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9624A -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9624A
KR20010069624A KR1020010021836A KR20010021836A KR20010069624A KR 20010069624 A KR20010069624 A KR 20010069624A KR 1020010021836 A KR1020010021836 A KR 1020010021836A KR 20010021836 A KR20010021836 A KR 20010021836A KR 20010069624 A KR20010069624 A KR 20010069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upport
reflecting
dimensional image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1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섭
Original Assignee
김효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섭 filed Critical 김효섭
Priority to KR1020010021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9624A/ko
Priority to PCT/KR2001/001044 priority patent/WO2002086595A1/en
Publication of KR20010069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962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02B30/35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using reflective optical elements i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mages and the observ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4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giving the observer of a single two-dimensional [2D] image a perception of dep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 중앙면의 양측 끝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일정한 각도로 유지되며, 그 양쪽은 좌ㆍ우측영상을 갖는 좌ㆍ우측 영상면으로 구성된 영상제공수단과; 상기 영상제공수단의 중앙면에 설치되고, 그 일측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일정한 각도로 유지되며, 상기 좌ㆍ우측영상을 반사시키기 위한 한 쌍의 평면반사거울이 구비된 영상반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한 쌍의 평면영상으로부터 입체영상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된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Stereoscopic viewer from two plain images}
본 발명은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면반사거울을 이용하여 한 쌍의 평면영상으로부터 입체영상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된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시각작용은 자연세계 물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이 인간의 망막에 평면영상으로 투영되면, 이 평면영상으로부터 공간 물체의 특성과 물체사이의 관련성을 추출하여 두뇌에 인식과 판단의 기초정보로서 전달하게 된다.
이때, 두뇌는 여러 가지 시각적 매개변수 즉 모양정보, 운동정보 등을 추출하여 종합함으로써, 어떤 물체가 어디에 어떻게 존재하는가라는 사실을 파악하고, 이러한 정보를 수집하여 기억함으로써, 주변의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되고, 주변세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다음단계의 행동제어를 위한 절차를 수립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작용을 이용하여 인간은 제 3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정보전달매체로서 오래 전부터 그림, 사진 내지 영화 등과 같은 평면영상을 이용하고 있는 바, 이러한 영상정보의 전달은 다른 어떠한 정보전달매체 즉 글, 언어, 기타 촉감과 같은 것보다는 광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러한 평면영상을 이용하는 전달매체는 자연세계의 물체와 같이 깊이를 가지는 3차원 정보를 표현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며, 이러한 정보를 전달받는 입장에서도 평면영상정보로부터 입체영상을 연상할 수 있도록 하는 사고훈련, 즉 일정한 정도의 노력이 필요로 되어질 뿐만 아니라 사실감 또는 현장감이 결여되어 있어,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데는 미흡하였다.
그래서, 좀더 자연세계의 3차원 물체를 실감나게 전달하여 사람의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 결과, 인간의 망막에는 단지 2차원적인 영상만이 입력되어 뉴런층으로 끊임없이 사상되고, 이 사상된 투영은 다시 추상적 표현으로 전이되어 두뇌에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인식되는 평면적인 영상정보들은 얼굴의 좌우에 구비된 두 눈의 거리에 의해 발생되는 공간적인 시차 즉, 두 눈의 시차(binocular parallax)와 관측자 머리를 움직이거나 대상물체가 움직일 때에 동일 물체의 움직임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관측시점의 차이 즉, 움직임의 시차(motion parallax)로부터 발생된 영상정보들의 미묘한 차이를 종합 판단하여 3차원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중에서도 입체정보를 얻는 것은 주로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 데, 두 눈의 시차 즉, 동일한 물체를 약 6.5㎝ 정도 떨어진 두 눈의 시차(視差)에 의해 자연세계의 물체를 3차원 물체, 즉 천연색 3차원의 이미지로부터 반사된 빛을 각각 다른 각도로 받아들이게 되고, 이러한 각도는 양 눈의 거리와 물체에 대한 거리에 따라 결정된 소정 각도로 눈에 비추어 광학시스템 즉, 망막을 촉발시켜 신호흐름을 각각 두뇌로 보내게 되며, 이 두뇌에서는 보내진정보를 통해 3차원의 시각정보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즉, 실제 사물을 볼 때에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은 그 떨어진 거리에 의해서 동일한 사물을 각각 약간씩 다른 영상으로 보게 되고, 이것이 두뇌에 전달되어서 하나의 화상으로 다시 조합되면서 원근감이 생겨 입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양 눈의 시차에 대한 3차원 효과를 내기 위해 동일한 장면을 한 쌍의 약간 다른 이미지로 3차원 시각을 유도함으로써, 3차원 영상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입체화상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입체화상의 기본 원리는 눈앞에 보이는 영상을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들어오는 각각의 영상으로 따로 분리하여 두 장의 사진이나 그림 또는 필름 등으로 출력한 다음 이를 다시 볼 때에 왼쪽 눈에 맞춘 영상은 왼쪽 눈으로 보고, 오른쪽 눈에 맞춘 영상은 오른쪽 눈으로 분리하여 보도록 함으로써, 두 영상이 한 위치에 있는 것처럼 겹쳐 보이게 하여 평면영상이 입체로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즉, 각각 인간의 눈 사이 거리에 맞춰 약간 다른 관점에서 똑같은 장면을 묘사한 후, 각각의 영상을 해당되는 눈에 제시하면 인간의 시각이 두 개의 관점을 3차원적 장면이 계속적인 환상으로 합하게 된다.
