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5129A - 물체 파지용 기구 - Google Patents

물체 파지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5129A
KR20010075129A KR1020017003349A KR20017003349A KR20010075129A KR 20010075129 A KR20010075129 A KR 20010075129A KR 1020017003349 A KR1020017003349 A KR 1020017003349A KR 20017003349 A KR20017003349 A KR 20017003349A KR 20010075129 A KR20010075129 A KR 20010075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wire
catheter
loop
bas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0953B1 (ko
Inventor
프로이덴탈프란쯔
Original Assignee
추후기재
페에프엠 프로두크테 퓌어 디 메디찐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기재, 페에프엠 프로두크테 퓌어 디 메디찐 아게 filed Critical 추후기재
Publication of KR20010075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9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2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having a closed distal end, e.g. a 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5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having an open distal e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유연한 탄성재로 이루어진 누스가 제공된 신장 기부면(30)과 말단면(20)을 가지고, 인간 또는 동물 맥관 또는 몸체 공동으로부터 물체, 물품 또는 소립체, 특정하게는 외래 물체, 덩어리, 돌 또는 다른 유기체 매장물 또는 축적물을 파지하는 기구에는, 신장 관형 디바이스가 설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구(40)를 에워싸는 신장 관형 디바이스가 협력 동작하여 초기 구조에서 제 2 구조로 변환될 수 있으며, 누스는 관형 신장 기부면(30)의 길이방향 축선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적어도 그 초기 구조에서 각을 이루는 것이다.

Description

물체 파지용 기구{DEVICE FOR GRASPING BODIES}
본 발명은 물체, 물품, 또는 소립체를 파지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연한 탄성재로 이루어진 누스(noose)가 설치된 말단부와 신장형 기부(基部)를 가진, 인간 또는 동물의 맥관(脈管) 또는 그 신체 공동(空洞)으로부터 외래 물체, 덩어리, 돌(stone), 또는 다른 유기체 침전물이나 축적물을 파지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기구는 널리 공지된 것이다. 이러한 기구는 예를 들어 외과수술 후에 환자의 신체에 흔하게 잔류하는 외래 물체를 회수하는 개재(介在) 기구로서 의료용 중재 시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은 카테테르와 가이드 와이어를 사용할 시에, 카테테르 또는 가이드 와이어의 말단부가 부주의로 잔류부로부터 분리되어 환자의 신체 내에 남게될 때에 발생한다. 외래 물체는 또한 상기 외래 물체가 예를 들어 심장과 같은 신체 공동에 장치될 때에는 상당히 심각한 문제가 된다. 이러한 사실은 패혈증, 폐질환 색전증(塞栓症)(혈관이 폐쇄되는 병증), 심장 관통 및 급사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신체 공동, (생물의)기관, 기관 덕트 및 맥관으로부터 신장 결석, 담석(膽石), 폴립(polyps:점막에 발생한 버섯모양의 종양) 또는 다른 유기성 소립체를 제거하는 기구에도 사용 가능한 것이다.
인간 또는 동물 몸체에서 극소 침입형 개재로 상기 외래 물체를 제거하기 위한 카테테르와 관련한 파지 기구를 이용하는 다양한 기술이 사용되어져 왔다. 독일특허 195 14 534 C2는 유연한 과탄성재로 이루어진 누스 형체로 말단부와 신장 기부를 가진 인간 또는 동물의 맥관 또는 다른 몸체 공동에서 외래 물체를 회수하는 기구를 기재하고 있다. 그 안에 말단부는 먼저 일 측부로 신장 기부를 관통하고 다음, 대향측에 개방U모양체로 이어지는 축에 대하여 곡선진 것이다.
미국 특허 5,171,233호 및 1991년 예드릭카(J.W. Yedlicka), 칼슨(J.E. Carlson), 헌터(D.W. Hunter)의 방사선 의학에 미국특허 5,178,691호 및 693호에는, 형상 기억재로 이루어진 원형 또는 타원형 루프 형태에 말단 파트와 신장 기부 파트로 구성된 마이크로누스(micronoose)가 기재되어 있다. 말단부 루프-형체 파트는 기부 파트와 대비되는 각도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90°의 경직각(rigid angle)을 기부에 구비한다. 이러한 누스가 갖는 올가미(snare) 단면은 올가미가 기부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배열되어 누스가 삽입 관통되는 카테테르와 평행하게 있을 때만 외래 물체를 최적하게 파지할 수 있다는 제약이 있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누스를 도입시키는데 사용되는 카테테르는 맥관 벽에 측면방향으로 자체적으로 놓여지는 성질이 있다. 이러한 사실은 누스가 루프 형성용으로 설계되어 올가미에 걸리게 하는 공정 중에는 역효과를 주며, 외래 물체를 올가미에 걸리게 하거나 회수하는데 소용되는 시간을 더 늘어나게 하거나 또는 X-레이 장치가 갖는 스크린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다.
미국특허 2,756,752호는 신체 공동에서 외래 물체를 제거하는, 특히 요관(尿管) 구역에 돌(石)을 제거하는 기구를 개시하였다. 상기 기구는 상기 목적으로 파형선 또는 나선 모양으로 곡선진 예비 형성된 와이어를 가진 것이다. 이것은 특정하게 복수 파형상 또는 나선형 권선을 제공하는 파트를 가진 신장 관형체가 있는 카테테르로 에워싸인다. 제거되는 잔류 돌은, 이들을 몸체 공동에서 제거하는 -그를 에워싸는 카테테르를 가진- 수단으로 파형선 또는 나선형으로 곡선진 와이어로 포획된다.
