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1607A -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1607A
KR20010081607A KR1020000007508A KR20000007508A KR20010081607A KR 20010081607 A KR20010081607 A KR 20010081607A KR 1020000007508 A KR1020000007508 A KR 1020000007508A KR 20000007508 A KR20000007508 A KR 20000007508A KR 20010081607 A KR20010081607 A KR 20010081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lade
tilling
rotary
till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2742B1 (ko
Inventor
이시마루마사쿠니
코모다쇼지
Original Assignee
호리에유키지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리에유키지,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리에유키지
Priority to KR1020000007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742B1/ko
Publication of KR20010081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10Structur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tools ; Theoretical aspects of the cutting action
    • A01B33/103Structur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tools ; Theoretical aspects of the cutting action the rotating shaft being oriented horizontal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경운칼날(爪)을 부착한 경운 파이프로 토양표면의 굴삭을 하면, 긴 짚(草藁)등이 경운 칼날축(爪軸)의 축단(軸端)으로부터 베어링부재측(전동케이스 등)사이로 감기거나, 경운칼날 자체나 경운 파이프에 감김이 발생되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베어링부재의 밀폐부로부터 기름의 누설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복수의 경운칼날(1,1..)군을 배열하여 부착한 경운칼날축(2)중 좌우 양단부의 경운칼날(1)을 각각 배면에서 보아 선단내향 칼날로 하고, 이 경운칼날축(2)의 일단측을 전동장치(3)를 내장한 전동케이스(4)로 지지하고, 경운칼날축(2)의 타단측을 지지기 틀(frame)(8)로 회전을 자유롭게 지지하는 사이드 드라이브 로터리 경운장치(20)에 있어서, 이 전동케이스(4)와 상기 경운칼날축 단측(端側)의 경운칼날(1)과의 사이, 및 지지기 틀(8)과 상기 경운칼날축 단측의 경운칼날(1)과의 사이에,경운칼날(1,1..)군의 굴삭외경과 같은 정도의 외경으로 한 좌우의 회전판(5,5)을 각각 부착하고, 이 회전판(5,5) 사이에 선상부재(32)와 경운칼날축(2) 축심과의 거리를, 경운칼날(1)의 회전반경의 대략 1/2 정도로 설치하여, 복수의 선상부재(32,32,,)로 좌우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로 한다.

Description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WEED WINDING PREVENTING DEVICE IN ROTARY PLOWING EQUIPMENT}
본 발명은,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草類) 감김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토양표면을 경운(耕耘)하면서 주행하고, 땅 표면에 식생하는 잡초나 포장(圃場) 위에 산란된 작물의 잔재가 경운과 동시에 경운 토양속으로 묻어넣어지려고 할 때에, 경운축 주위에 이들 잡초나 잔재 등을 감기지 않게 한 상태로, 토양경운과 동시에 묻어 넣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부터 로터리 경운기는, 경운작업에 수반하여 포장에 남아 있는 긴 줄기의 풀류나 골풀(일본 타타미의 표면 재료)등이 경운칼날의 부착부나, 경운칼날축에 감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수단이 고안되어 실용화 시험을 했다.
공지기술의 한 예를 설명하면, 일본국 공개특허평10-150801호 공보나 동10-136706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경운칼날축에 배열하여 부착되어 있는 좌우 양단부의 경운칼날 사이에, 감김 방지부재로서 선상(線狀)부재를 경운칼날축과 평행하게 1개 또는 2개로 나누어서 팽팽이 걸친 구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1개 또는 2개의 감김 방지부재는, 경운작업에 있어서 경운칼날축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떨어진 칼날 홀더 근방 위치에서, 그 경운칼날축의 외주(外周)를 평행을 유지하여 회전하면서, 감기려고 하는 풀을 얽히게 해서, 경운칼날축으로의 직접적인 감김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좌우 양단부의 경운칼날은 감김 방지부재보다 측방향으로 돌출하여 대회전 지름으로 굴삭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지 않을 수 없고, 이와 같은 구성으로는, 포장 표면에 긴 짚등이 산란되어, 소정의 경운폭으로 주행중에, 인접해 있는 다음 번의 경운부측으로부터 짚 등의 일부가 금번 경운폭 안에 있으면, 이것들을 좌우 양단부의 경운칼날이 끌어들여서 칼날축부에 감아, 감긴 짚등이 대형화되어 간다.
짚등이 대형화되면, 우선 축 주위의 밀폐부분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공지예에서는, 풀을 자르는 회전판(刃體)이나 접근해서 대응하는 통체(筒體) 등의 복잡한 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나, 감긴 짚이 내부에서는 절단되어도, 그 외주에 새로이 자꾸자꾸 짚이 감겨가고 있으므로 회전저항이 증가하여, 실제로는, 수 미터 주행마다 소제(掃除)를 하지 않으면 실용성이 없다.
또, 손도끼칼날식의 경운칼날도 측방에서 본 선단 후퇴각이나, 후방에서 본 칼날 선단의 휨 형상(휨 반경)이나 칼날 기부(基部)의 경사각도 등에 의해, 단순한 손도끼칼날에서는 중간부의 경운칼날에 짚등이 감기는 것이다. 특히 휴경 논에 식생하는 키큰 아와다찌풀(일본국에서 자라는 풀)이나 참억새(볏과의 다년초) 등의 긴 줄기의 잡초나 포장 표면에 남는 수박이나 멜론 등의 만성(蔓性)의 남은 줄기나, 수확 작업후에 포장에 버린 긴 짚이나 골풀 등의 긴 줄기를 동시 경운하여 묻어 넣게 할 경우, 경운칼날의 형상에 따라 감김 방지효과에는 큰 차가 생긴다.
