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5481A - 점대점 통신에서 동일 채널 간섭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점대점 통신에서 동일 채널 간섭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5481A
KR20010075481A KR1020017004058A KR20017004058A KR20010075481A KR 20010075481 A KR20010075481 A KR 20010075481A KR 1020017004058 A KR1020017004058 A KR 1020017004058A KR 20017004058 A KR20017004058 A KR 20017004058A KR 20010075481 A KR20010075481 A KR 20010075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attribute
transmitter
receiv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초우피터엘콴
Original Assignee
켄 바인스
트리톤 네트워크 시스템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켄 바인스, 트리톤 네트워크 시스템즈, 인크 filed Critical 켄 바인스
Publication of KR20010075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48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0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error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where 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s are generated based on a path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2Outer and inner lo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방사(radiation) 윤곽을 제공하기 위해 점대점 송신기/수신기 쌍중의 송신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수신기가 경험하는 바의 비트 에러율 등의 점대점 링크 성능 특성은 원하는 동작 특성으로서 설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 특성이 측정하기 위한 실질적인 시간을 필요로 할 수 있으므로, 기타 링크 속성들 역시 원하는 성능 특성을 얻는 데 필요한 링크 조절의 보다 신속한 결정을 제공하기 위해 측정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거친 비트 에러율 및 수신 신호 강도 모두가 측정되어 필요한 링크 조절의 보다 신속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링크 성능 특성에 상관된다.

Description

점대점 통신에서 동일 채널 간섭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co-channel interference in point to point communications}
공기 중으로 무선 신호의 전송은 통신 시스템들을 위한 다른 전송 매체에 비해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들의 특성에 의해, 전파(電波) 전송은 동일한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2개 이상의 무선 장치가 아주 근접하게 배치될 때 동일 채널 간섭을 피할 수 없다. 이러한 동일 채널 간섭은 링크 성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주어진 영역의 대규모 무선 장치 배치에 대해, 시스템 성능은 간섭으로 제한된다.
서비스 요건에 좌우되어, 동일 채널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유일한 해결책 또는 대책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자들은 종종 주파수 재사용 계획을 통해 동일 채널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방사 구조물의 기하학 및 공간 분리를 종종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셀 방식 전화 서비스 제공자들은 주파수들을 존(섹터 및/또는 셀)으로 및/또는 시간 도메인(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의 시간 버스트)으로 분리하는 셀 구조물을 이용하는 동일 채널 간섭 문제점들을해결한다.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해, 간섭 제어 기술은 일반적으로 주파수 재사용 대신에 능동 사용자 전송된 전력의 셀내 및 셀간 전력 제어를 사용한다. 따라서, 기지국 수신기 등의 소정의 공통 지점에서, 이동 유닛 전송 전력 레벨들은 공통 레벨의 입력을 갖도록 제어됨으로써 이들은 서로 동일하게 간섭하고, 따라서, 각각의 신호는 수신된 복합 신호로부터 회복될 수 있다.
점대점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마이크로파 또는 극도로 큰 주파수를 이용하고, 고도로 지향성이며, 즉 그 영역 내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어야 하는 넓은 영역에 걸쳐 방송되기보다는 오히려, 고정된 위치의 특정 송신기로부터 고정된 위치의 특정 수신기로 초점이 맞추어진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무선 장치처럼, 점대점 시스템은, 다중 송신기/수신기 쌍이 동일한 주파수에서 동작하고 아주 근접하게 또는 공통 방위각을 따라 배치될 때와 같은 일부 조건 하에, 서로 간섭할 것이다. 지향성 안테나들은 일부 방향의 방사를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간섭 문제점들을 중재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지향성 안테나들은 통상적으로 신호들의 방사에 의해 또는 안테나 빔 측면 로브와 연관된 것들 등의 무선 파장의 모든 가능한 간섭 전파를 조절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점대점 적용에 의해, 송신기가 배치되는 경우, 생성되는 안테나 빔의 윤곽을 작도하는 것은 간단하다. 통상적으로, 지향성인 경우 송신기를 향해 있는 이러한 안테나 빔 내에 위치하는 모든 수신 무선 장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분명히, 고도로 지향성인 안테나에 의해서 조차, 송신기/수신기 쌍중의 의도된 수신기와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치는 않은 송신 안테나 빔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이 존재할 것이다. 이들 영역은 과도한 송신 전력, 안테나 빔 측면 로브 등으로 인해 의도된 수신기 너머로 확장하는 메인 빔과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측면 로브 또는 그의 메인 빔 쉐도우를 포함하여 제 1 송신기의 안테나 빔의 윤곽 내에 위치하는 제 2 송신기/수신기 쌍과 연관된 수신기들은 이러한 제 1 송신기로부터 간섭받을 것이다.
과거에, 점대점 송신기/수신기 쌍의 무선 배치는 모든 링크가 특수 디자인을 갖고, 따라서 그 수신기와 연관되지 않은 특정 송신기의 안테나 빔 내에 위치하는 수신기의 영향을 피할 수 있는 희박 밀도 배치에 기초하여 왔다. 그러나, 20 내지 40 GHz 무선 시스템 등의 큰 주파수 시스템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고, 대도시 영역의 데이터 요건 및 통신에 서비스하기 위해 대량으로 배치되는 상황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간섭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희박 밀도 배치에 대한 신뢰도가 허용될 수 없다.
상기 20 내지 40 GHz 시스템 등의 큰 주파수에 대한 전파 손실은 동적인 상황에 좌우되어 대량으로 변화하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면, 청명한 날에서 비가 많이 오는 날에 이르기까지, 신호 감쇠 또는 신호 손실 변화는 40dB/km만큼일 것이다. 따라서, 극도의 신호 감쇠 기간 동안 송신기/수신기 쌍중의 수신기에 의해 수신도기에 충분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송신기/수신기 쌍중의 송신기는 감소된 신호 감쇠 기간 동안에조차 증가된 전력 레벨로 송신할 수 있다. 이는 일정한송신 전력 레벨이 송신기에서 사용되는 시간 동안 제 1 송신기/수신기 쌍의 송신기의 안테나 빔 윤곽이 확대됨에 따라 감소된 이들 감쇠 기간 동안 간섭받는 다른 송신기/수신기 쌍과 연관된 수신기를 초래할 수 있다.
선행 기술의 점대점 시스템에서, 기대되는 최악의 경우의 상황에서 동작을 위해 허용될 송신기의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절하고 송신기/수신기 쌍을 배치하는 실행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강우량 등의 예측 가능한 현상에 대해 기대되는 신호 감쇠 및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거리에 좌우되어, 송신기 전력은 강우의 강하가 전혀 없는 기간 동안 수신기에 적절한 신호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것보다 실질적으로 크게 조절될 수 있다. 점대점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배치되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강수는 전혀 강수가 없는 기간보다 덜 빈번하게 경험됨에 따라, 최악의 경우의 상황에 대한 이러한 고정된 전력 조절은 신호의 과다(over) 방사의 연장된 기간을 초래한다. 마찬가지로, 고정된 전력 레벨이 최악의 경우의 시나리오로 조절됨에 따라, 전송 전력은 신호를 과잉 방사하기에 충분히 클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성능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 즉, 특정 송신이 적합한 무선 장치에 의해 겪게 되는 간섭을 감소시키면서 그 송신이 적합한 무선 장치 또는 무선 장치들에서 신호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송신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적응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당업계에 여전히 존재한다.
통신 시스템들, 즉, 송신기/수신기 쌍의 치밀한 배치를 허용하도록 최소 안테나 빔 윤곽을 유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부가적 필요성이 당업계에 존재한다. 따라서, 유효 스펙트럼은 상이한 통신 링크들에 서비스하기 위해 불필요하게해산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치밀하게 배치되더라도, 각각의 링크는 스펙트럼의 보다 큰 부분을 이용할 수 있고, 따라서, 모든 유효 대역폭을 이용할 수 있다.
동적으로 조절하는 환경이 보상될 수 있도록 통신 파라미터들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또 다른 필요성이 당업계에 존재한다. 이들 통신 파라미터의 동적인 조절은 오류 조건을 고려해야 하고, 오류 조건이 보상되어야 하는 그것과 유사한 증상을 제공하는 특성의 양호하지 못한 조절을 피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점대점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그러한 시스템 간의 동일 채널 간섭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선행 기술의 점대점 통신 시스템의 방사 패턴 윤곽을 도시하는 도면.
도 1B 및 1C는 근접하게 위치하는 송신기/수신기 쌍들 간의 간섭의 발생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적응된 점대점 통신 시스템의 방사 패턴 윤곽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양호한 실시예의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제어 시스템의 필요 전력 알고리즘의 흐름도.
도 5는 도 3의 제어 시스템의 전력 변화 알고리즘의 흐름도.
도 6은 도 3의 제어 시스템의 전력 변화 알고리즘의 대안의 실시예의 흐름도.
