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4428B1 - 분산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4428B1
KR100434428B1 KR10-2000-0083272A KR20000083272A KR100434428B1 KR 100434428 B1 KR100434428 B1 KR 100434428B1 KR 20000083272 A KR20000083272 A KR 20000083272A KR 100434428 B1 KR100434428 B1 KR 100434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geographic information
data source
function
geograph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3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4238A (ko
Inventor
김광수
최혜옥
이종훈
김도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0-0083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428B1/ko
Publication of KR20020054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4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428B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자료의 공유를 위한 개방형 지리정보체계를 수용하고, 이러한 기능을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하는 컴포넌트로 구성하여 지리정보 데이터의 구조나 위치에 종속되지 않고 지리정보시스템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상호 작동 가능한 분산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이기종 지리정보시스템을 통합 관리하거나 다른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보유하고 있는 지리자료를 획득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래밍수단; 데이터 소스에 접속하여 각 데이터 소스에 저장된 독특한 형식의 데이터를 표준 형식으로 변환하여 클라이언트에 제공하기 위한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 수단; 상기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 수단으로부터 지리정보를 추출하여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에 노출하도록 구현하기 위한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 수단; 상기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 수단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제1인터페이싱 수단; 및 상기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 수단과 상기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 수단을 인터페이싱 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싱 수단을 포함함.
지리정보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분산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및 그 방법{Component System for Distribut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of it}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표준 인터페이스를 갖는 컴포넌트로 구성하여 이기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리 자료를 단일한 방법으로 접근하여 활용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Reusable)하고 상호 작동이 가능(Interoperable)하도록 한 분산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국내 지방자치단체 지리정보시스템(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구축 사업은 1995년 성남시, 광주시 등을 선두로 시작되어 서울시, 부산시, 제주도, 강원도, 대전시 등이 참여하고 있다. 또한, 각 개발되는 업무는 상수도, 하수도, 도로, 토지, 도시계획 등 각 지방자치단체의 고유한 특성에 따라 상이한 영역에서 서로 다른 지리정보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나 정보 시스템들을 구축하고 있지만, 이로 인하여 통합 관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시급 이상의 78개 지방자치단체가 통합 관리를 고려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지리정보시스템을 도입할 경우 응용시스템 개발에 한해 약 4,092억원 이상의 비용이 소요되므로, 기존에 개발된 응용 시스템의 공유 문제는 새롭게 부각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도1은 일반적인 지리정보시스템의 구성예시도로서, 현재 개발되어 있는 지리정보시스템들 사이의 공유 불가능을 보여주고 있다.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리정보시스템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부문에 응용 시스템의 공유가 불가능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통 표준의 부재로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다른 사람이 개발한 컴포넌트를 자신의 소프트웨어에 쉽게 포함할 수 없다.
둘째, 응용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어 소프트웨어의 구조와 기능이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셋째, 컴퓨터 언어 및 관련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과거에 만들어진 모듈의 재활용에는 한계가 있다.
넷째, 컴퓨팅 환경이 급속히 변화하여 이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기존에 구축된 지리정보시스템들 사이에는 모듈 교환이 불가능하고, 필요한 응용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른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기능과 동일한 모듈을 재개발해야 하는 시간적, 경제적 비효율성이 존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이 나왔지만 여전히 문제점들은 있었다.
