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2901A - 가전기기 제어네트워크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제어네트워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2901A
KR20010072901A KR1020017002315A KR20017002315A KR20010072901A KR 20010072901 A KR20010072901 A KR 20010072901A KR 1020017002315 A KR1020017002315 A KR 1020017002315A KR 20017002315 A KR20017002315 A KR 20017002315A KR 20010072901 A KR20010072901 A KR 20010072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ition information
data
operation state
transmission condition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타니야스유키
우에노레이코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10072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90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특히 가전기기를 대상으로 한 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에 있어서, 새로운 가전기기를 도입할 때마다 컨트롤러의 동작상태데이터의 취득방법을 변경하지 않아도 되게 한다. 또 컨트롤러의 전력소비를 적게 한다.
또 홈 네트워크시스템 자체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한다.
그들 해결수단으로서, 컨트롤러에 통신미들웨어로 오브젝트(object)처리에 의해 각 기기마다 공통의 형태로 액세스 가능한 설비를 짜 넣는다. 각 기기에 연휴(連携)장치를 짜 넣는다. 그렇게 함에 있어서, 각 기기는 그것이 필요로 하는 다른 기기나 그 운전데이터가 정해져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 제어네트워크시스템{HOUSEHOLD APPLIANCE CONTROL NETWORK SYSTEM}
근래, 각 가정, 각 빌딩, 각 빌딩의 계단이나 구획 내에서는 각종 그리고 다수의 기기(機器)가 사용되고 있다. 그래서, 이들 기기를 홈 네트워크(또는 홈 네트워크시스템)로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보다 좋은 생활환경, 작업환경, 에너지절약이나 작업의 효율화를 얻기 위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각 가정에서는 공조기기(空調機器), 냉장고, 선풍기, 태양열을 이용한 목욕물용 히터, 전자레인지, 급탕기, 전기각로(脚爐), 온풍기, 전기시계, 텔레비전수상기, 조명기기 등이 사용되며, 이들 기기가 사용되는 시간, 시기 등은 상호간에 상당한 관계가 있으므로, 그 운전이나 대기상태를 그것들의 조건 등을 고려하여 능숙하게 제어하여 생활환경의 개선이나 에너지절약에 결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여름철에는 태양열을 이용한 목욕물용 히터에 의한 온수를 사용하는 일이 많으므로, 목욕시간대에 있어서의 급탕기의 자동온도설정을 그다지 올려둘 필요가 없으므로 겨울철보다 낮게 설정한다.
2) 전자레인지를 사용하는 극히 짧은 시간이라면 여름철이라 할지라도 공조기기의 운전을 낮추어서 가정 전체에서 일시에 사용하는 전력을 적게 한다.
3) 실내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센서로 검출하여 당해 실(室)의 공조기(空調機)의 운전출력이나 발정(發停)을 제어한다.
4) 오피스에서 운전(사용)되고 있는 발열원(發熱源)으로서의 기기의 운전상태를 감지하여 공조기기의 출력을 제어한다.
5) 시각과 운전(사용)되고 있는 기기의 위치를 근거로 하여 실내의 불필요한 조명을 정지한다.
6) 대학에서 수업이 없는 교실의 조명이나 공조기기는 정지한다.
나아가서는 단지 계절이나 시각에 의한 발정(發停)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사용상황을 검지하여, 특히 노인만이 사는 가정이나 양친이 집을 비우는 일이 많은 가정에서의 노인이나 유아(乳兒) 등의 시중이나 감시까지 행하는 것도 검토되고, 시도되고 있는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1) 화장실 문의 개폐가 어떤 시간간격 이상 되지 않거나, 텔레비전의 음량이 너무 크거나, 에어컨과 히터가 운전중이거나, 각종 기기의 조작이 부자연스럽거나 함으로써 이상(異常)을 검지하여, 전화회선을 이용하여 헬퍼(helper)에 연락한다.
2) 아동이 휴대하고 있는 휴대전화가 자택 근처를 관리하는 국(局)의 범위 밖으로 나가면, 그 취지를 텔레비전수상기의 화면이나 음성 등을 통해 양친에게 경고하는 것 등이다.
그러기 위한 각종 기기의 접속상태를 도 1에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본 도면에서, 전기냉장고(1), 공조기기(2), 전기각로(3), 형광등(4), 전자레인지(5), 전기세탁기(6)는 컨트롤러(또는 CPU)(10)에 전력선(11)으로 접속되어 이로써 하나의 (서브)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다.
텔레비전수상기(7)와 시계(8)는 적외선(12)으로 컨트롤러(10)에 접속되어 이로써 하나의 (서브)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다. 전화기(9)는 무선(13)으로 컨트롤러(10)에 접속되어 이로써 하나의 (서브)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것 외에, 각종 기기의 접속에는 초음파 등 다른 수단이 사용되거나, 복수의 수단으로 접속되거나 한다.
또 네트워크도 본 도면과 같이 유일한 컨트롤러(10)를 중심으로 하여 다수의 기기나 (서브)네트워크가 방사상(放射狀)으로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공장이나 오피스빌딩에 있어서의 최대소비전력의 절감화 등을 위해 도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터??복수의 (서브)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하고, 서로 (서브)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실현하는 것, 도 1에서는 컨트롤러가 이 역할을 담당한다. 또 시스템이나 기기에 따라서는 기기에 부설된 통신처리기능수단 등이 이 역할을 담당한다를 가진 몇 개의 (서브)네트워크가 그들 각 구성요소의 단부(端部)의 루터나, 그 역할을 담당하는 기기로 접속되어 있거나, 도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기기나 서브네트워크가 이를테면 수목(樹木)처럼 계층상(階層狀)으로 접속되거나 한다.
본 도면에 있어서, 20 은 (서브)네트워크나 실질적으로 (서브)네트워크가 되는 기기를, 30 은 루터나 그 역할을 담당하는 기기를 나타낸다.
또 공장이나 오피스빌딩은 물론, 병원이나 상업빌딩 등에서는 카운터나 벨 등 전용 기기는 물론, 전임(專任)의 관리인도 시스템에 편성되기도 한다.
또 그다지 대규모는 아니더라도 텔레비전수상기와 VTR 을 접속한 경우에,VTR은 시각의 정확한 표시를 위해 텔레비전수상기가 수신한 방송전파중의 시보(時報)를 정기적으로 읽어내어, 자체에 내장된 시계에 필요한 수정을 행하는 등 간단한 구조에도 채용되고 있다.
또한 이들 네트워크의 효과적인 작용발휘를 위해, 일본전자기계공업회나 일본전기공업회 등에서 각종 규격이나 그 안(案)이 정해지거나 발표되고 있다(예를 들면 ET-2101, JEM-1439등).
또한 프로토콜(통신규격) 등도 정해지고 있는 중이며 또는 개발중이다.
또한 그리고 각 기기(센서류를 포함)에는 제조할 때부터 홈 네트워크에서 적절한 기능발휘를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장비, 기능 예를 들면 통신처리기능이 부가되기도 하며, 또는 검토되고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에서는 기기 특히 가전기기의 제어네트워크시스템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상태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으로서는, 각 기기가 발정(發停) 등의 동작상태데이터를 변경할 때마다 송신해오는 데이터를수신함으로써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인지, 반대로 컨트롤러가 가전기기에 조회함으로써 동작상태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인지, 또는 정기적으로 가전기기가 컨트롤러 앞으로 송신해오는 동작상태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취득하는 것인지, 각 기기가 동작상태데이터가 변화할 때마다 동보송신(同報送信)해오는 동작상태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취득하는 것인지 등을 미리 시스템을 설계할 때에 알아둘 필요가 있다.
나아가서는 가전기기의 사정도 있고, 새로운 가전기기를 도입할 때마다 컨트롤러의 동작상태데이터의 취득방법을 변경할 필요도 생길 수 있다.
또 가전기기만으로 연휴(連携)동작을 행하기 위해서는 동작상태데이터를 송신하는 가전기기에 송신할 곳의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이 동작상태데이터를 수신해서 연휴(連携)하여 동작하는 가전기기 쪽에는 이 데이터를 송신해오는 가전기기의 어드레스를 설정해둘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가전기기 제어네트워크시스템마다 이러한 설정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컨트롤러를 도입하고, 이 컨트롤러가 가전기기의 동작상태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수신한 동작상태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다른 가전기기를 조작하는 코맨드(command)를 생성하여 당해 다른 가전기기에 송신하여 연휴제어를 행하는 시스템에서는 별도로 컨트롤러가 필요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 소비전력이 문제가 된다.
즉 가전기기의 대기시의 소비전력은 0.5W 정도이지만, 컨트롤러로서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한 경우에는 수십 ∼ 100W나 되고, 더욱이 컨트롤러는 항상 네트워크상의 데이터의 수수를 감시할 필요가 있으므로, 많은 경우 상시 가동으로 되므로 소비전력이 문제가 된다.
또 가전기기 제어네트워크시스템에서는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선, 수단이나 코스트에 제한이 많다.
그래서, 많은 제한 하에 가전기기 제어네트워크시스템에 있어서, 새로운 가전기기를 도입할 때마다 컨트롤러의 동작상태데이터의 취득방법을 변경할 필요가 없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 각 가전기기 상호간의 연휴동작의 제어에 있어서는 어드레스 등의 설정이 용이하면서도 소비전력이 적어도 되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 제법 소비전력이 큰 컨트롤러 없이, 각 가전기기의 연휴제어를 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른바 가전기기 제어네트워크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홈 네트워크에 설치된 개개의 가전기기(家電機器)의 운전데이터 상호간의 수수(授受) 그리고 이에 의거한 최적 운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가전기기를 대상으로 한 홈 네트워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 는 도 1의 홈 네트워크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기의 연휴에 관한 기본적인 동작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의 컨트롤러의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의 컨트롤러의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실시형태의 컨트롤러의 또 다른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 는 상기 컨트롤러의 ROM 에 기억되어 있는 각 가전기기의 종류마다의 송신해야 할 정보나 그 효율적인 운전에 관계하는 다른 가전기기의 종류 등의 데이터이다.