본 발명의 이들 목적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기술상의 잇점은 전송 전력 레벨 등의 링크 파라미터의 동적 제어를 위해 제공되는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전력 제어 수단은 송신기/수신기 중의 수신기가 경험하는 바의 수신된 신호 레벨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안테나 빔 윤곽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송 전력은 동적으로 경험하는 바와 같이 전파 손실을 보상한다. 따라서, 주요 빔 패턴에서 본 윤곽은 전력의 양이 본 발명에 따라 조절됨으로써 수신 전력 레벨 및(또는) 기타 측정된 통신 파라미터 및 그에 따른 윤곽이 일정하기 때문에 임의의 보상되는 조건 하에 일정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송신기/수신기 쌍 중의 수신기가 경험하는 바의 측정된 통신 파라미터들의 레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폐쇄된 피드백 루프를 이용한다. 따라서, 통신 파라미터가 보다 큰 레벨로 수신기에 의해 측정될 때, 시스템은 전력을 하향 조절하기 위해 송신기로의 피드백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수신 신호가 보다 낮은 레벨로 수신기에 의해 측정될 때, 시스템은 전력을 상향 조절하기 위해 송신기로의 피드백을 제공한다.
양호하게는, 수신기 시스템은 원하는 측정치를 얻도록 동작하고, 초기에 전력 레벨, 또는 기타 전송 특성, 조절의 요건을 결정한다. 따라서, 매우 적은 대역폭의 회복 신호 경로가 피드백 루프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한편, 원하는 레벨의 기능성을 여전히 제공한다. 예를 들면, 수신기는 측정된 특성이 적은 것을 측정할 뿐만 아니라, 조절은 이와 같이 측정된 특성을 보상하기 위해서 및 매우 적은 리버스 링크 제어 채널 비트에서, 그 결정을 송신기로 통신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결론내릴 수 있다. 따라서, 특정 파라미터 또는 파라미터들로 이루어진 각각의 측정에 관한 정보에 따라 송신기의 조절 회로를 제공하지 않음으로써 리버스 채널 대역폭의 낭비를 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송신기 시스템은 수신기 시스템으로부터 전력 레벨 조절에 관한 피드백을 허용하도록 동작하고 원하는 조절의 유형, 양 및(또는) 특성을 결정하는 것이 양호하다. 예를 들면, 통신 링크의 동작에 관한 히스토리컬(historical) 정보를 포함하는 지식 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송신기 시스템은 특정 전력 레벨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아야 함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오류 조건에 응답하는 원하는 않는 전력 레벨 조절을 피할 수 있다.
수신 신호 또는 링크 특성은 수신기에서 많은 상이한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 신호 강도(RSSI), 신호 대 잡음(S/N), 간섭에 대한 반송파(C/I) 또는 유사한 측정치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데이터의 고속 전송에 이용될 것이 예상되는 바와 같이, 양호한 실시예는 정보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링크의 성능을 측정한다. 따라서, 비트 에러율(BER) 측정치 등의 링크 성능 측정치는 얻어질 수 있고 전력 레벨은 일정한 레벨로 이들 측정치를 유지하도록 조절된다. 예를 들면, 비트 에러율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서, 수신 신호는 일정해야 한다.
그러한 측정치의 사용은 그것이 가입자 또는 시스템 사용자에게 실제로 공급된 제품의 파라미터이므로 많은 상황에서 이상적이다. 따라서, 대규모로 배치된 다른 시스템들이 경험하는 바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송 전력 등의 링크 파라미터들의 동적 조절을 제공하도록 적응된 본 발명의 시스템 뿐만 아니라, 가입자에게 특정 성능 레벨을 일관되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역시 가능하다.
그러나, 성능 특성에 기초한 조절은 보다 간단한 전력 레벨 측정치와 연관되지 않은 복잡성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특정 에러율이 허용되는 것으로서 선택된 경우, 그것인 이들 선택된 에러율이 통상적으로 매우 낮음에 따라 특정 시간 경과 중에 발생하는 카운팅 에러만큼 정연하게 진행될 수 없다. 따라서, 에러율을 실질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실질적인 양의 시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그와 같이 긴 측정 기간은 시기 적절한 형식으로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절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임의의 피드백에 대해 너무 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실제 성능 특성의 측정치보다 더 신속하게 측정될 수 있는 파라미터들을 측정하고, 실제 성능 특성이 무엇인지에 관한 결정을 내린다. 이는 본 발명이 성능 특성에 관해 보다 신속한 결정을 내리게 하고, 따라서, 측정된 파라미터들이 나타내는 성능 특성을 실제로 겅험하기 위해 충분한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통신 파라미터들을 조절한다. 이들 파라미터의 측정치는 통신 파라미터들의 신속한 조절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실제 성능 특성이 측정 가능하게 저하되기 전에 파라미터들의 조절을 허용하기도 함을 인식해야 한다.
원하는 실제 성능 특성에 관하여 측정된 파라미터들에 대한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상기 파라미터들의 측정치를 작성하는 것 외에, 실제 성능 특성을 결정하고, 즉, 전력 레벨 조절의 일시적인 결정을 위한 파라미터들의 측정을 통해 시간 집약적 성능 특성 측정을 수행한다. 이후, 보다 신속히 측정할 수 있는 파라미터들이 실제 성능 특성을 결정 또는 예측하는 데 있어서 이들의 보다 빈번한 사용을 허용하기 위해 실제 성능 특성과 상관 관계에 있다.
추가로, 시스템이 오류 조건으로 될 때 전력 레벨 조절을 무효로 하는 것이 양호하다. 예를 들면, 지향성 송신 안테나가 대응하는 수신 안테나와 적절히 정렬되지 않는 경우와 같이, 측정된 성능 특성이 통상적으로 조절되는 현상의 징후를 나타내게 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이 오동작되는 경우, 피드백 정보는 송신 전력 레벨의 목적하지 않는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유사하게, 설치 조건은 전력 레벨 조절의 무효화를 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강수 또는 기타 변화하는 조건들로 인한 신호 감쇠의 차이는 40 내지 50dB/km의 치수일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지향성 방사 패턴에 대해, 측면 로브는 단지 25dB 하향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하는 동안, 송신 안테나의 메인 빔은 수신 안테나의 메인 빔으로 향하게 되고 그 위에 고정되도록 의도될 때, 측면 로브로 또는 측면 로브 간의 통신을 위한 대신하는 메인 빔은 그 시스템이 이러한 시간 동안 전력 레벨 증가를 제어하도록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보상되어야 하도록 의도되는 것 이외의 조건에 응답할 때 전력 레벨 조절을 무효화시키기 위한 피드백 정보의 분석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일시적인 최대 전력 레벨은 메인 안테나 빔을 통하는 것 이외의 통신을 설정하기에 충분한 전력 레벨 조절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 및(또는) 안테나 조절 목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통상의 동작 중에 시스템이 통상적으로 동작하는 송신 전력 레벨 등의 유효 정보를 가짐에 따라, 가능하게는 그러한 레벨이 이용되는 동작 시간의 지속 또는 백분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시스템은 이러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오류 조건을 검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히스토리컬하게 경험되는 것보다 더 오랜 기간 동안 특정한 특정된 특성에 기초한 큰 전송 전력 레벨이 야기되는 경우, 시스템은 가능한 오류를 기술자에게 통지하고(하거나) 이웃하는 부품들에 의한 과도한 간섭을 유발하지 않도록 결정된 소정의 최대 레벨로 송신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그러한 오류를 검출하는 능력은 치밀한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데 있어서 현저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면, 많은 수의 점대점 시스템이 배치되는 경우, 특정 송신기의 안테나는 단지 몇도 정도 정렬에서 파열될 수 있다. 그렇더라도, 본 발명은 모니터된 수신 신호 성능을 사용함으로써 송신기 전력이 동적으로 조절되게 하여, 관련된 수신기가 송신기 안테나에서 이러한 약간의 이동에 의해 과도하게 영향을 받지 않고, 통신망의 다른 수신기는 간섭을 경험하기시작할 수 있다. 만약 안테나가 잘못 조절되는 송신기에 대한 습관적인 전송 전력 레벨의 상기 히스토리컬 측정이 없다면, 기술자는 실제로 문제점의 소스가 되는 특정 송신기에 관한 임의의 안내 없이, 영향을 받은 수신기 부위, 그의 대응하는 송신기 부위 또는 그 지역의 기타 송신기들에서 문제점을 해결하려 시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장점은 원하는 링크 성능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절하도록 적응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되는 것임을 인식해야 한다. 더욱이, 이 시스템 및 방법은 성능 레벨의 측정이 보다 장기간의 측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조차 그러한 링크 성능의 신속한 조절을 허용하도록 적응된다.
추가적 기술적 장점은 본 발명이 각각의 수신기/송신기 쌍에서 최소 안테나 빔 윤곽을 유지함으로써 통신 시스템의 치밀한 배치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이용될 수 있는 데서 실현된다. 따라서, 유효 스펙트럼은 동일 채널 간섭을 피하는 데 있어서보다 각각의 수신기/송신기 쌍에서 부가적 대역폭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추가적 기술적 장점은 동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이 보상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본 발명이 통신 파라미터들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현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후속하는 순서대로 본 발명의 특징 및 기술적 장점들을 광의로보다는 개략한 상기한 바들이 잘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허 청구의 범위의 요지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부가적 특징 및 장점을 이하 설명할 것이다. 개시된 개념 및 특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기타 구조물을 변경 또는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당업계의 숙련자라면 인식해야 할 것이다. 그와 동등한 구조물이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나타낸 바의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음을 당업계의 숙련자라면 역시 파악해야 한다.
