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3589A - 빌리루빈의 농도와 헤모글로빈의 함유량 측정기 - Google Patents

빌리루빈의 농도와 헤모글로빈의 함유량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3589A
KR20010083589A KR1020000007438A KR20000007438A KR20010083589A KR 20010083589 A KR20010083589 A KR 20010083589A KR 1020000007438 A KR1020000007438 A KR 1020000007438A KR 20000007438 A KR20000007438 A KR 20000007438A KR 20010083589 A KR20010083589 A KR 20010083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length
hemoglobin
pass filter
filter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3753B1 (ko
Inventor
강건
Original Assignee
강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건 filed Critical 강건
Priority to KR1020000007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753B1/ko
Publication of KR20010083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리루빈의 농도와 헤모글로빈의 함유량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시료액이 담겨진 모세튜브(11)가 결합 및 분리되는 셀홀더(10) 및 혈액이 담겨진 시료통(20)이 설치되는 검체삽입구가 형성된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광원을 발산하는 램프(100)와, 상기 램프(100)로부터 발산되는 광원을 집광하는 집광렌즈(110)와, 상기 집광렌즈(110)에서 집광된 광원을 모세튜브(11)에 담겨진 시료액에 투과되도록 하는 단열필터(200)와, 상기 시료액을 통과한 파장이 이분되도록 하는 주하프밀러(120) 및 보조하프밀러(130)와, 상기 주하프밀러(120)와 보조하프밀러(130)를 통해 이분된 태양광 성분을 파장이 455nm의 단색성분인 주파장만을 통과시키는 주파장통과필터(210)와 파장이 575nm의 단색성분인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부파장통과필터(220) 및 파장이 530nm의 단색성분인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헤모글로빈통과필터(230)와, 상기 주파장통과필터(210)와 부파장통과필터(220) 및 헤모글로빈통과필터(230)를 통해 투과된 빛의 량을 전류로 변환시키는 수광소자(300)와, 상기 수광소자(300)에서 변환된 전류를 증폭시키는 증폭기(400)와, 상기 증폭기(400)에서 증폭된 부파장에 헤모글로빈통과필터(230)를 통과한 빛의 량과 주파장통과필터(210)를 통과한 빛을 검체삽입구에 설치된 셀홀더(10) 및 시료통(20) 에 따라 제어스위치(910)의 접점이 변환되면서 파장값이 비교되도록 하는 절환스위치(900)와, 상기 절환스위치(900)에 의해 접점이 정해진 제어스위치(910)에 의해 증폭기(400)에서 증폭된 주파장과 부파장 및 헤모글로빈최대수치의 전압차를 로그변환기(500)를 통해 인식하여 주파장통과필터(210)와 부파장통과필터(220) 및 헤모글로빈통과필터(230)에서 읽혀진 단색성분의 파장값을 비교분석하는 제어부(600)와,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비교 분석된 파장값을 A/D변환기(700)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표시하는 표시부(800)와로 구성하여, 혈액 속의 빌리루빈(Bilirubin : 담즙에 포함된 적황색의 색소)농도와 헤모글로빈(Hemoglobin)의 함유량을 측정함으로서 황달의 유무와 빈혈 및 흑혈병의 이상유무를 검사시, 기기본체에 형성된 검체삽입구에 빌리루빈 검사용 셀홀더(10)나 헤모그로빈검사용 시료통(20)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표시부(800)로 빌리루빈의 농도나 혈액속의 적혈구 함유되어 있는 헤모글로빈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게 됨으로서, 황달 수치 및 헤모글로빈의 함유량에 따라 알맞은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빌리루빈의 농도와 헤모글로빈의 함유량 측정기{Instrument for determining Bilirubin concentration and Hemoglobin content}
