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4079A -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방법 - Google Patents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4079A
KR20010074079A KR1020010006754A KR20010006754A KR20010074079A KR 20010074079 A KR20010074079 A KR 20010074079A KR 1020010006754 A KR1020010006754 A KR 1020010006754A KR 20010006754 A KR20010006754 A KR 20010006754A KR 20010074079 A KR20010074079 A KR 20010074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price
oil
bid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5169B1 (ko
Inventor
박상철
유막균
김용식
김동철
김용중
Original Assignee
박상철
주식회사 한국전자석유거래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철, 주식회사 한국전자석유거래소 filed Critical 박상철
Priority to KR10-2001-0006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169B1/ko
Publication of KR20010074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169B1/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류의 구입, 구매를 인터넷 기반의 전자상거래를 통하여 호가매칭을 할 때, 가격조정 요인을 표준화 및 단순화하고 거래 주체간의 정보를 양방향으로 실시간 제공하여 판매자 및 구매자에 판단기준을 제공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로그인함과 동시에 거래를 생성하지 않고도 호가매칭 상황을 거래생성 이전에 알려주므로 판매자 및 구매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거래에 참여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매도/매수 회원 단말기가 인터넷 접속수단을 통해 상기 유류거래서버에 접속하여 호가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회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하고, 회원 단말기를 통해 주문요청서 입력 폼 데이터를 입력하는 과정과, 각 주문요청 데이터에서 주문 조건들을 필드값으로 하는 하나의 레코드로 주문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과, 기 저장된 각 레코드의 필드값 중 상기 주문요청 데이터와 매칭되는 데이터를 검색한 후 해당되는 레코드의 리스트를 웹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디스플레이되는 매도/매수호가 정보 리스트를 확인한 후 상기 회원단말기로부터의 선택에 의하여 호가정보와 연결하는 과정과, 매칭되는 호가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회원단말기를 통해 매도/매수 주문요청 데이터를 수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방법{The method for bid-offer of oil e-business}
본 발명은 유류의 전자상거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류를 거래하고자 하는 공급, 구매 당사자가 가격을 결정하여 호가(Bid-offer)하므로 매칭되는 가장 최적의 가격으로 거래하므로 구매자나 공급자 모두 만족하는 유류 시장가격을 형성하도록 하는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주문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류는 정유사, 수입사, 주유소, 부판점, 유류 대리점 등 유류를 공급하는 업체에서 일방적으로 유류 가격을 결정하는 일방적인 시장가격 결정시스템이었다.
이러한 일방적으로 형성되는 유류가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인터넷의 발달에 따른 전자상거래로 가격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대한민국특허 출원 "제 10-2000-21715 호"(실시간으로 가격조정 요인을 조합한 전자상거래방법)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인터넷 웹브라우저(32)에 의해 정유사, 수입사, 주유소, 부판점, 대리점 등의 판매자(20)와 관공서, 기업체, 가정집 등의 구매자(10)가 연결되고, 유류판매 기업간 가격조정요인을 적용한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30)에 의하여 거래가 이루어게 되며, 거래결과는 전자우편(31)으로 통보된다.
거래는 무선인터넷 거래(37)나 유선전화거래(38)도 가능하고 웹서버(33)와 무선인터넷 서버(36)에 의하여 작동되며, 조정요인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34)가 구비되어진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유류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과정의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판매자(20)가 인터넷 연결 및 로그인(21)하여 판매정보를 입력(22)시키게 되면 판매정보는 판매정보 데이터베이스(34-2)에 저장되며, 구매자(10)가 인터넷 연결 및 로그인(11)하여 구매정보를 입력(12)시키면 구매정보는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34-1)에 저장된다.
판매정보 데이터베이스(34-2)와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34-1)에 저장된 판매정보와 구매정보는 가격조정요인을 이용 최적 가격 근접계산(30-1)을 하게 되고 계산결과(30-2)가 있게되면 최적가격 및 근접가격 구매자리스트(24)를 판매자(20)에서 띄우고 판매승인(25)을 기다리는 한편 최적가격 및 근접가격 판매자리스트(14)를 구매자(10)에게 띄우고 구매신청(15)을 기다린다.
