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7398A - 사용자 인터페이스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7398A
KR20010087398A KR1020017006522A KR20017006522A KR20010087398A KR 20010087398 A KR20010087398 A KR 20010087398A KR 1020017006522 A KR1020017006522 A KR 1020017006522A KR 20017006522 A KR20017006522 A KR 20017006522A KR 20010087398 A KR20010087398 A KR 20010087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data
transluc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6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8679B1 (ko
Inventor
에타지나트
에이. 얀센요한네스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1008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0Mixing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an operation, e.g. adding, o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 장치(1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2 또는 그 이상의 독립적인 소스들(12,16)로부터의 데이터는 그 소스로부터의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각각의 소스에 대한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성하고 주기적으로 갱신하도록 윈도우즈 제어기(22)에 의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제어기(28)는 2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들(34,36)로부터의 기여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디스플레이(32)에 대한 출력 픽셀 값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어떤 픽셀들은 제 1 패널이 제 2 패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위치되고 제 1 패널의 겹친 부분은 반투명하게 특정되는,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로부터의 기여들을 갖는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발생 장치{User interface generation}
그러한 다중 소스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2개의 널리 공지된 예들인 컴퓨터들 상의 데스크탑들 및 텔레비전들 상의 화상-내-화상(picture-in-picture) 설비들과 함께, 지난 최근 몇 년 동안 비교적 공통의 관심사가 되어 왔다. 미국특허 제5,680,152호(Bricklin)에는 컴퓨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컴퓨터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다중의 독립적인 윈도우 영상들을 운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윈도우즈는 독단적인 형태 및 크기가 될 수 있는 반면에, (이러한 다른 많은 시스템들과 같이)Bricklin는 이들을 직사각형이 되는 것을 선호하였다.
디지털 텔레비전 셋탑 박스를 위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SD;On Screen Display) 시스템은 유럽 특허 출원 EP-A-0 840 277(텍사스 문서)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되어 있는 OSD 시스템은, 비트맵, 그래픽, 비디오 화상, 동영상 또는 배경 색과 같은, 다른 종류들의 화상들을 서로 각각의 윈도우로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랜덤 억세스 메모리 소자는, 구성된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각각의 픽셀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필요한 비트들을 유지하는 선입 선출(first-in-first-out) 메모리에, 선택된 윈도우로부터 기여들을 선택적으로 판독하는 윈도우 제어기와 함께 EP-A-0 840 277 의 시스템의 조립된 윈도우즈를 위한 저장기와 CPU 워킹 메모리를 제공한다.
EP-A-0 840 277에서 암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들은 몇몇 소스들로부터 뿐만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몇몇 종류들의 소스들로부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요구될 수 있다. 이것은 각 소스가 디스플레이의 분리된 영역에 거주하는 경우에는, 혼잡함을 유발할 수 있다. 이용가능한 디스플레이 공간의 대부분 채워지도록(또는 거의 채워지지 않도록), 단일 디스플레이 패널의 선택 및 축소에 대한 사용자(user) 동작이 명확하게 개선될 수 있는 반면에,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보여지도록 많은 패널들 또는 열린 윈도우즈를 사용자들이 구비해야할 필요성이 더 많아진다.
본 발명은,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또는 단일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윈도우즈에 한정되지 않고, 동시에 2 또는 그 이상의 소스들로부터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갖는 장치들과, 이러한 데이터 디스플레이들의 갱신 및 프리젠테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제 1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제 2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제 1 배열의 수정된 버전에 의해 제공된 지수화 인터페이스의 네비게이션을 설명하는 도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표면의 유닛 영역 당 디스플레이 용량의 개선된 양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부차적인 목적은 개선된 지수화를 지원하는 이러한 시스템을 제공하고 사용자를 위한 설비들에 엑세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의 2 또는 그 이상의독립적인 소스들, 상기 소스로부터의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각각의 소스에 대한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주기적으로 갱신하고 생성하기 위해 배치된 윈도우즈 제어기, 하나의 패널의 적어도 일부가 반투명인 명세를 포함하는 생성된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제 1 저장 수단, 및 제 1 패널이 제 2 패널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1 패널의 겹친 부분이 반투명으로 특정되는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로부터 기여들을 갖는 임의의 픽셀들과 함께, 2 또는 그 이상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들로부터의 기여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로하여 디스플레이에 대한 출력 픽셀 값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제어기를 포함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장치가 제공된다.
