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7234A - Process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Process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7234A
KR20010067234A KR1020000056594A KR20000056594A KR20010067234A KR 20010067234 A KR20010067234 A KR 20010067234A KR 1020000056594 A KR1020000056594 A KR 1020000056594A KR 20000056594 A KR20000056594 A KR 20000056594A KR 20010067234 A KR20010067234 A KR 20010067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lot
control
product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5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93936B1 (en
Inventor
코사카미쓰히데
우메시타나오키
카미도우조노카즈야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토미 마사오
료덴 세미컨덕터 시스템 엔지니어링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토미 마사오, 료덴 세미컨덕터 시스템 엔지니어링 (주)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10067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2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93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7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quality surveillance of produ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015Optimize, process management, optimize production lin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018Adapt process as function of results of quality measuring until maximum quali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026Circuit board, pc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To obtain a process control apparatus that can efficiently control micromachining of wafers, etc. CONSTITUTION: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comprises a processing equipment evaluating unit 14 for evaluating the capability of the processing equipment from the results of processing of products that are processed by the processing equipment that processes the products grouped into plurality of lots, and a lot selecting unit 15 for selecting a lot to be processed from plurality of lots based on the equipment capability evaluated by the processing equipment evaluating unit and the characteristics of plurality of lots.

Description

프로세스 제어장치{PROCESS CONTROL DEVICE}Process control unit {PROCESS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서, 피처리체(이하, "제품"이라고 기재함)를 처리하는 처리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스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처리에 의해서 변화되는 처리장치의 능력을 실시간으로 평가하여, 고정밀도의 초미세 가공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세스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target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duct") in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emiconductor device 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control device that enables high-precision ultra-fine processing by evaluating in real time the capability of a processing device that is changed by processing.

DRAM 등의 각 종의 반도체 장치는, 이들을 제조하는 처리장치의 한계 정밀도에 가까운 미세가공처리가 시행되기 위해서 처리결과가 변동하는 경우가 많다. 미세가공처리가 변동한 경우, 그 변동한 가공을 받은 웨이퍼상의 반도체 칩의 성능이 저하하는 요인을 내재시키고 있더라도, 반도체 칩이 테스트될 때까지, 성능저하를 알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 처리공정에서, 각 처리장치가 어떠한 처리를 했는가를 자동적으로 기록하여, 이 기록된 데이터를 기초로 불순물 주입이나 형상 형성의 시뮬레이션 및 반도체 칩의 시뮬레이션을 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최적의 제조 조건을 구하고, 다음 공정이후의 레시피(recipe)를 자동 설정하는 제안이 개시되어 있다(일본국 특개소63-249328호 공보). 이 기술을 적용하면, 반도체 칩이 완성되는 도중에 적합치 않은 처리가 행하여진 경우, 다음 공정 이후의 처리에 있어서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교정적인 처리를 시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various semiconductor devices such as DRAMs, the processing results are often varied in order to perform the microfabrication processing close to the limit accuracy of the process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m. When the micromachining process fluctuat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rformance deterioration is unknown until the semiconductor chip is tested even though the microchip processing has a factor in which the performance of the semiconductor chip on the wafer subjected to the fluctuation is degrad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each processing step, it is automatically recorded what processing each processing apparatus has performed, and based on the recorded data, simulation of impurity implantation, shape formation, and simulation of a semiconductor chip are performed. A proposal has been disclosed for obtaining optimum manufacturing conditions and automatically setting a recipe after the next step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3-249328). When this technique is applied, when an unsuitable process is performed in the middle of the completion of the semiconductor chip,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a corrective process that prevents the performance deterioration in the process after the next step.

또한, 제어가 적용된 처리공정이어도, 그 처리 후의 검사로 얻을 수 있는 데이터에 따라서 제어가 인위적으로 걸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제어에 인위적인 인자 개재하여, 복수의 공정간에 걸친 최적화 제어나 고정밀도화 제어가 특히 곤란하였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안(특개소60-200301호 공보)이 주어졌다. 그것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프로세스의 각 처리공정과 측정 공정을 맞추어 일련의 제조 프로세스를 구성하고, 각 처리공정을 측정공정에서 얻은 데이터에 의해서 적응 제어 또는 피드포워드(FF)제어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또한, 측정공정에서 얻은 데이터나 설계값에 따라서, 각 처리공정의 전후의 처리공정의 조건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각 처리공정의 제어가 자동화되어, 복수의 처리공정간의 최적화 제어가 가능해진다. 그 결과, 제어의 고정밀도화 및 이것에 의한 효율의 향상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Moreover, even in the control process to which control was applied, the control may be artificially taken according to the data obtained by the inspection after the processing. For this reason, the optimization control and the high precision control over several processes were especially difficult through the artificial factor for control.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ollowing proposal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0-200301) was given. That is, a series of manufacturing processes are formed by matching each processing step and measurement process of the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and each processing step is intended to be adaptively controlled or feedforward (FF) controlled by data obtained in the measuring process. Moreover, it is comprised so that the conditions of the process process before and behind each process process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ata and design value acquired at the measurement process. By using this technique, the control of each processing process is automated and the optimization control between a some process process is attained.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obtain the high precision of control and the improvement of efficiency by this.

또한, 최근, 제조능률을 높이기 위해서, 하나의 처리공정으로 복수의 처리장치를 병렬 배치한 제조라인이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제조라인이 다른 2이상의 처리공정에서, 동일 병렬 배치된 복수의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동일 롯(lot)은 동일 장치를 사용해야된다는 제안이 개시되어 있다(특개평6-168865호 공보). 이 방법에 의해, 각 롯은 다른 처리공정에서 동일 장치로 처리됨으로써, 양호한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increase manufacturing efficiency, a production line in which a plurality of processing apparatuse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one processing step is often set. In the case where these manufacturing lines use two or more apparatuses arranged in the same parallel in two or more processing steps, it is proposed that the same lot should use the same apparatus (se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6-168865). By this method, each lot is processed by the same apparatus in a different processing process, and it becomes possible to acquire favorable characteristics.

반도체 장치의 미세화는 고도화의 한결같은 모양을 가고 있고, 또한 제조비용을 저하시키기 위해서 제조설비도 대형화하는 경향을 강화하고 있다. 각 처리공정에서의 처리조건도 미묘하게 조정되어, 다수의 요인의 밸런스 성립하에 고정밀도의 초미세 가공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처리장치에 대하여, 처리조건을 변경하는 것은, 그 변경에 따라 부작용이라고 말할 열화요인이 나타나는 위험부담을 갖는다. 또한, 미세화의 정도가 고도화한 결과, 동일 처리조건의 설정대로 있더라도, 처리장치의 능력은 처리를 한번 실행 마다 일정한 경향을 갖고서 변동한다. 부득이 필요하여 처리조건을 변경하는 경우, 이 처리장치 능력의 변동을 받아들여 처리조건을 변경하지 않으면, 목표값 종류 또는 목표에 가까운 처리결과를 얻을 수 없다.The miniaturization of semiconductor devices is taking an ever-increasing shape, and in order to lower manufacturing costs, manufacturing facilities are also being intensified. The treatment conditions in each treatment step are also delicately adjusted, and highly precise ultrafine machining is performed under balance of many factors. For such a treatment apparatus, changing the treatment conditions has a risk of causing deterioration factors to be described as side effect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Further, as a result of the advancement of the degree of miniaturization, even if the settings of the same processing conditions are maintained, the capability of the processing apparatus fluctuates with a certain tendency for each execution of the processing. When the processing conditions are changed due to necessity, the target value type or the processing result close to the target cannot be obtained unless the processing conditions are changed due to the change in the capacity of the processing apparatus.

