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1356A - 소매 점포 환경에서의 주변 장치들 간의 통신 통합을 위한프로세스,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소매 점포 환경에서의 주변 장치들 간의 통신 통합을 위한프로세스,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1356A
KR20010071356A KR1020007013537A KR20007013537A KR20010071356A KR 20010071356 A KR20010071356 A KR 20010071356A KR 1020007013537 A KR1020007013537 A KR 1020007013537A KR 20007013537 A KR20007013537 A KR 20007013537A KR 20010071356 A KR20010071356 A KR 20010071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port concentrator
checkout station
concentrato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엔. 윌리엄스
제임스 비. 클락
스티븐 제이. 그린필드
Original Assignee
존 제이. 헐랙
카탈리나 마케팅 인터내셔널,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제이. 헐랙, 카탈리나 마케팅 인터내셔널, 인크. filed Critical 존 제이. 헐랙
Publication of KR20010071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35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 G07G1/14Systems including one or more distant stations co-operating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시 레지스터(14)와 주변 장치(22)를 갖는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 캐시 레지스터(14)에 접속된 스토어 통신 버스(12), 캐시 레지스터(14)로의 데이터를 제어하고 제공하기 위해 스토어 통신 버스(12)에 접속된 스토어 제어 장치(10), 및 스토어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태스크들을 보충하는 태스크들을 실행하기 위한 보충 프로세서(16)를 포함하는 포스 컴퓨터 시스템을 위한 프로세스,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과 관련되고 하나의 입출력 포트가 주변 장치(22)에 결합된 다수의 입출력 포트들을 갖는 포트 집중 장치들(30)을 더 포함하고, 보충 프로세서(16) 및 포트 집중 장치들(30)과 결합된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36)을 더 포함한다. 보충 프로세서(16)는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36)과 각각의 포트 집중 장치(30)를 통해 주변 장치(22)와 통신한다.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에서 추가의 주변 장치들(22)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설치 또는 확장은 포트 집중 장치들(30)과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36)의 존재로 매우 단순화된다.

Description

소매 점포 환경에서의 주변 장치들 간의 통신 통합을 위한 프로세스,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PROCESS,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NSOLIDATION OF COMMUNICATION AMONG PERIPHERAL DEVICES IN A RETAIL STORE ENVIRONMENT}
도 1은 스토어 포스(POS; point-of sale) 제어 장치(10), 스토어 포스 루프(POS loop)(12), 및 다수의 캐시 레지스터들 또는 포스 터미널들(14)(그 중 2개만 도시됨)을 포함하는 종래의 소매 점포 환경을 도시한 것이다. 스토어 포스 제어 장치(10)는 스토어 포스 루프(12)를 통해 캐시 레지스터들(14)과 통신한다. 스토어 포스 루프(12)는 스토어에서 하나의 캐시 레지스터(14)로부터 다음 캐시 레지스터(14)로 확장하고 모든 캐시 레지스터들(14)과 스토어 포스 제어 장치(10)가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버스이다. 스토어 포스 제어 장치(10)는 스토어에서의 판매에 유용한 아이템들을 정의하는 아이템 기록 파일과 같은 활동 기억과 관련되어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관련 데이터베이스 파일들(도시되지 않음)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따른 주요한 어려움은 상기 구성이 할인 쿠폰이나 다른 인센티브(incentives)를 인-스토어 프린팅(in-store printing)하고, 고객들이 스토어에 가져온 쿠폰들을 판독 및 처리하고, 은행 카드와 수표와 같은 다른 코드화된 아이템들을 판매시 판독하는 것과 같은 보충 기능들을 지원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소매 점포 환경에서 보충 컴퓨터 구성 소자들의 상호 접속을 위한 새로운 프로세스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타 목적들은 보충 컴퓨터와 다수의 분배 주변 장치들 간의 접속이 단순화된 포스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새롭고 향상된 프로세스,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간단히 말해서,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a) 적어도 하나의 캐시 레지스터와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 (b) 적어도 하나의 캐시 레지스터에 접속된 스토어 통신 버스; (c) 스토어 통신 버스에 접속되고 적어도 하나의 캐시 레지스터로의 데이터를 제어하고 제공하기 위한 스토어 제어 장치; (d) 스토어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된 태스크들을 보충하는 태스크들을 실행하기 위한 보충 프로세서; (e)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 및 (f) 보충 프로세서와 적어도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에 결합된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을 포함하는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는 다수의 입출력 포트들을 갖고, 다수의 입출력 포트들 중 하나의 입출력 포트는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 결합된다. 보충 프로세서는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과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의 각각의 포트 집중 장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와 통신한다.