계산결과(31)가 없으면 판매/구매 데이터베이스의 입력/수정 트리거 실행대기(32)상태가 되어 가격조정요인을 수정시켜가며 판매승인 또는 구매신청을 기다린다. 판매승인(25)과 구매신청(15)이 있게되면 신뢰성 데이터베이스(34-8)에 의해 신뢰성이 낮으면 트리거 대기상태가 되게하고(제 2의 역동성) 신뢰도가 높으면 체결정보 데이터베이스(34-3)에 그 정보를 전달하게 한다.
그리고 진행현황 데이터베이스(34-7)에서는 구매자(10)로부터의 구매비용 입금완료입력(16)을 판매자(20)에게 입금내역 디스플레이(26) 시키거나 판매자(20)으로부터의 유류출발 및 도착예정시간 입력(27)을 구매자(10)에게 디스플레이(17)시키거나, 구매자(10)로부터의 도착완료입력(18)을 판매자(20)에게 표시(28)시켜준다. 유류거래에 따른 판매자(20)와 구매자(10)의 신뢰성 만족/불만족 입력(29)(19)은 신뢰성 데이터베이스(34-8)에서 취합하여 유류 판매가격 결정시 조정요인으로 이용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유류전자상거래 시스템은 일방적인 가격결정방법에서는 볼수 없는 다양한 단위당 가격범위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거래 주체의 요구에 만족스럽게 반영되도록 하여, 최적의 조합을 양방향에 제공하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으나, 오히려 가격결정요인이 과다하여 가격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결재방법의 경우, 현금, 카드, 수표 및 결재기일 조건이 다양함에 따라 판매자, 구매자들의 거래생성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경매, 역경매, 입찰의 경우 제시된 다양한 가격결정 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시할 수 있으나, 실시간으로 조절되어야 거래 유동성을 확보해야하는 호가매칭방식에는 도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거래 상대방에게 과다한 정보가 제공됨에 따라 담합의 우려가 있고, 또한, 운송비 문제가 가장 중요한 변수이나 운송비 문제가 가장 중요한 변수이나 운송비를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책정함으로써, 판매자 및 구매자가 시스템이 부여한 운송비를 용인하지 않음에 따라 계약이 유지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호가매칭되는 정보들은 자신이 제시한 수준에 근접된 정보만을 제공할 뿐, 전체적인 정보들은 시스템만이 알고 있으며, 호가매칭 상황을 거래를 생성시키지 않으면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유류의 구입, 구매를 인터넷 기반의 전자상거래를 통하여 호가매칭을 할 때, 가격조정 요인을 표준화 및 단순화하여 거래 주체간의 정보를 양방향으로 실시간 제공함으로써, 판매자 및 구매자에 판단기준을 제공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로그인함과 동시에 거래를 생성하지 않고도 호가매칭 상황을 거래생성 이전에 알려주므로 판매자 및 구매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거래에 참여하도록 하는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류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류 전자상거래 과정의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과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5a는 도 4에서 매도호가주문 요청서 작성과정의 상세 흐름도이고,
도 5b는 도 4에서 매수호가주문 요청서 작성과정의 상세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호가주문 배치과정의 상세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4에서 호가주문 연결과정의 상세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5에서 호가주문 취소과정의 상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104 : 매도자 단말기 106∼108 : 매수자 단말기
202 : FDSU 204 : 라우터
206 : 웹서버 208 : 회원데이터베이스
210 : 주문데이터베이스 212 : 계약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과정의 흐름도로서, 인터넷을 통해 유류를 판매 및 구매를 원하는 회원들이 단말기를 통해 유류거래서버에 접속하여 호가매칭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거래에 참여하는 유류 전자상거래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도/매수 회원 단말기가 인터넷 접속수단을 통해 상기 유류거래서버에 접속하여 호가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회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하고, 회원 단말기를 통해 주문요청서 입력 폼 데이터를 입력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회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각 주문요청 데이터에서 주문 조건들을 필드값으로 하는 하나의 레코드로 주문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제 2 과정과, 상기 