또한, 상기 병렬 배치된 복수의 처리장치를 다른 2이상의 처리공정에서 사용하는 경우, 동일 롯에는 동일 처리장치를 사용하는 방법(특개평6-168865호 공보)을 채용하더라도, 최근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에 요구되고 있는 고정밀도의 초미세 가공에는 불충분하다. 초미세 가공에 있어서, 동일 롯에 동일 처리장치를 조합하는 것이 알맞은지 어떤지 자명하지 않다. 동일 롯에 다른 처리장치를 조합하는 쪽이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경우도 가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사상의 제어기술만으로는, 최근의 초미세화의 동향에 추종할 수 없는 사태로 된다.In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parallel processing apparatuses are used in two or more different processing steps, even if a method of using the same processing apparatus in the same lot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6-168865) is adopted, the recent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s It is insufficient for high precision ultra-fine processing required for. In ultra-fine processing, it is not clear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combine the same processing apparatus in the same lot. It is also assumed that a combination of different processing units in the same lot will yield desirable results. Therefore, only the control technology of the above-mentioned thought becomes the situation which cannot follow the recent trend of ultra miniaturization.

그래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우선, 처리조건을 변경하는 위험부담을 지지 않고서 고정밀도의 미세가공을 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 처음에 처리조건을 변경하여 고정밀도의 미세가공을 할 수 있는 프로세스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처리의 종류에 따라서, 롯을 구성하는 제품마다 처리조건의 변경을 하거나, 이전 이력만에 의거하여 롯 선택이나 처리조건의 변경을 할 수 있는 유연성이 풍부한 프로세스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first of all, high precision micromachining can be performed without risk of changing the processing condition, and high precision micromachining can be performed by first changing the processing condition if necessary. To provide a process control device.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process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for each product constituting the lot or selecting the lot or chang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based only on the previous history. do.

또한, 상기한 것과 같이, 반도체 장치의 미세가공이 고도화한 결과, 종래와 같이 제품 전체를 1단위로서 파악하는 방법에서는, 목표 범위에 들어가는 부분은 좁은 부분으로 한정되어, 수율(yield)이 저하하는 사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제품을 복수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영역별로 이력(특성)을 파악함에 의해 큰 수율이 확보된 프로세스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of the advance of micromachining of semiconductor devices, in the method of grasping the whole product as one unit as in the prior art, a portion entering the target range is limited to a narrow portion, and yield is lowered. Things may happen. Accordingly,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cess control apparatus in which a large yield is secured by dividing a product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grasping a history (characteristic) for each region.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프로세스 제어장치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roc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프로세스 제어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rocess control device in FIG. 1;

도 3은 처리 흐름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도면,3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processing flow;

도 4는 롯 투입 흐름도,4 is a lot input flowchart;

도 5는 검이표(process route tag) 테이블의 데이터 내용을 도시한 도면,5 is a diagram showing the data contents of a process route tag table;

도 6은 반송처 선택 흐름도,6 is a flow chart of selection of a destination;

도 7은 롯 선택 흐름도,7 is a lot selection flowchart;

도 8은 제어공정 테이블의 데이터 내용을 도시한 도면,8 shows data contents of a control process table;

도 9는 피드포워드(feedforward) 롯 데이터 수집 테이블의 데이터 내용을 도시한 도면,9 shows data contents of a feedforward lot data collection table;

도 10은 장치 상태 테이블의 데이터 내용을 도시한 도면,10 shows data contents of a device state table;

도 11은 FA 단말 입력 테이블의 데이터 내용을 도시한 도면,11 is a diagram showing data contents of an FA terminal input table;

도 12는 처리/검사조건 결정 흐름도,12 is a flowchart for determining processing / inspection conditions;

도 13은 칩 그룹의 데이터 내용을 도시한 도면,13 is a diagram showing data contents of a chip group;

도 14는 제어조건 선택 테이블의 데이터 내용을 도시한 도면,14 is a diagram showing the data contents of a control condition selection table;

도 15는 처리/검사개시 지시 흐름도,15 is a flow chart of processing / inspection start instruction;

도 16은 품질 데이터 수집 흐름도,16 is a flow chart of quality data collection;

도 17은 피드포워드 장치 데이터 수집 테이블의 데이터 내용을 도시한 도면,17 shows data contents of a feedforward device data collection table;

도 18은 품질 체크 흐름도,18 is a quality check flowchart;

도 19는 공정 완료 처리 흐름도,19 is a process completion processing flowchart;

도 20은 처리조건을 변경하는 경우의 3개의 기준예를 설명하는 도면,20 is a view for explaining three reference examples when changing processing conditions;

도 21은 영역별 처리조건설정의 사고방법을 설명한 도면으로서,2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thinking for setting processing conditions for each area;

(a)는 반도체 웨이퍼의 영역구분을 도시한 도면,(a) shows the area classification of a semiconductor wafer;

(b)는 영역별 처리의 설정 방식을 도시한 도면,(b)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of setting processing for each region;

(c)는 예상되는 처리결과를 도시한 도면,(c) shows the expected processing result;

(d)는 영역별로 처리조건을 설정할 수 없는 처리장치의 영역별 능력을 도시한 도면(여기서, (d)와 같은 영역별의 장치특성을 갖는 경우, (b)에 나타낸 특성의 롯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함),(d) is a drawing showing the capability of each region of the processing apparatus for which processing conditions cannot be set for each region (where, in the case of having the apparatus characteristics for each region as shown in (d), the lot of characteristics shown in (b) is selected. Preferred),

도 22는 실시예를 들은 2개의 처리공정을 설명하는 도면,22 is a view for explaining two processing step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3은 실시예 1의 처리공정의 산화막 드라이 에치를 중심으로 각 공정을 나타낸 도면,23 is a diagram showing each step centering on the oxide film dry etch of the treatment step of Example 1;

도 24는 에칭의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단계의 단면도,24 is a sectional view of a step of forming a resist pattern of etching;

도 25는 에칭 실시 후의 단면도,25 is a cross-sectional view after etching is performed;

도 26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반사율과 제거 치수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FIG. 26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reflectance and a removal dimension in Example 2; FIG.

도 27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각 웨이퍼의 반사율, 상대 제거 치수 및 그 변동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7 is a diagram showing reflectance, relative removal dimension, and variation of each wafer in Example 2.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프로세스 제어장치 2 : FA 계산기1: Process Control 2: FA Calculator

3 : 품질제어용 서버 4 : 기준정보 격납부3: server for quality control 4: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5 : 수집 데이터 격납부 6 : 단말입력장치5: collection data storage unit 6: terminal input device

11 : 롯 투입부 12 : 반송처 선택부11: Lot input part 12: Return destination selector

13 : 롯 특성 도출부 14 : 장치상태 도출부13: lot characteristics derivation unit 14: device state derivation unit

15 : 롯 선택부 16 : 처리조건 변경부15: Lot selection unit 16: Processing condition changing unit

17 : 처리/검사제어부 18 : 품질 데이터 수집부17 processing / inspection control unit 18 quality data collection unit

21 : 레지스트 22 : 피에칭막21: resist 22: etching target film

23 : Si 기판 35 : 웨이퍼의 중앙영역23: Si substrate 35: center region of the wafer

36 : 웨이퍼의 주변영역 75 : 장치 제어 단말36: peripheral area of the wafer 75: device control terminal

80 : 처리장치 90 : 검사장치80: processing apparatus 90: inspection apparatus

95 : 반송수단 A : 레지스트 패턴의 피복부 치수95 conveyance means A dimension of coating portion of resist pattern

B : 피에칭막 패턴의 막 부분 치수B: Dimension of the film part of the etching target film pattern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복수의 롯에 구분되는 제품에 대하여 처리를 하는 처리장치의 프로세스 제어장치이다. 이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처리장치에 의해서 처리된 제품의 처리결과로부터 처리장치의 능력을 평가하는 처리장치 평가수단과, 처리장치 평가수단에 의해서 평가된 처리장치의 능력과 복수의 롯의 특성에 따라서, 복수의 롯중에서 처리해야 할 롯을 선택하는 롯 선택수단을 구비한다.A proces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control apparatus of a processing apparatus that processes a product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lots.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is characterized in accordance with processing apparatus evaluating means for evaluating the capability of the processing apparatus from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product process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the capability of the processing apparatus evaluat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evaluating mea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urality of lots. And lot selecting means for selecting a lot to be process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lots.