따라서, 두 대의 카메라로 서로 다른 각도에서 찍음으로써 왼쪽 눈에 보이는 영상과 오른쪽 눈에만 비치는 영상을 따로 분리하여 형성한 뒤, 이 두 장의 사진을 이용하여 왼쪽 눈에만 비치는 영상과 오른쪽 눈에만 비치는 영상을 원래의 이미지처럼 다시 한자리에 위치하게 하되 왼쪽 눈을 위한 영상은 왼쪽 눈에만 보이게 하고 오른쪽 눈을 위한 영상은 오른쪽 눈에만 보이게 하면 된다.
그러나, 이 두 영상을 단순히 겹쳐 놓으면 왼쪽 눈을 위한 영상과 오른쪽 눈을 위한 영상이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즉, 두 영상이 각각 오른쪽과 왼쪽 눈에 한꺼번에 보이기 때문에 입체영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입체영상을 보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 일본공개특허 제1994-160765호는 두 렌즈와 두 협폭의 거울면과 두 곡면의 영상면을 이용하고, 가시근점 보다 가까운 곳에 형성되는 입체영상을 렌즈를 통하여 가시근점과 같거나 멀게 관측할 수 있는 기구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 기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곡면상에 좌우영상을 배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렌즈를 부착한 채 두 거울면을 배치하기 위하여 두 거울면을 서로 고정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기구의 크기가 크고 복잡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네 거울면을 설치하여 한 평면상에 놓인 두 좌우영상을 입체로 재현하는 기구가 개발된 바 있다. 좌우영상이 한 평면에 놓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소요 거울면 수가 넷이므로 이를 제 각도와 자리에 고정하기가 쉽지 않으며, 전체의 크기가 크고 복잡한 단점이 있다.
영국특허(GB 2 221 054 A)는 거울면을 하나만 이용하여 두 영상면 사이에 이 거울면을 놓아 입체영상을 재현하는 방법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좌우영상을 서로 반대가 되게 취급하여(현상과정에서) 배치하여야 하는 점이 있으며, 또한, 좌ㆍ우측영상의 크기가 다르고, 두 영상 중 거울면을 반사한 후 보게 될 영상의 밝기가 육안으로 직접 보는 영상의 밝기에 비하여 달라짐으로써, 이를 보정하여야 하는 어려운 점이 있어 일반인들이 쉽게 활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렌즈를 이용하지 않고 육안으로 입체영상을 다른 기구로서 폭이 비교적 좁은 두 거울을 이용한 기구가 제안된 바 있다. 이 기구는 두 영상을 정확히 마주보게 하고 두 거울의 반사면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거울면과 영상이 놓이는 평면(영상면)이 직접 만나지 않고 가운데 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연결면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 기구는 접을 수 있도록 전체 장치가 다수의 면으로 구성됨으로써, 제작이나 운반이 어렵고 기구 전체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면반사거울을 이용하여 한 쌍의 평면영상으로부터 입체영상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된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영상반사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a 또는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는 입체영상장치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입체영상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수단의 졉혀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0a 또는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0a는 입체영상장치의 초기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는 입체영상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 좌ㆍ우측 영상면 2,2' : 평면반사거울
3,3' : 안착홈 4,4' : 틀
5,5' : 경사면 6,6' : 요홈
7 : 회전수단 8 : 회전축
10 : 영상반사수단 20 : 영상제공수단
21 : 중앙면 22,22' : 지지면
23,23' : 제 1경사면 24 : 중앙지지대
25,25' : 제 2경사면 27,27' : 양측지지대
28,28' : 고리 29,29' : 보관부
