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0031A - 헤어세터 - Google Patents

헤어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0031A
KR20010070031A KR1020000049141A KR20000049141A KR20010070031A KR 20010070031 A KR20010070031 A KR 20010070031A KR 1020000049141 A KR1020000049141 A KR 1020000049141A KR 20000049141 A KR20000049141 A KR 20000049141A KR 20010070031 A KR20010070031 A KR 20010070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
short
hair
bristles
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9171B1 (ko
Inventor
구모데다카히로
오카다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케
Publication of KR20010070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36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 A45D2/367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45D2/14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single-piece type, e.g. stiff rods or tubes with or without cord, band, or the like as hair-fastening means
    • A45D2/145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single-piece type, e.g. stiff rods or tubes with or without cord, band, or the like as hair-fastening means with radial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2/003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Brush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모발에 머리털 끝까지 적당한 텐션을 가해 용이하게 컬(curl)을 넣는 등 정발(整髮)을 할 수 있는 헤어세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브러시체(3)에 형성된 브리슬(bristle)대(4)의 원호형 표면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된 단(短)브리슬(2)의 선단이 브리슬대(4)의 원호형 표면 정상에서의 접선(5)보다 돌출되어 있다.

Description

헤어세터{HAIR SETTER}
본 발명은 모발에 컬(curl)을 넣는 등의 정발(整髮)을 하는 헤어세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모발(13)에 컬을 넣는 등의 정발을 하는 헤어컬기나 헤어브러시 등의 헤어세터로서는,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이 헤어세터는 그립체(11')와 이 그립체(11')의 일단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브러시체(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립체(11')에는 브러시체(3')가 장착되는 일단과는 반대측의 타단에 공기흡입구(14')를 가지고 있으며, 그립체(11')의 하우징에 형성된 조작스위치(15')를 조작함으로써, 그립체(11')의 내부에 수납된 송풍장치 및 히터가 구동되어 공기흡입구(14')에서 흡입된 공기가 가열되어 온풍이 발생하고, 이 온풍이 브러시체(3')에 보내지는 것이다.
브러시체(3')는 단면이 중공(中空)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브러시체 (3')의 외면에는 브리슬(bristle)대(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리슬대(4')에는 장(長)브리슬(1')을 복수개 일렬형으로 배열하여 구성되는 장브리슬열(7')을 돌출시키도록 복수 배열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브리슬대(4') 표면에는 브러시체(3')의 중공부에 연결되는 분출공 (1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그립체(11')에서 보내진 온풍이 상기 분출공(12')으로부터 토출된다.
이 헤어세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브리슬열(1')을 모발(13') 사이에 집어 넣어 모발(13')을 원하는 형상으로 유지하고, 이 상태로 송풍장치 및 히터를 구동시켜서 브리슬대(4') 표면에 형성된 분출공(12')으로부터 온풍을 토출함으로써 모발(13')을 정발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헤어세터에서는, 장브리슬(1')을 모발(13')사이에 집어 넣어 모발(13')을 원하는 컬형상으로 유지하려고 해도, 머리털 끝이 장브리슬(1')사이에서 빠져 나오고 마는 것으로, 머리털 끝에는 장브리슬(1')에서 약간의 텐션밖에 줄 수 없어, 그러므로 모발(13)을 원하는 형상으로 정발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모발에 머리털 끝까지 적당한 텐션을 가할 수 있어, 용이하게 컬을 넣는 등 정발(整髮)을 할 수 있는 헤어세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어세터의 실시형태의 일 예의 요부를 나타내고, 도 2의 A-A 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헤어세터의 실시형태의 일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브리슬블록을 나타낸 평면도.
도 4a 는 도 3의 부분확대도.
도 4b 는 도 4a 의 B-B 단면도.
도 5a 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브리슬블록에 있어서의 개념도.
도 5b 는 도 5a 의 측면도.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브리슬 장착부분의 확대도.
도 7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브리슬의 일부 확대도.
도 8a 및 도 8b 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
도 10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 설명도.
도 11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브리슬부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2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b 는 측면도.
도 12c 는 평면도.
도 13a 는 도 12a 의 확대 평면도.
도 13b 는 도 12의 일부 확대정면도.
도 14a 는 종래기술을 나타낸 정면도.
