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5873A -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5873A
KR20010075873A KR1020000002771A KR20000002771A KR20010075873A KR 20010075873 A KR20010075873 A KR 20010075873A KR 1020000002771 A KR1020000002771 A KR 1020000002771A KR 20000002771 A KR20000002771 A KR 20000002771A KR 20010075873 A KR20010075873 A KR 20010075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data
geographic
spatial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9677B1 (ko
Inventor
김광수
최혜옥
이기원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오길록
Priority to KR1020000002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677B1/ko
Publication of KR20010075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6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지리정보시스템을 표준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컴포넌트로 구성하여 이기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리 자료를 단일한 방식으로 접근하여 활용함으로써, 재사용 가능(Reusable)하고 상호 작동 가능(Interoperable)한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지리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지리 자료를 획득하여 획득된 지리 자료를 처리하고 지리 자료에 대한 공간 질의를 수행하기 위한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 지리 객체를 모델링하고 지리 객체 사이의 공간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지리 객체(Geometry) 컴포넌트; 및 공간 좌표 체계를 모델링하고 좌표계 간의 좌표 변환 및 투영을 처리하기 위한 공간 좌표 체계(Spatial Reference System)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지리정보처리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COMPONENT-BASED OPEN GIS SYSTEM}
본 발명은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방형 시스템과 컴포넌트 시스템의 특성을 이용하여 재사용 가능하며 상호 작동이 가능한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960년대 지리정보시스템(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이 처음 만들어진 이후에 지리 공간 자료는 특정 응용 시스템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자료 형식으로 존재해 왔으며 꾸준히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에 따른 자료 구축이 계속되고 있으므로 공간 자료에 대한 집적량이 급속도로 늘어가고 있다.
따라서, 과거에는 공간 자료를 초기에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으나, 이제는 기존에 구축되어진 엄청난 양의 분산된 공간 자료 중 목적에 맞는 자료에 대한 접근 및 효율적인 이용에 관한 문제로 그 주된 관심의 초점이 옮겨지고 있다.
그런데, 기존에 구축된 시스템들은 나름대로의 자료 형식, 변환 방법, 자료 처리 방법을 가지고 있으며, 구축된 시스템도 사용되어지는 목적에 따라 그 복잡도가 점점 증가해 왔다.
따라서, 다른 시스템에서 구축된 공간 자료의 상호 호환성에 문제가 있으며 다른 시스템에서 사용한 모듈을 이식하여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없는 폐쇄성과 복잡성으로 인해 이미 구축되어 있는 시스템간의 공간 자료 및 모듈 공유는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과거와는 다른 현재의 지리정보 처리 환경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전세계 주요 지리정보시스템 업체와 공공 기관 및 학계로 구성된 비영리 단체인 개방형 지리정보시스템 협회(OGC : Open GIS Consortium)가 1994년 창설되었으며, 이 단체에서는 이기종 시스템 간의 공간 자료 공유를 목적으로 하는 개방형 지리정보시스템(Open GIS)을 위한 소프트웨어 프레임 웍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불과 수년 전만 하더라도 컴퓨터 응용 시스템의 개발 환경과 운영 환경은 매우 단순하였으나, 정보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오늘날의 응용 시스템 개발 환경은 수많은 단위 컴포넌트들이 제공되고, 더욱 복잡한 지유아이(GUI : Graphical User Interface) 도구가 이용되며,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복잡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라 과거 단일 플랫폼에서 중앙 집중식으로 개발되고 운영되는 시스템들이 개방형 환경에서 어느 환경에서나 실행될 수 있는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응용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존재하고 있는 컴포넌트들을 수집하여 목적에 맞도록 결합하는 과정을 거쳐 손쉽게 응용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컴포넌트 형태로 개발되어 컴포넌트의 재사용성과 상호 가동성 향상에 중점을 둔 컴포넌트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또는 그 기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객체지향적(Object-Oriented)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은 개방형 소프트웨어 개발의 핵심 기술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응용 시스템의 각 부분을 최소 단위로 나누어 모듈화하고, 모듈화된 컴포넌트를 다른 응용 시스템에서 손쉽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다.