본 발명은 혈액 속의 빌리루빈(Bilirubin : 담즙에 포함된 적황색의 색소)농도와 헤모글로빈(Hemoglobin)의 함유량을 측정함으로서 황달의 유무와 빈혈 및 흑혈병의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혈액 속에 함유되어 있는 빌리루빈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혈장색의 농도 변화를 광도계로 측정하여 혈액 속의 빌리루빈양을 간접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광도계에 의해 측정된 빌리루빈의 양이 표시부를 통해 수치로 나타나도록 함과 동시에, 혈액의 적혈구에 함유되어 있는 헤모글로빈의 함유량을 광도계로 간접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광도계에 의해 측정된 빌리루빈의 양을 표시부를 통해 수치로 나타내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빌리루빈의 농도와 헤모글로빈의 함유량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혈액속에는 적혈구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색소단백질인 헤모글로빈과 빌리베르딘의 환원에 의해 생성되는 빌리루빈이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혈액속에 과도한 양의 빌리루빈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용혈성빈혈과 황달등과 같은 질환은 물론, 간염, 강견병등과 같은 장애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혈액속의 적혈구에 함유되어 있는 헤모글로빈의 함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적혈구가 파괴되어 용혈성 빈혈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됨은 물론, 혈액이암갈색으로 변화여 피부나 손톱등이 검은색을 띠게 되는 흑혈병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검사 대상자가 나타나면, 상기 검사 대상자의 혈액을 채취한 후 빌리루빈의 농도 측정기를 이용해 빌리루빈의 수치를 측정하여 혈액속에 황달 성분이 어느 정도인지를 검사 함으로서, 상기 황달성분에 따라 그에 알맞은 치료를 수행함은 물론, 혈액속의 적혈구에 함유되어 있는 헤모글로빈의 함유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헤모글로빈의 함유량 측정기를 이용해 검사하여 그에 따른 치료를 수행하고 있다.
여기에서 종래 빌리루빈의 농도 측정기는 시료액이 담겨지는 모세튜브가 결합 및 분리되는 셀홀더가 설치되는 검체삽입구가 형성된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광원을 발산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광원을 집광하는 집광렌즈와, 상기 집광렌즈에서 집광된 광원을 모세튜브에 담겨진 시료액에 투과되도록 하는 단열필터와, 상기 시료액을 통과한 파장이 이분되도록 하는 하프밀러와, 상기 하프밀러를 통해 이분된 태양광 성분을 파장이 455nm의 단색성분인 주파장과 파장이 575nm의 단색성분인 부파장만을 각기 통과시키는 주파장통과필터와 부파장통과필터와, 상기 주파장통과필터와 부파장통과필터와를 통해 투과된 빛의 량을 전류로 변환시키는 수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에서 변환된 전류를 증폭시키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주파장과 부파장의 전압차를 로그변환기를 통해 인식하여 주파장통과필터와 부파장통과필터에서 읽혀진 단색성분의 파장값을 비교분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비교 분석된 파장값을 A/D변환기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표시하는 표시부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빌리루빈의 농도 측정기는 램프에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어지도록 기기의 전원스위치를 작동시켜 램프를 발광시킨 후 시료액이 담겨진 시료통을 기기본체에 형성된 검체삽입구에 고정되게 삽입시키면, 상기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광된 램프의 광원이 집광렌즈에 의해 집광되면서 단열필터에 의해 열이 차단된 상태로 시료통에 담겨진 시료액에 투과되어 진다.
상기 시료액을 통과한 광원은 하프밀러에 의해 파장이 455nm의 단색성분인 주파장과 파장이 575nm의 태양광 성분인 부파장으로 이분되어 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분된 파장의 455nm의 단색성분은 455nm의 단색성분만을 통과시키는 주파장통과필터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주파장통과필터를 통과한 단색성분은 모세튜브에 담겨진 시료액을 통과하면서 반응하여 얻어진 단색성분의 파장값은 수광소자에 의해 전류로 변화되며,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전류로 변화된 태양광 성분의 파장값은 증폭기를 통해 증폭되어 진다.