도 9a 및 도 9b 는 상기 컨트롤러의 RAM 에 기억되어 있는 각 가전기기의 종류마다의 필요한 다른 가전기기의 운전상황 등의 데이터의 내용의 대응표나 그 대응표를 이용하여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프로그램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 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히 배기팬(exhaust fan)을 대상으로 한 조리대의 풍로나 쿨러와의 연휴설정 및 그 제어의 연휴운전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연휴설정장치가 있는 경우).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형태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2 : 에어컨
3 : 마루청에 설치한 화로 4 : 조명기기
5 : 전자레인지 6 : 전기세탁기
7 : 텔레비전수상기와 VTR 8 : 시계
9 : 전화기 10 : 컨트롤러
11 : 전력선 12 : 적외선
13 : 무선 20 : 서브네트워크
30 : 루터 40 : 연휴설정장치
100 : 컨트롤러 101 : 통신관리수단
102 : 송신조건정보 관리수단 103 : 동작상태데이터 취득수단
110 : 네트워크회선 111 : CPU
112 : UI 113 : ROM
114 : RAM 300 : 가전기기
301 : 통신관리수단 302 : 송신조건정보 유지수단
303 : 동작상태데이터 송신관리수단 304 : 송신조건정보 관리수단
305 : 동작상태데이터 관리수단 310 : 인체검지센서
311 : 송신조건정보 설정수단
321 :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 송신수단
322 :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설정수단 323 : 연휴제어수단
330 : 가전기기 401 : 통신관리수단
402 :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송신수단
403 :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설정요구송신수단
본 발명은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와 하위 통신소프트를 연결하는 통신미들웨어로 통신정의(通信定義) 오브젝트(object)를 정하고, 이로써 각 기기의 연휴(連携)된 동작, 제어를 행하게 할 수 있다는 것에 착안한 것이다.
또, 각종 기기가 그 효율적인 작동을 위해 필요한 다른 기기의 종류나 그 운전상태에 관한 데이터는 한정되어 있다는 것에 착안한 것이다.
또, 각종 기기는 이미 현시점에서도 그 운전상태를 각 부(部)에 출력할 수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많다는 것에 착안한 것이다.
또, 개개의 종류의 기기에 있어서, 그 효율적인 운전에 필요한 다른 기기의 종류나 데이터의 내용에 착안한 것이다.
또 실제문제로서, 각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전기기의 개수나 종류는 한정되어 있다는 것, 나아가서는 그것들의 효율적인 운전제어의 내용도 간단하다는 것에 착안한 것이다.
또, 가전기기에 따라서는 가족이나 조작자가 리모컨(remote controller)을 사용하지만, 대상이 되는 기기의 종류 등은 한정되고, 또한 리모컨 자체가 각종 가전기기에서 공유화(共有化)되고 있다는 것에 착안한 것이다.
또, 가전기기에서는 관련된 각 기기의 작동의 중요도(重要度)도 간단하며, 복잡하지 않다는 것에 착안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제1의 발명에서는 네트워크에 컨트롤러를 설치하고, 이 컨트롤러는 제어, 연휴동작의 대상으로 하는 각 기기(센서, 일체형의 TV와 VTR 등의 기기군(機器群)을 포함)의 동작상태(전류치 등의 센서들의 측정치나 측정치의 처리결과를 포함)를 취득하고, 또 다른 각 기기에 이 취득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또 이를 위해 각 기기는 발정(發停), 운전모드의 변경, 새로운 설치 등에 관한 데이터를 어떤 때 어디에 송신하는가, 송신의 유무 등의 송신조건에 관한 정보 또는 통신규약이나 데이터나 장비 등을 미리 보유하고, 컨트롤러와의 조정, 이를테면 필요한 협의를 한 후, 이 정보 또는 통신규약이나 데이터나 장비 등에 의거하여필요한 동작상태의 데이터를 컨트롤러에 송신하게 된다.
한편, 컨트롤러는 각 가전기기의 송신조건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또한 각 기기와 필요한 협의를 한 후, 필요한 동작상태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른 기기에 그 데이터 자체나 별도의 지시를 송신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컨트롤러는 각 기기에 대하여 어떤 동작상태 데이터를 어떤 때에 보내는가의 신규설정이나 불필요한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다는 설정 등을 하게 하고, 각 기기도 이에 대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에 의거하여, 각 기기의 연휴동작 그리고 물론 네트워크시스템 전체로서의 효율적인 연휴동작을 하게 된다.
또, 다른 발명에 있어서는, 네트워크에 컨트롤러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한편으로는 관련 있는 다른 기기의 동작, 운전상태를 이용하는 기기는 이들 관련 있는 기기의 동작상태의 데이터를 입수한 후, 그 기기의 종류에서 정해지는 내용의 운전제어를 행하는 연휴제어수단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각 기기는 자체의 바람직한 운전제어를 위해 다른 관련 있는 기기와 그 동작상태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에 앞서, 필요한 송신조건정보를 주고받는다. 그리고 이에 의거하여 각 기기는 상호 필요한 타이밍 등에 다른 관련 있는 기기에 관한 필요한 동작상태데이터를 입수하고, 이에 의거하여 연휴운전제어를 행한다.
또, 다른 발명에 있어서는, 기기 제어네트워크시스템을 도입 할 때나 새로운 기기를 부설할 때의 연휴동작을 설정함에 있어서, 그것을 위한 장치를 준비하고, 이 장치로 각 기기에 연휴제어의 기능을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 다른 3가지 발명에 있어서는, 각 청구항 2,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기가 발음, 움직임, 적외선 등으로부터 인체 또는 사람의 존재 등을 검지하는 센서이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는 기기가 공조기기이다. 또한 기타 조명기기, 환풍기 등이라도 된다는 것은 물론이다.
또, 다른 3가지 발명에 있어서는, 역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기가 전류계 등의 전력량센서이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는 기기가 가전기기로서는 전력소비가 큰 에어컨이다.
또, 다른 발명에 있어서는, 기기 제어네트워크시스템에 접속된 각 기기의 소비전력, 소비전류를 컨트롤러가 감시하고 있다. 이에 의거하여, 이들이 미리 제한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초과할 듯한 경우에는 필요성이 적은 기기의 부하를 내리거나, 다소라도 융통성이 있는 기기를 정지하거나, 또는 이것들과 어울러서 사용자에게 소정의 경고를 발하거나 한다.
또, 다른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8의 발명과 유사하지만, 컨트롤러가 아니고, 연휴설정장치의 작용 하에 각 기기(NFB나 그 역할을 담당하는 안전기구 등을 포함)가 총소비전력 등이 제한치 이하로 되도록 제어하고 하고 있다.
또, 다른 3가지 발명에 있어서는, 각 기기나 각 기기 공통의 리모컨에 기기 제어네트워크시스템의 컨트롤러이거나 연휴제어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총소비전력의 초과나 히터와 쿨러가 동시에 작동하는 등 특히 사용자의 이 조작에 의한 불편발생의 저지에 효과적으로 된다. 또, 각 기기 공통의 리모컨이라면, 그 표시부에 대응조치를 몇 가지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의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각 기기의 연휴동작 또는 운전에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를 실제로 행하는 경우에, 그 전제가 되는 각 기기의 하드 및 소프트적 구성에 관하여 개략 설명한다(또한 후술할 각 실시형태의 홈 네트워크의 연휴동작에 대해서도 기본은 이와 같다).
먼저, 각 가전기기의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연휴운전의 채용 여부에 대하여 알기 쉬운 예를 들어 설명한다.
컴퓨터에 접속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특수한 자체(字體)로 프린트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프린트지령 하에 프린트를 행함에 앞서, 프린터는 특수한 자체에 의한 프린트지령이 입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입력되어 있으면 소정의 메모리에 특수한 자체로 프린트하는데 필요한 데이터가 별도로 입력되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여, 입력되어 있지 않으면 그 취지를 주의ㆍ환기시키는 표시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프린트를 중지한다. 또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으면 그 데이터를 읽고 프린트하게 된다.
다음에, 사용자로부터 특수한 자체로 프린트하라는 지령이 입력되어 있지 않으면 통상의 자체로 프린트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그것을 위한 메모리에서 읽어내어 프린트한다.
각 가전기기의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연휴운전의 채용 여부도 기본은 이와 같다. 즉, 각 가정에 설치되고, 기동(起動)했을 때, 설치자의 연휴운전지시 유무나, 내장된 프로그램을 따라 전력선 등을 통하여 다른 가전기기에 소정의 도전을 하여, 그 응답의 유무로 연휴운전 할 기기의 유무를 판단한다. 또한 그 판단결과에 따라 단독으로 운전하거나 연휴운전을 하게 된다.
다음에 연휴운전의 일환으로서의 송신조건정보의 설정요구나 송수신, 동작상태데이터의 수신설정이나 송수신의 내용에 대하여 알기 쉬운 예를 들어 설명한다.
현재, 많은 기기가 사용자의 관리 등의 편의를 위해, 그 운전상황이나 운전내용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거나, 통지 또는 지시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의 송수신 기록의 정기적인 인쇄출력, 공조기기에 있어서의 설정온도의 표시, 기타 가전기기는 아니지만 자동차에 있어서의 주행거리의 표시나 연료나 윤활유의 존재표시 등이다.
다음에 또, 현재 각 기기는 운전상환인지 여부 또는 그 발휘할 수 있는 기능이나 그 정도 등을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어느 기능을 발휘 가능한가를 선택하게 하는 것도 있다.
