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8477A - 의료 화상 진단회의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 화상 진단회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8477A
KR20010078477A KR1020010013085A KR20010013085A KR20010078477A KR 20010078477 A KR20010078477 A KR 20010078477A KR 1020010013085 A KR1020010013085 A KR 1020010013085A KR 20010013085 A KR20010013085 A KR 20010013085A KR 20010078477 A KR20010078477 A KR 20010078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tor
screen
patient
terminal
medic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배호
이형근
구창운
김진사
Original Assignee
나승호
(주)네오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승호, (주)네오비트 filed Critical 나승호
Priority to KR1020010013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8477A/ko
Publication of KR20010078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47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의료영상 촬영기로 환자의 내부 환부를 촬영하고,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의료영상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연결된 두 의료진이 서로의 단말기 상에 동시에 출력시킨 후 화면상에 표시하면서 의료영상 데이터에 대한 소견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의료 화상 진단회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네트워크 통신망과, 카메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탑재하고 있으며, 화면상에 소정 환자의 의료영상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한편, 담당의사의 영상을 화면상에 표출시키고, 상기 담당의사의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판독의사 단말기와, 카메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탑재하고 있으며, 상기 판독의사 단말기의 화면상에 출력된 의료영상 데이터와 동일한 의료영상 데이터를 화면상에 출력시키는 한편, 상기 판독의사의 영상을 화면상에 표출시키고, 상기 판독의사의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담당의사 단말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의료 화상 진단회의 시스템{Medical Video Diagnosis Conference System}
본 발명은 의료 화상 진단회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영상 촬영기로 환자의 내부 환부를 촬영하고,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의료영상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연결된 두 의료진이 서로의 단말기 상에 동시에 출력시킨 후 화면상에 표시하면서 의료영상 데이터에 대한 소견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의료 화상 진단회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의료장비의 발전으로 환자의 내부 환부를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의료영상 촬영 장비로는 CT, MRI, X-RAY, US, ANGIO, COLPOSCOPY, CERVICOGRAPHY 등이 있어 내과, 외과, 산부인과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없는 환부를 갖고 있는 사람, 즉 뼈에 이상이 있는 환자이거나, 위, 장 등과 같은 장기에 이상이 있는 환자이거나, 머리가 깨어졌거나 심하게 아픈 환자인 경우라, 의사가 청진기나, 손, 눈을 이용하여 진찰을 할 수 없는 경우, 상기와 같은 의료영상 촬영 장비를 이용하여 환자의 소정 부위를 촬영하게 된다.
이렇게 촬영된 의료영상은 판독의사에게 제공되고, 상기 판독의사는 판독된 의료영상을 통해 판독된 사실로 환자의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환자의 담당 의사가 상기 환자의 의료영상 데이터를 보면서 환자의 상태를 판단할 때, 좀더 정확하게 환자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서 환자의 의료영상 데이터를 전문적으로 판독하는 의사의 소견을 듣게 된다.
이럴 경우, 의료영상 데이터만을 전문적으로 판독하는 의사는 환자의 담당의사에게 상기 환자의 의료영상 데이터를 설명해 주기 위해 상기 담당의사를 방문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의료 영상 데이터 판독 의사 또는 환자의 담당의사가 환자의 의료영상 데이터를 정확하게 판독하기 위해 서로의 시간을 조정해야 하기 때문에 의료영상 데이터 판독의사의 판독 스케줄에 따라 담당의사는 대기해야 하며, 이로써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있어,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의료영상 촬영기로 환자의 내부 환부를 촬영하고,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의료영상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연결된 두 의료진이 서로의 단말기 상에 동시에 출력시킨 후 화면상에 표시하면서 의료영상 데이터에 대한 소견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의료 화상 진단회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 화상 진단회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화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네트워크 통신망
20 : 판독의사 단말기
30 : 담당의사 단말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네트워크 통신망과, 카메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탑재하고 있으며, 화면상에 소정 환자의 의료영상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한편, 담당의사의 영상을 화면상에 표출시키고, 상기 담당의사의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판독의사 단말기와, 카메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탑재하고 있으며, 상기 판독의사 단말기의 화면상에 출력된 의료영상 데이터와 동일한 의료영상 데이터를 화면상에 출력시키는 한편, 상기 판독의사의 영상을 화면상에 표출시키고, 상기 판독의사의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담당의사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상기 판독의사 단말기 또는 담당의사 단말기는 상기 판독의사가 보게 되는 의료영상 데이터와 상기 담당의사가 보게 되는 의료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화면상에 표출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상기 판독의사 또는 담당의사가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출되는 상기 의료영상 데이터의 소정 지점을 지시영역을 설정하게 되는 경우, 상대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출된 의료영상 데이터의 동일 지점에 지시 영역이 표시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 화상 진단회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의료 화상진단 회의 시스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 통신망(10)은 소정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모든 의사들이 가지고 있는 단말기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서, LAN을 의미한다.