또한, 파장이 575nm의 단색성분은 575nm의 단색성분만을 통과시키는 부파장통과필터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부파장통과필터를 통과한 단색성분은 모세튜브에 담겨진 시료액을 통과하면서 반응하여 얻어진 단색성분의 파장값은 수광소자에 의해 전류로 변화되며,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전류로 변화된 단색성분의 파장값은 증폭기를 통해 증폭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단색성분의 파장값을 로그변환기를 통해 제어부에서 인식하여 각각의 주파장통과필터와 부파장통과필터에 의해 읽혀진 단색성분의 파장값을 비교 분석하게 되고, 상기 비교분석된 파장값은 A/D변환기에 의해아날로그신호가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진다.
상기 A/D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신호는 부파장통과필터와 부파장통과필터에서 읽혀진 단색성분의 비교 분석된 파장값을 표시부를 통해 나타내게 된다.
한편,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태양광 성분의 파장값을 로그변환기를 통해 제어부에서 인식하여 각각의 주파장통과필터와 부파장통과필터에 의해 읽혀진 단색성분의 파장값을 비교 분석한 결과, 상기 비교 분석된 파장값이 기기의 표시부에 셋팅되어 있는 기준치 보다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알람판정기를 통해 알람유무를 판정한 후 표시부를 통해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표시부에 나타난 수치에 따라 황달의 유무가 판정됨은 물론, 상기 표시부에 나타난 황달의 수치에 알맞은 치료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빌리루빈의 농도 측정기는 빌리루빈의 흡수도는 455nm에서 최대치를 갖는데 이때 헤모글로빈의 흡수도는 575nm에서와 같고 상기 575nm에서의 빌리루빔 흡수도는 직진성을 유지하므로 455nm의 흡수도를 상쇄시키면서 순수한 빌리루빈의 양만 측정할 수 있는 관계로, 혈액속에 함유되어 있는 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측정시에는, 상기 혈액속의 적혈구에 함유되어 있는 헤모글로빈의 함유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별도의 헤모글로빈 함유량 측정기를 이용해 검사하여 그에 따른 치료를 수행하도록 하여야 함으로서, 오랜 검사기간을 필요로 하게 됨은 물론, 많은 검사비용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료액이 담겨진 모세튜브가 결합 및 분리되는 셀홀더 및 혈액이 담겨진 시료통이 설치되는 검체삽입구가 형성된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광원을 발산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광원을 집광하는 집광렌즈와, 상기 집광렌즈에서 집광된 광원을 모세튜브에 담겨진 시료액에 투과되도록 하는 단열필터와, 상기 시료액을 통과한 파장이 이분되도록 하는 주하프밀러 및 보조하프밀러와, 상기 주하프밀러와 보조하프밀러를 통해 이분된 태양광 성분을 파장이 455nm의 단색성분인 주파장만을 통과시키는 주파장통과필터와 파장이 575nm의 단색성분인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부파장통과필터 및 파장이 530nm의 단색성분인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헤모글로빈통과필터와, 상기 주파장통과필터와 부파장통과필터 및 헤모글로빈통과필터를 통해 투과된 빛의 량을 전류로 변환시키는 수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에서 변환된 전류를 증폭시키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부파장에 헤모글로빈통과필터를 통과한 빛의 량과 주파장통과필터를 통과한 빛을 검체삽입구에 설치된 셀홀더 및 시료통 에 따라 제어스위치의 접점이 변환되면서 파장값이 비교되도록 하는 절환스위치와, 상기 절환스위치에 의해 접점이 정해진 제어스위치에 의해 증폭기에서 증폭된 주파장과 부파장 및 헤모글로빈최대수치의 전압차를 로그변환기를 통해 인식하여 주파장통과필터와 부파장통과필터 