예를 들면, 많은 VTR 은 녹화 중에는 그 취지의 램프가 점등하고, 또 TV 의 표시면에 표준속도의 녹화로 할지, 3배속도의 녹화로 할지, 커머셜커트를 행할지의 여부를 표시하여, 리모컨으로 사용자가 좋아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공조기기에 있어서는 냉방인가 난방인가의 선택, 온도의 설정, 운전시간 등을 리모컨에 표시 가능하게 하여, 이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각 가전기기는 기본적으로는 이들 기능을 이용하여 발정(發停)이나 운전모드의 선택 등을 행하게 된다. 단, 연휴운전의 경우, 사용자가 아니라 컨트롤러를 통해 발정이나 운전모드의 선택 등이 행해지는 것이 다르다. 또 주고받는 데이터의 내용이나 빈도에도 차이가 생겨나는 것도 물론이다.
다음에 연휴운전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의 송수신에 대하여 이것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기기에 따라서는 운전상태에 대한 소정의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기억하고, 또는 운전상태가 변화할 때마다 기억을 갱신하고, 별도의 사용자의 지시로 출력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마치 공장, 선박, 항공기 등의 플랜트에서는 중앙제어실, 운전석 등에 각 부(部)의 상태가 표시되고, 항공기에서는 끊임없이 플라이트 레코더 (flight recorder)에 소정의 상태가 기록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워드프로세서에 있어서의 문서의 정정 회수의 표시, 복사기에 있어서의 복사 매수의 표시, 텔레비전수상기에 있어서의 전원 ON 의 작은 표시, VTR 에 있어서의 타사에 대항하여 같은 시간대에 방영하는 인기프로그램의 녹화에 있어서의 기록중의 국(局)번호의 표시, 전기취사기구에 있어서의 현재상태의 표시 등 이다.
그리고 또한, 가전기기에 따라서는 프로토콜(통신규약)에 준하여 상호 그 기능발휘의 조정 등도 행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팩시밀리장치는 송수신기가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의 프로토콜 CCITT-T30 에 준하여 상호 컬러인쇄의 가능 여부, 상세 모드에서의 송신 가능 여부, 용지의 사이즈 등을 서로 연락하고, 원칙적으로 송신 측의 장치에서 화상데이터의 양쪽 장치에 준한 처리를 실시하여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VTR은 접속되어 있는 텔레비전수상기가 수신한 전파로부터국(局)의 시보(時報)를 판독하여 사용자를 위한 표시나 정확한 타임예약에 사용하고 있다.
또 각 기기에 따라서는 데이터가 필요한 다른 기기의 종류나 데이터의 내용은 스스로 정해져 있다. 예를 들면 VTR 특히 그 타이머녹화에 있어서는 공조기(空調機)나 냉장고의 운전상태 등은 원칙적으로 불필요하다. 그래서 각 가전기기가 다른 기기에 그 동작상태를 요구하거나 또는 송신조건정보를 설정함에 있어서, 필요한 기기에 대해서만 필요한 데이터 등을 요구하며, 당해 데이터만 송ㆍ수신되는 프로그램이 미리 짜여져 있다. 또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외부로부터 입력ㆍ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도 물론이다.(기술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나 통신미들웨어 등의 단계에서 짜여져 있다. 또 이를 위해 프로토콜, 프로그램의 통일도 행해지거나, 행해지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시스템에 있어서도, 각 가전기기의 이들 기능을 이용하게 된다. 또는 이들의 기능발휘라기보다는 그 확장, 확장된 기능을 이를테면 원용하여 각 가전기기가 홈 네트워크시스템에의 대응이 가능하도록 미리 되어 있다.
이상에 의거하여,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도 있지만, 도 3a, 도 3b 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가전기기의 홈 네트워크의 연휴운전에 대하여 알기 쉬운 구체적 예에 의거하여 그 채용 여부와 그것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의 송수신처리의 기본적인 판단을 설명한다.
연휴운전의 채용 여부는, 각 가전기기는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또는 비록 접속되어 있어도 연휴(連携)할 가전기기가 존재하지 않으면, 연휴동작을 설정하지 않고, 당해 기기의 단독운전을 하게 된다.
즉 공조기를 예로 들면,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거나, 접속되어 있어도 이미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가전기기가 팩시밀리장치나 VTR 등의 공조기의 운전에 원칙적으로 무관계한 기기뿐이면, 홈 네트워크에 관계없이 단독운전을 행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개개의 조작에 의해 발정(發停)하거나, 출력을 올리고 내리거나, 내장된 타이머에 미리 사용자가 설정한 프로그램이나 지시에 따라 발정(發停)하거나 한다.
즉 도 3b 의 a1, a2 에 나타낸 스텝을 실행하게 된다.
한편, 홈 네트워크에 연휴(連携)할 가전기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도 3a 의 b1, b2, b3 의 스텝을 실행하게 된다. 즉, 홈 네트워크상에 연휴할 가전기기가 존재하는가를 다른 기기에 조회하는 요구를 송신한다. 연휴할 가전기기로부터 응답이 있을 경우에, 연휴할 가전기기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b1 의 스텝을 실행한다.
즉, 연휴할 가전기기의 동작상태데이터의 송신조건정보를 조회하는 요구를 송신하여, 그 응답으로서 연휴할 가전기기의 동작상태데이터의 송신조건정보를 취득한다.
즉, 전술한 공조기를 예로 들면, 연휴할 가전기기로서 조명이 홈 네트워크상에 존재했을 때에, 조명으로부터 존재를 나타내는 응답을 수신하면, 공조기는 조명의 송신 가능한 동작상태(조명의 점등상태, 조도) 및 송신조건(정기적으로 또는 상태가 변화할 때마다 동작상태를 동보(同報), 또는 특정 수신자 앞으로 송신하는지 또는 조회에 의해 송신하는지를 나타낸다)을 취득한다.
다음에 연휴할 가전기기로부터 취득한 송신조건정보에 연휴동작을 위해 필요한 동작상태데이터의 자체(自體) 기기에의 송신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때, 또는 연휴동작을 위해 필요한 동작상태데이터의 송신설정이 아직 설정되어 있지 않았을 때에, 연휴동작하는 가전기기의 송신조건정보의 설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b2 의 스텝을 실행하게 된다.
즉, 연휴할 가전기기에 송신조건설정의 요구를 송신하고, 연휴할 가전기기의 동작상태데이터가 자체 기기에 송신되도록 송신조건의 설정을 행한다. 또한 b3 의 스텝을 실행하고 연휴동작에 관한 초기화를 완료한다. 즉, 연휴할 가전기기가 송신해오는 동작상태데이터를 수신하고, 또는 조회에 의해 연휴할 가전기기의 동작상태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데이터를 해당하는 메모리에 기입하는 등의 설정을 자체 기기에 대해 행하여 연휴동작의 초기화를 완료한다.
즉, 상술한 공조기와 연휴할 가전기기로서 조명기기를 예로 들면, 조명은 동작상태데이터로서 점등상태를 조회에 의해 송신 가능하지만, 점등상태가 변화할 때마다 송신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지 않을 때에, 조명기기가 점등상태의 상태변화마다 점등상태를 동보(同報) 또는 자체 기기 앞으로 송신하도록, 조명에 대하여 송신조건의 설정요구를 송신하여 송신조건의 설정을 행한다.
또, 자체 기기에 대하여 조명기기가 상태 변화할 때마다 자체 기기에 송신해오는 점등상태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에 연휴하여 자체 기기를 제어·이용하기 위해 자체 기기의 메모리에 기입 등의 필요한 설정을 행하여 연휴동작의 초기화를 완료한다.
또한, 연휴동작의 초기화가 완료된 후, 홈 네트워크에 연휴하여 동작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도 3b 의 a3, a4 의 스텝, 예외적으로 a5 의 스텝을 실행하게 된다.
즉, 본 도 3b 의 연휴동작의 지시라는 것은 컨트롤러나 다른 가전기기나 경우에 따르기도 하지만 기타 당해 가전기기의 설치자로부터의 홈 네트워크 내에서의 연휴동작의 지시이다.
이상은 어디까지나 예를 들면 조명, 키 등의 상태를 근거로 에어컨 등을 발정시키는 경우였으나, 실제의 홈 네트워크시스템에서는 보다 다수, 많은 종류의 가전기기의 발정 등이 대상이 된다. 그래서 각 가전기기는 홈 네트워크시스템에의 대응이 가능하도록 미리 그 이용, 목적 등에서 정해지는 종류마다의 식별부호가 규격화하여 정해져 있으며, 같은 종류의 기기가 복수 존재하면 다시 그 하위의 식별부호가 자동적으로 부여되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기도 하고, 이에 의거하여 미리 이것이 부여되어 있고 또는 알려져 있으며, 이 식별부호를 붙여서 데이터 등의 송수신을 하고, 혼신(混信)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도 물론이다.
또, 집합주택 이른바 맨션에서는 특히 그렇지만, 그대로는 인접한 구획(실)의 홈 네트워크시스템과의 혼신(混信)도 생길 수 있다. 그래서 전력선에는 이른바 블로킹 필터가 설치되거나, 구획마다 상이한 하우스코드를 붙여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등의 대책도 세우고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단, 이에 대해서는 자명하고도주지의 기술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 의거하여, 본 실시형태의 홈 네트워크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본 실시형태의 홈 네트워크시스템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도면에서 100 은 컨트롤러이고, 101 은 그 통신관리수단이고, 102 는 그 송신조건정보관리수단이고, 103 은 그 동작상태데이터취득수단이다.
300 은 컨트롤러의 개재 하에 상호 연휴동작을 하는 가전기기이고, 301 은 그 통신관리수단이며, 302 는 그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며, 303 은 그 동작상태데이터 송신관리수단이며, 304 는 그 송신조건정보관리수단이며, 305 는 동작상태데이터 관리수단이다.
