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9146A - 포맷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포맷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9146A
KR20010069146A KR1020000001420A KR20000001420A KR20010069146A KR 20010069146 A KR20010069146 A KR 20010069146A KR 1020000001420 A KR1020000001420 A KR 1020000001420A KR 20000001420 A KR20000001420 A KR 20000001420A KR 20010069146 A KR20010069146 A KR 20010069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format
clock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9816B1 (ko
Inventor
한동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01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9816B1/ko
Priority to US09/758,362 priority patent/US6683655B2/en
Publication of KR20010069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9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81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intended to be mounted on a light t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from a light t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8Suspending from a cable or suspension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입력 영상의 포맷을 변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되는 영상의 포맷 정보와 출력되는 영상의 포맷 정보를 받아서 이 정보로부터 포맷 변환의 구조를 결정하여 필요한 데이터의 흐름을 조정하는 신호와 포맷 변환에 필요한 클럭을 발생하는 모드 발생부와,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된 동작 모드로 입출력 데이터 경로가 제어되며, 상기 클럭에 동기되어 입력되는 영상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포맷 변환하고, 수직 포맷 변환과 수평 포맷 변환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포맷 변환부와, 상기 모드 발생부의 신호에 따라서 포맷 변환부에 적절한 영상을 제공하는 다수 개의 먹스로 구성되어, 입력 영상과 출력 영상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포맷 변환 장치의 구조를 적절하게 변경하고 또한, 포맷 변환에 필요한 클럭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하드웨어와 메모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포맷 변환 장치{Apparatus for converting format}
본 발명은 디지털 TV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 영상의 포맷을 변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TV의 도입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달로 인하여 기존 아날로그방식의 TV에 비해서 보다 다양한 종류의 영상들이 입력되고 또한 출력될 수 있게 되었다. 다양한 크기의 입력 영상을 다른 크기의 출력 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포맷 변환 장치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포맷 변환 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만일 입력 영상의 포맷 변환이 필요한 경우에 제 1 포맷 변환부(11)에서는 입력 영상의 크기를 줄이고, 제 2 포맷 변환부(13)에서는 입력 영상의 크기를 늘린다. 이때, 상기 제 1, 제 2 포맷 변환부(11,13)는 모두 수평 포맷 변환기와 수직 포맷 변환기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메모리(12)는 크기가 줄어든 입력 영상 또는, 원래의 입력 영상을 저장한 후 제 2 포맷 변환부(13)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포맷 변환 장치는 영상의 크기를 줄이는 포맷 변환부는 메모리의 앞부분에 위치시키고 영상의 크기를 늘리는 부분을 메모리의 뒤에 위치시킴으로써 필요한 메모리의 양을 줄이면서 효과적인 포맷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두 개의 포맷 변환 장치를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해서 하드웨어가 증가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되는 영상과 출력되는 영상의 크기의 비가 임의로 변할 수 있는 범용 포맷 변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포맷 변환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의 축소와 확대를 동시에 수행하여 필요한 메모리의 양 및 하드웨어를 최소화하는 포맷 변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포맷 변환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맷 변환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포맷 변환 장치의 각 동작 모드의 예들을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모드 발생부 101 : 모드 검출부
102 : 클럭 먹스 200 : 포맷 변환부
300 : 수직 포맷 변환부 400 : 수평 포맷 변환부
500,600 : 먹스 700 : 메모리 쓰기 인터페이스부
800 : 메모리 읽기 인터페이스부 900 : 메모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맷 변환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의 포맷 정보와 출력되는 영상의 포맷 정보를 받아서 이 정보로부터 포맷 변환의 구조를 결정하여 필요한 데이터의 흐름을 조정하는 신호와 포맷 변환에 필요한 클럭을 발생하는 모드 발생부와,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된 동작 모드로 입출력 데이터 경로가 제어되며, 상기 클럭에 동기되어 입력되는 영상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포맷 변환하며, 수직 포맷 변환과 수평 포맷 변환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포맷 변환부와, 상기 모드 발생부의 신호에 따라서 포맷 변환부에 적절한 영상을 제공하는 다수 개의 멀티플랙서(이하, 먹스라 칭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크기의 입력 영상을 여러 가지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도록 포맷 변환시키는 데에 있어서 입력 영상 및 출력 영상의 크기에 따라서 포맷 변환 장치의 구조를 자동적으로 변경하고 이에 적절한 동작 클럭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필요한 하드웨어의 양을 줄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맷 변환 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모드 발생부(100), 및 포맷 변환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모드 발생부(100)는 모드 검출부(101)와 클럭 먹스(102)로 구성된다. 그리고, 포맷 변환부(200)는 수직 포맷 변환부(300), 수평 포맷 변환부(400), 메모리 쓰기 인터페이스부(700), 메모리 읽기 인터페이스부(800), 메모리(900), 및 다수개의 먹스(600,500)로 구성된다.