또한, 포장의 일부에 잡초나 야채잔재나 긴 짚이나 퇴비 등이 쌓여 있는 장소를 로터리 경운장치로 경운할 경우, 경운칼날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종래는 사람의 손에 의해 이들 집적물을 포장 표면에 균등하게 흩어뿌린 후,경운하고 있으나, 집적물을 흩어뿌리는 일은, 노인이나 부녀자에게는 대단히 피로를 가져오는 작업이었다.
이와 같이 공지의 상술한 감김 방지장치에 있어서도, 짧은 풀로는 경운칼날축에 풀이 감기는 일은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긴 짚등에서는 경운칼날축의 축단으로부터 베어링부재측(전동케이스 등) 사이로의 감김이나, 경운칼날 자체에 대한 감김이 발생하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베어링부재 주위를 파손시켜서 밀폐부로부터 기름누설이 생기는 등의 과제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일부를 절단한 전체배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전체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 1의 요부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요부부재의 확대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중간설치판(介裝板)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경운칼날축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경운칼날의 부품도,
도 8은 종래 경운장치의 경운칼날축의 부분확대사시도,
도 9는 종래 경운장치의 경운칼날의 부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운칼날
1a: 선단 내향칼날
2: 경운 칼날축
3: 전동장치
4: 전동케이스
5: 회전판
5a: 외측면
5b: 중간팽출부
8: 지지기 틀(frame)
10: 구동축
16: 축
18: 균일평판(均平板)
19: 칼날 홀더
19a: 최외측의 칼날 홀더
19b: 외방 2번째의 칼날 홀더
20: 사이드 드라이브 로터리 경운장치
31: 부착판
32: 선상(線狀) 부재(로드)
35: 주(主) 커버
36: 지축(支軸)
37: 후부 커버(rear cover)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수단을 강구하는 것이다. 즉, 제1의 발명은, 경운칼날(1)을 배열하여 부착한 경운칼날축(2)의 일단측을, 전동장치(3)를 내장한 전동케이스(4)의 하부에 지지되어 측방으로 돌출하는 구동축(10)에 부착하는 동시에, 타단측을 지지기 틀(8)의 축(16)에 부착하고, 이 전동케이스(4)와 상기 경운칼날축 일단측의 경운칼날(1)과의 사이, 또는 지지기 틀(8)과 경운칼날축의 타단부측의 경운칼날(1)과의 사이에, 회전판(5)을 끼워서 장치하여 구성한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의 구성으로 한다.
제2의 발명은, 경운칼날(1)을 배열하여 부착한 경운칼날축(2)의 일단측을, 전동장치(3)를 내장한 전동케이스(4)의 하부에 지지되어 측방으로 돌출하는 구동축(10)에 부착하는 동시에, 타측단을 지지기 틀(8)의 축(16)에 부착하고, 이 전동케이스(4)와 상기 경운칼날축 일단측의 경운칼날(1)과의 사이, 및 지지기 틀(8)과 경운칼날축의 타단부측의 경운칼날(1)과의 사이에, 회전판(5)을 끼워 장치하여 구성한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의 구성으로 한다.
제3의 발명은, 회전판(5)의 회전궤적의 외경과, 경운칼날(1)의 회전궤적의 외경을 대략 같은 지름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로터리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의 구성으로 한다.
제4의 발명은, 회전판(5)의 직경방향 중도부에 회전판(5)의 외주부를 전동케이스(4)방향으로 접근시키기 위한 중간 팽출부(膨出部,5b)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3에 기재의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의 구성으로 한다.
제5의 발명은, 중간 팽출부(5b)가 구동축(10)또는 축(16) 외주를 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 기재의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의 구성으로 한다.
제6의 발명은, 회전판(5)을 경운칼날축(2)과 동일 회전수로 구동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5 기재의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의 구성으로 한다.
제7의 발명은, 회전판(5)의 외주를 측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내지 6 기재의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의 구성으로 한다.
제8의 발명은,경운칼날(1)을 배열하여 부착한 경운칼날축(2)의 일단측을 전동장치(3)를 내장한 전동케이스(4)의 하부에 고정되어 측방으로 돌출하는 구동축(10)에 부착하는 동시에, 타측단을 지지기 틀(8)의 축(16)에 부착하고, 이 전동케이스(4)와 상기 경운칼날축 일단측의 경운칼날(1)과의 사이, 및 지지기 틀(8)과 경운칼날축 타단부측의 경운칼날(1)과의 사이에, 회전판(5)을 각각 끼워 장치하고, 이 좌우의 회전판(5)에 복수개의 선상부재(32)의 단부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의 구성으로 한다.
제9의 발명은, 회전판(5)의 외경을 경운칼날(1)의 회전 외경과 같은 정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 기재의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의 구성으로 한다.
제10의 발명은, 선상부재(32)와 경운칼날축(2) 축심과의 거리를 경운칼날(1)의 회전반경의 대략 1/2 정도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 또는 9 기재의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의 구성으로 한다.
제11의 발명은, 복수개의 선상부재(32)의 단부를 회전판(5)의 외측면(5a)보다도 안쪽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 내지 10 기재의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의 구성으로 한다.
제12의 발명은, 복수개의 선상부재 부착끝 위치를 측면에서 보아 어느 일방측을 회전방향 앞측으로 하고, 선상부재(32)를 나선방향으로 비틀어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 내지 11 기재의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의 구성으로 한다.
