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948A -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 - Google Patents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948A
KR20000017948A KR1019990066754A KR19990066754A KR20000017948A KR 20000017948 A KR20000017948 A KR 20000017948A KR 1019990066754 A KR1019990066754 A KR 1019990066754A KR 19990066754 A KR19990066754 A KR 19990066754A KR 20000017948 A KR20000017948 A KR 20000017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spatial information
information distribution
com
spa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6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3288B1 (ko
Inventor
김성룡
안병익
박주훈
박상미
오병우
Original Assignee
김성룡
안병익
오병우
박주훈
박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룡, 안병익, 오병우, 박주훈, 박상미 filed Critical 김성룡
Priority to KR1019990066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3288B1/ko
Publication of KR20000017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2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된 환경에서의 공간 정보 공유와 함께 통합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발 응용 시스템의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분산 환경에서 이기종 플랫폼간의 호환성과 상호 운용성을 지원하기에 적합한 개방형 GIS의 CORBA 구현 명세를 기반하여 컴포넌트화 된, 공간 정보와 서비스를 공유하여 유통시킬 수 있는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려고 하는 공간정보 및 서비스가 어느 곳에 존재하는 누가 제공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갖는 공간정보유통서버; 및 상기 COM기반의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응용 컴포넌트, 핵심 공통 컴포넌트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가 제공하는 공간정보와 서비스를 분산환경에서 플랫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CORBA기반의 인터페이스와 매핑을 통해 데이터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정보유통서버와 상기 COM기반의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응용 컴포넌트, 핵심 공통 컴포넌트는 분산환경에 의해 연동되며,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공간정보유통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COM기반의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응용 컴포넌트, 핵심 공통 컴포넌트에서 공간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Spatial data clearing system based on OpenGIS}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방형 지리정보시스템기반의 공간정보 유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하드웨어, DBMS 및 GIS와 같은 소프트웨어의 생명 주기가 짧아지고 있다. 따라서 GIS 엔진이나 공간 DBMS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공간정보가 구축되어야 하나, 현실적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공간 정보 수집에 많은 중복 투자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최근 소프트웨어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운영환경에 독립적이고 기존 소프트웨어의 한계를 넘어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컴포넌트 형태로 개발함으로써 재사용성 및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의 효율성을 추구하고 있다.
국가지리정보체계(NSDI :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구축 사업으로 국내 공간 정보의 양이 계속 증대하면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으며, 복잡한 기능을 요구하는 소프트웨어보다는 손쉬운 공간정보 서비스를 원하는 뷰어(Viewer) 시장의 잠재력이 증대하고 있다. 지형도, 주제도, 지적도 등의 공간 정보를 이용한 원격 민원 서비스 및 행정 서비스의 제공을 요구하는가 하면, 디지털 지도 생산자에 의해서 유통기구(Clearinghouse)를 통한 검증되고 정제된 공간 정보의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분산 환경을 바탕으로 하는 공간 정보는 방대할 뿐만 아니라 매우 복잡하며 서로 다른 S/W나 H/W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형화된 형태로 정보를 표현하기가 어렵다.
공간 정보의 상호 운용을 위한 연구로 국제 표준화 기구 기술 위원(ISO/TC 211), OpenGIS Consortium(OGC), 미국의 연방 지리정보 표준화 위원회(FGDC), 유럽의 표준화 위원회(CEN) 등이 중심이 되어 메타데이터 뿐만 아니라 모델의 제안과 데이터 포맷에 대한 기술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특히 OGC의 개방형 GIS는 이질적인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공간 정보의 상호 운용을 위하여 객체 기술에 기초한 추상 명세(Abstract Specification)와 CORBA, OLE/COM 등의 분산 환경에서의 구현 명세(Implementation Specification)를 제시하고, 공통된 표준 인터페이스 형태로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미 선진국에서는 개별 기관에서 생산되고 관리되는 공간 정보의 효율적인 유통과 활용을 위하여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며, 공간 정보 유통 기구 설치 및 활용을 촉진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개방형 GIS 표준을 따르는 공간 정보 유통 컴포넌트에 대한 명세가 명확하게 제시되고 있지 않으며, 이에 대한 연구 및 제반 기술에 대한 필요성을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되고 있는 GIS 관련 데이터 및 시스템 구축은 특정 공급자의 GIS 엔진 상에서만 동작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선정된 지리정보시스템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막대한 비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GIS 엔진이나 공간 DBMS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공간 정보가 구축될 수 있는 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에 최근 소프트웨어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운영 환경에 독립적이고 기존 S/W의 한계를 넘어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컴포넌트 개발을 통해 응용 S/W의 재사용성 및 개발 시간 단축, 비용 측면에서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기존의 공간정보는 다양한 포맷으로 구축되어 있으며, 공간정보 처리 서비스는 시스템에 의존적인 데이터 타입과 인터페이스로 구현되어 있다. 