12)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4와 같이 몸체를 두 개로 구성하여 상단이 고정관(26)의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부에는 브래킷편(30)이 맞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각각 나사구멍(31a)(31b)을 구비하며 이에 조임나사(31)가 체결되어 양측몸체의 간격을 조이고 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일측 몸체의 브래킷편(30)에 형성된 나사구멍(31b)은 일측이 개구된 구조로 되어 있어 조임나사(31)를 해체하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또 클램프(25)의 내부에는결합시 드릴(10)의 목부(12) 사이즈가 다르더라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부쉬(29)가 구비된다.
한편, 주름관(20)의 상부에는 주름관이 드릴비트(13)와 평행하도록 유지시키는 지지장치가 설치된다. 지지장치는 전후로 출몰작동하여 주름관(20)을 지지하는 작동봉(41)과, 작동봉(41)의 전후 출몰작동을 안내하는 안내관(40) 및 주름관(20)의 클램프(25) 상부에 결합되어 안내관(40)을 위치조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관(26)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동봉(41)의 선단은 횡방향의 나사구멍(44)을 갖는 연결편(43)이 형성되어 선단링(21)의 상부에 형성된 브래킷(22)에 각도조절나사(24)로 연결된다. 또한 작동봉(41)은 안내관(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후로 출몰되며, 안내관(40)은 고정관(26)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고정관(26)의 상단에는 나사구멍(27)을 구비하여 이에 안내관(40)을 고정하는 조임나사(28)가 체결된다.
이때 작동봉(41)의 측면과 안내관(40)의 측면에는 그 삽탈 정도를 알 수 있도록 눈금(42a)(4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는 본 발명의 포집장치를 드릴(10)에 장착할 때에는 조임나사(31)를 풀어 클램프(25)를 벌린 후 드릴(10)의 목부(12)에 감고 조임나사를 조여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목부(12)의 사이즈가 작을 경우에는 클램프(25)의 내부에 부쉬(29)를 개재시킨 후 클램핑한다.
포집장치의 장착이 완료된 후 구멍을 천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안내관(40)을 고정관(26)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조임나사(28)를 조여 고정시킨 후 작동봉(41)을전방으로 드릴(10)끝단의 위치정도로 신장시킨다.
이 상태에서 드릴비트(13)를 구멍을 천공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시킨 후 드릴(10)을 작동시키면 드릴비트(13)가 회전하면서 구멍을 뚫는다. 구멍 천공작업시에는 드릴비트(13)가 구멍을 천공하면서 분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분진은 자바라형 주름관(20)에 포집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분진으로부터 안전하므로 용이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가 있다.
작업이 완료된 후 포집장치를 전방으로 털거나 또는 드릴(10)로부터 분리시켜 털게 되면 분진은 간편하게 분리된다.
한편, 드릴(10) 천공작업시 구멍의 깊이를 조절해야할 경우가 있다. 이때에는 고정관(26)의 조임나사(28)를 풀어 안내관(40)을 이동시켜 드릴비트(13)의 선단에서부터 천공하고자 하는 구멍의 깊이만큼 길이를 재어 그 위치에 안내관(40)의 선단을 일치시킨 다음 고정관(26)의 조임나사(28)를 조여 고정시킨다. 구멍의 깊이를 드릴비트(13)와 일치시킬 때에는 안내관(40) 및 작동봉(41)의 측면에 형성된 눈금(42a)(42b)을 이용하면 정확하고 편리하게 그 깊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그리고는 작동봉(41)을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벽면에 대고 드릴작업을 실시하게 되면 드릴비트(13)가 구멍을 뚫는 만큼 작동봉(41)은 주름관(20)과 함께 후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벽면에 안내관(40)의 선단이 맞닿게 되면 더 이상 드릴비트(13)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가 없기 때문에 설정된 구멍의 깊이를 정확하게 지킬 수가 있게된다.