판독의사 단말기(20)는 카메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탑재하고 있으며, 소정 환자에 대해 의료영상 촬영 장비를 이용하여 환자의 내부 환부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환자의 내부 환부에 대한 의료영상 데이터를 별도의 저장수단(도면상에 미도시)에 저장시켜 둔다.
상기 저장수단은 상기 판독의사 단말기(20)에 탑재된 저장수단(예를 들면, 하드디스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수단은 의사 또는 환자를 검사하는 사람에 의해 생성되는 모든 의료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며, 해당되는 의사 또는 환자를 검사한 사람이 등록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의료정보 데이터 베이스 서버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판독의사 단말기(20)는 화면상에 소정 환자의 의료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지원하는 한편, 담당의사의 영상이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지원하고, 상기 담당의사의 음성신호가 상기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물론, 상기 판독의사 단말기(2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가 판독의사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후술하는 담당의사 단말기(30)의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지원하는 한편, 상기 판독의사의 음성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담당의사 단말기(30)의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지원한다.
담당의사 단말기(30)는 카메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탑재하고 있으며, 상기 판독의사 단말기(20)의 화면상에 출력된 의료영상 데이터와 동일한 의료영상 데이터가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지원하는 한편, 상기 판독의사의 영상이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지원하고, 상기 판독의사의 음성신호가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지원한다.
이때, 상기 담당의사 단말기(30)는 판독의사 단말기(20)와 마찬가지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가 담당의사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판독의사 단말기(20)의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지원하는 한편, 상기 담당의사의 음성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판독의사 단말기(20)의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지원한다.
한편, 상기 판독의사 단말기(20) 또는 담당의사 단말기(30)는 상기 판독의사가 보게 되는 의료영상 데이터와 상기 담당의사가 보게 되는 의료영상 데이터가 하나의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지원하는 한편, 서로의 영상 또한 하나의 화면에 표출되도록 지원한다.
상기 판독의사 또는 담당의사가 상기 판독의사 단말기(20) 또는 담당의사 단말기(30)의 화면상에 표출되는 상기 의료영상 데이터의 소정 지점을 지시영역을 설정하게 되는 경우, 화면상에 표출된 다른 의료영상 데이터의 동일 지점에도 지시 영역이 표시되도록 지원한다.
이때, 상기 판독의사 단말기(20)의 해상도가 상기 담당의사 단말기(30)의 해상도보다 고해상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의료 화상 진단회의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소정 사용자가 병원에 방문하여 환자로 입원하게 되는 경우, 병원에서는 상기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여러 가지 검사를 하게 된다.
대표적으로 피검사, X-RAY촬영 및/또는 CT 촬영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환자를 검사하는 사람이 상기 검사 과정을 통해 발생되는 정보들을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정 양식에 따라 모두 입력하게 되고, 이러한 정보들은 소정 저장수단에 의해 저장, 보관 및 관리되어,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접근 권한이 부여된 사람이라면,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정보들을 읽어, 소정 환자의 현재 상태를 알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와 같이, 모든 검사 과정을 거쳐, 상기 환자에게 담당의사가 결정되고,상기 담당의사의 처방에 따라 상기 환자가 치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환자에게 담당의사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담당의사는 상기 환자에 대한 신상정보(예를 들면, 이름, 나이, 성별 등)를 제공받게 되며, 상기 환자의 검사정보를 볼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의사는 자신의 환자를 진료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환자의 검사 자료를 볼 수 있도록 요청하게 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담당의사 단말기(30)로 전송된 환자의 검사 자료를 보게 되며, 상기 검사 자료를 근거로 하여 환자를 일차적으로 진단하게 되고, 진단 결과에 따라 처방하여 환자를 치료하게 된다.
상기 담당의사가 자신의 단말기(30)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검사 자료 중 X-RAY 촬영 장비 또는 CT 촬영 장비로 촬영되어 등록된 의료영상 데이터를 검토하게 되는 경우, 담당의사가 상기 X-RAY 또는 CT 자료만을 판독하는 의사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때, 담당의사는 자신의 단말기(30)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판독의사 단말기(20)로 온라인 접속을 시도하여, 소정 환자에 대한 정보와 판독 소견을 듣고 싶은 의료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와 인터뷰 일시에 대한 정보를 갖는 메시지를 입력하여 상기 담당의사 단말기(3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판독의사 단말기(20)는 상기 담당의사가 보낸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인터뷰 일시에 상기 담당의사가 요청한 환자의 의료영상 데이터 정보를 가지고 서로의 진단소견을 나눌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판독의사 단말기(20)와 담당의사 단말기(30)가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온라인 접속된 경우, 상기 판독의사 단말기(20)와 담당의사 단말기(30)의 화면상에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표출된다.