첫째, 현재 보편적인 이기종 시스템 사이의 통합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는 공통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 포맷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상수도 관리 시스템에서 상수 건설을 위하여 하수도망과 통신망을 통합하여 관리 및 분석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하수도 관리 시스템과 통신망 관리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각각의 데이터를 공통 형식으로 변환하여 상수도 관리 시스템으로 읽어 들이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데이터의 중복성과 데이터 사이의 일치성을 저해하고 있다. 즉, 상수도 관리 시스템은 하수도망과 통신망을 복사하여 가지고 있으므로 데이터의 용량이 크게 증가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만일 하수도망이나 통신망을 변경하게 되면 상수도 관리시스템에서 분석한 결과를 믿을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도2는 일반적인 지리정보시스템에서 공통 데이터 포맷을 이용한 자료 교환을 통한 통합 관리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로서, 공통 포맷을 이용한 자료 교환을 통하여 통합 관리하는 방안을 나타낸다.둘째, 각 업무 시스템을 구축하는 지리정보시스템 소프트웨어를 통일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하여야 하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낭비된다. 뿐만 아니라, 통일된 소프트웨어, 즉 업체를 선정하였을 때에 향후 독과점으로 인해 유지 보수 비용의 증가가 예상되며, 기술적인 종속으로 인하여 지리정보시스템 기술 향상이 저해되며, 선정되지 못한 업체와의 마찰이 생긴다. 그리고, 각 업무 시스템 사이의 통합을 위한 추가되는 비용도 발생하게 된다.셋째,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각 업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모든 데이터를 중앙의 데이터 서버에 저장하고 각 업무 시스템에서 이를 사용하는 구조이다. 중앙의 데이터 서버에는 각종 공간데이터 및 관련되는 속성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며, 각 업무를 담당하는 시스템은 중앙의 데이터 서버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법은 자료가 중앙에서 저장, 관리되기 때문에 자료의 유지 관리 및 일치성이 우수하고 안정적인 장점이 있지만, 모든 업무 시스템이 중앙의 데이터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과다한 데이터 통신으로 인한 통신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중앙시스템의 작업량 과다로 과부하가 발생하여 전체 시스템의 사용이 불가능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업무 시스템을 구축하는 지리정보시스템 소프트웨어를 통일하기 위하여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자료의 공유를 위한 개방형 지리정보체계를 수용하고, 이러한 기능을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하는 컴포넌트로 구성하여 지리정보 데이터의 구조나 위치에 종속되지 않고 지리정보시스템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상호 작동 가능한 분산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지리정보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2는 일반적인 지리정보시스템에서 공통 데이터 포맷을 이용한 자료 교환을 통한 통합 관리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시스템의 일실시예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지리정보 시스템의 일실시예 설명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컴포넌트를 활용한 분산시스템의 자료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 응용프로그램 320 : OLE/COM 인터페이스
330 :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 340 : 확장 OLE/DB 인터페이스
350 :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지리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에 있어서, 이기종 지리정보시스템을 통합 관리하거나 다른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보유하고 있는 지리자료를 획득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래밍수단; 데이터 소스에 접속하여 각 데이터 소스에 저장된 독특한 형식의 데이터를 표준 형식으로 변환하여 클라이언트에 제공하기 위한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 수단; 상기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 수단으로부터 지리정보를 추출하여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에 노출하도록 구현하기 위한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 수단; 상기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 수단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제1인터페이싱 수단; 및 상기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 수단과 상기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 수단을 인터페이싱 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 소스에 접속하는 제1단계; 상기 데이터 소스로의 접속이 성공했는지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 접속이 성공하지 못하였으면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제1단계의 데이터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제3단계; 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 접속이 성공하면 공간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를 국제표준인 WKB(Well-Known Binary) 형태로 획득하는 제4단계; 상기 획득된 공간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를 지오메트리(Geometry)로 변환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지오메트리(Geometry)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화면으로 출력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방법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한편, 본 발명은,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에, 데이터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 소스에 접속하는 제1기능; 상기 데이터 소스로의 접속이 성공했는지 판단하는 제2기능; 상기 제2기능의 판단 결과, 접속이 성공하지 못하였으면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제1기능의 데이터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제3기능; 상기 제2기능의 판단 결과, 접속이 성공하면 공간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를 국제표준인 WKB(Well-Known Binary) 형태로 획득하는 제4기능; 상기 획득된 공간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를 지오메트리(Geometry)로 변환하는 제5기능; 및 상기 지오메트리(Geometry)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화면으로 출력하는 제6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은, 이기종 지리정보시스템을 통합 관리하거나 다른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보유하고 있는 지리자료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310), 컴포넌트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OLE/COM(Object Linking and Embedding/Component Object Model) 인터페이스(320), 지리정보 시스템에서 다양한 응용 업무에 적용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핵심 공통 기능들을 추출하여 표준 인터페이스를 외부에 노출하도록 구현한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330),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의 OLE/DB 인터페이스에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추가한 확장 OLE/DB(Object Linking and Embedding/DataBase) 인터페이스(340), 데이터 소스에 접속하여 각 데이터 소스에 저장된 독특한 형식의 데이터를 WKB(Well-Known Binary)형태의 표준 형식으로 변환하여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Data Provider Component)(350)를 포함한다.