30 : 좌측 눈 31 : 우측 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는 그 일측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일정한 각도로 유지되며, 좌ㆍ우측 영상을 반사시키기 위한 한 쌍의 평면반사거울이 구비된 영상반사수단과; 상기 영상반사수단의 평면반사거울에 마주보도록 좌ㆍ우측 영상면을 구비하여 상기 영상반사수단의 양측 끝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일정한 각도로 유지하도록 된 영상제공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ㆍ우측의 영상은 확대율이 동일하게 되도록 하고, 촬영 위치가 좌우안의 거리차 만큼 떨어지도록 얻은 동일한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반사수단은 평면반사거울을 삽입 안착시키기 위해 안착홈이 구비된 한 쌍의 틀과; 상기 틀의 일측면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틀의 경사면 하방에 좌ㆍ우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제공수단은 상기 영상반사수단을 안착시키는 사각형상의 중앙면과, 상기 중앙면의 양측 끝단변에 절곡 형성된 사다리꼴형상의 지지면과, 상기 중앙면의 나머지 양측 끝단변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지지면의 양측 경사부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제 1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중앙지지대와; 그 한 변이 상기 중앙면의 나머지 양측 끝단면에 접힙 가능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좌ㆍ우측으로 회동하여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 1경사면과 접하는 제 2경사면과, 상기 중앙지지대의 중앙면과 마주보도록 좌ㆍ우측 영상면을 갖는 양측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제공수단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면 내측으로 형성된 중앙면과; 상기 중앙면의 양측 끝단부를 기준으로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에는 좌ㆍ우측영상을 가지는 좌ㆍ우측 영상면과; 상기 중앙면과 좌ㆍ우측 영상면의 접힘변을 제외한 다른 변들은 절취 형성되고, 그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좌ㆍ우측 영상면과 평면반사거울사이의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접힘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제공수단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면의 일측 끝단변에 연장되어 접힘 가능하도록 형성된 중앙면과; 상기 중앙면의 양측 끝단부를 기준으로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며, 그 끝단부에는 좌ㆍ우측영상을 구비한 좌ㆍ우측 영상면과; 상기 중앙면과 좌ㆍ우측 영상면사이의 접힘변을 중심으로 그 양끝단 또는 어는 한 끝단에 상기 좌ㆍ우측 영상면과 평면반사거울사이의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절첩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제공수단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중앙면과; 상기 중앙면의 양측 끝단부를 기준으로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그 끝단부에 좌ㆍ우측영상을 갖는 좌ㆍ우측 영상면으로 구비된 영상제공부와; 그 일측면이 상기 좌ㆍ우측 영상면에 접함과 아울러 바닥면과 일정한 각도로 지지되도록 구비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가 바닥면에 일정한 각도로 고정 유지되도록 상기 지지대의 일측면에 구비된 보조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영상반사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의 구성은 좌ㆍ우측 영상면(1)(1')을 반사시키기 위한 한 쌍의 평면반사거울(2)(2')이 구비된 영상반사수단(10)과;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의 양측 끝단부에 일정한 각도로 유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의 평면반사거울(2)(2')에 마주보도록 좌ㆍ우측 영상면(1)(1')을 구비하는 영상제공수단(20)이 서로 분리하여 구성된다.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은 평면반사거울(2)(2')을 삽입 안착시키기 위해 안착홈(3)(3')이 형성된 한 쌍의 틀(4)(4')이 구비되는 바, 이 틀(4)(4')의 일측면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경사면(5)(5')이 형성되고, 상기 틀(4)(4')의 경사면(5)(5') 하방에 좌ㆍ우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수단(7)이 나사 체결되며, 상기 회전수단(7)의 회전축(8)을 안착시키는 요홈(6)(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수단(7)은 공지된 바와 같이 경첩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면반사거울(2)(2')의 크기나 모양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영상제공수단(20)은 