또한, 일본 JP5-184585(A)는 몸체 오리피스와 맥관에 돌을 파지하는 그 단부에 나선부를 설치한 기구를 개재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구의 전방단부에 올가미 요소가 보유 파트에 의해 유지되어, 기구 안으로의 수축 시에 나선형 형체에서 팽창 형체로 탄성적으로 재형성된다.
대비적으로, 일본 JP1-97446(A)는 도 8에 곡선진 탄성 와이어를 개시하며, 상호 180°로 비틀려진 소 누스와 대 누스를 가진다. 소 누스는 360°로 팽창된 와이어의 중앙 파트를 회전하여 형성된다. 대 누스의 단부는 커넥터에 고정된다. 탄성 와이어가 가요성 파이프 안으로 예인되면, 2개 누스가 압축 팽창된다. 이러한 경우에 누스의 소성 변형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모든 타입의 물체 또는 소립체를 상당히 신뢰성 있게 올가미로 포획하거나 회수하는 작업이 몸체 내측에 공동 또는 맥관 내에 다양한 위치에서 곤란함없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며, 특히 상술된 종래예의 결함을 해결시킨, 물체, 물품, 또는 소립체를 파지하는, 특히 유연한 탄성재로 이루어진 외래 물체, 덩어리, 돌, 또는 다른 유기체 침전물이나 축적물을 파지하는 기구를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누스 중앙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2-플라이 누스(ply noose)가 제공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기구를 에워싸는 신장형 관형 디바이스와 협력동작하여, 그 초기 구조에서 제 2 구조로 변환되며, 여기서 누스는 신장 기부의 길이방향 축선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그 초기 구조에서 적어도 각이 지게 이루어진, 본원의 청구범위1항 전문에 따르는 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첨부 청구범위의 종속항에 의해서도 한정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2-플라이 누스는 서로 상관적으로 정렬 배치된 2개 누스 파트를 형성하여, 이들이 내부 개방부, 특정하게는 초기 구조에서 후자를 둘러싸는 틈을 형성한다. 양호하게, 이러한 관계에서는 일 누스 파트가 폐쇄되고 그리고 타 누스 파트가 부분적으로 후자를 둘러 싸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후자에 각인되어 형성된다. 초기 구조로부터 제 2 구조로의 변화에는, 2-플라이 누스의 2개 파트의 누스 중앙의 변위(變位) 또는 누스의 직경 및/또는 형태의 변경 및/또는 내부 개방부의 변위가 있다. 이것은 누스가 카테테르로부터 철회 시에, DE 195 14 534 C2에 기술된 기구와 대비하여, 보다 견고한 모양과 광범위한 치수를 가진 걸려지는 몸체 또는 소립자를 유지하도록 이중 루핑 라운드를 소유하는, 그 사용이 가능한 물체, 물품 및 소립자를 파지하는 기구를 생성한다. 일 물체가 2-플라이 누스 내측에 포획되면, 누스의 체결동작을 통해서 견고하게 파지되어서, 대응 면이 매끄럽거나 또는 재료가 매우 얇더라도 누스를 이탈할 가능성이 희박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기구의 사용은, 인간 또는 동물 몸체에 다양한 맥관 및 몸체 공동에서 유기체 또는 비유기체 기시점의 물체 및 소립체를 제거할 수 잇다. 본원의 기구는 특히, 복벽경(腹壁鏡:기관을 직접보고 수술하기 위해 복벽으로 삽입) 조작되는, 맥관, 비뇨기, 담즙 및 호흡계 그리고 위장계에 개재용으로 양호하게 사용된다. 본원은 또한, 환자의 몸체 안으로 삽입되는 와이어 류와 같은 물품을 파지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누스 직경과 모양이 특정한 사용에 따르는 각각의 경우에서, 1개의 동일한 누스를 가지고, 필요에 맞추어 생산되는 특정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일 편에서, 누스의 설계는, 다양한 직경으로, 예를 들면 소아과에서는 10 내지 15mm, 신경외과에서는 2 내지 3mm, 관상동맥 맥관에 사용 시에는 약5mm, 그리고 방사선과에는 20 내지 40mm의 직경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누스의 와이어의 직경은 양호하게, 적절하게 달성될 수 있는 누스 직경의 것을 채택하면 된다. 이들은 예를 들면 0.05 내지 0.5mm 사이에 값을 가진다. 말단부는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면 성형 상태로 약25mm의 길이를 가질 것이다.
또한, 본원은 누스의 모양을 변경할 수 있는 성질로 다수의 이형체를 제어할 수 있는 일 동일한 기구로 광범위한 처리를 이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누스의 모양과 크기를 변경하는 것은 개재 중에도 가능하다. 누스의 모양은, 일 편에서는 부분적인 2-플라이 루프를 가진 기본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그리고 다른 편에서는 신장 관형 디바이스, 양호하게는 카테테르와 협력동작하는 하트 모양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누스는 환자의 외부에서 제어되는 특정한 모양을 소유하며, 몸체 공동에서 또는 맥관의 벽에서 자체적으로 중앙설정되는 능력을 가진다.맥관의 직경은 이러한 경우에 유익하게, 누스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실은 누스가 대응 벽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웨지를 형성하여 자체적으로 채택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만일, 대형 물체가 예를 들어 맥관으로부터 제거된다면, 상기 맥관의 크기는 누스가 물체에 대응될 수 있기 때문에, 결정적인 것이다. 더 큰 맥관에는 더 큰 누스를 사용하는 것이 양호하다.