본 발명 및 그의 장점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수반된 도면과 연관된 하기 설명을 이하 참조한다.
통상적인 점대점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에 신호 및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송신기 및 수신기 쌍 사이에 통신 링크가 설정된다. 예를 들면, 선행 기술의 점대점 통신 링크가 일반적으로 시스템(100)으로 도시되는 도 1A에 주목하면, 송신기(101) 및 수신기(102)는 송신기/수신기 쌍을 형성한다. 여기서, 송신기(101)는 사이에 신호 및 정보를 제공하기에 적절한 무선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수신기(102) 쪽으로 지향된 메인 빔(111a)을 갖는다. 송신기(101)는 또한 측면 로브, 배면 로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영향 지역(121a)을 포함하기도 하고, 여기서 송신기(101)에 의해 방사된 신호들은 메인 빔(111a) 밖에서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빔(111a) 또는 영향 지역(121a)에 배치된 임의의 수신기는 송신기(101)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점대점 시스템에 있어서, 단일 수신기 만이 특정 송신기와 통신을 설정할 것을 통상적으로 필요로 한다. 따라서, 수신기(102) 너머로 확장하는 메인 빔(111a) 부분(메인 빔 쉐도우)은 다른 송신기/수신기 쌍들의 통신 링크로 간섭을 도입할 가능성이 있다. 마찬가지로, 영향 지역(121a)은 다른 송신기/수신기 쌍의 통신 링크로 간섭을 도입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링크가 통상적으로 배치되는 환경은 방사된 신호들의 전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동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청명한 날에서 비가 많이 오는 날에 이르기까지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신호 감쇠의 차이는 40dB/km일 수 있다. 그러한 일시적인 상황의 효과는 감쇠된 메인 빔(111b) 및 감쇠된 영향 지역(121b)으로 예시된다.
극도의 신호 감쇠 기간 동안 송신기/수신기 쌍중의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어야 하는 충분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송신기/수신기 쌍중의 송신기는 증가된 전력 레벨로 송신되어야 하고, 감소된 신호 감쇠 기간 동안 조차, 시스템은 일정하게 전송된 신호 전력 레벨을 이용함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그러한 선행 기술의 시스템에서 다른 송신기/수신기 쌍은 이들 영역으로부터 배제되어야 하거나 또는 동일 채널 간섭을 피하기에 충분히 상이한 스펙트럼의 일부를 이용해야 한다.
더욱이, 링크 파라미터들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이 넓은 영역에 걸쳐 일정하지 않을 때, 즉, 강수율이 수많은 마일의 넓은 영역에 걸쳐 균일하지 않고, 따라서 완전히 예측할 수 없을 때, 이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링크 거리 전반의 링크에 대해 최대 영향을 미치는 상황의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해 설계되었다. 그 경우에만 링크가 모든 조건 동안 유지될 수 있음이 서서히 신뢰받을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송신기/수신기 쌍이 배제되어야 하는 지역은 동일 채널 간섭 효과가 모든 상황 하에 중재되는 것을 확신하기 위해 불필요하게 확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수신기, 즉, 수신기들(161 및 171)이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밀하게 위치하는 경우의 2개의 무선 링크(151 및 152)를 고려하자. 간단히 하기 위해, 하나의 송신기, 즉 송신기(162 및 172)에서 모든 수신기에 이르는 거리는 거의 동일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두 송신기로부터 신호에 관하여 수신기의 안테나 입력단에서 신호 레벨은 거의 동일한 레벨이고, 즉, 상이한 입사각을 갖더라도 수신기(161)에서 링크 신호(151) 및 간섭 신호(154)는 거의 동일한 레벨이고, 수신기(171)에서 링크 신호(152) 및 간섭 신호(153)는 거의 동일한 레벨이다. 그러나, 안테나로 받아들인 후 수신된 신호는 입사각에 의한 가변 이득을 갖는 안테나 패턴으로 인해 상이할 것이다. 링크(151)의 디자인은 간섭 신호(154)에 대한링크 신호(151)의 비율이 성능 요건을 만족시키기에 충분함을 보장해야 한다.
20 내지 40 GHz 무선 전송 시스템에 대해, 전파 손실은 비와 같이 공기 중의 수증기로 인한 시간 변수이다. 20 내지 50dB의 레인 마진은 상당한 도약 거리에 불가결하다. 어떠한 전력 제어도 없는 시스템에 대해, 전송된 전력 레벨은 일정하고 모든 시점에 이들 레인 마진을 포함한다. 청명한 날에, 전파 손실은 적고, 그에 다라 수신된 신호는 높고 간섭 역시 그러하다. 그러나, 강우량 밀도는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항상 일정하기 않기 때문에, 링크들(151 및 152) 사이의 전파 손실 역시 특히 많은 비가 오는 동안 시간 변수이다.
도 1C는 전파 손실차가 극도로 큰 경우, 예를 들면 하나의 링크가 비오는 지역(180)을 갖는 한편, 다른 링크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를 보여준다. 정상 조건 하에 수신기(161)에서 간섭에 대한 신호 비율이 XdB이고, 비로 인한 손실이 TdB인 것으로 가정하자(여기서 Y는 20dB보다 큰 수일 수 있음). 도 1C에 나타낸 경우의 신호 대 간섭비는 (X-Y)dB이다. 이는 링크 예산 디자인이 의도된 경로와 간섭 경로 사이의 간섭 및 전파 손실을 포함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전파 손실이 시간 변수일 때 수신되는 바의 일정한 링크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 제어 조절 등의 자동 링크 파라미터 조절을 이용한다. 도 3에 주의를 돌려,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 송신기/수신기 쌍을 갖는 통신 시스템(200)의 윤곽을 도시한다. 여기서, 송신기(201)는 사이에 신호 및 정보를 제공하기 적절한 무선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해 수신기(202) 쪽으로 지향된 메인 빔(211)을 갖는다. 송신기(201)는 또한 측면 로브, 배면 로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영향지역(221a)을 포함하기도 하고, 여기서 송신기(201)에 의해 방사된 신호들은 메인 빔(211) 밖에서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빔(211) 또는 영향 지역(221a)에 배치된 임의의 수신기는 송신기(101)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메인 빔(211) 및 영향 지역(221) 모두와 연관된 지역은 상기 도 1A에 나타낸 것보다 현저하게 적음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부가적 송신기/수신기 쌍들이 도 2의 송신기/수신기 쌍보다 훨씬 더 치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동적으로 변화하는 조건이 발생하는 동안 신호 저하 또는 통신 링크 고장을 피하기 위해, 도 2의 시스템은 수신기(202)에서 링크 특성을 측정하고, 수신기에서 측정된 바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통신 파라미터들을 제공하기 위해 송신기(201)에서 전송을 조절하도록 동작한다. 이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크기로 남아있는 메인 빔(211)으로서 예시되고, 즉, 도 1A의 시스템에서와 같이 어떠한 감쇠된 메인 빔도 예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통신 파라미터들이 변화하는 조건을 보상하기 위해 반드시 조절되어야 함에 따라, 즉, 송신기(201)의 송신 전력 레벨이 강수로 인한 감쇠를 중재하기 위해 증가됨에 따라, 영향 지역(221a)은 약간 확대된 영향 지역(221b)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일정하게 남아있을 수 없다. 예를 들면, 송신된 전력은 메인 빔의 전파 손실을 보상할 수 있고 측면 로브 영역에서 과잉 보상될 수 있다. 송신기(201)와 수신기(202) 사이의 통신 링크를 유지하고, 가능하다면 일관된 링크 성능 특성을 유지하는 것 역시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영향 지역의 변동은 본 발명에 따라 허용될 수 있고, 단 공존하는 송신기/수신기 쌍들에 의한 원치 않는 간섭을 제공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목적하지 않는 결과를 도입하기에 충분히 변화하지 않는다.
전력 제어 시스템들이 본 발명에 따라 배치될 때, 수신된 신호 레벨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링크들 사이의 전파의 차이는 신호 및 간섭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중요치 않다. 따라서, 레인 마진 이상의 전력 제어 범위를 갖는 것이 양호할 수 있다.
상기한 바로부터, 시스템 동작의 관점에서, 선행 기술의 시스템과 본 발명의 시스템 간의 주요 차이는 선행 기술의 일정한 송신 전력 시스템이 적은 전파 손실(청명한 날씨) 기간 동안 간섭으로 제한되고, 큰 전파 손실(비가 많이 오는 날) 기간 동안 열적으로 제한되는 한편, 본 발명의 일정하게 수신된 신호 전력 시스템은 동시에 열적으로 제한됨을 알 수 있다. 더욱이, 강수율은 수많은 마일의 광범위 영역에 걸쳐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선행 기술의 시스템의 간섭으로부터 열적으로 제한된 조건으로의 전이는 균일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전체적인 통신망 성능은 분석하기에 극도로 복잡하고, 따라서 부가적 비간섭 송신기/수신기 쌍을 배치하기는 곤란하다. 추가로, 일정하게 송신된 전력 라인을 갖는 모든 링크가 일부 강우 패턴에 따를 성능 요건에 부합할 수는 없음은 자명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일정하게 수신된 전력 시스템은 작은 변동 영역을 갖는다. 따라서, 무선 통신망의 성능 관리는 가능하다.
