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2749A - 항혈전제 및 인간화 항-폰빌레브란트 인자 모노클로날 항체 - Google Patents

항혈전제 및 인간화 항-폰빌레브란트 인자 모노클로날 항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2749A
KR20010072749A KR1020017002074A KR20017002074A KR20010072749A KR 20010072749 A KR20010072749 A KR 20010072749A KR 1020017002074 A KR1020017002074 A KR 1020017002074A KR 20017002074 A KR20017002074 A KR 20017002074A KR 20010072749 A KR20010072749 A KR 20010072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humanized
immunoglobulin
ajvw
variabl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3260B1 (ko
Inventor
만 성 코
맥시밀리아노 바스퀘즈
Original Assignee
에가시라 구니오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가시라 구니오,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가시라 구니오
Publication of KR20010072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2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36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blood coagulation f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4Vasoprotectives; Antihaemorrhoidals; Drugs for varicose therapy; Capillary stabil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iabet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폰빌레브란트 인자에 결합하는 인간화 항체를 함유하는 항혈전제.

Description

항혈전제 및 인간화 항-폰빌레브란트 인자 모노클로날 항체 {Antithrombotic Agent and Humanized Anti-von Willebrand Factor Monoclonal Antibody}
내피하층 조직이 상처에 의해 노출되었을 때 혈액을 통하여 흘러나오는 혈소판은 즉시 내피하층에 부착된다. 이러한 사건은 혈소판 응집 및 세포내 과립의 방출과 그 후 혈전이 형성되고 출혈이 정지되는 것을 포함하는 일련의 혈소판 활성화 과정으로 시작된다. 혈전 형성은 생리적 지혈 기작에 필요하다. 그러나, 혈전은 심근 경색, 협심증, 뇌경색 및 뇌혈전증과 같은 많은 혈전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혈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많은 항혈전제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많은 통상의 항혈전제는 임상 용도에서 효과가 낮으며 낮은 혈전 특이성을 가져 부작용으로 출혈을 일으킨다.
혈전 형성의 초기 단계에서 작용하는 중요한 단백질은 혈장 중의 폰빌레브란트 인자 ("vWF")이다. vWF의 정량 및 정성 변화의 발생과 관련된 출혈성 병소가 폰빌레브란트 질환 ("vWD")으로 처방된다. vWF에 대한 여러 항체가 공지되어 있다: 후지무라 등의 문헌 (J. Nara Med. Assoc., vol 36, 662 (1985))에서 개시된 NMC-4; 투덴함 등의 문헌 (Blood, vol. 177, no. 1, 113 (1992))에서 개시된 RFF-VIIIRAG:1; 및 나가노 등의 PCT/JP95/02435에서 개시된 하이브리도마 AJvW-1, AJvW-2, AJvW-3 및 AJvW-4에 의하여 제조된 모노클로날 항체 (이들 문헌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됨).
본 발명은 하이브리도마 AJvW-2에 의하여 제조된 항체를 기초로 하는 인간화 항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설치류 모노클로날 항체는 vWF의 생리적 활성의 유효한 억제제이며, 혈전 질환을 치료하는 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불행히도, AJvW-2 유래의 것과 같은 설치류 모노클로날 항체의 사용은 인간 치료, 특히 반복된 치료 처방에 있어서 특정한 결점을 갖는다. 그리고, 생쥐 모노클로날 항체는 인간에 있어서 짧은 반감기를 갖고, 인간에게 사용될 때 다른 중요한 면역글로블린 기능 특성이 부족한 경향이 있다. 더욱 중요하게는, 설치류 모노클로날 항체는 인간 환자에게 주입될 때 실질적으로 면역원성인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한다. 많은 연구는 외부 항체를 주입한 후에, 주입된 항체에 대하여 환자에서 도출된 면역 반응이 꽤 강하여 초기 치료 후에 항체의 치료 효과를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더욱이, 생쥐 또는 다른 항원성 (인간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를 사용하여 인간 질환을 치료한다면, 미관련된 생쥐 항체를 사용한 후속 치료가 무력화되거나 또는 교차 반응에 기인하여 해로울 수 있다.
이른바, "키메라 항체" (예를 들면, 인간 불변 부위에 연결된 생쥐 변이 부위)의 제조가 다소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지만, 현저한 면역원성 문제가 남아있다 (참조. LoBuglio, A. F.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6, 4220-4224 (1989); M.N. Saleh et al., Human Antibod. Hybridomas e: 19 (1992)).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인간 모노클로날 항체 제조 기술을 사용하여 폰빌레브란트 인자와 높은 친화도로 반응성인 인간 면역글로블린을 제조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인간에게 있어서 실질적으로 비면역원성이며, 치료적 제형 및 기타 용도에 적합한 방식으로 쉽고 경제적으로 제조되는 폰빌레브란트 인자에 특이적인 개선된 형태의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 및 다른 필요를 충족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폰빌레브란트 인자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와 같은 인간화 면역글로불린, 생쥐 항체 AJvW-2의 인간화형, 면역글로불린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상기 면역글로불린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 면역글로불린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항체를 포함하는 혈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 및 그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간 폰빌레브란트 인자에 대한 인간화 모노클로날 항체, 상기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 및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항체를 함유하는 항혈전제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AJvW-2의 중쇄 가변 부위 서열인 서열번호 1의 도.
도 1b는 AJvW-2의 경쇄 가변 부위 서열인 서열번호 2의 도.
도 2a는 인간화 AJvW-2의 중쇄 가변 부위 서열인 서열번호 3의 도.
도 2b는 인간화 AJvW-2의 경쇄 가변 부위 서열인 서열번호 4의 도.
도 3은 폰빌레브란트 인자에 대한 설치류 및 인간화 AJvW-2 항체 (IgG4 및IgG2m3)의 경쟁적 결합 특성의 그래프.
본 발명에 따라, 인간 폰빌레브란트 인자에 특이적으로 반응성인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이 제공된다. vWF에 대한 결합 친화도가 약 107M-1내지 1010M-1, 바람직하게는 108M-1내지 1010M-1이상인 이들 면역글로불린은 예를 들면 리스토세틴 또는 보트로세틴의 존재하에서 GPIb 단백질에 대한 vWF의 결합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간의 vWF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을 함유하며, 인간 혈소판의 RIPA (리스토세틴-유도 혈소판 응집), BIPA (보트로세틴-유도 혈소판 응집), 및 SIPA (전단력 유도된 혈소판 응집) 반응을 억제하는 신규한 항-혈전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면역글로불린은 적어도 한 사슬이 인간 기본틀 부위 세그먼트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생쥐 상보적 결정 부위를 포함하는 두 쌍의 경쇄/중쇄 복합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쥐 상보성 결정 부위는 추가의 자연적으로 결합된 생쥐 아미노산 잔기와 함께 또는 없이 인간 기본틀 부위에 도입되어 약 107M-1보다 더 강한 친화도 수준으로 항원에 결합할 수 있는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을 생산할 수 있다. 이들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은 vWF (즉, AJvW-2)에 대한 CDR-공여 생쥐 모노클로날 항체의 결합을 차단할 수 있다.
