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1987A - 메니에르병 및 그와 유사한 증상을 치료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메니에르병 및 그와 유사한 증상을 치료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1987A
KR20010081987A KR1020017000061A KR20017000061A KR20010081987A KR 20010081987 A KR20010081987 A KR 20010081987A KR 1020017000061 A KR1020017000061 A KR 1020017000061A KR 20017000061 A KR20017000061 A KR 20017000061A KR 20010081987 A KR20010081987 A KR 20010081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diaphragm
chamber
disease treatment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엔그발다니엘
닐손안델쉬
Original Assignee
추후보정
파스칼 메디칼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정, 파스칼 메디칼 에이비 filed Critical 추후보정
Publication of KR20010081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98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3/00Insufflators for therapeutic or disinfectant purposes, i.e. devices for blowing a gas, powder or vapour into the body
    • A61M13/003Blowing gases other than for carrying powders, e.g. for inflating, dilating or rin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막에 접하는 외부 밀봉된 외이 볼륨과 연통하는 공기(가스) 압력 챔버 내의 공기(가스) 압력을 간헐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메니에르병을 치료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기구는 챔버의 벽을 형성하고 실질적으로 신장되지 않으면서 수직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외주 고정된 유연성 환형 격막을 포함한다. 상기 기구는 또한 격막을 변위시키는 선형 전자기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기구는 감지수단; 챔버의 압력 균형수단; 압력 감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의하여 격막의 변위 및 압력 균형수단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니에르병 및 그와 유사한 증상을 치료하는 장치 {APPARATUS FOR TREATMENT OF MENIERE'S DISEASE AND SIMILAR CONDITIONS}
메니에르병은 내이(內耳), 특히 내림프 시스템의 압력에 영향을 줌으로써 치료할 수 있다.
WO 83/02556호에는 공기압력 생성 챔버의 벽을 형성하는 변위 가능한 격막(displaceable diphrgm)을 포함하는 내이의 유체역학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기구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격막은 크랭크 커플링을 통해 스프링 코일의 힘에 대항하여 챔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호 변위 가능하다.
WO 93/08775호에는 압력 생성 챔버의 벽을 형성하는 유연성 막에 의하여 생성되는 압력 펄스를 통하여 메니에르병을 치료하는 공기압력 생성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막은 전기 모터의 샤프트에 견고하게 연결된 구동수단에 의하여 변위된다.
WO 97/23178호에는 정압 레벨(static pressure level)을 생성시키는 제1 수단 및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정지 압력의 레벨을 변화시키는 제2 수단을 포함하는 내이의 유체역학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제1 수단 및 제2 수단 각각은 유연성 막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공지된 기구에서 압력 생성 챔버의 방향으로 운동하는 격막의 왕복운동의 절반은 스프링 수단에 의하여 유발된다.
독특한 와우각(蝸牛殼) 맥관을 가지는 고양이의 내이에 네모 파동이 가해지는 경우, 뚜렷한 반향이 감지될 수 있다(Transmission of Square Wave Pressure Pulses through the Perilymphatic Fluids in Cats, B Densert et al.,Acta Otolaryngol.Stockholm 1986). 사람의 경우에도 상황이 이와 유사하다. 종래의 방법에 따라 네모 파동을 적용함으로써 야기되는 내이의 압력 변화는 시도된 것과는 실질적으로 상이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것이 지난 15년에 걸쳐서 이러한 공기압력 펄스를 생성 및 전달하는 다양한 장치가 고안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장치 중 어느 것도 상업적인 규모로 실용화되지 않았다는 사실에 대한 가능한 이유가 될 수 있다. 관심 치료원리의 실행이 이와 같이 지연된 것은 이들 장치가 외래 환자 대부분의 요구에 충분히 부흥하지 못하는 구조적인 면에서 몇가지 결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치료 중에 대규모의 환자 그룹에 적용 가능도록 압력을 변화시키는 방법과 관련된 방법적인 측면의 결점에 기인하는 것 같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결점 및 문제들을 극복하고, 메니에르병 및 이와 유사한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개선된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은 첨부된 청구범위뿐 아니라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환자의 한쪽 귀로 전달되는 포지티브 공기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메니에르병(Menier's disease) 및 그와 유사한 증상을 치료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기구의 기능 개략도.
