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1710A - 펄프기로부터 조립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조립 이물질수거기 및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펄프기로부터 조립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조립 이물질수거기 및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1710A
KR20010071710A KR1020017000031A KR20017000031A KR20010071710A KR 20010071710 A KR20010071710 A KR 20010071710A KR 1020017000031 A KR1020017000031 A KR 1020017000031A KR 20017000031 A KR20017000031 A KR 20017000031A KR 20010071710 A KR20010071710 A KR 20010071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collector
assembly
pulp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0352B1 (ko
Inventor
해리 빌리얀
롤란드 카라
Original Assignee
추후보정
알이에이 게젤샤프트 푸르 리사이클링 본 에너지 운트 아베펠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정, 알이에이 게젤샤프트 푸르 리사이클링 본 에너지 운트 아베펠 엠베하 filed Critical 추후보정
Publication of KR20010071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B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0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4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 D21B1/12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by wet methods, by the use of steam
    • D21B1/30Defibrating by other means
    • D21B1/34Kneading or mixing; Pulpers
    • D21B1/345Pul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프기(1)에서 나온 조립물질을 제거할 조립 이물질 수거기(7)에 관계한다. 조립 이물질 수거기(7)는 수거바스킷(9)을 갖춘 지지아암(8)을 포함한다. 수거바스킷(9)은 타인(Z)이 그릿에 의해 고정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조립 이물질 수거기는 펄프기의 내외부로 선회할 수 있고, 펄프기 말단에서 펄프기의 종축(P)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경사진 위치의 회전축(A)에 대하여 움직인다. 상기 경사각도는 20°내지 40°이다. 이 장치의 장점은 조립 이물질 수거기(7)가 수거 및 하적 위치 사이의 한가지 동작만 수행하고 및 하적은 특수 스크래핑기구가 없이도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는 점이다. 타인(Z)의 위치 때문에 하적에 앞서서 부적절하게 조립물질이 소실되는 위험이 없다. 본 발명은 공지기술에 따른 기계적 및 제어기능적 복잡성을 최소화하고 및 조립물질의 제거처리 주기를 단축시킨다. 조립 이물질 수거기는 조립물질의 수거를 위해 가능한 큰 용량을 갖도록 구성된다. 조립 이물질 수거기는 또한 가벼운 조립조립만 펄프기에서 선별제거 할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펄프기로부터 조립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조립 이물질 수거기 및 제거방법{COARSE DIRT COLLECTOR FOR REMOVING COARSE MATERIAL FROM A PULPER AND CORRESPONDING METHOD}
펄프기는 재료용해기라고도 하며 펄프성분에 처리제 혼합물을 쉽게 혼합하기 위해 사용한다. 주된 사용분야는 폐수 및 유사물질의 처리에 관련된다.
펄프기는 통상적으로 로터(회전자)가 장착된 베셀이다. 재료혼합물을 처리하는 동안 이 혼합물은 액체 보통은 물과 함께 용기에 채워진다. 회전자의 회전은 따라서 강력한 유동력을 발생한다. 이러한 유동력은 펄프기에 함유된 펄프성 고체물질을 쉽게 펄프화 되도록 해준다. 펄프화 이외에도 부분적으로 섬유의 절단이 일어나거나 혹은 혼합물에 함유된 펄프성 재료 및 기타 물질이 용해된다. 그러나 이 공정의 주요점은 펄프작업에 있는 것이므로 "펄프화" 만 여기서 다루기로 하고 분해 및 용해처리 등은 이에 수반되어 일어나는 것이므로 여기서 다루지 않기로 한다.
충전된 재료혼합물의 펄프처리된 성분은 액체와 함께 현탁물을 형성하며 이것은 예컨대 구멍뚫린 스크린 등으로 펄프기에서 배출하여 버릴 수 있다. 한편, 펄프기에서 펄프화 되지 않은 성분 (이후는 "조립 물질" 이라 한다)을 일부 제거하는 것이 또다른 작업이다.
