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585B1 - 피쳐기반 지리정보 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피쳐기반 지리정보 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84585B1 KR100284585B1 KR1019970065370A KR19970065370A KR100284585B1 KR 100284585 B1 KR100284585 B1 KR 100284585B1 KR 1019970065370 A KR1019970065370 A KR 1019970065370A KR 19970065370 A KR19970065370 A KR 19970065370A KR 100284585 B1 KR100284585 B1 KR 1002845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ature
- hierarchy
- level
- features
- valu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12732 spatial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Landscapes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레벨(Level) | 피쳐-이름(Feature-Names) | 레벨대표값(R-Value) | 가시-플래그(V-Flag) | 포함-플래그(C-Flag) |
Claims (11)
- 시스템이 관리하는 모든 피쳐들에 대한 집합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젝트(project) 모듈(150)과,그 프로젝트 모듈(150)의 피쳐 집합에서 임의의 원하는 지역을 잘라낸 영역에 대해서 피쳐의 삽입, 삭제 및 수정작업을 하기 위한 존(Zone) 모듈(140)과,존 모듈에 있는 여러종류의 피쳐중 단일 피쳐를 대상으로 위상관계 확립이나 공간분석을 처리하기 위한 레이어(Layer) 모듈(130)과,상기 각 모듈이 관리하는 피쳐 계층에 대해서 레벨, 피쳐 이름, 레벨의 대표값, 가시-플래그, 포함-플래그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피쳐 계층 테이블(FHT)(121, 122, 123)과,상기 피쳐 계층 테이블을 작성하기 위해, 지리요소들의 실제 크기 평균에 따라 이들을 군집화한 계층을 구성하여 관리하는 공간적 계층관리와, 피쳐의 상대적 상호 관계 및 의미에 따라 계층을 구성하여 관리하는 의미론적 계층관리를 수행하면서, 데이타 베이스에 저장된 지리요소 데이타를 웹브라우저로 가져올때 상기 피쳐 계층 테이블(FHT)의 가시-플래그(V-Flag) 값에 의해 데이타의 종류를 결정하고 조절하는 피쳐 계층 콘트롤 유니트(FHCU)(110)로 구성되고,웹서버(12)로부터 상기 각부의 실행파일을 클래스 형태로 제공받고, 상기 각부가 클라이언트의 웹브라우저 상에 구축되어 피쳐에 관계되는 모든 속성 데이터와 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 베이스(DB)(10)로 부터 피쳐를 가져와서 계층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쳐 계층 테이블(FHT)은,피쳐 계층상의 레벨을 의미하고 그 레벨의 수는 미리 정해지거나 데이터의 분포에 따라 적응 적으로 결정되는 레벨 필드와,피쳐의 이름을 의미하며, 하나의 레벨에 여러 개의 피쳐가 할당 될 수 있는 피쳐-이름 필드와,그 레벨의 대표값을 나타내고 피쳐의 공간적 크기 관계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전체 피쳐 집합을 몇개의 레벨로 분류할 것인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레벨 대표값(R-Value) 필드와,해당 레벨에서의 피쳐들의 가시적 정보를 의미하는 가시-플래그(V-Flag) 필드와,그 피쳐가 현재의 화면범위내에 속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포함-플래그(C-Flag) 필드로 이루어진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적 계층관리는,모든 피쳐에 대해 레벨 대표값(R-Value)을 할당하고,레벨 대표값(R-Value)을 몇 개의 그룹으로 군집화 한 뒤 군집화된 각 레벨에 새로운 레벨 대표값(R-Value)를 할당하여 피쳐 계층 테이블(FHT)을 구성하여,피쳐를 구성하는 지리 요소들의 실제 크기 평균에 따라 계층을 구성하는 공간적 계층(Spatial hierarchy)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론적 계층관리는,피쳐간의 상대적 관계 및 중요성 등에 의하여 레벨을 할당하고,그 다음엔 각 레벨에 적당한 분포의 레벨 대표값(R-Value)을 할당하여피쳐의 상대적 상호 관계 및 의미에 따라 계층을 구성하는 의미론적 계층(Semantic hierarchy)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시스템.
