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6141A -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6141A
KR20010086141A KR1020017007934A KR20017007934A KR20010086141A KR 20010086141 A KR20010086141 A KR 20010086141A KR 1020017007934 A KR1020017007934 A KR 1020017007934A KR 20017007934 A KR20017007934 A KR 20017007934A KR 20010086141 A KR20010086141 A KR 20010086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anagement
network management
appl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빌.제이. 아스프로몬테
제프리 알. 스프라게
Original Assignee
파워티브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워티브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파워티브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86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14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6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network management agents or mobile agents therefor

Abstract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호 접속된 관리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의 네트워크 관리 정보 통신을 위해 제공된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가로질러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관리자- 관리자는 관리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위치함 -, 및 관리자로부터의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위한 요청에 응답하는 관리 모듈- 관리 에이전트는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위치함 -을 포함한다. 제1 어플리케이션은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펑션을 등록하며, 이로써 상기 펑션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네트워크 관리 정보로의 액세스를 제공한다. 관리자로부터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펑션을 사용하는 관리 모듈은 제1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네트워크 관리 정보로의 관리자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A NETWORK DEVICE MANAGEMENT SYSTEM}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은 디지털 텔레비전(DTV)을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텔레비전 방송 규격 세트를 보급해 왔다. 결국은 디지털 텔레비전이 전 세계 각 국의 가정에서 현재 통용되는 NTSC 규격을 대체할 것임이 기대되고 있다. 디지털 TV는 종래 NTSC 규격에 비해 고-선명도 화상, 상당히 개선된 사용자 상호 작용 특성(interactivity), 인터넷 이메일 리소스 지원과 같은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새로운 디지털 TV 규격은 서로 영향을 주고 있지 않는 컴퓨터 및 텔레비전 기술의 결합을 촉진시킬 것임이 기대된다.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는 머지않아 가정 엔터테인먼트 멀티미디어 시스템으로서 역할할 것이고, 텔레비전은 가정 자동화 네트워크에서 인터넷까지 다양한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노드로서 역할할 것이다. 디지털 텔레비전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많은 다른 실행 가능한 물리적 패키지가 존재하는데, 현재 가장 대중적인 것은 셋탑 박스이다.
초기에, 셋탑 박스는 케이블 TV용 튜너 및 신호 디스크램블러로서 주로 사용되었다. 보다 최근에, Scientific Atlanta와 같은 회사는 훨씬 더 정교한 셋탑 박스를 개발해 왔다. 상호 작용적인 디지털 셋탑 박스는 상호 작용적인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개발하고 배달하기 위한 오픈 플랫폼을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퍼스널 컴퓨터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정교해진 셋탑 박스는 완전히 성장한(full-fledged) 컴퓨터 운영 체제를 포함한다. 높은 데이터 처리량의 관리, 강요된 소비자 디바이스에서 메모리의 효율적인 관리, 및 안전한 환경을 위한 지원과 같은 요청들은 셋탑 박스에서 사용하기 위한 혁신적인 운영 체제를 설계하기 위한 결정을 조종한다.
그러나, 셋탑 박스는 컴퓨터 운영 체제를 전개하기 위해 챌린징 사이트 (challenging site)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용도의 컴퓨터를 위한 운영 체제와는 달리, 셋탑 박스에서의 운영 체제는 소프트웨어 문제가 발생할 때 항상 재부팅할 수는 없다. TV 시청자는 가장 좋아하는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동안 재부팅하도록 강요될 때 그것을 절대 수락할 수 없게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운영 체제를 재부팅하면 소프트웨어 문제를 분석할 수 없으며, 그 문제를 고치기 위한 수리공을 급파하기 위한 케이블 오퍼레이터가 필요하게 된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모니터에 사용되고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 상주하는 다른 네트워크 타입을 관리한다. 통상적으로, 관리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각각에 대해 인터페이스 툴의 역할을 한다.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각각은 관리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위한 요청에 응답하는 관리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는 TCP/IP 기반 네트워크 상에 상주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통신으로 잘 알려져 있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이 장시간 동안 동작 중인 상태에 있더라도, 이러한 시스템들은 단지 단순한, 즉 단일 펑션 네트워크 디바이스(예컨데, 스위치, 라우터 등) 상에 초점이 맞춰진다. 그 결과, 관리 에이전트는 관리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펑션 각각을 하드코드한다. 그러나, 셋탑 박스 환경에 있어서의 메모리 압박으로 인해, 본 발명의 관리 에이전트는 복잡한 셋탑 박스 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펑션 전체를 하드코드할 수가 없다.