도 3에 주의를 돌리면, 본 발명에 따라 적응된 송신기/수신기 쌍의 블록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어 시스템은 무선 링크 상의 모든 전파 손실 상황하에 일정한 레벨로 링크 파라미터들을 유지하도록 포함된다. 양호하게는, 제어 시스템은 폐쇄된 루프 전력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고, 여기서 수신된 신호 에러 레벨이 검출되어 송신된 전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폐쇄된 루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작용하는 2 부분을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제어 시스템의 일부는 전력 필요 알고리즘(320)으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기(202) 내에 또는 그와 함께 배치되고, 제어 시스템의 다른 부분은 링크(300)를 통한 통신에서 전력 변화 알고리즘(310)으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기(201) 내에 또는 그와 함께 배치된다.
수신기의 적어도 일부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따른 장점은 링크 상에서 실제로 경험하는 바의 신호 특성이 수신기에서 가장 용이하게 측정된다는 것이다. 송신기의 적어도 일부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따른 장점은 제어기가 필요할 경우 송신기를 조절하도록 동작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에서 임의의 오류가 나타나고, 제어 시스템은 오류 조건을 인식할 수 있고, 송신기가 그대로 조절되게 하는지 여부 또는 송신기가 오류 조건에 응답하여 조절되는 지 여부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어 시스템은 증가된 전력에 대한 요청과 무관하게 특정한 검출된 오류 중에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송신기에 명령할 수 있고, 송신기가 보다 많은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에 특히, 그것은 수신기에 위해 수신되는 바의 신호를 개선시키지 않을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수신기(202)의 CPU(302)에 의해서와 같이 프로세서에 기초한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전력 필요 알고리즘(320)은 복조기(304) 등의 수신기 회로에 결합되어 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의 속성(attribute)이 소정의 허용되는 레벨 이상인지 또는 그 이하인지를 결정한다. 전력 변화 출력의 요청은 링크(300)의 리버스 채널을 통해 무선 링크의 다른 측면 상의 송신기(201)로 전송될 것이다.
통상적인 점대점 시스템에서 각각의 사이트는 송신기 및 수신기 모두를 포함하고, 즉, 도 2에 예시된 순방향 링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리버스 링크가 각각의 송신기/수신기 쌍에 대해 존재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리버스 링크는 순방향 링크와 상이한 주파수로, 즉, 순방향 채널 및 리버스 채널의 주파수 분할로 동작한다. 물론, 리버스 링크는 필요할 경우 시분할 듀플렉싱(TOD), CDMA 또는 기타 그러한 다중 액세스 대책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리버스 링크는 일반적으로 가입자 페이로드를 위해 이용되고, 즉, 가입자는 쌍방향 정보 링크를 이용한다. 그러나, 종종 제어 채널은 이러한 리버스 채널 링크에 포함되고(제어 채널들은 순방향 링크에 포함될 수도 있음). 따라서, 본 발명은 수신기에 배치된 제어 시스템 부분과 송신기에 배치된 부분 사이에 링크를 제공하는 이러한 제어 채널을 이용한다.
제어 채널은 전송된 데이터의 각각의 패킷 상의 비트 오버헤드일 수 있고, 따라서 다소 대역폭에서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어 채널에서 제어 시스템 정보의 통신을 최적화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이 양호하다.
그러나, 송신기/수신기 쌍 간의 현존하는 쌍방향 링크에서 제어 채널의사용은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면, 리버스 채널 링크는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 정보 통신을 위해 단독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일방향 무선 링크가 배치되는 경우에만,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이 공중 스위치된 전화 네트워크(PSTN), 광대역 통신망(WAN), 인터넷, 케이블 시스템 등의 통신 링크 파라미터 조절 정보를 위한 기타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양호한 실시예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리버스 채널이 최적화됨에 따라, 이용된 리버스 링크는 순방향 링크 가입자 통신보다 실질적으로 더 좁은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그의 단가 및 복잡성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점대점 시스템 외부에 그러한 링크를 사용함으로써 순방향 링크 제어 채널을 수용할 수 있고 따라서 부가적 가입자 페이 로드를 자유롭게 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송신기(201)의 CPU(301) 등의 프로세스 베이스드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전력 변화 알고리즘(210)은 송신 무선 주파수(TxRF) 모듈(303) 등의 송신기 회로에 결합되어 전력 필요 알고리즘(320)으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고, 송신기가 요청되는 바와 같지 조절되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송신기(201)가 조절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명령 신호는 TxRF 모듈(303) 내에 위치하는 전자 제어 감쇠기 등의 송신기(201)의 조절 회로에 전력 변화 알고리즘(310)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양호한 실시예는 전력 변화 알고리즘(310) 및 전력 필요 알고리즘(320) 각각의 동작을 위해 송신기(201) 및 수신기(202)와 연관된 CPU를 이용하더라도, 그것이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음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대안의 실시예는 상기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실행하기 위해 그와 연관된 메모리를 갖고 송신기(201) 또는 수신기(202)와 인터페이스를 이루도록 적응된, ,INTEL 80x86 패밀리의 중앙 처리 장치에 기초한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 등의 범용 프로세스 베이스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양호하게는, 수신 복조기는 링크(300)의 수신측에 관한 정보의 소스이다. 복조기(304)를 이용함으로써, 전력 필요 알고리즘(320)은 링크 성능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호한 실시예에서, 복조기(304)에 의해 제공된 정보로부터, 전력 필요 알고리즘(320)은 신호의 비트 에러율(BER) 뿐만 아니라 수신 신호 강도 지시기에 관한 정보로서 제공된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필요 알고리즘(320)은 전력이 전류 레벨로부터 조절되어야 하는지 여부 및 그럴 경우 이러한 조절이 상향되는지 또는 하향되는지를 실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에 주의를 돌리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 필요 알고리즘(320)의 흐름도가 도시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수신기가 경험하는 바의 링크 성능은 변화하는 링크 조건을 보상하도록 링크 파라미터들을 조절하는 경우에 측정된다. 따라서, 전력 변화 알고리즘(310)은 통신 링크의 BER을 측정한다. 물론, 링크 성능의 다른 측정들이 필요할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대안의 실시예는 수신된 신호 레벨, 잡음 레벨에 대해 수신된 신호 레벨 등의 수신된 신호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고속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 통신되는 데이터가 신뢰할수 있고 정보의 반복되는 전송에 의해 낭비되는 대역폭을 피하기 위해 데이터의 재전송을 피할 수 있는 것이 양호하다. 따라서, 링크 에러율은 꽤 낮게 설정되는 것이 양호하다. 예를 들면, 특정 링크에 대해 설정된 BER은 10-12의 크기 치수일 수 있고, 즉, 수신된 1012개의 비트마다 하나의 에러가 경험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가 100Mbit/sec로 전송되는 경우, 하나의 에러를 검출하는 데 2.78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은 원하는 링크 성능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 환경 변화율 또는 기타 링크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인 조건에 통신 시스템의 조절을 실질적으로 매치시키도록 동작한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환경 변화율을 부합시키는 것은 링크 성능의 연속적 및 순간적 측정 및 링크 파라미터들의 조절을 필요로 한다. 대안으로, 그러한 연속적 및 순간적인 측정 및 조절은 증분의 측정 및(또는) 조절에 의해 분배될 수 있고, 즉, 동작이 허용되는 마진을 제공한다.
그러한 조절이 얼마나 빈번하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하여 조절 단계에 관한 균형(trade off)이 존재한다. 시스템이 서서히 조절해야 하는 경우, 환경 변화에 부합하기 위해 보다 많은 조절 단계가 필요하다. 그와 같이 많은 조절 단계들 사이에 적어도 최소한의 원하는 링크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수신기가 경험하는 바의 링크 품질의 보다 큰 마진이 허용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링크 성능의 측정이 수신 신호 강도를 참조하여 수행되는 경우,특정 전력 레벨, 즉, XdB가 선택될 수 있다. 조절이 1dB의 증분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수신 신호가 강할 때조차, 시스템은 1dB의 최소 증분의 조절 전에 미리 선택된 최소 XdB로의 링크 저하를 허용하도록 X+1dB에서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는 송신기가 모든 시점에 송신함에 따라 이러한 송신기/수신기 쌍 둘레의 배타적인 영역의 증가로 변형되고, 큰 증분 조절을 보상하기에 충분한 전력 레벨이 설정된다.
더욱이, 조절 단계들이 너무 많은 경우, 수신기는 적절히 동작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예를 들면, 송신된 전력 레벨에서 갑자기 이루어진 큰 변화는 수신기 AGC, 로킹 루프 등에서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허용되는 레벨의 증분 조절이 사용되기에 충분한 전송 파라미터들을 조절할 필요가 있도록 측정하는 것이 양호하다.