또 110 은 전력선을 이용한 네트워크회선이다.
이들 각 부의 작용에 관한 것인데, 컨트롤러와 가전기기의 통신관리수단 (101), (301)은 네트워크회선(110)을 사용하여 상호간에 또는 필요에 따라 다른 가전기기나 센서들(모두 도시하지 않음) 상호간에 필요한 정보의 수수(授受)를 위한 제어, 조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신데이터의 생성이나 전문(電文)의 수신, 수신데이터의 추출(抽出) 등이다.
도 5 ∼ 도 7에 이 컨트롤러의 구성의 각 타입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본 도면에서 101 은 통신용 인터페이스이고, 도 4에 나타낸 통신관리수단(101)에 거의 해당한다. 111 은 내장된 칩 등으로 이루어지는 중앙처리장치(CPU)이다. 112 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겸한 입출력(조작)부(UI)이다. 113 은 컨트롤러로서의 적절한 기능이 발휘되도록 제조메이커에서 미리 프로그램이 기입된 ROM 이다. 114 는컨트롤러로서의 작용을 발휘 중에, 그 기능을 발휘함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의 기억이 적절히 행해지는 RAM 이다.
그리고 이들 CPU, UI, ROM, RAM이 도 4에 나타낸 송신조건정보관리수단 (102), 동작상태데이터취득수단(103)의 역할도 담당하는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것은 UI 를 장비하지 않은 형(型)의 것이고, 도 7에 나타낸 것은 RAM 을 CPU 내에 장비하고 있는 형(型)의 것이다.
또한, 메모리의 용량, CPU의 능력 등은 서로 다르지만, 각 가전기기도 이에 유사한 하드나 소프트를 가지고 있다.
도 8a 및 도 8b 에 이 ROM 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일부를 나타낸다. 본 도 8a 는 각 기기마다의 컨트롤러에 송신할 정보의 일람표이다. 도 8a 의 가장 상단은 냉장고가 냉방운전의 강(强), 보통, 정지와 냉장고 내 제습운전의 유무와 소비정력을 송신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항목 앞의 「*」표시는 변동이 있을 때마다, 「**」표시는 변동시의 다른 정기적으로 송신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도 8b 는 각 기기마다 그 효율적인 운전에 관계가 있는 가전기기의 명칭, 종류를 기억하고 있다. 가장 상단의 냉장고는 원칙적으로 다른 기기에 무관계로 운전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가장 하단의 전력계는 소비전력이 큰 가전기기가 리스트 업 되어 있다.
그리고 당연히, 각 가전기기도 이 컨트롤러의 요구에 대응하는 능력, 기능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서는 컨트롤러로부터의 송신요구에 따라 새로이 송신할 데이터의 항목을 설정하거나, 송신 가능하게 되기도 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비전류를 본래는 10분 간격으로 송신하는 것을 컨트롤러의 요구에 따라 1분 간격으로 송신 가능하게 되는 기능 등이다.
그래서, 내장된 메모리의 송신조건란의 송신시간 간격란에 필요한 기입이나 수정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 등이다. 어쨌든 간에, 컨트롤러로부터의 송신요구의 결과, 냉장고는 도 8a 의 가장 상단에 나타낸 항목을 컨트롤러에 송신하게 된다. 물론 그 이상의 능력 예를 들면 냉장고 내 설정온도의 송신능력 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단, 본 실시형태의 홈 네트워크시스템에서는 그에 관해서는 고려하지 않기로 되어 있으므로, 컨트롤러는 송신요구에 이를 포함시키지 않고, 또 냉장고로부터의 송신이 있었다고 해도 무시하게 된다.
다음에 가전기기에 관한 것인데, 그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302)은 자체 기기의 동작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조건, 예를 들면 어떤 경우에 송신하는가, 어떤 종류의 데이터를 송신하는가, 어느 송신 어드레스에 송신하는가 등에 관한 정보, 또는 규칙 등을 간직하고 있는 메모리이며, 그 내용은 상술한 도 8a 와 같은 것이다.
마찬가지로, 동작상태데이터송신관리수단(303)은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하고 있는 정보에 따라 동작상태데이터(관리수단이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를 통신관리수단(301)을 통해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발정, 운전의 부하상태, 기타 라디오라면 국(局)으로부터 수신한 시간정보 등을 정기적으로 또는 운전상태가 변경될 때 등에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동작상태데이터관리수단(305)은 이 가전기기의 운전상태 등을끊임없이 또는 정기(定時)적으로 채취하여 기억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송신조건정보관리수단(304)은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어온 송신조건정보의 내용을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302)에 통지하고, 또 필요에 따라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하는 내용에 대한 정보를 고쳐 쓰거나, 새로운 정보의 부여 등을 행하거나 한다. 즉 예를 들면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종류, 내용 여하에 따라서는 송신할 필요가 없는 정보도 많이 있을 수 있다는 것 등에 의한다.
이상에 의거하여, 컨트롤러는 현시점의 홈 네트워크시스템에 접속되어 있는 가전기기만을 대상으로 하여, 도 8a 및 도 8b 에 나타낸 내용을 RAM에 기입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8b 의 전력계의 항목을 예로 들면, 도 9a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를 기입한다. 이것은 다소 유복한 가정일 테지만, 냉장고는 1대밖에 없지만, 에어컨, 텔레비전, VTR은 각기 2대 있어, 그래서 이것들에는 1, 2의 부호를 붙였다. 이상에 근거하여 홈 네트워크시스템은 RAM의 전력계의 데이터를 참조하면서 이들 가전기기의 소비전력이 소정의 값 이하로 되도록 미리 프로그램에 준하여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냉장고를 우선하고, 한쪽의 에어컨을 정지하거나, 텔레비전을 '단(斷)'으로 하는 것 등이며, 이 순서를 도 9b 에 나타낸다.
또한 물론, 문서 작성중의 워드프로세서를 우선하고, 다소의 정지가 가능한 냉장고를 '단(斷)'으로 하고, 리모컨이나 워드프로세서나 텔레비전수상기에 총 소비전류가 오버했기 때문에 냉장고를 '단(斷)'으로 했다는 표시가 나오도록 해도 된다.
송신조건정보관리수단(102)은 각 가전기기의 송신조건정보관리수단(304)에 어떠한 정보를 어떤 때에 송신하는가 등에 대한 송신조건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고, 그 회신으로서 송신조건정보를 수신한다.
또 어떠한 동작상태가 송신 가능한가에 대한 데이터의 송신도 요구하여 그 회신을 수신한다. 또한 각 가전기기에 따르기도 하지만, 회신에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동작상태데이터취득수단에 그 데이터를 보낸다.
동작상태데이터취득수단은 가전기기로부터의 송신조건정보에 관한 회신에 동작상태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그 송신을 요구하여 취득한다.
이상으로써 컨트롤러를 중심으로 하여 홈 네트워크시스템에 준한 각 기기의 적절한 운전제어를 하게 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현재의 유저 프렌들리(user friendly)의 팩시밀리장치를 예로 들면, 정기적으로 송신자와 수신자의 팩시밀리 번호와 각 송수신의 일시(日時), 각 송수신의 송신 매수나 남은 용지의 수를 용지에 인쇄하여 사용자에게 보고하게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일이 컨트롤러에도 행해지게 된다.
단, 컨트롤러에의 보고는 용지에 인쇄하여 행하는 것이 아니고 전자, 전기적인 형식으로 행해지는 것은 물론이다. 또 컨트롤러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남은 용지의 수와 송수신의 일시와 매수만 보고되는 것도 물론이다.
또한 이를 위한 구체적 수단으로서는 컨트롤러로부터의 지시 하에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하는 송신정보로서의 송신 항목 중, 홈 네트워크에 의해 보고하기로 된 항목만 그 취지의 플래그(flag)가 붙여지기도 한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홈 네트워크시스템에서는 취득한 각 가전기기의 어떠한 운전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가를 컨트롤러가 판단하고, 이로써 필요에 따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 등은 사용자에게 팩시밀리장치의 용지가 적다는 취지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 팩시밀리장치에 정기적으로 경고음을 발신하기도 한다.
또, 사업소 등에 있어서 복수의 팩시밀리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팩시밀리장치는 별도의 수단으로 상호 식별하는 부호(ID)를 붙이거나, 이 ID를 사용함으로써 해당하는 팩시밀리장치만이 경고음을 내기도 한다.
또, 도 2a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홈 네트워크시스템에서는 각 기기에 부가된 제어부는 컨트롤러를 통해 필요한 제어를 받는다. 예를 들면 조리대의 점화보고를 받은 환기팬이 자동 기동하거나, 기동중이라도 그 능력을 '대(大)'로 하게 된다. 또 이를 위해 조리대의 점화용 플러그는 사용자의 가스스위치가 '개(開)'로 되어있음을 검지하여 그 취지의 신호를 컨트롤러에 즉시 발하도록 되어 있고, 컨트롤러는 환기팬이 '정(停)'으로 되어있으면 기동을 명하고, 능력이 '소(小)'이거나, 실내를 냉방중이면 최대 배기량으로 하도록 지시하기도 한다.
(제 2 의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다른 기기의 동작상태를 자체의 운전제어에 이용하는 기기가, 이용되는 다른 기기로부터 필요한 동작상태를 취득하는 것이다.
즉, 기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운전상태의 데이터가 필요한 다른 종류의 기기는 스스로 한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환기팬으로서는 실내온도, 에어컨이 운전중인지 여부, 그리고 특히 부엌 조리대 상부의 환기팬으로서는 조리대의 화기(火氣)의 유무가 중요하며, 텔레비전이나 세탁기가 운전중인지 여부, 실내조명의 여하 등은 그 운전에 관계가 없다. 환기팬은 전기풍로 등 필요한 기기의 데이터만을 취득하고, 그것을 자체 운전의 참고로 하면 된다.