둘째, 과거의 시스템 개발에서는 이러한 모듈의 재사용이 원시 코드의 재사용에 그쳤지만 컴포넌트 시스템 엔지니어링에서는 여기서 한 걸음 나아가 실행 프로그램의 재사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 컴포넌트가 개발된다면 응용 시스템은 표준적인 컴포넌트의 집합으로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하드웨어 부문에서는 이러한 컴포넌트 기술의 개념이 상당히 진척되어 플러그&플레이(plug-and-play)라는 이름으로 일반화된지 오래지만, GIS를 포함한 소프트웨어 부문에서는 현재까지 그 이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첫째, 공통 표준의 부재로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다른 사람이 개발한 컴포넌트를 자신의 소프트웨어에 쉽게 포함할 수 없었다.
둘째, 응용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어 소프트웨어의 구조와 기능이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셋째, 컴퓨터 언어 및 관련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과거에 만들어진 모듈의 재활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넷째, 컴퓨팅 환경이 급속히 변화하여 이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기존에 구축된 지리정보시스템들 사이에는 모듈 교환이 불가능하여 필요한 응용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는 다른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기능과 동일한 모듈을 재개발해야 하는 시간적, 경제적 비효율성이 존재하고 있었다.
즉, 종래의 지리정보시스템은 독자적인 시스템으로 독립된 자료 형식과 처리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시스템들 사이의 직접적인 자료 교환이 불가능하며, 처리 모듈 교환도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지리정보시스템을 표준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컴포넌트로 구성하여 이기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리 자료를 단일한 방식으로 접근하여 활용함으로써, 재사용 가능(Reusable)하고 상호 작동 가능(Interoperable)한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료 획득 컴포넌트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료 처리 컴포넌트에 대한 일실시예 내부 구조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료 획득 컴포넌트의 일실시예 처리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료 처리 컴포넌트의 일실시예 처리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컴포넌트 200 : 맵베이스 컴포넌트
210 : 자료 처리 컴포넌트 220 : 자료 획득 컴포넌트
230 : 공간 질의 컴포넌트 300 : 지리 객체 컴포넌트
400 : 공간 좌표 체계 컴포넌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에 있어서, 지리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지리 자료를 획득하여 획득된 지리 자료를 처리하고 지리 자료에 대한 공간 질의를 수행하기 위한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 지리 객체를 모델링하고 지리 객체 사이의 공간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지리 객체(Geometry) 컴포넌트; 및 공간 좌표 체계를 모델링하고 좌표계 간의 좌표 변환 및 투영을 처리하기 위한 공간 좌표 체계(Spatial Reference System)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방형 지리정보시스템과 컴포넌트 지리정보시스템을 통합하여 지리정보시스템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기능을 컴포넌트로 구현하는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은 지리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이기종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지리 자료를 획득하는 자료 획득 컴포넌트, 지리 정보 시스템의 핵심 공통 기능을 추출하여 컴포넌트로 개발한 자료 처리 컴포넌트, 국제 표준에 맞는 지리 객체 모델을 컴포넌트로 개발한 지리 객체 컴포넌트, 국제 표준에 맞는 좌표 변환 모델을 컴포넌트로 개발한 공간 좌표 체계 컴포넌트, 지리 객체에 대한 공간 질의 처리를 수행하는 공간 질의 처리 컴포넌트로 구성된다.