- 모든 피쳐에 대해 레벨 대표값(R-Value)을 할당하고,레벨 대표값(R-Value)을 몇 개의 그룹으로 군집화 한 뒤 군집화된 각 레벨에 새로운 레벨 대표값(R-Value)를 할당하여 피쳐 계층 테이블(FHT)을 구성하여피쳐를 구성하는 지리 요소들의 실제 크기 평균에 따라 계층을 구성하는 공간적 계층(Spatial hierarchy)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쳐의 대표값(R-Value)을 결정하는 방법은,피쳐의 지리 요소들의 크기에 대한 피쳐 내부 관계(Intra Feature Relation) 분석에 의해 결정하되,상기 지리 요소의 종류에는 노드(node), 체인(chain), 폴리곤(polygon)의 세 가지를 고려하고,세 가지 요소의 크기를 나타내는 데에는 최소 외접 사각형(Minimum Bounding Rectangle: MBR)을 이용하며,상기 MBR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으로는,a). MBR의 가로와 세로 중 큰 값 (max(width, height))b). MBR의 가로와 세로의 합 (width + height)c). MBR의 대각선 길이 (sqrt(width2 + height2))d). MBR의 면적 (width * height)중 어느한 가지 방법을 선택한 다음 평균을 구해서 이를 해당 피쳐의 R-Value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쳐를 구성하는 지리 요소들의 크기의 평균값을 그 피쳐의 대표값으로 결정하는 방법은,같은 피쳐를 구성하는 지리 요소간의 크기에 대한 피쳐의 내부 분산(Intra Feature Variance)이 크지 않다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대표값을 군집화하는 방법은,비슷한 크기의 R-Value를 가지는 피쳐들을 같은 레벨로 묶되,슈퍼바이저 군집화(clustering) 방법을 사용하여 R-Value를 피쳐의 개수에 의해 사용자가 미리 결정해둔 k개의 레벨에 각각 할당하여 군집화하는 고정된 수의 레벨(Fixed Number of Level)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대표값을 군집화하는 방법은,비슷한 R-Value를 갖는 피쳐들을 같은 레벨로 군집화하되,피쳐들의 공간분포를 분석하여 레벨을 적응적으로 할당하는 가변 수의 레벨(Variable Number of Level)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방법.
- 피쳐간의 상대적 관계 및 중요성 등에 의하여 레벨을 할당하고,그 다음엔 각 레벨에 적당한 분포의 레벨 대표값(R-Value)을 할당하여피쳐의 상대적 상호 관계 및 의미에 따라 계층을 구성하는 의미론적 계층(Semantic hierarchy)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론적 계층 관리는,계층을 결정하기 애매한 피쳐 들은 같은 레벨에 할당하고, 중요한 점 요소 피쳐들을 상위 레벨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쳐기반 지리정보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65370A KR100284585B1 (ko) | 1997-12-02 | 1997-12-02 | 피쳐기반 지리정보 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65370A KR100284585B1 (ko) | 1997-12-02 | 1997-12-02 | 피쳐기반 지리정보 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7120A KR19990047120A (ko) | 1999-07-05 |
KR100284585B1 true KR100284585B1 (ko) | 2001-03-15 |
Family
ID=6609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65370A KR100284585B1 (ko) | 1997-12-02 | 1997-12-02 | 피쳐기반 지리정보 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8458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53288B1 (ko) * | 1999-12-30 | 2002-09-18 | 한국통신정보기술 주식회사 | 개방형 gis 기반의 공간정보 유통시스템 |
KR100501905B1 (ko) * | 2000-10-19 | 2005-07-25 | 주식회사 케이티 | 가상 시설레코드를 이용한 중첩시설물 정보 처리 장치 및그 방법 |
KR20010016445A (ko) * | 2000-12-11 | 2001-03-05 | 이연익 | 인터넷 지도서비스에서 Non-calculated 알고리즘에 의한건물의 입체적 3차원 표현방법 |
KR20020066496A (ko) * | 2001-02-12 | 2002-08-1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복합 피쳐를 처리하기 위한 지리정보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CN118377840B (zh) * | 2024-06-24 | 2024-09-10 | 国信司南(北京)地理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基于要素标记的矢量切片局部更新方法及应用 |
-
1997
- 1997-12-02 KR KR1019970065370A patent/KR10028458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7120A (ko) | 1999-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0581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display based on logical groupings of network entities | |
CN100375971C (zh) | 分级布局指定的方法 | |
US6438562B1 (en) | Parallel index maintenance | |
Balakrishnan et al. | Multi-period planning and uncertainty issues in cellular manufacturing: A review and future directions | |
US513290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manipulation of documents within a multi-document relationship in a data processing system | |
US6338053B2 (en) | Inventory managing method for automatic inventory retrieval and apparatus thereof | |
US20030212960A1 (en) |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report generation | |
US11281664B1 (en) | Search engine optimizer | |
US5884301A (en) | Hypermedia system | |
US20080091491A1 (en) | Method and/or system for flexible data handling | |
Pierce et al. | Improved combinatorial programming algorithms for a class of all-zero-one integer programming problems | |
JP2005530242A (ja) | 区画された移動可能メタデータを有する記憶システム | |
EP0322124A2 (en) |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information system storing documents grouped into folders | |
US2010026871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of information | |
Nashat et al. | A comprehensive taxonomy of fragmentation and allocation techniques in distributed database design | |
CN107251023A (zh) | 一种大规模并行处理架构中的混合数据分布 | |
US11048765B1 (en) | Search engine optimizer | |
Bracken et al. | Towards a typology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 |
CA2477661C (en) | Hybrid and dynamic representation of data structures | |
KR100284585B1 (ko) | 피쳐기반 지리정보 시스템의 피쳐 계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
Ram et al. | A model for database allocation incorporating a concurrency control mechanism | |
EP0322123A2 (en) |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managing documents therein | |
US20070233925A1 (en) | Centralized management of data nodes | |
Smits et al. | A soft computing approach to big data summarization | |
CN104217032B (zh) | 数据库维度的处理方法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0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1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1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11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12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