따라서, 셋탑 박스 상에 상주하는 운영 체제로 통합된 강한(robust) 관리 에이전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관리 에이전트는 셋탑 박스의 구조-독립 양상(architecture-independent aspects)을 관리하는 복수의 내부 펑션을 제공한다. 더욱이, 관리 에이전트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펑션의 동적 설비를 지원하는데, 이는 케이블 오퍼레이터가 셋탑 박스의 어플리케이션 레벨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문제를 멀리서 처리(troubleshoot)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배달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적어도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전달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영 체제에 대한 기본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기술하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 관리 에이전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에이전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지원되는 MIB Ⅱ 그룹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설 엔터프라이즈 서브트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관리 에이전트가 관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일어나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알람을 지원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호 접속된 관리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서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제공된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관리자- 여기서, 관리자는 관리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상주함 -, 및 관리자로부터 네트워크 관리 정보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는 관리 모듈- 여기서, 관리 에이전트는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상주함 -을 포함한다. 제1 어플리케이션은 관리 모듈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펑션을 등록하는데, 펑션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네트워크 관리 정보로의 액세스를 제공한다. 관리자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펑션을 사용함으로써 관리 모듈은 제1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네트워크 관리 정보에 관리자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는 적어도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서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전달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이 도시된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10)은 양방향 네트워크(16)에 의해 상호 접속된 관리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2) 및 복수의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14)를 포함한다.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을 관리하는 TCP/IP 기반 프로토콜로 알려졌다. 다음 설명은 SNMP와 관련하여 기술되지만, 그 설명은 다른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에도 적용가능할 것이다.
SNMP 모듈에 있어서, 관리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2) 상에 상주하는 네트워크 관리자 모듈(18)은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14)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툴로서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 관리자 모듈(18)은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14)들 중 하나 상에 상주하는 네트워크 관리 정보의 값을 검색(retrieve) 혹은 설정할 수 있다.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14)는 네트워크 관리자 모듈(18)로부터의 네트워크 관리 정보로의 액세스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는 관리 에이전트(20)를 포함한다. 보다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관리 에이전트(20)는 셋탑 박스 상에 상주하는 운영 체제 내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로서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는 셋탑 박스용 운영 체제(30)의 기본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기술한다. 다중 작업(multitasking) 운영 체제(30)는 매체 중심(media-centric)의 높은 수행 요구(high-performance demands), 셋탑 박스를 통해 전달되는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을 어드레스하기 위해 설계된다. 운영 체제(3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개발하고 방송 및 클라이언트/서버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오픈, 스케일러블 플랫폼(scalable platform)을 제공한다. 운영 체제(30)에 대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는 리던던시를 최소화하고 대화식 네트워크 설정에서의 멀티미디어 프로세싱을 최적화하도록 설계된 서로 연결된 소프트웨어 모듈의 계층들로 구성된다. 아키텍쳐의 계층은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abstraction layer; 32), 코어 계층(34), 어플리케이션 지원 계층(36) 및 어플리케이션 계층(38)을 포함한다.
셋탑 박스와 관련된 각각의 하드웨어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32) 내에 존재하는 소프트웨어 디바이스 모듈로 추상화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디바이스 모듈 각각은 매체 전달과, 하드웨어 디바이스 및 운영 체제의 리마인더 간의 조정(manipulation)에 책임이 있으므로, 이로써 포터블 운영 체제 설비로부터 각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의존성을 분리하고, 다른 하드웨어 구현의 특징 (idiosyncrasy)을 마스크한다.