외래 물체로서 제거되는 매우 얇은 특정한 물질인 경우에는, 2-플라이 누스의 체결 시에, 제거되는 물체가 루프쪽으로 힘을 받게되어 그 안에 포획되기 때문에, 루프의 형태에서 누스에 돌출부를 설치하는 것은 특별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루프는 누스의 평면에 대해 특히 90°의 각도로 배열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것은 예를 들어 유연한 와이어 또는 다른 얇은 외래 물체가 카테테르 쪽으로의 큰 저항 없이 견인될 수 있도록 배치되게 한다. 루프의 구역에서는, 카테테르쪽으로 안으로 예인되는 대응적인 각도로, 본 발명에 따르는 기구의 상기 구역에서의 유지가 특히 견고하게 된다.
루프에는, 누스에 설치된 돌출부가 누스의 2파트를 접합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부착요소로 이루어진다. 부착 요소는 특정하게 양호하게 슬리브 모양 또는 구형이거나, 특별하게 라운드진 단부를 가지거나 또는 비외상성 구(atraumatic sphere)이다. 만일 부착 요소가 X-레이 장치, NMR 단층X선 사진촬영기와 같은 화상 장치에 시각성의 물질로 구성되면, 양쪽 슬리브와 비외상성 구가 제거되는 물체를 회수하는 중에 화상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관측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양호하게, 누스는 접합에 의해 보호부 영역에서 함께 접속되는 2개 파트로이루어진다. 이러한 것은 양호하게 부착 요소에 대한 선택성으로 발생한다. 물론, 일-파트 누스에 상기 부착 요소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루프의 초기 형성물은 양호하게 비외상성 구(atraumatic sphere)가 접합되거나 또는 적절한 슬리브가 그 위로 압압되는 것이다.
누스는 본 발명에 따르는 기구의 신장 기부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한 둔각 또는 직각으로 양호하게 배열 설치된다. 이러하게 설치된 누스는 특정적으로 대형으로 걸려지는 물체를 이식하기 위한 포획 구역과 그에 이르는 도달 길이로 이루어진다. 누스와 기부 사이에 말단부 구역은 양호하게 V형으로 설계된다. 이것은 물체가 걸려지는 곳에서 깔때기 모양을 형성한다. 물체를 걸리게 하는 부가적인 보조부가 신장 기부의 길이방향 축선의 외측 또는 기부의 말단부의 정확히 위에서 누스를 중앙 배열로 생성되게 한다. 이것은 2-플라이 누스의 틈, 슬롯 또는 돌출부를 생성하고 그리고, 걸리게 되는 물체는 여기서 포획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 복구성은 예를 들어 US 5,171,233호 또는 DE 195 14 534 C2에 기술된 공지된 누스와 대비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누스 중앙의 변위 시에 변화정도는 매우 커서, 누스의 초기 구조와 제 2 구조 사이를 영구 차이로 유도한다. 만일, 초기 구조에 기부의 길이방향 축선이 누스에 형성된 돌출부를 실질적으로 절결하면, 누스는 신장 관형 디바이스, 특정하게는 카테테르, 쪽으로 수축 시에 붕괴되어서, 2-플라이 누스가 카테테르에 대하여 경사진 원호부와 원호부에 놓여있고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 누스를 제 2 구조에서 형성한다. 만일, 기본적으로 초기 구조에 기부 파트의 길이방향 축선이 누스의 중앙을 관통하여 지나가면, 누스는 제 2 구조에서 하트 모양을 형성한다.
