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6652A - 반도체소자 제조장치 및 그 클리닝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소자 제조장치 및 그 클리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6652A
KR20010086652A KR1020000010304A KR20000010304A KR20010086652A KR 20010086652 A KR20010086652 A KR 20010086652A KR 1020000010304 A KR1020000010304 A KR 1020000010304A KR 20000010304 A KR20000010304 A KR 20000010304A KR 20010086652 A KR20010086652 A KR 20010086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reaction chamber
susceptor
gas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7082B1 (ko
Inventor
신용우
황철주
Original Assignee
황 철 주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 철 주, 주성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황 철 주
Priority to KR10-2000-0010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082B1/ko
Priority to US09/794,827 priority patent/US6435197B2/en
Priority to TW090104447A priority patent/TW594875B/zh
Publication of KR20010086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0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798Further details of plasma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J37/3244 - H01J37/32788; special provision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 H01J37/32853Hygiene
    • H01J37/32862In situ cleaning of vessels and/or intern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401Means for minimising impurities, e.g. dust, moisture or residual gas, in the reaction chamber
    • C23C16/4405Cleaning of reactor or parts inside the reactor by using reactive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082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34/00Cleaning and liquid contact with solids
    • Y10S134/902Semiconductor wa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8/00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 Y10S438/905Cleaning of reaction chamb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반도체소자 제조장치 및 그 클리닝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기체의 주입구 및 배출구가 각각 마련되고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반응챔버와; 웨이퍼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응챔버내에 설치되고 상기 반응챔버와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서셉터와; 상기 서셉터에 RF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RF 발전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셉터는 상기 웨이퍼의 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리닝방법은 상기한 본 발명의 장치의 반응챔버 내부를 클리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기체 주입구를 통하여 플라즈마 형성용 기체를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서셉터에 RF 전력을 인가하면서, 상기 서셉터를 상기 웨이퍼 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플라즈마의 위치 및 밀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리모트 플라즈마 클리닝을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셉터의 하부공간과 같이 플라즈마 형성이 어려운 새도우 영역(shadow area)에도 플라즈마가 형성되고, 서셉터를 상하 이송시킴으로써 RF 전력의 증감없이도 플라즈마 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반응챔버 내를 효과적으로 클리닝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소자 제조장치 및 그 클리닝방법 {Apparatus for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clean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 제조장치 및 그 클리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셉터의 하부공간과 같이 플라즈마 형성이 어려운 반응챔버의 새도우 영역(shadow area)도 효율적으로 클리닝하기에 적합한 반도체소자 제조장치 및 그 클리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장비를 비롯한 많은 반도체소자 제조장치의 반응챔버 내부를 클리닝하는 방법으로서, 인시튜 플라즈마 클리닝(in-situ plasma cleaning)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는, 반응챔버 내부에 형성된 오염입자 발생원을 제거하기 위해, 공정기체 대신에 식각용 기체를 반응챔버에 흘리고 식각용 기체에 플라즈마 전력을 인가하여 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반응챔버의 내벽을 약하게 식각하는 방법이다. 식각용 기체로는 주로 염소나 불소가 포함된 기체가 사용된다. 종래의 반도체소자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1을 통해 종래기술에 따른 인시튜 플라즈마 챔버 클리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반응챔버(10)는 상부 및 하부 반응챔버(10a, 10b)가 플랜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플랜지 부위에는 효과적인 실링(sealing)을 위해 오링(20)이 개재된다. 하부 반응챔버(10b)는 접지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부 반응챔버(10b)에는 기체의 주입구 및 배출구가 각각 설치된다. 상부 반응챔버(10b)는 돔(dome)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부 반응챔버(10b)를 돔 형상으로 하는 것은 반응챔버(10) 내에 주입되는 기체가 서셉터(40) 상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분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인 돔 형상의 CVD 챔버는 돔을 석영이나 세라믹 등의 절연물질로 구성하게 되는데, 이 때 플라즈마 전극(30)은 상부 반응챔버(10b)를 둘러싸도록 상부 반응챔버(10b)의 외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플라즈마 전극(30)도 돔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플라즈마 전극(30)이 돔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은 플라즈마 전극의 유효면적을 크게 해서 플라즈마의 밀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RF 발전기(60)에 의해 발생하는 RF 전력은 매칭박스(matching box, 65)에서 반사율(reflectance)이 최소화 되도록 조절되어 플라즈마 전극(30)으로 공급된다. 웨이퍼(50)는 반응챔버(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서셉터(40) 상에 안착되며, 서셉터(40)는 플라즈마 전극(30)의 상대전극 역할을 하도록 접지된다.