더욱이 분산되어 있는 환경에서 다른 곳의 공간정보를 사용하려 하는 경우 플랫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CORBA를 기본 분산환경의 표준으로 운영하고 있는 정보유통 체계에서 COM기반의 공간정보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정보 제공자들에게 CORBA와 COM의 연동을 위한 부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분산된 환경에서의 공간 정보 공유와 함께 통합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발 응용 시스템의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분산 환경에서 이기종 플랫폼간의 호환성과 상호 운용성을 지원하기에 적합한 개방형 GIS의 CORBA 구현 명세를 기반하여 컴포넌트화 된, 공간 정보와 서비스를 공유하여 유통시킬 수 있는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공간정보유통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데이터 제공자를 위한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의 구조 및 동작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데이터 사용자를 위한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은 CORBA를 기본 분산환경의 표준으로 운영하고 있는 정보유통체계에서 COM기반의 공간정보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공간정보 유통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려고 하는 공간정보 및 서비스가 어느 곳에 존재하는 누가 제공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갖는 공간정보유통서버; 및 상기 COM기반의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응용 컴포넌트, 핵심 공통 컴포넌트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가 제공하는 공간정보와 서비스를 분산환경에서 플랫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CORBA기반의 인터페이스와 매핑을 통해 데이터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정보유통서버와 상기 COM기반의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응용 컴포넌트, 핵심 공통 컴포넌트는 분산환경에 의해 연동되며,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공간정보유통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COM기반의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응용 컴포넌트, 핵심 공통 컴포넌트에서 공간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간정보유통서버는 공간정보 및 서비스가 어느 곳에 존재하는 누가 제공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상기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에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컴포넌트;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컴포넌트;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등록, 수정, 삭제의 기능을 하는 메타데이터 관리 컴포넌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상기 COM기반의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응용 컴포넌트, 핵심 공통 컴포넌트와 OLE/COM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를 위한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에 대한 인증과정을 거친후 데이타 소스에 접근하여 결과 행집합을 생성하고, 생성된 결과 행집합을 개방형 지리정보시스템의 CORBA의 Simple Feature로 변환하여 전송컴포넌트를 이용해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상기 COM기반의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응용 컴포넌트, 핵심 공통 컴포넌트가 제공하는 공간정보와 서비스를 사용하려고 하는 공간정보의 사용자에게도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간정보 사용자를 위한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OLE/COM이 아닌 다른 환경의 사용자를 위한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와 OLE/COM 환경의 사용자를 위한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로 분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OLE/COM이 아닌 다른 환경의 사용자를 위한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OLE/COM 환경이 아닌 플랫폼에서 동작하며 개방형 GIS의 CORBA 구현 사양에 따라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하는 사람 또는 OLE/COM 기반의 데이터 제공자가 제공하는 공간 정보나 기타 다른 컴포넌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려고 하는 클라이언트를 위한 컴포넌트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컴포넌트가 제공하는 데이터 및 서비스를 분산된 환경하에서 플랫폼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공간정보 유통서버(100), 핵심 공통 컴포넌트(110),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120), 응용 컴포넌트(130) 및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140)로 구성된다.
공간정보유통서버(100)는 공간정보 및 서비스가 어느 곳에 존재하는 누가 제공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101),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101)에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컴포넌트(104),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컴포넌트(103)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등록, 수정, 삭제의 기능을 하는 메타데이터 관리 컴포넌트(102)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Data Provider Component:120), 응용 컴포넌트(Application Component;130), 핵심 공통 컴포넌트(Base Component:110)는 모두 OLE/COM 기반에서 개발되어 monolithic하게 동작하는 컴포넌트들이다.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140)는 상기 COM기반의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120), 응용 컴포넌트(130), 핵심 공통 컴포넌트(110)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가 제공하는 공간정보와 서비스를 분산환경에서 플랫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CORBA기반의 인터페이스와 매핑을 통해 데이터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각각의 컴포넌트는 stand alone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140)를 설치함으로써 분산환경에서도 어느 누구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할 수 있다.
도 2는 공간정보유통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공간정보유통을 위한 서버는 최종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려고 하는 데이터 및 서비스가 어느 곳에 존재하는 누가 제공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공간정보유통 서버는 크게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검색 컴포넌트, 전송 컴포넌트, 메타데이터 관리 컴포넌트로 구성된다.