특히, 각각의 포트 집중 장치는 입출력 포트들 중 임의의 한 입출력 포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입출력 포트들 중 다른 입출력 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기억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 및 포트 집중 장치에서 입출력 포트들 각각으로의 데이터 흐름 및 각각으로부터의 데이터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은 양호하게 근거리 통신망이고 각각의 포트 집중 장치들은 또한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과 통신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망 제어 장치 및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추가 주변 장치는 제품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스캐닝 디바이스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추가 주변 장치는 고객이 제시한 데이터-베어링 기록(data-bearing record)으로부터 고객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웨지(wedge)" 데이터 입력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충 프로세서는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에서 쿠폰 프린터를 제어하고, 포트 집중 장치를 통해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근거로 쿠폰들이 인쇄되어야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은 또한 기억된 프로그램 명령들이 메모리에 적합하게 적재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이 실행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명령들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포스 컴퓨터 시스템 분야에서 상당히 향상된 것임을 상술된 요약으로부터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소매 점포에서의 포스 컴퓨터 시스템의 통합, 확장 및 테스팅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포트 집중 장치들이 예를 들어 프린터에 의한 할인 쿠폰 발행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때 보충 컴퓨터와 스토어 곳곳의 포스 스테이션들에 위치한 다른 주변 장치들 간의 데이터 접속들을 제공하기 위해 통신망과 함께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들과 장점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이하에 기술된 보다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참조용으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4,723,212호; 제4,910,672호; 제5,173,851호; 및 제5,612,868호와, 1996년 6월 14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08/663,680호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상호 접속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매 점포 환경(retail store environment)에서 사용되는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완전한 이해와 다수의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소매 점포 환경의 종래의 컴퓨터 상호 접속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다수의 추가 기능들을 처리하기 위해 추가 구성 소자들로 보충된 도 1의 소매 점포 환경의 컴퓨터 상호 접속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트 집중 장치들을 더 포함하는 도 2의 소매 점포 환경의 컴퓨터 상호 접속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3의 구조에서 사용된 포트 집중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5A 및 도 5B는 프린터 디바이스와 통신할 때의 포트 집중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웨지 주변 장치와 통신할 때의 포트 집중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할 때의 포트 집중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상태도.
스토어의 포스 컴퓨터 시스템들은 할인 쿠폰이나 다른 인센티브를 인-스토어 프린팅하고, 고객들이 스토어에 가져온 쿠폰들을 판독 및 처리하고, 은행 카드와 수표와 같은 다른 코드화된 아이템들을 판매시 판독하는 것과 같은 기능들을 처리하기 위해 추가 구성 소자들이 보충되어져 왔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723,212호; 제4,910,672호; 제5,173,851호; 및 제5,612,868호와, 1996년 6월 14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08/663,680호는 판매시 검출된 다수의 판매 거래 이벤트들에 응답해서 할인 쿠폰들을 발행하기 위한 시스템들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몇몇 도면들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그에 대응하는 파트들을 나타내고, 특히, 도 2에는 소매 점포 환경에서 사용되도록 의도된, 특히, 포스 컴퓨터 시스템의 일반적인 기능들을 보충하는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사용되도록 의도된 컴퓨터 시스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참조 부호(10)로 표시된 스토어 포스 제어 장치, 스토어 포스루프(12), 및 다수의 캐시 레지스터들(14)(그 중 2개만 도시됨)을 포함하는 스토어 포스 시스템의 관련 부분들을 도시한 것이다. 스토어 포스 제어 장치(10)는 스토어 포스 루프(12)를 통해 캐시 레지스터들(14)과 통신한다. 스토어 포스 루프(12)는 하나의 캐시 레지스터로부터 다음 캐시 레지스터로 스토어에서 확장하는 데이터 버스이다. 스토어 포스 제어 장치(10)는 스토어에서의 판매에 유용한 아이템들을 정의하는 아이템 기록 파일과 같은 활동 기억과 관련되어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관련 데이터베이스 파일들(도시되지 않음)을 갖는다. 보충 프로세서(16)가 제공되어 할인 쿠폰 및 다른 구매 인센티브 등의 인-스토어 발행(in-store generation)과 같은 보충 프로세싱 기능들을 실행한다. 보충 프로세서(16)는 스토어 포스 루프(12)에 연결되어 있고 다수의 캐시 레지스터들(14)에서 발생하는 포스 동작들을 모니터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의 각각의 캐시 레지스터(14)는 관련 쿠폰 프린터(18)를 갖는다. 그러나, 각각의 쿠폰 프린터(18) 또는 캐시 레지스터(14)는 쿠폰과 영수증을 모두 인쇄하기 위해 "듀얼 스테이션" 프린터 기능을 포함할 수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고객이 특정 지정 아이템들을 구매하고 캐시 레지스터(14)에서 구매를 위해 상기 아이템들을 제시할 때, 보충 프로세서(16)는 구매된 아이템들 및 다른 요소들에 대해 설정된 할인 쿠폰들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보충 프로세서(16)는 점선(2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쿠폰 프린터(18) 각각에 연결된다.