도 2는 비선형 시간 축에 따른 펄스의 개략도.
도 3은 격막의 B-B 평면에 대하여 A-A 축을 따라 수직으로 절단한 탑재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환형 격막의 수직 단면도.
본 발명은 격막의 양방향 강제 변위, 즉 압력 생성 챔버 방향으로의 강제 변위 및 챔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강제 변위에는 많은 문제가 수반되는 반면, 챔버 방향으로의 강제 운동 및 챔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수동적 운동으로 유리하게 치환될 수 있다는 원리를 기초로 한다. 양방향 강제 운동이 가지는 단점 중 하나는 스프링 힘의 선형성으로부터 현저하게 일탈된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동일한 종류의 코일 스프링 샘플 내에서 스프링 힘이 실질적으로 변한다는 것이다. 증가된 스프링 힘은 아이들(idle) 위치로부터의 격막의 변위 거리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장치의 제어 문제로 전가된다. 종래의 장치가 가지는 다른 결점은 양방향 변위에서 기구 고유의 힘에 대항하는 일에 소요되는 과도한 에너지 소모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막과 접하는 외부 밀봉된 외이(external ear) 볼륨과 연통하는 공기(가스) 압력 챔버 내의 공기(가스) 압력을 간헐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메니에르병을 치료하는 기구가 제공되며, 상기 기구는 챔버의 벽을 형성하면서 아이들 위치에서 챔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외주 고정된(peripherally fixed) 유연성 환형 격막 및 격막을 챔버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구동수단(actuating means)을 포함하지만, 격막을 반대 방향으로 변위시키는수단은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챔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격막의 운동은 본질적으로 챔버 및 챔버와 연통하는 공동(cavity) 내의 공기압력 증가에 의하여 유발된다.
"본질적으로"란 개방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막(격막)이 챔버 방향으로 변위될 때에 생기는 탄성력이 폐쇄상태에서 상응하는 챔버와 격막의 변위에서 발생하는 저항력에 비하여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폐쇄상태"란 챔버가 외부 밀봉된 외이 볼륨과는 연통하고 대기와는 연통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개방상태"란 챔버가 외부 밀봉된 외이 볼륨 및 예를 들면 개방 밸브에 의하여 대기와 연통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무시할 수 있는"이란 폐쇄상태에서 격막을 (챔버 방향으로 약 5 mm의 거리와 같이) 일정 거리만큼 챔버와 변위시키는 데 요구되는 힘이 개방상태에서 상응하는 챔버와 격막의 변위에 요구되는 힘의 적어도 5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배 이상임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격막의 설계는 원하는 최대 변위를 감당하면서 실질적인 탄성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따라서, 격막은 본질적으로 신장되지 않고 (비어 있는 본래의 위치로부터) 챔버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구의 변위 가능한 요소의 결합체, 격막 및 격막을 챔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격막에 연결된 요소는 가능한 한 작아야 한다는 점도 중요하다. 이는 당 기술 분야에 공지된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배터리에 의하여 구동되는 가동 기구에 특히 유리한 에너지 절약 효과를 본 발명의 기구에 제공한다.
구동수단은 선형 전자기 변위수단(linear electromagnetic displacement means)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구는 다음과 같은 수단을 하나 또는 다수 포함한다:
챔버 내의 공기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감지수단;
챔버 내의 공기압력을 주위 공기압력과 균형을 맞추는 압력 균형수단; 및
압력 감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의하여 격막의 변위 및 압력 균형수단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수단.