제13의 발명은, 경운칼날축(2)의 상방을 주커버(35)로 덮고, 이 주커버(35)의 후부에 설치한 횡 방향의 지축(36)을 중심으로 하여 경운칼날축(2)의 후방을 덮는 후부커버(37)를 설치한 것으로, 측면에서 보아 이 지축(36)의 위치를 회전판(5)의 선상부재(32) 부착위치의 어느 상방 보다도 후부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 내지 12 기재의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의 구성으로 한다.
제14의 발명은, 경운칼날축(2)에 부착한 복수개의 경운칼날(1)중 좌우 양단부의 경운칼날(1)을 각각 배면에서 보아 선단 내향칼날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2,8, 또는 13 기재의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의 구성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경운굴삭 작업 중의 사이드 드라이브 로터리 경운장치(20)는 도2의 측면도로 도시한 상하방향 위치로 하여, 이동농기인 트랙터 등의 후부에 3점 링크장치를 통하여 매달아 지지하고, 굴삭작업을 끝내면 이동농기의 후부 위쪽에 매달아 올리는 형태로 하고 있다.
우선 상부 전동기 틀(6)은, 도1,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방향 중앙부에 중앙 전동케이스(21)를 설치하고, 이동농기의 후부 PTO축과 접속하는 입력축(22)에 원동측의 구동력을 전달하고, 이 구동력을 상부 전동기 틀(6)에 내장한 전동축(7)에 베벨기어(23,24)를 통하여 전달하고 있다. 상부 전동기 틀(6)의 좌우방향 한 쪽에 전동케이스(4)를 연결하고, 다른 쪽에 지지기 틀(8)을 연결하여 각각 느러뜨린 상태로 하여 구성하고, 느러뜨린 하단부 사이에 경운칼날축(2)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전동케이스(4)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를 앞에서 설명한 전동축(7)의 상부 스프로킷(9)에 걸어맞추고, 하부를 구동축(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킨 하부 스프로킷(11)에 걸쳐서 내장한 전동체인(12)과의 3자로 구성한 전동장치(3)를 내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구동축(10)의 내단(內端)에는 부착플랜지(14)를 설치하고, 지지기 틀(8) 하단의 지지축(16)에는 동일하게 내단에 부착플랜지(17)가 양자 대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경운칼날축(2)의 양단부에 설치한 좌우의 부착판(13,13)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5)의 소경부(小徑部) 벽(25,25)을 외측으로부터 포개어 부착판(13,13)에 끼워져 부착되어 있다.
소경부 벽(25)은 도3의 요부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지름방향 바깥 테두리부를 통모양으로 측방 돌출된 중간 팽출부(5b)로 하고 있으며, 이 돌출단이 대경부(大徑部) 벽(28)의 지름방향 중간부 측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도시 예에서는, 중간팽출부(5b)가 대경부 벽(28)의 지름방향 중간부 측면에 용접되어 있으나, 볼트, 너트 등으로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왼쪽의 중간팽출부(5b)는, 구동축(10) 안쪽 끝부분의 부착플랜지(14)나 구동축(10) 베어링부 끝에 부착한 밀폐부(30) 등의 바깥 쪽에 위치하고 있다. 오른쪽의 중간팽출부(5b)는, 축(16) 안쪽 끝부분의 부착플랜지(17)나 축(10) 베어링부 끝에 부착된 밀폐부(30) 등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 부분의 구동축(10) 주위를 도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경운칼날축(2)의 양단부에 용접등으로 일체적으로 설치된 부착판(13,13)은, 도4의 측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외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4개소의 돌출 귀퉁이부에 구멍이 뚫려 있다. 그리고 회전판(5)은, 스프링강으로 이루어지고 외경을 경운칼날(1)의 회전궤적과 대략 동일하게 한 평판상의 대경부 벽(28)과, 깊은 접시형태로 일반강재를 드로잉(drawing) 가공한 소경부 벽(25)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경부벽(25)의 외주부를 대경부 벽(28)의 측벽면에, 용접 또는 볼트등으로 부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또 대경부 벽(28)과 소경부 벽(25)의 중심부에는 각각 대소경의 중앙개구(29,27)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대경부 벽(28)을 직경 500㎜정도의 원판으로 하고, 중앙에 앞에서 설명한 대경 중앙개구(29)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4에 도시한 대경부 벽(28)에는, 외주측 개구(43,43...)와 내주측 개구(44,44...)가 대략 8등분되어 합계16개가 개구되어 있으며, 대경부 벽(28)의 대지(對地) 회전저항이나 마찰발열의 감소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소경부 벽(25)에는 대략 원형의 소경 중앙개구(27)와, 그 외주에 부착구멍(26,26..)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부착구멍(26)은 앞에서 설명한 좌우 각각의 부착판(13)의 직사각형 귀퉁이부의 구멍에, 볼트(15,15..)에 의해서 착탈이 자유롭게 조여져 고착되어 있다. 도5는, 회전판(5)의 측면도이며, 26의 부착구멍에 상기한 볼트(15)가 통해져 있다. 27은 소경 중앙개구이며 좌우양단부의 부착플랜지(14) 또는 (17)이 통과가능한 구멍으로 되어 있다. 또 소경부 벽(25)의 부착구멍(26) 외주쪽으로는, 각각 전후 2개소 씩 합계 8개의 부착구멍(31,31..)이 개구되어 있으며, 이 부착구멍(31)에 선상부재인 로드나 와이어 등의 단부가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도시예는, 선상부재를 로드(32)로 하고 있으며, 각각의 단부에 설치한 나사부가 부착되어 있다. 부착구멍(31)의 어디에 부착하는가에 따라, 로드(32)는 경운칼날축(2)과 평행상으로 또는 나선상으로 전진 또는 후퇴각을 가지고 부착 조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대경 중앙개구(29)는, 이 로드(32) 끝을 덮도록 안쪽까지 연장되어 있으나, 로드(32) 끝의 너트 등을 조일 때 보기 쉽도록, 로드(32)의 바깥 개구벽부를 원호상으로 약간 노치 형성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로드(32)의 회전궤적 외경을 250㎜정도로 하고 있으며, 회전판(5) 외주궤적의 약 1/2정도의 관계로 로드(32)가 설치되어 있다.