반투명하게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겹친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겹쳐진 패널의 특징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여질 수 있고, 그로 인해, 많은 양의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사용될 수 있다.
윈도우즈 제어기는, 반투명으로 특정되는 제 1 및 제 2 부분들 중 단지 하나와 함께, 제 1 부분 및 제 2의 부착된 부분으로써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성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 소스들의 하나는, 반투명으로써 특정된 것 이외의 부분에 소스가 비디오 영상 프레임들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비디오 영상 프레임 시퀀스들의 소스를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비디오 영상 소스는 비디오 영상 프레임 시퀀스들에 보조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고, 윈도우즈 제어기는 상기 보조 데이터를 근거하여 반투명으로 특정된 부분에 내용을 생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소스들 중 하나는 방송 텔레비전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튜너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방송 텔레비전 신호에 관련된 인터넷 웹 페이지들로부터 얻고, 방송 텔레비전 신호로부터의 영상들이 표시되는 패널에 겹쳐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투명의 패널에 발견된 임의의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기 위해 구성된 웹 브라우저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3차원 환경내의 표면들 상에 맵핑된 디스플레이 패널들과 함께, 상기 환경내에서 미리 결정된 뷰포인트(viewpoint)으로부터 상기 환경을 규정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3차원 환경의 2차원 영상을 생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로, 사용자 조작가능 입력 수단은 사용자가 3차원 환경에서 상기 뷰포인트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수정하도록 하는 동작에 의해 양호하게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더욱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상술한 환경을 규정하는 저장된 데이터는 그 위에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맵핑된 평면 표면과, 그 위에 상기 겹쳐진 부분이 맵핑된 인접 표면을 적어도 각각 갖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각기둥 본체들을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행 6면체의 블록들 또는 오브젝트들이 될 수 있는, 이러한 각기둥 본체들은, 보조 데이터를 나르는 상기 표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것에 상기 뷰포인트를 연결하도록 사용자 동작가능 입력 수단이 바람직하게 동작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하여, 상기 평면 표면에 인접한 2 또는 그 이상의 표면들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표면들 각각은 보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용들에 이동시킨다.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 패널들의 지수화를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기둥 본체의 각각의 표면들 상의 보조 데이터는 미리 결정된 수의 데이터 카테고리들로 분할될 수 있고, 각각의 각기둥 본체들은,보조 데이터의 주어진 카테고리를 갖는 각각의 각기둥 본체 각각의 표면들의 적어도 일부가 단일 뷰포인트로부터 동시에 표시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다시말해, 특정 뷰포인트의 선택은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나타나는 각각의 작품의 작가들이 확인되도록 모든 블록들의 "상단"가장자리를 제공할 수 있고, 제 2 뷰포인트는 각각의 작품들의 제목들이 식별되도록 블록들의 모든 촤측 가장자리들을 보여줄 수 있다.
또 다른 사용자 설정가능 특징에 따라, 그리고, 동일하거나 다른 사용자 조작가능 입력 수단의 동작에 의해서, 사용자는 겹쳐진 부분에 대해 반투명의 정도를 변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또한,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의 2 또는 그 이상의 독립적인 소스들로부터 데이터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를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그 소스로부터의 데이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각각의 소스에 대해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성하고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단계와,
하나의 패널의 적어도 일부가 반투명인 명세와 함께 생성된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저장하는 단계와,
2 또는 그 이상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들로부터의 기여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를 위한 출력 픽셀 값들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제 1 패널이 제 2 패널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위치되고 제 1 패널의 겹쳐진 부분이 반투명으로 특정되는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로부터의 기여들을 임의의 픽셀들이갖는, 상기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 장치는 참조번호 10으로 나타내었다. 이 장치에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데이터의 많은 독립적인 소스들에 결합되며,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소스들은 제 1(12) 및 제 2(14) 텔레비전 튜너들, 웹 프라우저(16) 및 전자 메일(electronic mail) 설비(18)를 포함한다. 웹 브라우저(16)와 e-mail 설비(18)는 적절한 인터페이스(20)에 의해 인터넷상의 데이터를 엑세스하도록 결합된다.