또한, 다른 가능한 변경에는 누스의 외부 파트로의 거리와 내부 누스의 직경 및 모양과의 사이에 15비율을 바꾸는 것도 있다. 또한, 카테테르로의 수축 시에 누스의 제 2 구조의 특별한 형태는 특정한 사용용으로 유사하게 변경될 수 있다. 형상 기억물질로 이루어진 와이어로 누스를 구성하는 것이 특히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돌출부의 설치는 순차적으로 카테테르 안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기구의 전체 말단부는 이러한 경우에 완전하게 신장되어 환자의 몸체 내부에 카테테르를 이탈할 때에만 처리 공정 중에 각인 모양을 양호하게 재개한다. 사용된 형상 기억 물질은 양호하게 탄성이 매우 큰 물질이며, 그 적절한 예로는 티타늄/니켈 합금, 특정하게는 니티놀(Nitinol)이 있지만, 모든 다른 과탄성 물질도 사용에 유리한 것이다. 누스에는 부가적으로 그 위에 특정하게 소요되는 성질을 수여하는 부가적인 물질로 그 개시 및/또는 개시 후에 부가적으로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특히 적절한 것은 금 또는 백금과 같은 귀금속이다. 예를 들면 X-레이 또는 1NMR단층X선 사진촬영에서와 같은 화상 과정에서 누스를 시각성으로 만드는 1개 이상의 쓰레드재(threads of materials)를 제공하도록 귀금속을 첨가하거나 또는 코팅을 대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절한 물질은 금, 백금, 텅스텐 또는 금도금된 텅스텐이 있다. 물론, 이들이 적절한 탄성과 탄력을 가지는 한에서는 외과 수술에 적합한 것으로 고려되는 다른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기부가 누스와 V형상 영역에 사용되는 와이어의 단부를 둘러싸는 경우에는, 기구의 말단부와 기부가 일 피스로 있는 것이 양호하다. 기본적으로 양호하게 평행하게 주행하는 와이어의 단부는 와이어의 단부의 상호간의 변위를 방지하도록 기구의 기부에서 함께 접속되어 적절한 기부의 경직성을 제공하여, 기부가 어려움없이 카테테르를 통해서 압압되게 한다. 와이어의 단부는 함께 접합 또는 비틀려진다. 양호하게, 각각의 경우에 기부의 와이어의 2단부는 마찰-감소 친수성 층(hydrophilic layer)이 제공된다. 이것은 다른 하나와 특정적으로 무관한 와이어의 2개 단부를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2플라이 누스의 크기를 변경하여 다른 하나에 대한 와이어의 단부를 변위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와이어의 2단부는 이들이 예를 들어 접합에 의해 또는 적절한 슬리브를 부착하여 기부의 기단부에서 함께 견고하게 접속하여 고정한다. 소정의 누스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으면, 와이어의 단면이 양호하게 변경됨으로, 1개 이상의 와이어 코어 및/또는 1개 이상의 와이어 스트랜드(strand)를 와이어에 제공하여 생성한다. 와이어 스트랜드는 와이어 코어에 보다 밀집되게 또는 두텁게 배치하여 감아서, 부분적으로 와이어의 다른 단면을 이루게 한다. 동일한 효과를 와이어 코어 및/또는 와이어 스트랜드의 수를 변경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스트랜드를 사용하여 얽힘에 대한 누스의 와이어의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단일 와이어 쓰레드의 파손은 상기와 같은 기능에서 와이어의 능력을 손상시키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이점이 있다. 와이어는 특정하게, 본질적으로 원형, 타원형, 장방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고 그리고, 양호하게 평판 와이어(flat wire)로서 제공된다. 사용에 따른 각각의 경우에 적절한 단면 모양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폴립(polyps)제거용에 소요되는 단면은 임의적 각도로 특정적으로 유익한 특정 단면의 것이 제공된다. 또한, 특별하게는, 별모양 단면의 돌출 엣지가 제거되는 연성 유기체 물체를 양호하게 절결할 수 있기 때문에 누스의 유지력을 증가하여 그것을 부가적으로 유지하는 별모양 단면을 사용할 수도 있다.
양호하게, 기부는 얽힘에 대한 적절한 내성과 경성과 관련한 유연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기부는 말단부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기부에 적절한 상태 성질을 가진 저렴한 가격의 물질의 사용은 가격 절감을 위해서 양호한 것이다. 기부를 또한, 부가적으로 마찰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는 케이싱으로 및/또는 코일로 둘러쌀 수도 있다. 케이싱은 예를 들어 하이드로필릭 슬립 층으로 설계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환자의 신체안으로 기구가 삽입 관통하는 카테테르 내측에 변위를 용이하게 한다.
특히 양호하게, 기부에는 나사 결합 시에 말단부의 와이어의 단부 둘레를 견고하게 파지하는 토오커(torquer)가 기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토오커의 도움을 받아서 카테테르 내측에 기구를 용이하게 비틀어 변위시킨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고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외래 물체를 파지하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 실시예의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르는 기구의 배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구의 전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기구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 실시예의 기구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 3 실시예의 기구를 평면도.
도 7은 환자의 신체 안으로 삽입 관통되는 카테테르를 이탈한 본 발명에 따르는 기구의 펼쳐지는 각각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
도 8은 외래물체 회수과정 중에 본 발명에 따르는 기구의 부가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외래물체의 회수 시에 카테테르 쪽으로의 수축 중에 도 8에 도시된 기구의 사시도.
도 10은 제 2 구조에 본 발명에 따르는 누스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누스의 다른 제 2 구조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누스의 부가 실시예의 대응 측부와 정상부를 나타낸 도면.
도 1은 물체 또는 소립체를 파지하는 기구(1)의 제 1 실시예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기구는 말단면(20)과 기부면(30)을 가진다. 기부면(30)은 신장형이며 그 말단부(31)에 말단면(20)이 설치된다. 2-플라이 누스는 신장 기부의 길이방향 축선의 가상 연장선에 대하여 각이진, 특히 약90의 각도 또는 둔각으로 각이 진다. 또한, 만일 특정한 적용을 위하여 예각이 소요될 시에는 상기 각도는 예각으로 제공된다.
2-플라이 누스는 기부면(30)의 말단부(31) 밖으로 V형태로 연장되는 와이어로 형성된다. 2-플라이 누스(21)의 권선부는 상술된 바와 같은 각도로 V형태 영역(22)에 부착된다.