경운칼날축(2)에는, 축상에 배열하여 설치한 복수의 칼날 홀더(19)에, 각각 경운칼날(1,1..)이 부착되어 사이드 드라이브 로터리 경운장치(20)를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운폭 방향의 경운칼날(1,1..)의 부착피치를, 도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경운폭 1,800㎜의 것에서는, 종래는 18등분 19위치 배열의 칼날 홀더 위치에 대하여,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것은 뒤에서 설명하겠으나,경운칼날(1)의 피치방향(경운칼날축의 축방향)의 치수를 1할정도 크게하고, 16등분 17위치 배열의 칼날 홀더로 피치를 약간 성기게 해서, 칼날 홀더 위치개수를 폭방향 위치로 2개소 삭감하였다. 마찬가지로 1,700㎜ 및 1,600㎜ 경운폭의 것을, 종래의 16등분 17위치 배열의 칼날 홀더위치로부터, 14등분 15위치 배열의 칼날 홀더 위치로 피치를 성기게 해서, 칼날 홀더 위치 개수를 폭방향 위치로 2개소 삭감하고 있다. 또 경운폭 1,500㎜의 것도, 종래14등분 15위치배열의 칼날 홀더 위치로부터 12등분 13위치배열의 칼날 홀더 위치로 피치를 성기게 해서, 칼날 홀더의 위치 개수를 폭방향 위치로 2개소 더 삭감하여 칼날을 4개 삭감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경운칼날(1)을 부착하는 칼날 홀더(19,19..)중,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외단(最外端) 양측부의 칼날 홀더(19a)는, 측면에서 보아 상하 대칭으로 한쌍이 설치되고, 각각의 칼날 홀더(19a)에 안쪽으로 칼날 선단측을 경사시킨 통모양 손도끼칼날(1a)과 잔경(殘耕)처리 손도끼칼날(1b)이 부착되어 있다. 외단으로부터 2번째는, 1개의 칼날 홀더(19b)와 내향으로 칼날선단측을 경사시켜서 통모양의 손도끼칼날(1a)이 부착되어 있다. 또 바깥으로부터 제3번째보다 안쪽의 칼날 홀더(19,19..)는,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대칭방향으로 돌출하는 칼날 홀더(19,19)의 방향이 상하 또는 전후방향으로 향하게 한 한쌍씩 설치되고, 각각의 칼날 홀더(19,19)에 선단부가 내향의 손도끼칼날(19)과 외향의 손도끼칼날이 한쌍 2개가 부착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한 칼날홀더(19)를 피치방향으로 2개소 삭감하면, 경운칼날(1)은 한쌍2개 ×2개소로 4개를 줄일 수 있어, 회전시 굴삭저항의 감소나, 칼날 홀더(19,19)사이의 간격을 넓힌 것에 의한 짚, 골풀 등의 흐름을 양호하게 하고, 이들의 감김가능성도 줄일 수 있다.
회전판(5)은, 일단 최외측의 경운칼날(1)의 외측과 전동케이스(14) 내측사이, 및 타단 최외측의 경운칼날(1)의 외측과 지지부재(8) 내측과의 사이에서 이것들을 격리하는 구성으로 해두고 있으며, 회전원판(5)을 벽측인 전동케이스(4)나 지지부재(8)의 내면측에 최대 15㎜이하의 간격이 되도록 접근시켜서, 앞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경운칼날축(2)의 양단부에 배설하고 있다.
로드(32)는 굵기가 10㎜정도의 환봉 강재로서, 양단부에 나사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판(5)의 소경부 벽(25)의 외주근방에 설치한 부착구멍(31)에 이 나사부를 삽입하고, 소경부 벽(25)의 내외면에 너트(33,33)를 끼워서 고정하고 있으며,한쪽의 소경부 벽(25)에 대략 90도 등배(等配)위치로 4개를 부착하는 동시에, 로드(32)의 타단부는 다른쪽의 소경부 벽(25)에도 대략 90도 등배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경운칼날축(2)의 상방에는 주커버(35)가 설치되고, 이 주커버(35)의 후부에 설치한 횡방향의 지축(支軸,36)을 중심으로 하여 경운칼날축(2)의 후방을 덮는 후부커버(37)의 후단부가 상하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통상 작업시에는, 후부커버(37)는 45도 정도 후단부를 후방으로 경사시켜 굴삭주행하고 있으며, 주커버(35)로부터 일체돌설하는 지주(stay)(45)에 대하여, 가압스프링(40,40)을 상하에 끼운 푸시풀로드(push-pull rod)(41)의 신축 상하운동에 의해, 후부커버(37)는 어느정도 소정자세를 유지하면서 상하 요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부커버(37)의 하단부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상의 균등면(37a)으로 되어 있으며, 그 하단연(下端緣)을 연장하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가압면을 가진 균일평판(18)이 부착되어 있다. 균일평판(18)에는 비스듬이 하방으로 복수개의 이(tooth)(18a)를 빗살형태로 돌출 설치하고, 짚,골풀 등의 압입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도2의 측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축(36) 위치를 종래의 것보다도 100㎜ 정도 후방으로 이동시켜 경운칼날(1)의 회전궤적 후단과 후부커버(37)의 전면 간격을 넓게 해서 경운칼날(1)이 짚,골풀 등을 가지고 다니는 것을 방지하면서, 굴삭토양과 동시에 짚, 골풀 등을 후방의 균일평판(18)쪽으로 송출하고 있다.
