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4149A - 분만대 - Google Patents

분만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4149A
KR20010074149A KR1020010017470A KR20010017470A KR20010074149A KR 20010074149 A KR20010074149 A KR 20010074149A KR 1020010017470 A KR1020010017470 A KR 1020010017470A KR 20010017470 A KR20010017470 A KR 20010017470A KR 20010074149 A KR20010074149 A KR 20010074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elivery
connecting rod
adjusting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석
이철규
Original Assignee
이철규
(주)메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규, (주)메디오 filed Critical 이철규
Priority to KR1020010017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4149A/ko
Publication of KR20010074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14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005Chairs specially adapted for gynaecological purposes, e.g. obstetrical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02Chairs with means to adjust position of patient; Contr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분만시 임산부의 복부 부담감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진찰과 분만이 용이한 분만대가 개시된다. 상기 분만대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된 분만의자, 상기 분만의자에 연결되며 분만의자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정하는 조정부재 및 상기 조정부재를 움직이는 구동부재를 포함한다. 그네 형태로 형성된 분만 의자를 통하여 진통을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킴과 동시에 그네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만을 촉진시킬 수 있다. 더욱이, 유압 장치 또는 전기모터 등에 의해 그네 의자의 승,하강 동작 및 회전 동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은 용이하게 분만 보조 행위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만대{Apparatus for delivery}
본 발명은 분만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네의 원리를 이용하여 분만시 수반되는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고, 진찰과 분만이 용이한 분만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분만 방식으로 보편화되어 있는 와식 분만법은 분만시 임산부의 정상적인 자궁 수축력에 역행할 뿐만 아니라 임산부가 능동적으로 분만에 대처하기가 곤란하였다.
태아가 태어날 때 머리는 중력에 순응한 아래방향으로 향하게 되는데, 종래의 와식 분만시의 임산부의 자세는 이러한 태아의 자세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즉, 임산부가 누운 자세로 분만하게 되므로 태아가 출산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될 가능성이 높게 된다. 따라서 임산부의 진통 시간이 길어지고 또한, 태아의 상태도 위험해질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이미 미국이나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는 분만시 임산부의 고통을 덜어줌과 동시에 신생아에게도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분만법으로서, 임산부와 아기 모두를배려하는 방식인 입식 분만법이나 좌식 분만법 등이 종래의 와식 분만법을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대체 분만법들은 중력을 최대한 이용하여 보다 수월하게 아기를 낳을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와식 분만법과는 크게 차별화된다. 즉, 분만시 임산부가 분만 자세로 힘을 주는 방향과 중력의 방향 및 자궁 수축의 방향이 일치하는 방식을 택함으로써 아기를 자연스럽게 분만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체 분만법 중 좌식 분만법에서는 좌식 분만의 특성상 복부에 가해지는 압박감이 적지 않았으며 임산부가 진통에 대응하여 자세를 적절히 취하기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와식 분만법과 좌식 분만법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분만시 임산부의 복부에 가해지는 부담감과 출산에 따른 긴장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분만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만시에 수반되는 진통에 대응하여 임산부가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분만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만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만대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만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만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판의 각도 또는 높이를 조절하는 발 지지대의 사용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만대의 조정부재를 사용하여 분만의자의 각도와 높이를 조정하는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 플레이트 20:프레임
22: 제1 프레임 24: 제2 프레임
26: 연결봉 28: 지지봉
30: 손잡이부 40: 분만의자
42: 등받이 43a,43b: 연결고리
58a, 58b: 고정부재 44: 좌판
46,47: 발 지지대 60: 조정부재
80: 구동부재 82: 캐비넷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된 분만의자, 상기 분만의자에 연결되며 분만의자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정하는 조정부재 및 상기 조정부재를 움직이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분만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칭인 제1 및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을 나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임산부 기타 사용자는 분만 또는 진찰의 경우 상황에 따라 변하는 자세 및 분만의자의 위치 조정에 대응하여 용이하고 자연스럽게 손잡이 역할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일단에는 임산부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분만의자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하단과 연결되며 임산부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좌판을 포함하며 상기 좌판의 양측에 발 지지대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분만의자의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 좌우측에는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만의자에 형성된 상기 연결고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상기 분만의자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 시킨다.