보충 프로세서(16)는 또한 각각의 캐시 레지스터(14)와 관련된 다른 주변 장치들과도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캐시 레지스터(14)는 관련 웨지(22)를 가질 수 있다. 웨지는 바코드 데이터 또는 자기 인코드 크레딧 카드 데이터와같은 데이터를 디코드하거나 판독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이다. 웨지(22)는 캐시 레지스터(14)와 관련된 컴퓨터의 키보드 포트를 통해 디코드 정보를 전달한다. 전형적으로, 웨지 디바이스(22)는 컴퓨터 키보드 포트 내로 플러그되고, 키보드는 웨지 내로 플러그 된다. 몇몇 포트 기능들에서, 고객 크레딧 카드 또는 스토어 로얄티 카드는 웨지 디바이스(22)로 스캔되고 정보는 구매 거래를 기록할 때 보충 프로세서(16)에 의해 사용된다. 웨지들(22)은 점선(24)으로 표시된 다른 라인들을 통해 보충 프로세서(16)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의 주요한 어려움은 라인들(20, 24)과 같은 다수의 연결 라인들이 보충 프로세서(16)로부터 캐시 레지스터(14)나 그 주변에 위치한 쿠폰 프린터(18) 및 웨지 디바이스(22)와 같은 주변 장치들까지 이어져야만 한다는 점이다. 다른 보충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들에 있어서, 분리된 라인들로 보충 프로세서(16)에 연결된 추가의 주변 장치들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배치의 명백한 단점들은 주변 장치 각각을 연결할 때 드는 비용과 노력을 배가시킨다. 또한, 새로운 와이어들이 오버헤드(overhead) 또는 언더 플로어(under-floor) 배선 경로들을 사용하여 제자리에 배치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새로운 보충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들의 설치는 일반적인 스토어 동작들에게 혼란을 일으킨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술된 문제점들을 다루고, 각각의 캐시 레지스터(14)와 관련된 주변 장치들은 포트 집중 장치(30)에 연결된다. 따라서, 각각의 쿠폰 프린터(18)는 라인들(32)을 통해 포트 집중 장치(30)에 연결되고, 각각의 웨지 디바이스(22)는 라인들(34)을 통해 포트 집중 장치(30)에 연결된다. 포트 집중 장치들(30)은 근거리 통신망(LAN; 36)에 연결되어, 보충 프로세서(16)와 결합된다. 따라서, 보충 프로세서(16)와의 연결은 동축 케이블 또는 광 섬유 형태일 수 있는 단선(LAN(36))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대안으로, 관련 기술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파악될 수 있는 바와 같이, LAN(36)을 적합하게 설계하여 트위스트 페어 도체(twisted pairs of conductors) 형태의 라인들(36) 또는 와이어리스 통신 링크들 등을 통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쉽게 파악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포트 집중 장치(30)가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쿠폰 프린터(18) 및/또는 웨지(22)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고려된 것 보다 일반적인 형태의 포트 집중 장치(3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의 구성은 종래의 포스 프로세싱이 스토어를 관리하는 소매 상인 또는 스토어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임의의 제조자들과 친분이 없는 제삼자에 의해 쿠폰 발행 또는 회수와 같은 임의의 보충 프로세싱으로부터 분리되어야만 한다는 전통을 고수한다. 따라서, 도 3에서, 포트 집중 장치(30)는 프린터(18)와 웨지(22)와 같은 보충 주변 장치들과 제삼자의 보충 프로세서(16)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포트 집중 장치의 논리적인 확장은 각각의 캐시 레지스터(14)와 관련된 모든 주변 장치들을 캐시 레지스터를 위한 포트 집중 장치에 연결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4는 예를 들어 (i) 포트(40')를 통해 접속된 스캐닝 슬롯을 통과하는 구매 아이템들을 스캐닝하기 위한 슬롯 스캐너 디바이스(40), (ii) 포트(42')를 통해 접속된 스캐닝 원드(wand)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같은 스캐너디바이스(42), (iii) 포트(44')를 통해 접속된 프린터(18)와 같은 프린터 디바이스(44), (iv) 포트(46')를 통해 접속된 보조 또는 주변 장치(46), (v) 포트(48')를 통해 접속된 쇼핑객으로부터의 신분증 또는 크레딧 카드들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EFT/프리컨트 쇼핑객 디바이스(EFT/frequent shopper device)(48), (vi) 예를 들어, 이서네트(Ethernet), EIA RS485 등을 사용하고 포트들(50', 51')을 통해 접속된 네트워크 디바이스(50), (vii) 포트(58')를 통해 접속된 포스 터미널 디바이스(58), 및 (viii) 포트(60')를 통해 접속된 외부/내부 전원 디바이스(60)에 접속되기 위해 다수의 입출력 포트들을 갖는 포트 집중 장치(30)의 일례를 도시한다. 다양한 포트로부터의 라인들에 대한 문자 호칭은 한 예로서 각각의 경우에 이용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표준의 타입들을 나타낸다. 