코어 계층(34) 내에 존재하는 커널(kernel) 및 메모리 관리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기본 기능을 제공한다. 완전히 선점, 다중 스레드, 다중 작업 커널은 셋탑 메모리 풋프린트 및 프로세싱 스피드 모두를 최적화하도록 설계된다. 운영 체제는 소비자 유닛 상에 상주하므로, 매우 작은 풋프린트(즉, 1MB)인 ROM 기반 시스템 내에 존재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커널은 복잡한 매체 형태를 고속으로 전송, 조정 및 표시할 수 있게 하는 32 비트 RISC(Redeced Instruction Set Computer)를 이용하도록 만들어 진다. 메모리 관리자는 제헌된 메모리 리소스로부터 최고 이행을 가능하게 하는 능률적인 배당을 제공한다. 내장된 프로세서는 소비자 디지털 하드웨어 구현의 메인스테이(mainstay)가 될 것이므로, 메모리 모델은 메모리 관리 유닛 지원을 거의 필요로하지 않는다. 코어 계층(34)은 또한 통합된 이벤트 시스템과 ANSIC 유틸리티 펑션의 표준 설정을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 지원 계층(36)은 코어 계층(34)의 맨위에 구축된다. 지원 모듈의 이러한 설정은 고레벨 프로세싱 펑션 및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세션 관리 및 튜너 관리는 이러한 서비스의 일례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 에이전트(20)는 운영 체제(10)의 어플리케이션 지원 계층(36) 내에 존재한다. 끝으로, 어플리케이션 계층(38)은 운영 체제(10)의 리마인더에 의해 지원되는 한 세트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에이전트(40)의 구현은 도 3과 관련하여 논의될 것이다. 관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관리 에이전트(40)는 복수의 소정 내부 펑션을 지원한다. 각 펑션은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14)와 관련된 구성, 상태 및 통계적 정보의 일부(이하, "네트워크 관리 정보"라 칭함)에 액세스할 책임이 있다. 특히, 이러한 펑션은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탐색 (retrieve) 및/혹은 갱신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는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14)에 관련된 다양한 물리적 데이터 구조(44) 내에 저장된다.
대상 식별자(object identifier)는 특정한 소정의 펑션을 식별하기 위해 관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숫자열이다. ISO/CCITT 규격에 따르면, 글로벌 네이밍 트리(global naming tree)로부터 유도되는 대상 식별자는 이하에서 보다충분히 기술될 것이다. 대상 식별자를 수신할 때, 관리 에이전트(40)는 내부 디스패치 테이블(46)에서 대상 식별자를 찾는다. 디스패치 테이블(46)은 관리 에이전트(40)에 관련된 복수의 소정 펑션(42) 중 하나에 대상 식별자를 매핑한다. 다음으로, 관리 에이전트(40)는 요청된 네트워크 관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대응 내부 펑션을 호출한다(예컨대, 인터페이스에 수신된 인커밍 바이트의 수 혹은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탐색함). 탐색 동작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요청된 네트워크 관리 정보는 펑션(42)에서 관리 에이전트(40)로 백패스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정보를 공급한다.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 로컬 데이터 구조는 통상적으로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로 칭해진다. 도 3에 있어서, MIB(48)는 하나 이상의 소정 펑션(42) 및 그들의 대응 물리적 데이터 구조(44)로 구성된다. 이에 반해, MIB(48)는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관리 에이전트(40)에 의해 직접 액세스되는 관리 대상(50)의 콜렉션으로서 내장될 수 있다. 각각의 관리 대상(48)은 네트워크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속성 및 저장된 네트워크 관리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하도록 관리 대상 수퍼클래스로부터 설명을 통해 얻어진다. 다음 설명을 목적으로, MIB는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의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로서 뿐만 아니라 액세스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정의된다.