이기종 분산 환경에서 정보의 상호운용성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면서 메타데이터는 위치 정보 등의 확장된 정보를 포함하게 되었다. 또한 서로 다른 시스템간의 정보 공유가 필요한 정보검색시스템을 중심으로 메타데이터의 표준화와 교환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GIS 관련 시스템에서도 적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정보유통 기본 모델에서의 메타데이터는 정보 제공자에 의해 공간정보유통 서버의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고 이기종 분산환경에서 개별적으로 구축된 공간정보와 공간정보 처리서비스들을 필요로 하는 소비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검색에 필요한 정보와 함께 위치 정보를 정보유통 서버에서 관리한다.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정보 유통을 하기 위해 필수적인 컴포넌트로서 가장 핵심적인 기능은 Microsoft사의 COM 기반에서 동작하는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핵심 공통 컴포넌트, 응용 컴포넌트가 제공하는 데이터 및 서비스를 분산환경에서 플랫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CORBA 기반의 Interface와 매핑을 통해 데이터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언급한 것을 바탕으로 정보유통 컴포넌트를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를 위한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 핵심 공통 컴포넌트를 위한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 응용 컴포넌트를 위한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 OLE/COM이 아닌 다른 환경의 사용자를 위한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 OLE/COM 환경의 사용자를 위한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로 분류할 수 있다.
OLE/COM 환경의 데이터 및 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를 위한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
- Shape Data Provider 컴포넌트를 위한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
- SDE Data Provider 컴포넌트를 위한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
- Geus Data Provider 컴포넌트를 위한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
- MGE Data Provider 컴포넌트를 위한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
- GeoMania Data Provider 컴포넌트를 위한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
● 핵심 공통 컴포넌트를 위한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
● 응용 컴포넌트를 위한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
본 발명 중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를 위한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공간 데이터 제공을 위해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데이터 제공자가 사용한다.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를 위한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사용자의 ID 및 Password에 대한 인증 과정을 거친다.
2. Data Source에 접근하여 결과 Rowset을 생성한다.
3. 생성된 결과 Rowset을 OpenGIS의 CORBA Simple Feature로 변환한다. (COM-CORBA 연계)
4. 전송 컴포넌트를 이용해 변환된 Simple Feature를 전송한다.
도 3은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를 위한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의 구조 및 동작 과정을 나타낸다.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를 위한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제일 먼저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Data Source에 대한 접근을 하기 위해 매개변수로 전달받은 ID 및 Password에 대한 인증 과정을 먼저 거치게 된다.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를 위한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개방형 GIS의 OLE/COM 명세에 따라 구현된 OGISDataProvider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OLE/DB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각각의 데이터 제공자를 위해 각각 하나씩 존재한다. 각각의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를 위한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각 데이터 제공자가 제공하는 OLE/DB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각각의 Data Source에 접근한다. Data Source에 접근하여 결과 Rowset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Microsoft의 OLE/DB에서 제공하는 표준 인터페이스인 Data Source Interface, Session Interface, Command Interface, Rowset Interface를 사용한다. 이 결과로 Rowset 객체를 얻게 된다. 이 부분에서는 OpenGIS의 OLE/COM 명세를 수용하여 구현하고 있다.
COM 기반의 Rowset 객체를 분산환경의 플랫폼 독립적으로 누구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방형 GIS의 CORBA 명세에서 제시하는 Simple Feature로 변환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생성된 결과 Rowset을 CORBA의 Simple Feature로 변환하기 위해 COM-CORBA 연계 방법이 필요하게 되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할 엔터티는 OpenGIS CORBA 명세를 수용하여 구현하고 있다.
변환된 Simple Feature는 전송 컴포넌트를 이용해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된다. 클라이언트에서는 개방형 GIS의 CORBA 명세에서 제시하는 Simple Feature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준수한다면 어떤 플랫폼에 존재하더라도 전송된 Simple Feature를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제공자를 위한 각각의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Data Source에 대한 접근 권한 및 접근 방법에 차이가 있을 뿐 이외의 것은 같은 기능을 한다.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응용 컴포넌트, 핵심 공통 컴포넌트가 제공하는 데이터 및 서비스를 사용하려고 하는 공간 정보의 사용자에게도 필요하다.