다음에, 경운칼날(1)에 관하여, 종래제품과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6,도7에서 도시한 것이 본 발명에 관한 것이며, 도8,도9에서 도시한 것이 각각 대응하는 종래제품이다.
경운칼날축(2)의 축심방향으로의 칼날의 경사(굴삭경운폭)가 종래의 경운칼날(1J)에서는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95㎜이고, 본 발명에서는 110㎜로 변경하고 있다. 이것으로 기준 칼날 홀더(19)에 대하여 인접한 칼날 홀더(19)의 간격위치(피치)를 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경운폭 전체를 고려하면 칼날 홀더(19)의 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경운칼날(1J)이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운칼날축(2)의 축심(O)에 대한 칼날 기부의 구부림 개시부 까지의 직선부의 길이(S)가 70㎜였던 것을 54㎜로 짧게 하고, 경운칼날(1)의 굴삭날면(1C)에 따른 짚, 골풀 등의 미끄러짐을 양호하게 하고, 굴삭시의 그 자리에서의 반전성(反轉性) 향상과 칼날축 공간의 확보를 도모하였다. 42는 칼날 부착구멍으로서, 칼날홀더(19)에 볼트조임할때의 구멍이며, 축심(O)으로 부터 70㎜의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또 종래의 경운칼날(1J)은, 도9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칼날 선단부를 휨반경 123.5㎜로 하여 앞에서 설명한 폭 95㎜ 방향으로 대략 휨(R)의 부분에서 잘라내고 있는데 대하여, 본 발명의 경운칼날(1)은, 도9 가상선 및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칼날 기부와 선단부의 직선부(T,T)사이 도중부를 123.5㎜ 반경의 R로 연결한후, 선단측에 70㎜ 정도의 직선부를 설치하고, 이것에 의해서, 칼날 선단부 형상의 구부러진곳을 완만하게 하고, 짚, 골풀 등의 미끄러짐을 양호하게 하고, 보다 감기는 것을 어렵게 형성하였다. 경운칼날축(2)에 대한 경운칼날(1)의 굴삭회전반경은245㎜로 하고, 칼날 홀더(19)의 부착볼트 위치 70㎜의 치수는 종래 것이나 본 발명도 변경하고 있지 않으나, 칼날 단체(單體)측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굴삭날부(1C)를 전체적으로 굴삭회전 반경 245㎜쪽으로 근접시켜서 짚, 골풀 등의 흐름을 향상시켰다.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
로터리 경운장치는, 봄 가을의 수전경운(水田耕耘)이나, 모심기 전의 써래질, 수전이작(裏作)의 밭이랑세우기, 또한 밭에서의 경운과, 한 해를 통하여 널리 이용되고, 일본의 농가에는 없어서는 안되는 작업기이다. 그리고 로터리 경운장치에는, 구동기구의 레이아웃(layout)에 의해 사이드 드라이브식(side drive 式) 로터리와, 센터 드라이브식(center drive 式) 로터리가 있으며, 현재 사이드 드라이브식 로터리가 주류로 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이 사이드 드라이브식 로터리 경운장치(20)를 골풀 수확후의 포장의 경운에 사용하는 것이다.
골풀은, 타타미(일본 돗자리) 겉재료가 되는 풀이다. 생산지에서는 온난한 기후를 이용한 2 모작으로서 생산하고 있다. 즉, 골풀을 6∼7월에 수확하면, 수일후에 경운하고 써레질을 하여 모심기 준비를 한다. 쌀의 수확은, 10월∼11월 초순이며, 양자의 작업일은 매우 근접하여 간격이 없는 것이다.
골풀의 수확으로는, 1.4m 정도로 성장한 골풀 중, 길이가 90cm이하의 골풀은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베어낸 직후에 선별하여 포장에 버린다. 이 버린 골풀은,「스친 골풀」이나「부스러기 골풀」이라고 불리우고, 이와 같은 부스러기 골풀이 산란된 상태의 포장을, 수일 안에 토양경운하여 써레질을 하기 위하여통상의 경운칼날로 굴삭작업을 하면, 부스러기 골풀이 바로 칼날축에 감겨서 경운작업을 할 수 없었던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경운칼날축(2)의 좌우 양단부에 지름이 큰 회전판(5) 한쌍을 부착하고, 좌우 회전판(5,5)의 중간 외경부 좌우간에 걸쳐서 선상부재인 4개의 로드(32)로 이루어진 긴 풀 안내압입장치를 부착하여, 경운칼날(1,1..)에 의한 토양 굴삭시에, 경운칼날(1) 선단에 걸려서 칼날 홀더(19)나 경운칼날축(2) 주위로 휘감기려고 하는 짚, 골풀 등을 긴풀 안내압입장치에 의해, 토양속으로 신속하게 안내함과 동시에, 소정 경운폭 밖에 산란된 짚, 골풀 등의 본체 중도부를, 회전판(5)의 대경부 벽(28)의 외주 테두리부에서 토양표면으로부터 토양속으로 누르면서 전진하기 때문에, 소정 경운폭 밖의 짚, 골풀을 경운칼날(1)이 끌어들이지 않고 주행할 수 있고, 경운칼날축(2)의 좌우단부에 필요없는 짚 등의 감김이 발생될 염려가 없다. 예컨대, 회전판(5)의 대경부 벽(28) 직경을 50cm로 하고, 로드(32)의 외주단(外周端)의 직경을 25cm로 하면, 로드 대각변의 길이가 25cm이기 때문에 로드 전체 둘레에서 70cm 정도 이상(以上) 있으므로, 길이 90cm 이하의 짚, 골풀등이 경운칼날(1)에 의해 긴 풀 안내압입장치 를 돌아 끌려 들어가더라도, 로드(32)부 전체 둘레로 한 번 감을 정도이기 때문에 빠지기 쉬어 굴삭토양내로 묻어 넣기 쉽다.