이러한 조립 물질을 펄프기에서 제거하기 위해 조립 이물질 수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대개는 타인(tine)을 구비한다. 이들은 펄프기 속에 잠겨 액속에 조립 물질을 함유한다. 액체는 현탁물 상태로서 1차로 펄프기에서 현탁물을 배출하고 그후 펄프기에 남은 조립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유리하며 이는 액체 바람직하게는 처리수를 다시 한번 펄프기에 채우기 위해서다. 액체에 떠있는 조립 물질은 조립 이물질 수거기에 포집되어 이 수거기를 펄프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제거할 ㅅ 있게 된다.
조립 이물질 수거기는 DE32 25 026 C2 에서 공지되었으며 적어도 90°로 회전할 수 있는 스탠드컬럼을 포함한다. 지지아암이 상기 스탠드컬럼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것의 하부에는 타인을 갖춘 수거바스킷이 구비되어 있다. 조립 물질을 수거할 때 수거바스킷이 달린 지지아암이 펄프내 스탠드컬럼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향이동하며 이에 의해 수거바스킷이 액에 침지되어 동일한 방식으로 통과유동할 수 있다. 액속에 떠있는 조립 물질은 수거바스킷의 타인에 의해 포집되며 지지아암 상에서 펄프 외부로 수직이동하여 조립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조립 물질을 배출할 때 지지아암은 펄프기 외부지역 내의 럼 주변을 회전한다. 수거바스킷이 수거바스킷 캐치를 건드려 이 바스킷을 기울이고 따라서 조립 물질이 용기내로 배출된다. 조립 이물질 수거기의 3가지 동작(수거아암의 수직상하향 동작, 스탠드컬럼 주변의 수거아암의 회전동작, 수거바스킷의 경사동작)은 복잡한 움직임을 필요로하며 따라서 고기계적 및 제어동작에 관련된 복잡성과 또한 비교적 긴 주기를 요구한다.
또다른 조립 이물질 수거기는 EP 0 598 187 B1 에 공지되었다. 여기서 조립 이물질 수거기는 홈통에 위치하고 이것은 펄프기의 내부에 연결된다. 조립 이물질 수거기는 이것을 수평축 둘레로 회전시켜 홈통 밖으로 나와 펄프기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며 또한 조립 이물질이 타인에 의해 수거된 후에는 다시 펄프기 밖으로 회전한다. 회전각도는 따라서 조립물질이 부착된 조립 이물질 수거기가 홈통 상단엣지 위보다 훨씬 멀리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값을 갖는다. 마지막 단계에서, 적절한 스크래핑기구로 조립 이물질 수거기에서 조립물질을 긁어낸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기계적 및 제어동작의 복잡성은 DE 32 25 026.C2에서 설명한 장치보다 훨씬 감소한다. 두번째 예에서는 그러나 다수 동작(수평축 주변에 조립 이물질 수거기를 회전시키고 스크래핑기구로 조립물질을 긁어내는)이 여전히 필요하다. 또한, EP 0 598 187 B1에 기술된 조립 이물질 수거기는 수거위치에서 반드시 수직으로 위치하는 타인의 배치 때문에 수용량이 적다. 타인의 위치는 이들이 펄프기 속으로 분사 배출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상향동작일 때, 무게때문에 펄프기의 저면에 가라앉은 조립물질을 쉽게 포집할 수 있다. (이후 "무거운 조립물질" 라고 함). 그러나, 가벼운 조립물질은 무거운 조립물질보다 다양한 물질군 농도로 되고 및 양측 성분의 분리에 의해 활용 혹은 더 적절한 배치 가능성에 대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조립 이물질 수거기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비중이 작거나 혹은 표면적이 커서 액체에 떠있는 조립물질 (이후 "가벼운 조립물질" 이라고 간단히 명시함)을 유효하게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무거운 조립물질은 보통 무거운 물질 로크를 통해 제거된다.