상기 발 지지대는 상기 좌판과 연결되는 제1 연결봉 상기 제1 연결봉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연결봉 및 상기 제2 연결봉에 결합되며 임산부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 지지대는 상기 발판의 제2 연결봉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절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조절부재는 발판에 연결되어 제2 연결봉에 삽입되는 발판연결봉, 제2 연결봉에 형성된 고정홀 및 상기 고정홀에 끼워져 발판연결봉을 고정하는 고정 볼트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분만의자의 높이 또는 각도의 조정부재는 상기 분만의자의 좌우측에 각단이 연결되는 제1 조정부재 및 상기 제1 조정부재에 그 일단이 연결되는 제2 조정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조정부재는 상기 제1 조정부재의 중앙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조정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에 연결되며, 구동부재의 작동에 의해 분만의자의 높낮이나 각도를 조정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만대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만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만대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만대는 지지 플레이트(10), 지지 플레이트(10)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20), 프레임(20)의 내측에 설치되는 분만의자(40), 분만의자(40)에 연결되어 분만의자(40)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정하는 조정부재(60) 및 조정부재(60)을 움직이는 구동부재(8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20)은 서로 대칭인 제1 프레임(22) 및 제2 프레임(24)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형상은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제1 프레임(22) 및 제2 프레임(24)은 대응되는 일단 사이의 간격이 타단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 즉, 도 2의 평면도와 같이 제1 프레임(22)과 제2 프레임(24)은 일측 끝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타측 끝으로 벌어지는 형상을 취한다. 제1 및 제2 프레임(22,24)의 전방이 넓고 후방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22,24)을 나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분만 또는 진찰시에 임산부의 변하는 자세 및 분만의자(40)의 위치 조정에 따라 임산부 기타 진료를 받는 자가 용이하고 자연스럽게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양 프레임(22,24) 전후의 간격을 달리하여 임산부의 변하는 자세 및 분만의자(40)의 위치 조정에 따라 임산부 기타 진료를 받는 자가 더욱 안정적으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분만대가 안정적인 구조를 취하도록 연결봉(26)은 제1 프레임(22) 및 제2 프레임(24)의 상부를 연결하여 제1 프레임(22) 및 제2 프레임(24)을 고정시킨다.
한편 프레임(20)은 지지 플레이트(10)에 용접이나 볼트 등을 통하여 결합된다. 지지 플레이트(10)의 후면에는 구동부재(80)가 결합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10), 프레임(20) 및 구동부재(80) 사이의 결합을 단단히 하기 위하여 프레임(20)을 구동부재(80)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봉(28)이 구비되어 있다. 이 지지봉(28)은 제1프레임(22)의 후면내측과 제2 프레임(24)의 후면내측을 연결하고 구동부재(80)의 캐비넷(82)에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만대는 지지플레이트(10)에 프레임(20)과 구동부재(80)가 설치되고 다시 프레임(20)과 구동부재(80)가 장착되어 있어 안정적인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제1 프레임(22)과 제2 프레임(24)의 내측 일단에는 손잡이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손잡이부(30)는 제1 프레임(22)과 제2 프레임(24)의 일단에 "S"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손잡이부(30)는 임산부가 진통시나 분만시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프레임(22, 24)의 전면 중앙상단에는 발걸이부(32)가 형성되어 진다. 이 발걸이부(32)는 의사가 임산부를 진찰하거나 임산부가 분만을 할 때에 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만대의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만대의 분만의자(40)는 등받이부(42), 등받이부(42)의 하단과 연결되는 좌판(44) 및 좌판(44)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발 지지대(46,47)를 포함한다.
분만의자(40)의 등받이부(42)의 상단에는 그 좌우측에 각각 한 쌍의 연결고리(43a, 43b)가 형성되어 진다.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고정부재(58a, 58b)의 일단은 상기 한쌍의 연결고리(43a, 43b)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재(58a, 58b)의 타단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22, 24)의 연결봉(26)에 연결되어 분만의자(40)의 등받이부(42)를 프레임(2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부재(58a, 58b)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임산부가 진찰을 받거나 분만시에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된 좌판(44)은 그 좌판의 중앙부가 빈 공간으로 되어있다. 이는 진단이나 분만시에 의사가 용이하게 태아에 접근하여 진찰할 수 있고 분만시 태아가 쉽게 나올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좌판(44)에 수직하방으로 부착된 발 지지대(46, 47)는 좌판(44)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연결봉(50a, 50b), 이 한 쌍의 제1 연결봉(50a, 50b)에 일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연결봉(51a, 51b) 및 이 한 쌍의 제2 연결봉(51a, 51b)에 결합되며 임산부의 발을 지지하는 한쌍의 발판(52a, 52b)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등받이부(42)의 상단에는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머리 받침대(48)가 구비되어 있고, 등받이부(42)의 하단에는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허리받침대(49)가 구비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발판(52a, 52b)은 제2 연결봉(51a, 51b)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높이 조절도 가능한 조절부재(53)를 구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판(52a, 52b)의 각도 또는 높이를 조절하는 발 지지대(50)의 조절부재(53)의 사용 측면도이다.