주문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각 레코드의 필드값 중 상기 주문요청 데이터와 매칭되는 데이터를 검색한 후 해당되는 레코드의 리스트를 상기 웹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웹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되는 매도/매수호가 정보 리스트를 확인한 후 상기 회원단말기로부터의 선택에 의하여 호가정보와 연결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호가주문과 매칭되는 호가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회원단말기를 통해 매도/매수 주문요청 데이터를 수정한 후 상기 제 2 과정으로 리턴하는 제 5 과정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4 과정은 회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본 주문조건과 상기 주문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대 주문조건이 매칭될 경우 주문서를 발송하여 거래를 연결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상대 주문조건과 상기 본 주문조건이 매칭되는 건이 없을 경우 상대주문의 조건에 일정 영역으로 한정한 부가조건 및 유사조건을 검색하여 유사한 상대호가들을 검출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상대주문, 유사주문이 검색될 경우 최적의 상대주문을 확인한 후 거래를 선택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상대주문과의 거래를 선택하면 주문서를 발송한 후 해당 데이터를 계약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결제단계를 수행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보인 개략 구성도로서, 유류의 판매를 원하는 다수의 회원 고객들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유류 매도호가 주문 데이터 입력 및 매도 거래를 요청하는 각 회원의 매도 단말기(102)(104)와, 유류의 구매를 원하는 다수의 회원고객들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유류 매수호가주문 데이터 입력 및 매수거래를 요청하는 각 회원의 매수 단말기(106∼108)와, 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FDSU(202), 라우터(204)와, 상기 라우터(204)를 통해 웹 데이터를 전송하는 웹서버(206), 가입회원의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데이터베이스(회원DB)(208), 매도/매수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주문데이터베이스(주문DB)(210) 및 매도/매수 거래정보를 데이터베이화한 계약데이터베이스(212)를 포함한 유류거래서버(2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유류 전자상거래를 이용하기 위하여 자신의 단말기(102∼108)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해당 IP 어드레스로 FDSU(202), 라우터(204)에 접속되고, 이어서, 도메인에 해당하는 웹서버(206)에 접속한다.
사용자는 단말기(102∼108)를 통해 유류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웹서버(206)에 접속한 후 회원가입 안내에 따라 회원사 정보를 입력하고 사용자 인증을 부여받는다.
회원정보의 입력은 회사명, 사업자등록번호, 상품, 거래가능상태, 형태(정유사, 수입사, 대리점, 브로커, 직매처, 주유소, 일반 판매소 등), 저유량, 기타 대표자 및 대리자 정보, 거래계좌정보 등을 입력한다.
이상과 같이 회원사 정보와 사용자 정보입력에 따라 필요한 권한을 부여받고 회원 거래 로그온을 선택하면 회원 홈페이지화면을 사용자 단말기(102∼108)의 웹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래 로그온을 선택한 상기 회원이 유류 판매자일 경우에는 자신의 단말기(102)를 이용해 매도호가 주문을 하며, 구매자일 경우에는 자신의 단말기(106)을 이용해 매수호가 주문을 하게되는데, 매도호가 주문(S102)의 경우는 웹 브라우저상에 매도호가주문 입력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고(S210), 매수호가 주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매수호가 주문요청서에 해당 정보를 입력한다.(S220)
입력된 매수 또는 매도호가 주문요청서를 주문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고, 매수 주문요청서의 입력 조건에 매칭되는 호가주문의 경우 해당되는 건의 리스트를 상기 회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 한다.(S230)
거래를 요청한 회원이 상기 리스트를 확인한 후 연결을 수행하고(S300), 호가주문이 연결될 경우에는 결제단계로 거래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연결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호가주문 내용을 수정하여 다시 호가주문 매칭 리스트를 검색하는 과정(S230)으로 리턴한다.(S330)
만약 호가주문을 수정하지 않고 취소할 경우에는(S340)에는 다시 주문데이터베이스(210)에 이를 표시하고 거래 로그온 화면으로 돌아간다.