본 발명은 펄프기로부터 조립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조립 이물질 수거기 및 이의 작업방법에 관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이물질 수거기의 한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이물질 수거기의 한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이물질 수거기의 기계적 특징을 이용하고 이에따라 기계적 및 제어동작 관련 복잡성을 최소로 감소시키고 또한 주기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조립 이물질 수거기는 조립물질의 수용량이 크고 동시에 가벼운 조립물질을 선별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에 관계한 실행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서와 같은 방법에 의해 및 청구항 11에서와 같은 조립 이물질 수거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립 이물질 수거기는 이것을 축 둘레에 회전시켜 펄프기 속으로 선회되는 방식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수평축 주변에서는 이러한 원운동이 행해지지 않고 수평선과 일정각도를 이루는 축에 대해 실행된다. 펄프기의 축이 예위적으로 수직배치되지 않은 경우, 선회운동은 수평선에 일정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실행되지 않고 펄프기의 축에 수직하는 평면에 대해 일정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실행된다. 이것은 펄프기 속으로 선회할 때 수거바스킷에 설치된 타인이 적어도 수평 혹은 최종위치에서 다소 상향 경사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용한다. 이 위치에서, 액체 내에 떠있는 조립물질을 이상적인 방식으로 수거한다. 외향 선회운동일 때 타인은 최종위치내의 하향경사진 수직위치에서 이동하며 조립물질은 자동으로즉, 예컨대 스크래핑기구를 사용함에 따른 외부의 영향 없이도 수거용기 속으로 떨어진다.
공지의 해결방법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이물질 수거기 및 이에 관련된 작업방법은 각각 상술한 회전경사축에 대해 단 1회의 동작만 수행한다는 장점이 있다. 기계적 및 제어동작 관련 복잡성은 따라서 공지기술보다 극소화되며 주기 역시 단축된다.
더욱더, 조립 이물질 수거기로부터 조립물질을 제거하는데 수거바스킷의 경사도 특수 스크래핑기구도 필요치 않다.
또한 조립 이물질 수거기가 움직이는 홈통이 불필요하다. 홈통은 EP 0 598 187 B1과 같이 조립 이물질 수거기의 수거바스킷에 배치된 타인이 수거단계에서 및 외향 선회이동의 주과정에서 하향경사 위치에 있을 때 필요하다. 이 경우, 수거된 조립 물질은 회전과정에서 장애물이 타인이 벽면을 따라 이동하는 홈통의 벽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부적절한 방식으로 타인 밖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홈통은 마모되는 별도의 기소이므로 교체작업에 따른 비용이 발생된다. 또한, 펄프작업시 펄프재료가 펄프처리되지 않은 채 홈통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홈통을 잠금처리해야 하므로 잠금기구가 필요하다.
청구항 1에 따른 방법 및 청구항 11에 따른 조립 이물질 수거기의 바람직한 구현과 개선은 각각의 종속항에 기술되어 잇다.
본 발명의 구현예는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으며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2는 한편으로는 펄프기내 조립 물질을 수거하기에 적절한 최종위치를,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의 조립물질을 하적하기 위한 최종위치의 조립 이물질 수거기를 도시한다.
상기 두 위치의 교체과정에서 타인의 위치는 먼저 적어도 수평이나 약간 상향경사지기도 한다. 이경우 상향하여 일어나는 하향 회전이동시, 하적 작업이 실행될 때 타인만 하향경사 위치에 도달한다. 조립 이물질 수거기의 수거 바스킷이 아직 펄프기 위에 있다면 타인의 위치는 조립물질이 조립 이물질 수거기로부터 부적적한 방식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해준다.
조립 이물질 수거기 전체는 최대 수거량이 수득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수거위치에서 타인은 약간 상향경사진 위치에 있으나 대체로 수평이므로 더 큰 스크리닝 효과를 얻게되고 따라서 타인이 현탁물 내에서 상부에 위치하므로 가벼운 조립물질의 선별적 분리가 가능해진다.
상술한 조립 이물질 수거기의 바람직한 응용예는 각 성분들의 생물학적 활용으로 폐수를 처리하는 것에 관계한다. 생물학적 활용가능한 성분들은 따라서 생물학적 비활용 성분들로부터 분리된다. 생물학적 활용가능 성분들은 그렇지 못한 성분들보다 펄프처리가 용이하며 어려움이 적거나 전혀 어려움 없이 펄프화될 수 있다. 형성된 현탁물은 펀치스크린에 통과시켜 분리하며 여기서 생물학적 활용가능 성분들이 농축되고 다시 생물학적 활용을 거쳐 현탁물을 걸러내면 비활용 성분들만 펄프기에 남게된다. 즉, 조립물질은 또다시 활용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상기의 바람직한 구현예 및 조립 이물질 수거기의 구현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도1 및 2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폐수혼합물(AF)은 펄프기(1)에 넣어 채운다. 이 펄프기의 축(P)은 도면과 같이 수직위치 상에 있다. 다시 물(W)을 첨가한다. 회전자(2)의 회전에 의해 폐수-물의 혼합물이 움직이기 시작한다. 강한 와류가 생성하며 폐수혼합물의 생물학적 이용가능 성분이 펄프화 되는 것을 수반한다. 상기의 섬유는 펄프기에 존재하는 액체와 함께 현탁물을 형성하며 이것은 펄프기 하부에 위치한 펀치스크린(3)을 통과 배출된다. 폐수의 생물학적 비이용 성분 즉 조립물질은 유체력에 의해서 크게 파괴되지 않고 잔류한다.