압력 균형수단은 밸브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 수단은 펄스 트레인이 생성되는 동안을 제외하고는 개방(균형)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무음 밸브 수단은 20 DB 이하의 청력 레벨에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밸브 수단에는 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밀봉면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완전 폐쇄상태에서 완전 개방상태로 되는 경우 및 그 반대인 경우, 펄스 트레인의 종결 시점에서 밸브 수단을 서서히 개방하고 펄스 트레인이 시작되기 전에 서서히 폐쇄함으로써, 예를 들면, 약 0.5초 내지 1.5초, 통상적으로는 약 1초 동안에 개방 및 폐쇄를 수행함으로써 밸브의 소음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압력 균형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막 구동수단은 축을 가지면서 한쪽 단부는 격막에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는 강자성 코어에 고정된 연장 부재; 상기 축을 따라 챔버 방향으로 코어를 변위시키기 위한 전기 코일(솔레노이드); 및 제어수단에 의하여 제어되는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격막 구동수단은 전자기에 의하여 유도되는 선형의 편방향 힘에 의하여 격막을 변위시킨다. 코일에는펄스 변조된 0 내지 12 V DC의 전압이 걸린다. 코일의 전압/생성된 힘(압력)의 비율, 즉 코일 전압/격막 변위의 비율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거의 일정하다. 압력/격막 변위의 비율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특징에 따르면, 압력 챔버 내의 압력은 주위 압력(p0)에서 주위 압력 이상의 제1 레벨(p1)로 상승하고, 제1 레벨(p1)은 반복적으로 제2 레벨(p2)로 상승한 후에 제1 레벨(P1)로 다시 하강한다. 이와 같은 상승 및 하강이 반복되면서, 압력이 제1 레벨(p1)에서 주위 압력(P0)으로 하강한다. p1≥ p2인 조건하에 p1은 4 내지 16 cm H2O이고 p2는 8 내지 16 cm H2O이며, 압력 상승속도는 0 내지 4 mm H2O/10-3초이고, 압력 하강속도는 0 내지 2 mm H2O/10-3초이며, 변조 진동수는 3 내지 9 Hz,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 Hz,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 Hz이고, 단속시간 주기는 3 내지 10초, 특히 약 5초가 바람직하다. 또한, 치료 수행 시에는 약 25초 내지 90초 간격으로 2 내지 4회, 특히 3회의 치료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프트웨어가 고장난 경우,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에 의하여 제어되는 가외의(extra) 안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외의 안전수단은 챔버 내의 압력이 주위 압력을 약 25 cm H2O 가량 초과되는 경우, 압력 균형수단 및 압력 구동수단으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한다.
반면, 내이 구조를 흡입관에 노출시키는 압력, 즉 네거티브 압력을 가하지않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구에는 약 -1 cm H2O의 압력에서 개방되는 네거티브 압력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기 위한 기계식 안전 밸브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소한 네거티브 압력의 허용은 이러한 기계식 안전 밸브에 대한 설계 요구에서 기인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구에는 약 +35 cm H2O의 압력에서 개방되는 포지티브 압력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밸브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 안전 밸브는 완전 기계식으로서 제어수단에 의하여 제어되지 않는다.