영상반사수단(10)을 안착시키는 사각형상의 중앙면(21)이 구비되고, 중앙면(21)의 양측 끝단변에 사다리꼴형상의 지지면(22)(22')이 절곡 형성되며, 중앙면(21)의 나머지 양측 끝단변에 지지면(22)(22')의 경사부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제 1경사면(23)(23')으로 이루어진 중앙지지대(24)와; 그 한 변이 상기 중앙면(21)의 나머지 양측 끝단변에 접힘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좌ㆍ우측으로 회동하여 일정각도가 유지되도록 제 1경사면(23)(23')과 접하는 제 2경사면(25)(25')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지지대(24)의 중앙면(21)과 마주보도록 좌ㆍ우측영상면(1)(1')을 갖는 양측지지대(27)(27');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중앙지지대(24)와 양측지지대(27)(27')의 결합관계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리결합으로 이루어졌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연결할 수 있는 연결수단으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지지대(24)와 양측지지대(27)(27')의 결합관계를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양측지지대(27)(27')의 상단부 일측에 상기 좌ㆍ우측 영상면(1)(1')이 교체 가능하도록 고리(28)(28')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측지지대(27)(27')의 좌ㆍ우측 영상면(1)(1')이 교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보관부(29)(29')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영상제공수단(20)의 양측지지대(27)(27')를 좌ㆍ우측으로 회전하여 양측지지대(27)(27')가 중앙면(21)상측으로 포개지게 하고, 또한,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의 틀(4)(4')을 좌ㆍ우측으로 회전하여 포개지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영상제공수단(20)의 양측지지대(27)(27')를 좌ㆍ우측으로 회전하여 펼쳐지게 하고,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은 틀(4)(4')을 좌ㆍ우측으로 회전하여 펼쳐지게하며, 이 상태에서 영상반사수단(10)을 중앙면(21)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일정거리를 두고 좌측 눈(30)을 통해 좌측의 평면반사거울(2)에 반사되는 좌측 영상면(1)을 보고, 우측 눈(31)을 통해 우측의 평면반사거울(2')에 반사되는 우측 영상면(1')을 보게됨으로써, 영상반사수단(10)을 통해 좌ㆍ우측 영상면(1)(1')을 입체영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의 분리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의 구성은 좌ㆍ우측 영상면(50)(50')을 반사시키기 위한 한 쌍의 평면반사거울(2)(2')이 구비된 영상반사수단(10)과;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의 양측 끝단부에 일정한 각도로 유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의 평면반사거울(2)(2')에 마주보도록 좌ㆍ우측 영상면(50)(50')을 구비하는 영상제공수단(40)이 서로 분리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은 상기에 언급된 제 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제공수단(40)은 일정두께를 가지며 여러 장이 묶어진 책의 어느 한 면(41)의 내측에 중앙면(42)이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면(42)의 양측 끝단부를 기준으로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바, 그 끝단부에는 좌ㆍ우측영상을 가지는 좌ㆍ우측 영상면(50)(50')이 구비되며, 상기 좌ㆍ우측 영상면(50)(50')에서 중앙면(42)과의 접힘변(43)(43')을 제외한 다른 변(43)(44)(45)들은 면(41)과 절취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면(41)과 절취된 변(43)(44)(45)들의 일측에는 좌ㆍ우측 영상면(50)(50')과 평면반사거울(2)(2') 사이의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접힘 가능한 고정부재(47)가 일체로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병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면(41)에서 좌ㆍ우측 영상면(50)(50')을 인위적으로 잡아당겨서 고정부재(47)의 접힘변이 펴지도록 하고,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을 중앙면(42)에 안착시킨다.