도 5a는 도 4에서 매도호가주문 요청서를 작성하는 과정의 흐름도로서, 유류를 판매하고자 하는 회원이 매도호가 주문서를 작성하는데는 인터넷 상에서 자신의 단말기(102)로 인터넷에 직접 접속하여 매도호가 주문요청서를 웹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시켜 입력난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S212) 입력된 정보는 유효성검사를 통해 주문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한 후 호가주문 배치과정(S230)으로 진행하게 된다.(S213)(S216)
한편, 전화 또는 FAX를 이용하여 매도호가 주문을 할 경우에는 회원으로부터 전화 또는 FAX를 통해 접수받아 매도호가 주문 내용을 관리자가 직접 입력(S214)하여 유효성 검사(S215)한 후 매도호가 주문요청서를 호가주문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한 후 호가주문 배치과정(S230)으로 진행된다.
이때, 입력되는 각 호가주문서의 내용은 하나의 레코드로하고, 주문번호, 회원번호, 주문회사, 주문자, 주문배치시각, 작성자, 품목, 주문타입, 인수도일자, 출하지/도착지, 배송조건, 가격제시타입, 가격, 수량 등은 해당 레코드의 필드 엔티티(entity)로 하여 주문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한다.
도 5b는 매수호가 주문 요청서의 작성 및 등록과정의 흐름도로서, 매도호가 주문과 동일한 플로우로 작성되나, 한도신용평가를 받지않아도 된다.
즉, 인터넷 상에서 회원 단말기(106)를 통해 매수호가주문 요청서를 입력(S222)하고, 입력된 매수호가주문 요청서에 대한 유효성을 검사(S223)한 후 매수호가주문 요청서를 주문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한 후 호가주문 배치과정(S230)을 수행한다.(S226) 전화/FAX를 이용한 주문일 경우(S221)에도 매수호가주문요청서를 전화나 FAX로 접수를 받아 유효성을 검사(S225)한 후 주문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한다.(S226)
도 6은 도 4에서 호가주문 배치하는 과정(S230)의 흐름도로서, 지불프로세스에서 위탁증거금이 수납되었거나, 대납된 경우 호가 주문 요청서의 등록을 승인하고 주문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 배치한다.(S232)
여기서, 위탁증거금은 거래의 안정성을 위하여 매수, 매도자 모두 예치하도록 하며, 계약이 자동체결되므로 일방적인 파기로 인해 상대방에게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위탁증거금 예치방법은 유류거래서버(200)를 운영하는 업체에 현금으로 소정금액을 예치하는 방법과 보증보험사에서 이를 보장하는 방법이 있다.
도 7은 도 4에서 호가주문을 연결하는 과정(S300)의 세부 흐름도로서, 상기 호가주문 요청서의 승인 및 배치 후(S232) 매칭되는 호가주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거래를 연결하게 된다.
먼저, 상대주문과 본 조건의 호가 주문서가 일치하는 경우에 거래내역서로 전이한다.(S302) 예를 들어 매수자가 단말기(102)를 통해 매수호가 요청서를 입력하여 매수를 요청할 경우 매수호가 요청서의 조건을 주문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된 매도호가 요청서의 조건을 검색 비교하여 동일한 매도호가 요청서를 액세스한다.
이와 같이 상대주문을 검색하기 위한 본 조건은 첫째 회원의 호가 주문서와 가능 반대 포지션이어야 한다.
둘째, 회원의 호가주문서와 배송조건이 동일해야 한다.