챔버 및 도관의 결합 볼륨은 광범위하게 변화될 수 있지만, 설계 및 사용 조건을 고려하면, 약 20 cm3내지 50 cm3가 바람직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에 따라 압력 변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격막의 변위를 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3 mm 이하의 범위(작동 범위) 이내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결합 볼륨 및 외부 밀봉된 귀의 볼륨에 격막의 유효 면적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격막의 변위는 상기 기구에 의하여 보상될 수 있는 최소의 누전 및 외부 밀봉된 귀의 볼륨과 접하는 조직의 컴플라이언스(compliance)에 의하여 초래될 수 있는 가외의 변위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격막의 유효 면적은 약 3 내지 8 cm2의 범위이다. 30 cm3의 결합 볼륨에 대한 격막의 유효 면적은 5 cm2가 적절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격막의 유효 면적'이란 요소(35, 36) 사이에 클램핑된 중심부(32)를 포함하는 격막(4)의 변위 가능한 부분의 면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된 E2PROM(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하고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기능상 동등한 장치에 기구를 제어하는 정보를 파라미터 세트의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세트는 치료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파라미터, 즉 치료 중에 시간에 따라 챔버 내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모든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구에는 파라미터 세트를 기타의 세트로 대체하기 위한 입력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수단은 적외선(IR) 입력수단과 같이 전기 연결이 필요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파라미터 세트는 컴퓨터, 예를 들면 PC에 저장되고, 여기에서 본 발명의 기구로 전달된다. 또한, 여러 파라미터 세트가 E2PROM 또는 기능상 동등한 장치에 저장되고, 상기 기구에 이들 각각에 대한 선택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구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PROM에 저장된 고정 부분 및 E2PROM 또는 기타의 적절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교체 가능한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로서 제공된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로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구에는 챔버(1)의 한쪽 기부를 형성하는 환형의 유연성 고무 격막(막)(4)의 변위에 의하여 압력 펄스를 발생시키는 일반적인 환형 챔버(1), 한쪽 단부는 본질적인 비신장(non-tensioned)(도 1에는 신장 상태가 명확하지 않음) 격막(4)에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는 강자성 합금 코어(22)에 고정된 피스톤(2), 및 아이들 위치(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위치)에서 계자 코일(솔레노이드)(3)에 일부 삽입되는 코어(22)를 포함한다. 챔버(1)는 개방상태에서 챔버를 대기와 연통하도록 해주는 '무음'(청력 레벨 < 20 DB) 온/오프 전자기 균형 밸브(12)가 있는 말단 부분(5)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특정 설계의 격막(4)을 도시한 것이다. 격막(4)은 평평한 환형 중심부(32) 및 환상부(31)에 의하여 방사상 단면에서 반원형 주위에 결합된 평평한 환상 외주부(33)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액체 표면의 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환형 웨이브와 유사한 방사상으로 배치된 여러 개의 환상부(32)를 가지는 격막을 사용할 수도 있다. 평평한 부분(32, 33)은 격막의 B-B 평면을 한정한다. 반원형 부분(31)은 격막(4)을 격막의 B-B 평면의 외부에서 A-A 축을 따라 전방 축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즉, 변위는 격막의 탄성 변형력에 반하여 이루어지지만, 챔버에 함유된 공기에 의한 압축에 대한 저항력은 중요하지 않다. 평평한 환형 부분(32)은 상부 및 하부 환형 디스크(35, 36) 사이에 클램핑된다. 환형부(32) 및 상부와 하부 디스크(35, 36)에는 피스톤(2)의 외주 슬롯에 배치된 써클립(37)에 의하여 고정되는 라운드헤드(34)가 있는 피스톤(2) 상에 탑재되는 중심 구멍이 있다. 피스톤(2)의 다른 쪽 단부(도시되지 않음)는 격막의 반대쪽을 향하는 코일 단부에서 계자 코일(22)의 루멘(lumen)으로 일부 삽입되는 연철 또는 강자성 합금 코어(22)에 고정된다(도 1). 따라서, 피스톤(2)은 코일의 다른 단부로부터 코일로 연장된다. 코일에 전류가 통하면, 코어(22)가 코일(3)로 당겨진다. 즉, 코어(22)가 격막(4) 방향으로 변위된다. 외주 격막 부분(33)은 다수의 나사(40)에 의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부분(38, 30)과 압력 펄스를 생성하는 챔버(1)의 원통형 벽(39)을 형성하는 구조 사이에 클램핑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계 및 기능을 설명한다. 챔버(1)는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펜, 또는 유사 재료의) 유연성 플라스틱 튜브(10)를 통해 이어 플러그(11)에 의하여 봉쇄된 환자의 고막에 인접한 외이의 공기 볼륨과 연통하게 된다. 고막은 의사에 의하여 적용되는 마이크로튜브에 의하여 관통되고; 이를 통하여 환자의 외이 및 중이가 연통하게 된다. 챔버(1) 내의 압력은 압력 센서(8)에 의하여 측정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16) 및 소프트웨어(14)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에서 신호(20)가 처리된다. 압력 및 시간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파라미터는 데이터(15) 세트의 입력에 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연결된 E2PROM에서 변경될 수 있다. IR-결합(17)을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입력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6)로부터 나온 출력 신호(18)는 계자 코일(3)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고, 다른 출력 신호(13)는 개방 및 폐쇄상태를 스위치함으로써 균형 밸브(12)를 제어한다. 몇 가지 이유로 챔버(1)의 압력이 생리학적 허용치 이내로 유지될 수 없는 경우, 균형 밸브가 개방된다. 챔버의 압력이 주위 압력을 25 cm H2O 초과하는 경우, 하드웨어에 의하여 제어되는 안전 기능이 균형 밸브(12)와 계자 코일(3)로 전달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또한, 부가의 안전 예방조치로서, 네거티브 압력(개방 압력 - 1 cm H2O) 및 과도한 포지티브 압력에 대비하는 개별적인 기계식 안전 밸브(7, 9)가 제공된다.