그러나,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TCP/IP, 와이어리스 통신 링크, 광 섬유 링크 등과 같은 다른 표준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포트 집중 장치(30)는 메인 프로세서(62), 플래시(flash) ROM 등과 같은 판독 전용 메모리(ROM; 64),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66), 및 이서네트 제어 장치/트랜시버(68)를 더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포트 집중 장치(30)의 메인 프로세서(62)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은 포트들(40'-60')을 통해 포트 집중 장치에 접속된 각각의 주변 장치로의 데이터 및 각각의 주변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흐름을 조정하는 것이다. 프로세서(62)는 도 5 내지 도 7의 예시적인 상태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RAM(66)의 송수신 버퍼를 사용한다.
도 5A 및 도 5B는 포트 집중 장치(30)로부터 프린터(18)로의 데이터 및 프린터(18)로부터 포트 집중 장치로의 데이터의 송신을 각각 도시한 예시적인 상태도이다. 도 5A의 왼쪽의 서클(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66)의) 송신 버퍼는 프린터(18)에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한다. 블록(72)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프로세서(62)는 프린터 버퍼에 배치될 데이터를 대기한다. 라인(74)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버퍼가 비어 있으면, 프로세서(62)는 상기 상태에서 계속해서 대기한다. 라인(76)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버퍼가 더 이상 비어 있지 않을 때, 프로세서(62)는 데이터의 다음 바이트가 송신 버퍼로부터 프린터 출력 포트(44')로 송신되는 상태(78)로 전이한다. 라인(8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62)는 상기 상태에 머무르고 계속해서 프린터 포트(44')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전송 버퍼가 비어 있는 경우, 라인(82)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62)는 버퍼에 배치될 여분의 데이터를 대기하는 상태(72)로 다시 전이한다.
도 5B의 예시적인 상태도는 프린터 상태 또는 다른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프린터(18)로부터의 데이터의 흐름을 도시한다. 라인(86)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태(84)에서, 프로세서(62)는 프린터로부터 도착할 데이터를 대기한다. 라인(88)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프린터 포트로부터 수신되자 마자, 프로세서는 상태(90)를 가정하고, RAM(66)에 포함된 수신 버퍼(92)에 입력 데이터의 바이트를 전송한다. 라인(94)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프린터 포트로부터 계속해서 수신되는 한, 프로세서는 상태(90)에 머무른다. 라인(96)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 포트로부터 입력될 대기중인 데이터가 더 이상 없을 때, 프로세서(62)는 여분의 데이터를 대기하는 상태(84)로 다시 전이한다. 프로세서(62)는 도 5A 및 도5B의 상태도에서 동시에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린터 포트(44')는 양방향이지만, 한번에 한 방향으로만 동작하고, 프로세서(62)는 프린터 포트가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쉽게 감지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A 및 도 5B와 유사한 예시적인 상태도이지만,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EFT/프리컨트 쇼핑객 포트(48')일 수 있는 웨지 포트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웨지 포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때 프로세서(62)에 의해 가정된 상태들을 도시한 것이다. 다른 송신 버퍼(100)는 웨지로 송신될 데이터를 홀드하고, 상태(102)는 프로세서(62)가 버퍼(100)에 배치될 데이터를 대기하고 있을 때를 가정한다. 라인(104)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태는 버퍼가 비어 있는 한 계속 유지된다. 라인(106)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버퍼가 비어 있지 않을 때, 데이터의 바이트가 한번에 웨지 출력 포트(48')로 송신되는 상태(108)로 전이된다. 라인(11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송신 버퍼(100)에 데이터가 있는 한, 프로세서(62)는 상기 상태에 머무른다. 라인(112)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버퍼(100)가 비었을 때, 여분의 데이터를 대기하는 상태(102)로 다시 전이된다.