즉, 화면의 좌측의 일부 영역에는 판독의사의 영상과 담당의사의 영상이 위, 아래로 나란히 표출되며, 그 영상의 우측 화면상에는 환자의 의료영상 데이터가 표출된다.
물론, 하나의 화면에서 환자의 의료영상 데이터가 두 개가 표출되는데, 하나의 의료영상 데이터는 판독의사가 보게 되는 의료영상 데이터이고, 나머지 하는 담당의사가 보게 되는 의료영상 데이터로서, 하나의 단말기의 화면상에 동시에 두 개의 의료영상 데이터가 표출됨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이때, 서로의 단말기(20)(3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판독의사 또는 담당의사의 음성신호는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담당의사 또는 판독의사의 단말기(20)(3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기 때문에, 판독의사 및 담당의사는 같은 장소에서 같은 의료영상 데이터를 보면서 상기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독의사 또는 담당의사가 판독의사의 단말기(20) 또는 담당의사의 단말기(30) 화면상에 표출된 의료영상 데이터의 소정 부위를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하여 그 범위를 설정하게 되면, 나머지 다른 하나의 의료영상 데이터에도 동일한 지점에 동일한 범위가 설정되어 판독의사와 담당의사가 동일한 영역에 대해서 서로의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내용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정 환자가 골다공증 증세를 가지고, 입원당시 척추의 일부가 눌러 앉아 환자 스스로 걸을 수 없는 상태에서 내과병동에 입원을 하게 되는 경우, 병원 측에서는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검사 및 CT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혈액검사 및 CT 촬영 결과가 하나의 데이터로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환자의 내과 담당의사의 단말기(30)로도 전송된다.
그리하여 검사 결과, 종양이 발견되는 경우, 내과 담당의사는 상기 환자를 G해당 암 병동으로 재 입원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환자의 담당의사는 암 전문 담당 의사로 바뀌게 된다.
물론, 상기 내과 담당의사는 상기 환자의 신상정보 및 검사 결과 정보를 상기 암 전문 담당 의사의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암 전문 담당 의사는 상기 환자의 의료영상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판독의사에게 의료영상 데이터를 함께 분석해 줄 것을 요청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판독 의사 단말기(20) 및 암 전문 담당 의사 단말기(30)는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어, 동일한 환자의 의료영상 데이터를 보면서, 현재 환자의 암세포가 환자의 몸 속에 얼마나 퍼져 있는지를 정확하게 진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환자가 척추의 손상으로 스스로 걸을 수 없는 상태에서 입원을했기 때문에, 상기 암 전문 담당 의사는 정형외과 의사 또는 신경외과 의사에게도 상기 환자의 의료영상 데이터를 판독의사와 함께 볼 수 있도록 지원하여, 상기 환자를 다각도로 진단하고, 복합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서 판독의사 단말기(20)에 구비된 모니터는 담당의사 단말기(30)에 구비된 모니터보다 고해상도 모니터이므로, 화면상에 표출된 의료영상 데이터를 더욱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소정 환자의 담당의사가 상기 환자의 의료영상을 화면상에 표출시켜 보고자 할 경우, 저해상도의 모니터이기 때문에 명확하지 않은 부위가 발생할 경우, 판독의사에게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온라인으로 상기 환자의 신상정보를 이용하여 판독 요청을 하게 되고, 판독의사는 상기 담당의사의 판독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의 의료영상을 자신의 단말기(20) 및 담당의사의 단말기(30)의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한 후, 담당의사에게 판독받고자 하는 부위에 대한 지시 요청을 하게 된다.
그러면, 담당의사는 자신의 단말기(30)의 화면상으로 표출된 의료영상 화면에서 원하는 부위에 대한 범위를 설정하게 되는데, 이때 담당의사 단말기(30)의 화면에 표출된 의료영상 화면뿐만 아니라, 판독의사 단말기(20)의 화면상에 표출된 의료영상 화면에도 동일한 부위의 범위가 설정된다.