치료 데이터는 하나 또는 다수의 파라미터 세트의 형태로 E2PROM에 저장된다. 파라미터 세트는 펄스의 진폭, 진동수, 압력 증가 및 감소 속도 등에 관한 모든 정보를 함유한다. 또한, 각각의 파라미터 세트는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제어되는 안전 기능에 대한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도 2는 간단하게 펄스 트레인의 수를 2개로 줄인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치료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챔버의 압력(도면의 하단 부분), 챔버 볼륨(도면의 중앙부), 및 균형 밸브(12)(도면의 상단 부분; 12' = 개방; 12" = 폐쇄)의 모드는 시간에 대조되어 있다.
다양한 치료 단계를 대문자로 나타내었다. A 단계 동안, 압력 센서(8)의 온도는 작동 온도가 되고, 균형 밸브(12)는 개방위치가 되며, 챔버(1)의 압력은 주위 압력이 된다. 이어서, 테스트 B 단계에서 누설 테스트가 수행된다. B 단계 동안,밸브(12)는 폐쇄상태로 유지되는 반면, 압력은 약 1 cm H2O의 테스트 압력(pt)으로 점진적으로 증가된 뒤, 다시 0으로 떨어진다. 테스트 C 단계에서 개방성 테스트가 수행된다. 챔버(1)의 볼륨(Vc)은 밸브(12)가 개방위치인 것을 제외하고는 B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변한다. 테스트 압력(pt)이 기대치에서 벗어나는 경우, 프로그램이 기구의 치료 진행을 적절하게 중단시킨다. 제1 치료 단계인 D 단계 동안, 챔버의 압력(p)은 중간 압력(p1)으로, 중간 압력에서 최대 압력(p2)으로 점진적으로 올라간 뒤, 중간 압력(p1)으로 내려온다. 즉, p1→ p2→ p1사이클이 3회 반복된 다음, 주위 압력(p0)으로 낮아진다. 약 5초의 간격(E) 후에, D 단계와 유사한 제2 펄스 트레인(F 단계)이 생성된다. 이어서 p0에서 두번째 간격(G 단계)이 오고, 이에 상응하는 시간 간격을 가지는 10 내지 30개의 추가의 펄스 트레인이 이어진다.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는 12 - 32개의 펄스 트레인의 제1 치료 섹션 다음에는 약 25 내지 90초의 휴지기가 이어지고, 제2 및 제3 치료 섹션 또한 상응하는 휴지기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을 가진다. 최적의 효과를 위해서는 하루에 수회의 치료를 반복해야 한다.