분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응용프로그램(310)은 이기종 지리정보시스템을 통합 관리하는 목적이나 다른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보유하고 있는 지리자료를 획득하는데 이용된다. 대표적인 예로는, 지방자치단체가 있다. 즉, 상수도 업무, 하수도 업무, 도로 업무, 도시 계획 업무 등이 이기종 지리정보시스템 응용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되었을 때, 또는 통합된 업무를 관리하고자 할 때에 본 발명의 방법과 시스템을 활용하면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설물 관리에서도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현재 국내 통신 사업자인 한국통신, 하나로통신, 데이콤은 각각 "제우스(GEUS)", "스모올월드(SmallWorld)", "맵인포(MapInfo"를 이용하여 통신 시설물을 관리하고 있으므로, 정보통신부에서는 상기 세 업체에서 관리하는 통신 시설물을 통합 관리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세 통신 업체의 시스템은 그대로 사용하면서 통합 관리가 가능하다.
OLE/COM 인터페이스(320)는 컴포넌트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기본적인 방법으로서, 하나의 인터페이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메서드(method, 멤버함수)를 정의한다. 즉, 인터페이스는 컴포넌트와 이것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계약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방법으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의 컴(COM : Component Object Model) 규약을 이용하였다. 이 규약은 모든 윈도즈(Windows) 환경을 지원하고 있으며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전혀 들지 않는 매우 경제적인 방법이다.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330)는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다양한 응용 업무에 적용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핵심 공통 기능들을 추출하여 표준 인터페이스를 외부에 노출하도록 구현한 컴포넌트이다.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지리 정보 표현 기능과 다양한 지리 자료를 포함하고 있는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에 접속하여 지리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확장 OLE/DB 인터페이스(340)는 세계 민간 표준화 기구인 "OpenGIS Consortium"에서 정의한 것으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OLE/DB 인터페이스에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추가한 것이다. OLE/DB는 데이터 소스에 관계없이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에 중점을 둔 것으로, OLE/DB 인터페이스는 이러한 기능을 외부에 노출하기 위한 OLE/DB 컴포넌트와 이것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사이의 약속이다. 여기서, 데이터 소스란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을 말하며 데이터베이스, 스프레드시트(Spread Sheet)(예 : 엑셀(Excel)), 전자메일, ISAM(Indexed Sequential Access Method) 등이 해당된다.그리고,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350)는 데이터 소스에 접속하여 각 데이터 소스에 저장된 독특한 형식의 데이터를 WKB(Well-Known Binary) 형태의 표준 형식으로 변환하여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하나의 데이터 소스에 하나의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가 구현되어야 한다.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는 데이터 소스(Data Source) 객체, 세션(Session) 객체, 커멘드(Command) 객체, 로우셋(Rowset) 객체로 구성된다.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시스템의 일실시예시도로서, 분산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상의 이기종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생성한 지리정보소스에 접근하여 지리자료를 획득하여 통합 지리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분산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 시스템은, 개별 지리 정보 시스템(420, 430, 440)을 통합 관리하는 통합 지리정보 시스템(410), 상기 통합 지리정보 시스템(410)과 상기 개별 지리정보 시스템(420, 430, 440)을 연결하는 네트워크(클라이언트/서버환경)(420), 그리고 지리자료를 포함하고 있는 개별 지리정보 시스템(420, 430, 440)을 포함한다.