반대로, 예를 들면 쿨러에 있어서는 그 운전상태의 여하나 그 데이터 등이 이용되는 기기는 이것 또한 한정된다. 즉 팩시밀리장치의 수신이나 급탕기의 발정(發停)에 있어 쿨러나 에어컨의 발정은 사실상 무관계이며, 또한 쿨러와 전기히터나 온풍기와의 동시 운전은 있을 수 없는 것일 뿐만 아니라 도리어 이상상태(異常狀態)를 보인다.
또, 간단한 기기 특히 센서류에 있어서는 타이머, 시계기구 등을 장비하면 코스트 업으로도 된다.
따라서, 새로이 실내에 설치하는 기기의 여하에 따라서는 전혀 컨트롤러를 통하지 않고도 다른 필요한 기기의 운전데이터만 직접 취득하여, 이것을 자체의 효율적인 운전에 이용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는 이와 같은 경우에 관 한 것이다.
도 10에 본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도면에 있어서, 310 은 자체의 동작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 데이터가 다른 기기의 동작에 이용(사용)되는 가전기기이다. 301 은 그 통신관리수단이고, 302 는 그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고, 303 은 그 동작상태데이터 송신관리수단이고, 311 은 그 송신조건정보설정수단이다.
320 은 다른 가전기기의 동작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휴동작을 행하는 측의 가전기기이다. 301 은 그 통신관리수단이며, 321 은 그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송신수단이며, 323 은 그 연휴제어수단이다.
피(被)이용 가전기기(310)에 있어서의 통신관리수단(301)과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302)과 동작상태송신관리수단의 기능, 역할은 앞서의 제1의 실시형태와 같다.
송신조건정보설정수단(311)은 네트워크(11)를 통해 이용측의 가전기기(320)로부터 송신되어온 송신조건정보를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302)에 설정한다. 그래서, 예를 들면 조리대이면 점화의 유무(발정)와 점화중이면 점화량이 대, 중, 소의 어느 쪽인가를 사람이 조작할 때마다 그 바로 위에 배설(配設)된 배기팬에 통지하게 된다.
이용 측의 가전기기의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송신수단(321)은 피이용측의 가전기기(301)에 소정의 송신조건정보를 설정하도록 요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온도센서에 대하여 에어컨이 정기적으로 온도정보의 송신을 요구한다. 또는 조리대 바로 위의 배기팬이 가스풍로에 대해서는 그 스위치의 개폐나 개도(開度)에 대한 정보의 송신을, 쿨러에 대해서는 그 운전의 유무에 대한 정보의 송신을 요구한다.
동작상태데이터수신설정수단(22)은 앞서의 제1의 실시형태의 동작데이터 취득수단과 같은 작용을 하거나, 정기적인 운전상태가 변화할 때에 피이용측 가전기기로부터 송신되어오는 그 동작상태의 데이터를 입수하거나 한다.
연휴제어수단(323)은 동작상태데이터수신설정수단이 취득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자체 기기의 동작상태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온도센서로부터 송신되어오는 온도정보가 낮아지면 에어컨은 부하를 내린다.
또, 조리대 위의 배기팬이면 단지 하부의 가스풍로가 점화되면 자동 기동할뿐만 아니라, 쿨러가 운전중이면 최대 용량으로 배기하여 열기가 실내에 확산하는 것을 극력 방지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실내 온도도 고려하거나 기동중인 텔레비전수상기의 성량을 확대시키기도 한다.
도 11a 및 도 11b 에 배기팬의 이들 작용 발휘를 위한 순서를 나타낸다. 본 도 11a 는 설치되어서, 홈 네트워크시스템에 가입했을 때의 조리대 및 공조기 특히 쿨러와의 연휴설정시의 순서이다. 도 11b 는 홈 네트워크시스템의 일환으로 특히 조리대와의 연휴동작을 할 때의 순서이다. 또한 쿨러가 가까운 곳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초음파신호가 직접 미치는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응답의 유무)로 검출한다.
이상의 것 외에, 음향기기나 조명과 커튼ㆍ블라인드와의 연휴에서도 거의 같은 작용이 이루어진다. 즉, 음향기기가 어떤 음량 이상으로 기동되거나, 실내 조명이 되거나 하면, 사용자의 별도의 지시가 없으면 창의 커튼·블라인드는 자동적으로 닫힌다. 또한 에어컨이 운전되고 있고 설정온도와 실제의 온도차가 크면, 커튼·블라인드가 자동적으로 닫히게 된다는 것 등이다.
또한, 야간의 전력을 이용한 물의 승온(昇溫)에 의한 축열(蓄熱)에 있어서는 축열형 급탕기는 야간에 온풍기 등의 다른 전력다량소비형 기기의 정지를 확인한 후 최대 용량으로 다량 축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의 유무에 관계없이 각 가전기기는 소프트적으로 추가된 네트워크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제어를 행하는 연휴제어수단을 가지고 있으므로, 코스트 업 없이 관련되는 다른 가전기기와 연휴하여 최적의 운전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제 3 의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연휴설정 시에, 그것을 위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도 12에 본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도면에 있어서, 40 은 기기의 신설 시 등에 홈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연휴설정장치이다.
402 는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송신수단이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정의 가전기기의 송신조건정보설정수단(311)에 송신조건정보의 설정을 위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403 은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설정요구데이터 송신수단이며, 마찬가지로 각 기기의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설정수단에 수신을 위한 소정의 설정을 행하게 한다.
330 은 이 연휴설정장치의 작용 하에 연휴를 위해 필요한 조건, 설정이 행해지는 측의 가전기기이다. 그리고 연휴설정장치에서 간직해야할 데이터가 설정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302), 동작상태데이터 송신관리수단 (303), 송신조건정보설정수단(311), 동작상태데이터수신설정수단(322), 연휴제어수단(323)의 작용, 기능 등은 앞서의 2 가지 실시형태와 같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초기의 연휴설정을 할 때나 기기를 신설할 때에는 통신수단, 표시수단, 입력수단 및 각종 명령을 짜 넣은 집적회로로 이루어지는 그것을 위한 장치가 필요하지만, 이후에는 불필요하며, 컨트롤러 없이 소정의 가전기기가 연휴동작을 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현실문제로서는 예를 들면 홈 네트워크 설정 시에 퍼스널 컴퓨터에 입력시킨 프로그램이 에어 컨디션, 에너지절약 등 홈 네트워크의 설정 목적마다 기존의 접속되어 있는 그리고 홈 네트워크에 대응 가능하도록 필요한 회로 등이 미리 짜여져 있는 기기 등을 모두 무선이나 전력선의 신호로 호출하고, 또 필요에 따라 그들 기기나 연휴동작의 항목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연휴설정이 되는 등 으로, 접속 시에 빠뜨림 등 실수가 없어진다. 또 필요한 지시도 표시 할 수 있게 된다. 또, 컨트롤러 없이 소정의 가전기기가 연휴동작을 하게 되므로 그만큼 전력소비도 적어진다(또한 가전기기 측에도 홈 네트워크시스템을 고려한 하드나 소프트가 메이커의 제조단계에서 짜여져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 4 의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앞서의 제2의 실시형태, 제3의 실시형태를 인체검지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수령하여 연휴운전하는 에어컨에 응용한 것이다. 도 13은 제2의 실시형태의 응용이며, 도 14는 제3의 실시형태의 응용이다.
여기서, 인체검지센서는 에어컨이 설치된 방에 배치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체로부터 나오는 적외선과 적외선원(赤外線源)의 움직임에 의해 사람의 존재를 검지한다.
그리고 사람이 없을 때에는 이를 검지하여, 이 취지를 에어컨에 통지한다. 이 통지를 받은 에어컨은 그 출력을 내리고, 다시 1시간 등 일정시간 이상 부재(不在)가 계속되면 출력을 정지하고 대기상태로 된다. 또한 오피스에서는 재실자(在室者)의 수가 적으면 에어컨의 출력을 내리거나 댐퍼의 개도(開度)를 내리도록 해도 된다.
또 다른 응용으로서는 인체검지센서 대신 전류계로 바꾸어, 에어컨의 소비전력을 일정치 이하로 하고, 집, 사무실 전체에서의 사용전력량을 일정 이하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로써 기존의 집, 빌딩에서는 퍼스널 컴퓨터 등 다른 기기에 그만큼의 정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컨의 출력의 저하에 따라, 병설되어 있는 선풍기가 동작하기 시작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사무실에서는 낮의 휴식시간, 아침의 출근 직전의 워드프로세서나 퍼스널 컴퓨터 등을 사용하지 않을 때 그리고 실내에서 작업하는 사람이 걷는 등 하여 실내온도가 낮은 쪽이 바람직한 시간 등에 에어컨의 출력을 올려두고, 실내온도를 내려두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이렇게 함으로써 근무시간 직전부터 에어컨의 출력을 내려 전력소비의 절감을 도모하면서 실내온도가 서서히 책상 근무에 알맞은 온도, 다시금 약간덥게 변화시킴으로써 재실자의 긴장 지속을 도모하도록 해도 된다(주 : 동일한 온도가 지속되면, 집단으로서 본 경우, 아무래도 사람의 긴장은 풀리고 졸음도 생겨 작업효율이 저하한다).
(제 5 의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에어컨, 텔레비전수상기, 비디오 덱 등의 공통 리모컨(사용자용 원격조종장치)에 홈 네트워크시스템을 위한 집중제어장치를 짜 넣은 것이다. 이 모양을 도 15에 나타낸다.