상기 모드 발생부(100)의 모드 검출부(101)는 입력되는 영상의 크기 정보와 출력되는 영상의 크기 정보를 입력받아서 포맷 변환부(2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각 먹스(301,401,500,600)에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모드 검출부(101)는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수직 포맷 변환부(300) 및 수평 포맷 변환부(400)에 제공되는 클럭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클럭 먹스(102)로 출력한다.
상기 모드 발생부(100)의 클럭 먹스(101)는 모드 검출부(101)의 제어 신호에 의해서 수직 포맷 변환부(300)와 수평 포맷 변환부(400)에 필요한 클럭을 제공한다. 이때, 구조 변경 기능을 갖는 범용 포맷 변환부(200)는 일반적으로 4가지 종류의 클럭을 필요로 한다.
즉, 두 개의 입력되는 클럭(클럭 A, 클럭 B)과 클럭 먹스(102)에 의해서 선택 출력되는 포맷 변환용 두 개의 클럭(클럭 C, 클럭 D)을 이용하여 적절한 포맷 변환 및 디스플레이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클럭 A는 입력 클럭, 클럭 B는 디스플레이 클럭이라고 가정하며, 클럭 C, 클럭 D는 동작 모드에 따라 입력 클럭이 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클럭이 될 수도 있다. 이때, 입력 클럭은 입력 영상에 동기되는 클럭이고, 디스플레이 클럭은 출력 영상에 동기되는 클럭이다. 그리고,상기 입력 클럭 주파수와 디스플레이 클럭 주파수는 입력 영상의 크기와 출력 영상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이 상기 포맷 변환부(200)에 인가되는 두 개의 클럭(클럭 C, 클럭 D)은 입력 영상과 출력 영상의 크기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며 다음의 표 1과 같은 클럭을 출력하게 된다.
변환비에 따른 클럭 선택
수직 포맷 변환비 수평 포맷 변환비 수직 포맷 변환부용 클럭(클럭 C) 수평 포맷 변환부용 클럭(클럭 D)
확대 또는 등배 확대 또는 등배 디스플레이 클럭(클럭 B) 디스플레이 클럭(클럭 B)
축소 축소 입력 클럭(클럭 A) 입력 클럭(클럭 A)
축소 확대 또는 등배 입력 클럭(클럭 A) 디스플레이 클럭(클럭 B)
확대 또는 등배 축소 디스플레이 클럭(클럭 B) 입력 클럭(클럭 A)
즉, 입력 영상을 확대하거나 그대로 출력하는 경우에는 포맷 변환시 디스플레이 클럭이 필요하고, 입력 영상을 축소하는 경우에는 포맷 변환시 입력 클럭이 필요하다. 이는 수직, 수평 포맷 변환에 대해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포맷 변환부(200)는 입력되는 동작 모드 신호에 의해서 도 3a 내지 도 3e와 같이 총 5개의 모드로 동작한다.
정상적인 포맷 변환을 위해서는 도 3a 내지 도 3d와 같은 4개의 모드로 동작하며, 입력 영상과 출력 영상의 크기가 같을 경우는 도 3e와 같은 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d에 나타난 여러 가지 모드의 변환시 도 3e의 모드를 경유한 후에 다른 모드로 변환하면 항상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맷 변환부(200)의 모드 변환은 모드 검출부(101)의 먹스 선택 신호가 포맷 변환부(200) 내에 위치한 다수개의 먹스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수평 및 수직에 대해 출력 영상의 크기가 입력 영상의 크기보다 같거나 클 경우는 도 3a의 모드 A로 동작한다. 즉, 모드 A에서 입력되는 영상은 바로 쓰기 인터페이스부(700)를 통해 메모리(900)로 저장된 다음 수직 포맷 변환부(300)에서 수직 라인 수를 증가시키고 수평 포맷 변환부(400)에서 수평 화소 수를 증가시킨 후 먹스(50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 장치로 출력한다. 이때, 수직 포맷 변환부(300)와 수평 포맷 변환부(400)로 제공되는 클럭 C, D는 모두 디스플레이 클럭(클럭 B)이며, 클럭 먹스(102)를 통해 제공된다.