결합 단편 및 그의 다른 유도체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면역글로불린은 형질감염된 세포, 바람직하게는 골수종 또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와 같은 무한증식의 진핵세포에서 궁극적인 발현을 사용하여 다양한 재조합 DNA 기술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인간 면역글로불린 기본틀 부위를 코딩하는 제1 서열 및 목적의 면역글로불린 상보성 결정 부위를 코딩하는 제2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합성적으로 또는 적절한 cDNA 및 게놈 DNA 세그먼트를 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은 혈전용해 치료법, 즉 폐색이 수행된 혈관내 섬유소의 제거에서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죽상경화증 또는 혈관 조정 후의 재협착의 방지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발작, 일과성 허혈 발작, 불안정형 협심증, 급성 심근경색, 협심증, 말초혈관 질환, 심부정맥 혈전증, 및 용혈성 빈혈, 급성 신부전증 및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을 포함하는 용혈성 요독 증후군과 같은 혈전 질환을 갖는 또는 그 위험이 있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들은 또한 급성 및 아급성 혈전증 또는 PTCA, 스텐트, 동맥절제술 및 관상동맥 우회 수술과 같은 혈관내 조정 후의 재협착증에 의해 초래되는 허혈성 합병증을 방지하고, 급성 심근경색에서 보강 치료법으로서 혈전용해 치료 후의 재폐색에 의하여 초래되는 허혈성 합병증을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
인간화 면역글로불린 또는 이들의 복합체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제약상 허용되는 투여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은 인간 기본틀 및 면역글로불린 AJvW-2 유래의 하나 이상의 상보성 결정 부위 (CDR)를 갖는다. 그러나, AJvW-2와 경쟁하고, 리스토세틴 또는 보트로세틴의 존재하에서 GPIb 단백질에 대한 vWF의 결합을 차단하고(거나)AJvW-2처럼 vWF 상의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다른 항체 유래의 CDR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글로불린은 다량으로 경제적으로 생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양한 기술에 의한 인간 환자에서의 혈전 질환의 치료에서의 용도를 발견할 수 있다.
기본적인 항체 구조 단위는 사량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각 사량체는 각 쌍이 하나의 "경쇄" (약 25 kD) 및 하나의 "중쇄" (약 50-70 kD)을 갖는 동일한 두 쌍의 폴리펩티드 사슬로 이루어진다. 각 사슬의 아미노 말단 부분은 주로 항원 인식을 담당하는 약 100 내지 110 이상의 아미노산의 가변 부위를 포함한다. 각 사슬의 카르복시 말단 부분은 주로 작동 기능을 주로 담당하는 불변 부위를 정의한다.
경쇄는 카파 또는 람다로 분류된다. 중쇄는 감마, 뮤, 알파, 델타, 또는 엡실론으로 분류되며, 항체의 동종형을 각각 IgG, IgM, IgA, IgD, 및 IgE로 정의한다. 경쇄 및 중쇄 내에서, 가변 및 불변 부위는 약 12 이상의 아미노산의 "J" 부위에 의하여 연결되며, 중쇄는 또한 약 10 이상의 아미노산의 "D" 부위를 포함한다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는 Fundamental Immunology, Paul, W. Ed., Chapter 7, pp. 131-166, Raven Press, N.Y. (1984) 참조).
각 경쇄/중쇄 쌍의 가변 부위는 항체 결합 부위를 형성한다. 사슬 모두는 이른바 상보성 결정 부위 또는 CDR이라 불리우는 3개의 초가변 부위에 의하여 연결된 비교적 보존된 기본틀 부위의 동일한 일반 구조를 나타낸다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는 "Sequence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Kabat, E,. et al.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87); and Chothia and Lesk, J. Mol. Biol., 196, 901-917 (1987) 참조). 각 쌍의 두 사슬 유래의 CDR은 기본틀 부위에 의해 정렬되어 특정 에피토프에 결합하게 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면역글로불린"은 실질적으로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에 의하여 코딩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로 이루어진 단백질을 의미한다. 인식된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에는 카파, 람다, 알파, 감마, 델타, 엡실론 및 뮤 불변 부위 유전자뿐만 아니라 미리아드 면역글로불린 가변 부위 유전자가 포함된다. 면역글로불린은 예를 들면 Fv, Fab 및 F(ab')2뿐만 아니라 이작용성 하이브리드 항체 (예를 들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는 Lanzavecchia et al., Eur. J. Immunol. 17, 105 (1987)) 및 단일 사슬 (예를 들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는 Husto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5, 5879-5883 (1988) 및 Bird et al., Science 242, 423-426 (1988))을 포함하여 항체 외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는 Hood et al., Immunology, Benjamin, N.Y., 2nd ed. (1984), Harlow and Lane, 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1988) 및 Hunkapiller and Hood, Nature, 323 15-16 (1986)).
키메라 항체는 통상적으로 상이한 종에 속하는 면역글로불린 유전자 세그먼트로부터 경쇄 및 중쇄 유전자가 유전공학적으로 구축된 항체이다. 예를 들면, 생쥐 모노클로날 항체 유래의 유전자의 가변 (V) 세그먼트가 γ1및 γ3과 같은 인간 불변 (C) 세그먼트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포유류 종이 사용될 수 있지만 전형적인 치료 키메라 항체는 생쥐 항체 유래의 V 또는 항원 결합 영역 및 인간 항체 유래의 C 또는 작동 영역으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단백질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기본틀 부위"는 카바트 등의 문헌 (상기 인용 문헌)에서 정의된 것처럼 단일 종의 상이한 면역글로불린 중에서 비교적 보존된 면역글로불린의 경쇄 및 중쇄 변이 부위의 부분 (즉, CDR 이외의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인간 기본틀 부위"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인간 항체의 기본틀 부위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약 85 % 이상) 기본틀 부위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은 인간 기본틀, 비-인간 항체 유래의 하나 이상의 CDR을 포함하며, 존재하는 임의의 불변 부위가 실질적으로 인간 면역글로불린 불변 부위와 동일한, 즉 85 내지 90 %, 바람직하게는 95 % 동일한 면역글로불린이다. 따라서, 가능하게는 CDR을 제외한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의 모든 부분은 하나 이상의 자연적인 인간 면역글로불린 서열의 해당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예를 들면,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은 키메라 생쥐 가변 부위/인간 불변 부위 항체를 포함하지 않을 것이다.
인간 항체는 몇몇 경우에는 인간 치료법 용도용 키메라 항체에서 적어도 3 가지의 생쥐 이상의 이점을 갖는다.
1. 작동체 부분이 인간이기 때문에, 인간 면역 시스템의 다른 부분과 더 우수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체-의존적 세포독성 (CDC) 또는 항체-의존적 세포내 세포독성 (ADCC)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표적 세포를 파괴함).
2. 인간 면역 시스템은 인간화 항체의 기본틀 또는 C 부위를 외생의 것으로인식하지 않고, 따라서 전체 외생인 생쥐 항체 또는 부분적으로 외생인 키메라 항체에 비해 주입된 그러한 항체에 대한 항체 반응이 덜하다.