그러나, 그러한 신속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항상 가능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BER 결정을 이용하는 상기 양호한 실시예는 결정하기 위해 상당한 길이의 시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환경 조건은 그러한 시간에서 실질적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링크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다중 프로세스, 양호하게는 저속의 보다 정확한 프로스세스 및 고속의 보다 거친 프로세스를 이용한다. 궁극적으로, 저속 프로세스의 정보는 실제로 전달될 품질 그대로 링크 성능 기준점일 수 있지만, 미세한 프로세스의 결정에 대한 거친 프로세스의 상관 관계를 통해, 링크 성능에 대한 일시적이거나 또는 거의 일시적인 결정이 이루어질수 있는 것이 양호하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링크 성능의 정확한 측정 또는 BER 측정은 실제로 측정하기 위해 보다 장시간을 필요로 한다. 구체적으로, 미세한 BER의 결정은 일반적으로 비트 에러의 수를 소정의 간격으로 계수함으로써 달성된다. 측정의 정확도는 측정 기간 동안 계수되는 에러 수에 기초한다. 약간의 정확도를 얻는 데 장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우수한 절충 해결책은 2개의 연속적인 에러 사이의 간격을 기록하는 것이다. 미세한 BER의 연산은 마지막 x개의 에러들, 예를 들면 마지막 10개의 에러에 걸친 평균 에러 간격의 결정을 이용할 수 있다. 평균 에러 간격에서 비트수는 평균 에러 간격의 비트율배이다. 미세한 BER은 평균 에러 간격에서 비트수에 비해 1이다. 이러한 측정 대책은 검출되는 에러마다 1회 미세한 BER이 갱신되게 한다.
그러나, 보다 신속히 측정될 수 있는 링크 성능의 정확하지 못한 지시가 있고, 적절히 이용되는 경우, 실제 링크 성능의 매우 양호한 지시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2개의 링크 파라미터들이 매우 신속하게 측정되고, 즉, 실질적으로 순간적으로 및 연속적으로 측정된다. 상세하게는 수신 신호 강도 지시기(RSSI) 및 거친 BER이 거친 링크 성능을 고정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측정된다.
본 발명의 송신기/수신기 쌍의 정보 통신은 에러 정정 코딩의 일부 형태를 이용할 수 있음이 예상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전송 에러는 검출될 수 있고, 가입자에게 정보가 제공되기 전에 정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친 BER은 그러한 에러정정 코드가 전송 에러를 정정하기 위해 이용되기 전에 에러율을 탭한다. 따라서, 에러는 가입자가 경험한 바의 에러율을 참조하는 경우보다 훨씬 더 빠르게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가입자가 경험하는 바와 같이 BER과 BER 사이의 1:1 상관 관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미세한 BER에 이러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상관시키기 위해 링크 성능의 거친 결정에 있어서 제 2 링크 파라미터를 이용한다.
더욱이, 단일 링크 파라미터 측정이 링크 파라미터 조절의 신속한 결정에만 의존하는 경우, 조절에 있어서 히스테리시스가 문제일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통신 링크에 영향을 미치는 잡음 및 기타 현상으로 인해, 거친 BER 만이 조절 결정을 내리는 데 이용되는 경우, 거친 BER이 상당한 비트로 변동됨에 따라, 즉 거친 BER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0.5초마다 상이해짐에 따라 통신 파라미터의 일정한 조절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링크 성능에 현저하게 영향을 주지 않는 그러한 일시적인 변화에 응답하여 송신기를 연속적으로, 즉, 하나 위, 하나 아래, 하나 위, 하나 아래로 조절하는 것이 양호하지 않다.
따라서, 양호한 실시예는 2개의 측정치, 즉, RSSI 및 거친 BER 모두를 이용한다. 모두 기준값보다 나을 때(상한 또는 하한 임계값이든지, 임계값을 초과할 때), 이 시스템은 실제로 훨씬 더 많은 전력을 송신하기 쉽고, 하향 조절이 타당하고, 파라미터들 중의 하나가 양호하고(상한 또는 하한 임계값이든지, 임계값을 초과할 때), 나머지 파라미터는 불량할 때(상한 또는 하한 임계값이든지, 임계값을초과하지 않을 때), 이는 링크 파라미터들을 조절할 가치가 없고 통신 링크에 영향을 미치는 약간의 환경적인 또는 기타 현상을 나타낼 수 있다.
BER에 관하여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서, 평균 거친 BER 및 평균 RSSI는 각각의 에러 간격 상으로 연산된다. 따라서, 최종적인 평균의 거친 BER 및 RSSI 연산은 이들 평균이 미세한 BER에 비해 훨씬 더 자주 갱신될 수 있더라도 미세한 BER 연산을 위해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간격에 기초할 것이다.
양호하게는, 제어 시스템은 2개의 연속적인 전력 변화 요청 사이에 RSSI 및 거친 BER의 다수의 시료를 취하게 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취해진 시료의 수는 하나의 시료에서 다른 시료의 변화에 기초한다. 따라서, 시스템이 상당히 안정적인 경우, 처리 전력은 보다 적은 수의 시료를 취하고 보다 적은 연산 등을 수행함으로써 보존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이 보다 신속한 변화를 경험하는 경우, 제어 시스템은 이들 변화에 보다 신속하고 보다 정확하게 보상하기 위해 보다 신속한 측정을 행하도록 반응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실시예는 가입자가 경험하는 바의 BER을 연산하고(박스 401), 2시간을 소요할 수도 있고, 기준을 확정하기 위해 RSSI 및 거친 BER(박스 403)을 동시에 측정한다. 측정된 RSSI 및 거친 BER을 기록함으로써 이들 측정치의 평균은 링크 성능에 관한 보다 정확한 고속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하기 위해 궁극적으로 측정된 미세한 BER에 상관될 수 있고, 즉, 링크 성능의 저속 측정은 링크 성능 기준점의 고속 측정으로 변경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RSSI 및 거친 BER에 대한 BER의 상관 관계의 목적은 측정된 RSSI 및 거친 BER 임계값중 어느 것이 원하는 미세한 BER을 달성하기 위한 것인지, 즉 시스템 성능 요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BER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미세한 BER, 평균 RSSI 및 거친 BER 측정치에 기초하여, 상관기는 실제로 측정된 미세한 BER이 기대한 것 이하인지 또는 그 이상인기에 좌우되어 평균 RSSI 및 거친 BER 이상 또는 이하로 RSSI 및 거친 BER 임계값을 설정할 것이다.
일단 링크 성능의 이와 같이 저속 측정이 고속 측정 참고 지점으로 전송되면, 임계 값들은 링크 파라미터들의 실질적으로 순간적인 또는 실시간 조절을 위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현재 측정된 파라미터들, 즉 거친 BER 및 RSSI가 상기 링크 파라미터들의 조절이 요구된다는 것을 나타내는지를 결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친 BER이, 원하는 미세한 BER(박스 404)과 연관된 임계 기준보다 낮고, RSSI가 원하는 미세한 BER(박스 405)과 연관된 임계 기준보다 더 큰 경우, 전력 레벨이 감소되어야 하는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박스 407). 반대로, 거친 BER이 원하는 미세한 BER(박스 404)과 연관된 임계 기준보다 크고, RSSI가 원하는 미세한 BER(박스 406)과 연관된 임계 기준보다 더 큰 경우, 전력 레벨이 증가되어야 하는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박스 407). 그러나, 거친 BER이 원하는 미세한 BER(박스 404)과 연관된 임계 기준보다 낮고, RSSI가 원하는 미세한 BER(박스 405)과 연관된 임계 기준보다 더 낮은 경우, 또는 거친 BER이 원하는 미세한 BER(박스 404)과 연관된 임계 기준보다 크고, RSSI가 원하는 미세한 BER(박스 406)과 연관된 임계 기준보다 더 큰 경우, 전력 레벨이 동일하게 유지되어야 한다는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박스 407).
따라서, 판정 알고리즘은 전력 레벨에 관하여 다음 요청이 무엇일지, 즉, 증가, 감소 또는 변화 없음에 관하여 결정한다. 전력 레벨 변화는 긍정적인 지시에 기초하고, 즉, RSSI 및 거친 BER 모두가 임계값보다 양호하거나 또는 불량하다. 2개의 파라미터중의 단지 하나가 임계값보다 더 양호한 경우 변화에 대한 결정적이지 못한 지시는 어떠한 통신 링크 조절도 초래할 수 없는 것이 양호하다.