데이터 및 서비스 사용자를 위한 공간정보 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OLE/COM이 아닌 다른 환경의 사용자를 위한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
● OLE/COM 환경의 사용자를 위한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
이 중에서 OLE/COM이 아닌 다른 환경의 사용자를 위한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OLE/COM 환경이 아닌 즉, Unix 등 기타 플랫폼에서 동작하며 Open GIS의 CORBA 구현 사양에 따라서 시스템을 개발하려고 하는 사람 또는 OLE/COM 기반의 데이터 프로바이더가 제공하는 공간 정보나 기타 다른 컴포넌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려고 하는 클라이언트들을 위한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이다. 이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개방형 GIS의 CORBA 구현 사양에 따라 구현되었으며 OGC의 표준 CORBA 구현 사양을 따르기만 하면 누구라도 사용할 수가 있다.
도 4는 데이터 사용자를 위한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클라이언트는 메타데이터 검색을 통해 자신이 사용하려는 공간데이터 및 서비스를 누가 제공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먼저 검색하게 된다. 클라이언트에서의 요청이 있으면 정보유통 서버의 메타데이터 검색 컴포넌트가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요청한 데이터에 대한 위치정보 및 데이터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알려준다. 클라이언트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데이터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위치 정보를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 클라이언트는 저장된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필요한 공간데이터에 대해 개방형 GIS의 CORBA 사양이 제공하는 표준 인터페이스 즉, Open GIS CORBA 사양의 Simple Feature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호출함으로써 공간 데이터에 대한 연산을 하게 된다. 요청한 Simple Feature에 대해서는 공간정보유통 서버의 전송 컴포넌트를 통해 데이터 프로바이더가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를 통해 제공하는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진다.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개방형 GIS 표준 사양을 따라 구현된 정보유통 컴포넌트를 통해 유통된 데이터에 대해 화면 출력, 확대, 축소 그 이외에도 개방형 GIS 표준 사양이 제공하는 equal, touches, contains, within, disjoint, crosses, overlaps, intersects 등의 공간 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는 remote에 존재하는 공간 데이터에 대해 마치 자신의 local에 존재하는 것처럼 데이터에 대한 연산을 수행 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는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GIS 엔진이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분산 환경에서 이기종 플랫폼간의 호환성과 상호 운용성을 지원하기에 적합한 개방형 GIS의 CORBA 구현 명세를 기반하여 컴포넌트화 된, 공간 정보와 서비스를 공유하여 유통시킬 수 있는 공간 정보 유통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공간 정보의 생성, 관리, 유통, 활용하는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민간기업 등 공간 정보가 필요한 모든 기관에서 활용 가능하게 되며 중복 구축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공간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는 공간 정보 생산자에 의해서 유통기구(Clearing House)를 통하여 검증되고 정제된 공간 정보를 서비스 받고자 하는데, 이렇게 제공되는 공간 정보가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필요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생산자 측면에서도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정보에 대한 접근과 검색의 용이성을 추구하고자 공간 정보에 대한 자료를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메타데이터의 필요성 및 효율성 있는 자료의 구축 요구가 부각되고 있다. 이들을 수용하여 공간 정보의 생산자들은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형식과 구성 요소들에 대한 표준을 수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공간 정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그들의 요구에 맞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7)

  1. CORBA를 기본 분산환경의 표준으로 운영하고 있는 정보유통체계에서 COM기반의 공간정보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공간정보 유통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려고 하는 공간정보 및 서비스가 어느 곳에 존재하는 누가 제공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갖는 공간정보유통서버; 및
    상기 COM기반의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응용 컴포넌트, 핵심 공통 컴포넌트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컴포넌트가 제공하는 공간정보와 서비스를 분산환경에서 플랫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CORBA기반의 인터페이스와 매핑을 통해 데이터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정보유통서버와 상기 COM기반의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응용 컴포넌트, 핵심 공통 컴포넌트는 분산환경에 의해 연동되며,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공간정보유통서버를 통해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COM기반의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응용 컴포넌트, 핵심 공통 컴포넌트에서 공간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정보유통서버는
    공간정보 및 서비스가 어느 곳에 존재하는 누가 제공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상기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에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컴포넌트;
    상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컴포넌트; 및
    상기 메타데이터를 등록, 수정, 삭제의 기능을 하는 메타데이터 관리 컴포넌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상기 COM기반의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응용 컴포넌트, 핵심 공통 컴포넌트와 OLE/COM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를 위한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에 대한 인증과정을 거친후 데이타 소스에 접근하여 결과 행집합을 생성하고, 생성된 결과 행집합을 개방형 지리정보시스템의 CORBA의 Simple Feature로 변환하여 전송컴포넌트를 이용해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상기 COM기반의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 응용 컴포넌트, 핵심 공통 컴포넌트가 제공하는 공간정보와 서비스를 사용하려고 하는 공간정보의 사용자에게도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정보 사용자를 위한 공간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OLE/COM이 아닌 다른 환경의 사용자를 위한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와 OLE/COM 환경의 사용자를 위한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로 분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OLE/COM이 아닌 다른 환경의 사용자를 위한 정보유통 기본 컴포넌트는