Claims (23)

  1. 고막에 접하는 외부 밀봉된 외이(external ear) 볼륨과 연통하는 공기(가스) 압력 챔버 내의 공기(가스) 압력을 간헐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메니에르병을 치료하는 기구에 있어서,
    챔버의 벽을 형성하면서 챔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외주 고정된 유연성 환형 격막; 및
    격막을 챔버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구동수단(actuating means)
    을 포함하고, 격막을 반대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은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치료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선형의 전자기 수단(electromagnetic means)을 포함하는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챔버 내의 공기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감지수단;
    챔버 내의 공기압력을 주위 공기압력과 균형을 맞추는 압력 균형수단; 및
    압력 감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의하여 격막의 변위 및 압력 균형수단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수단
    을 각각 하나 이상씩 포함하는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균형수단이 밸브 수단을 포함하는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수단이 펄스 트레인이 생성되는 동안을 제외하고는 개방위치에 있는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 구동수단이 축을 가지면서 한쪽 단부는 격막에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는 강자성 자성 재료의 코어에 고정된 길다란 구동 부재; 상기 축을 따라 챔버 방향으로 코어를 변위시키 위한 전기 코일(솔레노이드); 및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제어되는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력 균형수단이 20 DB 이하의 청력 레벨에서 작동하는 무음 온/오프 밸브 수단을 포함하는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음 밸브 수단에 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밀봉면이 제공되는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음 밸브 수단이 펄스 트레인의 끝에서 약 0.5초 내지 1.5초 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1초 동안에 완전 폐쇄위치에서 완전 개방위치로 열리도록 제어되는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수단이 펄스 트레인이 생성되는 동안을 제외하고는 개방위치에 있도록 제어되는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력이 약 25 cm H2O 이상 초과되는 경우, 상기 압력 균형수단 및 압력 구동수단으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안전수단을 포함하는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거티브 압력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기 위한 기계식 안전 밸브를 포함하는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13.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가 파라미터 세트의 형태로 E2PROM 또는 기타 적절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세트가 다른 파라미터 세트로 대체 가능한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대체가 IR 입력수단에 의하여 대체되는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쇄상태에서 외부 밀봉된 외이 볼륨과 연통하는 상기 공기(가스) 압력 챔버와 격막을 정해진 거리만큼 변위시키는 데 요구되는 힘이 개방상태에서 상응하는 챔버와 격막의 변위에 요구되는 힘의 5배 이상인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쇄상태에서 외부 밀봉된 외이 볼륨과 연통하는 상기 공기(가스) 압력 챔버와 격막을 정해진 거리만큼 변위시키는 데 요구되는 힘이 개방상태에서 상응하는 챔버와 격막의 변위에 요구되는 힘의 10배 이상인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18. 제16항 또는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위가 약 3 mm인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이 본질적으로 신장되지 않는 챔버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의 변위가 5 mm 이하이고, 상기 변위가 기구의 작동 범위를 한정하는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21.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의 변위가 3 mm 이하이고, 상기 변위가 기구의 작동 범위를 한정하는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챔버 압력/격막 변위의 비율이 기구의 작동 범위 이내에서 거의 일정한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코일 전압/격막 변위의 비율이 기구의 작동 범위 이내에서 거의 일정한 메니에르병 치료기구.
KR1020017000061A 1998-07-06 1999-06-29 메니에르병 및 그와 유사한 증상을 치료하는 장치 KR200100819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802423-5 1998-07-06
SE9802423A SE9802423D0 (sv) 1998-07-06 1998-07-06 Anordning för behandling av Ménières sjukdom och liknande åkommor
PCT/SE1999/001168 WO2000001346A2 (en) 1998-07-06 1999-06-29 Apparatus for treatment of meniere's disease and similar cond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987A true KR20010081987A (ko) 2001-08-29

Family

ID=20411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061A KR20010081987A (ko) 1998-07-06 1999-06-29 메니에르병 및 그와 유사한 증상을 치료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629938B1 (ko)
EP (1) EP1094770B1 (ko)
JP (1) JP2002519150A (ko)
KR (1) KR20010081987A (ko)
CN (1) CN1308513A (ko)
AT (1) ATE275906T1 (ko)
AU (1) AU736919B2 (ko)
BR (1) BR9911921A (ko)
CA (1) CA2337076C (ko)
DE (1) DE69920229T2 (ko)
HK (1) HK1039445A1 (ko)
HU (1) HUP0102951A3 (ko)
IL (1) IL140634A0 (ko)
MX (1) MXPA00012919A (ko)
NO (1) NO20010096L (ko)
NZ (1) NZ509123A (ko)
PL (1) PL345702A1 (ko)
SE (1) SE9802423D0 (ko)
TR (1) TR200100028T2 (ko)