또한 벽면이 경사지거나 또는 구멍을 경사지게 천공해야 할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작동봉(41) 선단을 조이고 있는 각도조절나사(24)를 풀어 선단링(21)의 각도를 구멍의 경사각과 일치시킨 후 다시 조여 고정시킨 후 드릴작업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하면 주름관(20)이 벽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분진이 외부로 방출될 우려가 전혀 없을 뿐 아니라 선단링(21)에 의해 드릴(10)이 일정한 각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원하는 각도로 구멍을 천공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축 가능한 주름관을 통해 분진을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작동봉을 안내하는 안내봉을 전후로 출몰 조정하여 구멍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음과 아울러 주름관의 선단부에 설치된 선단링에 의해 구멍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선단링이 각도 조절됨에 따라 어떠한 각도의 벽면에도 주름관의 선단을 밀착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천공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이 주름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가 있으므로 더욱더 안전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천공시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부와, 상기 포집부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되어 드릴(10)의 선단부에 장치되는 포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자바라형 주름관(20)과, 상기 주름관(20)의 선단에 결합되는 선단링(21)과, 후측에 조임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주름관(20)을 드릴(10)의 목부(12)에 결합하는 클램프(25)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선단이 상기 선단링(21) 상부에 각도조절나사(24)로 각도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봉(41)과, 상기 작동봉(41)이 출몰 안내되는 안내관(40)과, 상기 클램프(25)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관(40)이 전후로 삽탈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에 안내관(40)을 고정시키는 조임나사(28)를 구비한 고정관(2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의 다기능 분진포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41)과 안내봉의 측면부에 출몰길이를 알 수 있도록 눈금(42a)(42b)을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의 다기능 분진포집장치.
KR1020000011714A 2000-03-09 2000-03-09 드릴의 다기능 분진포집장치 KR20010087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714A KR20010087883A (ko) 2000-03-09 2000-03-09 드릴의 다기능 분진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714A KR20010087883A (ko) 2000-03-09 2000-03-09 드릴의 다기능 분진포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883A true KR20010087883A (ko) 2001-09-26

Family

ID=1965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714A KR20010087883A (ko) 2000-03-09 2000-03-09 드릴의 다기능 분진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78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972B1 (ko) * 2011-10-27 2013-08-09 한국전력공사 자동 렌치용 토크 조정 제어 장치 및 자동 렌치
KR101404699B1 (ko) * 2012-10-25 2014-06-12 김지원 자바라물통을 구비한 물총
KR20190083604A (ko) * 2018-01-04 2019-07-12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친환경 저소음 도로컷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972B1 (ko) * 2011-10-27 2013-08-09 한국전력공사 자동 렌치용 토크 조정 제어 장치 및 자동 렌치
KR101404699B1 (ko) * 2012-10-25 2014-06-12 김지원 자바라물통을 구비한 물총
KR20190083604A (ko) * 2018-01-04 2019-07-12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친환경 저소음 도로컷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7953A (en) Particulate material intercepting arrangement for a hand held tool
JP3431347B2 (ja) 卓上丸鋸盤
CN100528438C (zh) 通用锯
CN110064775B (zh) 一种螺杆加工用钻孔装置
US6854937B1 (en) Dust collector attachment for a spiral power tool
US3552239A (en) Portable drill press
US7198442B2 (en) Dust and debris extraction apparatus for power tool
US4582456A (en) Drill lifting and lowering device for electric drill
ATE260167T1 (de) Handwerkzeugmaschine
EP1153707A1 (de) Handwerkzeuggerät mit saugendem Staubsammler
US4652184A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fastening a drill bell
JP2006297587A (ja) 切り屑収集器を有する鋸
US5228376A (en) Scroll saw
DE60318763D1 (de) Schraubenführung für einen Marknagel
TW201242694A (en) Modular laser alignment device for power tool
JPH10217013A (ja) 穿孔装置用の穿孔補助具
KR20010087883A (ko) 드릴의 다기능 분진포집장치
ATE291718T1 (de) Apparate-haltevorrichtung
SE9901890D0 (sv) Borr- och gängstyrning
US6361316B1 (en) Dental instrument support mechanism
CN111772799A (zh) 一种软性内窥镜手术机器人系统的插入管导引固定装置
EP1130699A3 (en) Adjustable mounting unit for an optical element of a gas laser
ATE110022T1 (de) Arbeitsgerät, wie gartengerät, feldgerät, putzgerät oder dergleichen.
KR100348971B1 (ko) 톱날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동 쇠톱
RU2001111167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ртроскопических операц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