기체 주입구를 통해서 반응챔버(10) 내로 플라즈마 형성용 기체를 주입한 후 플라즈마 전극(30)에 RF 전력을 인가하면 서셉터(40)와 플라즈마 전극(30) 사이에 플라즈마(70)가 형성된다.
상술한 종래의 반도체소자 제조장치에서 CVD 공정을 진행한 후, 플라즈마 전극(30)과 서셉터(40) 간에 RF 전력을 인가하여 챔버 내에 적층된 필름을 플라즈마 건식식각하는 방식으로 클리닝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 반응챔버(10a)를 금속으로 만들기도 하는 데 이러한 경우에는 플라즈마 전극(30)에 RF 전력을 인가하더라도 상부 반응챔버(10a)에 의한 방패 현상(shield effect) 때문에 서셉터(40) 상부공간에 플라즈마(70)가 제대로 형성되지 아니한다.
둘째, 서셉터(40) 하부에는 기하학적으로 플라즈마가 발생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서셉터(40) 하부에 플라즈마가 발생되지 아니하면,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서셉터(40) 하부공간을 클리닝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서셉터(40) 하부공간을 클리닝하기 위한 별도의 부수적 공정이 더 필요하게 된다.
셋째, 서셉터(40)의 상부공간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상부 반응챔버(10a)의 내벽을 플라즈마로 건식식각함으로써 클리닝하기 위해서는 매우 큰 RF 전력을 인가해야 하는데, 이 경우 과도 식각되는 곳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셉터의 하부공간과 같이플라즈마 형성이 어려운 새도우 영역(shadow area)에도 플라즈마를 형성시키고, RF 전력의 증감없이 플라즈마 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반응챔버 내를 효과적으로 클리닝할 수 있는 반도체소자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소자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및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의 반도체소자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플라즈마 클리닝 공정을 수행한 경우의 실험 데이터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번호의 설명 >
10, 110: 반응챔버 10a, 110a: 상부 반응챔버
10b, 110b: 하부 반응챔버 20, 120: 오링
30: 플라즈마 전극 40, 140: 서셉터
50, 150: 웨이퍼 60, 160: RF 발전기
65, 165: 매칭박스 70, 170a, 170b: 플라즈마
180: 리모트 플라즈마 발생기
185: 플라즈마 이송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소자 제조장치는: 기체의 주입구 및 배출구가 각각 마련되고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반응챔버와, 웨이퍼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응챔버내에 설치되고 상기 반응챔버와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서셉터와, 상기 서셉터에 RF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RF 발전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가 상기 웨이퍼의 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챔버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이 때, 그 상부가 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라즈마로 야기되는 손상(plasma induced damage)을 줄이기 위해, 본 발명의 장치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응챔버의 외부에 설치되는 리모트 플라즈마 발생기와, 상기 리모트 플라즈마 발생기에서 발생된 플라즈마를 상기 반응챔버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모트 플라즈마 발생기와 상기 반응챔버를 연결하는 플라즈마 이송관을 더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반응챔버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수단을 더 구비하여 클리닝 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리닝방법은, 상기한 반도체소자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체 주입구를 통하여 플라즈마 형성용 기체를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서셉터에 RF 전력을 인가하면서, 상기 서셉터를 상기 웨이퍼 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플라즈마의 위치 및 밀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 전력을 인가하는 단계가: 상기 리모트 플라즈마 발생기에서 불소성분 함유기체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불소성분 함유기체의 플라즈마를 상기 플라즈마 이송관을 통해 상기 반응챔버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불소성분 함유기체는 SF6기체 또는 NF3기체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반응챔버(110)는 상부 및 하부 반응챔버(110a, 110b)가 플랜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플랜지 부위에는 효과적인 실링(sealing)을 위해 오링(120)이 개재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부 반응챔버(110b)에는 기체의 주입구 및 배출구가 각각 설치된다.