누스(21)는 돌출부(23)를 구비한다. 돌출부(23)는 전방 영역에 누스에 형성된 루프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루프는 양호하게 누스(21)의 평면에 대해 90°로 회전 형성된다. 이러한 사실은 도 2와 도 3을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구(1)의 말단면(20)의 배면도이고, 2-플라이 누스(21)가 서로 상관적으로 대향 위치한 상호 교차면에 놓여 있는 2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명료하게 나타내었다. 이러한 사실을 E1과 E2가 2평면을 나타내는 도 2에 파선으로 나타내었다. 2평면 사이에 상호 접속은, 그 평면 배치의 견지에서 보았을 때, 2개 다른 평면을 통하여 절결되는 돌출부(23)에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사실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기구(1)의 정면도로 나타낸 도 3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평면(E1, E2)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본적으로는 제로가 될 것이다. 상기 2평면 사이에 각도를 양호하게 선택하여 부가적인 외래 물체 파지능력을 생성한다. 이러한 사실은 누스 또는 V형상 영역의 폐쇄 개방부 안으로 직접진행될 수 없을 때에도 파지가 가능하며, 카테테르 쪽으로의 말단면(20)의 수축 시에, 2평면(E1, E2)사이에서 포획되어진 외래 물체를 빠르게 유지하여, 누스에서 그 자신이 얽힐 수 있는 정도로 더욱 얽혀지거나 또는 적어도 그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누스는 도 4에 평면도로 나타내었다. 상기 도면의 경우에서는, 누스가 2-플라이 누스로 이루어져서, 외래 물체를 포획하는 부가적인 틈(24)이 생성되는 것을 명료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정한 사용용으로, 상기 틈(24)은 나타낸 것보다 더 크게 하여, 내부 개방부(25)에 대한 틈의 비율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2-플라이 누스(21)는 정상에서 보았을 때에 원형으로 확인되는 기부면의 말단부(31)와 상관하여 배치되어서, 상당히 큰 대형 외래 물체라도 매우 양호하게 걸리게 할 수 있는 대형 개방부(25)가 생성된다. 고정 유지는, 카테테르쪽으로의 기구의 수축 시에 개방부의 크기의 감소로 인하여 이중 루프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상면에서 보았을 때에, 말단부(31)는 2-플라이 누스(21)로부터 중심에서 벗어나서 제공된다. 그런데, 다른 적용에서는, 말단부(31)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플라이 누스(21)에 중앙에(정상면에서 보았을 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필요한 누스의 초기 형태는 그 재료 안에 각인된다. 따라서, 양호하게 형상기억물질을 사용한다. 돌출부(23)는 누스(21)가 완전하게 곡선진 파트로 구성되는 경우에 루프로서 어느 일측에 형성된다. 돌출부는 또한 이러한 누스의 2개 반부를 연결하는 장소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연결 장소에 접합부 또는 분리 요소의 부착부의 어느 하나로 된다. 특정하게 적정한 분리요소는 일 측에서 카테테르쪽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타 측에서 환자에 대한 상해을 방지하는 비외상성(非外傷性) 구(atraumatic sphere)이다. 그리고, 유사하게 상기연결 장소에 다른 슬리브를 부착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형태에 더하여, 누스는 또한 예를 들어 도 5에 평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개방부(25)의 영역은 특정한 물체를 제거하는데 사용할 목적에 적합할 수 있는 적절한 신장형태를 가진다. 다른 변형은, 외부 누스 파트(27)가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부 파트를 이루는 경우에, 외측부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는 다르게 기본적으로 폐쇄된 누스(21)의 파트(26)를 변위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기본적으로 폐쇄된 누스의 모양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타원형으로도 변경될 수 있다. 혼합 형태가 외부 누스 파트(27)의 절반만이 기본적으로 폐쇄된 누스 파트(26)의 외측부에 놓여지는 부가적인 가능성이 있으며, 반면에 다른 파트는 그 내측부에 놓여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기구의 9개의 펼쳐진 말단면(20)을 나타낸 도면이다. I단계에서는, 누스(21)의 전방 파트 즉, 돌출부(23)가 카테테르(40) 밖으로 먼저 압압된다. 돌출부와 누스가 서로 상관적으로 비틀려지는 사실은 이미 확인된 사실이다. II단계에서는, I단계의 측면인, 누스의 상대적으로 큰 파트가 이미 카테테르(40)의 외부로 돌출한다. 90보다 어느 정도 큰 각도가 누스와 카테테르 사이에 형성된다. III단계에서는, 누스(21)의 폐쇄 파트(26)를 후에 형성하는 파트가 아직은 기본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놓여있는 누스의 2반부로 카테테르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방향으로 곡선진다. IV단계에서는, 이러한 것이 변화하여, 카테테르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형을 보유하면서, 누스의 2반부(28, 29)가 이미 분리 이동되어져 있다.
V단계에서는, 볼록형태를 유지하고 폐쇄된 누스(26)의 형태를 진행시키는 중에, 누스가 카테테르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VI단계에서는, 후크형태 돌출부가 V형상 영역(22)에 접합부를 통해 형성된다. 그런데 아직은 누스가 상대적으로 볼록형태를 취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V형태 영역(22)의 상대적으로 큰 파트가 카테테르 밖으로 가압되어지는 VII단계에서만 부가적으로 감소한다. 기본적으로, 카테테르에 의해 형성된 축선(파선)은, 이러한 단계에서는, 형성되는 기본적 페쇄 누스 파트(26)의 중앙에 있다. V형상 영역(22) 밖으로의 지속적인 가압동작은 이러한 영역(22)에 밀접하게 접근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후크가 플래터(flatter)형태를 취하고, VIII단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외부 누스 파트(27)를 형성한다.