이 구성에 의해, 그 처리장치는, 복수의 롯중에서 그 시점에서 성격이 잘 맞는 좋은 롯을 선택할 수 있다. 롯 선택을 한 처리장치는 정해진 처리조건에 따라서 롯을 처리한다. 그 때, 처리조건을 변경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지만, 초미세 가공을 하는 경우, 처리조건의 변경은 뜻하지 않은 특정 장소에 변경의 영향을 미치게 하여, 불량처리되어지는 위험부담을 갖는다. 이러한 위험부담을 지지 않고서 롯에 대하여 목표에 될 수 있는 한 가까운 처리를 할 수 있는 것은, 처리조건을 변경하지 않고서, 그 처리장치의 목표로부터 벗어나는 능력(특성)과 반대경향의 특성을 갖는 롯을 선택하여 처리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어공정이 에칭처리이고, 그 시점에서 평균값보다도 패턴의 횡방향에 대하여 큰 에칭속도를 갖는 상태에 있는 에칭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복수의 롯중에서 레지스트 패턴 간격이 목표값보다도 좁은 롯을 선택한다. 상기한 상태의 장치에 의한 에칭은 오버에칭이 되지만, 상기 롯과 같이 레지스트 패턴 간격이 좁은 경우에는, 목표에 가까운 폭의 홈이 형성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processing apparatus can select a good lot having a good personality at that time from a plurality of lots. The processing unit that has selected the lot processes the lot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processing conditions. At that tim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change the processing conditions, but in the case of ultra-fine processing, the change of the processing conditions has a risk of being poorly processed by affecting the change at an unintentional specific place. To be able to do as close to the lot as possible as the target without bearing this risk is to have the ability to deviate from the goal of the processing device and the opposite trend without chang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To choose and process. For example, when a control process is an etching process and the etching apparatus in the state which has the etching speed larger than the average valu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a pattern at that time is used, the lot whose resist pattern space | interval is narrower than a target value among several lots. Select. Etching by the apparatus in the above state is overetched, but when the resist pattern interval is narrow as in the lot, grooves having a width close to the target are formed.

에칭장치의 상태(능력)는, 선행제품에 관해서 해당 에칭처리후의 검사에서 측정되고, 이력 기억수단은 처리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새로운 측정값이 반영되어 간다. 상기한 처리장치 평가수단은, 최신의 장치능력을 반영하도록, 통상, 새로운 수개의 데이터의 이동평균을 구하여 장치능력을 갱신하면서 도출한다. 또는, 최신의 1개의 데이터만을 사용하여도 된다.The state (capacity) of the etching apparatus is measured in the inspection after the etching treatment with respect to the preceding product, and the history storage means reflects the new measured value as the number of treatments increases. The processing apparatus evaluating means usually derives while updating the apparatus capability by obtaining a moving average of several new data to reflect the latest apparatus capability. Alternatively, only the latest one data may be used.

상기와 같이, 처리 직전의 장치에 있어서 최적의 롯 선택을 하는 제어사상은, 종래 없던 것이다. 이 제어사상의 적용에 의해, 뜻하지 않은 특정 장소에 제어조건의 변경에 의한 열화요인의 발생이라는 위험부담을 지지 않고서, 목표값 또는 목표값에 가까운 처리를 시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롯간 변동을 억제하여 수율 향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초미세 가공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이 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거액의 설비투자를 하여서 새로운 장치를 구입하지 않고, 동일 장치를 사용하여 1 순위상의 초미세가공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conventional control idea of making optimal lot selection in the device immediately before the processing. By applying this control idea,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a target value or a process close to the target value, without taking the risk of causing deterioration factors due to the change of the control condition at an unexpected place. For this reason, fluctuations between lots can be suppressed and a yield improvement can be obtain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ultra-fine processing and to perform the first-order ultra-fine processing using the same equipment without making a large investment in equipment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is control device is not used. It becomes possible.

상기 일 국면에 따른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처리장치에 의해서 처리된 제품의 처리결과에 관한 정보인 이력을 기억하는 이력 기억수단을 더 구비하여, 해당 이력은 상기한 복수의 롯의 특성을 포함하여도 된다.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aspect further includes history storage means for storing a history, which is information on a processing result of a product process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the history includ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urality of lots described above. do.

이 구성에 의해, 복수의 처리공정 사이에 걸친 처리결과를 비교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처리공정의 제어를 양적으로도 질적으로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처리공정 사이에 각 처리공정의 처리결과에 관한 정보가, 일괄하여 받아들이기 때문에, 다른 제조라인으로의 적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이력 기억수단은, 측정 데이터를 기억하는 특성 기억수단과 처리조건을 기억하는 처리공정 기억수단으로 나누어 구성하여도 좋고, 이러한 구성이 방대한 데이터의 정리에는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한 이력에는, 통상의 공정에서의 처리/검사조건이나 처리/검사결과 이외에, 다음과 같은 이력도 포함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easy to compare the processing results between the plurality of processing steps, and the control of the processing steps can be improv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Moreover, since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processing result of each processing process is received collectively between processing processes, application to another manufacturing line can be made easy. This history storage means may be divided into a characteristic storage means for storing measurement data and a process step storage means for storing processing conditions, and such a configuration is preferable for the organization of a large amount of data. 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history includes the following history in addition to the processing / inspection conditions and the processing / inspection results in a normal process.

(a) 모니터 검사 데이터 : 확산처리공정 등과 같이, 예를 들면, 웨이퍼100장 단위(25장의 롯, 4롯)로 처리되는 경우, 더미(dummy) 웨이퍼를, 예를 들면 3장 더하여, 상, 중, 하의 위치에 1장씩 배치하고, 합계 103장의 웨이퍼 처리를 한다. 이 확산처리에는, 상기 4롯의 번호와 관련된 배치(batch)번호가 부여된다. 웨이퍼의 두께 측정은, 더미의 3장에 관해서만 행해진다. 이 확산처리의 배치(batch)번호에는, 상기 3장의 더미의 두께 치수가 처리결과로서 기록되고, 상기 4롯 번호에도 그 두께 치수가 기록된다. 이와 같이, 롯 번호마다 처리되지 않은 처리공정의 데이터도 그 롯의 이력으로서, 당연히 이용할 수 있다.(a) Monitor inspection data: For example, when a wafer is processed in 100 wafer units (25 lots, 4 lots), such as a diffusion treatment process, three dummy wafers are added, for example, images, It arrange | positions one by one in the lower position, and performs a total of 103 wafer processes. In this diffusion process, a batch number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the four lots is assigned. The thickness measurement of a wafer is performed only about three sheets of a dummy. In the batch number of this diffusion process,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said three piles is recorded as a process result, and the thickness dimension is also recorded in the said 4 lot number. In this way, the data of the processing steps not processed for each lot number can of course be used as the history of the lot.

(b) 사진의 재생 롯의 데이터 : 사진제판처리에 있어서, 레지스트를 도포하고 마스크를 합친 후에 패턴 치수를 측정한 결과, 웨이퍼마다 재시도를 하는 경우, 재시도 웨이퍼는 일괄적으로 재시도를 한다. 즉, 재생 롯 번호가 부착되고, 먼저 도포한 레지스트를 떼어내고, 재도포가 되어 사진제판처리가 행해진다. 재처리가 되어진 웨이퍼는, 사진제판처리 후에, 모(parent) 집단(롯)에 다시 합류하여, 모롯과 함께 처리가 진행되어 간다. 이 사진제판공정으로 재생 롯 번호가 부착된 웨이퍼의 이력은, 사진제판처리공정에서는, 재시도한 처리조건이 이력으로서 기록되어야 되고, 실제, 재시도의 처리조건이 기록된다. 따라서, 프로세스제어도, 재시도한 웨이퍼에 관해서는, 이 재시도의 처리조건에 따라서 행해진다.(b) Photo reproducing lot data: In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when the pattern is measured after applying the resist and combining the masks, when retrying for each wafer, the retrying wafers are collectively retried. . That is, the regeneration lot number is affixed, the first applied resist is peeled off, and is recoated to perform photolithography. The wafer which has been reprocessed is joined again to the parent group (lot) after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and the process proceeds together with the molot. As for the history of the wafer to which the reproduction lot number has been attached in this photolithography process, in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the retry processing conditions must be recorded as the history, and the actual retry processing conditions are recorded. Therefore, the process control is also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his retry with respect to the retryed wafer.