상부 및 하부 반응챔버(110a, 110b)는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전기적으로 접지되고, 상부 반응챔버(110b)는 돔(dome)형상을 가진다. 상부 반응챔버(110b)를 돔 형상으로 하는 것은 반응챔버(110) 내에 주입되는 기체가 서셉터(140) 상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분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웨이퍼(150)는 반응챔버(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서셉터(140) 상에 안착되며, RF 발전기(160)에 의해 발생하는 RF 전력은 매칭박스(matching box, 165)에서 반사율이 최소화 되도록 조절되어 서셉터(140)로 공급된다. 즉, 서셉터(140)가 종래의 플라즈마 전극 역할을 하게 된다. 서셉터(140)는 반응챔버(110)와 전기적으로절연되며, 상하 이송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웨이퍼(150)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수단(미도시)이 서셉터(140) 내에 장착된다.
기체 주입구를 통해서 반응챔버(110) 내로 플라즈마 형성용 기체를 주입한 후 서셉터(140)에 RF 전력을 인가하면 서셉터(140)의 상부 및 하부 공간에 각각 플라즈마(170a, 170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서셉터(140)에 RF 전력이 인가되기 때문에, 상부 반응챔버(110a)가 금속으로 이루어질 경우 서셉터(140) 상부 공간에 플라즈마(170a)가 형성된다. 또한, 서셉터(140) 하부공간에도 플라즈마(170b)가 형성되기 때문에, 서셉터(140) 하부 공간도 플라즈마로 클리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서셉터(140)를 상하 이송하여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서셉터(140)에 일정한 RF 전력을 가한 상태에서도 서셉터(140) 상부 및 하부 공간의 플라즈마(170a, 170b)의 위치 및 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단지 서셉터(140)를 상하 운동시킴으로써 반응챔버(110) 내를 균일하게 클리닝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플라즈마로 반응챔버(110) 내를 클리닝함에 있어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플라즈마 클리닝 도중에 반응챔버(110)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즈마를 반응챔버(110) 내에서 직접 발생시키고 그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반응챔버(110)를 클리닝하는 경우에는 플라즈마가 강하여 반응챔버(110)의 벽이 물리적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한 리모트 플라즈마 발생기(180)를 반응챔버(110) 바깥에 별도로 더 설치하고, 리모트 플라즈마 발생기에서 발생된 플라즈마를 플라즈마 이송관(185)을 통하여 반응챔버(110)로 이송시킬 수도 있다.
챔버내부를 클리닝하기 위한 식각용 기체는 반도체소자 제조장치에서 진행된 공정에 따라서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반도체소자 제조장치가 실리콘 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진행했다면, SF6기체 또는 NF3기체와 Ar 기체의 혼합기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의 반도체소자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박막 증착공정을 수행한 후에, 표 2와 같은 조건으로 플라즈마 클리닝 공정을 수행한 경우의 실험 데이터이다. 구체적으로, 도 3a 내지 도 3d는 표 2에 제시된 조건 중에서 웨이퍼 온도, 서셉터의 위치, RF 전력, 및 Ar 유량을 각각 변화시켜 가면서 반응챔버 내의 부위별 식각률을 각각 측정한 것이다. 여기서, 서셉터의 위치는 서셉터의 홈위치(home position)를 기준으로 하고 그로부터 이동한 거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돔형 상부 반응챔버와 하부 반응챔버가 만나는 곳을 홈위치로 삼았다.