다음, 텔레비전 튜너들에 의해 수신된 영상 ( 및 보조 데이터) 내용의 처리를 고려한다. 오디오 신호들의 처리는 본 발명의 요소가 아니고, 편의상 다음의 예들에서는 생략하였다.
장치(10)는, 이 장치의 동작들을 조정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24)의 제어하에, 소스들(12,14,16,18)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결합된 윈도우즈 제어기(22)를 포함하며, 이 제어기(22)는 그 소스로부터의 데이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로하여 각각의 소스에 대한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성하고 주기적으로 갱신하도록 배치되며, 디스플레이의 포맷 및 특정 형태에 대한 선택들은 이하 설명될 것이다.
윈도우즈 제어기(22)는 제1 저장수단에 결합된다. 이 제1 저장 수단은 ,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패널들의 적어도 일부가 반투명인 명세(specification)를 포함하며, 제어기(22)에 의해 생성된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위한 데이터를 유지하는 패널 및 반투면성 데이터 (PTD) 저장기(26)의 형태이다. 미리 결정된 반투명성 레벨은 시스템의 모든 겹쳐진 패널들 또는 패널 세그먼트들에 대해 특정되는데, 저장기(26)에 유지되어 있는 반투명성 명세는, 그 특정 패널이 다른 패널과 겹칠 때 불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되는 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당 단일 플래그만큼 적게 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패널에 대한 더욱 상세한 명세는, 아래로는 단일 픽셀의 해상도까지,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각의 영역들에 대한 다른 반투명성 레벨들의 명세를 유지하는 저장기(26)로 지원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CPU(24)에 결합되고, 저장기(26)로부터 데이터 패널 색 및 반투명성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제어기(28)는 디스플레이 버퍼(30)를 통해 텔레비전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32)에 공급하기 위한 출력 픽셀값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는,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34,36)이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28)는 2 또는 그 이상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들로부터의 기여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픽셀 값들을 생성한다. 다른 기여들은 디스플레이 패널들이 놓여지는 배경 또는 월페이퍼(38;wallpaper)로부터 올 수 있다.
상기 장치의 다른 특징은, 적절한 인터페이스(40)를 통해 시스템 CPU(24)에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42)이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는 스크린(32)상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터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상기 또는 각각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42)의 특정 형태는 지원되는 상호작용의 레벨에 의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장치(10)가 텔레비전(32)에 영상들을 공급하는 셋탑 박스에 수용되는 경우, 입력 디바이스는, 공지된 방식으로 적외선 링크를 걸쳐 전송된 명령들을 통해 텔레비전을 제어하는 손으로 될 수 있는 텔레비전 원격 제어 장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장치(10)가 가정용 컴퓨터에 수용되는 경우, UID(42)는 2 또는 3 차원의 움직임 명령들을 입력하기 위한 포인터 디바이스를 갖는 컴퓨터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제 1 잠재적인 배열을 설명한다. 이 배열에는 3차원 인터페이스 공간(84)에서 하나 뒤에 다른 하나를 갖는, 평행한 정열의 멀어지는 패널들을 시뮬레이팅하도록 배치된 4개의 패널들(80~83)이 포함된다. 테두리(86)는 도시된 비율로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4:3 또는 16:9의 종횡비로 대체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2의 배열을 생성하기 위해, 도 1의 디스플레이제어기(28)는, 다른 메모리 디바이스(44)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기에 결합된 시스템 메모리의 다른 영역에 유지된, 환경을 규정하는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3차원 인터페이스 공간 또는 환경(84)의 2차원 영상을 생성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상 현신적이다. 관련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3차원 영상화 처리를 위한 종래의 방식에서, 영상은 그 환경내에서 주어진 위치와 방향을 갖는 미리 결정된 뷰포인트로부터 생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들이, 그래픽 영상 데이터, 라이브 텔레비전 영상들(패널들(80,81)처럼), 인터넷 웹 페이지들(패널(82)처럼)을 갖든지 또는 e-mail 메시지들(패널(83))을 갖든지, 상기 환경에서 표면들상에 맵핑된다.
