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0843A - 목재대용 폐플라스틱 구조재 - Google Patents

목재대용 폐플라스틱 구조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0843A
KR20010070843A KR1020010033072A KR20010033072A KR20010070843A KR 20010070843 A KR20010070843 A KR 20010070843A KR 1020010033072 A KR1020010033072 A KR 1020010033072A KR 20010033072 A KR20010033072 A KR 20010033072A KR 20010070843 A KR20010070843 A KR 20010070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aste plastic
wood
plastics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정숙
Original Assignee
천정숙
그린자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정숙, 그린자원(주) filed Critical 천정숙
Priority to KR102001003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0843A/ko
Publication of KR20010070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84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03Producing profiled members, e.g.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요되는 수준의 물성과 강도를 가지므로 품질이 우수하고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목재대용 폐플라스틱구조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플라스틱을 파쇄하여 얻어진 폐플라스틱칩과, 폐지, 폐원단, 톱밥 등과 같이 상기 폐플라스틱에 비해 연질인 재료들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물을 상기 폐플라스틱칩이 용융되도록 가열한 후, 소정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대용 폐플라스틱 구조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목재대용 폐플라스틱 구조재{useless plastic construction member}
본 발명은 목재대용 폐플라스틱구조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요되는 수준의 물성과 강도를 가지므로 품질이 우수하고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목재대용 폐플라스틱 구조재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폐플라스틱의 양도 많아지고 있으나, 폐플라스틱은 재활용도가 상당히 낮으며, 대부분 소각처리하는 실정이다. 그런데, 폐플라스틱을 소각처리할 때에는 고에너지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소각시 유독물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목재는 가구용이나 건축용 자재 등으로 그 사용범위가 상당히 넓은 소재이나, 이러한 목재는 고가이며, 그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산림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해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목재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들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목재대용 제품은 목재에 비해 강도가 높으며, 습기에 강하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목재대용품들은 단순히 다양한 종류의 폐플라스틱을 함께 용융시켜 성형하여 목재 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도록 제조된다. 따라서 타카못이나 일반못 등이 잘 박히지 않으며 오히려 제품들이 파손되며, 톱질 등이제대로 되지 않아 사용시 필요한 사이즈로 절단하여 사용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조립, 공작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요되는 수준의 물성과 강도를 가지므로 목재대용으로 사용하여도 전혀 손색이 없는 등 품질이 우수하며,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목재대용 폐플라스틱 구조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패널부재 20. 기둥부재
본 발명에 따르면, 폐플라스틱을 파쇄하여 얻어진 폐플라스틱칩과, 폐지, 폐원단, 톱밥 등과 같이 상기 폐플라스틱에 비해 연질인 재료들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물을 상기 폐플라스틱칩이 용융되도록 가열한 후, 소정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대용 폐플라스틱 구조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며, 상기 폐플라스틱칩과 연질재료들은 대략 6:4~7:3 정도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대용 폐플라스틱 구조재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폐플라스틱칩과 연질재료들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물을 패널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혼합물을 기둥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시 혼합물은 폐플라스틱과 연질재료들을 대략 6:4~7:3 정도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먼저, 다양한 종류의 폐플라스틱류를 재료별로 선별하지 않고 칩형태로 파쇄한다. 이때 폐플라스틱을 세척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흙, 먼지, 모래와 같이 폐플라스틱에 부착된 이물질들이 미량 포함되더라도 성형품의 강도나 물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별도의 세척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그리고 상기 폐지나 폐원단, 톱밥 등과 같은 연질소재를 혼합기에 넣고 상기 폐플라스틱칩과 혼합하는데, 이때 폐지나 폐원단도 파쇄하여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톱밥과 더불어 폐목을 파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폐지는 별도의 전처리 과정없이 단순히 절단하여 혼합하기 때문에 폐지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질소재들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성형과정에서 구조재의 내부에 혼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연질재료에 의해 못질이나 톱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연질재료로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지는 폐지와 폐원단, 톱밥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소요되는 수준의 강도가 유지면서도 못질이나 톱질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연질재료로 톱밥이나 폐지와 같은 한종류의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못질 등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톱밥 또는 폐지의 양을 비교적 많이 사용면, 이 경우에는 구조재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저하되는 등 재료의 혼합정도에 따라 제조되는 구조재에서 요구되는 물성에 상반되는 물성이 나타나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지는 연질재료를 혼합사용하기 때문에 요구되는 물성을 고르게 가지는 구조재가 제공된다.
이때 폐플라스틱칩과 연질재료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략 6:4~7:3 정도의 중량비로 혼합하는데, 사용되는 폐플라스틱 중에 불포화폴리에스테르, 페놀수지, AS수지, ABS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고강도수지가 비교적 많이 혼합된 경우에는 폐플라스틱칩과 연질재료의 혼합비를 대략 6:4 정도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그리고 사용되는 폐플라스틱 중에 폴리프로필렌, 염화비닐수지와 같이 비교적 강도가 낮은 수지가 비교적 적게 혼합된 경우에는 상기 고강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폐플라스틱의 혼합비를 낯추고 연질재료의 혼합비를 높여 대략 7:3정도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이와 같이 폐플라스틱칩과 연질재료들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물을 가열로에서 가열시켜 폐플라스틱칩을 용융시킨다. 이때에는 대략 140~190℃ 정도로 가열하는데, 상기 폐플라스틱칩이 다양한 온도범위의 플라스틱이 혼합된 것이므로 이러한 가열과정에서는 융점이 상기 가열온도 범위에 있는 플라스틱류는 용융될 것이고 융점이 상기 가열온도보다 높은 플라스틱류는 용융되지 않고 톱밥이나 파지 등과 같은 연질재료와 함께 파이버상태로 혼재된다. 이어서 혼합물을 그 용도에 따른 형상으로 성형하는데, 도 1은 패널부재(10)로 성형된 것이며, 도 2는 기둥부재(20)로 성형된 것인데, 이때에는 압출성형과 같은 적절한 성형방법이 채택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성형물의 표면에 장식시트를 부착하거나 또는 도장하여마감처리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의한 구조재는 폐플라스틱에 연질재료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목재에 비해 우수한 강도를 가지면서도, 상기 연질재료들에 의해 타카못이나 일반못이 자재가 파손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박히며, 톱질이 용이하여 소비자가 필요한 사이즈로 임의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구조재는 토류목이나 철도용 침목, 기초시공용 파일, 벤치, 거푸집판넬, 파렛트, 방음벽, 하수도 맨홀, 펜스, 기타 목재대용 건자재 등 각종분야에 목재를 대용하여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폐플라스틱에 여러 종류의 연질재료가 혼합되어 제조되기 때문에 우수한 강도를 가지면서도, 못질이나 톱질 등이 용이하여 목재에 비해 기타 물성도 뒤지지 않으므로 목재대용으로 사용하여도 전혀 손색이 없는 구조재가 제공된다.