및 헤모글로빈통과필터에서 읽혀진 단색성분의 파장값을 비교분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비교 분석된 파장값을 A/D변환기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표시하는 표시부와로 구성하여, 혈액 속의 빌리루빈(Bilirubin : 담즙에 포함된 적황색의 색소)농도와 헤모글로빈(Hemoglobin)의 함유량을 측정함으로서 황달의 유무와 빈혈 및 흑혈병의 이상유무를 검사시, 기기본체에 형성된 검체삽입구에 빌리루빈 검사용 셀홀더나 헤모그로빈검사용 시료통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표시부로 빌리루빈의 농도나 혈액속의 적혈구 함유되어 있는 헤모글로빈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게 됨으로서, 황달 수치 및 헤모글로빈의 함유량에 따라 알맞은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빌리루빈의 농도와 헤모글로빈의 함유량 측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빌리루빈의 농도와 헤모글로빈의 함유량 측정기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셀홀더 11 : 모세튜브
20 : 시료통 100: 램프
110: 집광렌즈 120: 주하프밀러
130: 보조하프밀러 200: 단열필터
210: 주파장통과필터 220: 부파장통과필터
230: 헤모글로빈통과필터 300: 수광소자
400: 증폭기 500: 로그변환기
600: 제어부 700: A/D변환기
800: 표시부 900: 절환스위치
910: 제어스위치로그변환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빌리루빈의 농도와 헤모글로빈의 함유량 측정기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시료액이 담겨진 모세튜브(11)가 결합 및 분리되는 셀홀더(10) 및 혈액이 담겨진 시료통(20)이 설치되는 검체삽입구가 형성된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광원을 발산하는 램프(100)와, 상기 램프(100)로부터 발산되는 광원을 집광하는 집광렌즈(110)와, 상기 집광렌즈(110)에서 집광된 광원을 모세튜브(11)에 담겨진 시료액에 투과되도록 하는 단열필터(200)와, 상기 시료액을 통과한 파장이 이분되도록 하는 주하프밀러(120) 및 보조하프밀러(130)와, 상기 주하프밀러(120)와 보조하프밀러(130)를 통해 이분된 태양광 성분을 파장이 455nm의 단색성분인 주파장만을 통과시키는 주파장통과필터(210)와 파장이 575nm의 단색성분인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부파장통과필터(220) 및 파장이 530nm의 단색성분인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헤모글로빈통과필터(230)와, 상기 주파장통과필터(210)와 부파장통과필터(220) 및 헤모글로빈통과필터(230)를 통해 투과된 빛의 량을 전류로 변환시키는 수광소자(300)와, 상기 수광소자(300)에서 변환된 전류를 증폭시키는 증폭기(400)와, 상기 증폭기(400)에서 증폭된 부파장에 헤모글로빈통과필터(230)를 통과한 빛의 량과 주파장통과필터(210)를 통과한 빛을 검체삽입구에 설치된 셀홀더(10) 및 시료통(20) 에 따라 제어스위치(910)의 접점이 변환되면서 파장값이 비교되도록 하는 절환스위치(900)와, 상기 절환스위치(900)에 의해 접점이 정해진 제어스위치(910)에 의해 증폭기(400)에서 증폭된 주파장과 부파장 및 헤모글로빈최대수치의 전압차를 로그변환기(500)를 통해 인식하여 주파장통과필터(210)와 부파장통과필터(220) 및 헤모글로빈통과필터(230)에서 읽혀진 단색성분의 파장값을 비교분석하는 제어부(600)와,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비교 분석된 파장값을 A/D변환기(700)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표시하는 표시부(800)와로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빌리루빈을 측정시에는, 빌리루빈 검사 대상자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분리기에 의해 황달측정에 필요한 시료액을 채취한 후 모세튜브(11)에 담는다.