증착 조건 Si2H6공급유량 10 sccm
증착 압력 2.11×10-4torr
증착 시간 40 분
RF 전력 300W SF6유량 130 sccm
홈위치를 기준으로 한 서셉터 위치 50 mm Ar 유량 720 sccm
압력 25 mtorr 웨이퍼 온도 7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 제조장치에 의하면, 서셉터(140)의 하부공간과 같이 플라즈마 형성이 어려운 새도우 영역(shadow area)에도 플라즈마가 형성되고, 서셉터(140)를 상하 이송시킴으로써 RF 전력의 증감없이도 플라즈마 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반응챔버 (110)내를 효과적으로 클리닝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반응챔버(110a)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경우라도 반응챔버(110) 내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9)

  1. 기체의 주입구 및 배출구가 각각 마련되고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반응챔버와,
    웨이퍼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응챔버내에 설치되고 상기 반응챔버와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서셉터와,
    상기 서셉터에 RF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RF 발전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가 상기 웨이퍼의 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챔버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챔버는 그 상부가 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응챔버의 외부에 설치되는 리모트 플라즈마 발생기와, 상기 리모트 플라즈마 발생기에서 발생된 플라즈마를 상기 반응챔버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모트 플라즈마 발생기와 상기반응챔버를 연결하는 플라즈마 이송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챔버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제조장치.
  7. 제2항에 기재된 반도체소자 제조장치의 상기 반응챔버 내부를 클리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체 주입구를 통하여 플라즈마 형성용 기체를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서셉터에 RF 전력을 인가하면서, 상기 서셉터를 상기 웨이퍼 면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플라즈마의 위치 및 밀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장치의 클리닝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F 전력 인가단계가:
    상기 리모트 플라즈마 발생기에서 불소성분 함유기체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불소성분 함유기체의 플라즈마를 상기 플라즈마 이송관을 통해 상기 반응챔버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장치의 클리닝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불소성분 함유기체가 SF6기체 또는 NF3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장치의 클리닝방법.
KR10-2000-0010304A 2000-03-02 2000-03-02 반도체소자 제조장치 및 그 클리닝방법 KR100467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304A KR100467082B1 (ko) 2000-03-02 2000-03-02 반도체소자 제조장치 및 그 클리닝방법
US09/794,827 US6435197B2 (en) 2000-03-02 2001-02-27 Method of cleaning a semiconductor fabricating apparatus
TW090104447A TW594875B (en) 2000-03-02 2001-02-27 Apparatus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clean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304A KR100467082B1 (ko) 2000-03-02 2000-03-02 반도체소자 제조장치 및 그 클리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652A true KR20010086652A (ko) 2001-09-15
KR100467082B1 KR100467082B1 (ko) 2005-01-24

Family

ID=1965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304A KR100467082B1 (ko) 2000-03-02 2000-03-02 반도체소자 제조장치 및 그 클리닝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35197B2 (ko)
KR (1) KR100467082B1 (ko)
TW (1) TW59487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348B1 (ko) * 2005-12-06 2007-06-07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용 챔버 클리닝장치 및 클리닝방법
WO2016117839A1 (ko) * 2015-01-22 2016-07-28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에피택셜 웨이퍼의 성장을 위한 리액터의 재가동 준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3787A (ja) * 2001-05-17 2002-11-29 Research Institute Of Innovative Technology For The Earth プラズマ処理装置およびそのクリーニング方法
US7159597B2 (en) * 2001-06-01 2007-01-09 Applied Materials, Inc. Multistep remote plasma clean process
US6902629B2 (en) * 2002-04-12 2005-06-07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for cleaning a process chamber
US7588036B2 (en) * 2002-07-01 2009-09-15 Applied Materials, Inc. Chamber clean method using remote and in situ plasma cleaning systems