도 6B의 예시적인 상태도에 웨지 포트(48')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이 도시되어 있다. 프로세서(62)는 상태(114)에서 데이터 입력을 대기하고, 라인(116)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웨지 포트(48')로부터 제공된 데이터가 없는 동안 상기 상태에 머무른다. 라인(118)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웨지 포트(48')로부터 수신될 때, 데이터의 바이트가 입력 버퍼(122)에 전송되는 상태(120)로 전이된다. 라인(124)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웨지 포트(48')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한 상기 상태에서 입력 데이터 바이트들은 계속해서 입력 버퍼(122)에 전송된다. 라인(126)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웨지 포트(48')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가 없을 때, 여분의 입력 데이터를 대기하는 상태(114)로 다시 전이된다.
도 7A 및 도 7B는 LAN 포트(50' 또는 51')와 관련된 입출력 동작들을 도시한 예시적인 상태도들이다. 다른 송신 버퍼(130)는 LAN(36)을 통해 보충 프로세서(16)에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태(132)는 버퍼(130)에 배치될 데이터를 프로세서(62)가 대기하는 상태를 가정한다. 라인(134)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태는 버퍼가 비어 있는 한 계속 유지된다. 라인(136)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버퍼가 비어 있지 않을 때, 데이터의 바이트가 LAN 포트(50' 또는 51')로 한번에 송신되는 상태(138)로 전이된다. 라인(14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송신 버퍼(130)에 데이터가 있는 한, 프로세서(62)는 상기 상태에 머무른다. 라인(142)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버퍼(130)가 비어 있을 때, 여분의 데이터를 대기하는 상태(132)로 다시 전이된다.
LAN 포트(50' 또는 51')로부터의 데이터의 수신이 도 7B의 예시적인 상태도에 도시되어 있다. 프로세서(62)는 상태(144)에서 데이터가 입력되기를 대기하고, 라인(146)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LAN 포트(50' 또는 51')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가 없는 동안 상기 상태에 머무른다. 라인(148)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LAN 포트(50' 또는 51')로부터 수신될 때, 데이터의 바이트가 입력 버퍼(152)에 전송되는 상태(150)로 전이된다. 라인(154)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LAN 포트(50' 또는 51')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한 상기 상태에서 입력 데이터 바이트들이 입력 버퍼(152)에 계속해서 전송된다. 라인(156)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LAN 포트(50' 또는 51')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가 없을 때, 더 이상의 입력 데이터를 대기하는 상태(144)로 다시 전이된다.
또한, 컴퓨터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트들(40', 42', 46', 58')과 관련된 입출력 동작들을 도시하는 유사한 예시적인 상태도들(도시되지 않음)이 본 발명의 설명을 근거로 유도될 수 있다.
관련 기술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및 프로세스는 본 명세서(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의 설명에 따라 프로그램된 종래의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62) 및 보충 프로세서(16))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관련 기술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설명을 근거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적합한 소프트웨어 코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관련 기술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쉽게 파악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애플리케이션-특정(application-specific) 집적 회로를 제공함으로써 또는 종래의 구성 회로들의 적합한 네트워크를 상호 접속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기억 매체에 대한 호스트일 수 있는 컴퓨터 베이스 제품(computer-based product)을 포함하고, 본 발명에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프로그래밍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억 매체는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CD-ROM, 광자기 디스크, ROM, RAM,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자기 카드 또는 광 카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디스크, 또는 전자 명령들을 기억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타입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슬롯 스캐너 디바이스 포트(40'), 스캐너 디바이스 포트(42'), 프린터 디바이스 포트(44'), 보조 디바이스 포트(46'), EFT/프리컨트 쇼핑객 디바이스 포트(48'), 네트워크 디바이스 포트들(50', 51'), 및 포스 터미널 디바이스 포트(58')와 같은 다수의 입출력 포트들, 및 스마트 카드, 망막 스캔, 지문 분석, 음성 분석, 이미지 분석, TCP/IP(즉, 인터넷) 등과 같은 다수의 다른 타입의 포트 및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포트 집중 장치(30) 면에서 설명되었지만, 관련 기술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트 집중 장치(30)에 적합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포함시킴으로써 포트 및 인터페이스들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포스 컴퓨터 시스템 분야에서 상당히 진보적인 것을 상술된 바로부터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스토어내의 다수의 캐시 레지스터에 위치한 다수의 주변 장치들이 스토어 곳곳에 다수의 상호 접속 와이어 세트들을 깔 필요 없이 중앙 프로세서 또는 보충 프로세서에 쉽게 접속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을 위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원리 및 범위 내에서 다수의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수의 변형들 및 변화들이 상술된 설명의 견지에서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상세한 설명과 다른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34)

  1. 포스(point-of-sale)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의 캐시 레지스터와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시 레지스터에 접속된 스토어 통신 버스;
    (c) 상기 스토어 통신 버스에 접속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시 레지스터로의 데이터를 제어하고 제공하기 위한 스토어 제어 장치;
    (d) 상기 스토어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된 태스크들을 보충하는 태스크들을 실행하기 위한 보충 프로세서(supplemental processor);
