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9426A -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9426A
KR20040089426A KR1020030057884A KR20030057884A KR20040089426A KR 20040089426 A KR20040089426 A KR 20040089426A KR 1020030057884 A KR1020030057884 A KR 1020030057884A KR 20030057884 A KR20030057884 A KR 20030057884A KR 20040089426 A KR20040089426 A KR 20040089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nostic
close
camera
portable terminal
ima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0284B1 (ko
Inventor
이민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스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스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스피아
Publication of KR20040089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2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voice messaging, e.g. dicta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44Fibrous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진단용 카메라를 장착시켜 소정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피부, 안구 및 모발 등의 근접 촬영 영상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의료진단센터 등으로 전송하여 통원 등을 통해 진단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 등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 모발 또는 동공 등에 대한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근접 촬영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하여 피부, 모발 또는 동공 등을 근접해서 촬영한 후 촬영된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영장치;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근접 촬영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촬영장치가 근접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킨 후, 정기적으로 진단기관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근접 촬영 영상신호에 대한 서버의 진단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상기 진단기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진단기관 서버에서 전송하는 진단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Mobile phone with camera for diagnosis}
본 발명은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 진단용 카메라를 장착시켜 소정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피부, 안구 및 모발 등의 근접 촬영 영상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의료진단센터 등으로 전송하여 통원을 통해 진단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 등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민 건강을 위한 의료 시스템에 있어서 아직까지는 환자가 의사로부터 진료를 받기 위해서는 병원을 직접 방문하여야 하고, 의사가 처방해 준 처방전에 따라 병원에 부속된 약국 또는 일반 약국에서 약품을 조제 및 수령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해서 의사가 직접 환자를 방문하여진료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환자에게 가중한 의료비가 청구될 뿐만 아니라 의사의 시간적 손실이 크기 때문에 의사의 직접 방문을 통해 진료를 받는 경우는 드물다 하겠다.
이와 같이, 환자와 의사가 직접 대면하여 진료하는 이른 바, 직접 진료(Face to face) 시스템은 환자가 진료를 받기 위해서는 직접 병원까지 방문하여야만 하고, 더구나 병원을 방문하였다 하더라도 진료까지는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등 많은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종합의료기관이 없는 외곽의 농, 어촌에서는 전문의(專門醫) 자격을 가진 의사에게 진료를 받을 수 없어 일반의에게 진료를 받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며, 이로 인해 질병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어렵고, 따라서 조기에 질병치료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인터넷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현실에 맞게 온-라인(On-line) 상에서의 의료상담 및 진료가 이루어지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즉, 사용자들은 소정 진료기관에 구비된 컴퓨터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자신의 컴퓨터 시스템에 탑재시키고,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원하는 의사의 컴퓨터 시스템과 연결시켜, 현재 자신의 상태를 문자 또는 화상을 통해 전달하여 진찰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온라인 진료의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화상을 통해 진료를 받을 수는 있으나, 직접 진료처럼 정확하게 진찰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요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진단용 카메라를 장착시켜 소정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피부, 안구 및 모발 등의 근접 촬영 영상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진단센터로 전송하여 통원을 통해 진단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 등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가 포함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줌기능을 갖는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진단용 카메라 어댑터를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줌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카메라의 줌기능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카메라의 줌기능 선택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카메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저장부 220 : 키입력부
230 : 촬영장치(카메라) 240 : 제어부
250 : 무선통신 회로부 260 : 표시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진단기관 서버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상기 진단기관 서버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피부, 모발 또는 동공 등에 대한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근접 촬영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하여 피부, 모발 또는 동공 등을 근접해서 촬영한 후 촬영된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영장치;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근접 촬영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촬영장치가 근접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킨 후, 정기적으로 상기 진단기관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근접 촬영 영상신호에 대한 진단기관 서버의 진단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상기 진단기관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진단기관 서버에서 전송하는 진단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회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특히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에 장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전송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근접 촬영 영상신호가 상기 진단기관 서버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때, 상기 진단기관 서버에서 제공되는 진단 데이터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진단기관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진단 프로그램에 적용시켜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알 수 있는 진단 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진단기관 서버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상기 진단기관 서버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으며,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진단요청 영상데이터를 생성시킨 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렌즈와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접사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에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근접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어댑터; 피부, 모발 또는 동공 등에 대한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근접 촬영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근접 촬영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가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킨 후, 정기적으로 상기 진단기관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근접 촬영 영상신호에 대한 진단기관 서버의 진단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상기 진단기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진단기관 서버에서 전송하는 진단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회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촬영장치는, 줌 기능 해제시 렌즈의 일부는 하측에 고정 위치되고, 다른 렌즈는 슬라이드시켜 상기 고정된 렌즈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며, 줌 기능 전환시 상측에 위치된 렌즈가 슬라이드되어 하측에 고정, 설치된 렌즈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촬영장치는, 거울과 CCD 촬상소자 사이에 다수의 렌즈를 적층시켜, 줌 기능 선택시 적층된 렌즈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줌 기능 해제시 상방향으로 이동된 렌즈가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본체에 이중 베어링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가 포함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망(100)을 통해 진단기관 서버(30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상기 진단기관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상기 진단기관 서버(3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200)로 구성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는 피부, 모발 또는 동공 등에 대한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210)와,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근접 촬영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220)와, 후술하는 제어부(24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응하여 피부, 모발 또는 동공 등을 근접해서 촬영한 후 촬영된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영장치(230)와, 상기 키입력부(220)로부터 근접 촬영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촬영장치(230)가 근접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촬영장치(230)로부터 출력되는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210)에 저장시킨 후, 정기적으로 상기 진단기관 서버(3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근접 촬영 영상신호에 대한 진단기관 서버의 진단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저장부(21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부(260)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40)와,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상기 진단기관 서버(300)로 전송하고, 상기 진단기관 서버(300)에서 전송하는 진단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회로부(250)로 구성된다.