근년, 에어컨과 텔레비전수상기나 비디오 덱 기타 오디오 등에 공통의 리모컨이 사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는 그러한 일이 많다.
이 경우, 리모컨은 이미 각종 기기의 발정 등의 제어를 위해 적외선, 전자파 등의 발신기기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 의도가 즉시 조작대상으로 되어 있는 기기에의 지시의 발신 등에 반영된다.
그래서 텔레비전, 에어컨, VTR 등의 경우 특히 그렇지만,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면서 홈 네트워크시스템의 각종 기기의 효율적인 운전제어, 예를 들면 전력의 조정, 커튼·블라인드의 개폐, 시계와도 연동(連動)하면서 점등이 보다 효과적으로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어떤 가전기기를 대상으로 한 기동이나 운전용량 증대의 지시에 의해 각 가전기기의 총 소비전력이 제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취지의 표시를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다른 어떤 기기를 정지시키는 등의 선택을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가. 그리고 이로써 별안간 퓨즈가 끊기거나 NFB가 중단되기도 하여, 야간의 돌연한 조명은 물론, 모든 기기가 단지 끊길 뿐만 아니라, 목하 기입중의 워드프로세서의 데이터가 모두 못쓰게 되는 등의 불편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또, 전기온풍기의 운전 중에 쿨러의 기동 등의 모순된 지시에 대한 경고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그 몇 가지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해 왔으나, 본 발명은 어느 것이건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즉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해도 된다.
1) 네트워크시스템에 접속된 일부 기기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구성, 요건, 발명특정사항)를 가지고 있지 않다.
2) 각 청구항의 양태를 병용하고 있다. 즉, 일부 기기는 컨트롤러로 제어되고, 다른 기기는 그렇지 않게 되어 있다.
3) 제3의 실시형태에서 전용 접속선을 병용하여 초기 설정을 하고 있다.
4) 피(被)이용 기기는 본래의 가전기기가 아니라 인체, 전력량, 조도(照度) 등의 센서로서 하고 있다. 이에 의거하여, 사람이 없을 때는 이용기기인 에어컨이나 조명이 그 출력을 내리거나 전원을 끊도록 하고 있다. 또는 피이용 기기는 스위치이다. 이로써 등유를 사용하는 난방기를 켠 후 얼마 안 있어 방의 온도가 올라가고 탄산가스농도도 조금 상승하고 나서 환기팬의 스위치가 온(ON)하도록 되어 있다.
5) 제3의 실시형태에서, 통신수단, 표시수단이나 입력수단은 퍼스널컴퓨터의 것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연휴 설정의 실체는 필요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는 디스크로 된다.
또, 설정은 단지 장착형의 연휴설정장치를 그 전원입력부 겸 발신부인 콘센트를 각 가정의 콘센트에 끼우는 외는, 설정자의 입력장치 등 각종 수단을 채용, 병용해도 된다.
6) 총 소비전력 삭감에 대해서는, 새로운 기기의 기동, 부하 증대의 지시가 사용자에 의해 지시되었을 때에, 리모컨에 총 전력이 오버되므로 어느 기기를 정지하는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선택하게 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다.
또한 이때의 순서인데, 미리 현재 가동중인 총 소비전력과 전원용량에서 현재의 여유를 계산해 두고(도 9b 에 준한 처리), 사용자의 지시로 증가하는 소비전력이 여유 이내가 아니면 경고를 낸다(도 3b 의 a1, a3, a5 에 유사한 처리).
7) 기기는 반드시 가전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네트워크시스템도 가정이 아니라 사무실의 1구획을 대상으로 하기도 한다.
8) 새로운 기기의 추가 설치 등에 의해 기기 제어네트워크시스템에 컨트롤러나 연휴제어수단이 복수 존재하게 되거나 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쪽은 부작동(不作動))으로 되는 조치가 조성되어 있기도 하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기기의 연휴로서의 연휴설정이 용이하고도 유연성이 풍부한 것으로 된다.
또,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전력소비 등도 적어진다.
또, 사용자의 부주의한 조작에 의한 문제를 회피할 수도 있다.

Claims (12)

  1. 네트워크를 통해 컨트롤러와 복수의 기기가 접속되고, 다시 이들 기기는 컨트롤러로부터 다른 가전기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필요한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데이터를 당해 데이터를 취득한 기기를 효율적으로 운전하도록 그 제어에 이용하는 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으로서,
    상기 각 기기는
    자체 기기의 동작상태데이터의 송신조건정보를 간직하는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과,
    소정의 프로그램을 준용(準用)하여, 자체 기기의 동작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동작상태데이터관리수단과,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송신조건정보의 송신요구를 수신하여, 그 응답으로서 이 요구에 따라, 상기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하고 있는 정보를 회신하거나, 새로이 설정하거나 하는 송신조건정보관리수단과,
    상기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하고 있는 정보에 따라 상기 동작상태데이터관리수단이 관리하고 있는 자체 기기의 동작상태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상태데이터관리수단을 가지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각 기기의 상기 송신조건정보관리수단에 그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하고 있는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고, 그 회신으로서 각 가전기기로부터 회신되어오는 송신조건정보를 수신하여 내부에 그 관리항목을 설정하거나, 또는 필요한 항목이 없는 경우에는 그 항목에 관한 송신조건정보의 설정을 요구하거나 하는 송신조건정보관리수단과,
    상기 송신조건정보관리수단이 수신하는 상기 각 기기의 송신조건정보가, 그 기기의 동작상태의 상기 컨트롤러 앞으로의 송신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 동작상태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기기의 동작상태데이터의 상기 컨트롤러 앞으로의 송신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에는, 당해 기기에 다시 동작상태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여 그 당해 동작상태데이터를 취득하는 동작상태데이터취득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
  2. 복수의 기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고, 각 기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기기의 필요한 동작상태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동작상태데이터에 연휴(連携)하여 자체 기기를 효율적으로 운전하도록 제어하는 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으로서,
    당해 기기의 동작상태 데이터가 이용되는 측의 다른 각 기기는
    그 동작상태 데이터의 송신조건정보를 간직하는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과,
    소정의 프로그램을 준용하여, 자체 기기의 동작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또한 상기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하고 있는 정보에 따라 자체 기기의 동작상태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상태송신관리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소정의 송신조건정보설정요구데이터에 따라 상기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하는 송신조건정보를 설정하는 송신조건정보설정수단을 가지며,
    다른 기기의 동작상태데이터를 이용하는 측의 각 기기는
    다른 관련 있는 기기의 송신조건정보설정수단에 소정의 송신조건정보설정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송신수단과,
    이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에 따라 다른 가전기기가 송신해오는 동작상태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데이터에 대하여 해당하는 메모리에 기입하는 등 필요한 설정을 행하는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설정수단과,
    이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설정수단이 수신하고, 설정한 다른 기기의 동작상태데이터에 따라, 자체 기기를 효율적으로 운전하도록 제어하는 연휴제어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
  3. 장착형 연휴설정장치에 의해 연휴제어를 하도록 설정된 복수의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기기의 동작상태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수신한 동작상태데이터에 연휴하여 자체 기기를 효율적으로 운전하도록 제어하는 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으로서,
    상기 각 기기는
    그 동작상태데이터의 송신조건정보를 간직하는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과,
    소정의 프로그램을 준용하여, 자체 기기의 동작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또한 상기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하고 있는 정보에 따라 자체 기기의 동작상태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상태송신관리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소정의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에 따라 상기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해야할 송신조건정보를 설정하는 송신조건정보설정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수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에 따라 다른 기기가 송신해오는 동작상태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데이터에 대하여 해당하는 메모리에 기입하는 등 필요한 설정을 행하는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설정수단과,
    이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설정수단의 설정에 의해 수신한 다른 기기의 동작상태데이터에 의거하여 자체 기기를 효율적으로 운전하도록 제어하는 연휴제어수단을 가지며,
    상기 장착형 연휴설정장치는
    네트워크를 설정할 때나 새로운 기기를 부설할 때에, 각 기기에 소정의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를 송신하여 송신조건정보를 설정시키는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송신수단과,
    네트워크를 설정할 때나 새로운 기기를 부설할 때에, 각 기기에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설정요구데이터를 송신하여 동작상태데이터를 수신, 그리고 설정시키는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송신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
  4. 에어컨과 인체검지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고, 각 기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기기의 동작상태에 관한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데이터에 연휴하여 자체 기기를 효율적으로 운전하도록 제어하는 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으로서,
    상기 인체검지센서는
    인체의 존재 유무를 포함하는 동작상태에 관한 검지데이터의 송신조건정보를 간직하는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과,
    소정의 프로그램을 준용하여, 인체의 동작상태에 관한 검지데이터를 관리하고, 또한 상기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하고 있는 정보에 따라, 관리하고 있는 인체검지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상태송신관리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소정의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에 따라 상기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해야할 송신조건정보를 설정하는 송신조건정보설정수단을 가지며,
    상기 에어컨은
    상기 인체검지센서의 송신조건정보설정수단에 소정의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송신수단과,
    이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에 따라 인체검지센서가 송신해오는 인체검지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인체검지데이터에 대하여, 해당하는 메모리에 기입하는 등 필요한 설정을 행하는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설정수단과,
    이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설정수단이 수신하고, 설정한 인체검지데이터에 따라 에어컨의 운전을 제어하는 연휴제어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
  5. 에어컨과 전력량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고, 각 기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기기의 동작상태에 관한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데이터에 연휴하여 자체 기기를 효율적으로 운전하도록 제어하는 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으로서,