상기 개별 지리정보 시스템(420, 430, 440)으로 "지이오매니아(GEOMania)"를 이용하여 개발한 하수도 관리 시스템(430), "제우스(GEUS)"를 사용하여 개발한 상수도 관리 시스템(440), "에스디이(SDE)"를 활용하여 구축한 도로 관리 시스템(450) 등이 있다.
상기 통합 지리정보 시스템인 도시계획시스템(410)은 서로 다른 지리정보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축된 시스템들을 통합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도시 계획 시스템의 내부 구조는 도3 과 동일하다.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지리정보 시스템의 일실시예 설명도로서,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를 활용한 이기종 지리정보시스템 사이의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 지리자료의 획득과정을 나타낸다.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도 관리 시스템(511)과 상수도 관리 시스템(521)은 각각 도3 의 응용프로그램(310), OLE/COM 인터페이스(320), 맵베이스(MapBase)컴포넌트(330), 확장 OLE/DB 인터페이스(340),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350)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512, 522)는 상기 도3 의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350)와 동일하며, 각 지리 자료 데이터베이스(513, 523)는 서로 다른 지리정보시스템 소프트웨어인 "지이오매니아(GEOMania)"와 "제우스(GEUS)"에서 제작한 것이다.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컴포넌트를 활용한 분산시스템의 자료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데이터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601). 여기서, 상기 정보는 현재 사용중인 컴퓨터의 저장소(Registry)에 등록되어 있는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에 관한 정보로서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상기 저장소(Registry)를 검색하여 찾을 수 있다.다음 단계로 데이터 소스에 접속을 시도한다(602). 여기서, 접속시 필요한 정보로는 자료 제공자 이름, 데이터베이스 이름, 사용자, 비밀 번호 등이며 컴포넌트화되어 있는 자료 제공자(610)를 통하여 데이터 소스(611)에 접속한다. 데이터 소스(611)는 원격 컴퓨터에 위치하던지 또는 사용중인 컴퓨터에 위치하던지 구별하지 않고 단일한 방법으로 자료를 읽어 오게 되므로 분산 환경을 지원하게 된다.일단 접속을 시도한 후(602)에는 접속에 성공하였는지 실패하였는지를 판단한다(603). 상기 판단 결과, 접속에 실패하였을 때에는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 후(608) 데이터 소스에 대한 정보를 다시 획득하는 과정(601)으로 진행한다.상기 판단 결과, 접속에 성공하였을 때에는 공간 데이터와 비공간 속성 데이터를 획득한다(604). 특히, 데이터 소스로부터 읽어오는 공간 데이터는 국제 표준인 WKB(Well-Known Binary)형태의 지오메트리(Geometry)이다. 읽혀진 WKB는 공간 연산과 공간 검색들을 자유롭게 수행하기 위하여 지오메트리(Geometry)로 변환되어(605) 맵베이스(MapBase)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며(606), 저장된 자료는 응용 프로그램의 특성과 요구에 맞게 화면으로 출력된다(607).자료 제공자로부터 얻어오는 WKB 지오메트리(Geometry)와 맵베이스(MapBase) 내부 자료로 사용되는 지오메트리(Geometry)는 서로 다른 것이며, 국제 표준화 기구 중 ISC/IC 211분과와 GIS 분야의 표준화 기구인 "OpenGIS"에서 정의하였다.따라서, 본 발명의 분산 시스템은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를 통하여 사용중인 컴퓨터 뿐만 아니라, 원격 컴퓨터에 위치하고 있는 지리 자료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읽어 올 수 있고, 상기 읽어온 데이터를 국제 표준에 맞도록 가공하여 사용함으로써 이기종 GI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형태로 제작, 사용, 저장한 지리자료를 통일된 형태로 처리함으로써 이기종 시스템 사이의 상호 호환성(Interoperability)를 제공하고 있다.또한, 맵베이스(MapBase)은 다양한 지도 제작 기능, 다중 레이어 관리 기능, 검색 기능, 이벤트 처리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응용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 또는 사용 업무에 적합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는 일반인들 뿐만 아니라 이기종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였으나 통합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일반 기업체와 지방 자치 단체, 정부 부처의 업무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분산 시스템은 지리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이기종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지리 자료를 획득하여 표준 형식인 WKB(Well Known Binary) 형태로 받아 지오메트리(Geometry)로 변환하여 사용함으로써 특정한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GIS S/W에 구애되지 않고 이기종 지리정보시스템에 실시간으로 접근하여 지리 자료를 획득한다. 그러므로, 자료의 중복이 발생하지 않으며 자료들 사이의 일치성이 계속 유지된다.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개발된 시스템은 이기종 지리정보시스템을 마치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처럼 자유롭게 접근하여 자료를 읽어올 수 있으므로 통합 시스템과 통합 분석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구축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작업도 계속 진행할 수 있다.