상기 조절부재(53)는 발판(52a, 52b)에 장착되어 제2 연결봉(51a, 51b)에 삽입되는 발판연결봉(56), 제2 연결봉(51a, 51b)에 형성된 고정홀(54) 및 상기 고정홀(54)에 끼워져 발판연결봉(56)을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55)로 구성되어진다. 발판(52a, 52b)의 높이나 각도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 볼트(55)를 풀러 발판(52a, 52b) 및 발판연결봉(56)의 각도 또는 높이를 조정한 다음 다시 고정볼트(55)를 조임으로써 발판연결봉(56)을 고정시켜 원하는 각도 또는 높이로 발판(52a, 52b)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조정부재(60)을 사용하여 분만의자의 각도와 높이를 조정하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분만의자(40)의 조정부재(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정부재(60)은 소정의 인장강도를 갖는 로프로 구성된다. 이 조정부재(60)은 분만의자(40)의 좌판(44)의 좌, 우측에 각단이 연결되는 제1 조정부재(62) 및 제1 조정부재(62)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 2조정부재(64)를 포함한다.
이 제2 조정부재(64)는 구동부재(80)에 연결되어지며 구동부재(80)가 제2 조정부재(64)를 잡아당기거나 풀어주어 분만의자(40)의 높이나 각도를 조정하게 된다.
제1 조정부재(62)는 분만의자(40)의 좌판(44)에 형성된 고정돌기(56)에 양단이 고정되며 제1 조정부재(62)의 중앙에 제2 조정부재(64)가 연결되어진다. 이때, 제1 조정부재(62)는 프레임(20)에 설치된 롤러(34)를 통하여 연결되어지는데 이는 제1 조정부재(62)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고 제1 조정부재(62)를 최대한 프레임(20)에 가까워지도록 하여 의사나 임산부의 동작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조정부재(62)는 연결봉(26)의 상단에 구비된 안내부재(27)에 삽입되어져 구동부재(80)로 인입된다. 이 구동부재(80)내에서 제1 조정부재(62)의 중앙에 제2 조정부재(64)의 일단이 연결되어 진다. 제2 조정부재(64)의 타단은 구동부재(80)에 연결되며, 구동부재(80)가 제2 조정부재(64)를 당기거나 풀어서 최종적으로 분만의자(40)의 높낮이나 각도를 조정하게된다.
상기 조정부재(60)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22,24)의 일측에 각각 장착되는 고정끈(66)을 포함한다. 안정된 분만을 하기 위해서 분만시 분만의자(40)를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상기 고정끈(66)의 타측을 분만의자(40)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고리(43a, 43b)에 연결하여 분만의자(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분만시에 분만의자(4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 고정끈(66)은 제1 및 제2 프레임(22,24)의 후측 상부에 그 일측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동부재(80)는 모터식, 유압식, 전기 웜-스크류, 전기실린더 등 자동으로 구성되어진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에 수동식으로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수동 손잡이(84)가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만대는 그네 형태로 형성된 분만 의자를 통하여 진통을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킴과 동시에 그네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만을 촉진시킬 수 있다.
게다가, 유압 장치 또는 전기모터 등에 의해 그네 의자의 승,하강 동작 및 회전 동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은 용이하게 분만 보조 행위를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다용도 분만대에 대해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된 분만의자;
    상기 분만의자에 연결되며 상기 분만의자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정하는 조정수단; 및
    상기 조정수단을 움직이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서로 대칭인 제1 및 제2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대응되는 일단 사이의 간격이 타단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나선형으로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일단이 손잡이부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만의자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하단과 연결되는 좌판; 및
    상기 좌판의 양측에 결합되는 발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만의자는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만의자의 상기 연결고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프레임에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대.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 지지대는 상기 좌판과 연결되는 제1 연결봉;
    상기 제1 연결봉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연결봉; 및
    상기 제2 연결봉에 결합되며 임산부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제2 연결봉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대.