경운칼날(1,1..)군의 칼날 배열은, 도6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에 대하여, 칼날 홀더(19,19)가 대략 180도 반대 반향으로 한쌍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칼날 홀더(19,19)에 선단측이 내향의 경운칼날(1)과 외향의 경운칼날(1)이 각각 부착된 것이, 인접한 칼날 홀더(19) 용접위치에 대하여 대략 나선연장 형태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으며, 경운칼날축(2)의 구동회전시에 한 번에 굴삭저항이 걸리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여기서 좌우 각각의 회전판(5)의 소경부 벽(25)에 개구되는 부착구멍(31) 위치를, 측면에서 보아서 어느 한쪽을 회전방향 앞쪽으로 하고, 4개의 선상부재인 로드(32,32..)를 나선방향으로 비틀어서 부착함으로써, 경운칼날(1)의 나선방향과 긴 풀 안내압입장치의 로드(32)의 나선방향을 같은 방향으로 할 수도 있다.
로드(32)는 10㎜정도의 환봉강재이며, 그 길이를 1,500㎜내지 1800㎜로 하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날홀더(19) 선단 보다 대경부를 좌우 관통하고 있으므로, 부착시에는 가요성이나 변형을 이용하여 경운칼날(1,1) 군의 사이를 빠져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선상부재를 와이어선재로 한다면, 한층 부착하기가 용이해진다. 또한 횡방향의 로드(32)가, 굴삭토양의 표면근방에서 도2의 화살표「가」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로드(32)의 배면전체에 의해 상부토양을 후방으로 날리고, 토양표면의 정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경운칼날(1)의 굴삭날부(1C)에, 짚, 골풀 등을 안내하는 중도의 중계부로 할 수 있다. 더욱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드(32)방향과 경운칼날(1)의 배열방향을 나선방향으로 하면, 굴삭시에 짚, 골풀 등의 횡이동 흐름이 커져서 짚,골풀등이 감겨지기가 어려워서 빠지기 쉽게 되는 구성이 된다.
또, 경운칼날축(2)의 상방을 주커버(35)로 덮고, 이 주커버(35)의 후부에 설치된 횡방향의 지축(36)을 중심으로 하여 경운칼날축(2)의 후방을 덮는후부커버(37)를 설치한 것으로서, 측면에서 보아 이 지축(36)의 위치를 회전판(5)의 로드(32) 부착구멍(31)의 어느 상방 보다도 후부위치에 설치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경운칼날(1)의 회전궤적 후단부와 후부커버(37)의 전면과의 사이가 넓어져서, 굴삭토양을 가지고 다니지 않고 후방 이동하기 때문에, 굴삭주행중 동시에 짚,부스러기 골풀등도 토양 속을 후방이동하여, 경운칼날(1)로 골풀을 외부로 긁어내는 일이 없고, 후부커버(37)와 그 하단후부의 균일평판(18)이나 이(18a)에 의해 고도의 균등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회전판(5)의 대경부 벽(28)을 스프링강으로 제작하였으므로 흙접촉에 의한 내구성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소경부 벽(25)을 통모양의 중간 팽출부(5b)를 가진 깊은 접시형상으로 하였으므로, 대경부 벽(28)을 전동케이스(4) 내단면이나 지지기 틀(8)내대면과의 간격을 소간격으로 할 수 있어, 구동축(10)의 부착 플랜지(14) 바깥둘레나, 지지축(16)의 부착 플랜지(17) 둘레로의, 골풀등 긴 풀의 진입을 규제하여 회전부 둘레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경운장치(20)는, 몸체측으로부터 전동축(7)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면, 경운칼날축(2)이 상부 스프로킷(9), 전동체인(12), 하부 스프로킷(11), 구동축(10), 부착플랜지(14), 부착판(13), 회전판(5)의 순으로 전동되고, 경운칼날(1)을 구동하여 경운작업을 개시한다. 작업속도는, 1∼2km/H이며,칼날축 회전수는 300∼350r.p.m의 범위에서 작업하면, 짚, 골풀 등의 묻어 넣음이 가장 양호하게 된다.
그 때, 경운칼날(1,1..)에 의해 로터리 경운부의 폭 밖에 산란된 풀이나 긴볏짚이나 골풀등은, 경운칼날축(2) 쪽으로 끌어당겨지기 때문에, 끌어당기는 도중에 풀이나 긴 볏짚이나 골풀등이, 전동케이스(4) 쪽 구동축(10)의 부착 플랜지(14) 둘레, 및 지지기 틀(8) 쪽 지지축(16)의 부착 플랜지(17) 둘레로 침입하려고 한다. 그러나 회전판(5,5)에 의해, 포장의 굴삭토양 표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로터리 경운부의 폭 밖에 산란된 풀이나 긴 볏집이나 골풀등은, 실체부가 미(未) 굴삭표토와의 경계선에서 눌리기 때문에, 그 이동이 규제되거나, 압압절단되므로, 일부가 경운칼날축(2)에 억지로 끌여서 감겨지거나, 일부는 짧아져서 폭밖의 땅표면에 남겨지거나, 일부는 휘날려지도록 떨어지거나 한다.