    상기 전력량센서는
    그 동작상태인 검출한 전력량에 관한 데이터의 송신조건정보를 간직하는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과,
    소정의 프로그램을 준용하여, 전력량데이터를 관리하고, 또한 상기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하고 있는 정보에 따라, 관리하고 있는 전력량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상태송신관리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소정의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에 따라 상기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하는 송신조건정보를 설정하는 송신조건정보설정수단을 가지며,
    상기 에어컨은
    상기 전력량센서의 송신조건정보설정수단에 소정의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송신수단과,
    이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에 따라 전력량센서가 송신해오는 전력량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전력량데이터에 대하여 해당하는 메모리에 기입하는 등 필요한 설정을 행하는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설정수단과,
    이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설정수단이 수신하고, 설정한 전력량센서의 전력량데이터에 따라, 에어컨의 운전을 제어하는 연휴제어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
  6. 장착형 연휴설정장치에 의해 연휴제어를 하도록 설정된 에어컨과 인체검지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전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각 기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기기의 동작상태에 관한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수신한 데이터에 연휴하여 자체 기기를 효율적으로 운전하도록 제어하는 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으로서,
    상기 인체검지센서는
    그 동작상태인 인체에 관하여 검지한 데이터의 송신조건정보를 간직하는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과,
    소정의 프로그램을 준용하여, 인체의 존재 유무를 포함하는 동작상태에 관한 검지데이터를 관리하고, 또한 상기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하고 있는 정보에 따라, 관리하고 있는 자체 기기의 동작상태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상태송신관리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소정의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에 따라 상기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해야할 송신조건정보를 설정하는 송신조건방법설정수단을 가지며,
    상기 에어컨은
    상기 인체검지센서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수신조건방법 설정요구데이터에 따라 송신해오는 인체검지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인체검지데이터에 대하여 해당하는 메모리에 기입하는 등 필요한 설정을 행하는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설정수단과,
    이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설정수단이 수신하고, 설정한 데이터에 의해 인체검지데이터에 의거하여 에어컨의 운전을 제어하는 연휴제어수단을 가지며,
    상기 장착형 연휴설정장치는
    네트워크를 설정할 때나 새로운 기기를 부설할 때에, 상기 인체검지센서를 포함하는 기기에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를 송신하여 설정시키는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송신수단과,
    네트워크를 설정할 때나 새로운 기기를 부설할 때에, 상기 에어컨을 포함하는 기기에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조건정보를 송신하여 설정시키는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설정요구데이터송신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
  7. 장착형 연휴설정장치에 의해 연휴제어를 하도록 설정된 에어컨과 전력량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전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각 기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기기의 동작상태에 관한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수신한 데이터에 연휴하여 자체 기기를 효율적으로 운전하도록 제어하는 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으로서,
    상기 전력량센서는
    그 동작상태인 전력량에 관하여 검출한 데이터의 송신조건정보를 간직하는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과,
    소정의 프로그램을 준용하여 전력량데이터를 관리하고, 또한 상기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하고 있는 정보에 따라, 관리하고 있는 자체 기기의 동작상태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상태송신관리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소정의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에 따라 상기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해야 할 송신조건정보를 설정하는 송신조건방법설정수단을 가지며,
    상기 에어컨은
    상기 전력량 센서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수신조건방법 설정요구데이터에 따라 송신해오는 전력량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전력량데이터에 대하여 해당하는 메모리에 기입하는 등 필요한 설정을 행하는 동작상태데이터수신설정수단과,
    이 동작상태수신설정수단이 수신하고, 설정한 전력량에 관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에어컨의 운전을 제어하는 연휴제어수단을 가지며,
    상기 장착형 영휴설정장치는
    네트워크를 설정할 때나 새로운 기기를 부설할 때에, 상기 전력량센서를 포함하는 기기에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를 송신하여 설정시키는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송신수단과,
    네트워크를 설정할 때나 새로운 기기를 부설할 때에, 상기 에어컨을 포함하는 기기에 동작상태수신조건정보를 송신하여 설정시키는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설정요구데이터송신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
  8. 네트워크를 통해 컨트롤러와 복수의 기기가 접속되고, 또한 이들 기기는 컨트롤러로부터 다른 가전기기의 동작상태에 관한 필요한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데이터를 당해 데이터를 취득한 기기를 효율적으로 운전하도록 그 제어에 이용하는 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으로서,
    상기 각 기기는
    자체 기기의 소비전력, 소비전류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상태데이터의 송신조건정보를 간직하는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과,
    소정의 프로그램을 준용하여, 자체 기기의 소비전력, 소비전류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동작상태데이터관리수단과,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소비전력, 소비전류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신조건정보의 송신요구를 수신하여, 그 응답으로서 이 요구에 따라, 상기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하고 있는 정보를 회신하거나, 새로 설정하거나 하는 송신조건정보관리수단과,
    상기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하고 있는 정보에 따라 상기 동작상태데이터관리수단이 관리하고 있는 자체 기기의 소비전력, 소비전류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상태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상태데이터 송신관리수단을 가지며,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자체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 전류의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소비전력제어수단을 가지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각 기기의 상기 송신조건정보관리수단에 그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하고 있는 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고, 그 회신으로서 각 가전기기로부터 송신되어오는 송신조건정보를 수신하고, 내부에 그 관리항목을 설정하거나, 또는 소비전력, 소비전류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필요한 항목이 없는 경우에는 그 항목에 관한 송신조건정보의 설정을 요구하거나 하는 송신조건정보관리수단과,
    상기 송신조건정보관리수단이 수신하는 상기 각 기기의 송신조건정보가 그 기기의 소비전력, 소비전류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상태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 동작상태데이터를 취득하고, 동작상태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당해 기기에 다시 동작상태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하고, 당해 동작상태데이터를 취득하는 동작상태데이터취득수단과,
    상기 동작상태데이터취득수단이 취득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기기의 총소비전력, 총소비전류의 적어도 한쪽이 소정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총전력제어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
  9. 장착형 연휴설정장치에 의해 연휴제어를 하도록 설정된 복수의 기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기기의 동작상태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수신한 동작상태데이터에 연휴하여 자체 기기를 효율적으로 운전하도록 제어하는 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으로서,
    상기 각 기기는
    그 소비전력, 소비전류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상태데이터의 송신조건정보를 간직하는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과,
    소정의 프로그램을 준용하여 자체 기기의 소비전력, 소비전류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또한 상기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하고 있는 정보에 따라 자체 기기의 동작상태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상태데이터송신관리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소정의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에 따라 상기 송신조건정보유지수단이 간직해야할 소비전력, 소비전류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송신조건정보를 설정하는 송신조건정보설정수단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수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에 따라 다른 기기가 송신해오는 소비전력, 소비전류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상태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데이터에 대하여 해당하는 메모리에 기입하는 등 필요한 설정을 행하는 동작상태데이터수신설정수단과,
    이 동작상태데이터수신설정수단의 설정에 의해 수신한 다른 기기의 동작상태데이터에 의거하여 자체 기기를 효율적으로 운전하도록 제어하는 연휴제어수단을 가지며,
    상기 장착형 연휴설정장치는
    네트워크를 설정할 때나 새로운 기기를 부설할 때에, 각 기기에 소비전력, 소비전류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정의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를 송신하여 송신조건정보를 설정시키는 송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송신수단과,
    네트워크를 설정할 때나 새로운 기기를 부설할 때에, 각 기기에 소비전력, 소비전류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설정요구데이터를 송신하여 동작상태데이터의 수신, 그리고 설정을 하게 하는 동작상태데이터 수신조건정보 설정요구데이터송신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기기의 적어도 일부는 공통의 리모컨에 의해 사용자 자신이 직접 그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이고,
    상기 컨트롤러 또는 연휴제어 수단은 상기 리모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사용자의 새로운 조작에 따라 당해 기기가 동작하면 각 기기의 총소비전력 또는 총소비전류가 제한치를 초과하는 등, 어떤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표시하는 경고표시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기기의 적어도 일부의 리모컨은 사용자의 새로운 조작에 따라 당해 기기가 동작하면 각 기기의 총소비전력 또는 전류가 제한치를 초과하는 등, 어떤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표시하는 경고표시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제어 네트워크시스템.