마지막에 도시된 IX단계는 누스(21)와 V형상 영역(21)이, 카테테르의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는 쪽으로 약간 경사진 V형상 영역을 가지고, 함께 더욱 더 근접하게 되는 것이다. 말단면(20)의 소요 형태에 따라서, 누스(21)의 기본적 폐쇄 파트(26)는 도 4와 도 6에 도시된 개방부(25)로 형성되는 정도로 까지 압압된다. 말단면(20)의 펼침 시에 형성되는 다양한 모양과 누스 직경은, 본 발명에 따르는 기구가 적용에 필요한 정도로만 카테테르의 밖으로 압압될 수 있게 만든다. 따라서, 적절하게 말단면의 직경과 모양을 선택할 수 있다. 만일, 돌출부(23)가 기부의 길이방향 축선의 근처에 배치되는 누스가 사용되면, VI 내지 IX단계는 도 7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형태를 창출한다. 카테테르(40)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누스의 곡률은 V단계에서 나타낸 것보다 더 많이 증가한다. 평면도에서, 누스 파트(26, 27)는, 2개 폐쇄된 누스가 다른 하나의 상부에 하나가 배열되어 서로 상관적으로비틀려져 상기 접합 영역에서 함께 접속되는 과정으로 나타난다. 다음, 돌출부(23)는 V형상 영역(22)의 상부 개방부까지 카테테르 벽에 대해 평행하게 변위된다. 기구가 카테테르(40)의 밖으로 더욱 가압되면, 누스 파트(26)가 파트(27) 안으로 둥글게 회전하고 그리고 V형상 영역은 초기 구조로서 그 위에 각인되는 폭으로 개방된다. 그러한 회수 과정은 도 8과 도 9에 나타내었다. 양 도면은 완전 매립된 위치에 말단면(20)과 그 말단부(31)(도 8) 그리고 부분 철수된 위치에 말단면(20)(도 9)을 가지고 배열 설치된 기부(30)를 가진 카테테르(40)의 사시도이다. 말단면(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플라이 누스(21) 내측에 배치된 외래 물체(50)를 더욱 파지하는 것이다. 만일, 말단면(20)이 카테테르(40) 쪽으로 기부(30)와 함께 예인된다면, 외래 물체(50)가 파지되어 접합 영역에서 기본적 폐쇄 파트(26)로부터 외부 누스 파트(27)로 빠르게 유지된다(도 9). 따라서, 기구가 카테테르 쪽으로 다시 이동되면, 걸려진 외래 물체가 흘려지는 것을 양호하게 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외래 물체(50)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먼저, 양호한 저-마찰 카테테르(40)가 공지된 방식으로 환자의 신체에 소요 지점까지 조작 삽입된다. 만일, 본 발명에 따르는 기구가 카테테르의 말단부가 외래 물체의 근처에 있을 때에 카테테르 내측에 아직 주어지지 않았다면, 환자 외측부에 놓여진 카테테르의 다른 말단부 쪽으로 먼저 돌출부(23)가 삽입된다. 돌출부(23)는 이러한 경우에 삽입 보조부로서 역활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소 튜브 형태에 부가적인 삽입 보조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카테테르 내측 밖으로 신장되는 누스(21)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테르의 단부에서 다시 완전하게 펼쳐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많은 제 2 구조 또는 단계에서, 개재 중에, 가능한 외래 물체의 최적한 걸림동작을 이루도록 누스가 카테테르의 밖으로 얼마나 멀리 이동되어야 하는가를 직접 판단할 수 있다. 카테테르 내측 기구의 변위는 양호하게 기부면(30)의 말단부에 유리하게 부착된 토오커에 의해 발생한다.
만일, 외래 물체(50)가 기부(20)에 의해 파지되어졌으면, 기부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테르 안으로 수축된다. 고형체는 잼이 되어(도 9 참고), 환자의 신체로부터 카테테르와 같이 또는 카테테르와 다르게 제거된다. 부가적인 개재 동작은 특정하게, 상대적으로 큰 물체, 특히 외래 물체에서 필요할 수 있다. 만일 유연한 외래 물체를 회수한다면, 이러한 일은 예를 들어 카테테르를 통해 제거될 수도 있다. 다음, 카테테르는 환자의 신체로부터 철수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기구는 루프 형성체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루프는 와이어가 동맥계통과 정맥계통 사이에 홀(hole)을 통하여 구조된다. 와이어는 동맥을 통해 환자의 신체 안으로 삽입되어, 환자의 신체를 완전하게 통과하여, 상기 계통 사이에 홀을 통해 환자의 일 정맥을 통하여 재차 밖으로 지나가는 것이다. 환자의 신체에 혈액 계통을 통해 와이어가 지나가서, 본 발명에 따르는 기구에는, 동맥 안으로 삽입되어, 신체, 계통 사이에 홀 그리고 환장의 신체 밖으로의 정맥을 통해 다시 압압되는, 환자의 신체 외측부에 와이어(도 9)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기구는 그 우수성이, 기구가 임의 모양의 물체 또는 물품을 신뢰성 있게 파지하여 이동시킬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유리한 것이다.