또한, 재시도 제품으로 이루어지는 재생롯에 대해서의 재시도 처리공정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프로세스 제어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모롯으로 수집한 이전 공정의 수집 데이터를 사용해서 재시도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재시도 제품으로 이루어진 재생롯의 재시도 처리공정에서의 처리장치도, 상기한 본 발명의 프로세스 제어장치의 적용대상이다.In addition, when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a retry processing process for a regeneration lot made of a retry product, the retry processing can be controlled by using the collected data of the previous process collected by Morot. . That is, the processing apparatus in the retry processing process of the regeneration lot which consists of retry products is also the object of application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control apparatus of this invention.

상기 일 국면에서의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복수의 롯의 특성을, 처리공정보다 앞 공정의 이력으로부터 파악하는 롯 특성 파악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in the above aspect may further include lot characteristic detecting means for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urality of lots from the history of the preceding process rather than the processing step.

이 구성에 의해, 처리대상의 복수의 롯의 특성을 수치에 의해서 적절히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롯 특성 파악수단은, 롯의 앞 공정의 이력에 관해서, 그 이력의 목표값을 기준값으로 하여, 그 이력 값에 따라서 그 기준값의 상하로 변동하는 모양새(finish)를 나타내는 모양새 값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처리장치 평가수단은, 선행 제품의 이력으로부터 얻은 값에 관해서, 그 값이 목표대로의 처리결과를 가져오는 장치를 기준값을 갖는 장치로서 위치를 부여하고, 그 값에 따라서 그 기준값의 상하로 변동하는 장치의 능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기구 편차 계수(instrumental deviation coefficient)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롯 선택수단은, 모양새 값에 대한 상기 기구 편차 계수의 상(商) 또는 적(積)이, 각각 롯의 기준값에 대한 기구 편차 계수의 기준값의 상 또는 적에 가까운 롯을 상기 롯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롯 선택을 최신의 객관적인 숫자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처리공정의 종류에 의해서는, 그 공정에서의 처리결과는, 해당 처리에 의해서 남겨진 부분의 남기기 치수 또는 해당 처리에 의해서 소실된 부분의 제거 치수에 따라서 평가한다. 남기기 치수에 근거한 평가값과 제거 치수에 근거한 평가값은, 대략 역수의 관계에 있다. 양쪽 모두 남기기 치수에 의해 롯 선택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상에 따라서 롯 선택을 하고, 장치 상태를 제거 치수로 한 경우에는, 상기한 적에 의해서 한다.This configuration makes it possible to appropriately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urality of lots to be processed by numerical values. For example, the lot characteristic grasping means uses a target value of the history as a reference value with respect to the history of the previous process of the lot, and a shape value indicating a finish that changes up and down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history value. Can be derived. Further, the processing device evaluating means described above gives a position as a device having a reference value to a device having a reference value with respect to the value obtained from the history of the preceding product, and the value of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value. An instrumental deviation coefficient can be derived that represents the degree of capability of the device to fluctuate up and down. Further, the lot selecting means may select from among the lots in which the image or product of the instrument deviation coefficient with respect to the shape value is close to the image or product of the reference value of the instrument deviation coefficient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value of the lot, respectively. have. With this configuration, the lot selection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latest objective number. Depending on the type of treatment step, the result of the treatment in the step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remaining dimensions of the portion left by the treatment or the removal dimension of the portion lost by the treatment. The evaluation value based on the leaving dimension and the evaluation value based on the removing dimension are approximately in inverse relationship. In the case where the lot is selected based on the dimensions to be left, the lot i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phase, and when the device state is the removed dimension, the above-described enemy is used.

이때, 롯의 특성에는, 복수의 검사공정에서 얻을 수 있는 제품의 성질, 치수 등 뿐만 아니라, 복수의 앞 공정에서의 처리장치, 처리조건, 원재료 등 및 그것을 반영한 것이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장치의 능력이란, 그 장치가 처리한 제품의 복수의 앞 공정 및 후 공정에 있어서의 특성 그 자체, 또는 그것을 반영한 것이다. 또, 본 설명에서는, "처리결과에 관한 정보"와, "이력"과, "능력"과, "특성"과, "상태"는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한 장치능력이, 생(raw) 데이터가 아니라 생 데이터를 사용하여 계산하여 얻은 지표인 경우에는, 앞 공정으로부터 후 공정의 현재위치에 달하는 동안의 임의의 이력을 사용하여 계산한 값을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perties of the lot include not only the properties, dimensions, and the like of the products obtained in the plurality of inspection steps, but also the processing apparatuses, processing conditions, raw materials, and the like in the plurality of preceding steps, and the reflection thereof. Similarly, the capability of an apparatus reflects the characteristic itself in the several front process and post process of the product which the apparatus processed, or it reflects it. In this description, "information about the processing result", "history", "capability", "characteristics" and "state" may be used in the same sense. If the device capability described above is an indicator obtained by using raw data rather than raw data, the value calculated using any history from the previous process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ubsequent process can be used. have.

상기 일 국면에 따른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기준정보 기억수단을 구비하여, 기준정보 기억수단은, 처리에 있어서의 롯의 제어방법, 처리조건을 변경할 때의 조건, 및 그 처리에 관해서 이력 기억수단에 데이터를 수집해야 할지 아닐지의 정보를 구비하여도 된다.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aspect comprises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means, and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means is provided to the history storage means for the control method of the lot in the processing, the conditions when the processing conditions are changed, and the processing thereof.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data should be collected may be provided.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a) 수집 데이터의 보존, (b) 최적 처리조건의 선택, (c) 최적 장치의 선택 등의 제어의 중추 부분을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독립시킨 구성이 된다. 이 때문에, 다른 FA 시스템에 대해서도 본 프로세스 제어장치를 편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범용성이 향상된다. 또, 막 형성장치, 에칭장치등의 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각 장치마다 다르기 때문에, 통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본 프로세스 제어장치에 포함되는 장치로서 각 장치마다 장치제어단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By adopt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sent process control apparatus is configured such that (a) preservation of collected data, (b) selection of optimal processing conditions, (c) selection of optimal apparatus, and the like are independent of central parts of control as one system. Becomes This makes it possible to incorporate the present process control device into other FA systems, thereby improving the versatility.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method of each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film forming apparatus and an etching apparatus, differs for every apparatus, it is the apparatus contained in this process control apparatus so that an apparatus control terminal may be arrange | positioned for every apparatus so that it may control uniformly. desirable.

상기 일 국면에 따른 프로세스 제어장치에서, 상기 기준정보 기억수단을 구비한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처리조건을, 장치능력과 롯 특성의 관계에 따라서 롯마다 변경하는 처리조건 변경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In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aspect,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including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means includes processing condition changing means for chang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in the processing apparatus for each lot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paratus capability and the lot characteristics. You may further provide it.

장치에 있어서 처리시점에서 성격이 잘맞는 좋은 롯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는 양호한 결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 장치의 공백 상태를 만들지 않은 것을 우선적으로 하기 위해서 특성 불량이 예상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각 장치의 처리조건을 변경한다. 이러한 처리조건의 변경을 부득이 한 경우에는, 처리조건의 변경에 의해서 롯의 특성이 열화하는 위험보다도, 개선되는 기대의 쪽이 크다. 이 결과, 장치의 고가동율을 유지한 뒤에 목표값대로 인가 그것에 가까운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장치에 의해서는 장치의 기종차가 없는 것이 있고, 그와 같은 경우는, 처리조건을 변경하여, 목표값대로 또는 그것에 가까운 처리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 결과, 미세가공처리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case where it is difficult to expect a good result only by selecting a good lot that sui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at the time of processing, or in the case where a characteristic defect is expected in order to give priority to not creating a blank state of the device, Change the processing conditions. If such a change in the processing conditions is inevitable, the expectation to be improved is greater than the risk of deterio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t due to the change of the processing condition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processing close to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target value after maintaining the high operation rate of the apparatus. Some devices do not have a model difference of the device. In such a case, the processing conditions can be changed to obtain a processing result at or near the target value. As a result, the precision of the micromachining process can be improved.

