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6864A - 탭셀렉터 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 - Google Patents

탭셀렉터 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6864A
KR20010076864A KR1020000004284A KR20000004284A KR20010076864A KR 20010076864 A KR20010076864 A KR 20010076864A KR 1020000004284 A KR1020000004284 A KR 1020000004284A KR 20000004284 A KR20000004284 A KR 20000004284A KR 20010076864 A KR20010076864 A KR 20010076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ylinder
filter insert
flange
selecto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자보아르파드
비텐젤네르게오르그
Original Assignee
류르만 하로엠, 마이어 게럴드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르만 하로엠, 마이어 게럴드,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류르만 하로엠, 마이어 게럴드
Priority to KR1020000004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6864A/ko
Publication of KR20010076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86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탭셀렉터의 오일여과장치는, 탭셀렉터의 스위치오일회로에 접속가능하며, 기판 및 실린더(2)의 상부단에서 에워싸고있는 플랜지에 밀봉되게 장착된 제거가능한 리드(lid)를 가진 실린더(2)를 포함한 가압용기(1)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가능한 오일필터삽입체(18)는, 가압용기(1)에 배치되어 오일회로에서 오일을 여과한다.
삽입체(18)의 장착을 위해, 실린더플랜지(4)는, 반경방향으로 내향지게 돌출된 플랜지부(17)를 가지며, 삽입체(18)는 실린더내에 삽입체를 현수되도록 플랜지 부에 설정된 칼라(24)를 구비하고 있다.
칼라(24)는 리드(lid)(3)은 끼워맞출때 약간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으로 할수 있고, 리드(3) 및 필터삽입체(18)는, 서로 분리되어 가압용기(1)의 실린더(2)에 끼워맞추어지며, 또 실린더에서 이탈시킬수 있다.

Description

탭셀렉터 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OIL FILTER UNIT FOR TAP SELECTOR SWITCH}
탭셀렉터의 오일여과장치 및 장치용 필터삽입체는, 독일, 머신넨 퍼브릭 라인하우센사의 출판물 "오일여과장치형 51-동작설명서", 인쇄부호 BA 18/03 de-1196/1000에 기술되어있다.
이 오일여과장치는, 그중에서도 펌프모터, 수송펌프 및 가압용기로 구성된 펌프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가압용기는 리드 및 기판을 가진 강제실린더로서 구성되고, 그 내부에 필터삽입체를 수용하고 있다.
특히, 매우 큰 스위칭빈도 또는 빈번한 과부하등 보다 어려운 조건하에서 동작하며 또는 일정한 전류동작을 하게 되는 기계적 스위칭접점을 가진 탭셀렉터 스위치의 경우에는, 탭셀렉터 스위치 내부의 스위치오일은, 불가피한 스위칭아크의 결과로 비교적 단시간에 강하게 오염된다.
이것을 제거하기 위하여, 변압기운전의 중단없이 그 오일여과장치로 가능한스위치오일의 주기적 여과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오일여과장치에는 여러가지의 방법으로 작용하는 필터삽입체가 구성된다.
한편, 종이필터삽입체가 고체구성성분의 오일을 세척하는 데 사용된다.
이때 동시에 필요한 오일교환과 함께, 스위칭빈도의 경우에 자주 요구되는 점검이 감소된다.
한편, 오일에서 오염된 고체구성성분을 여과하는 것은 별문제로 하고, 물함유량의 추가감소가 필요할때에는, 결합필터삽입체가 특히 사용되며, 이것은 대부분의 경우 탭셀렉터스위치가 매우 높은 대기습기등 열대 또는 아열대기후를 가진 국가에서 사용될때 요구된다.
2종의 필터삽입체가 펌프장비의 가압용기에 동일방식으로 장착되며, 가압용기는, 리드를 체결할때 가압용기의 내부에 중앙으로 돌출된 스크루볼트를 그 내측으로 구비한 착탈가능한 리드를 구비하고 있다.
필터삽입체도 역시 조립시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리드의 스크루볼트가 삽입된 연속적 중앙개구를 구비하고 있다.
스크루볼트의 단부가 돌출한 필터삽입체의 다른측에는, 록킹카운터-부재 및 체결너트가 볼트의 돌출단부에 끼워맞추어져 필터삽입체를 리드에 고정한다.
그러나, 공지의 이 장치, 즉 필터삽입체의 장착방법은 여러가지 단점을 가지고있다.
