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0835A - 개방형 3 방향 밸브 - Google Patents

개방형 3 방향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0835A
KR20010080835A KR1020000002028A KR20000002028A KR20010080835A KR 20010080835 A KR20010080835 A KR 20010080835A KR 1020000002028 A KR1020000002028 A KR 1020000002028A KR 20000002028 A KR20000002028 A KR 20000002028A KR 20010080835 A KR20010080835 A KR 20010080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lunger
way valve
cores
flow path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6487B1 (ko
Inventor
홍치화
최기득
Original Assignee
최대식
주식회사 신한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식, 주식회사 신한전기 filed Critical 최대식
Priority to KR1020000002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487B1/ko
Publication of KR20010080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0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4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2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a deformable member
    • F16K11/02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a deformable member with an 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하나의 유입구에 두 개의 토출구를 가지면서 항상 개방되어 있는 개방형 3 방향 밸브가 개시된다. 상기 밸브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일측과 연통되어 유체(流體)가 상기 튜브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관과, 상기 튜브의 양단부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튜브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1 및 제 2 유로가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코아와, 상기 제 1 및 제 2 코아 사이에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튜브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지는 자성을 띈 플런저와, 상기 제 1 및 제 2 코아와 플런저의 양단부 사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코아와 플런저의 양단부가 접촉되지 않도록 탄성ㆍ지지하는 제 1 및 제 2 탄성부재와, 상기 튜브의 양단부측을 감싸는 형태로 각각 마련되어,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플런저로 각각 작용하는 탄성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플런저를 선택적으로 운동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제 1 및 제 2 코일을 구비한다. 상기 밸브를 하나만 사용하면, 2 방향 밸브를 두 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된다.