    (e)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과 관련되고, 다수의 입출력 포트들 중 하나의 입출력 포트가 상기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 결합된 다수의 입출력 포트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 및
    (f) 상기 보충 프로세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에 결합된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을 포함하고,
    (g) 상기 보충 프로세서가 상기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의 각각의 포트 집중 장치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가
    (a) 상기 다수의 입출력 포트들 중 임의의 한 입출력 포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입출력 포트들 중 다른 입출력 포트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기억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 및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에서 상기 다수의 입출력 포트들로의 데이터 흐름 및 상기 다수의 입출력 포트들로부터의 데이터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a) 상기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이 근거리 통신망이고;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가 상기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과 통신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망 제어 장치 및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가 제품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스캐닝 디바이스, 고객이 제시한 데이터-베어링 기록(data-bearing record)으로부터 고객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웨지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보조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보조 장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의 각각의 포트 집중 장치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쿠폰 프린터를 더 포함하고;
    (b) 상기 보충 프로세서가 상기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의 상기 각각의 포트 집중 장치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쿠폰 프린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쿠폰 프린터의 각각의 쿠폰 프린터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의 각각의 포트 집중 장치를 통해 상기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근거로 쿠폰들이 인쇄되어야만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이 다수의 체크아웃 스테이션들을 포함하고;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가 다수의 포트 집중 장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캐시 레지스터, 쿠폰 프린터, 및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포스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되기 위한 포트 집중 장치에 있어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 결합되기 위한 제1 포트; 및
    (b)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을 통해 보충 프로세서에 결합되기 위한 제2 포트를 포함하고,
    (c) 상기 보충 프로세서가 상기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과 상기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과 관련된 각각의 포트 집중 장치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집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a)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 중 임의의 한 포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및 제2 포트들 중 다른 포트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기억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 및
    (b) 상기 포트 집중 장치에서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 각각으로의 데이터 흐름 및 각각으로부터의 데이터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집중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a) 상기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이 근거리 통신망이고;
    (b) 상기 포트 집중 장치가 상기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과 통신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망 제어 장치 및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집중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가 제품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스캐닝 디바이스, 고객이 제시한 데이터-베어링 기록으로부터 고객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웨지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보조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보조 장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집중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a) 상기 쿠폰 프린터에 결합되기 위한 제3 포트를 더 포함하는데;
    (b) 상기 보충 프로세서가 상기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과 상기 각각의 포스체크아웃 스테이션과 관련된 각각의 포트 집중 장치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에서 상기 쿠폰 프린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집중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에서 상기 쿠폰 프린터를 제어하고, 상기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과 관련된 상기 각각의 포트 집중 장치를 통해 상기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근거로 쿠폰들이 인쇄되어야만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집중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a) 상기 제1 포트 내지 제3 포트 중 임의의 한 포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1 포트 내지 제3 포트 중 다른 포트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기억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 및
    (b) 상기 포트 집중 장치에서 상기 제1 포트 내지 제3 포트 각각으로의 데이터 흐름 및 각각으로부터의 데이터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집중 장치.