3. 주입된 생쥐 항체는 인간 순환에 있어서 정상 항체의 반감기보다 더 짧은 반감기를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Shaw, D. et al., J. Immunol. 138, 4534-4538 (1987)). 주입된 인간화 항체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인간 항체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반감기를 가져 더 작고 덜 빈번하게 투여되도록 허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모노클로날 항체 AJvW-2의 방식으로 vWF에 결합할 수 있는 면역글로불린 유래의 중쇄 및(또는) 경쇄 CDR을 코딩하는 재조합 폴리뉴클레오티드에 관한 것이다. 이들 부위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통상적으로 적절한 인간 기본틀 부위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연결된다. 인간 기본틀 부위로서, CDR-제공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의 기본틀 또는 가변 부위 아미노산 서열을 인간 면역글로불린 서열 집합의 해당 서열과 비교하여, 높은 상동성을 갖는 서열이 선택된다. 모노클로날 항체 AJvW-2의 중쇄 및 경쇄 CDR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사슬에 대한 발현 코드의 예시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도 1 및 도 2에 포함된다. 코돈 동의성 및 비임계 아미노산 치환에 의해, 하기 설명되는 것처럼 도 1 및 도 2의 서열에서 다른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쉽게 치환될 수 있다.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의 고안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아미노산이 하기 범주 중 하나에 들어갈 때, 사용될 수 있는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기본틀 아미노산은 CDR-제공 비-인간 면역글로불린 (공여 면역글로불린) 유래의 기본틀 아미노산으로 대체된다.
(a) 수용체 면역글로불린의 인간 기본틀 부위에서의 아미노산은 그 위치에서 인간 면역글로불린과는 다른 것이며, 반면에 공여체 면역글로불린에서의 해당 아미노산은 그 위치에서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경우에 전형적인 것이다;
(b) 아미노산의 위치는 CDR 중 하나에 직접 인접해 있다; 또는
(c) 아미노산은 3차 구조 면역글로불린 모델에서 CDR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참조, 각각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는 퀸 등의 상기 문헌 및 코 등의 문헌 (Proc. Natl. Acad. Sci. USA 88, 2869 (1991)).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의 제조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퀸 등의 문헌 (상기 문헌) 및 코 등의 문헌 (상기 문헌)을 참조로 한다.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통상적으로 자연적으로 결합된 또는 외생 프로모터 부위를 포함하여 인간화 면역글로불린 코딩 서열에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발현 조절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발현 조절 서열은 진핵 숙주 세포를 형질전환 또는 형질감염할 수 있는 벡터에서의 진핵 프로모터 시스템일 수 있으나, 원핵 숙주의 조절 서열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벡터가 적절한 숙주에 도입되면, 숙주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높은 수준의 발현에 적합한 조건하에서 유지되며, 소망된다면 경쇄, 중쇄, 경쇄/중쇄 이량체 또는 온전한 항체, 결합 단편 또는 다른 면역글로불린 형태의 회수 및 정제가 뒤따를 수 있다.
궁극적으로 목적의 인간화 항체를 발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핵산 서열은 다양한 상이한 폴리뉴클레오티드 (게놈 또는 cDNA, RNA, 합성 올리고뉴클레오티드,등) 및 성분 (예를 들면, V, J, D, 및 C 부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이한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게놈 및 합성 서열의 연결은 가장 일반적인 제조 방법이 제시되나, cDNA 서열도 이용될 수 있다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는 유럽 특허공고 제0239400호 및 Riechmann, L. et al., Nature, 332, 323-327 (1988) 참조).
인간 불변 부위 DNA 서열은 다양한 인간 세포, 바람직하게는 무한증식 B 세포로부터 공지된 절차에 따라 단리될 수 있다 (참조. 카바트의 상기 문헌 및 WP 87/02671). 본 발명의 면역글로불린의 제조를 위한 CDR은 AJvW-2의 방식으로 vFW에 결합할 수 있는 모노클로날 항체로부터 유사하게 유래하며, 생쥐, 쥐, 토끼 또는 그러한 항체를 생산할 수 있는 다른 척추동물을 포함하여 임의의 편리한 포유류 원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면역글로불린 발현 및 분비를 위한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위한 적합한 공급원 세포 및 숙주 세포는 아메리칸 타입 컬쳐 컬렉션과 같은 많은 공급원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는 Catalogue of Cell Lines and Hybridomas, Fifth edition (1985), 미국 매릴랜드주 록빌).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인간화 면역글로불린 이외에, 다른 "실질적으로 상동성"의 개질된 면역글로불린도 당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재조합 DNA 기법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고안되고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본틀 부위는 여러 아미노산 치환, 말단 및 중간 부가, 및 결실 등에 의해 기본적인 구조 수준에서 자연적 서열과는 상이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을기초로 다양한 상이한 인간 기본틀 부위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전자 변형은 부위-유도 돌연변이와 같은 다양한 공지된 기술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참조.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는 Gillman and Smith, Gene 8, 81-97 (1979) 및 Roberts S. et al., Nature 328. 731-734 (1987)).
이외에, 단지 기본 항체 구조만을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단편이 제조될 수 있으며, 이 단편은 하나 이상의 면역글로불린 활성 (예를 들면, 보체 고정 활성)을 갖는다. 이들 폴리펩티드 단편은 당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한 온전한 항체의 단백질분해 절단에 의해, 또는 부위-유도 돌연변이를 사용하여 벡터의 목적의 위치, 예를 들면 Fab 단편을 제조하기 위하여 CH1 다음 또는 F(ab')2단편을 제조하기 위하여 힌지 부위 뒤에 정지 코돈을 삽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일 사슬 항체는 VL 및 VH를 DNA 링커로 연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참조. Huston et al., 상기 문헌 및 Bird et al., 상기 문헌). 또한, 많은 유전자와 유사하게 면역글로불린 관련 유전자는 각각 하나 이상의 구별되는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별도의 기능성 부위를 함유하기 때문에, 유전자는 다른 유전자 유래의 기능성 부위에 융합되어 신규한 특성을 갖는 융합 단백질을 제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이 발현 조절 서열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후 (즉, 기능을 보장하도록 위치한 후)에 숙주에서 발현된다. 이들 발현 벡터는 통상적으로 숙주 유기체에서 에피솜 또는 숙주 염색체 DNA의 통합 부분으로서 복제될 수 있다. 공통적으로, 발현 벡터는 선별 마커, 예를 들면 테트라사이클린 또는 네오마이신을 함유하여 목적의 DNA 서열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검출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는 미국특허 제4,704,362호 참조). 이. 콜리는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클로닝하기에 특히 유용한 한 원핵 숙주이다. 사용에 적합한 다른 미생물 숙주에는 바실러스 섭틸러스 (Bacillus subtilus)와 같은 바실리, 및 살모넬라 (Salmonella), 세라티아 (Serratia)와 같은 엔테로박테리아세아 (enterobacteriacea), 및 다양한 슈도모나스 (Pseudomonas) 종이 포함된다. 이들 원핵 숙주에서, 또한 발현 벡터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들은 통상적으로 숙주 세포와 상용성이 있는 발현 조절 서열 (예를 들면, 복제 기원)을 함유한다. 이외에, 락토스 프로모터 시스템, 트립토판 (trp) 프로모터 시스템, 베타-락타마제 프로모터 시스템, 또는 파지 람다 유래의 프로모터 시스템과 같은 임의의 다양한 공지된 프로모터가 존재한다. 프로모터는 통상적으로 선택적인 오퍼레이터 서열을 사용하여 발현을 조절하며, 전사 및 번역을 개시하고, 완료하기 위한 리보솜 결합 부위 서열을 갖는다. 효모와 같은 다른 미생물도 또한 발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사카로마이세스 (Saccharomyces)가 3-포스포글리세레이트 키나제 또는 다른 해당작용 효소를 포함하여 프로모터, 및 소망된다면 복제 기원, 종결 서열 등과 같은 발현 조절 서열을 갖는 적합한 벡터의 바람직한 숙주이다.