시료액이 담겨진 모세튜브(11)가 결합 및 분리되는 셀홀더(10) 및 혈액이 담겨진 시료통(20)이 설치되는 검체삽입구가 형성된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광원을 발산하는 램프(100)와, 상기 램프(100)로부터 발산되는 광원을 집광하는 집광렌즈(110)와, 상기 집광렌즈(110)에서 집광된 광원을모세튜브(11)에 담겨진 시료액에
상기와 같이 시료액이 담겨진 모세튜브(11)를 검체삽입구에 설치된 셀홀더(10)에 고정되게 삽입한다.
상기 셀홀더(10)에 모세튜브(11)가 고정되게 삽입되면 램프(100)에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어지도록 기기의 전원스위치를 작동시켜 램프(100)를 발광시킨다.
상기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광된 램프(100)의 광원은 집광렌즈(110)에 의해 집광된다.
집광렌즈(110)에 의해 집광된 램프(100)의 광원은 단열필터(200)에 의해 모세튜브(11)에 담겨진 시료액에 투과된다.
상기 시료액을 통과한 광원은 하프밀러에 의해 파장이 455nm의 단색성분인 주파장과 파장이 575nm의 단색성분인 부파장으로 이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분된 파장은 단색성분은 455nm의 단색성분만을 통과시키는 주파장통과필터(210)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주파장통과필터(210)를 통과한 단색성분은 모세튜브(11)에 담겨진 시료액을 투과하면서 반응하여 얻어진 단색성분의 파장값이 수광소자(300)에 의해 전류로 변화되며, 상기 수광소자(300)에 의해 전류로 변화된 태양광 성분의 파장값은 증폭기(400)를 통해 증폭된다.
또한, 파장이 575nm의 단색성분인 파장은 보조파장통과필터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보조파장통과필터를 통과한 단색성분은 모세튜브(11)에 담겨진 시료액을 투과하면서 반응하여 얻어진 단색성분의 파장이 수광소자(300)에 의해 전류로 변화되며, 상기 수광소자(300)에 의해 전류로 변화된 단색성분의 파장값은 증폭기(400)를 통해 증폭된다.
상기와 같이 증폭기(400)에 의해 증폭된 단색성분의 파장값을 로그변환기(500)를 통해 제어부(600)에서 인식하여 각각의 주파장통과필터(210)와 보조파장통과필터에 의해 읽혀진 단색성분의 파장값을 비교 분석하게 되고, 상기 비교분석된 파장값은 A/D변환기(700)에 의해 아날로그신호가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A/D변환기(700)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신호는 각각의 보조파장통과필터와 주파장통과필터(210)에서 읽혀진 단색성분의 비교 분석된 파장값을 표시부(800)를 통해 나타내게 된다.
한편, 증폭기(400)에 의해 증폭된 단색성분의 파장값을 로그변환기(500)를 통해 제어부(600)에서 인식하여 각각의 보조파장통과필터와 주파장통과필터(210)에 의해 읽혀진 단색성분의 파장값을 비교 분석한 결과, 상기 비교 분석된 파장값이 기기의 표시부(800)에 셋팅되어 있는 기준치 보다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알람판정기를 통해 알람유무를 판정한 후 표시부(800)를 통해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표시부(800)에 나타난 수치에 따라 황달의 유무가 판정됨은 물론, 상기 표시부(800)에 나타난 황달의 수치에 알맞은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혈액의 적혈구에 함유되어 있는 헤모글로빈의 함유량을 측정시에는, 헤모글로빈 검사 대상자의 혈액을 채취하여 시료통(20)에 담는다.