본 시스템은 기존에 서로 다른 시스템에서 구축되어 서로 다른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는 지리 자료를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손쉽게 이용함으로써 지리 자료 구축 비용과 구축 시간을 줄이고,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공통적인 기능들을 처리하는 컴포넌트를 개발하여 다른 시스템에서도 별도의 처리 과정 없이 쉽게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응용 시스템을 개발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각의 도면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대표가 되는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상의 지리정보소스에 접근하여 지리 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자료 획득 컴포넌트로서 오엘이(OLE : Object Linking Embedding)/데이터베이스(DB : DataBase)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표준 인터페이스와 현재 접근 가능한 자료 제공자(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블록도이며, 도 3 은 자료 처리 컴포넌트의 내부 구조도로서 지도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지도제작부, 다중레이어 관리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이벤트 처리부로 구성되고, 도 4 는 자료 획득 컴포넌트 내부의 처리 흐름도이고, 도 5는 자료 처리 컴포넌트의 각 구성 컴포넌트의 기능 및 처리 흐름도이다.
각각의 도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Base 컴포넌트, 10)은,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200), 지리 객체 컴포넌트(300) 및 공간 좌표 체계 컴포넌트(400) 등 3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이중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200)는 자료 처리 컴포넌트(210), 자료 획득 컴포넌트(220) 및 공간 질의 컴포넌트(230)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은, 지리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이기종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지리 자료를 획득하며 획득된 지리 자료를 처리하고, 지리 자료에 대한 공간 질의를 처리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200), 지리 객체를 모델링하고 지리 객체 사이의 공간연산을 담당하는 지리 객체(Geometry) 컴포넌트(300), 공간 좌표 체계를 모델링하고 좌표계 간의 좌표 변환 및 투영을 처리하는 공간 좌표 체계(Spatial Reference System) 컴포넌트(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지리정보를 처리하게 된다.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200)는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다양한 응용 업무에 적용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핵심 공통 기능들을 추출하여 표준 인터페이스를 외부에 노출하도록 구현한 컴포넌트이다.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는 OGC에서 제정한 OLE/DB 인터페이스(221)를 이용한 자료 접근 구조를 수용하는 다양한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에 접속하여 단일한 방식으로 에스디이(SDE, 222), 세이프(Shape) 파일(223), 제우스(GEUS, 224), 엠지이(MGE, 225), 지오매니아(GeoMania, 226) 등과 같은 다양한 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서로 다른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는 지리 정보를 단일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읽고, 쓰고, 변환,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자료 획득 컴포넌트(220)와, 자료 획득 컴포넌트(220)를 통하여 획득된 지리 자료를 이미지 레이어, 벡터 레이어, 트렉킹 레이어로 분류하여 복수의 레이어를 관리하는 다중 레이어 관리부(211), 다양한 형태로 맵핑(Mapping)하는 지도 제작부(212), 시스템 동작 중 발생하는 다양한 사용자 및 시스템 이벤트(Event)를 처리하는 이벤트 처리부(213)로 구성되는 자료 처리 컴포넌트(210)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공간 질의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자료를 생성하는 공간 질의 컴포넌트(23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료 처리 컴포넌트(210), 자료 획득 컴포넌트(220), 공간 질의 컴포넌트(230), 지리 객체 컴포넌트(300)는 씨플러스플러스(C++), 비쥬얼베이직(Visual Basic), 자바(Java), 비베 스크립트(VB Script),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 등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이중(dual)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언어 독립성을 이룩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리 객체 컴포넌트(300), 공간 좌표 체계 컴포넌트(400)는 국제 표준화 기구인 개방형 지리 정보 시스템 협회(OGC)에서 제정한 표준 명세서를 수용하고, 사용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필요한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세계 표준에 일치하도록 컴포넌트를 구현하였으므로 컴포넌트의 재사용성과 상호 가동성 및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자료 처리 컴포넌트(210), 자료 획득 컴포넌트(220), 공간 질의 컴포넌트(230)는 대부분의 지리정보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실무에 적용 가능한 핵심 공통 기능을 추출하여 컴포넌트로 구현한 것으로 컴포넌트의 재사용성과 상호 가동성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각 기능을 담당하는 컴포넌트를 추가하는 방법으로 시스템의 확장이 용이한 특징을 가진다.