이때, 일정거리를 두고 좌측 눈(30)을 통해 좌측의 평면반사거울(2)에 반사되는 좌측 영상면(50)을 보고, 우측 눈(31)을 통해 우측의 평면반사거울(2')에 반사되는 우측 영상면(50')을 보게됨으로써, 영상반사수단(10)을 통해 좌ㆍ우측 영상면(50)(50')을 입체영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의 구성은 좌ㆍ우측 영상면(61)(61')을 반사시키기 위한 한 쌍의 평면반사거울(2)(2')이 구비된 영상반사수단(10)과;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의 양측 끝단부에 일정한 각도로 유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의 평면반사거울(2)(2')에 마주보도록 좌ㆍ우측영상을 가지는 좌ㆍ우측 영상면(61)(61')을 구비하는 영상제공수단(60)이 서로 분리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은 상기에 언급된 제 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제공수단(60)은 일정두께를 가지며 여러 장이 묶어진 책의 어느 한면의 일측 끝단변(65)에 연장되어 접힘 가능하도록 중앙면(62)이 형성되고, 중앙면(62)의 양측 끝단부를 기준으로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바, 그 끝단부에는 좌ㆍ우측영상을 가지는 좌ㆍ우측 영상면(61)(61')이 구비되며, 상기 중앙면(62)과 좌ㆍ우측 영상면(61)(61') 사이의 접힘변(63)(63')을 중심으로 그 양끝단 또는 어는 한 끝단에는 좌ㆍ우측 영상면(61)(61')과 평면반사거울(2)(2') 사이의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절첩 가능한 고정부재(64)(64')가 일체로 구비된다.
도 7a 또는 도 7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수단(60)의 접혀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좌ㆍ우측 영상면(61)(61') 및 끝단변(65)을 순차적으로 접힘으로써, 본 발명의 영상제공수단(60)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의 사용은 상기한 제 1실시예 또는 제 2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의 구성은 좌ㆍ우측 영상면(71)(71')을 반사시키기 위한 한 쌍의 평면반사거울(2)(2')이 구비된 영상반사수단(10)과;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의 양측 끝단부에 일정한 각도로 유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의 평면반사거울(2)(2')에 마주보도록 좌ㆍ우측영상을 갖는 좌ㆍ우측 영상면(71)(71')이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은 상기에 언급된 제 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반사수단(10)과 좌ㆍ우측 영상면(71)(71') 사이의 결합은 일반적으로 경첩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영상반사수단(10)과 좌ㆍ우측 영상면(71)(71')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일정거리를 두고 좌측 눈(30)을 통해 좌측의 평면반사거울(2)에 반사되는 좌측 영상면(71)을 보고, 우측 눈(31)을 통해 우측의 평면반사거울(2')에 반사되는 우측 영상면(71')을 보게됨으로써, 영상반사수단(10)을 통해 좌ㆍ우측 영상면(71)(71')을 입체영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도 10a 또는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의 구성은 좌ㆍ우측 영상면(91)(91')을 반사시키기 위한 한 쌍의 평면반사거울(2)(2')이 구비된 영상반사수단(10)과;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의 양측 끝단부에 일정한 각도로 유지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의 평면반사거울(2)(2')에 마주보도록 좌ㆍ우측영상을 갖는 좌ㆍ우측 영상면(91)(91')을 구비하는 영상제공수단(100)이 서로 분리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은 상기에 언급된 제 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제공수단(100)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중앙면(92)이 형성되고, 중앙면(62)의 양측 끝단부를 기준으로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바, 그 끝단부에는좌ㆍ우측 영상면(91)(91')을 갖는 영상제공부(90)가 구비된다. 그리고, 그 일측면이 좌ㆍ우측 영상면(91)(91')에 접함과 아울러 바닥면(80)과 일정한 각도로 지지되도록 지지대(81)(81')가 구비되며, 또한, 상기 지지대(81)(81')가 바닥면(80)에 일정한 각도로 고정 유지되도록 상기 지지대(81)(81')의 일측면에 보조지지대(82)(82')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조지지대(82)(82')는 좌ㆍ우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거리를 두고 좌측 눈(30)을 통해 좌측의 평면반사거울(2)에 반사되는 좌측 영상면(91)을 보고, 우측 눈(31)을 통해 우측의 평면반사거울(2')에 반사되는 우측 영상면(91')을 보게됨으로써, 영상반사수단(10)을 통해 좌ㆍ우측 영상면(91)(91')을 입체영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좌ㆍ우측 PC모니터(200)(200')를 반사시키기 위한 영상반사수단(10)과;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의 양끝단부에 일정각도로 연결되어 구비된 좌ㆍ우측 PC모니터(200)(200');로 구성됨으로써, 영상반사수단(10)을 통해 좌ㆍ우측 PC모니터(200)(200')의 평면영상을 입체영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의 평면반사거울(2)(2')의 각도 α는 300°또는 그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면반사거울(2)(2')과 좌ㆍ우측 영상면(1)(1'),(50)(50'),(61)(61'),(71)(71')들 사이의 각도 β= α/2 - 9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ㆍ우측 