이때, 각 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처리조건은 각 장치의 조건설정방식에 따라서, 처리방법의 일련의 조건을 정한 레시피와 대응하는 레시피 코드 또는 처리방법의 변경가능한 처리요인에 관해서의 조건 파라미터에 의해서 설정된다. 이 때문에, 처리조건 변경수단은, 각 장치의 조건설정방식에 따라서, 장치의 레시피 코드를 변경하거나 또는 장치의 처리 파라미터를 변경한다.At this time, in each processing apparatus, the processing conditions are set according to the condition setting method of each apparatus by the condition parameter regarding the recipe which determined the series of conditions of a processing method, the recipe code corresponding to a process method, or the changeable processing factor of a processing method. do. For this reason, the processing condition changing means changes the recipe code of the apparatus or the processing parameter of the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 setting method of each apparatus.

상기 일 국면에 따른 프로세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준정보 기억수단을 구비한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제품마다 처리를 하는 처리장치에 대하여, 롯을 구성하는 제품의 특성과 장치능력의 관계에 따라서 제품마다 처리조건을 변경하는 제품 제어 변경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In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aspect described above,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provided with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means for each product in accordance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constituting the lot and the device capability with respect to the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for each product. The product control changing means for chang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may be further provided.

미세가공이 고도화함에 따라, 롯마다의 제어에서는 목표 정밀도를 얻을 수 없는 처리공정이 많아진다. 이러한 처리공정에서는, 상기한 것과 같이 롯을 구성하는 제품마다 제어를 한다. 이 제품 제어수단을 채용함으로써, 롯내 변동은 감소하여,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1 순위상의 가공 정밀도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제품 제어수단을 사용하여, 1롯을 구성하는 전제품에 일률적으로 같은 처리조건으로 처리를 시행하여도 된다.As micromachining becomes more advanced, there are more processing steps in which target accuracy cannot be obtained in the control for each lot. In this processing step, control is performed for each product constituting the lot as described above. By adopting this product control means, the variation in the lot is reduced, and it becomes possible to achieve the first-order machining accuracy using the same apparatus. By using this product control means, all the products constituting one lot may be treated under the same processing conditions.

상기 일 국면에 따른 프로세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준정보 기억수단을 구비한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롯 특성만에 따라서,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롯 선택 및 롯마다의 처리조건의 변경중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행하는 간이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In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aspect described above,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including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means may be any one of selecting a lot in the processing apparatus and changing processing conditions for each lot according to the lot characteristics only. You may further include the simple control means which performs both.

이 구성에 의해, 장치능력 등을 도출하지 않더라도, 예를 들면, 앞 공정에서 사용한 장치, 원재료, 처리 조건(레시피, 처리 코드)등을 안것만으로 롯 선택이나 처리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앞 공정의 특성의 범위를 나누어서 그 범위에따라서 처리조건(레시피, 처리코드)을 설정할 수도 있다. 간편한 처리를 하는 공정에서는 이와 같은 제어만으로 충분히 유용하다. 이 때문에, 처리조건의 설정이 간편해져, 실수의 발생 등을 억제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even if the device capacity or the like is not derived, the lot selection and the processing conditions can be set only by knowing the equipment, raw materials, processing conditions (recipe, processing code) and the like used in the previous step, for example.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divide the ran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ceding process and set the processing conditions (recipe, process code) according to the range. In a simple process, such control is useful enough. For this reason, setting of processing conditions becomes easy, and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a mistake can be suppressed.

상기 일 국면에 따른 프로세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준정보 기억수단을 구비한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제품마다 처리를 하는 처리장치에 대하여, 제품 특성만에 따라서, 제품마다의 처리조건의 변경을 하는 간이 제품 제어변경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In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aspect described above,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provided with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means makes it easy to change the processing conditions for each product in accordance with only product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the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for each product. The product control change means may be further provided.

이 구성에 의해, 제품마다 처리조건을 변경하는 경우라도, 그 처리 직전의 장치능력을 평가하지 않고 제품 특성만에 따라서, 처리조건을 간편히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processing conditions are changed for each product, the processing conditions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only the product characteristics without evaluating the device capability immediately before the processing.

상기 일 국면에 따른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처리공정에 병렬 배치된 복수의 동종의 처리장치에 대하여, 처리대상의 롯의 특성과 병렬 배치된 복수의 처리장치의 능력에 따라서, 그 롯이 처리되어야 되는 처리장치를 복수의 처리장치로부터 선택하는 최적장치 선택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apparatuses arranged in parallel in a processing proces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ing target lot and the capability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rranged in parallel.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optimum device selecting means for selecting a processing device from a plurality of processing devices.

이 구성에 의해, 장치능력이 크게 다른 복수의 장치가 병렬배치되어 있는 처리공정에서, 롯에 있어서 최적의 장치선택을 할 수 있어, 고정밀도의 가공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is configuration makes it possible to select an optimum device in a lot in a processing step in which a plurality of devices having largely different device capabilities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to perform high-precision processing.

상기 일 국면에 따른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처리장치 평가수단은, 그 처리장치에서 처리된 롯중, 이력 기억수단에 데이터 수집되어 있지 않은 미기억의 롯을 고려하여, 그 미기억의 롯 처리에 의해서 처리장치의 능력에 생기는 변화를 받아들여, 해당 처리장치의 능력을 예측하는 처리장치 예측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In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aspect described above, the processing apparatus evaluating means processes the unmemored lot processing of the lots process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by considering the unmemored lots that are not collected in the history storage means. It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or predicting means for accepting a change in the capability of the apparatus and predicting the capability of the processor.

통상, 제어공정에서의 처리가 종료한 후, 검사가 행해지기까지 수시간∼수일간 걸리고, 이 수시간∼수일간 동안도 롯의 처리는 연속된다. 이 수시간∼수일간 동안에, 처리한 롯수에 따라서 막 형성처리에 있어서 막이 두껍게 형성되거나, 에칭특성이 변화되거나, 장치능력의 경시변화가 진행하기도 한다. 이 장치능력의 경시변화는, 종래 별로 문제가 된 경우는 없었지만, 가공이 너무나도 미세화되었기 때문에, 에칭특성의 미묘한 경시변화가 제품의 모양새에 큰 영향을 미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이 경시변화를 고려하여, 제어대상의 롯이 해당 제어공정에 관계되기 직전의 장치의 능력을 도출할 수 있다. 이 결과, 고정밀도의 미세가공이 가능해지고, 높은 수율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Usually, after completion of the processing in the control step, it takes several hours to several days before the inspection is performed, and the lot processing is continued for several hours to several days. During this several hours to several days, a thick film is formed in the film forming process, an etching characteristic is changed, or a time-dependent change in apparatus capability may be progressed depending on the processed lot number. This change in device capability has not been a problem in the past, but since the processing is so fine, a subtle change in etching characteristics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in consideration of this change over time,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capability of the device immediately before the lot to be controlled is involved in the control process. As a result, high precision micromachining is possible and high yield can be maintained.

상기 일 국면의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처리장치의 능력을 수동에 의해 입력할 수 있는 처리장치 능력 입력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of the above aspect may further include processing apparatus capability input means capable of manually inputting the capability of the processing apparatus.

이 수동입력에 의해, 정기적인 보수나 임시보수가 행하여져 장치의 능력이 갱신된 경우에 경험적으로 알고 있는 갱신시의 능력이나 실측값에 근거하는 능력을 입력하여서, 그 때의 정확한 장치의 능력을 파악하여 그 처리결과를 목표값에 가까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동입력의 수단의 부가에 의해, 어떠한 사태에도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프로세스 제어를 할 수 있어, 수율 향상이나 생산성의 향상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When manual maintenance is performed by this manual input and the capacity of the device is updated, the capacity of the device based on the measured value and the capacity at the time of update, which are known empirically, are inputted to determine the exact capacity of the device at that time. This is because the processing result can be closer to the target value. By the addition of such manual input means, it is possible to perform process control capable of appropriately coping with any situation,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 yield improvement and an improvement in productivity.