상기 촬영장치(230)는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본체와 표시부의 연결축 일측에 내장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촬영장치(230)는 첨부 도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일측에 장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촬영장치(230)는 첨부 도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 기능 해제시 렌즈의 일부는 하측에 고정 위치되고, 다른 렌즈는 슬라이드시켜 상기 고정된 렌즈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 기능 선택시 상측에 위치된 렌즈가 슬라이딩시켜 하측에 고정, 설치된 렌즈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줌 기능에 따라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촬영장치(230)는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과 CCD 촬상소자 사이에 다수의 렌즈를 적층시켜, 줌 기능 선택시 적층된 렌즈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줌 기능 해제시 상방향으로 이동된 렌즈가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장치(202)가 본체(201)에 이중베어링(203)으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201)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회전된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사용자의 전송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부(210)에 저장된 근접 촬영 영상신호가 상기 진단기관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진단기관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진단 데이터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형태로 제공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240)는 키입력부(220)를 통해 근접 촬영 요청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근접 촬영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촬영장치(230)를 제어하여 근접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근접 촬영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촬영 키버튼을 구비시켜 입력하는 방법,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버튼을 조합시켜 입력하는 방법, 또는 메뉴항목으로 제공하고 사용자가 메뉴항목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 등이다.
그러면 촬영장치(230)는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응하여 사용자에 의해 위치된 영역을 근접 촬영하고,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제어부(240)로 출력한다.
제어부(240)는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날짜 정보와 함께 저장부(210)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전송 요청에 응하여 상기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와 함께 무선통신 회로부(250)를 통해 진단기관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일 수 있으며, 이 식별정보는 진단기관 서버(300)와의 사전 약정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면, 상기 진단기관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와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수신받아,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진단 담당자를 체크하고, 진단 담당자가 상기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볼 수 있도록 진단 담당자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상기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진단기관 서버(300)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 근접 촬영 영상신호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만 전송하고, 상기 근접 촬영 영상신호는 진단기관 서버(300)에 등록, 저장시키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진단 담당자는 상기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화면상으로 보고, 사용자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진단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렇게 작성된 진단 데이터는 데이터 통신망(100) 및 무선통신 회로부(250)를 통해 제어부(240)로 전송된다.
그러면, 제어부(240)는 상기 진단 데이터의 전송형태를 판단하고, 문자메시지로 판단되면, 표시부(260)의 화면상에 진단 데이터를 문자메시지로 표시하고, 음성메시지로 판단되면 진단 데이터 도착메시지만 화면상에 문자로 표시되도록 하고 음성메시지는 저장부(210)의 소정 영역에 저장시킨다.
상기 무선통신 회로부(250)를 통해 진단 데이터를 수신한 제어부(240)는 표시부(260)에 진단 데이터를 직접 표시하거나,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무선통신 회로부(250)는 기지국으로 송신할 신호를 변조시켜 무선신호로 송출되도록 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240)로 입력되도록 하는 컨버터, 필터 및 변복조부 등 구성요소들을 가지고 있으나, 통상적인 구성요소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무선통신 회로부(250)는 상기 변복조부를 이용하여 전송할 데이터 및 수신될 데이터를 이동통신용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방식에 따라 변/복조 과정을 수행한다. 예컨대 채널 코딩/디코딩, 직교 부호/복호 등의 CDMA 변/복조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원하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무선통신 회로부(250)는 무선 랜 통신부가 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좀 더 제한된 지역에서 무선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도면 부호를 작성하지 않았지만, 본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라면 구비하고 있는 음성 통화를 위한 스피커, 마이크, 그리고 음성 압축과 채널 통신을 위한 코덱들이 더 포함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진단기관 서버(3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진단 프로그램에 적용시켜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알 수 있는 진단 결과를 알려준다.