영상면(1)(1')(50)(50')(61)(61')(71)(71')들은 확대율이 동일하게 되도록 하고, 촬영 위치가 좌우안의 거리차 만큼 떨어지도록 얻은 동일한 영상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예를 들어, 책, 액자, 사친첩, TV 및 PC 등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영상반사수단과 영상제공수단을 분리하여 사용하거나 일체로 절첩 가능하게 함으로써, 책, 사진첩, 액자, TV 및 PC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체영상으로 어린이의 동화책이나 그림책을 구현하게 되는 경우 아이들의 재미를 유발하게 되고, 평면영상보다 사실감과 현장감을 증가시켜서 연상작용을 촉발하는 등 교육효과를 증가시켜 주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그 일측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일정한 각도로 유지되며, 좌ㆍ우측 영상면(1)(1')을 반사시키기 위한 한 쌍의 평면반사거울(2)(2')이 구비된 영상반사수단(10)과;
    상기 영상반사수단(10)과 분리되며 평면반사거울(2)(2')에 마주보도록 좌ㆍ우측 영상면(1)(1')을 구비하여 영상반사수단(10)의 양측 끝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일정한 각도로 유지하도록 된 영상제공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반사수단(10)은 평면반사거울(2)(2')을 삽입 안착시키기 위해 안착홈(3)(3')이 구비된 한 쌍의 틀(4)(4')과;
    상기 틀(4)(4')의 일측면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경사면(5)(5')과;
    상기 틀(4)(4')의 경사면 하방에 좌ㆍ우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수단(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공수단(20)은 영상반사수단(10)을 안착시키는 사각형상의 중앙면(21)과, 중앙면(21)의 양측 끝단변에 절곡 형성된 사다리꼴형상의 지지면(21)(21')과, 중앙면(21)의 나머지 양측 끝단변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지지면(21)(21')의 양측 경사부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제 1경사면(23)(23')으로 이루어진 중앙지지대(24)와;
    그 한변이 상기 중앙면(21)의 나머지 양측 끝단면에 접힘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좌ㆍ우측으로 회동하여 일정각도가 유지되도록 제 1경사면(23)(23')과 접하도록 제 2경사면(25)(25')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지지대(24)의 중앙면(21)과 마주보도록 좌ㆍ우측 영상면(1)(1')을 갖는 양측지지대(27)(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지지대(27)(27')의 상단부 일측에 좌ㆍ우측 영상면(1)(1')이 교체 가능하도록 고리(28)(28')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지지대(27)(27')의 좌ㆍ우측 영상면(1)(1')이 교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보관부(29)(2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공수단(40)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면(41)의 내측으로 형성된 중앙면(42)과;
    상기 중앙면(42)의 양측 끝단부를 기준으로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에는 좌ㆍ우측 영상을 가지는 좌ㆍ우측 영상면(50)(50')과;
    상기 중앙면(42)과 면(41)에서 절취된 접힘변(43)(43')을 제외한 다른 변(43)(44)(45)들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좌ㆍ우측 영상면(50)(50')과 평면반사거울(2)(2')사이의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접힘 가능한 고정부재(4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공수단(60)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면의 끝단변(65)에 연장되어 접힘 가능하도록 형성된 중앙면(62)과;
    상기 중앙면(62)의 양측 끝단부를 기준으로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며, 그 끝단부에는 좌ㆍ우측영상을 갖는 좌ㆍ우측 영상면(61)(61')과;
    상기 중앙면(62)과 좌ㆍ우측 영상면(61)(61')사이의 접힘변(63)(63')을 중심으로 그 양끝단 또는 어느 한 끝단에 좌ㆍ우측 영상면(61)(61')과 평면반사거울(2)(2')사이의 일정사이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절첩 가능한 고정부재(64)(6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반사수단(10)과 좌ㆍ우측 영상면(71)(71')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공수단(100)은 일정두께를 가지는 중앙면(92)과;
    상기 중앙면(92)의 양측 끝단부를 기준으로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그 끝단부에 좌ㆍ우측영상을 갖는 좌ㆍ우측 영상면(91)(91')으로 구비된 영상제공부(90)와;
    그 일측면이 좌ㆍ우측 영상면(91)(91')에 접함과 아울러 바닥면(80)과 일정한 각도로 지지되도록 구비된 지지대(81)(81')와;
    상기 지지대(81)(81')가 바닥면(80)에 일정한 각도로 고정 유지되도록 상기 지지대(81)(81')의 일측면에 구비된 보조지지대(82)(8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
KR1020010021836A 2001-04-23 2001-04-23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 KR2001006962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836A KR20010069624A (ko) 2001-04-23 2001-04-23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