  11.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발판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연결봉에 삽입되는 발판연결봉;
    상기 제2 연결봉에 형성된 고정홀; 및
    상기 고정홀에 끼워져 상기 발판연결봉을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로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대.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분만의자의 좌우측에 각단이 연결되는 제1 조정부재; 및
    상기 제1 조정부재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 2조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대.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정부재는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대.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장착되는 고정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끈의 타측이 상기 분만의자에 연결되어 상기 분만의자를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만대.
KR1020010017470A 2001-04-02 2001-04-02 분만대 KR20010074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470A KR20010074149A (ko) 2001-04-02 2001-04-02 분만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470A KR20010074149A (ko) 2001-04-02 2001-04-02 분만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149A true KR20010074149A (ko) 2001-08-04

Family

ID=1970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470A KR20010074149A (ko) 2001-04-02 2001-04-02 분만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414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394A (ko) * 2002-01-22 2002-03-28 한재문 가변형 검진 및 분만대
KR20020046243A (ko) * 2002-04-22 2002-06-20 이윤석 검진 및 수술·분만대
KR101366419B1 (ko) * 2013-02-28 2014-02-24 문상미 대장 내시 검진용 자세유지장치
WO2014193005A1 (ko) * 2013-05-30 2014-12-04 Kim Sang Sik 의료 검사 및 치료를 위한 회전 의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1393A (en) * 1978-03-20 1979-10-12 Century Mfg Co Chair for gynecology
US4426071A (en) * 1981-02-13 1984-01-17 Landstingens Inkopscentral, Lic, Ekonomisk Forening Leg supporting device for obstetrical tables
US4541622A (en) * 1983-12-22 1985-09-17 Kazuhisa Tabuchi Reclining bed for childbirth
US5280794A (en) * 1991-10-24 1994-01-25 Michael Bischof Appliance for supporting women during childbirth
KR20000054818A (ko) * 2000-06-27 2000-09-05 이윤석 다용도 분만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1393A (en) * 1978-03-20 1979-10-12 Century Mfg Co Chair for gynecology
US4426071A (en) * 1981-02-13 1984-01-17 Landstingens Inkopscentral, Lic, Ekonomisk Forening Leg supporting device for obstetrical tables
US4541622A (en) * 1983-12-22 1985-09-17 Kazuhisa Tabuchi Reclining bed for childbirth
US5280794A (en) * 1991-10-24 1994-01-25 Michael Bischof Appliance for supporting women during childbirth
KR20000054818A (ko) * 2000-06-27 2000-09-05 이윤석 다용도 분만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394A (ko) * 2002-01-22 2002-03-28 한재문 가변형 검진 및 분만대
KR20020046243A (ko) * 2002-04-22 2002-06-20 이윤석 검진 및 수술·분만대
KR101366419B1 (ko) * 2013-02-28 2014-02-24 문상미 대장 내시 검진용 자세유지장치
WO2014193005A1 (ko) * 2013-05-30 2014-12-04 Kim Sang Sik 의료 검사 및 치료를 위한 회전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1035A (en) Maternity care bed
US3993349A (en) Invalid support device
US3761126A (en) Adjustable chair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RU246587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одовспоможения
US2658506A (en) Head traction device
US6123392A (en) Chiropractic adjusting chair
US4619483A (en) Physically handicapped shoulder support for attachment to a chair back
US5933887A (en) Surgical support system including patient supporting seat
US6959962B2 (en) Support apparatus for seated patient
KR101403555B1 (ko)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EP0131167A2 (en) Therapeutic device for body stretching
KR20010074149A (ko) 분만대
EP1148859B1 (en) Support apparatus for seated patient
WO1994009740A1 (en) Natal chair
JPS5841060B2 (ja) 手術台
JPH0693904B2 (ja) 産婦人科用検診台
JP3797973B2 (ja) 検診台
JPH1176326A (ja) 座位分娩台
GB2127296A (en) Apparatus for use in child-birth
KR20020046243A (ko) 검진 및 수술·분만대
CN114948574B (zh) 一种眼科椅
JPH04285556A (ja) 起立補助器
CN217593302U (zh) 人体工程学牙科综合治疗机椅背
CN219557350U (zh) 一种吞咽功能检查辅助椅
CN212592928U (zh) 一种妇产科检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