도 10과 도 11은 초기 구조가 도 4에 도시된 구조와 대응할 수 있는 누스(21)의 제 2 구조를 정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누스가 카테테르(40) 안으로 수축되면, 누스는 하트 모양처럼 보여진다. 이러한 경우에 도 10은 도 11의 전에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에서는 누스가 이미 펼쳐져서 카테테르 벽에 배치된 것이다. 누스에 의해 발휘되는 장력 때문에, 이러한 정밀한 구조에 누스가 걸림 작용을 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하트 모양으로 형성된 누스의 직경은 예를 들어 15mm이지만, 초기 형태(도 4 내지 도 6을 참고)에서는 예를 들어 10mm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누스(21)의 다른 실시예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내부 누스 파트(26)는 틈과 관련하여 작게 설계된다. 돌출부(23)는 기본적으로 도 7에 IX단계와 대비하여 기부면(30)을 통하여 길이방향 축선으로 향하게 배치된다. 도 12에서 두번째로 나타낸 도면은 상기 누스의 제 2 구조의 사시도이다. 펼쳐진 상태는 도 7에 VI단계에서 나타낸 상태와 거의 대응하는 상태이다. 돌출부(23)는 카테테르(40)를 향하는 방향으로 향해있고, 그리고 미세하게 곡선져 형성된 누스 파트(26)와 부가로 카테테르 내측에 아직 있는 누스 파트(27)에 대한 접합 영역(61)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후크 형태는 물체 또는 소립체를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장소에서, 어려움 없이, 전체적으로 다른 모양을 가진 초기 루프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공정 및 소정의 형태는 적절한 화상 장치에 동반된다.
다양한 도면에서 나타낸 실시예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2-플라이 누스를 유사하게 가진, 특정 사용용의 수많은 다른 별도의 것으로 설계될 수 있는것이다. 누스용으로 사용되는 와이어의 단면은 특정 사용용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특정하게는, 원형, 타원형, 장방형, 다각형 및/또는 평판형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역시, 적절한 단면 모양이 특정 사용용으로 선택된다.

Claims (17)

  1. 유연한 탄성재로 이루어진 누스가 제공된 말단면(20)과 신장 기부면(30)을 가진, 인간 또는 동물 맥관 또는 몸체 공동에서의 물체, 물품 또는 소립체를 파지하는, 특히 외래 물체, 덩어리, 돌 또는 다른 유기체 매장물 또는 축적물을 파지하는 기구에 있어서, 누스 중앙이 있는 적어도 부부적으로 2-플라이 누스(21)가 제공되고, 그리고 기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신장 관형 디바이스(40)와 협력하여 초기 구조로부터 제 2 구조로 변환되며, 누스는 적어도 그 초기 구조에서 신장 기부면(30)의 길이방향 축선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각이진 물체 파지용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스 직경과 누스의 모양은, 기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싸여진 관형상 신장 디바이스(40)를 사용하는 기구(1)의 사용으로 제어식으로 변경되는 물체 파지용 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스(21)의 중앙은 신장 기부면(30)의 길이방향 축선 위로 또는 외측부로 기본적으로 직접 위로 또는 외측부로 배치되는 물체 파지용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기 구조에 상기 누스(21)는 기본적 원형 또는 타원형을 취하고 그리고 제 2 구조는 하트 모양인 물체 파지용 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스(21)는 몸체 공동 또는 맥관 내측부에 자체 중앙 설정되고, 그리고 맥관 또는 공동의 벽에 자신이 채택되는 물체 파지용 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스(21)는 신장 기부면(30)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둔각 또는 수직으로 매장되거나, 또는 원호형으로 곡선지거나, 또는 신장 기부면(30)의 길이방향 축선을 향하는 방향과 관형 신장 디바이스(40)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부를 가지는 물체 파지용 기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플라이 누스는 상호 변위된 교차 평면(E1, E2)에 놓여진 2개 반부(28, 29)를 구비하는 물체 파지용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반부는 함께 일 피스로 있거나 또는, 2개 파트로 함께 접속되며, 2개 반부는 돌출부(23)를 형성하는 접속 지점을 가지는 물체 파지용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3)는 루프-모양으로 형성되고, 부착 요소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2개 누스 파트(28, 29)를 접합하여 형성되는 물체 파지용 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요소는 슬리브 모양 또는 구형이며, 비외상성(非外傷性) 구(atraumatic sphere)인 물체 파지용 기구.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모양 돌출부(23)는 누스의 평면(E1, E2)에 대해 각이지고 그리고신장 기부면(30)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물체 파지용 기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면은 2-플라이 누스와 신장 기부면 사이에 V형상 영역(22)을 구비하는 물체 파지용 기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의 말단면과 기부면은, V형상 영역(22)과 누스(21)용으로 사용되는 와이어의 단부를 에워싸는 기부면(30)으로, 일 피스인 물체 파지용 기구.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스는, 1개 이상 와이어 스트랜드를 가진 와이어를 구비하는 물체 파지용 기구.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단면이 기본적으로 원형, 타원형, 장방형, 다각형 또는 평탄형이며, 와이어의 직경은 와이어의 길이를 따르는 특정 사용용으로 또는 기본적으로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물체 파지용 기구.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스는 형상기억재, 특히 표식성 과탄성재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물체 파지용 기구.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스는 귀금속으로 코팅되고 그리고, 화상 장치 하에서 시각성이 있는 물질로 코팅되거나 또는 1개 이상의 쓰레드를 구비하는 물체 파지용 기구.