미생물 이외에,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를 발현하고 제조하기 위하여 또한 포유류 조직 세포 배양물도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는 Winnacker, From Cenes to Clones, VCH Publishers, N.Y., N.Y. (1987) 참조). 온전한 면역글로불린을 분비할 수 있는 많은 적합한 숙주 세포주가 당 분야에서 개발되었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진핵 세포가 바람직하며, CHO 세포주, 다양한 COS 세포주, 헬라 세포, 바람직하게는 골수종 세포주 등, 또는 형질전환된 하이브리도마 B-세포가 포함된다. 이들 세포를 위한 발현 벡터에는 복제 기원, 프로모터, 및 인핸서와 같은 발현 조절 서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는 Queen et al., Immunol. Rev. 89, 46-68 (1986)), 및 리보솜 결합 부위, RNA 스플라이싱 부위, 폴리아데닐화 부위, 및 전사 종결 서열과 같은 필요한 프로세싱 정보 부위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발현 조절 서열은 면역글로불린 유전자, SV40, 아데노바이러스, 소 파필로마 바이러스,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등 유래의 프로모터이다.
유의한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예를 들면, 중쇄 및 경쇄 코딩 서열 및 발현 조절 서열)을 함유하는 벡터가 세포 숙주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숙주 세포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핵 세포의 경우 염화칼슘 형질감염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며, 다른 세포 숙주의 경우에는 인산칼슘 처리법 또는 일렉트로포레이션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는 Maniatis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Press (1982)).
발현된 후, 본 발명의 전체 항체, 이들의 이량체, 각각의 경쇄 및 중쇄, 또는 다른 면역글로불린 형태가 황산암모늄 침전법, 친화도 컬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겔 전기영동 등을 포함하는 당 분야의 표준 절차에 따라 정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는 Scopes, R. Protein Purification, Springer-Verlag, N.Y. (1982)). 약학적 용도의 경우, 약 90 내지 95 % 이상의 동종성의 실질적으로 순수한 면역글로불린이 바람직하며, 98 내지 99 % 이상의 동종성이 가장 바람직하다. 부분적으로 또는 소망되는 동종성으로 정제된 후, 폴리펩티드는 치료적으로 (체외적으로) 또는 분석 절차의 개발 및 수행, 면역형광 염색법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Immunological Methods, Vols. I and II, Lefkovits and Pernis, eds. Academic Press, New York, N.Y. (1979 및 1981)).
본 발명의 면역글로불린은 통상적으로 인간 환자의 혈전 질환을 치료하는데 개별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인간화 면역글로불린 및 그의 제약 조성물은 특히 비경구, 즉 경피, 근육내, 정맥내 또는 안내 투여에 유용하다. 비경구 투여용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면역글로불린 또는 허용되는 담체, 바람직하게는 수성 담체에 용해된 그의 혼합물의 용액을 포함한다. 다양한 수성 담체, 예를 들면, 물 완충수, 0.4 % 식염수, 0.3 % 글리신, 5 % 글루코스, 인간 알부민 용액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용액은 멸균이며, 일반적으로 입자물이 없다. 이들 조성물은 통상적인 공지된 멸균 기술을 사용하여 멸균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pH 조정 및 완충제, 장성 조정제, 독성 조정제 등과 같은 적절한 생리적 조건에 필요한 제약상 허용되는 보조 물질, 예를 들면 아세트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락트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제형에서의 면역글로불린의 농도는 폭넓게, 즉 약 0.5 % 미만, 일반적으로 약 1 % 이상 약 15 또는 20 중량%일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유체 부피, 점도 등을 기준으로하여 선택된 특정 투여 양식에 따라 선택된다.
따라서, 주입용의 전형적인 제약 조성물은 1 ml의 멸균 완충수 및 1 내지100 mg의 면역글로불린을 함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맥내 주입용의 전형적인 조성물은 250 ml의 멸균 링거액 및 150 mg의 면역글로불린을 함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실제 방법은 당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거나 명백하며 예를 들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되는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980))에서 자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면역글로불린은 보관 및 사용전에 적합한 담체에서 재구성되기 위하여 동결되거나 동결건조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통상적인 면역글로불린에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당분야에 공지된 동결건조법 및 재구성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동결건조법 및 재구성법은 다양한 정도의 면역글로불린 활성 손실 (예를 들면, 통상적인 면역글로불린의 경우, IgM 항체가 IgG 항체에 비해 더 큰 활성 손실을 갖는 경향이 있음)을 초래할 수 있으며, 사용 수준은 보상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당 분야의 숙련자는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인간화 면역글로불린 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치료적 또는 예방적 치료에 투여될 수 있다. 치료적 용도에서, 본 조성물은 이미 혈전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그 질환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출혈을 일으키지 않고 그 질환 및 합병증을 치료하거나 또는 정지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된다. 이를 달성하기에 적합한 양을 "치료적 유효 투여량"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용도에 효과적인 양은 질환의 심각도 및 환자 자신의 면역 시스템의 일반적인 상태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환자 당 약 0.1 내지 200 mg/kg의 면역글로불린의 범위로사용된다. 매일, 주당 2 또는 3회, 매주, 매 2주, 매월 등으로 투여되는 1 mg/kg, 5 mg/kg, 10 mg/kg, 20 mg/kg, 등의 투여량의 특정 투여 처방이 모두 가능하며, 질환의 심각도 및 다른 요인에 따라 전공 의사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질은 일반적으로 심각한 질환 상태, 즉 생명 위협 또는 잠재적인 생명 위협 상황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에 의해 달성되는 외래 물질의 최소화와 "외생 물질" 거부 가능성을 낮추는 관점에서 의사는 실질적인 과량의 이들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하여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바람직한 것으로 느낄 수 있다.
본 조성물의 단일 또는 다중 투여는 치료 의사에 의하여 선택된 투여 수준 및 양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여튼, 제약 제형은 환자를 효과적으로 치료하기에 충분한 본 발명의 면역글로불린의 양을 제공하여야 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사용되어 vWF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AJvW-2 항체에 의해 동정된 항원 결정물질에 결합하는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은 표지되어, 유의한 농도의 vWF를 함유하는 해부학적 부위를 동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 이상의 표지 부분이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에 부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표지 부분에는 방사선 비투과성 염료, 방사선 조영제, 형광 분자, 스핀 표지된 분자, 효소 또는 진단 값, 특히 방사선 또는 자기 공명 화상 기술에서의 다른 표지 부분이 포함되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은 또한 시험관 조건에서의 폭넓은 다양한 용도가 있다. 예로서, 본 면역글로불린은 vWF의 검출에 사용될 수 있다.