Claims (2)

  1. 폐플라스틱을 파쇄하여 얻어진 폐플라스틱칩과, 폐지, 폐원단, 톱밥 등과 같이 상기 폐플라스틱에 비해 연질인 재료들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물을 상기 폐플라스틱칩이 용융되도록 가열한 후, 소정형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대용 폐플라스틱 구조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플라스틱칩과 연질재료들은 대략 6:4~7:3 정도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대용 폐플라스틱 구조재
KR1020010033072A 2001-06-13 2001-06-13 목재대용 폐플라스틱 구조재 KR20010070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072A KR20010070843A (ko) 2001-06-13 2001-06-13 목재대용 폐플라스틱 구조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072A KR20010070843A (ko) 2001-06-13 2001-06-13 목재대용 폐플라스틱 구조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843A true KR20010070843A (ko) 2001-07-27

Family

ID=1971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072A KR20010070843A (ko) 2001-06-13 2001-06-13 목재대용 폐플라스틱 구조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084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678A (ko) * 1993-11-11 1995-06-15 이상일 폐 섬유와 폐 플라스틱을 이용한 인조목재의 제조방법
KR960017089A (ko) * 1994-11-24 1996-06-17 박세희 플라스틱 목재의 재법 및 그 장치
KR970025890A (ko) * 1995-11-15 1997-06-24 강광욱 폐자재를 이용한 내 · 외장합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17104A (ko) * 1999-08-07 2001-03-05 김성모 합성수지 합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678A (ko) * 1993-11-11 1995-06-15 이상일 폐 섬유와 폐 플라스틱을 이용한 인조목재의 제조방법
KR960017089A (ko) * 1994-11-24 1996-06-17 박세희 플라스틱 목재의 재법 및 그 장치
KR970025890A (ko) * 1995-11-15 1997-06-24 강광욱 폐자재를 이용한 내 · 외장합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17104A (ko) * 1999-08-07 2001-03-05 김성모 합성수지 합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2116A (en) Simulated shake shingle
US5480602A (en) Extruded particle board
CN101279462B (zh) 复合再生环保板材及其制备方法
CN1298342A (zh) 发泡聚合物一纤维复合材料
US20090308009A1 (en) Composite Material Roofing Structure
US20220243037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solid waste material
US11034837B2 (en) Products by upcycling landfill waste streams
US20160340909A1 (en) Wall panel systems and methods of assembling and refinishing wall panel systems
WO1999042265A1 (fr) Article moule fabrique avec des vieux papiers et des vieux plastiques en tant que materiaux principaux, et procede de production de ce dernier
CN1191874A (zh) 纤维树脂复合构件组合物及其制造方法
US5635551A (en) Compositions for use in molding products from unusable tires
KR100437272B1 (ko)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합성수지 판재 및 이를이용한 거푸집 패널
KR20010070843A (ko) 목재대용 폐플라스틱 구조재
KR100521426B1 (ko) 폐섬유와 폐플라스틱 복합재료를 이용한 플라스틱 강화콘크리트용 강화 플라스틱 섬유의 제조방법
CN101724283A (zh) 废塑木特材技术
WO2005082612A3 (fr) Poteaux en materiau composite a base de bois, procede de fabrication et applications
WO2001053417A3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ituminösen mischgutes, pressling zur verfahrensgemässen verwendung und bituminöses mischgut für strassenbeläge
Stanaszek-Tomal Wood-polymer composites as an alternative to the natural environment
JPH08156127A (ja) 建築用複合パイプ部材
CN1128198A (zh) 由废纸及废塑料制成的热压板材
English Wastes into wood: composites are a promising new resource.
US20040238992A1 (en) Processing of waste materials
JPH07205149A (ja) 再生合成樹脂ペレットとそのペレットを用いて形成した再生合成樹脂製品
AU2013219194A1 (en) A rigid composite material
KR200255780Y1 (ko) 수분 흡수없는 다목적 형상의 합성수지판 및 구조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