이와 같이, 풀이나 긴 볏짚이나 골풀 등을 회전판(5)의 대경부 벽(28) 외주단 둘레에서 누르고 있으므로, 풀이나 볏짚이나 골풀등은 경운칼날(1,1..)에 잡아당겨져서, 경운칼날축(2) 중간부에 감기려고 하는 일은 있어도, 4개의 로드로 이루어지는 긴 풀 안내압입장치로 휘날려서, 전동케이스(4) 쪽 및 지지기 틀(8) 쪽의 경운칼날축(2) 부착단부에 침입하는 일도, 경운칼날축(2)에 감기는 일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경운칼날축(2) 부착단부에 풀이나 볏짚이나 골풀 등의 침입이 거의 없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감긴 풀때문에 전동케이스(4)나 지지기 틀(8)의 베어링부분의 밀폐부(30)로부터 기름누설로까지 발전하는 고장이 없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경운칼날이나 경운칼날축 및 경운축단 부분이나 베어링부재 쪽(전동케이스나 지지부재)으로의 짚, 골풀 등의 감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은, 전술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포장토양의 미경작지와 굴삭지 사이에 산란된 짚, 골풀등 긴 줄기의 중도부를 토양과 회전판으로 협지(挾持)한 경운장치에 끌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이드 드라이브 경운장치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경운축 쪽으로 끌어 들어가려고 하는 짚, 골풀등 긴 줄기의 중도부를 토양과 회전판으로 협지하여 경운장치로 끌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특히 미경작지 측에 대하여 효과가 크므로, 경운작업을 한쪽 방향으로 선회하여 경운하는 회전경운이 아니고, 이동차량을 포장 끝에서 반전하면서 왕복하여 경운하는 왕복경으로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시간의 단축이나 운전조종이 용이하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은, 전술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회전판이 굴삭시의 저항으로 되지 않고, 경반까지 깊이 들어가기 쉽고, 또 짚, 골풀등 긴 줄기를 동시에 깊은 위치까지 밀어넣을 수 있기 때문에, 경운토양속에 짚, 골풀 등 긴 줄기를 묻어 넣기 쉽워진다.
청구항 4기재의 발명은, 전술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동케이스와 회전판 사이의 간격이 작게 되어, 짚, 골풀등 긴 줄기를 구동축 둘레로 들어가기 어렵게 한다.
청구항 5기재의 발명은, 전술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짚,골풀등 긴 줄기 일측단의 구동축 둘레나 타측단의 지지측 둘레로 들어가기 어렵게 하고, 축둘레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전술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양 회전부에 회전차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절단한 짚, 골풀등 긴 줄기의 수수(受授)가 뒤얽히는 일이 없이 경운칼날 쪽으로 안내 이동하여, 굴삭토양으로 송출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판 안쪽으로, 짚, 골풀등 긴 줄기가 감기지 않는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은, 전술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토양 속으로 밀어넣는 짚, 골풀등 긴 줄기가 회전판의 외주에 걸리는 일이 없이 경운칼날에 의해서 즉시 제거되기 때문에, 회전판 외주 둘레로 짚, 골풀등 긴 줄기가 쌓이기 어렵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은, 전술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회전판 둘레 안쪽의 짚, 골풀등 긴 줄기가 선상부재에 의해서 경운폭 전체의 경운칼날부 사이에 균등하게 이동하기 쉽고, 일부의 경운칼날에 부담을 주지 않기 때문에 토양속으로의 짚, 골풀등 긴줄기의 절단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9기재의 발명은, 전술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회전판이 굴삭시의 저항으로 되지 않고, 경반까지 깊이 들어가기 쉽고, 또 짚, 골풀등 긴 줄기를 동시에 깊은 위치 까지 밀어 넣을 수 있기 때문에 경운 굴삭폭 내의 최대량의 토양속에 절단하는 짚, 골풀등 긴 줄기를 배출할 수 있어, 토양 전체에 대한 묻어 넣음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10 기재의 발명은, 전술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선상부재가 굴삭시의 회전저항이 적고, 표토를 고르게하고, 걸리는 짚, 골풀등 긴줄기는 그 지름 방향 바깥으로 돌출하는 경운칼날에 의해 경운토양부에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청구항 11 기재의 발명은, 전술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선상부재의 단부에 풀 집, 골풀등 긴 줄기가 걸리지 않기 때문에, 짚,골풀등 긴 줄기를 구동축 둘레로 들어가기 어렴게 한다.
청구항 12 기재의 발명은, 전술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선상부재의 외주에 감기려고 하는 짚, 골풀등 긴 줄기의 횡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촉진하기 때문에, 일부 선상부재 부분에 짚, 골풀등 긴 줄기가 정체되지 않고 토양속으로의 배출이 용이하게 한다.
청구항 13 기재의 발명은, 전술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선상부재와 후부커버의 토양 압압부(押壓部) 면사이와의 거리가 길어지고, 따라서 굴삭후 압압이 균등하게 될 때까지 움직이고 있는 토양의 양이 많기 때문에, 절단한 짚, 골풀등 긴 줄기의 매몰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14 기재의 발명은, 전술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경운축의 양단부에 부착되는 경운칼날과 회전판의 간섭이 생기지 않고, 경운토양을 경운폭내 방향으로 날려버림과 동시에, 절단한 짚, 골풀등 긴 줄기도 날려버릴 수가 있어, 회전판 근방 안쪽으로 짚, 골풀등 긴 줄기를 남기지 않는다.