WO (1) WO200000134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9663B2 (en) * 2001-05-31 2006-08-29 Qualcomm Inc. Safe application distribution and execution in a wireless environment
US20040225178A1 (en) * 2002-05-21 2004-11-11 Kriewall Timothy J.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symptoms of disease and conditions of the ear
US6958043B2 (en) * 2002-05-21 2005-10-25 Medtronic Xomed,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cing the partition between the middle ear and the inner ear using a manually powered device
US7179238B2 (en) 2002-05-21 2007-02-20 Medtronic Xomed,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irectly displacing the partition between the middle ear and inner ear at an infrasonic frequency
AU2003902425A0 (en) * 2003-05-19 2003-06-05 Burkhard Franz Pty Ltd A portable ear device
AU2004238090B2 (en) * 2003-05-19 2009-06-04 Burkhard Franz Pty Ltd A portable hand-operable device for applying pneumatic pressure pulses to an ear canal
US8014867B2 (en) 2004-12-17 2011-09-06 Cardiac Pacemakers, Inc. MRI operation modes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s
US7484531B2 (en) * 2005-06-07 2009-02-03 Micromedics, Inc. Middle ear pressure equalizing device with improved pressure control
US8920343B2 (en) 2006-03-23 2014-12-30 Michael Edward Sabatino Apparatus for acquiring and processing of physiological auditory signals
US8398562B2 (en) * 2007-07-02 2013-03-19 Micro Audiometrics Corporation Ear canal pressurization device
US8032228B2 (en) 2007-12-06 2011-10-04 Cardiac Pacemak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nnecting the tip electrode during MRI
US8086321B2 (en) 2007-12-06 2011-12-27 Cardiac Pacemakers, Inc. Selectively connecting the tip electrode during therapy for MRI shielding
US8986253B2 (en) 2008-01-25 2015-03-24 Tandem Diabetes Care, Inc. Two chamber pumps and related methods
US8311637B2 (en) 2008-02-11 2012-11-13 Cardiac Pacemakers, Inc. Magnetic core flux canceling of ferrites in MRI
US8160717B2 (en) 2008-02-19 2012-04-17 Cardiac Pacemakers, Inc. Model reference identification and cancellation of magnetically-induced voltages in a gradient magnetic field
US8408421B2 (en) 2008-09-16 2013-04-02 Tandem Diabetes Care, Inc. Flow regulating stopcocks and related methods
WO2010033878A2 (en) 2008-09-19 2010-03-25 David Brown Solute concentration measurement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8571661B2 (en) 2008-10-02 2013-10-29 Cardiac Pacemakers,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responsive to MRI induced capture threshold changes
US8639331B2 (en) 2009-02-19 2014-01-28 Cardiac Pacemaker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rrhythmia therapy in MRI environments
KR101763657B1 (ko) * 2009-07-15 2017-08-01 아클라런트, 인코포레이션 고막 압력 평형 튜브 전달 시스템
EP3284494A1 (en) 2009-07-30 2018-02-21 Tandem Diabetes Care, Inc. Portable infusion pump system
US8565874B2 (en) 2009-12-08 2013-10-22 Cardiac Pacemakers,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with automatic tachycardia detection and control in MRI environments
US9180242B2 (en) 2012-05-17 2015-11-10 Tandem Diabetes Care, Inc. Methods and devices for multiple fluid transfer
US9173998B2 (en) 2013-03-14 2015-11-03 Tandem Diabetes C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occlusions in an infusion pump
CN105163697A (zh) * 2013-04-23 2015-12-16 第一医科株式会社 能够治疗梅尼埃病及类似症状的可携带装置
US9039639B2 (en) * 2013-06-28 2015-05-26 Gbs Ventures Llc External ear canal pressure regulation system
US10251790B2 (en) 2013-06-28 2019-04-09 Nocira, Llc Method for external ear canal pressure regulation to alleviate disorder symptoms
US10760566B2 (en) 2016-07-22 2020-09-01 Nocira, Llc Magnetically driven pressure generator
EP3585335B1 (en) 2017-02-27 2024-05-08 Nocira, LLC Ear pumps
US10959630B1 (en) 2017-09-27 2021-03-30 Micro Audiometrics Corporation Dual audiometric probe headset
US11272865B1 (en) 2017-09-27 2022-03-15 Micro Audiometrics Corporation Audiometric probe including dual pressure transducer air system control
US11071543B2 (en) 2017-12-15 2021-07-27 Cilag Gmbh International Surgical end effectors with clamping assemblies configured to increase jaw aperture ranges
CN109998518B (zh) * 2019-03-05 2020-08-07 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膈运动辅助装置及膈运动辅助系统
CN110101530A (zh) * 2019-06-15 2019-08-09 吉林大学 一种平衡调节耳道鼓膜内外压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0910695A (en) 1909-05-05 1910-01-06 Gustave Frantz Lyon Improvements in Harps.