첫째로, 필터의 교체를 위해, 필터삽입체와 함께 가압용기의 리드는 가압용기에서 분리되며 상승되어야 하며, 그 다음 전 조립체는 분해물표면에 분리시켜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접근하기 쉬운 체결너트만을 풀수있고, 카운터-부재와 함께 제거되며, 그후 필터삽입체는 리드의 스크루볼트에서 빠지게 된다.
이것은, 필터삽입체이 스위치오일에 의해 포화되여 근소한 무게를 갖지 않음으로, 상당한 물리적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그 일은 때때로 제한된 공간조건때문에 더욱 어려움을 가지게되어, 전반적으로 취급이 만족스럽지 않다.
한편, 가압용기로 부터 리드부품 및 필터삽입체를 이탈시킬때, 과잉의 스위치오일이 삽입체에서 떨어저 주변과 작업을 수행하는 수리기술자를 오염시키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필터삽입체를 설정시키고, 필요할때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탭셀렉터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탭셀렉터 스위치의 오일 여과장치에 대한 부분 개략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장치에서 사용가능한 필터삽입체의 제1형태의 상부 개략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장치에서 사용가능한 필터삽입체의 제2형태의 상부 개략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필터삽입체의 개략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압용기 2: 실린더
3: 리드(lid) 4: 플랜지
5: 스크루 6: 파이프엘보우
7: 파이트엘보우 플랜지 8: 플랜지스크루
9: 스크루 10: 리드
11: 통공 12: 접속블록
13: 압력계 14: 압력스위치
15: 그루브 16: 그루브
17: 수납플랜지부 18: 삽입체
19: 벽 20: 필터재
본 발명에 의해 탭셀렉터 스위치의 스위칭접점에 대한 스위치오일의 오일회로를 가진 탭셀렉터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를 구성한다.
그 오일여과장치는 오일회로에 접속할 수 있는 가압용기와, 직립실린더의 상단에 구성된 원형으로 둘러싼 플랜지상에 시일링을 할 수 있게 설정시킨 이탈할 수 있는 리드(lid)와 기판(base)을 가진 직립실린더(upright cylinder)와, 오일회로내 필터오일의 가압용기에 설치한 이탈시킬 수 있는 오일필터삽입체를 구성시켜, 그 실린더플랜지가 그 실린더 내부에서 환상으로 형성되는 내향돌출플랜지부를 구비하며, 그 필터삽입제가 플랜지부에 설정시킨 칼라(collar)를 구비하여 그 실린더내에서 필터삽입체를 현수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그 칼라는 단상형상단면(stair-shaped cross-section)이 바람직하고, 그 실린더플랜지의 플랜지부는 스텝형상단면(step-shaped cross-section)이 바람직하다.
또, 그 리드는 그 대응하는 스텝형상단면의 일부를 가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최소한 하나의 제어, 첵크 또는 측정장치는 그 설정지점에서 실린더플랜지상에 설치되며, 그 리드는 설정지점의 영역내에서 리세스를 형성하여 그 장치를 이탈시킴이 없이 리드를 이탈시키도록 한다.
그 필터삽입체 그 자체는 필터수단을 포위하며 기판에 의해 그 하단에서 폐쇄시키고, 중심개구에서 떨어저 있는 그 상단에서 폐쇄시킨 원통형상벽을 구성하며, 그 칼라는 그 벽의 상부영역에 설치되어 상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필터삽입체의 원주의 넓은 영역에서 실린더플랜지에 지지되어있다.
그 칼라는 거의 수평평면으로 설치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가저 탄성변형을 하도록 그 플랜지부에 대하여 지지되어있다.
처리를 돕기 위하여, 필터삽입체는 그 상단에서 그 리드가 가압용기의 실린더의 플랜지에서 이탈될때 그 필터삽입체에서 상방으로 돌출하고 실린더플랜지상에 설치될때 그 리드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시키는 탄성인상구성요소(resilient lifting elements)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오일여과장치의 특징은 다 함께 견고하게 사전에 접속시킨 가압용기리드와 필터삽입체는 조립상태에서도 분리시키는 각각의 2개의 구성성분으로 분리되어있다.
따라서, 그 가압용기의 실린더는 그 상부영역에서 필터삽입체가 그 칼라에 의해 현수시킬 수 있는 플랜지부를 구비한다.
이와같이, 그 필터삽입체는 더 이상 그 실린더의 리드에 고정되지 않으며 실린더상에 리드를 설정시킬 때 이 실린더내로 내려간다.