Description

개방형 3 방향 밸브 {OPEN TYPE 3 WAY VALVE}
본 발명은 하나의 유입구에 두 개의 토출구를 가지면서 항상 개방되어 있는개방형 3 방향 밸브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또는 에어컨디셔너 등과 같은 냉동장치에는 냉동 사이클(Refrigerating Cycle)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기기가 마련되는데,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2 방향 밸브가 채택된 냉동 싸이클을 보인 도이다.
냉매 가스를 고온ㆍ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11)와, 압축기(11)로부터 전달된 냉매 가스를 실온ㆍ고압으로 응축하는 응축기(13)와, 응축기(13)로부터 전달된 냉매 가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15)와, 팽창밸브(15)로부터 냉매 가스를 전달받아 외기와 열교환을 하여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17)가 마련된다. 즉, 냉매 가스가 압축기(11)→응축기(13)→팽창밸브(15)→증발기(17)를 순환하면서 냉동 싸이클을 수행한다.
그런데, 오늘날에 있어서는, 냉동장치에 다수의 증발기(17a,17b)를 마련하고, 각 증발기(17a,17b)로 공급되는 냉매 가스의 양을 각각 제어하면서 냉동 싸이클을 수행하는 냉동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즉, 냉동시키고자 하는 구역의 특성에 따라서, 각 증발기(17a,17b)로 공급되는 냉매 가스의 양을 각각 제어하는 냉동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냉동장치에는, 각 증발기(17a,17b)로 공급되는 냉매 가스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로 2 방향 밸브(20)가 사용된다. 2 방향 밸브(20)는 하나의 유입구와 하나의 토출구만 구비하므로, 냉동장치에 설치된 증발기(17)의 수 만큼 2 방향 밸브(20)를 마련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부품수가 증가되어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유입구와 두 개의 토출구를 구비하면서 항상 개방된 개방형 3 방향 밸브를 제공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2 방향 밸브가 채택된 냉동 싸이클을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 방향 밸브가 채택된 냉동 싸이클을 보인 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 방향 밸브의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P"부 확대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 방향 밸브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하우징. 120 : 튜브.
131,135 : 제 1,2 코아. 132,136 : 제 1,2 유로.
150 : 플런저. 171,175 : 제 1,2탄성부재.
181,185 : 제 1,2 코일. 191,195 : 제 1,2 실링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튜브; 상기 튜브의 일측과 연통되어 유체(流體)가 상기 튜브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관; 상기 튜브의 양단부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튜브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1 및 제 2 유로가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코아; 상기 제 1 및 제 2 코아 사이에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튜브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지는 자성을 띈 플런저; 상기 제 1 및 제 2 코아와 플런저의 양단부 사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코아와 플런저의 양단부가 접촉되지 않도록 탄성ㆍ지지하는 제 1 및 제 2 탄성부재; 상기 튜브의 양단부측을 감싸는 형태로 각각 마련되어,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플런저로 각각 작용하는 탄성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플런저를 선택적으로 운동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제 1 및 제 2 코일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 방향 밸브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 방향 밸브가 채택된 냉동 싸이클을 보인 도로서, 종래의 요소와 동일한 요소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냉매 가스를 고온ㆍ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11)와, 압축기(11)로부터 전달된 냉매 가스를 실온ㆍ고압으로 응축하는 응축기(13)와, 응축기(13)로부터 전달된 냉매 가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15)와, 팽창밸브(15)로부터 냉매 가스를 전달받아 외기와 열교환을 하여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17)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냉동장치에는 두 개의 증발기(17)가 마련되고, 각각의 증발기(17a,17b)로 공급되는 냉매 가스의 흐름 방향을 하나의 밸브(100)로 제어한다. 밸브(100)는 하나의 유입부와 두 개의 토출부를 가지면서 항상 개방되어 있는 개방형 3 방향 밸브인데, 이를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 방향 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P"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튜브(120)가 설치된다. 튜브(120)의 양단부에는 제 1 및 제 2 코아(131,135)가 각각 압입된 형태로 결합되고, 제 1 및 제 2 코아(131,135)에는 튜브(12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1 및 제 2 유로(132,136)가 튜브(120)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코아(131,135) 사이의 튜브(120)측은 유체(流體)가 유입되는 유입관(141)과 연통되고, 제 1 및 제 2 유로(132,136)는 제 1 및 제 2 토출관(143,145)과 연통된다. 그리하여, 유입관(141)을 통하여 튜브(120)로 유입되는 유체는 제 1 및 제 2 유로(132,136)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토출관(143,145)측으로독립적으로 토출된다.
제 1 및 제 2 코아(131,135) 사이의 튜브(120)에는 자성을 띈 플런저(150)가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튜브(120)의 내주면과 플런저(150)의 외주면은 접촉되지 않고,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유로(160)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유입관(141)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튜브(120)와 플런저(150) 사이에 형성된 유로(160)를 통하여 제 1 및 제 2토출관(143,145) 측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코아(131,135)와 플런저(150)의 양단부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탄성부재(171,175)가 각각 마련된다. 제 1 및 제 2 탄성부재(171,175)의 일측은 제 1 및 제 2 코아(131,135)에 각각 지지되고, 타측은 플런저(150)의 양단부와 각각 접촉된다. 그리하여, 플런저(150)의 양단부가 제 1 및 제 2 코아(131,135)와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즉,플런저(150)의 양단부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유로(132,136)가 각각 폐쇄되지 않도록 한다.
튜브(120)의 양단부측에는 튜브(120)를 감싸는 형태로 각각 제 1 및 제 2 코일(181,185) 마련된다. 제 1 및 제 2 코일(181,185)은 플런저(150)를 직선운동시켜 제 1 및 제 2 유로(132,136)를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하여 제 1 또는 제 2 코일(181,185)로 전류가 공급되면, 제 1 또는 제 2 코일(181,185)과 자성체인 플런저(150)가 상호 작용하여, 제 1 또는 제 2 탄성부재(171,175)의 탄성력을 이기는 방향(=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말함)으로 플런저(150)가 선택적으로 이동된다. 즉, 플런저(150)는 제 1 또는 제 2 코아(131,132)측으로 이동되어, 제 1 또는 제 2 유로(132,136)를 폐쇄한다.그러면, 제 1 유로(132)와 유입관(141) 또는 제 2 유로(136)와 유입관(141)은 연통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3 방향 밸브는, 플런저(150)의 양단부가 제 1 및 제 2 유로(132,136)를 정확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플런저(150)의 양단부와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코아(131,135)의 단부는 각각 돌출(131a,135a)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플런저(150)의 양단부는 돌출부(131a,135a)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 함몰(150a,150b)되게 형성되고, 함몰부(150a,150b)에는 제 1 및 제 2 실링부재(191,195)가 각각 삽입된다. 제 1 및 제 2 실링부재(191,195)는 각 돌출부(131a,135a)와 각각 접촉되어 제 1 및 제 2 유로(132,136)의 유체가 튜브(120)의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런저(150)의 양단부측 외주면에는 함몰된 형상의 함몰테(151a,151b)가 각각 형성된다. 각 함몰테(151a,151b)에는 제 1 및 제 2 탄성부재(171,175)가 삽입되어 견고하게 지지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 방향의 밸브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 방향 밸브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이다.
최초의 상태는 도시된 도 3과 같이, 제 1 및 제 2 유로(132,136)가 동시에 개방된 상태이다. 즉, 제 1 및 제 2 탄성부재(171,175)의 탄성력에 의하여 플런저(150)의 함몰부(150a,150b)와 제 1 및 제 2 코아(131,135)의 돌출부(131a,135a)가 접촉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유입관(141)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제 1 및 제 2 토출관(143,145)을 통하여 동시에 토출된다.
그러다가, 제 1 토출관(143)과 연통된 곳으로 공급되는 냉매 가스를 차단할 필요가 있으면, 상기 제어부는 제 1 코일(181)로 전류를 공급한다. 그러면, 제 1 코일(181)과 플런저(150)와의 작용에 의하여 플런저(150)가 제 1 코아(131)측으로 이동되면서, 도시한 도 4a와 같이, 제 1 유로(132)를 폐쇄시킨다. 그러면, 유입관(141)을 통하여 유로(160)로 전달된 냉매 가스는, 제 1 유로(132)로는 유출되지 못하고 제 2 유로(136)로만 유출된다.
도 4b는 제 1 코일(181)로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고 제 2 코일(185)로는 전류가 공급되어, 제 2 유로(136)는 폐쇄되고 제 1유로(132)는 개방된 것을 보인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밸브를 사용하는 대신, 두 개의 토출구를 가지는 3 방향 밸브 하나를 사용하여 냉매 가스를 두 곳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가 하기의 실용신안 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3)