본 발명의 다른 국면의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제품을 처리하는 처리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스 제어장치이다. 이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처리장치에 의해서 처리된 제품의 처리결과에 관한 정보인 영역별의 이력을 기억하는 이력 기억수단과, 처리공정의 처리장치에 의해서 처리된 선행제품의 이력으로부터 영역별의 처리장치 능력을 평가하는 처리장치 평가수단과, 처리장치 영역별의 능력과, 제품 영역별의 이력의 관계에 따라서, 해당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결과를 목표에 가까이 하도록 그 처리장치의 처리조건을 설정하는 처리조건 설정수단을 구비한다.A proc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a product.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history storage means for storing a history for each region, which is information on a process result of a product process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and a process for each region from the history of the preceding product process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ocessing process. The processing condition of the processing apparatus is set so that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processing is closer to the target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ing apparatus evaluation means for evaluating the apparatus capability, the capability per processing apparatus region, and the history of each product region. Processing condition setting means is provided.

상기와 같이, 제품의 영역별로 특성을 파악하여 처리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제품 전체에 걸쳐 균일한 특성의 것을 얻을 수 있고, 큰 수율 향상을 가져온다. 상기 제어는, 처리장치가 영역별로 처리조건을 설정할 수 없는 것이더라도, 그 처리장치의 습관으로서 파악해 두면, 제품 영역별의 특성에 따라서 제어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이력이나 특성의 파악만 영역별로 해 두면, 그 처리장치의 습관에 따른 처리조건을 설정하여, 제품 특성을 영역별로 변동하지 않게끔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처리장치가 영역별로 제어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면, 상기 요령에 의해 영역별로 제어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제어조건의 설정은, 제품마다 하여도 좋고, 롯마다 하여도 좋다.As described above, by controlling the processing apparatus b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for each area of the product, one having a uniform characteristic can be obtained over the entire product, resulting in a large yield improvement. In the above control, even if the processing apparatus cannot set processing conditions for each region, if it is understood as a habit of the processing apparatus, the control conditions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duct region. In other words, if only the history or characteristics are identified, the process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habits of the processing apparatus can be set, and the product characteristics can be controlled so as not to change from region to region. If the processing apparatus can set the control condition for each area, the control condition can be set for each area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above control conditions may be set for each product or for each lot.

상기 다른 국면의 프로세스 제어장치에서는, 처리조건 설정수단은, 영역별로 처리조건을 설정하는 영역별 설정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In the above process control apparatus, the processing condition sett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rea setting means for setting processing conditions for each area.

처리장치에 대하여 영역별로 처리조건을 설정함으로써, 더욱 균일성이 높은 제품을 얻을 수 있어, 제품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By setting processing conditions for each processing area for the processing apparatus, a more uniform product can be obtained, and the product value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의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복수의 롯으로 구분되는 제품에 대하여 처리를 하는 처리장치의 프로세스 제어장치이다. 이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처리장치에 의해서 처리된 제품의 처리결과에 관한 정보인 제품 영역별의 이력을 기억하는 이력 기억수단과, 처리공정의 처리장치에 의해서 처리된 선행제품의 이력으로부터, 해당 처리장치의 영역별의 능력을 평가하는 처리장치 평가수단과, 처리공정보다 앞의 롯의 이력과 처리장치 평가수단에 의해서 평가된 처리장치의 영역별 능력과의 관계에 따라서, 처리장치가 처리해야 할 롯을 복수의 롯중에서 선택하는 롯 선택수단을 구비한다.A proc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control device of a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a produc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ots.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history storage means for storing a history for each product area that is information about a processing result of a product process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and a history of the preceding product process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ocessing process.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cessing unit evaluation means for evaluating the capability of each region of the apparatus and the capability of the region of the processing apparatus evaluated by the history of the lot ahead of the processing process and the processing apparatus evaluation means, the processing apparatus should be processed. Lot selecting means for selecting a lot among a plurality of lots is provided.

롯 특성은 롯을 구성하는 제품의 영역에 따라서 특성이 일정한 경향으로 편차가 있는 경우가 많다. 이 편차의 정도는 장치에 따라서 크게 다르기 때문에, 처리 직전의 장치의 능력에 따라서 최적 롯 선택을 함으로써, 처리조건의 변경에 따르는 위험부담을 지지 않고서 제품 전체에 걸쳐 평균화된 특성의 웨이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칩 양품을 수 많이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그 제품, 예를 들면 웨이퍼로부터 칩 제조에 이르는 동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제품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1순위상의 미세가공처리를 할 수 있다.Lot characteristics are often deviated by a certain tendency in accordance with the area of the product constituting the lot. Since the degree of this deviation varies greatly from device to device, by selecting the optimal lot according to the capability of the device immediately before processing, it is possible to obtain wafers of averaged characteristics across the product without the risk of chang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 For this reason, since a large number of chip goods can be obtained, the yield from the product, for example, a wafer, to chip manufacture can be improved.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improve the value of a product. In addition, the same apparatus can be used for micromachining on the first order.

상기 또 다른 국면의 프로세스 제어장치에서는, 복수의 롯의 영역별의 이력을, 처리공정보다 앞의 처리공정의 이력으로부터 파악하는 롯 특성 파악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of the still another aspect may further include a lot characteristic detecting means for grasping the histor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lots from the history of the processing step preceding the processing step.

이 구성에 의해, 앞의 이력으로부터 그 처리에 있어서 바람직한 제어를 위한 지표를 도출할 수 있어, 보다 고정밀도인 미세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is configuration makes it possible to derive an index for a preferable control in the processing from the previous history, and to perform finer machining with higher precision.

상기 다른 국면 또는 상기 또 다른 국면에 따른 프로세스 제어장치에서는,제품은 반도체 웨이퍼로, 해당 반도체 웨이퍼가 복수개 영역으로 구분되어도 된다.In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other or another aspect, the product may be a semiconductor wafer, and the semiconductor wafer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웨이퍼의 경우에는, 동심원 형상으로 특성이 변화되는 경우, 중심부를 원점으로 하여 십자선으로 나누어진 제 1∼제 4 상한의 영역에 따라서 특성이 변화되는 경우 등이 많다. 어떠한 영역의 형상의 구분으로 할까는, 처리장치의 종류등에 의해서 변화되기 때문에, 천차 만별하다. 처리장치에 따라서 적절한 영역의 형상을 설정하고, 영역별의 이력을 얻어, 특성의 영역별 분포의 교정 등을 적절히 제어한다. 이 결과, 웨이퍼 내의 특성은 대단히 변동이 작은 것이 될 수 있어, 그 웨이퍼의 시장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case of a wafer, when a characteristic changes to a concentric shape, a characteristic changes in many cases according to the area | region of the 1st-4th upper limit divided by the crosshair with the center as the origin. As to what kind of area the shape is divided into, it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processing apparatus and so on.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ing apparatus, the shape of the appropriate area is set, the history of each area is obtained, and the correction of the distribution of the area of the characteristic is appropriately controlled.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in the wafer can be very small, and the market value of the wafer can be improved.

상기 또 다른 국면의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기준정보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그 기준정보 기억수단은, 처리에 있어서의 롯 제어방법, 처리조건을 변경할 때의 조건, 및 그 처리에 관해서 영역별 이력을 수집해야할지 아닌지의 정보를 구비하여도 된다.Another aspect of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includes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means, and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means records the history of each area with respect to the lot control method in the processing, the conditions when chang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and the processing thereof.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o collect may be provided.