그러나, 그 필터삽입체는 플랜지부상에 설치한 칼라에 의해 스스로 지지되어있다.
이 지지는 리드의 삽입여부에 관계가 없다.
따라서, 간단하게 조립 및 분리시킬 수 있다.
그 리드는 초기에 분리시켜 설정시킬 수 있고, 그 다음 필터삽입체를 분리시켜 별도로 다시 삽입시킬 수 있다.
그 필터삽입체의 칼라가 탄성일 경우 그 리드를 적합하게 고정시킬때 칼라를 실린더플랜지의 플랜지부에 대하여 가압시켜 탄성범위내에서 변형시킨다.
즉, 플랜지부의 구조에 대하여 기밀하게 지지한다.
그 플랜지부가 단상형상단면을 가질경우, 리드를 고정시킬때 필터삽입체의자동센터링(automatic centering)이 발생한다.
그 필터삽입체의 칼라는 위에서 설명한 변형을 탄성범위로 한정시키는 형상과 사용재에 대하여 일정한 크기로 구성할 수 있어 그 필터삽입체는 용이하게 재사용할 수 있다.
즉, 수회 이탈시켜 재삽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아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서는 탭셀렉터 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내에 있는 오일필터장치의 가압용기(1)의 상부를 나타낸다.
그 가압용기(1)의 하부에서는 펌프모터가 이송펌프를 수용하고 있다.
이들 및 가압용기의 외측에서 설정된 오일필터장치의 또 다른 구성성분은 도시를 생략한다.
실제의 가압용기(1)는 기판(base)(도시생략)를 가진 강제실린더(2)와 리드 (lid)(3)로 구성되어있다.
그 강제실린더(2)의 상부에서는 그 실린더의 용접되어있고 반경방향의 배열에서 다수의 나사상보어(threaded bores)를 가진 원형으로 둘러싼 플랜지(4)가 구성되어있다.
그 리드(3)는 그 플랜지(4)에 고정되고, 스크루(5)에 의해 그 강제실린더(2)에 고정되어있으며, 그 스크루는 그 나사상보어와 대응되어있다.
그 리드(3)는 파이프엘보우(pipe elbow (6)를 구비하여, 그 엘보우는 탭셀렉터 스위치의 스위치오일회로의 복귀유량(return run)에 접속되어있다.
파이프엘보우(6)의 플랜지(7)는 시일(seal)을 간삽시켜 스크루(8)에 의해 리드(3)에 고정시킨다.
그 파이프엘보우(6)는 가압용기(1)의 내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리드(3)내 보어(bore)(10)에 의해 그 용기내에 위치한 필터삽입체(filter insert)내부와 연통되어있다.
그 파이프엘보우(6)의 상부영역내에는 가압릴리프 또는 블리드스크루 (pressure relief or bleed screw)(9)가 설정되어있다.
명백하게 하기 위하여, 또 다른 결착 및 접속수단은 생략한다.
그 원둘레의 한 지점에, 플랜지(4)는 보어(11)을 가지며, 그 보어(11)는 가압용기(1)의 내부, 더 자세하게 말하면 그 필터삽입체가 삽입될때 이 삽입체의 외측방향으로 위치되어있는 영역과 연통되어있다.
압력계(manometer)(13)와 가압스위치(14)에 접속하는 접속블록(connection block)(12)이 이 보어(11)상에 설치되어있다.
그 플랜지(4)는 또 삽입시일(inserted seal)을 가진 환상그루브(annular encircling groove)(15)을 가지며, 그 시일은 스크루(5)에 의해 리드(3)를 고정시킬때 그 리드와 플랜지사이에서 기밀한 시일(tight seal)을 형성한다.
그 리드(3)는 그 내측에 구성되여, 또 다른 환상그루브(16)가 삽입시일 (inserted seal)을 수납하며, 그 작용을 아래에 설명한다.
그 내부영역에서는 그 플랜지(4)가 수납플랜지부(17)을 구비하여 그 수납플랜지부는 그 강제실린더(2)의 내부로 환상의 스텝형상으로 형성되어있다.
그 강제실린더(2)에는 필터삽입체(filter insert)(18)와 내벽을 포함하며, 그 필터삽입체는 외측원통형의 바람직하게는 금속제벽(19)으로 이루어지며 필터재(20)로 포위되어있다.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간단한 종이필터가 구성되어 있으나, 복합필터삽입체 및/또는 제오라이트를 채운 삽입체를 포함하는 다른 필터구성요소의 구성도 가능하다.