또한, 수평 및 수직에 대해 출력 영상의 크기가 입력 영상의 크기보다 작을 경우는 도 3b의 모드 B로 동작한다. 즉, 입력되는 영상은 수평 포맷 변환부(400)를 거쳐서 수평 화소 수를 줄인 다음 수직 포맷 변환부(300)에서 수직 라인 수를 감소시킨 후에 메모리(900)에 저장된다. 그리고, 축소되어 메모리(900)에 저장된 영상은 메모리 읽기 인터페이스부(800)에서 읽어서 먹스(5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한다. 이때, 수직 포맷 변환부(300)와 수평 포맷 변환부(400)로 제공되는 클럭 C, D는 모두 입력 클럭(클럭 A)이며, 클럭 먹스(102)를 통해 제공된다.
그리고, 출력 영상의 크기가 수직 방향으로는 줄어들고 수평 방향으로는 늘어날 경우에는 도 3c의 모드 C와 같이 동작한다. 즉, 입력되는 영상은 수직 포맷 변환부(300)를 거쳐서 라인 수를 줄인 다음 쓰기 인터페이스부(700)를 통해 메모리(900)에 저장된다. 그리고, 메모리(900)에 저장된 영상은 읽기인터페이스부(800)에서 읽어 와 수평 포맷 변환부(400)로 출력하고, 수평 포맷 변환부(400)는 수평 화소 수를 증가시킨 후 먹스(5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한다. 이때, 수직 포맷 변환부(300)로 제공되는 클럭 C는 입력 클럭(클럭 A)이고, 수평 포맷 변환부(400)로 제공되는 클럭 D는 디스플레이 클럭(클럭 B)이며, 클럭 먹스(102)를 통해 제공된다.
또한, 출력 영상의 크기가 수평 방향으로는 줄어들고 수직 방향으로는 늘어날 경우에는 도 3d의 모드 D와 같이 동작한다. 즉, 입력되는 영상은 수평 포맷 변환부(400)를 거쳐서 수평 화소 수를 줄인 다음 쓰기 인터페이스부(700)를 통해 메모리(900)에 저장된다. 그리고, 메모리(900)에 저장된 영상은 읽기 인터페이스부(800)에서 읽어 와 수직 포맷 변환부(300)로 출력하고, 수직 포맷 변환부(300)는 라인 수를 증가시킨 후 먹스(5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한다. 이때, 수직 포맷 변환부(300)로 제공되는 클럭 C는 디스플레이 클럭(클럭 B)이고, 수평 포맷 변환부(400)로 제공되는 클럭 D는 입력 클럭(클럭 A)이며, 클럭 먹스(102)를 통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각각의 포맷 변환부(200)에 필요한 클럭을 제공하고 영상 데이터의 경로를 먹스를 통하여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다른 동작 모드로 변경될 때 1~2 화면 동안 수평 포맷 변환부(400)와 수직 포맷 변환부(300)에 인가되는 클럭이 바뀌게 되며 이때 비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3e와 같이 모드 E를 경유하면 이러한 증상을 없앨 수 있다.