상기 구성에 의해, 영역별의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통일적으로 상기 기억수단에 격납해 두고, 각 처리공정에서의 처리시 필요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1 패키지로서 임의의 처리공정에 조립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섬세하고 치밀한 고정밀도의 제어방법임에도 불구하고, 범용성이 향상하여 큰 변경을 하지 않고 용이하게 처리공정에 편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a vast amount of data for each area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ans in a unified manner and used as necessary during the processing in each processing step, so that it can be assembled in any processing step as one package. . For this reason, in spite of the delicate and precise control method with high precision, the versatility is improved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incorporate it into the processing step without making a large change.

상기 또 다른 국면의 프로세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기준정보 기억수단을 구비한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조건을, 영역별 장치능력과 롯의 영역별 특성과의 관계에 따라서 롯마다 변경하는 처리조건 변경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including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means changes the conditions in the processing apparatus for each lot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ea capability and the area characteristic of the lot. The processing condition changing means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구성에 의해 영역별의 이력을 고려하여 처리조건(레시피 코드, 처리 파라미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율 향상이나 초미세 가공처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1순위상의 미세가공처리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ocessing conditions (recipe code, processing parameters, etc.)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history of each area. For this reason, the yield improvement and the ultrafine processing reliabil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micromachining process of the first order using the same apparatus.

상기 또 다른 국면의 프로세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기준정보 기억수단을 구비한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제품단위로 처리를 하는 처리장치에 대하여, 롯을 구성하는 제품의 영역별의 특성과 영역별의 장치능력과의 관계에 따라서 제품마다 처리조건을 변경하는 제품처리 변경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provided with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ing capability of the processing unit in the product uni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of the product constituting the lot and the device capability of each area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roduct processing changing means for chang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for each product in accordance with th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제품마다 처리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섬세하고 조밀한 제어를 할 수 있어, 한층 고정밀도인 미세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chang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for each product, fine and dense control can be performed and finer machining can be performed with higher precision.

상기 또 다른 국면의 프로세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기준정보 기억수단을 구비한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영역별의 롯 특성에만 따라서,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롯 선택 및 롯마다의 처리조건의 변경중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하는 간이제어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including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means is either one of the selection of the lot in th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change of the processing conditions for each lot, depending on the lot characteristics for each region. Alternatively, simple control means for both sides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구성에 의해, 처리공정의 성격에 따라서 고정밀도로 유연한 제어를 간편히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becomes possible to simplify flexible control with high precision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treatment step.

상기 또 다른 국면의 프로세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기준정보 기억수단을 구비한 프로세스 제어장치에서는, 제품마다 처리를 하는 처리장치에 대하여, 영역별의 제품특성에만 따라서, 제품마다의 처리조건을 변경하는 간이 제품 제어변경수단을더 구비하여도 된다.In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of the still another aspect,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provided with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means is a simple product which changes the processing conditions for each product according to the product characteristics for each region with respect to the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for each product. You may further comprise a control change means.

본 발명의 프로세스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처리에서는, 자동화되어 있는 처리공정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제품마다 처리조건을 설정하는 것은 롯마다 처리조건을 변경하는 것과 변함은 없다. 이 때문에, 간편한 방법으로 섬세하고 치밀하게 용이하게 고정밀도의 미세가공을 시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process to which the process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ince the process is automated in most cases, setting the processing condition for each product is not the same as changing the processing condition for each lot. For this reason,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highly precise fine processing easily and delicately by a simple method.

상기 또 다른 국면의 프로세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기준정보 기억수단을 구비한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처리조건의 변경을 영역별로 하는 영역별 변경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In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of the still another aspect,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provided with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means may further include area change means for chang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for each area.

영역별로 처리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영역의 특성에 따른 처리가 가능해져, 제품특성은 크게 향상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장치를 갱신하지 않고 현재 가지고 있는 장치를 사용하여 더욱 고레벨의 미세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화되어 있는 처리공정에서는, 영역별로 처리조건을 설정하는 것은 용이하고, 비싼 장치의 갱신없이 간편히 고레벨의 미세가공이 가능해진다.By sett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for each area,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is possible, and the product characteristics are greatly improved.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higher level of micromachining by using an apparatus that is presently existing without updating the conventional apparatus. In the automated processing process, it is easy to set processing conditions for each area, and high-level micromachining can be performed easily without updating expensive equipment.

상기 또 다른 국면에 따른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처리공정에 병렬배치된 복수의 동종의 장치에 대하여, 처리대상의 롯의 영역별 특성과 병렬배치된 복수의 처리장치의 영역별 능력에 따라서, 그 롯이 처리되어야 되는 처리장치를 복수의 처리장치로부터 선택하는 장치 선택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control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devices of the same type arranged in parallel in a processing step, depending on the area-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lot to be processed and the area-specific capabilities of the plurality of processing devices arranged in parallel. Device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the processing apparatus to be processed from a plurality of processing apparatuses may be further provided.

롯에 있어서 최적의 장치선택을 영역별의 데이터에 따라서 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한 장치선택을 할 수 있다.Since the optimal device selection can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data for each area in the lot, precise device selection can be performed.

상기 또 다른 국면에 따른 프로세스 제어장치에서는, 처리장치 평가수단은,그 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제품중, 이력 기억수단에 데이터 수집되어 있지 않은 미기억의 제품을 고려하여, 그 미기억 제품의 처리에 의해서 처리장치의 영역별의 능력에 생기는 변화를 받아들여, 해당 처리장치의 영역별 능력을 예측하는 처리장치 예측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In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still another aspect, the processing apparatus evaluating means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unmemored products which have not been collected in the history storage means among the products process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and thus the processing means for processing the unmemory products.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processor predicting means for accepting a change in the capability of each region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nd predicting the capability of the region of the processing apparatus.

상기 구성에 의해, 처리직전의 영역별의 장치능력을 예측할 수 있고, 영역별의 처리조건의 변경이나 롯 선택을 보다 실제의 능력에 가까운 값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어, 고정밀도의 미세가공의 신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device capacity of each area immediately before the treatment, and to change the processing conditions and lot selection for each area by using a value closer to the actual capacity, thereby providing high precision micromachining. The reli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using drawing.

(실시예 1).(Example 1).

도 1에 있어서, 처리장치(80) 및 검사장치(90)는, 본 발명의 프로세스 제어장치(1)에 의해서 제어된다. 상기한 시스템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제조 라인은 반도체 웨이퍼 처리 라인이기 때문에, 처리장치에는, 사진제판, 확산, 이온주입, 에칭 등의 처리를 하는 처리장치가 포함된다.In FIG. 1, the processing apparatus 80 and the inspection apparatus 90 are controlled by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1 of this invention. Since the manufacturing line to which the above system control apparatus is applied is a semiconductor wafer processing line, th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such as photolithography, diffusion, ion implantation, etching, and the like.

프로세스 제어장치(1)에는, FA 계산기(2)와, FA 계산기에 부속된 품질제어용 서버(3)와, 장치제어단말(85)과, 기준정보 격납부(4)와, 수집 데이터 격납부(5)와, 단말 입력장치(6)가 포함된다. 각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처리조건의 설정방식은 다르지만, 크게 나누면, 레시피 코드 지정방식과 처리 파라미터 설정방식의 2방식이 있다. 레시피 코드 지정방식에서는, 그 처리장치에서의 일련의 처리가 레시피로서 주어지고, 사용자는 레시피 코드를 지정하면 그 레시피 코드에 대응한 일련의 처리를 할 수 있다. 한편, 처리 파라미터 설정방식에서는, 그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일련의 처리결과에 큰 영향을 갖는 처리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The process control device 1 includes an FA calculator 2, a quality control server 3 attached to the FA calculator, an apparatus control terminal 85, a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unit 4, and a collection data storage unit ( 5) and a terminal input device 6 are included. Although the method of setting processing conditions in each processing apparatus is different, there are two methods, a recipe code specifying method and a processing parameter setting method. In the recipe code designation method, a series of processing in the processing apparatus is given as a recipe, and when a user designates a recipe code, the user can perform a series of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recipe code. 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ing parameter setting method, it is possible to set processing parameters having a great influence on a series of processing results in the processing apparatus.