도 2의 예에서, 윈도우즈 제어기(도1;22)는 제 1 부분 및 부착된 제 2 부분으로써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들 중 단지 하나만 반투면으로써 특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80~83)은, 디스플레이된 내용이 나타나는 제 1 부분(α) 및 사용자에게 각각의 패널의 내용들을 식별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를 가지며 제 1 부분에 부착된 제 2 부분(β)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제 1 부분(α)은 불투명한 반면, 뒤에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의 겹쳐진 제 1 부분(α)의 내용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드러나도록, 제 2 부분(β)은 반투명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배열에서, 다른 소스들을 통한 스크롤링(scrolling)은, 사용자가 마치 패널들 위를 날고 있는 것처럼 이으지도록 환경(84)에서 뷰포인트를 이동시킴으로써 적절히 달성될 수 있다. 이때, 3 또는 4개의 패널들의 내용 부분들(α)은 동시에 보이고, 뒤에 있는 윈도우의 내용을 흐리게 할 정도로 가소시키기 위해 타이틀바(title bar) 또는 보조 데이터 부분들(β)은 반투명하게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윈도우형태로 디스플레이된 패널(92)이 부분적으로 반투명하며 더 적게 겹친, 제 1 (풀 스크린) 패널(90)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다른 배열을 볼 수 있다. 내용들에 의하여, 풀 스크린 패널은 웹 페이지를 포함하는 겹쳐진 윈도우와 함께 텔레비전 방송을 전송할 수 있다. 웹 페이지는 디스플레이된 텔레비전 방송에 특히 관련되며(실제로 방송 데이터는 특별하게 페이지를 식별할 수 있고 상기 페이지를 엑세싱하는 웹 브라우저에 의해 발견될 수 있는 방법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것은 방송의 주제 문제를 (적어도 방송 레벨의 분류에서) 식별하여 사용자를 위한 보조 데이터를 위치적으로 관심있는 페이지를 찾아서 불러내기 위한 검색 엔지으로서 기능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웹 브라우저와 함께, 더 일반적으로 링크될 수 있다.
도 3의 실예는 겹쳐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불연속 영역들이 반투명성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특정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하며, 여기서,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94로 도시된 화상 및 텍스트는 불투명(즉, 텔레비전 화상 아래에 전체적으로 불투명)하지만,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96으로 도시된 화상 및 텍스트는 반투명하여 시청자로 하여금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시청자를 위한 방송 영상을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가 새로운 페이지들을 검색하는 동안), 윈도우된 디스플레이 패널(92)은 공지된 방법으로 스크린의 바닥에 아이콘으로 최소화될 수 있다.
도 4 및 5는 도2의 배열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3차원 환경에서 사용자-이동가능 뷰포인트로부터, 상기 환경을 규정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하여, 3차원 환경의 2차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기 배열을 특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들은 상기 환경에서 표면들 상에 맵핑되는 것을 도시한다.
환경을 규정하는 저장된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각기둥 본체들(100,101,102)을 규정하며, 복수의 각기둥 본체들 각각은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맵핑되는 평탄한 면(팹핑된 데이터는 도 4 및 5에서 명확함을 위해 생략되었다)과 상기 겹친 부분이 맵핑되는 인접한 표면(β)을 적어도 갖는다. 본 실시예의 특별한 특징은, 각각의 각기둥 본체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용들에 보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러한 인접한 표면들(β) 각각과 함께 평탄한 면으로부터 2 또는 그 이상의 인접한 표면들(β1,β2)을 갖는다는 것이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도 1;UID 42)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보조 데이터를 전송하는 표면들(β1,β2)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를 향해 뷰포인트(화상표 105로 표시됨)를 직접연결 할 수 있도록 한다.