도 14b 는 도 14a 에 있어서의 브러시체의 측면도.
도 15는 종래기술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척브리슬 2 : 단브리슬
3 : 브러시체 4 : 브리슬대
5, 6 : 접선 7 : 장브리슬열
8 : 단브리슬열 9 : 단브리슬연결기대
11 : 그립체 12 : 토출구멍
L1, L2: 토출량 θ : 각도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헤어세터는, 복수의 장브리슬(1)과 장브리슬(1)보다 길이가 짧은 복수의 단(短)브리슬(2)을 가지는 브러시체(3)를 구비한 헤어세터로서, 브러시체(3)에는 외면에 돌출하는 단면이 원호형 브리슬대(4)가 형성되어, 브리슬대(4)의 원호형 표면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된 단브리슬(2)의 선단이 브리슬대(4)의 원호형 표면 정상(10)에서의 접선(5)보다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로써, 브러시 밖으로 빠져 나오려고 하는 머리털 끝을 단브리슬(2)에 의해 확실하게 잡을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헤어세터는, 청구항 1의 구성에 더하여, 단브리슬(2)이 형성된 위치에서의 브리슬대(4)의 원호형 표면에 대한 접선(6)과 브리슬대(4)의 원호형 표면의 정상(10)에서의 접선(5)과의 사이에 교차하는 각도(θ)가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로써, 확실하게 단브리슬(2)의 선단을 브리슬대(4)의 원호형 표면 정상 (10)에서의 접선(5)보다 돌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헤어세터는, 청구항 1의 구성에 더하여, 복수개의 장브리슬(1)이 배열한 장브리슬열(7)과 복수개의 단브리슬(2)이 배열한 단브리슬열(8)을 브리슬대(4)에 형성하여, 단브리슬열(8)의 단브리슬 (2)사이의 피치 (P2)를 상기의 장브리슬열(7)의 장브리슬(1)사이의 피치(P1)보다 작은 피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로써, 단브리슬(2)끼리의 사이의 좁은 간극(29)에 끼워 넣음으로써, 잡힌 모발(13)을 지지할 수 있어 모발(13)에 적당한 텐션을 가해 원하는 형상으로 유지함으로써 모발(13)을 원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정발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헤어세터는, 청구항 3의 구성에 더하여, 단브리슬(2)의 밑둥부에 설치한 단브리슬연결기대(9)를 브리슬대(4)의 표면보다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로써, 단브리슬(2)의 선단을 소정의 높이까지 이르게 하기 위해 단브리슬 (2)자체의 길이를 연장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단브리슬(2)길이의 연장에 따른 내구성의 저하 등을 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한 헤어세터는, 청구항 3의 구성에 더하여, 단브리슬열(2)을 브리슬대(4)의 원호형 표면 정상(10)을 경계로 하여 브리슬대 (4)의 단면이 원호상에 있어서 대칭 위치가 되도록 브리슬대(4)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로써, 정발을 할 때에 모발(13)의 도입방향에 관계없이 모발(13)을 확실하게 잡아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관한 헤어세터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의 구성에 더하여, 브러시체(3)와 그립체(11)를 구비하고, 그립체(11)에 송풍수단을 형성하여 중공 단면을 갖게 한 브러시체(3)와 연결시켜서 브러시체(3)의 외면에 형성한 브리슬대(4)에 브러시체(3)의 중공부(16)와 연결되는 분출공(12)을 형성하여 그립체(11)에서 송풍된 바람을 상기 분출공(12)으로부터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로써, 모발(13)을 향하여 온풍 등을 내뿜을 수 있으며, 적당한 텐션을 가해 원하는 형상으로 고정하여 더욱 효과적인 정발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발명의 최선의 형태)
다음,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헤어세터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의 일단측이 브러시체 (3), 타단측이 그립체(1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립체(11)의 길이방향의 일단에는 브러시체(3)가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브러시장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또, 그립체(11)의 타단을 구성하는 단부하우징(18)에는 그립체(11)의 내부에 연통하는 메시형의 공기흡입구(14)가 형성되고, 또 이 단부하우징(18)에는 전원코드(19)가 접속되어 있다.