셋째, 회원의 호가 주문서와 가격이 같아야 한다. 여기서 가격은 매수 호가가 일 경우 상대방의 매도호가는 최저가격이어야 하고, 매도호가일 경우 상대방의 매수호가는 최고가격이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검색한 결과 해당 조건에 맞는 회원 주문서가 존재할 경우에는 주문서를 발송하고 결제를 진행하므로 거래가 이루어진다.(S302)(S304)
그러나, 해당 조건에 맞는 주문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대주문의 부가조건을 검색하여 매칭되는 주문요청서를 액세스한다.(S308)
여기서 부가조건은 계약약관에 의해 매도/매수호가 계약체결이 일정한 영역 내에서 변할 수 있다라는 조건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대주문이라고 함은 자사의 주문요청서에 부가조건으로 제시한 영역에 있는 반대 포지션의 주문을 말하며, 유사조건은 자사의 요청서에 부가조건으로 제시한 영역에 있는 같은 포지션의 주문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인도일자를 기준으로 -1 ∼ +1일의 범위를 정할 수 있으며, 수량의 범위일 경우에는 다음 표 1과 같이 주문량에 따라 수량범위를 정할 수 있다.
주문량 수량범위(- ∼ + 범위)
1 lot 0 유류거래 서버에서 메타데이터로 존재하여 서버관리자가 설정 가능한 범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야함.
2 lot 0
3 lot 1
4 lot 1
5 lot 1
6 lot 1
7 lot 1
8 lot 1
9 lot 2
10 lot 2
11 lot 2
12 lot 2
13 lot 2
14 lot 3
15 lot 3
16 lot 이상 3
한편, 다수개의 상대주문 검색을 할 때, 상대주문 판매자(Offer)일 경우에는 허용 범위에 있는 모든 주문을 검색하고, 최고의 주문 가격, 근 수량주문, 근 인도일시 방법으로 정렬하여 리스트를 제공함으로, 호가자가 다수개의 주문을 선택하게 된다.
만약, 상대주문 구매자일 경우에는 허용범위에 있는 모든 주문을 검색하고, 최저의 매도호가 가격, 근 수량 주문, 근 인도일시 방법으로 정렬하여 리스트를 제공함으로 다수개의 주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수개의 유사주문 검색을 할 때, 매도주문(Offer)일 경우에는 허용범위에 있는 모든 주문을 검색하여 최저의 매도가격, 근 주문수량, 근 인도일시 방법으로 정열하고 다수개의 주문을 선택하도록 한다. 매수주문(bid)일 경우에는 검색범위에 있는 모든 주문을 검색하며, 최고의 매수가격, 근 주문수량, 근 인도일시 방법으로 정열하고, 다수개의 주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대주문 및 유사주문 검색결과 상대주문이 2건 이상이거나, 유사주문이 1건 이상일 경우에는 상대주문을 확인한 후 거래를 선택하도록 한다.(S310)(S320)
상대주문을 확인하는 단계(S320)는 비슷한 유형의 상대 호가들을 별도로 검출하여 서로 협상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최적으로 조건을 제시하여 가장 적절한 상대호가에 대응시키게 하고, 빠른 시간 내에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대주문을 확인한 후 조건에 맞는 상대주문과의 거래를 선택하면(S322) 주문을 연결한다.
보다 상세한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대주문을 선택하는 순간 본인의 호가 주문서는 상대방의 조건에 따라서 변경된 것으로 한다.
변경된 호가 주문서는 변경된 시각을 기준으로 하고, 거래내역서는 본인의 선택 사항에 의해서 쌍방 강제할당 되고, 지불단계에서 잔여 주문한도액을 조사한다.
이와 같이 주문이 연결되면 주문서를 발송(S306)하고 계약 내용을 계약데이터베이스(212)에 등록한 후 결제하도록 한다.
만약, 상대주문 확인 후(S320) 거래선택을 하지 않을 경우(S322)에는 상대주문에 대한 재확인을 하게 된다. 즉, 주문데이터베이스(210)에서 검색한 상대호가 조건들이 본인의 의도와 현격한 차이가 있을 경우 재 검색을 요구하여 상대주문 검색 및 유사주문 검색단계(S308)로 리턴하는 프로세스이다.
도 8은 호가주문을 취소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상대주문을 확인하고 거래를 선택하는 단계(S322)에서 상대주문을 선택하지않고 거래를 취소할 경우(S326)에는 수납된 위탁증거금을 반납(S341)한 후 주문 배치화면에서 취소한 호가주문서가 삭제된다.(S342) 한편, 주문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되어 있는 해당 호가주문 레코드에 거래취소를 체크한다.