전력 필요 알고리즘에 따라 이루어진 특정 결정은 송신기를 조절하도록 실제로 동작하는 제어 시스템의 일부로 통신되는 것이 양호하다(박스 408). 그러나, 어떠한 조절도 양호하지 않은 경우, 이러한 결정의 전송은 리버스 링크의 불필요한 이용을 피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음이 인식될 수 있다. 대안으로, 결정이 송신기에 사용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및 계통적으로 통신되는 경우에, 수신기에 배치된 제어 시스템의 일부의 연속 동작을 결정하기 위해서와 같이, 이러한 "변화 없음" 정보의 전송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전력 필요 알고리즘(320)의 양호한 실시예를 기재하기 위해, 이하, 전력 변화 알고리즘(310)의 양호한 실시예의 흐름도가 도시된 도 5를 참조한다. 양호하게는, 각각의 링크는 비정상적인 조건이 발생하는 동안 각각의 무선 및(또는) 기타 통신 링크를 보호하기 위해 설정된 그와 연관된 최대 및 최소 전력 레벨을 갖는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로 또는 기타 지식 베이스 또는 박스 501로 예시한 바의 전력 필요 알고리즘(320)과 연관되거나 또는 그에 액세스할 수 있는 참고 테이블에 제공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최대 전력 레벨은 링크 거리 및 링크 성능 요건의 상수로서 설정된다. 최소 전력 레벨은 양호하게는 링크 거리 및 링크 성능의 함수로서 설정되고, 시동 프로세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스템이 전체적으로 턴다운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무선 링크를 고려하면, 하나의 무선 링크는 나머지보다 더 긴 링크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긴 거리 링크는 그와 연관된 통상적으로 보다 짧은 거리 링크보다 더 큰 최대 및 최소 전력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2개의 무선 링크가 동일한 링크 거리를 갖더라도 상이한 링크 유효도 성능 요건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보다 큰 링크 유효도 요건을 갖는 링크는 보다 작은 링크 유효도 요건을 갖는 링크보다 더 큰 최대 전력 레벨을 통상적으로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최소 레벨은 각각의 레벨에 대해 동일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 나타낸 공칭 전력 레벨은 전송되는 대부분의 시간의 전력 레벨인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공칭 레벨은 링크 거리로부터 연산될 수 있고(있거나) 링크와 연관된 히스토리컬 정보로부터 연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공칭 전력 레벨은 시스템이 과도한 전력 레벨에서 너무 오래 동작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값 과 갖는 기준 레벨로서 사용되고, 시스템 오류 또는 일부 다른 별난 조건을 나타낸다. 더욱이, 공칭 전력 레벨은 최소 전송된 전력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최소 전력 레벨은 공칭 전력 레벨 이하로 XdB를 설정할 수 있다.
링크 파라미터 범위의 설정은 특수 조건의 발생을 수용하는 것이 양호하다.예를 들면, 최소 전력 레벨은 경로를 다소 일시적으로 소실시키는 일부 비상 환경 조건 또는 기타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에 설정도리 수 있다. 그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통신이 이러한 현상 중에 유지될 수 있더라도, 그러한 현상이 사라질 때 링크의 목적하지 않는 소실 또는 기타 통신 문제점들을 피하기에 충분히 신속히 통신 파라미터들을 조절할 방도가 없기 때문에, 전력 레벨을 특정 지점 이하로 조절하는 것은 양호하지 못하다.
마찬가지로, 최대 전력 레벨은 전력 레벨의 어떠한 조절량도 원하는 링크 성능을 유지할 수 없다는 현상에 응답하여 전력 레벨을 상향 조절하는 것을 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기 검정 기술 및(또는) 링크의 히스토리컬 동작 조건을 참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듯이, 최대 감쇠를 위해 가능한 최소 설정치와 동일하게 최대 레벨을 설정하거나 또는 그보다 약간 더 크게 설정함으로써, 시스템은 그러한 조건을 보상하면서 서비스 중단을 유발하는 장비 고장이 발생할 때 제어되지 않는 전력 증가를 허용하지 않을 것임을 인식해야 한다.
전력 범위를 제한하는 상기 값의 사용은 본 발명이 다양한 조건에 대해 조절되게 하고 히스토리컬 정보 또는 지식 베이스의 기타 소스에 따라 적응될 수 있게 함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면, 일부 경우에, 99.999%("five nines")의 링크 신뢰도를 제공하는 것이 양호하거나 또는 강우 감쇠로 인해 연간 전체 5분의 느슨한 데이터 전송을 허용한다. 이러한 링크 신뢰도 레벨은 많은 감쇠의 몇 배를 보상하기 위해 보다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변화 알고리즘(310)의 전력 범위와 연관된 최대 전력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99.99%("four nines")의 링크 신뢰도 또는 연간 전체 15분의 데이터 전송 손실이 허용될 수 있다. 전력 범위와 연관된 최대 전력 레벨은 하위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알고리즘에서 이들 조절 가능한 파라미터들의 사용은 단일 알고리즘이 지정된 파라미터들 내에서 시스템을 동작하게 하고, 이는 특정 동작 상태 또는 조건에 대한 별개의 알고리즘 또는 함수에 대한 필요성 없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배치 별로 변화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대신에, 단일 알고리즘은 원하는 조절이 허용되는 파라미터 내에서 이루어지는지를 간단히 결정할 수 있고, 시스템이 어떤 조건 하에 동작하는지를 실제로 결정하지 않고 이러한 변화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준 시스템이 개발되어 배치되지만 히스토리컬 동작 정보에 응답하여 초기 및 후기 배치에 따라 각각의 링크의 동작 환경에 대해 조절될 수 있는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방도를 제공한다.
양호한 실시예의 전력 변화 알고리즘(310)은 도 5에 예시되는 바의 전력 필요 알고리즘(320)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 레벨 변화를 수용하도록 동작한다. 이후, 상기 전력 범위 정보(박스 501)를 참조한 알고리즘은 원하는 전력 변화가 이러한 범위 내인지를 결정한다(박스 502). 원하는 변화가 전력 범위 내인 경우, 그 변화는 요구된 대로 실행된다. 그러나, 그 변화가 전력 범위 내가 아닌 경우, 그 요구는 구현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증가된 전력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지만, 시스템이 이미 최대 전력 레벨에서 동작하는 경우, 원하는 전력 변화는 허용되는 범위 내일 수 없고, 따라서 그 요청은 받아들여질 수 없다.
판정이 송신된 전력을 변화시켜야 하는 경우, 메시지 또는 제어 신호는 감쇠기 값을 변화시키기 위해 전력 변화 알고리즘(310)으로부터 TxRF 모듈(303)로 전송될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전력 레벨의 조절은 일관된 증분을 갖는다. 예를 들면, 전력 변화 알고리즘(310)이 감쇠기에게 송신된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도록 명령하는 경우, 전력 레벨 증가의 단일 유니트가 증가한다. 마찬가지로, 전력 변화 알고리즘(310)이 감쇠기에게 송신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명령하는 경우, 전력 레벨 증가의 단일 유니트가 감소한다.
그러나, 대안의 실시예에서, 링크 파라미터 조절은 비선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을 증가시킬 때, 시스템은 보다 큰 단계들에서 증가할 수 있지만 전력을 감소시킬 때 시스템은 보다 작은 단계들에서 감소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시스템은 파라미터 조절 요구, 즉, 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속적인 요청의 빈도를 결정할 수 있고, 이들 요청이 반복됨에 따라 보다 많은 수의 적은 조절보다는 오히려 보다 적은 수의 큰 조절을 행한다. 예를 들면, 임계 값이 1회 교차하는 경우, 시스템은 링크 파라미터를 일 단계로 조절한다. 그러나, 동일한 임계값이 소정의 기간 내에 2회 교차하는 경우, 시스템은 링크 파라미터들을 2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대안으로, 2세트의 임계값이 제공될 수 있고, 제 1 임계 값이 교차하는 경우, 시스템은 링크 파라미터를 1단계로 조절하지만, 제 2 임계 값이 교차하는 경우 시스템은 링크 파라미터를 2단계로 조절한다. 이들 실시예는 돌연한 감쇠가 "폭우(cloud burst)"형 강수를 통해 경험하게 되는 경우 전력 증가의 작은 증가 단계가 매우 실질적이고 거의 일시적인 감쇠를 보상하기에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 양호할 수 있다.
이들 증분 조절의 크기 뿐만 아니라 대안의 증분 조절이 이용될 수 있는 조건은 데이터 베이스 또는 기타 지식 베이스 또는 상기 전력 범위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바의 정보 테이블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범위에 의해, 증분 조절은 시스템이 배치되는 특정 환경에 대해 맞추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전력 범위로서 박스 501로 예시한 바와 동일한 데이터 베이스 내에 실제로 저장될 수 있다. 대안으로, 별개의 데이터베이스는 이러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초기 전력 상향 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작 동작 전에 시스템은 미세한 BER 측정을 대기하지 않는 것이 양호하다. 따라서, 공장에서 부하될지도 모르는 디폴트 값의 설정은 시스템을 시동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들 디폴트 값은 설정된 특정 링크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임의적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면 링크 거리 등의 설치 시간에 공지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할 수 있다.
시스템이 동작되지만, BER이 측정되지 않을 때, 예를 들면, 어떠한 에러도 검출되지 않거나 또는 전력이 증가한 직후, 시스템 검정이 수행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시스템 검정은 링크 파라미터 조절을 결정하기 위한 임계값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되고, 전력 범위 정보의 상기 디폴트 값들의 조절을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예를 들면, 10-12의 크기 순으로 에러를 가정하면, 특정한 원하는 에러율을 측정하기 위해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그와 같이 에러를 장기간 측정한 후, 실질적으로 어떠한 에러도 없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먼저, 실질적으로 어떠한 에러도없다는 이러한 결론이 양호한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시스템이 에러율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경우, 시스템은 훨씬 더 많은 전류에 의해 전송되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에러 없는 링크를 제공하더라도, 다른 통신과 간섭하게 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검정은 전력 필요 알고리즘이 송신된 전력을 하향 조정하도록 할 수 있는 3개의 파라미터, 미세한 BER, 거친 BER 및 RSSI의 값을 감소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들 값의 감소는 일부 측정 가능한 에러가 검출될 때까지 반복된다. 일단 에러가 검출되면, 이들 값 또는 이들 값중 일부는 원하는 링크 성능 레벨을 달성하기 위해 다시 조절될 수 있거나 또는 증가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전력 제어 시스템의 디자인은 조절과 조절 사이에 약간의 저하를 허용하는 데 필요한 성능보다 약간 더 높게 동작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양호하다. 따라서, 필요한 링크 성능을 초래하는 데 적절한 것 등의, 실제로 측정된 통신 파라미터들 및 필요한 통신 파라미터들에서 마진이 필요하다. 따라서, 양호한 실시예의 상관기는 필요할 경우 시스템 마진을 삽입한다. 예를 들면, 특정한 거친 BER과 조합한 특정 RSSI가 원하는 링크 성능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것을 상관기가 결정하더라도, 이 상관기는 이와 같이 결정된 RSSI 값에 시스템 마진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관기는 임계값을 증가시킴으로써 시스템 마진을 도입하거나 또는 증가시킨다.