  1. 튜브;
    상기 튜브의 일측과 연통되어 유체(流體)가 상기 튜브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관;
    상기 튜브의 양단부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튜브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1 및 제 2 유로가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코아;
    상기 제 1 및 제 2 코아 사이에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튜브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지는 자성을 띈 플런저;
    상기 제 1 및 제 2 코아와 플런저의 양단부 사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코아와 플런저의 양단부가 접촉되지 않도록 탄성ㆍ지지하는 제 1 및 제 2 탄성부재;
    상기 튜브의 양단부측을 감싸는 형태로 각각 마련되어,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플런저로 각각 작용하는 탄성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플런저를 선택적으로 운동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제 1 및 제 2 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3 방향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양단부와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코아의 단부측은 각각 돌출되고,
    상기 플런저의 양단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함몰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의 유체가 상기 튜브의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및 제 2 실링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3 방향 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양단부측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함몰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3 방형 밸브.
KR1020000002028A 2000-01-17 2000-01-17 개방형 3 방향 밸브 KR100336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028A KR100336487B1 (ko) 2000-01-17 2000-01-17 개방형 3 방향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028A KR100336487B1 (ko) 2000-01-17 2000-01-17 개방형 3 방향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835A true KR20010080835A (ko) 2001-08-25
KR100336487B1 KR100336487B1 (ko) 2002-05-15

Family

ID=19639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028A KR100336487B1 (ko) 2000-01-17 2000-01-17 개방형 3 방향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341B1 (ko) * 2006-10-25 2008-04-01 (주)인화이엔지 연동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341B1 (ko) * 2006-10-25 2008-04-01 (주)인화이엔지 연동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6487B1 (ko) 200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69601B (zh) 多通换向装置及空调系统
JPS5911231Y2 (ja) 可逆冷凍サイクル用逆転弁
JP3774334B2 (ja) 四方向切換弁
KR100336487B1 (ko) 개방형 3 방향 밸브
CN110274053B (zh) 流体切换装置及热管理系统
JP2001343076A (ja) 制御弁
KR100336485B1 (ko) 폐쇄형 3 방향 밸브
JP2001343077A (ja) 制御弁
KR100308760B1 (ko) 솔레노이드밸브
CN210026953U (zh) 流量控制装置以及换热系统
JP4446628B2 (ja) バイパス弁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
JPH0525271U (ja) 切替弁
CN110274052B (zh) 流体切换装置及热管理系统
JPS62177376A (ja) 切替弁装置
KR100365403B1 (ko) 이중 에어컨장치의 3방향 밸브
JPH0649980Y2 (ja) 電磁弁
JPH0250060A (ja) 五方逆転弁
JPS62141469A (ja) ヒ−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JPS5934907B2 (ja) 流路切換弁
JPS61192974A (ja) 冷凍サイクル用四方弁
JPH0799296B2 (ja) 冷暖房切換装置
JP2002372160A (ja) 四方向切換弁
JPS62158965A (ja) 切替弁装置
KR20000008781U (ko) 노말 오픈타입의 솔레노이드 밸브
KR100954459B1 (ko) 사방변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