그 필터삽입체는 폐쇄시킬 수 있는 개구(21)를 가진 기판(base)(22)을 구비한다.
그 필터삽입체(18)의 상단(23)은 커버에 의해 폐쇄되며, 그 커버는 필터삽입체의 내부에서 파이프엘보우(6)로의 오일 흐름의 중심개구를 가진다.
그 벽(19)의 상부부근에서 필터삽입체(18)는 환상으로 둘러싼 탄성칼라 (collar)(24)를 구비하며, 그 칼라는 커버의 일부이고, 필터삽입체(18)의 삽입상태에서 그 삽입체가 플랜지부(17)상에서 이 칼라(24)에 의해 설정되도록 외측으로 수평지게 형성되어있다.
그 필터삽입체(18)는 위에서 플랜지(4)에 의해 포위되어있는 구멍으로 초기에 삽입시킴으로써 그 강제실린더(2)에 삽입한다.
완전삽입을 시킨후, 그 필터삽입체(18)의 칼라(24)는 플랜지부(17)상에서 환상으로 위치시킨다.
그 다음, 그 리드를 끼워 스크루(5)에 의해 플랜지(4)와 실린더(2)에 스크루 접속을 시킨다.
스크루고정을 시킬때, 그 리드(3)가 약간 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그 수납칼라(24)는 탄성변형을 하여 그 플랜지부(17)의 스텝형상구조체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받아드린다(adapt).
그 플렌지(4)내 환상그르부(15)에 삽입시킨 시일(seal)은 리드(3)에 대하여 이 플랜지를 시일링함으로써 그 필터삽입체(18)의 외측의 강제실린더(2)내 자유용량(free volume)을 또 시일링한다.
그 리드(3)의 내측에서 그 그루브(16)에 삽입시킨 또 다른 시일은 리드(3)에 대하여 칼라(24)를 시일링한다.
따라서, 그 필터삽입체(18)는 기밀하게 시일링을 시킨다(hermetically seal). 여과시킨 스위치오일은 가압용기(1)내 점프에 의해 필터삽입체(18)의 원주면을 통하여 외측에서 그 벽(19)의 내부로 강제유입시키며, 이 경우 필터재(20)를 통하여 유입한다.
그 다음으로, 클리닝을 시킨 스위치오일은 리드(3)의 보어(10)와 파이프엘보우(6)을 통하여 탭셀렉터스위치로 통과한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이 경우 설치상태에 있는 칼라(24)가 플랜지부(17)의 구조체에 대하여 어떻게 기밀하게 지지하고 있는가를 분명하게 알 수 있다.
그 칼라(24)는 특히 두께 약 0.8mm의 강제로 구성하는것이 바람직하며, 디프-드로잉(deep-drawing)품질, 예로서 St1203으로 구성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 재료의 경우 칼라(24)의 탄성변형은 약 2mm를 초과할 수 없다. 이것은리드(3), 플랜지부(17)및 칼라(24) 서로간에 대하여 적합한 크기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도 3에서, 필터삽입체(18)의 1차형태의 상부는 그 자체에 의해 나타낸것이다. 필터삽입체(19)의 상단(23)에서 칼라(24)의 간격 "a"의 적합한 크기에 의해 위에서 설명한 다른 구성성분의 적합한 크기와 관련하여 상단(23)이 상방향으로 얼마나 돌출되어있는가를 정할 수 있다.
그 리드(3)는 상단(23)에 설정되어있어, 그 리드(23)가 스크루(5)의 고정에 의해 고정될때 그 리드(3)의 내면은 일정량 필터삽입체(18)전체를 하방향으로 강제이동시키도록하여 선택간격 "a"에 따라 칼라(24)를 탄성변형이 되도록 한다.
도 3에서는 하중없는 상태에 있는 칼라(24)가 거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것을 나타낸다.
그 필터삽입체(18)를 제거시킨다음, 그 칼라는 또 이 위치를 가진다.
그 이유는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그 변형이 탄성범위내에서만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그 필터삽입체(18)은 반복하여 착탈시킬 수 있다.
특히, 변형시킬 경우, 그 수납플랜지(17)는 스텝형상으로 형성시켜, 도 1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리드(3)의 적합한 스텝과 대응이 된다.