또한, 기존의 지리정보처리 시스템에서는 각 기능들을 모듈 단위로 구분하여 구성하였으나, 각 모듈은 독립된 기능만을 가지고 있을 뿐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지 않으므로 전체 시스템에 통합되어야만 고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단위 컴포넌트들은 개개의 고유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독립적으로 수행 가능한 특징이 있으므로 각 단위 컴포넌트는 전체 시스템으로 통합되었을 때에도 동작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독립적으로 사용될 때에도 고유한 기능을 가지고 동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는 지리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이기종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지리 자료를 획득하는 자료 획득 컴포넌트(220), 지리 정보 시스템의 공통 기능을 추출하여 컴포넌트로 개발한 자료 처리 컴포넌트(210), 지리 객체에 대한 공간 질의 처리를 수행하는 공간 질의 처리 컴포넌트(230)로 구성된다.
상기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 지리 객체 컴포넌트, 공간 좌표 체계 컴포넌트, 자료 획득 컴포넌트, 자료 처리 컴포넌트, 공간 질의 컴포넌트는 각 컴포넌트가 고유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통합된 시스템에서 뿐만 아니라 개개의 독립된 컴포넌트로 존재할 때에도 동작이 가능하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료 획득 컴포넌트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2 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자료 제공자가 OLE/DB 인터페이스(221)를 통해 자료 획득 컴포넌트(220)에 접근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자료 획득 컴포넌트(220)는 도 2 에 표시된 5개의 데이터베이스 외에도 OLE/DB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든 자료원에 접근하여 지리 자료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 자료원에는 데이터베이스 외에 모든 종류의 파일 즉, 전자 메일, 일반 데이터 파일, 스프레드 쉬트(Spread Sheet), 오디비씨(ODBC : Open Data Base Connectivit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존의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상기 5개의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각 데이터베이스가 사용하고 있는 고유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동일한 기능을 담당하는 서로 다른 5개의 모듈을 중복으로 작성해야 하는 비효율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원 가능한 데이터베이스가 증가할수록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모듈을 추가해야만 했다. 그러나, 본 컴포넌트 시스템의 자료 획득 컴포넌트(220)는 상기 5개의 데이터베이스 뿐만 아니라 추가 지원되는 데이터베이스 모두를 단일화된 방식으로 접근하여 자료를 획득함으로써 자료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무관하게 동작하는 특징이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료 처리 컴포넌트에 대한 일실시예 내부 구조도이다.
자료 처리 컴포넌트(210)는, 지도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지도 제작부(211), 다중 레이어를 관리하기 위한 다중 레이어 관리부(212)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이벤트 처리부(2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도 제작부(211)는 공간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분류도, 특성도, 분포도 및 표지도 등으로 구성되며, 다중 레이어 관리부(212)는 정적인 공간 데이터, 동적인 공간 데이터, 영상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 및 처리를 수행하고, 이벤트 처리부(213)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 조건에 대한 응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이벤트 발생 및 처리를 관리한다.
다음의 도 4 와 도 5 는 상기 자료 획득 컴포넌트와 자료 처리 컴포넌트의내부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료 획득 컴포넌트의 일실시예 처리 흐름도이다.
도 4 는 상기 자료 획득 컴포넌트의 일실시예 내부 처리 흐름도로써,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2210),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소스에 접속을 시도하여(2220), 접속에 성공하였는지 실패하였는지를 판단한다(2230). 판단 결과, 접속에 실패하였을 때에는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2240), 데이터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2210)부터 반복 수행한다. 판단 결과, 접속에 성공하였을 때에는 공간 데이터와 비공간 속성 데이터를 획득하여(2250),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2260).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료 처리 컴포넌트의 일실시예 처리 설명도이다.