또, 그립체(11)의 측면에는 그립체(11)의 내부에 수용된 송풍장치 및 히터를 작동시키는 조작스위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조작스위치(20)를 조작하면, 그립체(11)내의 송풍장치는 공기흡입구 (14)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이 공기를 브러시체(3)까지 보내는 것이며, 이 때 공기는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온풍으로서 보내지는 것이다.
브러시체(3)의 외장은 브리슬대(4)와 브러시 외곽부(21)로 구성된다.
브러시 외곽부(21)의 내면측에는 브리슬대 지지프레임(22)의 좌우 양단이 지지되어 장착되어 있다.
브리슬대(4)는 그 좌우 양단에 형성된 브리슬대 훅(23)이 브리슬대(4)의 좌우 양단의 브러시 외곽부(21)에 형성된 브리슬대 고정부(24)에 결합됨으로써 브러시 외곽부(21)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 때 브리슬대(4)는 내면에서 브리슬대 지지프레임(22)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이 브러시 외곽부(21)와 브리슬대(4)로 에워싼 중공부(16)는 그립체(11)에서 브러시체(3)에 보내진 공기가 유통되는 공기유로(25)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브리슬대(4)는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폴리에스테르에라스토머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약간의 탄성을 가지고 있다.
또, 브리슬대(4)에는 복수의 브리슬(1),(2) 및 분출공(12)이 형성되어 있다. 브리슬(1),(2)은 브리슬대(4)에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가 긴 장브리슬 (1)과 이 장브리슬(1)보다 길이가 짧은 단브리슬(2)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단브리슬(2)의 길이는 장브리슬(1) 길이의 절반 정도로 하고, 장브리슬(1)의 길이크기를 13mm 로 단브리슬(2)의 길이크기를 6mm 로 형성하는 것이다.
또, 이 장브리슬(1)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등의 합성수지로, 단브리슬(2)은 폴리에스테르에라스토머 등의 합성수지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모두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재료이지만, 단브리슬(2) 쪽이 연질의 재료로 되어 있다.
장브리슬(1)은 브리슬대(4)의 대략 전체면에 걸쳐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 장브리슬(1)은 헤어세터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렬형으로 등(等)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일 예로서는, 이 장브리슬(1)를 장브리슬(1)의 밑둥측의 단부에서 직경이 큰 장브리슬 연결부(30)를 통하여 일렬형으로 연접시켜 장브리슬열(7)로 하고 있다.
그리고, 장브리슬 연결부(30)는 브리슬대(4)의 안쪽으로 위치시켜서 브리슬대(4)의 내면측에서 외부로 돌출시키도록 장브리슬(1)은 브리슬대(4)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브리슬 연결부(30)가 브리슬대(4)에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빠짐 방지의 역할도 하는 것이다.
단브리슬 연결기대(9)는 도 4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단브리슬(2) 이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열하도록 되어 있으며, 단브리슬열(列)(8)의 열(列)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의 측면에서 본 도 4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단브리슬열(8)을 구성하는 단브리슬(2)이 이 단브리슬(2)과 인접하는 다른 단브리슬열(8)을 구성하는 단브리슬(2)의 사이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단브리슬열(8)에 있어서 인접하는 단브리슬(2)끼리의 간격이 단브리슬 연결기대(9) 전체에 걸쳐서 대략 동일한 간격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5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브리슬열(8)내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단브리슬(2)끼리의 피치를 P2, 단브리슬열(8)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의 측면에서 본 단브리슬(2)사이의 외관상의 피치를 P 라고 하면, P = 1 / 2 P2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브리슬(2)사이의 외관상의 간격 P 를 작게 함으로써 모발(13)과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단브리슬(2)의 밀집도를 크게 하여, 모발(13)에 단브리슬(2)로 다시 효과적으로 텐션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단브리슬 연결기대(9)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브리슬열(7)의 사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단브리슬 연결기대(9)에 인접하는 장브리슬열(7)의 브리슬대(4)의 내측에 위치하는 장브리슬 연결부(30)에 빠짐 방지판(26)을 걸어 고정시키고 브리슬대(4)에 관통시켜 장착되어 있다.
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단브리슬(2)이 일렬형으로 배열한 단브리슬열(8)을 헤어세터의 길이방향을 따라서(즉 장브리슬열(7)의 열방향을 따라서)3열 형성하여 단브리슬 블록(31)이 구성된다.