점대점 송신기/수신기 쌍의 설치 및 수행중의 업무중의 하나는 모든 안테나를 즉, 각각의 안테나가 서로 지향하는 순서대로 정렬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시스템에 의해 보다 큰 거리로 연결됨에 따라, 단지 몇도 정도의 안테나의 물리적인 오조절은 측면 로브 상에 1개 또는 모든 안테나가 정렬되게 하고, 즉, 안테나들은 메인 빔보다 오히려 측면 로브 상에 서로 지향하고, 여기서 송신된 전력이 이를 발생시키기에 충분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전력 범위의 최대 전력을 공칭 레벨(또는 메인 안테나 빔을 통해 특정 길이의 링크에 비해 통신을 위해 기대되는 레벨) 바로 위로 감소시킴으로써 이들 목적하지 않는 링크를 통한 통신을 피한다. 이러한 상황 하에, 시스템은 안테나가 각각의 메인 빔 내에 지향될 때만 동작할 수 있다. 더욱이, 이 기술은 잘못된 방향으로 무선 장치를 지향시킴으로써 정렬 과정 동안 설치되는 베이스 무선 장치들에 대한 간섭의 감소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시스템 오류, 특히 간섭이 다른 링크로 도입될 수 있도록 링크 파라미터들을 조절할 수 있는 것들을 인식하고 그에 반응하도록 적응된다. 도 6에 주목하면, 시스템 오류를 결정하기 위해 내부에 판정 박스를 갖는 전력 변화 알고리즘(310)의 양호한 실시예의 흐름도가 도시된다(박스 601).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전력 레벨 조절 요청은 요구된 변화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스템의 한계에 속하는 것에 대한 결정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시스템이 오류 상태가 아니라는 결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시스템이 오류 상태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시스템은 일시 정지될 수 있고, 오퍼레이터는 이를 인식한다. 대안으로, 시스템이 오류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시스템은 원하는 링크 성능 레벨은 아니더라도 잠재적으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공칭 전력 레벨 또는 최대 전력 레벨 등의 일부 소정의 레벨로 전송을 계속할 수 있다.
시스템 오류는 시스템이 공칭 전력 레벨보다 실질적으로 더 높은 전력 레벨에서 동작하는 기간을 측정하는 수단을 통해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질적인 감쇠 기간이 간단히 발생하였고 시스템이 히스토리컬하게 경험한 과도한 시간의 길이 동안 증가된 전력 레벨에서 동작한 경우, 시스템이 오류 상태임을 결론내릴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시스템은 전력 변화 요청의 횟수, 우형 및(또는) 빈도로부터 오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은 장기간에 걸쳐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요청만을 계속 수신할 수 있다. 이는 보상해야 하는 환경 상대보다 안테나 정렬 동향을 나타낼지도 모른다. 따라서, 시스템은 그러한 증가가 더 이상 예견되지 않음을 판정하도록 동작하고 잠재적인 오류 상태를 오퍼레이터에게 통보할 수 있다.
본 발명 및 그의 장점을 상세히 기재하였지만,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로 제한되는 바의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여러 가지 변화, 치환 및 변경이 여기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44)

  1. 점대점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기에 연관된 메인(main) 안테나 빔 윤곽(contour)을 갖는 상기 송신기;
    상기 메인 안테나 빔을 통해 설정된 링크를 통해 상기 송신기와 통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가 경험하는 링크 속성을 측정하고, 상기 메인 안테나 빔 윤곽을 실질적으로 상수로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송신기를 제어하도록 적응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점대점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속성은 상기 링크의 성능 특성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 속성을 포함하는, 점대점 통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성능 특성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 속성에 상관시키고, 상기 성능 특성은 상기 부가적 속성보다 측정하기 위해 보다 더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고, 현재의 상기 성능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상관 관계를 사용함으로써 현재 측정된 상기 부가적 속성에 의존하는, 점대점 통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특성은 미세한 비트 에러율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 속성은 거친 비트 에러율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링크 속성 범위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기가 상기 송신기로 하여금 상기 속성 범위 밖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방지하는, 점대점 통신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범위는 최대 전력 및 최소 전력을 포함하는, 점대점 통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력은 상기 링크의 설치 페이즈(phase)동안 공칭(nominal) 전력 레벨보다 약간 더 높게 설정되는, 점대점 통신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전력은 상기 링크의 동작 페이즈동안 최악의 경우의 감쇠 조건에 대해 충분한 것으로 결정되는 전력 레벨보다 약간 더 높게 설정되는, 점대점 통신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송신기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점대점 통신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신기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점대점 통신 시스템.
  11. 통신망의 송신기와 수신기 쌍 간의 링크에 실질적으로 일관된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성능 특성 및 상기 성능 특성 외에 상기 링크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모니터하기 위해 수신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모니터로서, 상기 모니터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된 부가적 속성을 모니터된 상기 성능 특성과 상관시키고, 그에 의해 상관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모니터는 현재 모니터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 속성 및 상기 상관된 정보의 함수로서 링크 조작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모니터; 및
    미리 설정된 동작 파라미터들내에 있는 상기 링크 조작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조작의 결정 및 상기 링크 조작 제어 신호의 함수로서, 상기 링크를 조작하기 위해 상기 송신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조종기를 포함하는, 통신망의 송신기와 수신기 쌍 간의 링크에 실질적으로 일관된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 속성이 수신 신호 강도 및 거친 비트 에러율을 포함하는, 통신망의 송신기와 수신기 쌍 간의 링크에 실질적으로 일관된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특성은 미세한 비트 에러율인, 통신망의 송신기와 수신기 쌍 간의 링크에 실질적으로 일관된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 속성은 적어도 2개의 부가적 속성인, 통신망의 송신기와 수신기 쌍 간의 링크에 실질적으로 일관된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된 정보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부가적 속성들중 의 제 1 속성과 연관된 제 1 임계값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부가적 속성들중 제 2 속성과 연관된 제 2 임계값을 포함하는, 통신망의 송신기와 수신기 쌍 간의 링크에 실질적으로 일관된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 1 속성 및 상기 제 2 속성 모두가 그들의 각각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을 때 제 1 값이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 1 속성 및 상기 제 2 속성 모두가 그들의 각각의 임계값을 초과할 때 제 2 값이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 1 속성 및 상기 제 2 속성중의 하나가 그들의 각각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고, 상기 제 1 속성 및 상기 제 2 속성중의 다른 하나가 그들의 각각의 임계값을 초과할 때 제 3 값인, 통신망의 송신기와 수신기 쌍 간의 링크에 실질적으로 일관된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값은 상기 송신기에서 전력 증가와 연관되고, 상기 제 2 값은 상기 송신기에서 전력 감소와 연관되고, 상기 제 3 값은 상기 송신기에서의 전력 유지와 연관되는, 통신망의 송신기와 수신기 쌍 간의 링크에 실질적으로 일관된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 파라미터는 제 1 전력 범위를 포함하는, 통신망의 송신기와 수신기 쌍 간의 링크에 실질적으로 일관된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범위는 최대 값, 최소 값 및 공칭 전력 값을 포함하는, 통신망의 송신기와 수신기 쌍 간의 링크에 실질적으로 일관된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기에 의한 상기 링크의 상기 조작은 또한 오류 조건의 존재 결정의 함수인, 통신망의 송신기와 수신기 쌍 간의 링크에 실질적으로 일관된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조건의 존재의 상기 결정이 상기 공칭 전력 값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참조한 것인, 통신망의 송신기와 수신기 쌍 간의 링크에 실질적으로 일관된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 파라미터들은 제 2 전력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력 범위는 제 1 동작 조건과 연관되고, 상기 제 2 전력 범위는 제 2 동작 조건과 연관되는, 통신망의 송신기와 수신기 쌍 간의 링크에 실질적으로 일관된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작 조건은 설치 동작 조건이고, 상기 제 2 동작 조건은 배치된 동작 조건인, 통신망의 송신기와 수신기 쌍 간의 링크에 실질적으로 일관된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범위와 연관된 값들은 상기 링크와 연관된 히스토리컬 (historical) 동작 정보를 참조하여 갱신되는, 통신망의 송신기와 수신기 쌍 간의 링크에 실질적으로 일관된 성능 특성을 제공하는 시스템.