펄프기에는 뚜껑(4)이 달려있어 냄새방출을 방지하는 밀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뚜껑(4)에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에 의해 조립물질이 하적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후드(5)와 연결되어 조립 이물질 수거기에 방취기능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조립물질이 하적될 때 뚜껑 전체가 열리는 방식으로 펄프기의 뚜껑을 구성할 수도 있다.
현탁물(S)을 배출한 후 펄프기는 다시 액체 바람직하게는 물(W)로 채워진다.예컨대 무거운 돌(6) 같이 무게가 많이 나가는 조립물질은 가라앉아 분리가능 해진다. 액체위에 뜨게되는 고유성질을 가진 가벼운 조립물질은 조립 이물질 수거기(7)에 의해 분리된다.
조립 이물질 수거기(7)는 지지아암(8) 및 수거바스킷(9)을 포함한다. 지지아암은 서스펜션(10)에 의해 펄프기 자체 위에 매달리거나 혹은 펄프기와 무관한 지지구조물을 갖춘다. 회전식으로 샤프트 상에 장설된다. 선회부는 90°내지 270°의 각도로 선회한다. 수거바스킷(9)은 지지아암(8)에 정착된다. 상기 수거바스킷(9)은 내부에 고정 혹은 가변형 로드 혹은 웨브가 그릿형 혹은 평행방식으로 배치된 그릿이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11)을 포함한다. 타인(Z)은 프레임과 수직하거나 약간 상향경사져 있다. 상기의 타인은 고정 혹은 분리방식으로 (즉, 클램프고정되거나 나사고정되는) 로드 혹은 웨브에 부착되고 따라서 특히 숫자와 길이 및 방향 등은 다양한 재료혼합물 측면에서 우수한 효율 및 가변성을 성취할 수 있는 정도로 변경이 가능하다. 지지아암의 형태는 (굽힘형태 및/또는 각진형태) 펄프기 뚜껑에 있는 조립물질 하적용 개구부의 크기를 가능한 작게 할 수 있는 형태이다. 또한 프레임은 가능한 최대의 편평면을 제공하여 상기의 과제를 잘 수행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지지아암(8)에 정착된다. 이외에도, 지지아암(8) 상의 프레임의 위치는 최적의 수거위치를 갖는 방식으로 배치 즉, 하적위치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 펄프기와 회전자의 벽 사이를 쉽게 통과할 수 있고 및 조립물질이 너무 빨리 떨어지지 않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펄프기에 아직 남아 있는 조립 이물질-액체 혼합물에 대한 침지에 있어서,조립 이물질 수거기의 지지아암은 예컨대 적어도 90° 내지 270°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00° 각도로 회전운동을 한다. 상기 회전운동은 원통부의 상단엣지에 있는 펄프기 외측의 축(A)에 대해 실행되며 이것은 수평선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0°내지 40°정도 경사져있다. 상술한 회전운동 때문에 수거바스킷은 액체에 완전히 침지된다. 수거위치에서, 프레임은 회전자 및 펄프기 외벽 사이의 표면을 가능한 최적으로 부풀리고, 및 바람직하게는 수직선에 약간 경사진 위치 및 펄프기 축의 반지름선에 유사한 위치에 놓인다.