이것은 리드(3)을 헐겁게할때(loosening) 추가용량을 자유롭게 하도록 하는 잇점을 가져, 파이프엘보우(6)에서 역 유동하는 오일을 수용함으로 과잉유동(over floawing)과 그 결과 얻어진 오염을 방지한다.
또, 원주의 일부에만 스쿠루(5)를 가진 리드(3)를 구성시키며, 접속블록 (12), 압력계(13)및 가압스위치(14) 또는 플랜지(4)에서 배열시킨 기타 첵킹구성요소에 인접하여 리드(3)의 영역을 리세스형성(recessing)하는데 효과적이다.
그 결과, 이들의 구성성분을 분리시킬 필요없이 그 리드(3)를 분리, 제거 및 재차삽입(refit)시킬 수 있다.
필터삽입체의 또 다른 형태를 도 4및 도 5에 나타낸다.
이 경우, 필터삽입체의 상부영역은 환상그루브(25)로 형성시켜, 그 환상그루브는 인너 플랭크(inner flank)(26)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인상핸들(lifting-out handles)(28,29)은 그 루브(25)의 기판(base)(27)에 고정시킨다.
그 핸들(28,29)은, 탄성재와 같이 릴리브상태(relieved state)에서 이들의 핸들이 "b"의 양만큼 상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간단하게 필터삽입체(18)전체를 지지하여, 그 실린더(2)에서 특히 스위치오일과의 접촉없이 인상(lifting)할 수 있다.
그 필터삽입체(18)의 장착상태에서 그 탄성핸들(28,29)은 기밀하게 고정시킨 리드(3)에 의해 그루브(25)에 강제로 넣을 수 있어 필터삽입체(18)의 상부영역에서 더이상 돌출되지 않는다.
이때문에, 그 환상그루브(25)의 깊이 "c"가 핸들(28,29)의 두께보다 적합하게 더 크도록 선택하는것이 필요하다.
그 리드(3)를 개방할때, 핸들(28,29)은 이들의 탄성구조때문에 그 삽입체(13)의 상부영역에서 이동함으로써 스위치오일의 레벨 높이이상으로 이동하여 그립핑(gripping)이 용이하게 된다.
도 4및 도 5에서는, 2개의 인상 핸들(lifting-out handle)(28,29)을 나타낸것으로, 이들은 스프링와이어로 이루어져있어, 이들의 단부에서 스크루(30)에 의해 기판(27)에 고정시킨 아이렛(eyelets)을 구비한다.
이경우 도 4에서와 같이 돌출상태로 나타낸 핸들(28,29)을 형성시킨 도 5에서 명백하다.
따라서, 위에서와 같이 이들의 핸들은 그루브(25)와 동심형상을 가지며, 압축상태에서는 서로 방해됨이 없이 그루브(25)내에서 완전히 없어진다.
본 발명에 의해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필터삽입체를 설정시킬 수 있고 필요할 경우 이탈시킬 수 있는 탭셀렉터 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탭셀렉터 스위치(tap selector switch)의 스위칭접점용 스위치오일의 오일회로를 구비한 탭셀렉터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oil filtration unit)에 있어서,
    그 오일회로에 접촉할 수 있는 가압용기(Pressure vessel)와, 직립실린더의 상단에 구성된 원형으로 둘러싼 플랜지상에 시일링을 할 수 있게(sealingly)장착시킨 이탈시킬 수 있는 리드(lid)와 기판(base)을 가진 직립실린더와,
    오일회로의 필터오일의 가압용기내에 설치시킨 이탈시킬 수 있는 오일필터 삽입체(oil filter insert)를 구성시켜,
    그 실린더플랜지는 그 실린더의 내부에서 환상으로 형성되는 내방향 돌출플랜지부를 구비하고,
    그 필터삽입체는 그 실린더에서 필터삽입체를 현수하는 플랜지부상에 설정한 칼라(collar)를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탭셀렉터 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칼라는 단형상(stair-shaped)단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탭셀렉터 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실린더플랜지의 플랜지부를 스텝형상(step shape)단면을 가지며, 리드는 대응하는 스텝형상단면의 일부를 가짐을 특징으로하는 탭셀렉터 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실린더플랜지의 설정지점에서 실린더플랜지상에는 최소한 하나의 제어, 첵크 또는 측정장치를 설정하고,
    리드는 그 설정지점 영역에서 리세스형성을(recessing)시켜 장치를 이탈시킴이 없이 그 리드를 이탈하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탭셀렉터 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필터삽입체는 필터수단을 포위하며, 기판(base)에 의해 그 하단에서 폐쇄시키고, 중심개구에서 떨어져있는 그 상단에서 폐쇄시키는 원통형상벽으로 이루어지며, 칼라는 그 벽의 상부영역에서 설정되어 그 백에서 외측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필터삽입체의 원주의 넓은 영역에서 실린더 플랜지상에 지지함을 특징으로하는 탭셀렉터 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칼라는 수평평면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하는 탭셀렉터의 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칼라는 탄성을 가져 탄성변형을 하도록 플랜지부에 대하여 지지함을 특징으로하는 탭셀렉터 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필터삽입체는 그 상단에서, 그 리드를 가압용기의 실린더의 플랜지에서 이탈시킬때 필터삽입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실린더플랜지상에 설정시킬때 그 리드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시키는 탄성인상구성요소(resilient lifting elements)를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탭셀렉터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