진단 목적으로, 본 면역글로불린은 표지되거나 미표지될 수 있다. 미표지된 면역글로불린은 인간 면역글로불린 불변 부위에 특이적인 항체와 같이 인간화 면역글로불린과 반응성인 다른 표지된 항체 (제2 항체)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 면역글로불린은 직접적으로 표지될 수 있다. 방사성핵종, 형광물, 효소, 효소 기질, 효소 조인자, 효소 억제제, 리간드 (특히, 합텐) 등과 같은 폭넓은 다양한 표지가 사용될 수 있다. 많은 유형의 면역분석법이 이용가능하며, 당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또한, 선택된 항원의 세포내 활성에 대한 보호 또는 존재에 대한 검출에서 대상 면역글로불린의 사용을 위한 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상 면역글로불린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단독으로 또는 목적의 세포 유형에 특이적인 추가의 항체와 함께 용기 중에 일반적으로 동결건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표지물 또는 독소에 공액되거나 비공액될 수 있는 면역글로불린이 트리스, 인산염, 탄산염 등과 같은 완충제, 안정화제, 방부제, 살생물제, 불활성 단백질, 예를 들면 혈청 알부민, 등, 및 사용을 위한 처방과 함께 키트내에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이들 물질은 활성 면역글로불린의 양을 기준으로 약 5 중량% 미만으로 존재하며, 또한 면역글로불린 농도를 기준으로 총 약 0.0001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주로, 활성 성분을 희석하기 위하여 불활성 증점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부형제는 총 조성물의 약 1 내지 99 중량%로 존재할 수 있다. 면역글로불린에 결합할 수 있는 제2 항체가 분석에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별도의 바이알에 존재한다. 제2 항체는 통상 표지물에 공액되며 상기 설명된 면역글로불린 제형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형된다.
하기 실시예는 제한적 목적이 아니라 서술적 목적으로 제공된다. 실시예가 비록 vWF 항원에 높은 결합 친화도를 갖는 인간화 항체를 생산하는 인간화 AJvW-2 항체에 속하지만, vWF의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다른 모노클로날 항체 유래의 CDR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실시예 1>
생쥐 AJvW-2 가변 부위 cDNA의 클로닝 및 서열화
앵커 PCR (Co et al., J. Immunol. 148:1149 (1992))를 사용하여 하이브리도마 세포로부터 단리한 mRNA로부터 생쥐 AJvW-2 중쇄 및 경쇄 가변 부위 cDNA를 클로닝하였다. 사용된 5' 프라이머를 cDNA에 부가된 폴리-dG에 어닐링하고, 3' 프라이머를 불변 부위에 어닐링하였다. 증폭된 유전자 단편을 플라스미드 pUC18에 삽입하였다. VL및 VHcDNA 모두에 대한 여러 독립된 클론으로부터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결정하였다. 중쇄의 경우, 전형적인 생쥐 중쇄 가변 부위의 단일의 독특한 서열을 동정하였다. 경쇄의 경우, 설치류 경쇄 가변 부위 서열과 모두 상동성인 두 독특한 서열을 동정하였다. 그러나, 한 서열은 V-J 연결에서 해독틀 변환을 일으키는 뉴클레오티드 손실 때문에 기능적이지 않으며, 비-생산성 형질로 동정되었다. 다른 서열은 통상적으로 기능성의 생쥐 카파 사슬 가변 부위였다. 중쇄의 가변 부위 cDNA 서열 및 기능성 경쇄 및 번역된 아미노산 서열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생쥐 VK서열은 카바트의 생쥐 카파 사슬 아군 V에 속하였다. 생쥐 VH는 카바트의 중쇄 아군 III(B)에 속하였다.
<실시예 2>
인간화 AJvW-2 가변 부위의 고안
인간화 항체에서의 생쥐 항체의 결합 친화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퀸 등의 일반적인 절차 (Quee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6:10029 (1989) 및 미국특허 제5,585,089호 및 제5,693,762호)를 따랐다. 높은 결합 친화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기본틀 잔기의 선택이 중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인간 항체 유래의 기본틀 서열은 CDR 그래프트의 주형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나, 그러한 기본틀로의 직접 CDR 치환이 항원에 대한 결합 친화도의 현저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Tempest et al., Biotechnology 9:266 (1992); Shalaby et al., J. Exp. Med. 17:217 (1992)). 인간 항체가 원래의 설치류 항체에 대하여 더욱 상동성일수록, 인간 기본틀은 생쥐 CDR에 친화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왜곡을 덜 도입할 수 있다. 카바트 데이터베이스 (Kabat et al., Sequence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5th e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1)에 대한 서열 상동성 연구를 기초로, 생쥐 AJvW-2 항체에 대한 우수한 기본틀 상동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인간 항체 I3R을 선택하였다. 또한, 다른 높은 상동성의 인간 항체 사슬이 인간화 항체 기본틀, 특히 카바트에 의해 정의된인간 아군 I 유래의 카파 경쇄 및 인간 아군 III 유래의 중쇄를 제공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ABMOD 및 ENCAD (Zilber et al., Biochemistry, Vol. 29, 10032 (1990); Levitt et al., J. Mol. Biol. 168: 595 (1983))을 사용하여 AJvW-2 가변 영역의 분자 모델을 구축하여 CDR이 그들과 잠재적으로 작용하기에 충분히 밀접한 AJvW-2 기본틀에서의 아미노산을 위치시키는 데 사용하였다. 인간화 AvW-2 중쇄 및 경쇄 가변 부위를 고안하기 위하여, 생쥐 AJvW-2 항체 유래의 CDR을 인간 I3R 항체의 기본틀 부위에 그래프트시켰다. 컴퓨터 모델이 CDR과의 유의한 접촉을 제안한 기본틀 위치에서, 생쥐 항체 유래의 아미노산으로 원래의 인간 기본틀 아미노산을 치환하였다. 인간화 AJvW-2의 경우, 이것은 중쇄의 잔기 28, 48, 49 및 67과 경쇄의 48, 70 및 71에서 수행되었다. 더욱이, 인간 항체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그들의 위치에서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기본틀 잔기를 그 위치의 인간 콘센서스 아미노산으로 치환하였다. 인간화 AJvW-2의 경우, 이것은 중쇄의 잔기 1, 78 및 118과 경쇄의 잔기 62, 73 및 83에서 수행되었다.
인간화 AJvW-2 항체 중쇄 및 경쇄 가변 부위의 서열을 도 2에 나타내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잠재적인 CDR-접촉 잔기는 다른 아미노산에 의해 치환되기 쉬우며, 이는 항체가 항원에 대한 실질적인 친화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하기 표는 다른 아미노산이 적합한 경우의 기본틀에서의 많은 위치를 열거한다 (LC=경쇄, HC=중쇄).
위치 인간화 AJvW-2 대안물
LC-48 V I
LC-70 Q D
LC-71 Y F
HC-28 D T
HC-48 I V
HC-49 G A, S
HC-67 K R
유사하게, 인간화 AJvW-2 중쇄 및 경쇄에서의 CDR과 접촉하지 않는 많은 기본틀 잔기가 인간 I3R 항체, 다른 인간 항체, 생쥐 AJvW-2 항체 또는 다른 생쥐 항체로부터 인간화 항체의 친화도 또는 비면역원성의 현저한 손실없이 인간 컨센서스 아미노산에 의한 아미노산 치환을 수용할 수 있다. 하기 표는 다른 아미노산이 적합할 수 있는 경우의 기본틀에서의 많은 추가의 위치를 열거한다.
위치 인간화 AJvW-2 대안물
LC-62 F I
LC-73 L F
LC-83 F I
HC-1 E Q
HC-78 T S
HC-118 T I, S
다양한 대안 아미노산을 선택하여 친화도, 특이성, 비면역원성, 제조의 용이성, 및 기타 바람직한 특성의 조합을 달리하는 인간화 AJvW-2의 버전을 제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에서의 예는 제한적이 아니라 서술적 목적으로 제공된다.