상기와 같이 시료액이 담겨진 시료통(20)을 검체삽입구에 삽입시키면 절환스위치(90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스위치(910)의 접점을 변경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스위치(910)에 의해 접점이 변경되면 집광렌즈(110)에 의해 집광된 램프(100)의 광원이 단열필터(200)에 의해 시료통(20)에 담겨진 시료액에 투과되고, 상기 시료액을 통과한 광원은 주하프밀러(120)와 보조하프밀러(130)에 의해 파장이 455nm의 단색성분인 주파장과 파장이 530nm의 단색성분인 헤모글로빈파장으로 이분되어 주파장통과필터(210)와 헤모글로빈통과필터(230)를 거치면서 각기 수광소자(300)에 의해 전류로 변화되며, 상기 수광소자(300)에 의해 전류로 변화된 태양광 성분의 파장값은 각기 증폭기(400)를 통해 증폭된 후 로그변환기(500)를 통해 제어부(600)에서 인식하여 각각의 주파장통과필터(210)와 헤모글로빈통과필터(230)에 의해 읽혀진 단색성분의 파장값을 비교 분석하게 되고, 상기 비교 분석된 파장값은 A/D변환기(700)에 의해 아날로그신호가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A/D변환기(700)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신호는 각각의 부파장통과필터(220)와 헤모글로빈통과필터(230)에서 읽혀진 단색성분의 비교 분석된 파장값을 표시부(800)를 통해 나타내게 된다.
한편, 증폭기(400)에 의해 증폭된 단색성분의 파장값을 로그변환기(500)를 통해 제어부(600)에서 인식하여 각각의 보조파장통과필터와 헤모글로빈통과필터(230)에 의해 읽혀진 단색성분의 파장값을 비교 분석한 결과, 상기 비교 분석된 파장값이 기기의 표시부(800)에 셋팅되어 있는 기준치 보다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알람판정기를 통해 알람유무를 판정한 후 표시부(800)를 통해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표시부(800)에 나타난 수치에 따라 적혈구가 파괴되어 나타나는 용혈성 빈혈등의 정도를 측정하게 됨은 물론, 상기 표시부(800)에 나타난 헤모글로빈의 수치에 알맞은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혈액 속의 빌리루빈(Bilirubin : 담즙에 포함된 적황색의 색소)농도와 헤모글로빈(Hemoglobin)의 함유량을 측정함으로서 황달의 유무와 빈혈 및 흑혈병의 이상유무를 검사시, 기기본체에 형성된 검체삽입구에 빌리루빈 검사용 셀홀더(10)나 헤모그로빈검사용 시료통(20)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표시부(800)로 빌리루빈의 농도나 혈액속의 적혈구 함유되어 있는 헤모글로빈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게 됨으로서, 황달 수치 및 헤모글로빈의 함유량에 따라 알맞은 치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시료액이 담겨진 모세튜브(11)가 결합 및 분리되는 셀홀더(10) 및 혈액이 담겨진 시료통(20)이 설치되는 검체삽입구가 형성된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광원을 발산하는 램프(100)와, 상기 램프(100)로부터 발산되는 광원을 집광하는 집광렌즈(110)와, 상기 집광렌즈(110)에서 집광된 광원을 모세튜브(11)에 담겨진 시료액에 투과되도록 하는 단열필터(200)와, 상기 시료액을 통과한 파장이 이분되도록 하는 주하프밀러(120) 및 보조하프밀러(130)와, 상기 주하프밀러(120)와 보조하프밀러(130)를 통해 이분된 태양광 성분을 파장이 455nm의 단색성분인 주파장만을 통과시키는 주파장통과필터(210)와 파장이 575nm의 단색성분인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부파장통과필터(220) 및 파장이 530nm의 단색성분인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헤모글로빈통과필터(230)와, 상기 주파장통과필터(210)와 부파장통과필터(220) 및 헤모글로빈통과필터(230)를 통해 투과된 빛의 량을 전류로 변환시키는 수광소자(300)와, 상기 수광소자(300)에서 변환된 전류를 증폭시키는 증폭기(400)와, 상기 증폭기(400)에서 증폭된 부파장에 헤모글로빈통과필터(230)를 통과한 빛의 량과 주파장통과필터(210)를 통과한 빛을 검체삽입구에 설치된 셀홀더(10) 및 시료통(20)에 따라 제어스위치(910)의 접점이 변환되면서 파장값이 비교되도록 하는 절환스위치(900)와, 상기 절환스위치(900)에 의해 접점이 정해진 제어스위치(910)에 의해 증폭기(400)에서 증폭된 주파장과 부파장 및 헤모글로빈최대수치의 전압차를 로그변환기(500)를 통해 인식하여 주파장통과필터(210)와 부파장통과필터(220) 및 헤모글로빈통과필터(230)에서 읽혀진 단색성분의 파장값을 비교 분석하는 제어부(600)와,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비교 분석된 파장값을 A/D변환기(700)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표시하는 표시부(800)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빌리루빈의 농도와 헤모글로빈의 함유량 측정기.