MIB는 일반적으로 SNMP에 따른 디바이스의 클래스를 통해 규격화된다. 당업자는 글로벌 네이밍 트리내의, 셋탑 박스의 아키텍쳐-독립 양상(architecture-independent aspects)을 관리하기 위한 대상들의 그룹을 포함하는 MIB Ⅱ 서브트리 (즉, 1.3.6.1.2.1)를 쉽게 인지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관리 에이전트(40)에 의해 지원되는 MIB Ⅱ 그룹- 시스템 그룹(System group; system:1), 인터페이스 그룹(Interfaces group; interfaces:2), 인터넷 프로토콜 그룹(Internet Protocol group; ip:4),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그룹(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group; icmp:5), 전송 제어 프로토콜 그룹(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group; tcp:6),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그룹(User Datagram Protocol group; udp:7), 및 SNMP 어플리케이션 엔터티 그룹(Application Entity group; snmp:11)을 포함함 -를 도시한다. 관리 에이전트(40)가 그들을 지원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셋탑 박스는 게이트웨이가 아니므로, 진부한 어드레스 전이 그룹(Address Translation group; at:3) 혹은 매체-특정 그룹(Media-specific group; transmission:10)이나,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그룹(Exterior Gateway Protocol group; egp:8)은 현재 지원되지 않는다.
사기업(private enterprise) 서브트리는 그들의 제품에 관련된 고객(custom) MIB를 정의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수인은 인터넷 배당된 번호 권한(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에 의해 사기업 번호(즉, 1782)를 양도받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관리 에이전트(40)는 고객 MIB를 사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액세스를 셋탑 관련 정보에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관리 에이전트(40) 역시 어플리케이션-특정 진단 (application-specific diagnostic) 정보를 액세스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어플리케이션 특정 진단 정보는 전형적인 아키텍쳐에 독립적인 셋탑 관련 정보와는 차이가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더욱이, 어플리케이션-특정 진단 정보는 어플리케이션들 간에서 변화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관리 에이전트(40)는 각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동적으로 구축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특정 MIB를 제공한다.
도 4에 있어서, 2차 디스패치 테이블(52)은 이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특정 MIB의 리스트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어플리케이션(54)은 2차 디스패치 테이블(52)에 엔트리를 위치시킴으로써 관리 에이전트(40)에 어플리케이션 특정 MIB(56)를 등록한다. 관리 에이전트(40)는 어플리케이션이 2차 디스패치 테이블(52)과 인터페이스하도록 허가하는 API(즉, snmp_install)를 제공한다. 2차 디스페치 테이블(52)은 대응 어플리케이션 특정 MIB(56)에 대해 포인터(즉, 메모리 어드레스)에 대상 식별자를 매핑하고, 이로써 관리 에이전트(40)와 요청 어플리케이션(52) 사이에 링크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경우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특정 MIB(56)는 요청 어플리케이션(54)의 내부 펑션으로서 정의되지만, 요청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관리 대상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대상 식별자를 수신할 때, 관리 에이전트(40)는 1차 디스패치 테이블(46)에서 매치를 찾는다. 발견되면, 관리 에이전트(4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진행한다. 그러나, 대상 식별자가 그것의 1차 디스패치 테이블(46)에서 발견되지 않으면, 관리 에이전트(40)는 2차 디스패치 테이블(50)을 탐색한다. 매치가 발견되면, 대응 포인터값은 적절한 어플리케이션 특정 MIB(56)를 호출하는데 사용된다. 요청된 네트워크 관리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MIB(56)에서 관리 에이전트(40)로 백패스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정보를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 특정 MIB는 단순히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정의되는 고객 MIB임을 주목한다. 관리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견지로부터, 동적으로 구축된 MIB는 전통적으로 하드 코드되어 내장된 MIB과 동일한 방식으로 가동한다. 고객 MIB 역시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의해 동적으로 구축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어플리케이션이 그 자신의 MIB 핸들러(handler)를 구축하도록 허가하므로, 어플리케이션 개발자(혹은 고객)가 새로운 MIB를 추가하기를 원할 때 마다, 메모리 공간은 운영 체제에 세이브되며, 운영 체제의 새로운 버전이 재구성되거나 버전업될 필요는 없다. 이는 셋탑 박스 상의 소프트웨어 디버그 혹은 시스템 통합 수행시 특히 유용하다.