KR1020017003349A 1998-09-17 1999-09-16 물체 파지용 기구 KR100610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42520.1 1998-09-17
DE19842520A DE19842520C2 (de) 1998-09-17 1998-09-17 Vorrichtung zum Ergreifen von Körpe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129A true KR20010075129A (ko) 2001-08-09
KR100610953B1 KR100610953B1 (ko) 2006-08-10

Family

ID=7881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349A KR100610953B1 (ko) 1998-09-17 1999-09-16 물체 파지용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113755B1 (ko)
JP (1) JP2002526195A (ko)
KR (1) KR100610953B1 (ko)
CN (1) CN1317949A (ko)
AT (1) ATE256424T1 (ko)
DE (2) DE19842520C2 (ko)
WO (1) WO20000167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3112A (ja) * 2001-03-13 2002-09-17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用スネア
US8177790B2 (en) * 2002-04-20 2012-05-15 Friedhelm Brassel Medical retriever
EP2052688B1 (en) * 2007-10-25 2012-06-06 pfm medical ag Snare mechanism for surgical retrieval
DE202009010061U1 (de) 2009-07-23 2010-12-30 Leis, Franz-Josef Vorrichtung zur Entfernung von Zecken
DE202013103881U1 (de) 2013-08-28 2014-12-01 Pfm Medical Ag Schlingenvorrichtung zum Einfangen eines Objekts
DE202013105451U1 (de) * 2013-11-29 2015-03-04 Pfm Medical Ag Schlingenvorrichtung zum Einfangen eines Objekts
US9808270B2 (en) * 2013-12-24 2017-11-0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retrieval devices and methods
US11653942B2 (en) 2015-03-24 2023-05-2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Retriev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CN107684452B (zh) * 2016-08-04 2021-05-07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抓捕器
CN106037879B (zh) * 2016-05-19 2019-01-04 复旦大学附属中山医院 一种大小可调节的血管内抓捕器及其调节方法
DE102017010118A1 (de) * 2017-11-02 2019-05-02 Karl Storz Se & Co. Kg Chirurgischer Fadenfänger, chirurgisches Nahtsystem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chirurgischen Fadenfängers
PL3716863T3 (pl) * 2017-12-01 2022-08-22 Arizona Board Of Regents, A Body Corporate Acting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Urządzenie do wyjmowania ciał obcych
JP6410977B1 (ja) * 2018-03-30 2018-10-24 学校法人 久留米大学 回収用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6752A (en) * 1953-12-23 1956-07-31 Scherlis Irving Surgical instrument
US5171233A (en) * 1990-04-25 1992-12-15 Microvena Corporation Snare-type probe
US5643281A (en) * 1995-04-05 1997-07-01 Duke University Devices for removing fibrin sheaths from catheters
DE19514534C2 (de) * 1995-04-20 1997-02-20 Pfm Prod Fuer Die Med Ag Fangschlinge zur interventionellen Fremdkörperbergung aus Körpergefäßen oder Körperhohlräum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42520A1 (de) 2000-04-20
DE59908128D1 (de) 2004-01-29
ATE256424T1 (de) 2004-01-15
DE19842520C2 (de) 2000-12-14
CN1317949A (zh) 2001-10-17
EP1113755B1 (de) 2003-12-17
EP1113755A1 (de) 2001-07-11
WO2000016703A1 (de) 2000-03-30
JP2002526195A (ja) 2002-08-20
KR100610953B1 (ko)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1846B2 (en) Retrieval snare for extracting foreign objects from body caviti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3343684B2 (ja) 改良された肺塞栓症防止フィルタおよび付属位置決め装着キット
US8906058B2 (en) Tethered coil for treatment of body lumens
US9039715B2 (en) Apparatus for entrapping and extracting objects from body cavities
US8469970B2 (en) Apparatus for entrapping and extracting objects from body cavities
US8956381B2 (en) Mechanically detachable vaso-occlusive device
US9486223B2 (en) Mechanically datachable vaso-occlusive device
US7875038B2 (en) Releasable basket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5171233A (en) Snare-type probe
KR100610953B1 (ko) 물체 파지용 기구
US5906622A (en) Positively expanded and retracted medical extractor
EP1263336B1 (en) Surgical snare apparatus
US6517550B1 (en) Foreign body retrieval device
WO2017161283A1 (en) Occluding anatomical structures
JP2015506236A (ja) 回収スネア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4439924B2 (ja) 医療用の回収装置
EP1182975B1 (en) Method for making a retrieval assembly
US20170245873A1 (en) Medical device for entrapping and extracting objects from body cavities
CN215651398U (zh) 血管内器械及血管血栓取出装置
JP2006087473A (ja) ガイディングカテーテルおよび血管内異物除去用ワイヤセット
CN113081169A (zh) 血管内器械及血管血栓取出装置
JP2020526369A (ja) 内視鏡用スネア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