PCT/KR2001/001044 WO2002086595A1 (en) 2001-04-23 2001-06-19 Stereoscopic viewer from two plain im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836A KR20010069624A (ko) 2001-04-23 2001-04-23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624A true KR20010069624A (ko) 2001-07-25

Family

ID=1970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836A KR20010069624A (ko) 2001-04-23 2001-04-23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10069624A (ko)
WO (1) WO200208659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7706A1 (en) * 2001-03-19 2002-10-03 Technology Tree Co., Ltd. Apparatus for fixing mirror for three-dimensional image
KR101371021B1 (ko) * 2012-09-24 2014-03-07 박창준 다중영상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9927A (ja) * 2010-10-29 2012-05-24 Fujifilm Corp 立体視画像表示装置
BE1020045A5 (fr) * 2011-07-01 2013-04-02 Roussel Denis Stereoscope par anamorphose obliqu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4051A (en) * 1976-12-13 1978-07-01 Izumi Yamane Assistant device for seeing three dimensional image
JPH1054956A (ja) * 1996-08-12 1998-02-24 Meiwa Packs:Kk 立体画像観察装置
JPH11113029A (ja) * 1997-10-03 1999-04-23 Yaku Tsutsumi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撮影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21054A (en) * 1988-07-22 1990-01-24 Peter Mcduffie White Viewer for stereoscopic images
US6046850A (en) * 1995-12-08 2000-04-04 Cunanan; Candido C. Stereoscope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4051A (en) * 1976-12-13 1978-07-01 Izumi Yamane Assistant device for seeing three dimensional image
JPH1054956A (ja) * 1996-08-12 1998-02-24 Meiwa Packs:Kk 立体画像観察装置
JPH11113029A (ja) * 1997-10-03 1999-04-23 Yaku Tsutsumi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撮影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7706A1 (en) * 2001-03-19 2002-10-03 Technology Tree Co., Ltd. Apparatus for fixing mirror for three-dimensional image
KR101371021B1 (ko) * 2012-09-24 2014-03-07 박창준 다중영상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86595A1 (en) 200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3223A (en) Stereo image display using a concave mirror and two contiguous reflecting mirrors
US20060171008A1 (en) Three-dimensional hologram display system
McAllister Display technology: stereo & 3D display technologies
JPH07504766A (ja) 2組のスクリーンによる画像形成システム
JPH11504729A (ja) 立体ディスプレイ装置
US8717425B2 (en) System for stereoscopically viewing motion pictures
Siegel et al. Kinder, gentler stereo
EP0607184B1 (en) Imaginograph
KR20010069624A (ko) 이차원영상을 이용한 입체영상장치
EP0680621B1 (en) Stereoscopic viewing device
JP2012022278A (ja) 映像実体感メガネ
US6871957B2 (en) Autostereoscopic display for multiple viewers
TWI572899B (zh) 擴充實境成像方法及其裝置
US20060152580A1 (en) Auto-stereoscopic volumetric imaging system and method
CA2194630A1 (en) Viewing system for electronic 3-d animation and 3-d viewing mirror
KR0148435B1 (ko) 입체화상 구현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Costello et al. Upgrading the conventional Pepper Ghost holographic device to a full-parallax three-dimensional tunnel display
EP0310721A1 (en) Stereo image display using a concave mirror and two contiguous reflecting mirrors
JP2007017558A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画像表示方法
GB2401953A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reating pseudostereoscopic moving images
Konrad What is the vergence-accommodation conflict and how do we fix it?
TWI573435B (zh) Dimensional image camera display system
TWI632802B (zh) 立體映像顯示裝置
JP2004038126A (ja) カラー立体画像を表示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00105352A (ja) 立体万華鏡投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