도 5 는 상기 자료 처리 컴포넌트(210)의 내부 처리 설명도로써, 자료 처리 컴포넌트(210)를 구성하는 이벤트 처리부(213), 지도 제작부(211), 다중 레이어 관리부(212)는 고유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먼저, 이벤트 처리부(213)에서는 사용자 또는 시스템의 상태 변화에 따른 이벤트를 발생시키고(2131), 발생한 이벤트를 처리하여(2132), 처리된 결과를 화면에 표현한다(2133).
지도 제작부(211)는 현재 활성화 되어있는 레이어의 정보를 읽어(2111), 다양한 주제도를 생성하는 지도 맵핑(2112) 기능과 데이터의 삽입, 삭제, 추가 등의 편집(2113) 기능을 담당한다. 지도 맵핑 결과나 편집 결과를 화면에 표현한다(2133).
또한, 다중 레이어 관리부(212)는 입력된 레이어를 레이어 분류기(2121)에서 특성별로 이미지 레이어(2122), 트렉킹 레이어(2123), 벡터 레이어(2124)로 분류한다. 분류된 레이어가 트렉킹 레이어(2123)일 때에는 지리 객체 컴포넌트(300)와 연결시키고, 벡터 레이어(2124)인 경우에는 지리 객체 컴포넌트(300), 공간 좌표 체계 컴포넌트(400), 공간 질의 컴포넌트(230)와 연결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대부분의 지리정보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응용 업무에 적용 가능한 공통 기능을 추출하여 컴포넌트로 구현하고 표준화된 공통 인터페이스를 외부에 제공함으로써 프로그래밍 언어 독립성과 상호 작동성을 향상시켜 다른 새로운 시스템에서도 시스템의 목적에 맞게 손쉽게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개발 시간과 비용을 단축할 수 있으며, 유사 업무 활용시스템을 특정 소프트웨어 위주로 각각 개발하여 서로 관련있는 시스템과 호환성을 확보할 수 없었던 지금까지의 지리정보 시스템 개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시스템에서 저장한 서로 다른 형태의 지리 자료를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근하여 자료를 획득함으로써 과거에 응용 분야에 따라 별도로 제작되어진 방대한양의 지리 자료를 손쉽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자료 구축 비용에 소요되는 재정적, 시간적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는 일반인들 뿐만 아니라 중복성을 회피하고 상호 호환성을 유지해야 하는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는 지방 자치 단체 등의 업무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에 있어서,
    지리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지리 자료를 획득하여 획득된 지리 자료를 처리하고 지리 자료에 대한 공간 질의를 수행하기 위한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
    지리 객체를 모델링하고 지리 객체 사이의 공간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지리 객체(Geometry) 컴포넌트; 및
    공간 좌표 체계를 모델링하고 좌표계 간의 좌표 변환 및 투영을 처리하기 위한 공간 좌표 체계(Spatial Reference System) 컴포넌트
    를 포함하는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맵베이스 컴포넌트는,
    지리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이기종 데이터베이스 접근하여 지리 자료를 획득하기 위한 자료 획득 컴포넌트;
    상기 자료 획득 컴포넌트를 통해 획득한 지리 자료에 대한 레이어 처리, 지도 맵핑, 데이터 편집, 사용자 또는 시스템의 상태에 따른 이벤트 처리 등을 수행하기 위한 자료 처리 컴포넌트;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공간 질의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자료를 생성하기 위한 공간 질의 컴포넌트
    를 포함하는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 획득 컴포넌트는,
    오엘이(OLE : Object Linking Embedding)/데이터베이스(DB : DataBase) 표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를 입력부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형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지리 자료에 대해 일관된 방식으로 접근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 처리 컴포넌트는,
    상기 자료 획득 컴포넌트를 통하여 획득된 지리 자료를 이미지 레이어, 벡터 레이어, 트렉킹 레이어로 분류하여 복수의 레이어를 관리하기 위한 다중 레이어 관리수단;
    읽은 레이어 정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지도 맵핑(Mapping)을 수행하기 위한 지도 제작수단; 및
    시스템 동작 중 발생하는 다양한 사용자 및 시스템 이벤트(Event)를 처리하기 위한 이벤트 처리수단
    를 포함하는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레이어 관리수단은,
    입력된 레이어를 특성별로 분류하여 정적인 공간 데이터, 동적인 공간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의 특성에 맞는 관리 및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제작수단은,
    공간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분류도, 특성도, 분포도 및 표지도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처리수단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 조건에 대한 응답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이벤트 발생 및 처리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는,
    상기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컴포넌트가 고유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통합된 시스템에서 뿐만아니라 독립된 컴포넌트로 존재할 때에도 동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KR1020000002771A 2000-01-21 2000-01-21 컴포넌트 기반의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장치 KR100349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771A KR100349677B1 (ko) 2000-01-21 2000-01-21 컴포넌트 기반의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771A KR100349677B1 (ko) 2000-01-21 2000-01-21 컴포넌트 기반의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873A true KR20010075873A (ko) 2001-08-11