US6923189B2 (en) * 2003-01-16 2005-08-02 Applied Materials, Inc. Cleaning of CVD chambers using remote source with cxfyoz based chemistry
US20060266288A1 (en) * 2005-05-27 2006-11-30 Applied Materials, Inc. High plasma utilization for remote plasma clean
US7699935B2 (en) 2008-06-19 2010-04-20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and system for supplying a cleaning gas into a process chamber
US7967913B2 (en) * 2008-10-22 2011-06-28 Applied Materials, Inc. Remote plasma clean process with cycled high and low pressure clean steps
CN105097607B (zh) * 2014-05-22 2019-02-19 北京北方华创微电子装备有限公司 一种反应腔室及其清洗方法
KR20210116679A (ko) * 2019-02-11 2021-09-27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프로세스 챔버를 세정하기 위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5939A (ja) * 1984-03-19 1985-10-04 Hitachi Ltd プラズマ処理装置
US4902531A (en) * 1986-10-30 1990-02-20 Nihon Shinku Gijutsu Kabushiki Kaisha Vacuum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5043299B1 (en) * 1989-12-01 1997-02-25 Applied Materials Inc Process for selective deposition of tungsten on semiconductor wafer
JPH03203317A (ja) * 1989-12-29 1991-09-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処理装置
KR100326488B1 (ko) * 1993-06-21 2002-06-20 조셉 제이. 스위니 플라즈마화학기상증착법
US6155200A (en) * 1997-07-08 2000-12-05 Tokyo Electron Limited ECR plasma generator and an ECR system using the generator
TW452606B (en) * 1997-12-05 2001-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leaning inside of chamber using RF plasm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348B1 (ko) * 2005-12-06 2007-06-07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용 챔버 클리닝장치 및 클리닝방법
WO2016117839A1 (ko) * 2015-01-22 2016-07-28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에피택셜 웨이퍼의 성장을 위한 리액터의 재가동 준비 방법
TWI585828B (zh) * 2015-01-22 2017-06-01 Lg矽得榮股份有限公司 用於準備外延晶圓生長之反應器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7082B1 (ko) 2005-01-24
TW594875B (en) 2004-06-21
US20010025645A1 (en) 2001-10-04
US6435197B2 (en) 2002-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9425B1 (en) Quasi-remote plasm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7392759B2 (en) Remote plasma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with two types of gases
US6706138B2 (en) Adjustable dual frequency voltage dividing plasma reactor
EP0578010B1 (en) Multi-zone plasma processing system
KR100441297B1 (ko) 리모트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ccp형 pecvd장치
TWI389251B (zh) 處理薄膜之方法
TW438903B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positing premetal dielectric layer at subatmospheric and high temperature conditions
KR100423953B1 (ko) 화학기상증착장치
US6867086B1 (en) Multi-step deposition and etch back gap fill process
US6464843B1 (en) Contamination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plasma processing chamber
KR100467082B1 (ko) 반도체소자 제조장치 및 그 클리닝방법
US6132631A (en) Anisotropic silicon nitride etching for shallow trench isolation in an high density plasma system
JP4554815B2 (ja) 汚染制御方法およびプラズマ処理チャンバ
KR100377096B1 (ko) 개선된 샤워헤드를 구비한 반도체 제조장치
JP2001102367A (ja) 遠隔プラズマ源を用いる被膜除去
US6749717B1 (en) Device for in-situ cleaning of an inductively-coupled plasma chambers
KR100457455B1 (ko) 박막 증착 속도를 조절하는 샤워헤드를 구비한 화학 기상증착 장치.
KR100704591B1 (ko) Cvd 장치 및 그 내부 세정방법
JP3530788B2 (ja) マイクロ波供給器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並びに処理方法
WO2021041462A1 (en) Silicon oxide selective dry etch process
US20230377855A1 (en) Lower deposition chamber ccp electrode cleaning solution
KR100639517B1 (ko) 확산기를 구비한 cvd 장비
KR100658402B1 (ko) 부도체로 이루어진 샤워헤드를 구비하는 hdpㅡcvd장치
KR20040088948A (ko) Rps 교체용 분리 밸브를 가지는 cvd 장치
KR100448718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화학기상증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