    OLE/COM 환경이 아닌 플랫폼에서 동작하며 개방형 GIS의 CORBA 구현 사양에 따라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하는 사람 또는 OLE/COM 기반의 데이터 제공자가 제공하는 공간 정보나 기타 다른 콤포넌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려고 하는 클라이언트를 위한 컴포넌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
KR1019990066754A 1999-12-30 1999-12-30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 KR100353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754A KR100353288B1 (ko) 1999-12-30 1999-12-30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754A KR100353288B1 (ko) 1999-12-30 1999-12-30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948A true KR20000017948A (ko) 2000-04-06
KR100353288B1 KR100353288B1 (ko) 2002-09-18

Family

ID=19633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754A KR100353288B1 (ko) 1999-12-30 1999-12-30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328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038B1 (ko) * 2001-09-28 2004-06-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리파지토리를 이용한 컴포넌트 정보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34428B1 (ko) * 2000-12-27 2004-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56775B1 (ko) * 2002-03-22 2004-11-10 한국통신정보기술 주식회사 분산이기종간의 지리정보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0466215B1 (ko) * 2002-02-19 2005-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웹상에서의 호환성 있는 지리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855210B1 (ko) * 2007-10-08 2008-09-03 대한민국 수치임상도의 메타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901480B1 (ko) * 2006-12-08 2009-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웹서비스 기능을 이용하여 공간정보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8397A (ja) * 1996-01-16 1997-07-31 Oki Electric Ind Co Ltd 地理情報の検索獲得方法
US5946687A (en) * 1997-10-10 1999-08-31 Lucent Technologies Inc. Geo-enabled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KR100284585B1 (ko) * 1997-12-02 2001-03-15 정선종 피쳐기반 지리정보 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89330B1 (ko) * 1998-11-26 2001-05-02 정선종 이기종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지원하는 공간 엔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공간 데이터 관리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428B1 (ko) * 2000-12-27 2004-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34038B1 (ko) * 2001-09-28 2004-06-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리파지토리를 이용한 컴포넌트 정보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66215B1 (ko) * 2002-02-19 2005-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웹상에서의 호환성 있는 지리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456775B1 (ko) * 2002-03-22 2004-11-10 한국통신정보기술 주식회사 분산이기종간의 지리정보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0901480B1 (ko) * 2006-12-08 2009-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웹서비스 기능을 이용하여 공간정보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시스템 및 방법
KR100855210B1 (ko) * 2007-10-08 2008-09-03 대한민국 수치임상도의 메타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3288B1 (ko) 200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7450B2 (en) Techniques for managing interaction of web services and applications
US7444644B1 (en) Secure access of objects generated from data representation language representations of the objects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US7200848B1 (en) Migrating processes using data representation language representations of the processes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US7016966B1 (en) Generating results gates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US6898618B1 (en) Client-specified display services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US8082491B1 (en) Dynamic displays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US7650609B2 (en) Multi-environment document management system access
CN102089767A (zh) 无人值守应用程序的经认证数据库连接
EP1281119A2 (en) Mechanism and apparatus for returning results of services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WO2001086487A2 (en) Mechanism and apparatus for web-based searching of uri-addressable repositories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WO2001086420A2 (en) Mechanism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nd addressing services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Schill et al. DC++: distributed object-oriented system support on top of OSF DCE
KR100353288B1 (ko)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
CN103533094B (zh) 标码一体机及标码系统
EP1314085B1 (en) Remote function invocation with messaging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EP1384142B1 (en) Bridging between a data representation language message-based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and other environments
KR20210116971A (ko) Gis에 기반한 개방공간 유통시스템
Pascoe et al. Constructing interfaces between (and withi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CN1984149A (zh) 一种基于消息的分布式系统以及在其中通信的方法
KR100783767B1 (ko) 공간 지리 정보 제공 시스템
Di Pietro et al. Extending the MASIF location service in the MAP agent system
KR100434428B1 (ko) 분산형 지리정보처리 컴포넌트 시스템 및 그 방법
Zatti et al. Interconnecting OSI and non-OSI networks using an integrated directory service
Dannewitz Augmented Internet: An information-centric approach for real-world/Internet integration
KR0139720B1 (ko) 차세대 지능망 scf/sdf와 x.500 디렉토리 시스템 연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