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지리정보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통합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개발시간과 비용을 단축할 수 있으며, 각각이 컴포넌트로 구현되어 있으므로 표준화된 공통 인터페이스를 외부에 제공함으로써 프로그래밍 언어 독립성과 상호 작동성을 향상시켜 다른 새로운 시스템에서도 시스템의 목적에 맞게 손쉽게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시스템에서 저장한 서로 다른 형태의 지리 자료를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근하여 자료를 획득함으로써 과거에 응용 분야에 따라 별도로 제작되어진 방대한 양의 지리 자료를 손쉽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자료 구축에 소요되는 재정적, 시간적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지리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에 있어서,
    이기종 지리정보시스템을 통합 관리하거나 다른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보유하고 있는 지리자료를 획득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래밍수단;
    데이터 소스에 접속하여 각 데이터 소스에 저장된 독특한 형식의 데이터를 표준 형식으로 변환하여 클라이언트에 제공하기 위한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 수단;
    상기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 수단으로부터 지리정보를 추출하여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에 노출하도록 구현하기 위한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 수단;
    상기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 수단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제1인터페이싱 수단; 및
    상기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 수단과 상기 맵베이스(MapBase) 컴포넌트 수단을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싱 수단
    을 포함하는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 제공자 컴포넌트 수단은,
    데이터 소스에 접속하여 각 데이터 소스에 저장된 독특한 형식의 데이터를 WKB(Well-Known Binary)형태의 표준 형식으로 변환하여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페이싱 수단은,
    OLE/DB(Object Linking and Embedding/DataBase) 인터페이스에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추가한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4.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데이터 처리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 소스에 접속하는 제1단계;
    상기 데이터 소스로의 접속이 성공했는지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 접속이 성공하지 못하였으면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제1단계의 데이터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제3단계;
    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 접속이 성공하면 공간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를 국제표준인 WKB(Well-Known Binary) 형태로 획득하는 제4단계;
    상기 획득된 공간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를 지오메트리(Geometry)로 변환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지오메트리(Geometry)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화면으로 출력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소스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스프레드시트(Spread Sheet), 전자메일, ISAM(Indexed Sequential Access Method)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6.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에,
    데이터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 소스에 접속하는 제1기능;
    상기 데이터 소스로의 접속이 성공했는지 판단하는 제2기능;
    상기 제2기능의 판단 결과, 접속이 성공하지 못하였으면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제1기능의 데이터 소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제3기능;
    상기 제2기능의 판단 결과, 접속이 성공하면 공간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를 국제표준인 WKB(Well-Known Binary) 형태로 획득하는 제4기능;
    상기 획득된 공간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를 지오메트리(Geometry)로 변환하는 제5기능; 및
    상기 지오메트리(Geometry)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화면으로 출력하는 제6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83272A 2000-12-27 2000-12-27 분산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34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272A KR100434428B1 (ko) 2000-12-27 2000-12-27 분산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272A KR100434428B1 (ko) 2000-12-27 2000-12-27 분산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238A KR20020054238A (ko) 2002-07-06
KR100434428B1 true KR100434428B1 (ko) 2004-06-07