  15. 포스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의 캐시 레지스터와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시 레지스터에 스토어 통신 버스를 접속하는 단계;
    (c) 상기 스토어 통신 버스에 접속된 스토어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시 레지스터로의 데이터를 제어하고 제공하는 단계;
    (d) 보충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스토어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된 태스크들을 보충하는 태스크들을 실행하는 단계;
    (e)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과 관련되고, 다수의 입출력 포트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다수의 입출력 포트들 중 하나의 입출력 포트를 상기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 결합시키는 단계;
    (f) 상기 보충 프로세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에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을 결합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의 각각의 포트 집중 장치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와 상기 보충 프로세서 간의 통신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가
    (a) 상기 다수의 입출력 포트들 중 임의의 한 입출력 포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입출력 포트들 중 다른 입출력 포트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기억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에서 상기 다수의 입출력 포트들로의 데이터 흐름 및 상기 다수의 입출력 포트들로부터의 데이터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이 근거리 통신망이고, 상기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과 통신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망 제어 장치 및 트랜시버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가 제품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스캐닝 디바이스, 고객이 제시한 데이터-베어링 기록으로부터 고객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웨지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보조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보조 장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19. 제15항에 있어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의 각각의 포트 집중 장치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쿠폰 프린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에 포함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의 상기 각각의 포트 집중 장치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쿠폰 프린터와 상기 보충 프로세서 간의 통신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20. 제19항에 있어서,
    (a) 상기 보충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쿠폰 프린터의 각각의 쿠폰 프린터를 제어하는 단계; 및
    (b) 상기 보충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의 각각의 포트 집중 장치를 통해 상기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근거로 쿠폰들이 인쇄되어야만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21. 제15항에 있어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으로서 다수의 체크아웃 스테이션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로서 다수의 포트 집중 장치들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22. 제16항에 있어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으로서 다수의 체크아웃 스테이션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로서 다수의 포트 집중 장치들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23. 제17항에 있어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으로서 다수의 체크아웃 스테이션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로서 다수의 포트 집중 장치들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24. 제18항에 있어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으로서 다수의 체크아웃 스테이션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로서 다수의 포트 집중 장치들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25. 제19항에 있어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으로서 다수의 체크아웃 스테이션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로서 다수의 포트 집중 장치들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26. 제20항에 있어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으로서 다수의 체크아웃 스테이션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트 집중 장치로서 다수의 포트 집중 장치들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27. 캐시 레지스터, 쿠폰 프린터 및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포스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되기 위해 포트 집중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있어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에 결합되기 위한 제1 포트를 상기 포트 집중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b)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을 통해 보충 프로세서에 결합되기 위한 제2 포트를 상기 포트 집중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과 상기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과 관련된 각각의 포트 집중 장치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에서 상기 보충 프로세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 간의 통신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28. 제27항에 있어서,
    (a)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 중 임의의 한 포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및 제2 포트들 중 다른 포트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기억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를 상기 포트 집중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1 포트 및 제2 포트 각각으로의 데이터 흐름 및 각각으로부터의 데이터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상기 포트 집중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이 근거리 통신망이고, 상기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과 통신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망 제어 장치 및 트랜시버를 상기 포트 집중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가 제품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스캐닝 디바이스, 고객이 제시한 데이터-베어링 기록으로부터 고객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웨지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보조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보조 장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31. 제27항에 있어서,
    (a) 상기 쿠폰 프린터에 결합되기 위한 제3 포트를 상기 포트 집중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포트 집중 장치 통신망과 상기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과 관련된 각각의 포트 집중 장치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에서 상기 보충 프로세서와 상기 쿠폰 프린터 간의 통신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32. 제31항에 있어서,
    (a) 상기 보충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의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에서 상기 쿠폰 프린터를 제어하는 단계; 및
    (b) 상기 보충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과 관련된 상기 각각의 포트 집중 장치를 통해 상기 각각의 포스 체크아웃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근거로 쿠폰들이 인쇄되어야만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33. 제31항에 있어서,