여기서는 단브리슬 블록(3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리슬대(4)의 양측 단부에 있어서 가장 측방으로 배치된 장브리슬열(7)과, 그 바로 안쪽에 배치된 장브리슬열(7)과의 사이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또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길이방향으로 일렬형으로 3블록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단브리슬 블록(31)을 형성함으로써 장브리슬(1)에서 잡힌 모발 (13)은 반드시 단브리슬(2)을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의 단브리슬 연결기대(9)를 브리슬대(4)의 표면보다 돌출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로써 단브리슬(2)의 선단을 소정의 높이까지 이르게 하기 위해 단브리슬(2) 자체의 길이를 연장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단브리슬(2)의 길이 연장에 따른 내구성의 저하 등을 피할 수 있다. 상기의 돌출량은 도 1에서 L2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단브리슬(2)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리슬대(4)에 형성한 단브리슬(2) 연결기대(9)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브리슬(2)의 선단은 브리슬대(4)의 원호형 표면의 정상(10)에서의 접선보다 돌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량은 도 1에서 L1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일 예로서는 1.8mm 의 돌출량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접선(5)과 단브리슬(2)이 형성된 위치에서의 브리슬대(4)의 원호형표면에 대한 접선(6)과의 사이의 교차하는 각도(θ)는 예각이도록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일 예로서는 상기 각도(θ)는 35°로 하고 있다.
상기 단브리슬(2)은 가늘고 긴 대략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는 철곡면(凸曲面)이 형성되어 있다.
또, 단브리슬(2)의 표면에는 단차(段差)(27)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브리슬 (2)의 단차(27)보다 밑둥측의 직경이 선단측의 직경보다 더욱 커지도옥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차(27)는 단브리슬(2)의 중간 정도의 전주(全周)에 걸쳐서 형성되고, 이 단차(27)보다 선단측을 상브리슬(2a), 단차(27)보다 하측을 하브리슬(2b)이라고 하면, 상브리슬(2a)의 하단과 하브리슬(2b)의 상단이 단차 (27)에 있어서 접합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하브리슬(2b)의 상단의 직경 (α)을 0.763mm, 상브리슬(2a)의 하단의 직경(β)을 0.713mm 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단브리슬(2)의 밑둥측의 직경과 선단측의 직경의 차이를 크게 형성하여, 직경이 큰 밑둥측에서 단브리슬(2)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직경이 작은 선단측에서 단브리슬(2)사이의 선단측의 간극(29)이 크게 되어 단브리슬(2)사이에 많은 모발(13)을 용이하게 집어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며, 단브리슬(2)에 의해 모발(13)에 더욱 효과적으로 텐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이 상브리슬(2a) 및 하브리슬(2b)은 모두 선단측으로 감에 따라서 직경이 연속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부(28)로서 형성되어 있다.
분출공(12)은 인접하는 장브리슬열(7)사이중 단브리슬(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 브리슬대(4)를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브리슬대(4)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관통하여 브러시체(3)의 공기유로(25)에 연통되어 있다.
이 분출공(12)은 장브리슬(1) 열방향을 따라서 긴 장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헤어세터를 사용하여, 모발(13)의 컬을 넣거나 세트 등의 정발을 하는데 있어서는, 장브리슬열(7) 및 단브리슬열(8)의 열방향이 모발(13)의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브러시체(3)를 배치하여, 모발(13)의 다발을 장브리슬(1) 및 단브리슬(2) 사이에 집어 넣음으로써 행해진다.
모발(13)의 다발은 먼저 장브리슬열(7)의 장브리슬(1) 사이에 잡혀지고, 다시 모발(13)을 잡혀진 장브리슬(1)에 근접한 한쪽의 단브리슬(2)까지 유도되어 도 8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브리슬(2)사이에 집어 넣어진다.
이 때, 단브리슬(2)의 선단측의 직경은 밑둥측의 직경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접하는 단브리슬(2)끼리의 사이의 간극(29)은 선단측이 더욱 커지게 되어 모발(13)을 단브리슬(2)끼리의 사이에 용이하게 집어 넣을 수 있는 것이며, 단브리슬(2)끼리의 사이에 집어 넣어진 모발(13)은 도 8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브리슬 (2)을 따라서 단브리슬(2)끼리 사이의 간극(29)이 좁은 밑둥측까지 유도되게 된다.