만약, 호가주문은 취소하였으나 거래를 계속할 경우에는 해당 호가주문을 경매 또는 역경매로 전이하게 된다.(S345) 즉, 매도호가일 경우에는 경매과정으로 진행하며, 매수호가일 경우에는 역경매를 진행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방법은 유류의 구입, 구매를 인터넷 기반의 전자상거래를 통하여 호가매칭을 할 때, 가격조정 요인을 표준화 및 단순화하므로 거래 주체간의 정보를 양방향으로 실시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거래를 통해 가격인덱스를 생성 및 제공함으로써 판매자 및 구매자에게 호가 판단기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로그인함과 동시에 거래를 생성하지 않고도 호가매칭 상황을 거래생성 이전에 알려주므로 판매자 및 구매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거래에 참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인터넷을 통해 유류를 판매 및 구매를 원하는 회원들이 단말기를 통해 유류거래서버에 접속하여 호가매칭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거래에 참여하는 유류 전자상거래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도/매수 회원 단말기가 인터넷 접속수단을 통해 상기 유류거래서버에 접속하여 호가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회원 단말기의 웹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하고, 회원 단말기를 통해 주문요청서 입력 폼 데이터를 입력하는 제 1 과정;
    상기 회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각 주문요청 데이터에서 주문 조건들을 필드값으로 하는 하나의 레코드로 주문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2 과정;
    상기 주문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각 레코드의 필드값 중 상기 주문요청 데이터와 매칭되는 데이터를 검색한 후 해당되는 레코드의 리스트를 상기 웹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3 과정;
    상기 웹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되는 매도/매수호가 정보 리스트를 확인한 후 상기 회원단말기로부터의 선택에 의하여 호가정보와 연결하는 제 4 과정;
    상기 호가주문과 매칭되는 호가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회원단말기를 통해 매도/매수 주문요청 데이터를 수정한 후 상기 제 2 과정으로 리턴하는 제 5 과정; 및
    상기 호가주문요청 데이터의 수정없이 호가주문을 취소할 경우 해당 호가주문요청 데이터를 주문데이터베이스에 호가주문 요청서를 취소한 후 회원초기화면으로 리턴하는 제 6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에서 상기 주문요청서는 회원이 판매자일 경우에는 매도호가주문 요청서 입력 폼 데이터를 전송하고, 회원이 구매자일 경우에는 매수호가주문 요청서 입력 폼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에서 주문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매도, 매수 엔티티는 주문번호, 회원번호, 주문회사, 주문자, 주문배치시각, 작성자, 품목, 주문타입, 인수도 일자, 출하지/도착지, 배송조선, 가격제시타입, 가격, 수량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에 더 부가하여 회원으로부터 전화/FAX를 통해 매도/매수호가 주문요청이 있을 경우 입력된 정보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주문요청 정보가 유효할 경우 매도호가 주문요청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동일한 과정으로 해당 영역의 주문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2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에서 상기 매칭되어 상기 웹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되는 매도, 매수 호가주문 데이터는 위탁증거금이 처리된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과정은 회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본 주문조건과 상기 주문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대 주문조건이 매칭될 경우 주문서를 발송하여 거래를 연결하는 제 1 단계;
    상기 상대 주문조건과 상기 본 주문조건이 매칭되는 건이 없을 경우 상대주문의 조건에 일정 영역으로 한정한 부가조건 및 유사조건을 검색하여 유사한 상대호가들을 검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상대주문, 유사주문이 검색될 경우 최적의 상대주문을 확인한 후 거래를 선택하는 제 3 단계;
    상기 상대주문과의 거래를 선택하면 주문서를 발송한 후 해당 데이터를 계약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결제단계를 수행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6 과정은 호가주문 취소요청 데이터가 입력되면 수납된 위탁증거금 반납처리하는 단계;
    상기 위탁증거금 반납처리 후 호가주문요청서 취소 처리한 후 주문데이터베이스에 해당 호가주문요청 레코드에 주문취소를 체크한 후 출금처리한 후 이를 통지하는 단계;
    상기 주문 취소후 거래를 취소하면 회원 초기화면으로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방법.