알람(Alarm; 혹은 "트랩")은 임의의 에러 상태가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면, 관리 에이전트가 관리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함께 통신을 시작하도록 허가하는 SNMP의 특징이다. 도 7에 있어서, 본 발명의 관리 에이전트(40)는 관리 네트워크 디바이스(12)에서 어플리케이션(54)이 어플리케이션 특정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허가하는 API(60; 즉, snmp_sendtrap)를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54)은 API(60)를 호출하고, 어플리케이션 특정 에러 상태를 기술하는 텍스트 열을 수락한다. 그러한 알람의 일례는 어플리케이션(54)이 부정확한 패스워드의 다수의 엔트리를 검출한 이후에 야기되는 패스워드 오류 메시지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알람은 잠재적인 권한이 없는 사용자의 케이블 조작에 경고할 것이다. 다음에, 관리 에이전트(40)는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한다. 최종적으로, 어플리케이션 특정 알람 및 그것의 대응 텍스트 메시지는 관리 네트워크 디바이스(12)에서 관리자 모듈(18) 상에 나타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단순히 전형적인 실시예를 개시하고 기술한 것이다. 이는 종래의 셋탑 박스 상에 상주하도록 설계된 관리 에이전트(20)를 기술하는 반면, 다음 설명은,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인텔리전트 텔레비전, 인터넷 터미널 및 진보한 DVD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소비자 멀티미디어 클라이언트를 위해 당업자가 관리 에이전트를 만들고 사용하도록 적절하게 가르치기 위한 것이다. 당업자는 그러한 논의로부터 쉽게 인지할 것이고, 수반하는 도면과 청구항으로부터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경, 수정 및 변화가 실시될 수 있다.

Claims (24)

  1.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적어도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전달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관리자;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여 상기 관리자로부터의 네트워크 관리 정보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는 관리 모듈; 및
    상기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여 상기 관리 모듈에 적어도 한 개의 펑션- 상기 펑션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네트워크 관리 정보로의 액세스를 제공함 -을 등록하는 어플리케이션
    을 포함하되,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관리자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네트워크 관리 정보로의 상기 관리자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모듈과 관련된 2차 디스패치 테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2차 테이블 내에 상기 펑션을 등록하여, 상기 펑션 및 상기 관리 모듈 사이에 링크를 구축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관리 모듈에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관리 정보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내부 펑션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관리 모듈에서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관리 정보로의 상기 관리자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내부 펑션을 사용하도록 동작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 정보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관리 모듈과 관련된 관리 대상(object)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관리 대상은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속성(attributes)과 저장된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프로세스하는 방법을 포함하도록 공통 관리 대상 수퍼클래스로부터 설명(instantiation)을 통해 얻어지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 드라이버 모듈로서 더 한정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셋탑 박스로서 더 한정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세션 관리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관리시스템.
  8.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관리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서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전달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관리자;
    상기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여 상기 관리자로부터의 네트워크 관리 정보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며, 상기 관리 모듈에서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관리 정보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내부 펑션을 갖는 관리 모듈;
    상기 관리 모듈과 관련되고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특정 펑션 및 상기 관리 모듈 사이에 링크를 구축하는 2차 디스패치 테이블; 및
    상기 관리된 네트워크 디아비스 상에 상주하여 상기 2차 디스패치 테이블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특정 펑션- 상기 어플리케이션 특정 펑션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관리 정보로의 액세스를 제공함 -을 등록하는 어플리케이션
    을 포함하되,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관리자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내부 펑션 및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특정 펑션 중 적어도 하나를 호출하도록 실시됨으로써, 네트워크 관리 정보에 상기 관리자 모듈 액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관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디스패치 테이블은 상기 2차 디스패치 테이블에 등록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특정 펑션 각각에 포인터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셋탑 박스로서 더 한정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 드라이버 모듈로서 더 한정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세션 관리를 위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13.