Claims (14)

  1. 경운칼날(1)을 배열하여 부착한 경운칼날축(2)의 일단측을, 전동장치(3)를 내장한 전동케이스(4)의 하부에 지지되어 측방으로 돌출하는 구동축(10)에 설치함과 동시에, 타측단을 지지기 틀(8)의 축(16)에 부착하고, 이 전동케이스(4)와 상기 경운칼날축 일단측의 경운칼날(1)과의 사이, 또는 지지기 틀(8)과 경운칼날축 타단부측의 경운칼날(1)과의 사이에, 회전판(5)을 끼워 장치하여 구성한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2. 경운칼날(1)을 배열하여 부착한 경운칼날축(2)의 일단측을, 전동장치(3)를 내장한 전동 케이스(4)의 하부에 지지되어 측방으로 돌출하는 구동축(10)에 설치함과 동시에, 타측단을 지지기 틀(8)의 축(16)에 부착하고, 이 전동케이스(4)와 상기 경운칼날축 일단측의 경운칼날(1)과의 사이, 및 지지기 틀(8)과 경운칼날축 타단부측의 경운칼날(1)과의 사이에, 회전판(5)을 끼워 장치하여 구성한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전판(5)의 회전궤적의 외경과, 경운칼날(1)의 회전궤적의 외경을 대략 같은 지름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판(5)의 지름방향 중도부에, 회전판(5)의 외주부(外周部)를 전동 케이스(4) 방향으로 접근시키기 위한 중간팽출부(5b)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중간팽출부(5b)가 구동축(10)또는 축(16) 외주를 덮은 것을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판(5)을 경운칼날축(2)과 동일회전수로 구동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판(5)의 외주를 측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8. 경운칼날(1)을 배열하여 부착한 경운칼날축(2)의 일단측을, 전동장치(3)를 내장한 전동케이스(4)의 하부에 지지되어 측방으로 돌출하는 구동축(10)에 부착함과 동시에, 타측단을 지지기 틀(8)의 축(16)에 부착하고, 이 전동케이스(4)와 상기 경운칼날축 일단측의 경운칼날(1)과의 사이, 및 지지기 틀(8)과 경운칼날축 타단부측의 경운칼날(1)과의 사이에, 회전판(5)을 각각 끼워 장치하고, 이 좌우의 회전판(5)에, 복수개의 선상(線狀)부재(32)의 단부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회전판(5)의 외경을, 경운칼날(1)의 회전외경과 같은 정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선상부재(32)와 경운칼날축(2) 축심과의 거리를, 경운칼날(1)의 회전반경의 대략 1/2 정도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선상부재(32)의 단부를, 회전판(5)의 외측면(5a)보다도 안쪽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12. 제8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선상부재 부착단 위치를, 측면에서 보아 어느 한쪽을 회전방향 앞쪽으로 하고, 선상부재(32)를 나선방향으로 비틀어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13. 제8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경운칼날축(2)의 위쪽을 주 커버(35)로 덮고, 이 주커버(35)의 후부에 설치한 횡방향 지축(36)을 중심으로 하여 경운칼날축(2)의 후방을 덮는 후부커버(37)를 설치한 것으로서, 측면에서 보아 이 지축(36)의 위치를 회전판(5)의 선상부재(32) 부착위치의 어느 위쪽보다도 후부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14. 제1항, 제2항,제8항 또는 제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운칼날축(2)에 부착한 복수개의 경운칼날(1) 중, 좌우 양단부의 경운칼날(1)을 각각 배면에서 보아 선단 내향칼날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KR1020000007508A 2000-02-17 2000-02-17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KR100352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508A KR100352742B1 (ko) 2000-02-17 2000-02-17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508A KR100352742B1 (ko) 2000-02-17 2000-02-17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607A true KR20010081607A (ko) 2001-08-29
KR100352742B1 KR100352742B1 (ko) 2002-09-16

Family

ID=3753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508A KR100352742B1 (ko) 2000-02-17 2000-02-17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27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282Y1 (ko) * 2019-12-18 2020-09-10 최낙우 로터베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503B1 (ko) * 2020-06-08 2022-07-15 주식회사 태광공업 농업용 로타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282Y1 (ko) * 2019-12-18 2020-09-10 최낙우 로터베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2742B1 (ko) 200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282Y1 (ko) 로터베이터
US8235132B2 (en) Single pass plow
US4560010A (en) Soil layer cultivator with a pressure roller unit
US4051902A (en) Soil cultivating implements
US3765491A (en) Tine cultivator with releasable striking tool
KR100601585B1 (ko) 양파 수확기
JP7142381B2 (ja) まぐわを有する耕作装置
US3931859A (en) Convertible agricultural implements and machines
JP2009033981A (ja) 除草機
CN201533490U (zh) 联合整地机
KR100352742B1 (ko) 로터리 경운장치의 풀류 감김 방지장치
KR100809832B1 (ko) 땅속작물 수확기
KR100966623B1 (ko) 쟁기
JP3770018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CN1168367C (zh) 新型环保农耕微型垂直旋耕机用主旋耕刀具
JP3956041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の草巻付き防止装置
JP3977269B2 (ja) カルチベータ類に装着される株元除草装置
US3957122A (en) Rotary ploughs
US5632344A (en) Cultivator
CN215421517U (zh) 一种自驱式星形指状除草装置
US4042042A (en) Soil cultivating machines
JP2006197870A (ja) 除草装置
AU685976B2 (en) Cultivator
US2712785A (en) Rotary cultivator
US9451739B2 (en) Agricultural undercut implement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