KR1020000004284A 2000-01-28 2000-01-28 탭셀렉터 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 KR200100768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284A KR20010076864A (ko) 2000-01-28 2000-01-28 탭셀렉터 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284A KR20010076864A (ko) 2000-01-28 2000-01-28 탭셀렉터 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864A true KR20010076864A (ko) 2001-08-16

Family

ID=37530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284A KR20010076864A (ko) 2000-01-28 2000-01-28 탭셀렉터 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68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230A1 (ko) * 2009-12-28 2011-07-07 주식회사 혜성정밀 침전정화법과 탄소나노튜브 필터를 이용한 오일의 자동정화장치 및 그의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1410A (en) * 1979-11-29 1981-07-24 Reinhausen Maschf Scheubeck Tap changer for tapped transformer with oil filter unit
JPS58206110A (ja) * 1982-05-07 1983-12-01 マシイネンフアブリーク・ラインハウゼン・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電圧調整変圧器のタツプ切換装置のための油フイルタ
EP0481239A1 (de) * 1990-10-19 1992-04-22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Ölfilter, insbesondere für Stufenschalter von Stufentransformator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1410A (en) * 1979-11-29 1981-07-24 Reinhausen Maschf Scheubeck Tap changer for tapped transformer with oil filter unit
JPS58206110A (ja) * 1982-05-07 1983-12-01 マシイネンフアブリーク・ラインハウゼン・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電圧調整変圧器のタツプ切換装置のための油フイルタ
EP0481239A1 (de) * 1990-10-19 1992-04-22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Ölfilter, insbesondere für Stufenschalter von Stufentransformator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230A1 (ko) * 2009-12-28 2011-07-07 주식회사 혜성정밀 침전정화법과 탄소나노튜브 필터를 이용한 오일의 자동정화장치 및 그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46598C (en) Pressure relief valve with field-replaceable high corrosion-resistant components
KR101373288B1 (ko) 필터
CA2518941C (en) Pressure-relief valve
KR20010076864A (ko) 탭셀렉터 스위치의 오일여과장치
EP0318079A1 (en) Filter device and filter cartridge therefor
US6021802A (en) Device for connecting at least a discharge tube and return tube respectively to a bung connection of a liquid container
US11572875B2 (en) Unloader for a compressor and servicing thereof and compressor provided with an unloader
CN1139960C (zh) 油过滤器设备及用于这种油过滤器设备的过滤器接头
CN110630750A (zh) 一种自动排水阀
CN210800075U (zh) 一种自动排水阀
CN1809711A (zh) 卸压阀
JPH04151084A (ja) 弁装置
US3181040A (en) Oil bath solenoid
JP3206916U (ja) フィルタ装置
US7787330B1 (en) Removable protective device for a submersible liquid transmitter
CN210814330U (zh) 一种新型压缩空气过滤器
JPH1151243A (ja) バルブ用のグランドパッキンユニット
KR200314100Y1 (ko) 감압 올림 바닥용 지지대
CN212775855U (zh) 一种带有保护装置的釜底阀气缸
SU1332393A1 (ru) Герметический масл ный бак дл контакторов переключающих устройств регулировочных трансформаторов
EP0123176B1 (de) Festkontakt zur Anordnung in der Wand von Isolierzylindern von Lastwählern für Transformatoren
CN214000647U (zh) 一种压力机的驱动装置
CN117702320A (zh) 环锭细纱机一体式钢领座
CN209940291U (zh) 起重机配重组件和起重机
US5149428A (en) Water filter with extended operational peri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