프레임에 정착된 타인은 약간 상향한다. 이 위치에서 동일한 위치를 통과할 때 액체에 떠있는 조립물질의 대부분이 수거바스킷에 들어가게 된다. 수거바스킷은 따라서 지지아암의 대향적 회전운동에 의해 펄프기 밖으로 리프팅된다. 타인을 따라서 지지아암의 회전때문에 제일먼저 수평선쪽으로 이동하며 펄프기의 엣지를 지난 후에는 하향 회전운동의 증가에 따라 조립물질이 펄프기의 뚜껑에 있는 개구부 및 조립 이물질 수거기를 위한 후드를 통과하면서 자동하적된다. 하적은 캐치에 대해 조립 이물질 수거기를 이동시키거나 및/또는 이것을 단시간에 세차게 잡아당겨 기계적으로 지지하기도 한다. 하적은 하적깔때기(13) 내에서 일어나며 이것은 조립물질을 배출기구 혹은 운반기구의 입구쪽으로 안내해준다. 시스템 펄프기, 조립 이물질 수거기용 후드, 수거깔때기 및 후속의 연결된 응집물이 방취방식으로 포획 및 배기장치에 연결된다.
조립 이물질 수거기는 전기 혹은 유압식 드라이브를 포함한다.조립 이물질 수거기의 제어는 부분 혹은 전체적으로 자동화 되어있다.
펀치스크린에 의해 분리된 현탁형성물은 생물학적 이용가능 성분이 농축된 것으로 생물학적 이용(발효 혹은 합성)에 쓰인다. 무거운 조립물질은 다양하게 처리 혹은 퇴적될 수 있는 비활성물질 (자갈, 세라믹, 유리, 금속, 뼈 등)을 다량 함유한다. 조립 이물질 수거기에 의해 분리되는 가벼운 조립물질은 주로 플라스틱, 섬유 및 나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분의 플라스틱 농도는 이용하는데 장점이 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주로 가벼운 조립물질 내에 존재하는 물질의 열량값이 커서 연소에 적합하다. 이용 전에 혹은 각각의 배출 전에 가벼운 조립물질을 별도로 처리하기 쉬우며 배출 및/또는 분해 혹은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건조 및/또는 생물학적 후속조치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구현예에 기초항 상술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용기의 형태 및 프레임 및 타인의 형태는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 이물질 수거기 및 이물질 제거방법에 의해 조립물질을 대량 수용하고 동시에 가벼운 조립물질을 선별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동작에 관련된 복잡성은 공지기술보다 극소화되며 주기 역시 단축된다.

Claims (30)

  1. 펄프기에서 펄프용기(1) 내외측으로 선회가능한 조립 이물질 수거기를 포함하는 펄프기로부터의 조립물질 제거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립 이물질 수거기의 내/외향 선회운동은 펄프용기(2)의 축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경사져서 위치하는 회전축(A)에 대한 회전운동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물질 제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A)의 각도는 20° 내지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물질 제거방법.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회전운동은 90°내지 270°, 바람직하게는 150°내지 200°의 범위에 걸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물질 제거방법.
  4. 제1항 내지 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조립물질의 하적을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물질 제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의 지지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가 캐치에 대해 이동하도록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물질 제거방법.
  6. 제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의 지지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의 후향 즉시이동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물질 제거방법.
  7. 제1항 내지 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동작들이 일정속도 혹은 가변속도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물질 제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동작들이 조립 이물질 수거기가 내향 선회위치에서 수거에 적합하게 배열되고 및 외향 선회위치에서 하적에 적합하게 배열되는 방식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물질 제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동작기구는 회전축(A)에 대한 회전만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물질 제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조립 이물질은 하적위치에서 수거깔때기 속으로 하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물질 제거방법.