<실시예 3>
인간화 AJvW-2의 제작
상기 설명한 것처럼, 인간화 가변 부위 아미노산 서열을 고안한 후, 신호 펩티드, 스플라이싱 공여 신호 및 적절한 제한 부위를 포함하여 이들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제작하였다 (도 2). 대략 65 내지 85 염기 길이의 8개의 중복 합성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하여 경쇄 및 중쇄 가변 부위 유전자를 제작하고 증폭하였다 (참조. He et al., J. Immunol. 160:1029 (1998)). DNA 폴리머라제 I의 클레나우 단편을 사용하여 올리고를 쌍으로 어닐링하고, 연장하여 4개의 이중 스트랜드 단편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단편을 변성하고, 어닐링하고, 클레나우로 연장하여 두 단편을 수득하였다. 이들 단편을 변성하고, 쌍으로 어닐링하고, 다시 연장하여 전체 길이 유전자를 수득하였다. 생성된 산물을 Taq 폴리머라제를 사용하여 폴리머라제 연쇄 반응으로 증폭하고, 겔-정제하고, XbaI으로 절단하고, 다시 겔-정제하고, pVK, pVg4 또는 pVg2.M3 발현 백터의 XbaI 부위에 서브클로닝하였다. 경쇄 발현을 위한 pVk 벡터는 앞서 설명되었다 (참조. Co et al., J. Immunol. 148:1149 (1992)). 중쇄 발현을 위한 pVg4 벡터는 g1 불변 부위 유전자 (참조. Co et al., J. Immunol. 148:1149 (1992))를 함유하는 pVg1의 XbaI-BamHI 단편을 유전자의 CH4 엑손에 이은 NsiI 부위 후에 g4 유전자의 CH1 엑손을 선행하는 HindIII 부위로부터 270 bp 연장한 대략 2000 bp의 인간 g4 불변 부위 유전자 (참조. Ellison and Hood, Proc. Natl. Acad. Sci. USA 79:1984 (1982))의 단편으로 치환함으로써 구축되었다. 감마 2 사슬을 발현하기 위한 pVg2.M3 벡터는 앞서 설명되었다 (Cole et al., J. Immunol. 159:3613 (1997)). pVg2.M3은 위치 234 및 237에서 아미노산 Val 및 Gly을 Ala로 치환한 인간 야생형 IgG2의 변이체이다. 변이체는 Fc 수용체와 감소된 상호작용을 가져 최소 항체 작동체 활성을 갖는다.
최종 플라스미드의 구조는 뉴클레오티드 서열화 및 제한효소 지도로 확인하였다. 모든 DNA 조작은 당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표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비교 연구를 위하여, 두 인간화 AJvW-2, IgG4 및 IgG2.M3을 생성하였다. 인간화 AJvW-2를 생성하는 세포주를 구축하기 위하여, 각각의 중쇄 및 경쇄 플라스미드를 생쥐 골수종 세포주 Sp2/0-Ag14 (ATCC CRL 1581)에 형질감염시켰다. 형질감염전에, 중쇄 및 경쇄 함유 플라스미드를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선형화하였다. 카파 사슬 및 감마2 중쇄를 FspI을 사용하여 선형화하고, 감마4 사슬은 BstZ17I을 사용하여 선형화하였다. 각 플라스미드 약 20 ㎍을 PBS 중의 1×107세포에 형질감염시켰다. 형질감염은 진 펄서 (Gene Pulser) 장치 (바이오래드)를 사용하여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360 V 및 25 μFD 정전용량을 사용하여 일렉트로포레이션하여 수행하였다. 각 형질감염으로부터의 세포를 4 개의 96-웰 조직배양판에 두고, 2 일 후, 선별 배지 (DMEM, 10 % FCS, 1×HT 보충 (시그마), 0.25 mg/ml 크산틴, 1 ㎍/ml 미코페놀산)을 가하였다.
대략 2 주 후에, 나타난 클론을 ELISA에 의해 항체 생산에 대해 스크리닝하였다. 정기 배지 (10 % FCS 보충된 DMEM)에서 세포를 융합성으로 배양하여, 고생산 클론으로부터 항체를 제조하고, 배지를 혈청없는 배지 (하이브리도마 SMF, 깁코)로 대체하고, 배양물에서 최대 항체 역가가 달성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단백질 A-세파로스 컬럼 (파마시아)에 작업하고, 0.1 M 글리신, 100 mM NaCl, pH 3으로 용출시키고, 중화하고, 이어서 인산염 완충된 식염수 (PBS)로 교환하엿다. 항체의 순도는 아크릴아미드 겔 상에서 분석하여 확인하고, 그 농도는 항체 단백질 1.0 mg이 1.4 OD280을 나타낸다는 가정하에 OD280을 해독함으로써 결정하였다.
<실시예 4>
인간화 AJvW-2의 특성
바이오틴화 설치류 AJvW-2 항체와의 경쟁적 결합으로 폰빌레브란트 인자 (vWF)에 대한 설치류 및 인간화 AJvW-2 항체의 친화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절차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1. vWF 용액을 TBS (20 mM Tris pH 7.4 + 0.15 M NaCl)를 사용하여 8 ㎍/ml로 희석하였다. 96-웰 NUNC Maxisorp 플레이트 (VWR 사이언티픽 프러덕트)의 각 웰에 50 ㎕를 분배하고, 4 ℃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2. 플레이트를 TBS로 1회 세척하고, 차단 용액 (TBS+5 % BSA)을 200 ㎕/웰로 첨가하여 차단하고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3. 플레이트를 TBS로 3회 세척하였다.
4. 술포숙신이미딜-6-(바이오틴아미도)헥사노에이트 (피어스, 일리노이주 록포드, 제품 번호 21335)를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사용하여 설치류 AJvW-2를 앞서 바이오틴화 하였다. 바이오틴화 항체를 TBS+0.1 % BSA 중에서 0.5 ㎍/ml로 희석하였다.
5. TBS+0.1 % BSA 중에서 25 ㎍/ml로 시작하여 한랭 경쟁자 설치류 및 인간화 항체의 8개의 4배 연속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6. vWF 피복된 플레이트의 각 웰에 25 ㎕의 TBS+1% BSA+10 % DMSO, 100 ㎕의 한랭 경쟁자 항체 (설치류, 인간화 IgG2m3 또는 인간화 IgG4) 및 25 ㎕의 바이오틴화 항체를 첨가하고, 온화한 진탕과 함께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 플레이트를 세척 용액 (TBS+0.05 % 트윈-20)을 사용하여 3회 세척하고, ImmunoPure Phosphatase Staining Kits (피어스, 일리노이주 록포드)를 사용하여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염색하였다. 구체적으로, 2 액적의 시약 A (아비딘) 및 2 액적의 시약 B (바이오틴화 알칼리 포스파타제)를 50 ml의 TBS+0.1 % BSA에 첨가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50 ㎕의 제조된 용액을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8. 플레이트를 세척 용액으로 3회 세척하고, 알칼리 포스파타제 기질 (시그마, 미조리주 산타 루이스)로 전개하였다.
9.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경쟁자 항체의 농도에 대하여 플로팅하였다.
도 3에 나타낸 결과는 미표지된 설치류 항체와 비교하였을 때 인간화 AJvW-IgG4 및 IgG2m3이 바이오틴화 설치류 항체와 동일하게 경쟁적이며, 이는 두 인간화 항체가 유사한 결합 친화도를 가지며, 항원에 대한 인간화 항체 및 설치류 항체의 친화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제안한다.