  25. 원하는 수신된 신호 품질 유지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의 제 1 속성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의 제 2 속성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의 제 3 속성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속성들의 측정치들에 상기 제 3 속성의 측정치들을 상관시킴으로써 속성 상관관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속성에 대한 제 1 임계 값을 설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임계값은 상기 상관 관계 정보를 참조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된 상기 제 3 속성의 허용되는 상태와 연관되는, 상기 제 1 임계값 설정 단계;
    상기 제 2 속성에 대한 제 2 임계 값을 설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임계값은 상기 상관 관계 정보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된 상기 제 3 속성의 허용 상태와 연관되는, 상기 제 2 임계값 설정 단계; 및
    이후 측정된 제 1 속성을 상기 제 1 임계 값과 비교한 함수로서, 및 이후 측정된 제 2 속성을 상기 제 2 임계 값과 비교한 함수로서, 수신된 신호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하는 수신된 신호 품질 유지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속성은 미세한 비트 에러율인, 원하는 수신된 신호 품질 유지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속성이 거친 비트 에러율인, 원하는 수신된 신호 품질 유지 방법.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속성은 수신 신호 강도인, 원하는 수신된 신호 품질 유지 방법.
  29. 신호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측정된 제 1 속성을 제 1 임계 값과 비교하고 측정된 제 2 속성을 제 2 임계 값과 비교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임계 값들은 제 3 속성을 참조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정되는, 상기 수신 단계; 및
    신호 전송 특성이 상기 수신된 정보를 참조하여 조절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결정 단계는 허용된 신호 전송 특성들의 미리 선택된 범위에 대한 참조를 포함하는, 상기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원하는 수신된 신호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신호 전송 제어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속성은 미세한 비트 에러율인, 신호 전송 제어 방법.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속성은 거친 비트 에러율이고 상기 제 2 속성은 수신 신호 강도인 , 신호 전송 제어 방법.
  32. 제 29 항에 있어서,
    제 1 범위로부터 제 2 범위에 이르기까지 상기 미리 선택된 범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송 제어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범위는 히스토리컬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신호 전송 제어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범위는 상기 전송된 신호와 연관된 송신기 및 수신기 쌍의 배치를 위한 초기 허용 범위로서 설정되는, 신호 전송 제어 방법.
  35. 통신망의 송신기 및 수신기 쌍과 연관된 동일 채널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기 및 수신기 쌍은 무선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 상기 방법은:
    링크의 제 1 속성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링크의 제 2 속성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링크의 제 3 속성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속성의 측정치들을 상기 제 2 및 제 3 속성들의 측정치들에 상관시킴으로써 속성 상관관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관 관계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속성의 허용 상태와 연관된 상기 제 2 속성에 대한 제 2 임계 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상관 관계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속성의 허용 상태와 연관된 상기 제 3 속성에 대한 제 3 임계 값을 설정하는 단계;
    이후 측정된 제 2 속성을 상기 제 2 임계 값과 비교하는 함수로서, 및 이후 측정된 제 3 속성을 상기 제 3 임계 값과 비교하는 함수로서, 링크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링크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과 일관되는 링크 특성이 선택된 범위 내에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링크 특성이 상기 선택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링크의 속성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망의 송신기 및 수신기 쌍과 연관된 동일 채널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속성이 링크 성능 특성인, 통신망의 송신기 및 수신기 쌍과 연관된 동일 채널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 특성은 미세한 비트 에러율인, 통신망의 송신기 및 수신기 쌍과 연관된 동일 채널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속성은 거친 비트 에러율이고, 상기 제 3 속성은 수신 신호 강도인, 통신망의 송신기 및 수신기 쌍과 연관된 동일 채널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39. 제 35 항에 있어서,
    제 1 범위로부터 제 2 범위에 이르기까지 상기 선택된 범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의 송신기 및 수신기 쌍과 연관된 동일 채널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범위는 상기 링크의 동작의 히스토리컬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통신망의 송신기 및 수신기 쌍과 연관된 동일 채널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범위는 상기 송신기 및 수신기 쌍의 배치를 위한 초기 허용 범위로서 설정되는, 통신망의 송신기 및 수신기 쌍과 연관된 동일 채널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42. 제 35 항에 있어서,
    오류 조건의 존재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조절 단계에서 조절될 상기 링크의 상기 속성과 상기 링크의 공칭 속성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의 송신기 및 수신기 쌍과 연관된 동일 채널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43. 통신망의 송신기 및 수신기 쌍과 연관된 동일 채널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수신기에서 미세한 비트 에러율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에서 거친 비트 에러율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에서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거친 비트 에러율 및 상기 수신 신호 강도의 측정치들을 상기 미세한 비트 에러율에 상관시킴으로써 상관 관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관 관계 정보로부터, 원하는 미세한 비트 에러율과 연관된 상기 거친 비트 에러율에 대한 임계 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상관 관계 정보로부터, 원하는 비트 에러율과 연관된 상기 수신 신호 강도에 대한 임계 값을 설정하는 단계;
    측정된 거친 비트 에러율을 상기 거친 비트 에러율 임계 값과 비교하는 함수로서, 및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를 상기 수신 신호 강도 임계 값과 비교하는 함수로서, 링크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링크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과 일관되는 상기 송신기의 전송 전력이 선택된 범위 내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링크 특성이 상기 선택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송신기의 상기 전송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망의 송신기 및 수신기 쌍과 연관된 동일 채널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오류 조건이 공칭 전력 레벨 및 상기 링크 제어 신호를 참조함으로써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의 송신기 및 수신기 쌍과 연관된 동일 채널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20017004058A 1998-09-29 1999-09-24 점대점 통신에서 동일 채널 간섭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754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296798A 1998-09-29 1998-09-29
US09/162,967 1998-09-29
PCT/US1999/022251 WO2000019636A1 (en) 1998-09-29 1999-09-24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co-channel interference in point to point communic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481A true KR20010075481A (ko) 2001-08-09

Family

ID=2258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058A KR20010075481A (ko) 1998-09-29 1999-09-24 점대점 통신에서 동일 채널 간섭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118169A1 (ko)
JP (1) JP2002526973A (ko)
KR (1) KR20010075481A (ko)
AU (1) AU6162799A (ko)
TW (1) TW441202B (ko)
WO (1) WO20000196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536B1 (ko) * 2007-08-24 2014-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으로 인한 간섭을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7285B2 (ja) * 2000-11-14 2004-01-13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FR2821514B1 (fr) 2001-02-28 2003-06-13 Jacques Lewiner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 local
FR2825857B1 (fr) * 2001-06-12 2006-05-19 Cit Alcatel Procede d'ajustement de valeur cible de boucle interne de controle de puissance dans un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s mobiles
US7164667B2 (en) 2002-06-28 2007-01-16 Belair Networks Inc. Integrated wireless distribution and mesh backhaul networks
KR100748086B1 (ko) * 2005-11-10 2007-08-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채널 품질 유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장치
ITMI20070730A1 (it) * 2007-04-11 2008-10-12 Mi Tel S R L Sistema di comunicazione radio con controllo dinamico migliorato della potenza di trasmissione
US8903393B2 (en) 2007-06-28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maintaining minimum quality of service (QoS) communication sessions during hard handoffs
WO2013146846A1 (ja) 2012-03-28 2013-10-03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92256B1 (fr) * 1985-12-20 1988-02-12 Trt Telecom Radio Electr Dispositif d'asservissement de la puissance d'emission d'un faisceau hertzien
DE69231437T2 (de) * 1991-12-26 2001-03-01 Nec Corp System zur Steuerung der Sendeleistung mit Gewährleistung einer konstanten Signalqualität in einem Mobilkommunikationsnetzwerk
US6173162B1 (en) * 1997-06-16 2001-0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ple code channel power control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536B1 (ko) * 2007-08-24 2014-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 통신으로 인한 간섭을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19636A1 (en) 2000-04-06
AU6162799A (en) 2000-04-17
JP2002526973A (ja) 2002-08-20
EP1118169A1 (en) 2001-07-25
TW441202B (en) 200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8080B1 (en) Power control in point-to-multipoint systems
KR100401217B1 (ko) 시간 분할 듀플렉스 통신 시스템에서 외부 루프/가중개루프 전력 제어
US7050760B2 (en) Terminal station controls transmission power of a base station
EP076266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a radio transmitter
US55749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wer level of a base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709522B1 (ko) 전력 제어를 최적화하는 장치 및 방법
US61922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verse link loading estimation
KR100671650B1 (ko) 역방향 링크 로딩 추정 방법 및 장치
EP0948869B1 (en) Load monitoring and management in 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253077B1 (en) Downstream power control in point-to-multipoint systems
US7069051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radio system
WO1999021291A1 (en) Power output control system for rf communications system
PL193376B1 (pl) Sposób sterowania siecią komunikacyjną z wieloma stacjami i urządzenie komunikacyjne sterowane jako stacja w sieci komunikacyjnej z wieloma stacjami
US6873601B1 (en) Radio network performance management
JPH11514172A (ja) 可変データレート移動cdma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迅速な出力制御
KR1999006952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전력제어 방법
KR20010075481A (ko) 점대점 통신에서 동일 채널 간섭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705802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US8009096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tenna weighting for transmit diversity
KR100585792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wind-up 전력 제어 방법
WO2004034593A2 (en) Uplink power control using loopback communications carriers
KR100723804B1 (ko) 스마트 안테나 통신 시스템의 호 절단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01292098A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KR100211952B1 (ko) Cdma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WO20090590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uplink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