여기서, 단브리슬(2)에 형성된 테이퍼부(28)의 경사에 따라서 모발(13)이 원활하게 유도되는 것이다.
또, 단브리슬(2)은 밀접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브리슬(2)끼리 사이의 간극(29)은 밑둥측에서는 좁아지게 되어 있으며, 모발(13)은 밑둥측에 있어서 단브리슬(2)사이에 끼워 넣어져 모발(13)에 적당한 텐션을 가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모발(13)은 장브리슬(1)에서 잡혀져 단브리슬(2)에서 지지되지만, 이 상태로 브러시체(3)를 브리슬대(4)의 원호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다시 모발(13)의 머리털 끝을 잡을 수 있다.
브리슬대(4)에 형성되어 있는 한쪽의 단브리슬(2)을 통과한 모발(13)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리슬대(4)의 원호형 표면의 정상(10)에서의 접선(5)상의 궤도를 표시하게 되지만, 브리슬대(4)의 원호형 표면 정상(10)에서의 접선(5)보다 위쪽으로 돌출시킨 다른 쪽의 단브리슬(2)의 선단에 의해 다시 모발(13)은 잡을 수 있다.
모발(13)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리슬대(4)의 양측단에 위치하는 단브리슬(2)을 양쪽 통과하는 것으로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게 되어, 모발(13)의 형상이 안정되게 지지되므로 모발(13)을 원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정발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상태로 조작스위치(20)를 조작하여 송풍장치 및 히터를 구동시키면, 뜨거워진 공기가 분출공(12)으로부터 원하는 형상으로 유지된 모발(13)을 향하여 분출되는 것이며, 뜨거워진 공기에 의한 블로에 의해 모발(13)의 형상을 고정하여 원하는 컬을 넣는 등의 정발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모발(13)은 먼저 장브리슬(1)의 사이에 잡혀진 모발(13)의 다발이 다시 단브리슬(2)의 사이의 간극(29)에 도입되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은 다발로 분산되므로, 이 상태로 뜨거워진 공지를 브리슬대(4)의 분출공(12)으로부터 모발(13)을 향하여 분출한 경우에는 젖은 모발(13)의 건조 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이며, 헤어브러시로서 형성된 헤어세터를 나타낸 것이다.
이 헤어브러시는 브러시체(3)의 단부에서 몸통부(32)를 연설(延設)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브러시체(3)에는 제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것과 마찬가지로 브리슬대(4)가 형성되고, 이 브리슬대(4)에는 장브리슬(1) 및 단브리슬(2)이 형성되어 있다.
장브리슬(1)은 장브리슬(1)이 등간격으로 배열된 장브리슬열(7)을 형성하여 장브리슬 연결부에 있어서 빠짐이 방지되어 브리슬대(4)에 헤어세터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열 형성되어 있다.
단브리슬(2)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것과 마찬가지로 단브리슬열(8)을 3열 인접시켜서 형성하는 단브리슬 블록(31)이 브리슬대(4)의 양측의 측부에서 장브리슬열(7)의 사이에 협지되어 배설되어 있다.
또, 이 단브리슬 블록(3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것과 마찬가지로 단브리슬 연결기대(9)에 형성된 빠짐 방지판(26)에 의해 장브리슬 연결부(30)와 브리슬대(4)에 의해 걸어 맞춰져 있다.
단, 이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단브리슬 블록은 브리슬대(4)의 길이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또, 이 실시형태의 예는 헤어브러시이므로, 브리슬대(4)에 분출공(12)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점도 다르다.