각기둥 본체의 각각의 표면들(β1,β2) 상의 보조 데이터는 데이터 카테고리들(A: 데이터, B:데이터)의 소정수로 분할되며, 각각의 각기둥 본체들은 보조 데이터의 주어진 카테고리를 갖는 각기둥 본체 각각의 면들의 적어도 일부가 단일 뷰포인트로부터 동시에 표시될 수 있도록, 즉 모든 "A:데이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라인과 마주보도록하고 모든 "B:데이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과 마주보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다른 데이터 카테고리들은 사용자가 데이터의 다른 카테보리들에 의해 패널들을 통한 검색 또는 지수화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메인 디스플레이 패널(α)은 e-mail 메시지들을 전송하고, 측면 패널들( 및 평행6면체 블록의 후방조차)은 작가, 주제 문제, 시간 및/또는 수신된 날짜 등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각각 배열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 및 보조 패널들이 맵핑되는 각기둥 또는 평행 6면체의 블록은 반투명하다고 가정하며(이것은 박스 또는 패널 외형을 규정하는 3D 환경에서 대등한 세트로 효율적이다), 보조 패널들(β) 각각은 또한, 블록뒤의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일부의 내용이 보여지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투명하도록 한다. 이것은, 블록의 후방 표면이 판독되어지고, 또는 데이터가 그 다음 블록의 디스플레이 표면을 많은 부분을 어둡게 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는 다른 변경들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변경들은 그래픽 또는 스크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들 또는 그로 인한 구성 요소들을 갖는 장치들의 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다른 특징들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 이미 기술된 특징들에 첨가 또는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제어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3)

  1.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생성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위한 2 또는 그 이상의 독립적인 데이터 소스들,
    상기 소스로부터의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각각의 소스에 대한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성하고 주기적으로 갱신하도록 배치된 윈도우즈 제어기,
    하나의 패널의 적어도 일부가 반투명인 명세를 포함하는 생성된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위한 데이터를 유지하는 제 1 저장 수단, 및
    2 또는 그 이상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들로부터의 기여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를 위한 출력 픽셀 값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제어기를 포함하며;
    어떤 픽셀들은, 제 1 패널이 제 2 패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1 패널의 겹쳐진 부분은 반투명으로 특정되는,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로부터의 기여들을 갖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즈 제어기는 제 1 부분 및 부착된 제 2 부분으로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성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들 중 단지 하나가 반투명으로 특정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들 중 하나는 비디오 영상 프레임 시퀀스들의 소스를 포함하며, 그 소스에 대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반투명으로 특정된 부분 이외의 다른 부분에서 상기 비디오 영상 프레임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들 중 상기 하나는 상기 비디오 영상 프레임 시퀀스들에 보조 데이터를 공급하며, 상기 윈도우즈 제어기는 상기 보조 데이터에 근거하여 반투명으로 특정된 부분에 내용을 생성하도록 배열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들 중 하나는 방송 텔레비전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튜너를 포함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들 중 다른 하나는, 인터넷으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된 방송 텔레비전 신호에 관련된 웹 페이지들을 얻고, 상기 방송 텔레비전 신호로부터의 영상들이 보여지고 있는 패널에 겹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투명인 패널에서 발견된 임의의 웹 페이지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웹 브라우저인,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3차원 환경에서 미리 결정된 뷰포인트(viewpoint)로부터, 상기 환경을 규정하는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3차원 환경의 2차원 영상을 생성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들은 상기 환경에서 표면들 상에 맵핑(mapped)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에 의해 상기 3차원 환경에서 상기 뷰포인트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조작가능(user-operable)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을 규정하는 상기 저장된 데이터는, 적어도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맵핑되는 평탄한 면과 상기 겹쳐지는 부분이 맵핑되는 인접한 표면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일반적인 각기둥 본체들(prismatic bodies)을 규정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각기둥 본체는 상기 평탄한 면에 인접한 2 또는 그 이상의 표면들을 가지며, 상기 표면들 각각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용들에 대하여 보조 데이터를 가지고, 상기 사용자 조작가능 입력 수단은 상기 뷰포인트를 보조 데이터를 가지는 상기 표면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로 향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각기둥 본체의 각각의 표면들 상의 보조 데이터는 미리 결정된 수의 데이터 카테고리들로 분할되며, 상기 각각의 각기둥 본체들은, 보조 데이터의 주어진 카테고리를 갖는 각기둥 본체 각각의 면들 중 적어도 일부가 단일 뷰포인트로부터 동시에 보여질 수 있도록 배열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에 의하여 겹친 부분에 대한 반투명성의 정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조작가능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 장치.
  13. 디스플레이를 위한 2 또는 그 이상의 독립적인 데이터 소스들로부터의 데이터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어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스로부터의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각 소스에 대한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성하고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단계,
    하나의 패널의 적어도 일부가 반투명인 명세와 함께 상기 생성된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저장하는 단계, 및
    2 또는 그 이상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들로부터의 기여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를 위한 출력 픽셀 값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어떤 픽셀들은, 제 1 패널이 제 2 패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1 패널의 겹쳐진 부분은 반투명으로 특정되는,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들로부터의 기여들을 갖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어를 위한 방법.