그리고, 입력 영상의 크기와 출력 영상의 크기가 같을 경우에도 도 3e의 모드 E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 영상과 출력 영상의 크기를 이용하여 포맷 변환 장치의 구조를 적절하게 변경하고 또한, 포맷 변환에 필요한 클럭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하드웨어와 메모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클럭을 적절하게 분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특히 모드를 변경할 때 별도의 모드(모드E)를 두어 상기 모드 E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여러 가지 모드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함은 물론 모드 변경시에도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맷 변환 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입력 영상을 다양한 종류의 출력 영상으로 포맷 변환할 때 필요한 하드웨어의 양과 메모리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최소한의 메모리 대역폭을 필요로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입력 영상과 출력 영상의 포맷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포맷 변환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동작 모드로 수직/수평 포맷 변환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 신호와 필요한 클럭을 발생시키는 모드 발생부; 그리고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된 동작 모드로 입출력 데이터 경로가 제어되며, 상기 클럭에 동기되어 입력되는 영상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포맷 변환하는 포맷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맷 변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발생부는
    입력 영상의 확대가 필요한 경우에는 출력 영상에 동기되는 디스플레이 클럭을 출력하고, 입력 영상의 축소가 필요한 경우에는 입력 영상에 동기되는 입력 클럭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맷 변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변환부는
    상기 입력 영상을 수직 방향으로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수직 포맷 변환부와,
    상기 입력 영상을 수평 방향으로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수평 포맷 변환부와,
    상기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축소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른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수직, 수평 포맷 변환부 및 메모리로의 영상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다수개의 먹스로 구성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포맷 변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변환부는
    수평 및 수직에 대해 출력 영상의 크기가 입력 영상의 크기보다 클 경우에 입력되는 영상은 바로 메모리로 저장된 다음 수직 포맷 변환부에서 수직 라인 수를 증가시키고 수평 포맷 변환부에서 수평 화소 수를 증가시킨 후 디스플레이부 장치로 출력되며, 수직, 수평 포맷 변환부에는 출력 영상에 동기되는 디스플레이 클럭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맷 변환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변환부는
    수평 및 수직에 대해 출력 영상의 크기가 입력 영상의 크기보다 작을 경우에 입력되는 영상은 수평 포맷 변환부에서 수평 화소 수를 줄이고 수직 포맷 변환부에서 수직 라인 수를 감소시킨 후에 메모리에 저장되었다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되며, 수직, 수평 포맷 변환부에는 입력 영상에 동기되는 입력 클럭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맷 변환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변환부는
    출력 영상의 크기가 수직 방향으로는 줄어들고 수평 방향으로는 늘어날 경우에 입력되는 영상은 수직 포맷 변환부에서 라인 수를 줄여 메모리에 저장된 다음 수평 포맷 변환부에서 수평 화소 수를 증가시킨 후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되며,수직 포맷 변환부에는 입력 클럭이, 수평 포맷 변환부에는 디스플레이 클럭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맷 변환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변환부는
    출력 영상의 크기가 수평 방향으로는 줄어들고 수직 방향으로는 늘어날 경우에 입력되는 영상은 수평 포맷 변환부에서 수평 화소 수를 줄여 메모리에 저장된 다음 수직 포맷 변환부에서 라인 수를 증가시킨 후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되며, 수직 포맷 변환부에는 디스플레이 클럭이, 수평 포맷 변환부에는 입력 클럭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맷 변환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변환부는
    입력 영상의 크기와 출력 영상의 크기가 같을 경우에 입력 영상은 메모리에 저장되었다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맷 변환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변환부는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다른 동작 모드로 변경될 때 입력 영상은 메모리에 저장되었다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되는 과정을 거친 후 해당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맷 변환 장치.