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적어도 두 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해 관리자 모듈- 상기 관리자 모듈은 관리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상주함 -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모듈로부터 네트워크 관리 정보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관리 에이전트- 상기 관리 에이전트는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상주함 -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관리 에이전트에 펑션- 상기 펑션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네트워크 관리 정보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됨 -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액세스하기 위해 상기 관리 에이전트에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에이전트에 의해 상기 펑션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네트워크 관리 정보에 상기 관리자 모듈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펑션을 등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펑션과 상기 관리 에이전트 사이에 링크를 구축하기 위해 2차 디스패치 테이블을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셋탑 박스를 사용하는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디바이스 드라이버 모듈을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세션 관리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관리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서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해 관리자 모듈- 상기 관리자 묘듈은 상기 관리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상주함 -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모듈로부터 네트워크 관리 정보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관리 에이전트- 상기 관리 에이전트는 상기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상주함 -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에 상주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관리 에이전트에 펑션- 상기 펑션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관리 정보로의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됨 -을 등록하는 단계;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액세스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에이전트와 관련된 1차 디스패치 테이블에서 상기 요청에 대해 탐색하는 단계;
    상기 요청이 상기 1차 디스패치 테이블에서 발견될 때 상기 요청에 응답함으로써, 상기 관리 에이전트에서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관리 정보로의 상기 관리자 모듈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요청이 상기 1차 디스패치 테이블에서 발견되지 않을 때 2차 디스패치 테이블- 상기 2차 디스패치 테이블은 상기 펑션 및 상기 관리 에이전트 사이에 링크를 구축하기 위해 상기 관리 에이전트와 관련됨 -에서 상기 요청에 대해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이 상기 2차 디스패치 테이블 내의 상기 펑션에 대응할 때 상기 펑션을 사용하여 상기 요청에 응답함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관리 정보로의 상기 관리자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펑션을 사용하여 상기 요청에 응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펑션을 호출하기 위해 상기 2차 디스패치 테이블에서 포인터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이 상기 1차 디스패치 테이블에서 발견될 때 상기 요청에 응답하는 상기 단계는, 네트워크 관리 정보로의 액세스하기 위해 상기 관리 에이전트와 관련된 내부 펑션을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이 상기 디스패치 테이블에서 발견될 때 상기 요청에 응답하는 상기 단계는, 네트워크 관리 정보로의 액세스하기 위해 상기 관리 에이전트와 관련된 관리 대상을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 대상은 공통 관리 대상 수퍼클래스로부터 설명을 통해 얻어지고, 상기 공통 대상은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속성 및 저장된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을 갖는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셋탑 박스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디바이스 드라이버 모듈을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세션 관리를 위해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017007934A 1998-12-22 1999-12-13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KR200100861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18,757 1998-12-22
US09/218,757 US20020002608A1 (en) 1998-12-22 1998-12-22 Network device management system
PCT/US1999/029562 WO2000038370A1 (en) 1998-12-22 1999-12-13 A network device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141A true KR20010086141A (ko) 2001-09-07

Family

ID=2281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934A KR20010086141A (ko) 1998-12-22 1999-12-13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20002608A1 (ko)
EP (1) EP1142201A1 (ko)
KR (1) KR20010086141A (ko)
WO (1) WO200003837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367A (ko) * 2001-12-29 200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지에서의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서버
KR100750134B1 (ko) * 2005-01-07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화 된 이종 장치들의 그룹들의 관리 방법 및시스템
KR100791278B1 (ko) * 2007-02-05 2008-01-04 비앤비쏠루션주식회사 보조기억매체의 관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4780B1 (en) * 1999-12-21 2004-03-09 Cisco Technology Efficient representation of system network management object identifiers
KR100457187B1 (ko) * 2001-07-12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지에서 복수의 서버를 통합 관리 하는 방법
US7010661B2 (en) * 2002-02-13 2006-03-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fficient service management in home gateways
EP1442382B1 (en) * 2001-10-12 2010-08-11 Panasonic Corporation Efficient service management in home gateways