Family

ID=2768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3272A KR100434428B1 (ko) 2000-12-27 2000-12-27 분산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4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775B1 (ko) * 2002-03-22 2004-11-10 한국통신정보기술 주식회사 분산이기종간의 지리정보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EP2494465A4 (en) * 2009-10-28 2014-03-05 Cpa Software Ltd MODULAR INTERFACE FOR DATA BANK TRANSFORMATION
CN106469223B (zh) * 2016-09-23 2018-07-03 交通运输部规划研究院 一种兼容ArcGIS的空间及属性数据的统一控制方法和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257A (ko) * 1997-03-03 1998-11-05 이준 KXF 파일을 아크인포(Arc/Info) 중간 파일로 변환시키는 방법
KR19980072391A (ko) * 1997-03-05 1998-11-05 이준 아크인포(Arc/Info) 중간 파일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방법
JPH10312452A (ja) * 1997-05-09 1998-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地理情報提供システムと地理情報記述方法
KR20000017948A (ko) * 1999-12-30 2000-04-06 김성룡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
KR20000061300A (ko) * 1999-03-25 2000-10-16 정선종 칼스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257A (ko) * 1997-03-03 1998-11-05 이준 KXF 파일을 아크인포(Arc/Info) 중간 파일로 변환시키는 방법
KR19980072391A (ko) * 1997-03-05 1998-11-05 이준 아크인포(Arc/Info) 중간 파일을 KXF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방법
JPH10312452A (ja) * 1997-05-09 1998-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地理情報提供システムと地理情報記述方法
KR20000061300A (ko) * 1999-03-25 2000-10-16 정선종 칼스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000017948A (ko) * 1999-12-30 2000-04-06 김성룡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238A (ko) 200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onseca et al. Ontology-drive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US57245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preting exceptions in a distributed object system
CN105740411B (zh) 一种基于SOA和WebService的数据迁移方法
US5251314A (en) System for converting from one document type to a plurality of document types allowing accurate reversal therefrom using tables containing indications regarding non-transformable elements
US7735115B2 (en) System which enforces policy for virtual private organization and method thereof
KR102639897B1 (ko) 데이터 아키텍쳐 관리 시스템
KR100434428B1 (ko) 분산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2798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venue and asset management based on micro-service architecture
CN102193947B (zh) 数据访问处理方法及系统
KR100353288B1 (ko)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
KR100349677B1 (ko) 컴포넌트 기반의 개방형 지리정보처리 장치
US7010791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multiple type hierarchies
CN111680276A (zh) 一种多维管控数据权限的管理方法及系统
Chen et al. Designing a GIS-based CSCW system for development control with an event-driven approach
Butler et al. Architectural design of a common operating environment
Van Oosterom et al. Geo-ICT technology push vs. Cadastral market pull
Zhang Research and design of geospatial metadata deployment prototype system based on php framework
Bank Importance of open spatial data infrastructure for data sharing
Drew et al. GeoChange: an experiment in wide-area database services for geographic information exchange
Muro-Medrano et al. Web catalog services of geographic information, an OpenGIS based approach in benefit of Interoperability
CN117971998A (zh) 地理信息的匹配方法、系统、设备和介质
Cameron et al. The internet marketplace template: An architecture template for inter-enterprise information systems
Schmitt et al. Integration of the MIP Command and Control Information Exchange Data Model into National Systems
CN117112531A (zh) 数据服务化方法及设备
Cioffi et al. An Agent-based Platform for Federated Information Systems: Some Design Iss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