이에 따라 판독의사는 자신의 소견을 이야기하게 되고, 상기 판독의사의 음성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해 상기 담당의사의 단말기(3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므로, 담당의사는 판독의사가 바로옆에서 동일한 의료영상 필름을 보면서 이야기하는 것과 동일한 느낌을 가지고, 환자의 환부에 대한 의료영상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료영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의사 및 환자의 담당의사가 의료영상 촬영 장비를 이용하여 촬영한 환자의 의료영상 데이터 및 자신의 모습을 서로 각자의 단말기의 화면상에 출력시키고, 화면상에 출력된 의료영상 데이터에 지시영역을 표시해가면서, 서로의 소견을 나눔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네트워크 통신망;
    카메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탑재하고 있으며, 화면상에 소정 환자의 의료영상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한편, 담당의사의 영상을 화면상에 표출시키고, 상기 담당의사의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판독의사 단말기; 및
    카메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탑재하고 있으며, 상기 판독의사 단말기의 화면상에 출력된 의료영상 데이터와 동일한 의료영상 데이터를 화면상에 출력시키는 한편, 상기 판독의사의 영상을 화면상에 표출시키고, 상기 판독의사의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담당의사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화상 진단회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의사 단말기 또는 담당의사 단말기는,
    상기 판독의사가 보게 되는 의료영상 데이터와 상기 담당의사가 보게 되는 의료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화면상에 표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화상 진단회의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의사 또는 담당의사가 상기 판독의사 단말기 또는 담당의사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출되는 상기 의료영상 데이터의 소정 지점을 지시영역을 설정하게되는 경우, 화면상에 표출된 다른 의료영상 데이터의 동일 지점에도 지시 영역이 표시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화상 진단회의 시스템.
KR1020010013085A 2001-03-14 2001-03-14 의료 화상 진단회의 시스템 KR20010078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085A KR20010078477A (ko) 2001-03-14 2001-03-14 의료 화상 진단회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085A KR20010078477A (ko) 2001-03-14 2001-03-14 의료 화상 진단회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477A true KR20010078477A (ko) 2001-08-21

Family

ID=1970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085A KR20010078477A (ko) 2001-03-14 2001-03-14 의료 화상 진단회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847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503A (ja) * 1994-07-06 1996-01-23 Sanyo Electric Co Ltd 遠隔診療支援システム
JPH11161729A (ja) * 1997-09-25 1999-06-18 Siemens Ag 医用システムアーキテクチャ及び外部所見法
KR20000058592A (ko) * 2000-06-17 2000-10-05 조기현 인터넷 기반의 골밀도 원격진단 시스템과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503A (ja) * 1994-07-06 1996-01-23 Sanyo Electric Co Ltd 遠隔診療支援システム
JPH11161729A (ja) * 1997-09-25 1999-06-18 Siemens Ag 医用システムアーキテクチャ及び外部所見法
KR20000058592A (ko) * 2000-06-17 2000-10-05 조기현 인터넷 기반의 골밀도 원격진단 시스템과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1271B2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acquiring medical diagnostic information and provision of telehealth services
Whited et al. A pilot trial of digital imaging in skin cancer
Eikelboom et al. Validation of tele-otology to diagnose ear disease in children
Whited Teledermatology: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KR102222932B1 (ko) 이기종 촬영장치들의 촬영 이미지들을 표준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영상 이미지 표준화 장치
Visagie et al. Accuracy of remote hearing assessment in a rural community
Rinde et al. Telemedicine in rural Norway
US200402204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a televisit
Martinez et al. Large vestibular aqueduct syndrome with massive endolymphatic sacs
Aviv et al. Cost-effectiveness of two types of dysphagia care in head and neck cancer: a preliminary report
Maret et al. Smartphone oral self-photography in teledentistry: recommendations for the patient
Yogesan et al. Teleophthalmology
KR101906398B1 (ko) 실시간 객체추적을 이용한 내시경 진료정보 공유 방법
Crump et al. An application of telemedicine technology for otorhinolaryngology diagnosis
US20020001401A1 (en) Medical system architecture with an apparatus for the acquisition and playback of current photographic images or image sequences
KR20010078477A (ko) 의료 화상 진단회의 시스템
JP2003256570A (ja) 画像診断支援システム
US20210021787A1 (en) Audio-video conferencing system of telemedicine
KR20170122981A (ko) 실시간 내시경 진료정보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169888A (ja) 医療介護支援システム
KR20140107737A (ko) 복수의 판독자에 의한 자궁 경부의 판독 방법
Ito et al. Narrow internal auditory meatus: an idiopathic case confirming the origin and pathway of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in humans
KR20040089426A (ko)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KR100825947B1 (ko) 화상상담 및 진료용 디스플레이장치
KR20010109941A (ko) 원격 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