KR100451248B1 (ko) * 2002-04-19 2004-10-02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마스터 로컬 서버 시스템
CN1166124C (zh) * 2002-09-16 2004-09-08 联想(北京)有限公司 家庭网络中实现动态组网时的设备对等连接方法
US7281138B1 (en) * 2003-04-03 2007-10-09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debugging software
US7069397B2 (en) * 2003-04-15 2006-06-27 Sun Microsystems, Inc Stream based memory manager with function specific hardware logic for accessing data as a stream in memory
KR100620054B1 (ko) * 2004-06-11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 관리 기술에서의 장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90006435A1 (en) * 2007-06-28 2009-01-01 Cisco Technology, Inc. Object identifier awareness for network device notifications
KR101401799B1 (ko) 2007-07-19 2014-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관리 서비스를 브로드밴드 통신 모듈이 없는전자기기에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8495182B1 (en) * 2008-04-02 2013-07-23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calable systems management abstraction framework
CN102546197A (zh) * 2010-12-08 2012-07-04 卓望数码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网络服务管理系统及网络服务管理方法
CN102387029B (zh) * 2011-08-19 2014-12-10 迈普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保存设备配置信息的系统及方法
EP2584774A2 (en) 2011-10-20 2013-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N103259680A (zh) * 2013-05-10 2013-08-21 公安部第三研究所 安全技术防范设施监管系统的设备信息采集终端
CN103297275B (zh) * 2013-06-08 2016-08-17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Web网管客户端模块动态发现与加载方法
CN104539454B (zh) 2014-12-24 2018-09-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设备管理方法、装置及系统
US9787539B2 (en) 2015-01-16 2017-10-10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discovering a server on insertion into a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135A (ja) * 1993-07-02 1995-01-24 Fujitsu Ltd 二重化監視機能を持つデータ処理システム
US6085243A (en) * 1996-12-13 2000-07-04 3Com Corporation Distributed remote management (dRMON) for network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367A (ko) * 2001-12-29 200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지에서의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서버
KR100750134B1 (ko) * 2005-01-07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화 된 이종 장치들의 그룹들의 관리 방법 및시스템
KR100791278B1 (ko) * 2007-02-05 2008-01-04 비앤비쏠루션주식회사 보조기억매체의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42201A1 (en) 2001-10-10
US20020002608A1 (en) 2002-01-03
WO2000038370A1 (en) 200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6141A (ko) 네트워크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US1086323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oftware provisioning of a network device
US6633547B1 (en) Command and control transfer
US7171475B2 (en) Peer networking host framework and hosting API
US6496862B1 (en)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devices connected to an IEEE 1394 bus via a gateway device
CA2508747C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lementation of network software interfaces
JP4422900B2 (ja) テレビシステムにおいて複数の番組サービ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438593B2 (en) System and method of authorizing a device in a network system
US200200327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filing in a distributed application environment
JP4567115B2 (ja) 条件付きアクセスモジュールへの直接アクセスによってデジタルビデオ放送共通インタフェース機能を拡張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20073218A1 (en) Stream device management system for multimedia clients in a broadcast network architecture
WO2005109197A2 (en) Resource manager for clients in a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7191232B2 (en) Extendable provisioning mechanism for a service gateway
US20090222679A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ower management of devices on a network
KR20060103321A (ko) 클러스터링되고, 배포된, 엔터테인먼트 네트워크에서 선호설정의 배포, 제공 및 권한 부여
KR101451851B1 (ko) 웹서버 및 그 웹 서비스 방법
US6721949B1 (en) Kernel abstraction layer for digital television set-top box firmware
US20040193884A1 (en) Secure watchdog for embedded systems
KR20010080122A (ko) 소프트웨어 응용프로그램 라이프사이클 및 방송응용프로그램에 대한 관리
KR100995449B1 (ko) 증가적 모듈의 홈 게이트웨이
US200802293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e-service resource of digital home
WO200107781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filing in a distributed application environment
Borelli et al. An XML-based component specification model for an adaptive middleware of interactive digital television systems
KR19980077184A (ko) 정보 서비스 네트웍 시스템 및 정보 서비스 방법
Becchini et al. Software Open Multimedia Interactive Terminal: an open terminal architecture to support multimedia high-quality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