상기 다른 실시 예의 일예를 홍채를 이용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홍채는 사진기의 조리개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수정체의 앞쪽에서 이를 둘러싸고 중심에 있는 동공을 매달아 빛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조리개와 같은 역할을 하는 홍채는 신경을 통하여 대뇌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체에서 일어나는 화학적, 물리적 변화에 따라 바이브레이션으로 전달 섬유 조직의 형태가 변하게 되는데, 이 변화되는 상태를 판독하여 신체의 이상 유무를 진단할 수 있다. 즉, 홍채는 뇌의 연장으로서 수십만 가닥의 신경 말단(자율신경, 동안신경, 감각신경)과 모세혈관 및 근 섬유조직을 갖고 있으므로, 홍채는 뇌와 신경계를 통하여 모든 장기와 조직에 연결되어 있어서 전시건강에 대한 직접적인 진단지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홍채를 통하여 결합조직, 허약체질, 신경계 질환, 간질환, 당뇨병, 위질환, 생식기 질환 등의 성인병 등을 진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진단기관 서버(300)는 상기 증상에 따른 다양한 홍채 영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홍채를 휴대용 단말기(200)에 구비된 촬영장치(230)를 이용하여 근접촬영을 하고, 근접촬영된 홍채영상정보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저장부(210)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홍채영상정보를 생성시킨 사용자는 상기 진단기관 서버(30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상기 저장부(210)에 저장된 홍채영상정보를 상기 진단기관 서버(300)로 전송시킨다.
그러면, 상기 진단기관 서버(300)는 상기 홍채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홍채영상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홍채영상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홍채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미리 체크한다. 그리고 체크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체크결과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방식을 이용하여 발송된다. 물론 상기 진단기관 서버(300)는 상기 체크 결과에 따라 긴급한 경우 해당 진단 담당자의 단말기 및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200)로 경보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가 예약 진단을 받을 수 있도록 진단기관과 예약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 예약 정보를 문자 메시지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일반 카메라가 부착된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상기 카메라(230)를 이용하여 근접촬영을 하고, 진단기관 서버(300)로부터 진단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카메라(230)에 어댑터(400)를 결합시켜 상기 카메라(230)로 하여금 근접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어댑터(400)는 접사렌즈(41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접사렌즈(410)는 상기 카메라로 하여금 근접촬영을 할 수 있도록 가까운 곳에 초점을 맺어주는 기능을 가지고있다.
그러므로 상기 접사렌즈(410)가 구비된 어댑터(400)를 상기 카메라(270)에 결합시킴으로써, 일반 카메라(230)를 이용하여 근접 촬영을 하고,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상기 진단기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어댑터(4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230)에 탈,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그리고, 근접 촬영 영상신호가 생성된 이후의 과정은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카메라(230)는 줌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줌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줌 장치의 일 실시예는, 첨부 도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 기능 해제시 렌즈의 일부(231)는 하측에 고정 위치되고 다른 렌즈(232)는 슬라이드시켜 상기 고정된 렌즈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며, 첨부도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 기능 선택시 상측에 위치된 렌즈(232)가 슬라이딩되어 하측에 고정설치된 렌즈(23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줌 기능에 따라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줌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줌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는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과 CCD 촬상소자 사이에 다수의 렌즈(232??)를 적층시켜, 줌 기능 선택시 적층된 렌즈(232??)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줌 기능 해제시 상방향으로 이동된 렌즈(232??)가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장치(202)는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1)에 이중베어링(203)으로 결합되어, 본체(201)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회전되어,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서 화면상에 출력되는 영상을 보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202)를 회전시켜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의료기관뿐만 아니라, 진단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사진의 수정을 위해 서버로 전송하는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사건현장에 대한 법률적 등의 진단 등을 위한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진단용 카메라를 장착시켜 소정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피부, 안구 및 모발 등의 근접 촬영 영상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진단센터로 전송하여 통원을 통해 진단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 등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의료기관 등의 진단기관을 방문하여 진단하는 경우와 동일한 진단환경을 제공하여, 진단효과는 직접 진단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공하는 반면에 직접 진단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Claims (9)

  1.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진단기관 서버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상기 진단기관 서버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피부, 모발 또는 동공 등에 대한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근접 촬영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하여 피부, 모발 또는 동공 등을 근접해서 촬영한 후 촬영된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영장치;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근접 촬영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촬영장치가 근접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촬영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킨 후, 정기적으로 상기 진단기관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근접 촬영 영상신호에 대한 진단기관 서버의 진단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상기 진단기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진단기관 서버에서 전송하는 진단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회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에 장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전송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근접 촬영 영상신호가 상기 진단기관 서버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기관 서버에서 제공되는 진단 데이터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기관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진단 프로그램에 적용시켜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알 수 있는 진단 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6.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진단기관 서버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상기 진단기관 서버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으며,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진단요청 영상 데이터를 생성시킨 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렌즈와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접사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에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근접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어댑터;