상기의 단브리슬(2)은 도 13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리슬대(4)에 형성된 단브리슬 연결기대(9)에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브리슬(2)의 선단은 브리슬대(4)의 원호형 표면의 정상(10)에서의 접선(5)보다 돌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량은 도 13a 에서 L1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 접선(5)과 단브리슬(2)이 형성된 위치에서의 브리슬대(4)의 원호형 표면에 대한 접선(6)과의 사이의 교차하는 각도(θ)는 예각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단브리슬 연결기대(9)는 브리슬대(4)에서 돌출시켜 형성되어 있으며, 단브리슬(2)사이의 피치 P2는 장브리슬(1)사이의 피치 P1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헤어세터를 헤어브러시로서 구성해도 제1 실시형태와 같이 하여 모발(13)을 정발하는데 있어서, 단브리슬(2)에 의해 모발(13)에 효과적으로 텐션을 가해 원하는 형상으로 유지하고, 용이하게 정발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브리슬대의 원호형 표면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된 단브리슬의 선단이 브리슬대의 원호형 표면의 정상에서의 접선)보다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므로, 모발을 집어 넣는 측의 단브리슬에서 지지된 모발의 머리털 끝은 장브리슬 내를 브리슬대의 원호형 표면의 정상에서의 접선상의 궤적을 그리면서 빠져 나오지만, 그 접선상에 돌출된 선단을 가지는 다른 쪽의 단브리슬에 의해, 그대로 브러시밖으로 빠져 나오려고 하는 머리털 끝을 확실하게 잡을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헤어세터는, 청구항 1의 구성에 더하여, 단브리슬이 형성된 위치에서의 브리슬대의 원호형 표면에 대한 접선과 브리슬대의 원호형 표면의 정상에서의 접선과의 사이에 교차하는 각도가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므로, 브리슬기대의 원호형 표면의 곡률(曲率)의 변화에 관계없이 단브리슬의 선단을 브리슬대의 원호형 표면 정상에서의 접선보다 돌출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모발을 확실하게 잡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헤어세터는, 청구항 1의 구성에 더하여, 복수개의 장브리슬이 배열된 장브리슬열의 장브리슬 사이의 피치와 비교하여 복수개의 단브리슬이 배열된 단브리슬열의 단브리슬사이의 피치를 작은 피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므로, 장브리슬에서 많이 잡은진 모발을 단브리슬에서 잘게 분산화하여 단브리슬끼리 사이의 좁은 간극에 끼워 넣음으로써, 잡힌 모발을 지지할 수 있어 모발에 적당한 텐션을 가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유지함으로써 모발을 원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정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헤어세터는, 청구항 3의 구성에 더하여, 단브리슬의 밑둥부에 설치한 단브리슬 연결기대를 브리슬대의 표면보다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므로, 단브리슬의 선단을 소정의 높이까지 이르게 하기 위해 행해지는 단브리슬의 자체 길이 연장을 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단브리슬 길이의 연장에 따른 내구성의 저하 등을 피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한 헤어세터는, 청구항 3의 구성에 더하여, 단브리슬열을 브리슬대의 원호형 표면 정상을 경계로 하여 브리슬대의 단면 원호상에 있어서 대칭 위치가 되도록 브리슬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므로, 정발을 할 때에 모발의 도입방향에 관계없이 모발을 확실하게 잡아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관한 헤어세터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의 구성에 더하여, 브러시체와 그립체를 구비하고, 그립체에 송풍수단을 형성하여 중공 단면을 갖게 한 브러시체와 연결시켜서 브러시체의 외면에 형성한 브리슬대에 브러시체의 중공부와 연결되는 분출공을 형성하여 그립체에서 송풍된 바람을 상기 분출공으로부터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므로, 모발을 적당한 텐션을 가해 원하는 형상으로 고정하여 더욱 효과적인 정발을 할 수 있는 것이며, 또 청구항 3과 같은 피치가 작은 단브리슬에 모발을 통과하여 세분화한 상태의 모발에 바람을 공급함으로써 모발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도 있다.

Claims (6)

  1. 복수의 장브리슬과 장브리슬보다 길이가 짧은 복수의 단브리슬을 가지는 브러시체를 구비한 헤어세터로서, 브러시체에는 외면에 돌출하는 단면이 원호형 브리슬대가 형성되어, 브리슬대의 원호형 표면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된 단브리슬의 선단이 브리슬대의 원호형 표면 정상에서의 접선보다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세터.
  2. 제1항에 있어서, 단브리슬이 형성된 위치에서의 브리슬대의 원호형 표면에 대한 접선과 브리슬대의 원호형 표면의 정상에서의 접선과의 사이에 교차하는 각도가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세터.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장브리슬이 배열된 장브리슬열과 복수개의 단브리슬이 배열된 단브리슬열을 브리슬대에 설치하여, 단브리슬열의 단브리슬 사이의 피치를 상기 장브리슬열의 장브리슬 사이의 피치보다 작은 피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세터.