  11. 펄프기로부터 펄프용기(1) 내외측으로 선회가능한 조립물질 제거를 위한 조립 이물질 수거기에 있어서, 상기 조립 이물질 수거기의 내/외향 선회운동이 펄프용기(2)의 축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위치하는 회전축(A)에 대한 회전운동에 의해 실행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동작기구를 특징으로 하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회전동작되도록 펄프기에 현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
  13. 제11항에 있어서,
    펄프기와 독립된 지지구조물을 포함하고 이 위에 회전동작되도록 현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
  14. 제11항 내지 1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지지아암 및 여기에 부착될 수 있는 수거바스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수거바스킷은 가변 혹은 고정방식으로 부착가능한 그릿형 혹은 평행한 로드로 구성된 그릿이 위치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로드에 타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타인은 펄프용기(2)의 축에 수직 혹은 침지위치에서 펄프용기(2)에 대해 약간 상향 경사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
  18. 제16항 또는 17항에 있어서,
    타인은 고정방식으로 로드에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
  19. 제16항 또는 17항에 있어서,
    타인은 탈착방식으로 로드에 정착되고 바람직하게는 클램프고정 혹은 나사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
  20. 제11항 내지 1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펄프기는 조립 이물질을 하적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춘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조립 이물질 수거기를 위한 후드가 펄프기의 뚜껑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
  22. 제11항 내지 2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조립 이물질을 하적할 수 있는 수거용 깔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
  23. 제20 내지 2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펄프기 뚜껑은 조립물질의 하적을 위해 전체가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
  24. 제14항 내지 2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조립 이물질 수거기의 지지아암은 펄프기에 구비된 하적용 개구부의 크기가 가능한 작도록 굴곡 및/또는 굽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
  25. 제15항 내지 2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조립 이물질 수거기의 프레임은 내향 선회위치에서 수거에 적합하고 및 외향 선회위치에서 하적에 적합하게 배열되는 방식으로 지지아암 상에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
  26. 제15항 내지 2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조립 이물질 수거기의 프레임이, 펄프기 뚜껑의 하적용 개구부가 최대한 축소되고 및 수거위치에서 회전자 및 펄프용기의 벽 사이의 표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회전운동시 펄프용기의 벽 및 회전자를 따라 통과할 수 있는 방식으로 지지아암상에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
  27. 제15항 내지 2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조립 이물질 수거기의 프레임이 수거위치에서 펄프기의 축에 대한 수직선에 대하여 약간 경사지고 마찬가지로 방사상의 선에 대해서도 약간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
  28. 제11항 내지 2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동작기구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에 선형 회전동작을 제공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스퍼기어 또는 톱니형 랙과 결합된 전기식, 공압식 혹은 유압식 구동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
  29. 전술한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동작기구의 동작들은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자동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
  30. 제11항 내지 2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펄프기 및 그의 뚜껑, 조립 이물질 수거기용 후드 및 수거깔때기로 구성된 장치가 방취방식으로 밀폐될 수 있고 및 바람직하게는 배기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이물질 수거기.
KR10-2001-7000031A 1998-07-02 1999-06-02 펄프기로부터 조립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조립 이물질수거기 및 제거방법 KR100530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29648.7 1998-07-02
DE19829648A DE19829648C2 (de) 1998-07-02 1998-07-02 Grobschmutzfängervorrichtung zum Herausheben der Grobstoffe aus einem Pul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710A true KR20010071710A (ko) 2001-07-31
KR100530352B1 KR100530352B1 (ko) 2005-11-28

Family

ID=7872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031A KR100530352B1 (ko) 1998-07-02 1999-06-02 펄프기로부터 조립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조립 이물질수거기 및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169263B1 (ko)
EP (1) EP1102884B1 (ko)
JP (1) JP4601167B2 (ko)
KR (1) KR100530352B1 (ko)
AT (1) ATE233341T1 (ko)
BR (1) BR9911722B1 (ko)
CA (1) CA2335140C (ko)
CZ (1) CZ293950B6 (ko)
DE (2) DE19829648C2 (ko)
ES (1) ES2194474T3 (ko)
PL (1) PL190330B1 (ko)
PT (1) PT1102884E (ko)