KR10-2001-0006754A 2001-02-12 2001-02-12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방법 KR100435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754A KR100435169B1 (ko) 2001-02-12 2001-02-12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754A KR100435169B1 (ko) 2001-02-12 2001-02-12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079A true KR20010074079A (ko) 2001-08-04
KR100435169B1 KR100435169B1 (ko) 2004-06-09

Family

ID=19705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754A KR100435169B1 (ko) 2001-02-12 2001-02-12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1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816A (ko) * 2001-07-20 2003-01-29 오일체인 주식회사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오일체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30071959A (ko) * 2002-03-04 2003-09-13 강태욱 인터넷 상의 소비자가 판매자와 운송자를 선택하는 방법
KR101499099B1 (ko) * 2014-10-07 2015-03-06 김진규 석유 제품의 공동 구매 방법 및 석유 제품 공동 구매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5786A (ja) * 1998-11-18 2000-06-0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オンライン・フリーマーケット向け情報共有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売買情報共有装置及び相手紹介装置及びオンライン・フリーマーケット向け情報共有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100324260B1 (ko) * 2000-04-18 2002-02-28 이원배 인터넷을 이용한 다자간 쌍방향 최적 거래 방법
KR20000054707A (ko) * 2000-06-20 2000-09-05 홍규택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유류 판매 방법
KR20000072228A (ko) * 2000-08-16 2000-12-05 김창수 인터넷상의 유류할인쿠폰판매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816A (ko) * 2001-07-20 2003-01-29 오일체인 주식회사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오일체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30071959A (ko) * 2002-03-04 2003-09-13 강태욱 인터넷 상의 소비자가 판매자와 운송자를 선택하는 방법
KR101499099B1 (ko) * 2014-10-07 2015-03-06 김진규 석유 제품의 공동 구매 방법 및 석유 제품 공동 구매를 위한 장치
WO2016056784A1 (ko) * 2014-10-07 2016-04-14 김진규 석유 제품의 공동 구매 방법 및 석유 제품 공동 구매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5169B1 (ko) 200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1363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brokering orders in a trading system
US73632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gotiating and providing quotes for freight and insurance in real time
US200100496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electronic commerce in the metals industry
US20010056395A1 (en) Internet bargaining system
US20010037261A1 (en) Agent purchase method, agent purchase system and record medium containing transaction management program
US20020165813A1 (en) System, method and visual interface for searching for objects having multiple attributes
KR20000063184A (ko) 실시간으로 가격조정 요인을 조합한 전자상거래 방법
JP2002032587A (ja) 与信機能を備えた匿名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682633B1 (ko) 온라인 부동산중개 프랜차이즈 및 온라인 부동산·금융상품거래시장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0435169B1 (ko) 유류 전자상거래에서의 호가거래방법
KR20020003593A (ko) 섬유상품의 인터넷 무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24926A (ko) 온라인 매매 서버를 이용한 무역 중개방법
JP2002259743A (ja) 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オークションシステム、オークション用プログラム、当該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20010025313A (ko) 채권 경매 시스템 및 방법
KR100730564B1 (ko) 부동산 입찰중개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10090962A (ko) 결제 방식에 따른 경매 조건을 갖는 전자 경매 방법 및전자 경매 시스템
KR20010109007A (ko) 인터넷과 이동전화기를 이용한 차량판매 및 매입방법
US8180684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wellhead production assets
KR100458586B1 (ko) 입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800683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rules-based communications between two external sources
KR20000050110A (ko) 기업간(b2b) 쇼핑몰 서버 및 그 전자상거래방법
KR20050094499A (ko) 인터넷망을 통한 주식투자기법 거래방법
JP2002140568A (ja) 産業車両の販売方法とそれに用いる販売システム
KR20220048561A (ko) 위치정보 기반의 온라인 중고물품 거래 시스템
KR100473634B1 (ko) 중고차 매매관련 법정업무시스템과 연계된 인터넷카드결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