KR1020000007438A 2000-02-17 2000-02-17 빌리루빈의 농도와 헤모글로빈의 함유량 측정기 KR100343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438A KR100343753B1 (ko) 2000-02-17 2000-02-17 빌리루빈의 농도와 헤모글로빈의 함유량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438A KR100343753B1 (ko) 2000-02-17 2000-02-17 빌리루빈의 농도와 헤모글로빈의 함유량 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589A true KR20010083589A (ko) 2001-09-01
KR100343753B1 KR100343753B1 (ko) 2002-07-20

Family

ID=1964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438A KR100343753B1 (ko) 2000-02-17 2000-02-17 빌리루빈의 농도와 헤모글로빈의 함유량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711A (ko) * 2002-03-06 200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혈중 성분을 별도의 시약 없이 개별적으로 측정 가능한장치 및 그 측정 방법
KR100885123B1 (ko) * 2007-08-31 2009-02-20 김세헌 휴대용 빌리루빈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3798B2 (ja) * 1992-08-17 2001-08-27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クロモゲンの測定方法
KR0165522B1 (ko) * 1996-05-23 1999-03-20 김광호 혈증성분 무혈진단을 위한 최적지점 검색장치및 이를 이용한 무혈진단기
DE19622089A1 (de) * 1996-05-31 1997-12-04 Boehringer Mannheim Gmbh Verfahren zur Analyse Hämoglobin enthaltender medizinischer Proben
KR100300960B1 (ko) * 1997-09-05 2001-09-22 윤종용 혈중성분 농도의 무혈측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3753B1 (ko) 200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4590A (en) Discrete frequency colorimeter
US5337139A (en) Multichannel optical measuring system
EP03839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ly measuring concentration of material
US8026103B2 (en) Breath test for total organic carbon
JPH0558506B2 (ko)
US3819276A (en) Digital direct reading colorimeter
US6043881A (en) Sample cell for gaseous emission spectroscopy
US3897155A (en) Atomic fluorescence spectrometer
US4803052A (en) Carbon monoxide detector
KR100343753B1 (ko) 빌리루빈의 농도와 헤모글로빈의 함유량 측정기
CN110618108A (zh) 一种呼出气体中内源性丙酮的检测系统及方法
CN108802009B (zh) 一种利用等离子体原子发射光谱仪检测重金属的方法
CN110553986A (zh) 一种多功能sf6气体中分解产物各组分的综合分析仪
EP2124038A1 (en) Liquid immersion type absorbance sensor element and absorption spectrometer using same
EP0105659B1 (en) Carbon monoxide detectors
Hollowell Current instrumentation for continuous monitoring for SO2
KR200189858Y1 (ko) 황달 측정기
CN204439538U (zh) 一种紫外气体分析仪输出板卡和紫外气体分析仪
CN214472734U (zh) 一种总氮信号检测装置
KR100291317B1 (ko) 황달 측정기기
Legeai et al. Determination of iron in calf serum using bathophenanthroline and thermal lens spectrometry
CN216847477U (zh) 一种用于气体分析的拉曼装置
SU1114150A1 (ru) Двухканальный газоанализатор
JPS57147039A (en) Data discriminating device for photometer
JPS5918664B2 (ja) 漏血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