  4. 제3항에 있어서, 단브리슬의 밑둥부에 설치한 단브리슬연결기대를 브리슬대의 표면보다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세터.
  5. 제3항에 있어서, 단브리슬열을 브리슬대의 원호형 표면 정상을 경계로 하여 브리슬대의 단면 원호상에 있어서 대칭 위치가 되도록 브리슬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세터.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러시체와 그립체를 구비하고, 그립체에 송풍수단을 형성하여 중공 단면을 갖게 한 브러시체와 연결시켜서 브러시체의 외면에 형성한 브리슬대에 브러시체의 중공부와 연결되는 분출공을 형성하여 그립체에서 송풍된 바람을 상기 분출공으로부터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세터.
KR10-2000-0049141A 1999-08-26 2000-08-24 헤어세터 KR100399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0475 1999-08-26
JP24047599A JP3870617B2 (ja) 1999-08-26 1999-08-26 ヘアーセッタ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031A true KR20010070031A (ko) 2001-07-25
KR100399171B1 KR100399171B1 (ko) 2003-09-26

Family

ID=1706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141A KR100399171B1 (ko) 1999-08-26 2000-08-24 헤어세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870617B2 (ko)
KR (1) KR100399171B1 (ko)
CN (1) CN117755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6241B2 (ja) * 2009-02-19 2013-12-11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ヘアブラシ
JP5337597B2 (ja) * 2009-06-29 2013-11-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髪ケア装置
JP5496614B2 (ja) * 2009-11-16 2014-05-21 株式会社ダリヤ ヘアーブラシ
CN104273915B (zh) * 2013-07-08 2017-05-03 邓壮发 一种旋转式毛发卷烫装置
CN104146484B (zh) * 2014-08-26 2016-08-24 芜湖炬胜机电设备厂 一种美发工具及美发方法
CN205410167U (zh) * 2015-12-23 2016-08-03 深圳市奋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发热防烫美发梳
RU2018136758A (ru) 2016-03-24 2020-04-24 Дайсон Текнолоджи Лимитед Насадка для ручного прибора
GB2549765B (en) * 2016-04-28 2018-07-11 Tangle Teezer Ltd Hair brush for hair with extensions
CN107568867A (zh) * 2017-06-07 2018-01-12 国际文具制造厂有限公司 手持式发型设计装置
CN111297028B (zh) * 2018-12-11 2024-01-05 朱鹏飞 刷具的梳刷面结构
CN111134627A (zh) * 2020-01-16 2020-05-12 黄桂青 一种中医临床面诊仪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62569A (en) * 1975-12-04 1980-03-12 United Glass Ltd Materials for handling hot glassware and other hot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61534A (ja) 2001-03-13
CN1286061A (zh) 2001-03-07
JP3870617B2 (ja) 2007-01-24
CN1177552C (zh) 2004-12-01
KR100399171B1 (ko) 200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9171B1 (ko) 헤어세터
KR101265794B1 (ko) 헤어드라이어노즐
US5526578A (en) Comb-type hair dryer
US3696818A (en) Hair-drying comb
ES2379488T3 (es) Dispositivo para el cuidado del cabello
US4030158A (en) Hair brush
CN101933710B (zh) 头发护理装置
US5621980A (en) Blow dryer attachment for volumizing and styling hair
CN111741695B (zh) 美发设备
JP2002360345A (ja) ヘアーブラシ
US20230014059A1 (en) Head for curling hair and hair styling device having the same
US4173231A (en) Hair dryer attachment
JP2000350619A (ja) ヘアーセッター
ES2293042T3 (es) Dispositivo de boquilla para secador.
JPH10179238A (ja) ヘアードライヤー用ブラシ
JP2011217996A (ja) ヘアードライヤ
US20020078587A1 (en) Brush attachment for hand-held blow dryers
KR100565984B1 (ko) 공기의 확산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빗살을 구비한헤어드라이어
KR200497710Y1 (ko) 헤어브러쉬
JPH03231604A (ja) ヘアードライヤー
JP3852511B2 (ja) ヘアーセッター
JP2733064B2 (ja) ヘアーカール器のブラシ
JPH1094417A (ja) スチームヘアーセッター
JP5339436B2 (ja) ヘアーセッター
JP2001070045A (ja) ヘアーセ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