    피부, 모발 또는 동공에 대한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사용자의 조작에 응하여 근접 촬영 요청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근접 촬영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가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킨 후, 정기적으로 상기 진단기관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근접 촬영 영상신호에 대한 진단기관 서버의 진단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근접 촬영 영상신호를 상기 진단기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진단기관 서버에서 전송하는 진단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회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줌 기능 해제시 렌즈의 일부는 하측에 고정 위치되고, 다른 렌즈는 슬라이드시켜 상기 고정된 렌즈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며, 줌 기능 전환시 상측에 위치된 렌즈가 슬라이드되어 하측에 고정, 설치된 렌즈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거울과 CCD 촬상소자 사이에 다수의 렌즈를 적층시켜, 줌 기능 선택시 적층된 렌즈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줌 기능 해제시 상방향으로 이동된 렌즈가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9.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본체에 이중베어링으로 결합되어, 본체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KR1020030057884A 2003-04-12 2003-08-21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KR1005902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171 2003-04-12
KR20030023171 2003-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426A true KR20040089426A (ko) 2004-10-21
KR100590284B1 KR100590284B1 (ko) 2006-06-15

Family

ID=3737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884A KR100590284B1 (ko) 2003-04-12 2003-08-21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028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928B1 (ko) * 2008-08-08 2009-08-20 (주)보강하이텍 원격정비지원을 위한 휴대용 화상 전송장치
KR200447355Y1 (ko) * 2008-05-23 2010-01-20 (주)아이디암 위생 검사기
KR101452576B1 (ko) * 2012-07-03 2014-10-21 곽명수 인체 접사촬영 보조장치 및 핸드폰을 이용한 건강을 검진하는 방법
WO2015066618A1 (en) * 2013-11-01 2015-05-07 The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Board Of Trustees Context based algorithmic framework for identifying and classifying embedded images of follicle units
KR20150139710A (ko) * 2014-06-03 2015-12-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단말기를 기반으로 하는 인체 자가진단 안내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355Y1 (ko) * 2008-05-23 2010-01-20 (주)아이디암 위생 검사기
KR100912928B1 (ko) * 2008-08-08 2009-08-20 (주)보강하이텍 원격정비지원을 위한 휴대용 화상 전송장치
KR101452576B1 (ko) * 2012-07-03 2014-10-21 곽명수 인체 접사촬영 보조장치 및 핸드폰을 이용한 건강을 검진하는 방법
WO2015066618A1 (en) * 2013-11-01 2015-05-07 The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Board Of Trustees Context based algorithmic framework for identifying and classifying embedded images of follicle units
US9576359B2 (en) 2013-11-01 2017-02-21 The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Board Of Trustees Context based algorithmic framework for identifying and classifying embedded images of follicle units
KR20150139710A (ko) * 2014-06-03 2015-12-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단말기를 기반으로 하는 인체 자가진단 안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0284B1 (ko)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15453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analyzing, and sending still and video images of the fundus during examination using an ophthalmoscope
Muensterer et al. Google Glass in pediatric surgery: an exploratory study
US6594607B2 (en) Medical screen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50180917A1 (en) User terminal for a telemedicine image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rilak et al. A new procedure for advancing telemedicine using the HoloLens
US20210266390A1 (en) Worldwide indirect to direct on-demand eye doctor support refraction system via a remote administration tool mobile application on any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broadband wireless cellular network technology 4G ,5G , 6G or Wifi wireless network protocols to interconnect both systems.
US20180192868A1 (en) Ophthalmic examination system
KR101789166B1 (ko) 이미지 기반 황달 진단 방법 및 장치, 이미지 기반 황달 진단 보조 장치
Yogesan et al. Teleophthalmology
JP7024450B2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支援装置及び支援方法
KR100590284B1 (ko) 진단용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KR10186983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진료 시스템
KR20000036955A (ko) 인터넷 홍채 진단 시스템
JP7128984B2 (ja) 遠隔診療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3030325A (ja) 医療機関の予約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7024451B2 (ja) 遠隔診療端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80077886A (ko) 이동통신 단말을 활용한 홍채 정보 기반의 건강관리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JP2012050743A (ja) 遠隔診療システム
WO2020183727A1 (ja) 診察手帳システム、患者端末及び制御方法
KR20020028351A (ko) 인터넷을 이용한 성형외과 상담 시스템 및 그 방법
TWI833507B (zh) 遠距醫療會診方法及系統
KR101728844B1 (ko) 스마트폰과 연결되는 검이경 및 검이경 시스템
JP6921436B2 (ja) 診察手帳システム、患者端末及び制御方法
JP703330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20040067532A (ko) 원격 진료용 안구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구검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