WO (1) WO20000018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710B1 (ko) * 2012-10-15 2013-10-2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이물질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5577B2 (en) 2003-04-30 2011-07-26 Recology, Inc. Systems and processes for treatment of organic waste materials with a biomixer
US8809038B1 (en) 2003-04-30 2014-08-19 Recology Inc. Process for treatment of organic waste materials
US7955839B2 (en) 2006-06-23 2011-06-07 Rec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rting organic waste materials into useful products
KR100858678B1 (ko) 2006-09-01 2008-09-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불순입자 제거 장치
GB0620398D0 (en) 2006-10-13 2006-11-22 Shimadzu Corp Multi-reflecting time-of-flight mass analyser and a time-of-flight mass spectrometer including the time-of-flight mass analyser
WO2010068778A1 (en) * 2008-12-12 2010-06-17 Albany International Corp. Industrial fabric including spirally wound material strips
EP2388373A1 (en) 2010-05-20 2011-11-23 Biotec Sistemi S.r.l. Process and apparatus for wet pre-treatment of waste material, with low density particles remova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19042Y1 (ko) * 1967-04-17 1970-08-03
DE3225026A1 (de) * 1982-07-05 1984-01-05 Martin Lohse GmbH, 7920 Heidenheim Vorrichtung zum entfernen des grob- und schwerabfalles bei der altpapieraufbereitung
DE4120808A1 (de) * 1991-06-24 1993-01-14 Recycling Energie Abfall Aufbereitung von abfaellen fuer die anaerobe vergaerung biogen-organischer bestandteile des muells, insbesondere von biomuell, nassmuell, restmuell und gewerbeabfaellen
DE4235119C1 (de) * 1992-10-17 1994-04-21 Lohse Verwaltungs Gmbh Faserstoffauflöser, insbesondere zum Auflösen von Hausmüll
DE4406315C2 (de) 1994-02-26 1996-02-08 Lohse Verwaltungs Gmbh Vorrichtung zum Zerkleinern und Suspendieren von Müll, insbesondere von Bio-Haushaltsabfällen
DE19506084A1 (de) 1995-02-22 1996-08-29 Lohse Verwaltungs Gmbh Siebeinheit zum Sortieren von Suspensionen
DE19824806A1 (de) * 1998-06-03 1999-12-09 Recycling Energie Abfall Siebvorrichtung und diese verwendende Stofflösevor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710B1 (ko) * 2012-10-15 2013-10-2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이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69263B1 (en) 2007-01-30
CZ293950B6 (cs) 2004-08-18
WO2000001878A1 (de) 2000-01-13
JP4601167B2 (ja) 2010-12-22
PL345491A1 (en) 2001-12-17
CZ20004878A3 (en) 2001-05-16
EP1102884B1 (de) 2003-02-26
BR9911722A (pt) 2001-03-20
JP2002519535A (ja) 2002-07-02
PT1102884E (pt) 2003-07-31
EP1102884A1 (de) 2001-05-30
BR9911722B1 (pt) 2009-08-11
KR100530352B1 (ko) 2005-11-28
PL190330B1 (pl) 2005-11-30
ES2194474T3 (es) 2003-11-16
DE19829648C2 (de) 2000-06-29
CA2335140C (en) 2007-01-09
CA2335140A1 (en) 2000-01-13
ATE233341T1 (de) 2003-03-15
DE59904383D1 (de) 2003-04-03
DE19829648A1 (de) 200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8912A (en) Rotary separator method for manure slurries
KR100904283B1 (ko) 협잡물 고도 처리장치
KR100530352B1 (ko) 펄프기로부터 조립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조립 이물질수거기 및 제거방법
CA2521377A1 (en) Apparatus for removing fine material from a liquid
JPH052047B2 (ko)
NL8001688A (nl) Inrichting voor het filtreren van pulp, suspensies of soortgelijke materialen, of voor het reinigen van klonterige of brokkelige vaste materialen door wassen en/of het scheiden van dit materiaal van vloeistof, of voor het sorteren van vaste granulaire materialen naar korrelgrootte.
CA2333640C (en) Pulper
CN104114289A (zh) 用于街道清扫废物和污土的转筒清洗器
CN107442552B (zh) 建筑垃圾处理设备以及建筑垃圾再生系统
CN102196846A (zh) 用于扰动网状浆的方法和装置
US20020060181A1 (en) Device for dehydrating sludge
US5904843A (en) Apparatus for removing solids from a stream of water
US4224166A (en) Drum filter and method
US5641360A (en) Process and device for improving the treatment of sewage solids
GB15801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sing soiled chips of synthetic plastics material
KR101830540B1 (ko) 협잡물 종합 처리기
CN207375853U (zh) 一种城市污水预处理装置
Sutherland Centrifuge focus: solids removal–the options
CN214693659U (zh) 一种生活废水净化处理设备
RU202671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фильтрованием
CN207385950U (zh) 一种建筑垃圾碎渣收集装置
SU1724314A2 (ru) Радиальный сгуститель
GB2343385A (en) Filter apparatus with tapering filter screen walls
JPH0661412B2 (ja) オーバーフロー式濾過機
RU2142416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