KR1020017006522A 1999-09-25 2000-09-15 사용자 인터페이스 발생 장치 KR100768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922627.6A GB9922627D0 (en) 1999-09-25 1999-09-25 User interface generation
GB9922627.6 1999-09-25
GBGB9930786.0A GB9930786D0 (en) 1999-09-25 1999-12-30 User interface generation
GB9930786.0 1999-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398A true KR20010087398A (ko) 2001-09-15
KR100768679B1 KR100768679B1 (ko) 2007-10-23

Family

ID=1086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6522A KR100768679B1 (ko) 1999-09-25 2000-09-15 사용자 인터페이스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746806B2 (ko)
KR (1) KR100768679B1 (ko)
GB (2) GB9922627D0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749B1 (ko) * 2005-01-04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Pip 표시 제어시스템
KR100718450B1 (ko) * 2006-03-15 2007-05-14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영상 오버레이 기능을 가지는 영상 처리 장치, 이를 가지는휴대용 단말기 및 영상 오버레이 방법
KR100870179B1 (ko) * 2005-08-17 2008-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픽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9935A (ja) * 2003-04-17 2006-02-16 Fujitsu Ltd 映像制御機能を備える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2165790A (zh) * 2009-08-10 2011-08-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显示控制装置及显示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738A (ja) * 1992-07-27 1994-02-25 Canon Inc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情報表示装置
JP3209632B2 (ja) * 1993-03-16 2001-09-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荷重平均回路
US5625764A (en) * 1993-03-16 1997-04-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eighted average circuit using digit shifting
TW357312B (en) * 1994-05-23 1999-05-01 Ibm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specific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information
EP0877980A4 (en) * 1996-02-02 2000-03-29 Award Software Int Inc SET-TOP-BOX WITH AN INTERNET BIOS FOR INTERNET ACCESS
US6043818A (en) * 1996-04-30 2000-03-28 Sony Corporation Background image with a continuously rotating and functional 3D ic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749B1 (ko) * 2005-01-04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Pip 표시 제어시스템
KR100870179B1 (ko) * 2005-08-17 2008-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픽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718450B1 (ko) * 2006-03-15 2007-05-14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영상 오버레이 기능을 가지는 영상 처리 장치, 이를 가지는휴대용 단말기 및 영상 오버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930786D0 (en) 2000-02-16
KR100768679B1 (ko) 2007-10-23
JP4746806B2 (ja) 2011-08-10
JP2003510979A (ja) 2003-03-18
GB9922627D0 (en) 1999-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1426B1 (en) User interface generation
US4780709A (en) Display processor
CN100578606C (zh) 帧缓冲设备及图象显示方法
CN102681887B (zh) 用于控制虚拟化屏幕的系统和方法
EP0905669A3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 user to access data network applications from a television system
JP2001516484A (ja) 変化可能な透明度の表示
KR970032083A (ko) 폐쇄 캡션 데이타의 일시정지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EP0698266B1 (en) A windowing system with independent windows that eliminates the effects of gridding
EP1378819A2 (en) Reconfigurable user interface
US6959449B1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accessing video data and internet page data
KR920702148A (ko) Pip시스템의 자화면 위치 조절장치
KR100768679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발생 장치
US6344860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stereoscopic graphic user interface
EP268829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EP412402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7952591B2 (en) Navigating programming content via multi-dimensional surfaces
EP1265438A1 (en) A method for providing an associative list and/or multiple concurrent web pages on a full screen web browser device
ES2149363T3 (es) Actualizacion con baja latencia de objetos graficos en una presentacion para control de trafico aereo.
EP1173840B1 (en) Displaying data on lower resolution displays
JP2006268863A (ja) 表示ボードシステム
KR930013973A (ko) 커서처리회로
HU230167B1 (hu) Eljárás videojel, alkalmazások és navigátor digitális televízió képernyőjén történő megjelenítésére, valamint videojelet, legalább egy alkalmazást és navigátort digitális televízió képernyőjén megjelenítő berendezés
JP2009003745A (ja) 情報表示端末
KR200281230Y1 (ko) 다중표시기능을가진텔레비젼
KR940027520A (ko) 이전화면탐색기능을 갖는 영상신호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