KR100349677B1 KR100349677B1 (ko) 2002-08-23

Family

ID=1964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771A KR100349677B1 (ko) 2000-01-21 2000-01-21 컴포넌트 기반의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6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038B1 (ko) * 2001-09-28 2004-06-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리파지토리를 이용한 컴포넌트 정보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64032B1 (ko) * 2002-04-22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리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466215B1 (ko) * 2002-02-19 2005-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웹상에서의 호환성 있는 지리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521728B1 (ko) * 2002-07-13 2005-1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디오 지리 정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7736B2 (ja) * 1993-04-28 2002-03-25 富士通株式会社 地理情報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またがり要素の管理方式
JPH09198397A (ja) * 1996-01-16 1997-07-31 Oki Electric Ind Co Ltd 地理情報の検索獲得方法
KR100455431B1 (ko) * 1998-02-24 2004-12-30 엘지산전 주식회사 다중 환경을 지원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기록/조회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038B1 (ko) * 2001-09-28 2004-06-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리파지토리를 이용한 컴포넌트 정보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66215B1 (ko) * 2002-02-19 2005-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웹상에서의 호환성 있는 지리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464032B1 (ko) * 2002-04-22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리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521728B1 (ko) * 2002-07-13 2005-1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디오 지리 정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9677B1 (ko) 200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7409A (en) Integrating relational databases in an object oriented environment
Fonseca et al. Ontology-drive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US5729739A (en) Persistent object mapping system and method with abstract schema mapper
US7047518B2 (en) System for software application development and modeling
US6944514B1 (en) Innov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odel
CN101493825B (zh) 一种gis中间件配置管理方法
US20140172827A1 (en) In-memory, columnar database multidimensional analytical view integration
CN101196926A (zh) 一种数据库访问平台及其访问方法
JP2002544589A (ja) ビジネスオブジェクトインタフェースをビジュアルにカスタマイズ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A21718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preting exceptions in a distributed object system
CN106469223B (zh) 一种兼容ArcGIS的空间及属性数据的统一控制方法和系统
CN113282697A (zh) 基于Dojo实现多平台异构兼容的GIS系统及其设计、部署方法
KR101552914B1 (ko) 웹 서버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장치와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웹 어플리케이션 처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N102103494A (zh) 一种软件资源更改的方法和装置
KR100349677B1 (ko) 컴포넌트 기반의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장치
Schek et al. From extensible databases to interoperability between multiple databases and GIS applications
CN110347878B (zh) 一种规则引擎驱动的数据融合方法
US8788513B2 (en) Computer method and system providing access to data of a target system
US7574329B1 (en) Object model for decision and issue tracking
US20070220436A1 (en) Data templates in user interface elements
Lee et al. Geosheet: A distributed visualization tool for geometric algorithms
Anquetil et al. Modular Moose: A new generation software reverse engineering environment
WO2001008007A9 (en) Method and system of automated generation of program code from an object oriented model
Bédard et al. Spatial data modeling: the Modul-R formalism and CASE technology
KR20020054238A (ko) 분산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