KR1020000001420A 2000-01-12 2000-01-12 포맷 변환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59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420A KR100359816B1 (ko) 2000-01-12 2000-01-12 포맷 변환 장치
US09/758,362 US6683655B2 (en) 2000-01-12 2001-01-12 Video format conver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420A KR100359816B1 (ko) 2000-01-12 2000-01-12 포맷 변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146A true KR20010069146A (ko) 2001-07-23
KR100359816B1 KR100359816B1 (ko) 2002-11-07

Family

ID=19638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4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9816B1 (ko) 2000-01-12 2000-01-12 포맷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683655B2 (ko)
KR (1) KR10035981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617A (ko) * 2002-01-10 2003-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변 구조 포맷변환 장치 및 방법
KR100404218B1 (ko) * 2002-01-07 2003-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출력 장치
KR100423455B1 (ko) * 2001-10-24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429993B1 (ko) * 2001-09-12 2004-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처리기의 시스템클럭신호 보상 방법 및 장치
KR100441552B1 (ko) * 2002-01-22 2004-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변환장치 및 방법
KR100719364B1 (ko) * 2005-05-23 200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최소 크기의 출력 메모리를 구비한 비디오 스케일러 및출력 메모리 크기 선택 방법
KR100860174B1 (ko) * 2001-12-06 2008-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운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1817B2 (en) * 2001-05-11 2007-09-18 Thomson Licensing Aspect ratio conversion for imagers having random row access
US7002593B2 (en) * 2001-11-01 2006-02-21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reducing the power used by emissive display devices
JP2003274372A (ja) * 2002-03-14 2003-09-26 Fujitsu Ltd ラインメモリの容量を小さくした画像フォーマット変換装置
WO2003100551A2 (en) * 2002-05-17 2003-12-04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system for vfc memory management
US7825986B2 (en) 2004-12-30 2010-11-02 Mondo Systems, Inc. Integrated multimedia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centralized processing of signals and other peripheral device
US8015590B2 (en) * 2004-12-30 2011-09-06 Mondo Systems, Inc. Integrated multimedia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centralized processing of signals
US7653447B2 (en) * 2004-12-30 2010-01-26 Mondo Systems, Inc. Integrated audio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using centralized processing of signals
KR100793965B1 (ko) * 2005-11-07 2008-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신호를 캡쳐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744120B1 (ko) * 2006-01-10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신호 스케일러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 신호 처리 장치
US8032004B2 (en) * 2006-08-14 2011-10-04 Vmedia Research, Inc. Multimedia presentation forma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5072B1 (ko) * 1996-12-18 1999-10-15 윤종용 포멧 콘버터
KR100251967B1 (ko) * 1998-02-28 2000-04-15 윤종용 비디오 포맷 변환을 위한 룩업 테이블 구성방법과 룩업테이블을 이용한 스캔 포맷 컨버터
KR100268061B1 (ko) * 1998-08-20 2000-10-16 윤종용 비디오 포맷 모드 검출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993B1 (ko) * 2001-09-12 2004-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처리기의 시스템클럭신호 보상 방법 및 장치
KR100423455B1 (ko) * 2001-10-24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860174B1 (ko) * 2001-12-06 2008-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0404218B1 (ko) * 2002-01-07 2003-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영상 출력 장치
KR20030060617A (ko) * 2002-01-10 2003-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변 구조 포맷변환 장치 및 방법
KR100441552B1 (ko) * 2002-01-22 2004-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변환장치 및 방법
KR100719364B1 (ko) * 2005-05-23 200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최소 크기의 출력 메모리를 구비한 비디오 스케일러 및출력 메모리 크기 선택 방법
US7800700B2 (en) 2005-05-23 2010-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scalers having reduced output memory and methods for selecting output memory siz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83655B2 (en) 2004-01-27
KR100359816B1 (ko) 2002-11-07
US20010007477A1 (en) 200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9816B1 (ko) 포맷 변환 장치
KR100303723B1 (ko) 이미지업스케일방법및장치
EP1024663A3 (en) Image processing device
US6147717A (en) Display service for displaying video images of multiple channels on a screen
KR100311478B1 (ko) 디지털 티브이의 포맷 변환장치
US8139091B2 (en) Display system having resolution conversion
US6084568A (en) System and methods for both 2-tap and 3-tap flicker filtering of non-interlaced computer graphics to interlaced lines for television display
US674765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6489964B1 (en) Memory arrangement
US7609326B2 (en) Image scaler and method of the same
KR100404217B1 (ko) 배속 처리 포맷 변환 장치
KR20030060617A (ko) 가변 구조 포맷변환 장치 및 방법
KR100579326B1 (ko) 다입력비디오신호합성방법및장치
KR100577195B1 (ko) 다중 화면 발생 방법
JP2005099516A (ja) 画像処理回路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244226B1 (ko) 에이치디티브이의 다중화면 발생장치
KR100232605B1 (ko) Lcd 모니터의 색신호 동기조정장치
KR100207787B1 (ko) 레벨 검출기를 이용한 영상 확대 장치
US20060125818A1 (en) Image data synchronizer applied for image scaling device
JPH0944117A (ja) 画像表示装置
JP2000184315A (ja) 表示ユニット及びマルチスクリーン表示装置
JPH03106277A (ja) 多画面表示装置及びメモリ制御方法
JPH0583652A (ja) 映像拡大装置
KR19990018268A (ko) 액정 표시 장치용 해상도 변환 회로
JPH03226715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10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102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