도 1은 설치류 AJvW-2 항체의 중쇄 (A) 및 경쇄 (B) 가변 부위의 cDNA 및 번역된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상보성 결정 부위 (CDR)은 밑줄 그었으며, 성숙사슬의 제1 아미노산은 이중 밑줄 그었다.
도 2는 인간화 AJvW-2 항체의 중쇄 (A) 및 경쇄 (B) 가변 부위의 DNA 및 번역된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상보성 결정 부위 (CDR)은 밑줄 그었으며, 성숙 사슬의 제1 아미노산은 이중 밑줄 그었다.
도 3은 폰빌레브란트 인자에 대한 설치류 및 인간화 AJvW-2 항체 (IgG4 및 IgG2m3)의 경쟁적 결합 특성의 그래프이다. 증가하는 농도의 한랭 경쟁자 항체를 바이오틴화 추적자 설치류 AJvW-2의 존재하에서 폰빌레브란트 인자와 함께 배양하였다. 흡광도를 측정하고, 미표지된 경쟁자 항체의 농도에 대하여 플로팅하였다.
상기 교시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명백히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 이외에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

Claims (22)

  1. 인간 폰빌레브란트 인자에 결합하는 인간화 면역글로불린.
  2. 제1항에 있어서, 폰빌레브란트 인자에 대한 특이적 결합에 대해 생쥐 항체 AJvW-2와 경쟁하는 면역글로불린.
  3. 제1항에 있어서, 도 2a (서열번호 3)으로 나타낸 중쇄 가변 부위 및 도 2b (서열번호 4)로 나타낸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항체인 면역글로불린.
  4. 생쥐 항체 AJvW-2의 인간화형인 인간화 면역글로불린.
  5. 제1항에 있어서, 생쥐 AJvW-2 항체 유래의 상보성 결정 부위, 및 인간 I3R 항체 중쇄 및 경쇄 기본틀 유래의 중쇄 및 경쇄 가변 부위 기본틀을 포함하며, LC-48, LC-70, LC-71, HC-28, HC-48, HC-49 및 HC-67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위치에 생쥐 AJvW-2 항체 중쇄 또는 경쇄 가변 부위 기본틀의 해당 위치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이 위치하며, 107M-1내지 생쥐 AJvW-2 항체 친화도의 10 배의 친화도 상수로 vWF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인간화 면역글로불린.
  6. 제5항에 있어서, LC-48, LC-70, LC-71, HC-28, HC-48, HC-49 및 HC-67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각 위치에 생쥐 AJvW-2 항체 중쇄 또는 경쇄 가변 부위 기본틀의 해당 위치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이 위치하는 항체인 인간화 면역글로불린.
  7. 제6항에 있어서, LC-62, LC-73, LC-83, HC-1, HC-78 및 HC-118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위치에 인간 항체 중쇄 또는 경쇄 콘센서스 서열의 해당 위치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이 위치하는 인간화 항체.
  8. 제5항에 있어서, 도 2a (서열번호 3)으로 나타낸 중쇄 가변 부위 및 도 2b (서열번호 4)로 나타낸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위치가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대안물로 치환될 수 있는 인간화 면역글로불린.
  9. 제1항에 있어서, 도 2a (서열번호 3)으로 나타낸 인간화 중쇄와 85 %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인간화 중쇄 및 도 2b (서열번호 4)로 나타낸 인간화 경쇄와 85 %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인간화 경쇄를 포함하며, LC-48, LC-70, LC-71, HC-28, HC-48, HC-49 및 HC-67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위치에 생쥐 AJvW-2 항체 중쇄 또는 경쇄 가변 부위 기본틀의 해당 위치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이 위치하는 인간화 면역글로불린.
  10. 제1항에 있어서, 두 쌍의 경/중쇄 이량체를 포함하며, 각 사슬은 가변 부위및 불변 부위를 포함하는 면역글로불린.
  11. 제1항에 있어서, Fab 단편 또는 F(ab')2인 면역글로불린.
  12. 제1항에 있어서, AJvW-2 유래의 상보성 결정 부위 (CDR) 및 중쇄 및 경쇄 가변 부위 기본틀을 가지며, 중쇄 가변 부위 기본틀의 서열은 인간 면역글로불린 중쇄 가변 부위 기본틀의 콘센서스 서열인 인간화 면역글로불린.
  13. 제1항에 있어서, IgG2또는 IgG4면역글로불린 하위유형을 갖는 인간화 면역글로불린.
  14. 제1항에 있어서, 불변 부위가 Cγ2Cγ4 부위인 인간화 면역글로불린.
  15.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의 중쇄 및 경쇄를 코딩하는 세포주를 배양하여 생쥐 항체 AJvW-2와 경쟁하는 인간화 항체를 발현하고; 상기 인간화 항체를 회수하는 것을 포함하는 면역글로불린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인간화 항체를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제제화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폰빌레브란트 인자에 대한 특이적 결합에 대해 생쥐 항체 AJvW-2와 경쟁하는 인간화 면역글로불린과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18. 폰빌레브란트 인자에 대한 특이적 결합에 대해 생쥐 항체 AJvW-2와 경쟁하는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의 유효 투여량을 혈전 질환 또는 죽상경화증의 또는 그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환자의 치료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이 생쥐 항체 AJvW-2의 인간화형인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글로불린이 도 2a (서열번호 3)로 나타낸 중쇄 가변 부위 및 도 2b (서열번호 4)로 나타낸 경쇄 가변 부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가 발작, 일과성 허혈 발작, 불안정형 협심증, 급성 심근경색, 협심증, 말초혈관 질환, 심부정맥 혈전증, 용혈성 요독 증후군, 용혈성 빈혈, 급성 신부전증,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급성 및 아급성 혈전증 또는 혈관내 조정 후의 재협착증에 의해 초래되는 허혈성 합병증을 위한 것, 또는 급성 심근경색에서 보강 치료법으로서 혈전용해 치료 후의 재폐색에 의하여 초래되는 허혈성 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 방법.
  22. 폰빌레브란트 인자에 대한 특이적 결합에 대해 생쥐 항체 AJvW-2와 경쟁하는 인간화 면역글로불린을 생산하는 세포주.