    (a) 상기 제1 포트 내지 제3 포트 중 임의의 한 포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제1 포트 내지 제3 포트 중 다른 포트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기억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를 상기 포트 집중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1 포트 내지 제3 포트 각각으로의 데이터 흐름 및 각각으로부터의 데이터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상기 포트 집중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34. 제15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술된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들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007013537A 1999-01-06 1999-02-03 소매 점포 환경에서의 주변 장치들 간의 통신 통합을 위한프로세스,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200100713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544999A 1999-01-06 1999-01-06
US09/225,449 1999-01-06
PCT/US1999/001857 WO2000041145A1 (en) 1999-01-06 1999-02-03 Process,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nsolidation of communication among peripheral devices in a retail store environ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356A true KR20010071356A (ko) 2001-07-28

Family

ID=22844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537A KR20010071356A (ko) 1999-01-06 1999-02-03 소매 점포 환경에서의 주변 장치들 간의 통신 통합을 위한프로세스,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1093643B1 (ko)
JP (1) JP2002543479A (ko)
KR (1) KR20010071356A (ko)
AT (1) ATE241185T1 (ko)
AU (1) AU2479999A (ko)
BE (1) BE1012398A3 (ko)
BR (1) BR9910946A (ko)
CA (1) CA2332329A1 (ko)
DE (1) DE69908130T2 (ko)
ES (2) ES2196766T3 (ko)
IL (1) IL139765A0 (ko)
IT (1) ITMI990296A1 (ko)
NO (1) NO20010841D0 (ko)
PT (1) PT102255B (ko)
TR (1) TR200003628T2 (ko)
WO (1) WO2000041145A1 (ko)
ZA (1) ZA9922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34452A2 (en) 2000-08-22 2003-08-13 Ernex Marketing Technologies, Inc. Marketing systems and methods
US7133939B1 (en) * 2000-11-20 2006-11-07 Symbol Technologies, Inc. Distributed-service architecture at the point of sale or service
EP1580704A3 (en) * 2004-03-25 2005-11-23 Seiko Epson Corporation I/O control apparatus, POS system and printing apparatus including the I/O control apparatus, and a data relay processing method for the I/O control apparatus
EP1769342B1 (en) 2004-05-25 2019-05-01 Muxi Tecnologia Em Pagamentos S.A. System for accessing a pos terminal, method for downloading and updating applications and method for performing electronic operation using such a system
EP2350959A4 (en) * 2008-11-22 2013-08-21 Catalina Marketing Corp SMALL STORAGE SYSTEM
JP5925138B2 (ja) * 2013-01-16 2016-05-2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357496B2 (ja) * 2019-09-20 2023-10-0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チェックアウトシステム、可搬型pos端末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3851A (en) 1984-07-18 1992-12-22 Catalina Marketing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discount coupons in response to the purchase of one or more products
US4910672A (en) 1984-07-18 1990-03-20 Catalina Market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discount coupons
US4723212A (en) 1984-07-18 1988-02-02 Catalina Marketing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discount coupons
US5256863A (en) * 1991-11-05 1993-10-26 Comark Technologies, Inc. In-store universal control system
US5845259A (en) * 1996-06-27 1998-12-01 Electronic Consumer Concepts, L.L.C. Electronic coupon dispensing system
US5884278A (en) * 1997-02-11 1999-03-16 Powell; Ken R. Retail store and method employing multiple network interfaces at each cash register, and receiving signals from portable cards at each cash register
CA2289950A1 (en) * 1997-05-16 1998-11-19 Logic Controls, Inc. Point-of-sale system and distributed computer network for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992254B (en) 1999-11-08
BE1012398A3 (fr) 2000-10-03
ATE241185T1 (de) 2003-06-15
ITMI990296A1 (it) 2000-08-15
NO20010841L (no) 2001-02-19
AU2479999A (en) 2000-07-24
ES2152882B1 (es) 2001-06-16
PT102255A (pt) 2000-07-31
BR9910946A (pt) 2001-03-06
ES2152882A1 (es) 2001-02-01
TR200003628T2 (tr) 2001-11-21
IL139765A0 (en) 2002-02-10
CA2332329A1 (en) 2000-07-13
JP2002543479A (ja) 2002-12-17
NO20010841D0 (no) 2001-02-19
EP1093643A1 (en) 2001-04-25
PT102255B (pt) 2004-10-29
ES2196766T3 (es) 2003-12-16
DE69908130D1 (de) 2003-06-26
DE69908130T2 (de) 2003-12-04
WO2000041145A1 (en) 2000-07-13
EP1093643B1 (en) 200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2516B1 (en) Process,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in-store printing of discount coupons and/or other purchasing incentives in various departments within a retail store
US5256863A (en) In-store universal control system
US5987426A (en) Point-of-sale system including isolation layer between client and server software
US20020046082A1 (en) Process,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in-store printing of rainchecks for discount coupons and/or other purchasing incentives in a retail store
KR20010071356A (ko) 소매 점포 환경에서의 주변 장치들 간의 통신 통합을 위한프로세스,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EP0886230A2 (e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price differences between price look-up files
KR100707115B1 (ko) 프로그램 내장형 통신 분배 장치 및 그 방법
JP2571876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H09326084A (ja) 商品販売登録データ処理装置
JPH0935146A (ja) 商品販売登録データ処理装置
JPH0230074B2 (ko)
JPS62191999A (ja) 電子式キヤツシユレジスタ
JP2584549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2510184B2 (ja) カ−ドによる信用取引システム
CN115660668A (zh) 收银系统、方法、设备及介质
KR19980027693A (ko) 포스 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조회방법
JPS62254295A (ja) 2人制電子式キヤツシユレジスタ
JPH11110448A (ja) 商品販売登録データ処理システム、クレジット信用照会装置及び記録媒体
JPH06164673A (ja) 通信制御装置
JPH05274491A (ja) 媒体処理装置
JPH04111095A (ja) 電子式キャシュレジスタ制御方式
JPH1125173A (ja) Icカードとクレジット処理装置
ITMI991913A1 (it) Procedimento sistema e supporto leggibile da elaboratore per la stampa in un negozio di buoni per acquisti differiti per cupon di sconto e/
JPH0582625B2 (ko)
JPS63293699A (ja) Pos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