KR1020017002315A 1999-07-13 2000-07-13 가전기기 제어네트워크시스템 KR20010072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45 1999-07-13
JP19914599 1999-07-13
PCT/JP2000/004718 WO2001005186A1 (fr) 1999-07-13 2000-07-13 Systeme de reseau de commande d'appareil electromena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901A true KR20010072901A (ko) 2001-07-31

Family

ID=16402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315A KR20010072901A (ko) 1999-07-13 2000-07-13 가전기기 제어네트워크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80079B1 (ko)
EP (1) EP1115263A1 (ko)
KR (1) KR20010072901A (ko)
CN (1) CN1263341C (ko)
WO (1) WO200100518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696B1 (ko) * 2002-03-25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웍에서 제품의 이벤트 발생 처리방법
KR100654504B1 (ko) * 2005-03-03 2006-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재실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
KR100926594B1 (ko) * 2001-09-04 2009-11-11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진단 데이터 교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5741A (ja) * 1999-06-30 2001-01-19 Toshiba Corp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KR100434270B1 (ko) * 2001-05-30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US7464426B2 (en) * 2001-07-04 2008-12-16 Lg Electronics Inc. Internet-wash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413684B1 (ko) 2001-07-05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미들웨어를 가진 디바이스들간 통신을 가능하게하는 게이트웨이, 홈네트웍시스템 및 데이터 중계방법
TW200300914A (en) * 2001-12-14 2003-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ensor information linking device
KR20040069216A (ko) * 2002-01-15 2004-08-04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라우팅 장치, 및 라우팅 장치의 설정 방법
CN100433669C (zh) * 2002-08-19 2008-11-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家庭网络系统中的控制装置和方法
CN1166124C (zh) 2002-09-16 2004-09-08 联想(北京)有限公司 家庭网络中实现动态组网时的设备对等连接方法
EP1420522B1 (de) * 2002-11-15 2008-08-13 ABB Research Ltd. Konfigurationssystem für Netzwerkgeräte und Verfahren zum Rekonfigurieren von Geräten
US7444401B1 (en) 2002-11-18 2008-10-28 Arkion System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expensive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remotely distributed appliances
KR100550524B1 (ko) * 2002-12-06 2006-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7956766B2 (en) * 2003-01-06 2011-06-07 Panasonic Corporation Apparatus operating system
DE10313360A1 (de) * 2003-03-25 2004-10-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fassen der Registrierung des Anschlusses eines Hausgerätes an einer Busleitungsanordnung
JP3779696B2 (ja) 2003-04-28 2006-05-31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と移動機器とを含むシステム、およびサービス提供方法
KR100638017B1 (ko) 2003-05-30 2006-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디바이스
US7715325B2 (en) 2003-05-30 2010-05-11 Lg Electronics Inc Home network system
US20070061406A1 (en) * 2003-05-30 2007-03-15 Seung-Myun Baek Home network system
WO2004107658A1 (en) 2003-05-30 2004-12-09 Lg Electronics, Inc. Home network system and its configuration system
KR100596755B1 (ko) 2003-05-30 200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EP1685680B1 (en) * 2003-11-20 2012-01-04 Panasonic Corporation Association control apparatus, association control method and service association system
KR20050060793A (ko) * 2003-12-17 2005-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정보기기간의 연동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US7774778B2 (en) * 2004-02-25 2010-08-10 Panasonic Corporation Device control apparatus,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device control program
CN100505970C (zh) * 2004-09-16 2009-06-24 磊明(香港)有限公司 发光网络控制系统及控制方法
FI117526B3 (fi) 2005-03-17 2016-07-05 Innohome Oy Kodinkoneiden ja viihdelaitteiden toimintaa ohjaava ja seuraava lisälaite
US9164867B2 (en) * 2005-06-09 2015-10-20 Whirlpool Corporation Network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consumable to an appliance
DE102006001292B4 (de) * 2006-01-10 2021-06-17 BSH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bstimmung von Haushaltsgeräten
US8690117B2 (en) 2006-05-04 2014-04-08 Capstone Metering Llc Water meter
AU2007247918B2 (en) 2006-05-04 2011-07-21 Capstone Mobile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water meter
US20080147880A1 (en) * 2006-12-14 2008-06-19 Morris Robert P Methods And Systems For Routing A Message Over A Network
US20080147827A1 (en) * 2006-12-14 2008-06-19 Morris Robert P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Operating Modes Of Networked Appliances
JP4151727B2 (ja) * 2006-12-22 2008-09-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管理装置
US20080183307A1 (en) * 2007-01-26 2008-07-31 Autani Corporation Upgradeable Automation Devices, Systems, Architectures, and Methods
US20080218307A1 (en) * 2007-03-07 2008-09-11 Optimal Licensing Corporation Anticipatory utility control device
US9889239B2 (en) 2007-03-23 2018-02-13 Allegiance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and disposal system and related methods
AU2008232361B2 (en) 2007-03-23 2013-05-16 Allegiance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and disposal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8170886B2 (en) * 2008-03-28 2012-05-01 The Nielsen Company (U.S.),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to generate an energy consumption index
ES2730077T3 (es) 2008-10-27 2019-11-08 Mueller Int Llc Sistema y método de monitoreo de infraestructura
EP2433440B1 (en) 2009-05-22 2018-07-25 Mueller International, LLC Infrastructure monitor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WO2011008961A1 (en) 2009-07-15 2011-01-20 Allegiance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and disposal system and related methods
DE102009027800A1 (de) * 2009-07-17 2011-01-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Kommunikationseinrichtung, Geräte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aushaltsgeräts
KR20110069574A (ko) * 2009-12-17 2011-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착탈가능한 통신모뎀이 장착된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CN102243727A (zh) * 2010-05-12 2011-11-16 上海宝康电子控制工程有限公司 基于制造执行单元自动生成物资出厂单的系统及方法
MX363340B (es) 2010-06-16 2019-03-20 Mueller Int Llc Dispositivos, sistemas y métodos de monitoreo de infraestructura.
US8833390B2 (en) 2011-05-31 2014-09-16 Mueller International, Llc Valve meter assembly and method
DE102011052467B4 (de) 2011-08-08 2014-12-04 tado GmbH Nutzer-zustand und -verhalten basiertes steuerungssystem und -verfahren für gebäudetechnische systeme und komponenten
US8660134B2 (en) 2011-10-27 2014-02-25 Mueller Internationa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ime-based hailing of radio frequency devices
US8855569B2 (en) 2011-10-27 2014-10-07 Mueller Internationa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squelching in radio frequency devices
US20130184876A1 (en) * 2012-01-12 2013-07-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A User Space
JP5403083B2 (ja) * 2012-02-10 2014-01-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US9270116B2 (en) * 2012-08-01 2016-02-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mart outlet
DE102012108065A1 (de) * 2012-08-30 2014-03-06 EnBW Energie Baden-Württemberg AG Energieverbrauchersteuerverfahren und Steuervorrichtung auf Basis eines Energieverbrauchsprofils
WO2014151384A1 (en) 2013-03-15 2014-09-25 Mueller International, Llc Systems for measuring properties of water in a water distribution system
US9494249B2 (en) 2014-05-09 2016-11-15 Mueller International, Llc Mechanical stop for actuator and orifice
US20160063853A1 (en) * 2014-08-26 2016-03-03 Tsung-Hsiang Mi Personalized home situation control system and personalized home situation control method
US9565620B2 (en) 2014-09-02 2017-02-07 Mueller International, Llc Dynamic routing in a mesh network
CN105487495B (zh) * 2014-09-18 2018-11-0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控制方法和装置
EP3043330A1 (en) * 2015-01-08 2016-07-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evice control apparatus and device control system
US11041839B2 (en) 2015-06-05 2021-06-22 Mueller International, Llc Distribution system monitoring
CN105022283B (zh) * 2015-07-30 2019-06-18 王侃 家庭用音箱和照明智能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246127A (zh) * 2015-10-20 2016-01-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智能设备的添加方法和装置
WO2020104349A1 (en) * 2018-11-20 2020-05-28 Signify Holding B.V. Selecting a destination for a sensor signal in dependence on an active light setting
US11725366B2 (en) 2020-07-16 2023-08-15 Mueller International, Llc Remote-operated flush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8992A (en) * 1987-05-08 1989-02-28 Rca Licensing Corporation Component audio/video system with automatic turn-off of peripheral devices
CA1281094C (en) * 1987-11-09 1991-03-05 Thomas A.D. Burgmann Transportable programmed transmitter connectors for a security system
US4989081A (en) * 1988-11-14 1991-01-29 Sony Corporation Home-bus-information system
US5237305A (en) * 1990-11-30 1993-08-1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Home bus system
GB9106113D0 (en) * 1991-03-22 1991-05-08 D2B Systems Co Ltd Local communication bus system and apparatus for use in such a system
DE69131786T2 (de) * 1991-05-06 2000-06-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Gebäudeleitsystem
DE69228664T2 (de) * 1991-11-11 1999-09-3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zur Anlagensteuerung mit einem gemeinsamen Kommunikationskanal
JP3870436B2 (ja) * 1995-11-02 2007-01-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記録機器及び通信方法
JP3402953B2 (ja) 1996-09-13 2003-05-06 株式会社東芝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JP3586548B2 (ja) * 1997-01-10 2004-11-10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通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で読取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通信機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7291B2 (en) 1996-05-02 2011-01-25 Technology Licensing Corporation Diagnostic data interchange
US8060408B2 (en) 1996-05-02 2011-11-15 Technology Licensing Corporation Diagnostic data interchange
KR100926594B1 (ko) * 2001-09-04 2009-11-11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코포레이션 진단 데이터 교환
KR100480696B1 (ko) * 2002-03-25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웍에서 제품의 이벤트 발생 처리방법
KR100654504B1 (ko) * 2005-03-03 2006-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재실 확인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3341C (zh) 2006-07-05
CN1319318A (zh) 2001-10-24
EP1115263A1 (en) 2001-07-11
WO2001005186A1 (fr) 2001-01-18
US6980079B1 (en) 2005-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2901A (ko) 가전기기 제어네트워크시스템
JP2001086572A (ja) 家電機器制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050040943A1 (en) RF interconnected HVAC system and security system
JP2002141176A (ja) 照明装置,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家電装置
US11095469B2 (en) Wireless occupancy sensor with controllable light indicator
US20030037166A1 (en) Routing processing and method for home bus system
US10908001B2 (en) Wireless sensor with mounting plate
US20220146134A1 (en) Hvac controller with sensor priority screen
US20200116375A1 (en) Conditions based scheduling in an hvac system
US11067307B2 (en) Thermostat user interface with smart menu structure
US10816230B2 (en) Temperature sensing strategy with multiple temperature sensors
US20040098504A1 (en) Routing processing and method in home bus system
EP3637003B1 (en) Remote sensor with improved occupancy sensing
JP3373808B2 (ja) ルータ及びその立ち上げ方法
US10895397B2 (en) Wire detection for an HVAC controller
US20200116370A1 (en) Thermostat assembly with removable trim ring
US11708991B2 (en) Automatic changeover mode in an HVAC controller with reversible deadband enforcement
EP1265405A1 (en) Routing processing and method for home bus system
JP3394957B1 (ja) ルータ及びその立ち上げ方法
JP2009119058A (ja) 制御システム
JP3394956B1 (ja) ルータ及びその立ち上げ方法
JP3394955B1 (ja) ルータ及びその立ち上げ方法
JP3353010B1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ルーティング方法
JP3394954B1 (ja) ルータ及びその立ち上げ方法
JP2003008576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識別符号付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