KR1020017002074A 1998-08-19 1999-08-19 항혈전제 및 인간화 항-폰빌레브란트 인자 모노클로날 항체 KR100693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36,315 1998-08-19
US09/136,315 US6228360B1 (en) 1998-08-19 1998-08-19 Antithrombotic agent and humanized anti-von Willebrand factor monoclonal anti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749A true KR20010072749A (ko) 2001-07-31
KR100693260B1 KR100693260B1 (ko) 2007-03-13

Family

ID=2247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074A KR100693260B1 (ko) 1998-08-19 1999-08-19 항혈전제 및 인간화 항-폰빌레브란트 인자 모노클로날 항체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4) US6228360B1 (ko)
EP (1) EP1112085B1 (ko)
JP (1) JP4590734B2 (ko)
KR (1) KR100693260B1 (ko)
CN (1) CN1259972C (ko)
AT (1) ATE476989T1 (ko)
AU (1) AU766500B2 (ko)
BR (1) BR9913084A (ko)
CA (1) CA2340466A1 (ko)
DE (1) DE69942668D1 (ko)
HU (1) HUP0103573A3 (ko)
IL (2) IL141158A0 (ko)
NO (1) NO20010747L (ko)
NZ (1) NZ509536A (ko)
RU (1) RU2223785C2 (ko)
WO (1) WO2000010601A1 (ko)
ZA (1) ZA2001009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8360B1 (en) 1998-08-19 2001-05-08 Ajinomoto Co., Inc. Antithrombotic agent and humanized anti-von Willebrand factor monoclonal antibody
GB0031448D0 (en) * 2000-12-22 2001-02-07 Leuven K U Res & Dev Inhibition of the vWF-collagen interaction by anti-human vWF monoclonal antibody (82D6A3) results in abolition of in vivo arterial platelet thrombus formation
AU2002335815A1 (en) * 2001-10-16 2003-04-28 Rxkinetix, Inc. High-concentration protein formula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5298336A (ja) * 2002-01-29 2005-10-27 Ajinomoto Co Inc 炎症性疾患治療用薬剤
WO2004011030A1 (ja) * 2002-07-29 2004-02-05 Ajinomoto Co., Inc. 血小板減少症治療用医薬組成物
ATE512364T1 (de) * 2002-08-07 2011-06-15 Ablynx Nv Modulation der blutplättchen-adhäsion basierend auf dem oberflächen-exponierten beta-switch loop des blutplättchen-glycoproteins ib-alpha
EP1587838B1 (en) 2003-01-10 2015-04-15 Ablynx N.V. Therapeutic polypeptides, homologues thereof, fragments thereof and their use in modulating platelet-mediated aggregation
CA2559280A1 (en) * 2004-03-15 2005-09-29 Biogen Idec Ma Inc. Methods and constructs for expressing polypeptide multimers in eukaryotic cells using alternative splicing
EP1755642B1 (en) * 2004-04-15 2010-01-13 Athera Biotechnologies Ab Annexin v for preventing plaque rupture
CA2579374A1 (en) * 2004-09-07 2006-03-30 Archemix Corp. Aptamers to von willebrand factor and their use as thrombotic disease therapeutics
US20090202986A1 (en) * 2004-10-22 2009-08-13 Huse William D Methods of optimizing antibody variable region binding affinity
WO2006074947A2 (en) * 2005-01-14 2006-07-20 Ablynx N.V. METHODS AND ASSAYS FOR DISTINGUISHING BETWEEN DIFFERENT FORMS OF DISEASES AND DISORDERS CHARACTERIZED BY THROMBOCYTOPENIA AND/OR BY SPONTANEOUS INTERACTION BETWEEN VON WILLEBRAND FACTOR (vWF) AND PLATELETS
KR101414438B1 (ko) * 2005-05-20 2014-07-10 아블린쓰 엔.브이. 폰 빌레브란트 인자에 대한 단일 도메인 vhh 항체
AR070141A1 (es) * 2008-01-23 2010-03-17 Glenmark Pharmaceuticals Sa Anticuerpos humanizados especificos para el factor von willebrand
JP2011518772A (ja) * 2008-03-21 2011-06-30 アブリンクス エン.ヴェー. フォンウィルブランド因子特異的結合因子及びこれらに関する使用方法
US9229010B2 (en) 2009-02-06 2016-01-05 Astute Medical,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iagnosis and prognosis of renal injury and renal failure
WO2010091231A1 (en) * 2009-02-06 2010-08-12 Astute Medical,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diagnosis and prognosis of renal injury and renal failure
CN102532316B (zh) * 2010-12-24 2014-06-18 神州细胞工程有限公司 一种抗vWF单克隆抗体及其应用
WO2015158851A1 (en) * 2014-04-16 2015-10-22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Antibodies for the prevention or the treatment of bleeding episod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4362A (en) 1977-11-08 1987-11-03 Genentech, Inc. Recombinant cloning vehicle microbial polypeptide expression
US5807715A (en) 1984-08-27 1998-09-15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s and transformed mammalian lymphocyte cells for producing functional antigen-binding protein including chimeric immunoglobulin
GB8607679D0 (en) 1986-03-27 1986-04-30 Winter G P Recombinant dna product
US5530101A (en) * 1988-12-28 1996-06-25 Protein Design Labs, Inc. Humanized immunoglobulins
GB9020282D0 (en) * 1990-09-17 1990-10-31 Gorman Scott D Altered antibodies and their preparation
DE69233482T2 (de) * 1991-05-17 2006-01-12 Merck & Co., Inc. Verfahren zur Verminderung der Immunogenität der variablen Antikörperdomänen
US5777085A (en) * 1991-12-20 1998-07-07 Protein Design Labs, Inc. Humanized antibodies reactive with GPIIB/IIIA
ZA93779B (en) * 1992-02-06 1993-08-05 Schering Corp Design, cloning and expression of humanized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human interleukin-5.
EP0625200B1 (en) * 1992-02-06 2005-05-11 Chiron Corporation Biosynthetic binding protein for cancer marker
ATE236993T1 (de) * 1994-11-30 2003-04-15 Ajinomoto Kk Antithrombose mittel und gegen den von willebrand-faktor gerichtete monoklonale antikörper
US6228360B1 (en) * 1998-08-19 2001-05-08 Ajinomoto Co., Inc. Antithrombotic agent and humanized anti-von Willebrand factor monoclonal anti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223785C2 (ru) 2004-02-20
AU766500B2 (en) 2003-10-16
EP1112085A4 (en) 2002-11-20
KR100693260B1 (ko) 2007-03-13
US20030180293A1 (en) 2003-09-25
US20030064068A1 (en) 2003-04-03
DE69942668D1 (de) 2010-09-23
JP2002523379A (ja) 2002-07-30
HUP0103573A2 (hu) 2002-01-28
BR9913084A (pt) 2001-05-08
US6613328B2 (en) 2003-09-02
ZA200100939B (en) 2001-09-03
CN1259972C (zh) 2006-06-21
NO20010747D0 (no) 2001-02-14
JP4590734B2 (ja) 2010-12-01
HUP0103573A3 (en) 2003-09-29
IL141158A (en) 2006-04-10
AU5668099A (en) 2000-03-14
NZ509536A (en) 2002-11-26
EP1112085A1 (en) 2001-07-04
CN1311691A (zh) 2001-09-05
CA2340466A1 (en) 2000-03-02
US6228360B1 (en) 2001-05-08
IL141158A0 (en) 2002-02-10
NO20010747L (no) 2001-04-03
US7138116B2 (en) 2006-11-21
US7311913B2 (en) 2007-12-25
US20050197494A1 (en) 2005-09-08
ATE476989T1 (de) 2010-08-15
WO2000010601A1 (en) 2000-03-02
EP1112085B1 (en)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1913B2 (en) Methods of treating thrombotic diseases with von Willebrand factor specific antibodies
US5777085A (en) Humanized antibodies reactive with GPIIB/IIIA
US5882644A (en)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for the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β receptor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5714350A (en) Increasing antibody affinity by altering glycosylation in the immunoglobulin variable region
EP0753065B1 (en) Antibodies against e-selectin
EP1446157B1 (en) Antibodies for inhibiting blood coagulat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8007795B2 (en) Anti-tissue factor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RU2126046C1 (ru) Рекомбинантное антитело, полинуклеотид (варианты),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яжелых и/или легких цепей рекомбинантного антитела (варианты)
EP0619324B1 (en) HUMAN TYPE ANTIBODY REACTIVE WITH GPIIb/IIIa
MXPA01001814A (en) Antithrombotic agent and humanized anti-von willebrand factor monoclonal antibody
AU2008203271B2 (en) Antibodies for inhibiting blood coagulat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