SE8200356L (sv) 1982-01-22 1983-07-23 Barbara Densert Apparat for paverkan av det hydrodynamiska systemet i det inre av ett ora
SE9103303D0 (sv) 1991-11-08 1991-11-08 Astra Ab Air pressure generator
SE510140C2 (sv) * 1995-12-22 1999-04-19 Pascal Medical Ab Anordning för påverkan av det hydrodynamiska systemet hos innerör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40634A0 (en) 2002-02-10
WO2000001346A2 (en) 2000-01-13
NO20010096D0 (no) 2001-01-05
EP1094770A2 (en) 2001-05-02
AU4946799A (en) 2000-01-24
PL345702A1 (en) 2002-01-02
MXPA00012919A (es) 2002-04-10
CN1308513A (zh) 2001-08-15
HK1039445A1 (zh) 2002-04-26
AU736919B2 (en) 2001-08-09
SE9802423D0 (sv) 1998-07-06
DE69920229T2 (de) 2005-09-22
HUP0102951A3 (en) 2002-02-28
CA2337076A1 (en) 2000-01-13
BR9911921A (pt) 2001-09-25
HUP0102951A2 (hu) 2001-12-28
ATE275906T1 (de) 2004-10-15
JP2002519150A (ja) 2002-07-02
CA2337076C (en) 2006-12-12
WO2000001346A3 (en) 2000-03-30
EP1094770B1 (en) 2004-09-15
DE69920229D1 (de) 2004-10-21
TR200100028T2 (tr) 2001-05-21
NZ509123A (en) 2002-08-28
US6629938B1 (en) 2003-10-07
NO20010096L (n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1987A (ko) 메니에르병 및 그와 유사한 증상을 치료하는 장치
RU2695307C1 (ru) Массажный прибор с воздействием ударной волной
US9999710B2 (en) Tissue remova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9561129B2 (en) Tissue remova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8231520B2 (en) Round window driving transducer for easy implantation and implantable hearing device having the same
EP2755616B1 (en) Tissue removal devices and systems
EP2892438B1 (en) Tissue removal devices and systems
US20180125748A1 (en) Devices, Mediums,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Female Sexual Arousal
EP0959833A1 (en) Device for affecting the hydrodynamic system of the inner ear
Bae et al. In vitro experiment of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for a glaucoma implant
US11992451B2 (en) Systems for promoting sexual well-being in males
WO2000001331A2 (en) Method of treating meniere&#39;s disease and corresponding apparatus
US8103012B2 (en) Electromechanical speech aid
US20240033406A1 (en) Breast pump
CZ200124A3 (cs) Zařízení pro léčení Menierovy choroby a podobných stavů
EP2002946B1 (en) Method for the generation of intrinsically pulse-coded sensorial information and biomimetic sensor for robotics and prosthetics operating according to this method
WO2024100274A1 (en) A breast pump
RU2297850C9 (ru) Устройство пневмо- и/или гидропривода для систем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пульсирующего кровообращ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