기준정보 격납부(4)에는, 롯이 속하는 상품종인 칩명마다 각 처리장치에 있어서 행해지는 처리조건 등의 처리 플로우에 관한 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이 처리 플로우에 관한 정보는, 처리공정의 설정, 그 처리공정에서의 처리방법(제품제어수단, 간이 제어수단을 사용할까 등), 각 처리장치의 처리조건 설정방식에 따른 레시피 코드 또는 처리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있다. 어떤 처리공정에서, 롯 특성 파악부에서 사용해야되는 복수 또는 단일의 앞 공정의 이력의 지정이나 처리장치 평가부에 사용해야되는 앞 공정으로부터 후 공정에 이르는 이력의 지정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앞 공정의 장치, 처리조건, 특성 범위에 따른 제어공정에서 사용해야되는 장치, 처리조건을 변경하는 경우의 롯 특성과 장치능력과의 관계 등도 미리 정해지고, 기준정보 격납부(4)에 격납되어 있다. 또한, 수집 데이터 격납부에 수납해야 할 처리공정의 결과 등도 지정되어 있다.In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section 4, information about a processing flow such as processing conditions performed in each processing apparatus is stored for each chip name that is a product type to which the lot belongs. Information about this processing flow includes recipe codes or processing parameters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processing step, the processing method (product control means, simple control means, etc.) in the processing step, and the processing condition setting method of each processing apparatus. It is included. In some processes, the designation of the history of multiple or single previous processes to be used in the lot characterization section, or the designation of the history from the previous process to the post-process to be used in the treatment unit evaluation section is included. In addition, the apparatus of the preceding process, the processing conditions, the apparatus to be used in the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r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t characteristics when chang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and the apparatus capacity, etc. are determined in advance, and stored in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section 4. It is. Moreover, the result of the process process to be accommodated in the collection data storage part, etc. are also specified.

수집 데이터 격납부(5)에는, 제조 라인 전체의 임의의 처리공정에서의 제품특성, 데이터를 수집 기억할 수 있다. 제품 특성 데이터의 예로서는, 검사공정에서 측정된 측정결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음의 데이터는, 별도로 QC 데이터 격납부와 같은 기억수단을 설치하여, 거기에 기억하여도 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수집 데이터 격납부(5)에 제품 특성 데이터와 함께 기억하여도 된다. 즉, 제품이 속하는 롯 번호, 앞 처리 공정에서 실제로 처리 또는 검사를 한 처리장치 및 검사장치의 번호, 처리에 사용된 원재료, 처리장치의 처리조건 및 검사장치의 검사조건등의 데이터는, 본 실시예에서는 수집 데이터 격납부(5)에 기억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처리조건은 처리장치의 조건설정방식에 따라서, 레시피 코드 또는 처리 파라미터가 입력된다.In the collection data storage section 5, product characteristics and data in any processing step of the entire production line can be collected and stored. As an example of product characteristic data, the measurement result measured at the inspection process, etc. are mentioned. In addition, the following data may be separately stored in a storage means such as a QC data storage unit, and may be stored therein. Alternatively, the following data may be stored in the collection data storage unit 5 together with the product characteristic data. . That is, the data such as the lot number to which the product belongs, the number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nd inspection apparatus that have actually been processed or inspected in the previous treatment process, the raw materials used in the process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inspection conditions of the inspection apparatus are performed in this manner. In the example, it is stored in the collected data storage 5.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ing condition, a recipe code or processing parameter is input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 setting method of the processing apparatus.

단말 입력장치(6)는, 처리장치가 정기 보수등을 받아 능력이 갱신되었을 때에, 측정 데이터나 경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처리장치의 능력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다.The terminal input device 6 is an apparatus for inputting the capability of the processing apparatus based on the measurement data or the experience data when the processing apparatus receives the periodic maintenance and the like and the capability is updated.

또한, 장치 제어 단말(75)은, 많이 다른 메이커의 처리장치를 통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처리장치에 의해서 다른 각 종 신호를 통일적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본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반송지시수단은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포함시켜도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use the processing apparatuses of many different manufacturers uniformly, the apparatus control terminal 75 is provided so that a various signal may be handled uniformly by the processing apparatus. 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does not include the conveying instruction means, but may be included.

도 2를 참조하여, 롯 투입부(11)는, 투입된 롯의 상품종명(칩명)에 의해 기준정보 격납부(4)로부터 롯(검이표(process route tag)) 번호 및 처리 플로우를 그 롯에 취득시킨다. 반송처 선택부(12)는, 롯 번호와 처리 플로우로부터 그 롯이 처리되는 장치를 특정하여, 반송처인 그 장치용의 스토커(선반)를 검색하여 특정한다. 롯 특성파악부(13)는 기준정보 격납부(4)에 격납되어 있는 제어공정에 관한 화일의 지시명령에 따라서, 그 제어공정에서 유효한 앞 이력(특성)을 수집 데이터 격납부(5)로부터 판독하고, 필요한 계산을 하여 롯 특성인 모양새 값을 도출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간이 제어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간이 제어수단은 수집 데이터 격납부(5)로부터 앞 처리공정에서의 처리조건(원재료를 포함한다)이나, 처리 장치번호를 호출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처리장치평가부(14)는, 기준정보 격납부에 격납된 화일의 지시에 따라서, 그 처리공정의 전후의 처리결과의 특성을 수집 데이터 격납부(5)로부터 판독하여, 계산을 하고, 장치 능력인 기구 편차 계수를 처리에 관계할 때에 도출한다. 최적 롯 선택부(15)는, 상기한 롯 특성과 장치능력에 근거하여 장치 선택 계수를 산출하여, 처리에 관계할 때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목표처리결과를 내기 쉬운 롯을 선택한다. 또한, 처리조건 변경부(16)는, 상기 수치화한 값 등에 따라서, 기준정보 격납부(4)에 격납된 처리조건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 처리조건을 변경한다. 처리/검사제어부(17)는, 이 처리조건에 따라서, 그 장치에 의한 처리의 제어 및 그 처리결과를 평가하는 검사를 한다. 처리 및 검사가 종료하였을 때, 품질 데이터 수집부(18)는, 기준정보의 지시에 근거하여 검사결과 등을 수집 데이터 격납부(5)에 격납한다. 또한, 변경된 처리조건은 수집 데이터 격납부(5)에 수집 격납된다. 수집 데이터 격납부(5)에는, 변경이 없는 경우이어도 실제로 처리된 처리조건이 격납되어 간다.With reference to FIG. 2, the lot input part 11 plots the lot (process route tag) number and processing flow from the reference | standard information storage part 4 by the goods type name (chip name) of the inserted lot. To get. The conveyance destination selection unit 12 specifies the device to which the lot is processed from the lot number and the processing flow, and searches for and specifies the stocker (shelf) for the device as the conveyance destination. The lot characteristic detection unit 13 reads from the collection data storage unit 5 the previous history (characteristic) effective in the control process in accordance with a file instruction instruction for the control process stored in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unit 4. Then, the necessary calculations are made to derive the lot characteristics, which are lot characteristics.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case of using a simple control means (not shown), the simple control means is provided with the processing conditions (including raw materials) in the preceding processing step from the collection data storage section 5, or the processing apparatus. Sometimes you call a number. In addition, the processor evaluation unit 14 reads from the collection data storage unit 5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ing result before and after the processing step and calculates it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s of the file stored in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instrument deviation coefficient which is an apparatus capability is derived when it relates to a process. The optimum lot selection unit 15 calculates a device selection coefficient based on the above-described lot characteristics and device capability, and selects a lot that is likely to produce a target processing result in the processing apparatus when processing is involved. In addition, the processing condition changing unit 16 changes this processing con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rocessing condition stored in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unit 4 according to the numerical value or the like. The process / inspection control unit 17 inspects the control of the process by the apparatus and evaluates the result of the process in accordance with this process condition. When the processing and the inspection are finished, the quality data collection unit 18 stores the inspection result or the like in the collection data storage unit 5 based on the instruction of the referenc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hanged processing condition is collected and stored in the collected data storage 5. In the collected data storage 5, even if there is no change, the processing conditions actually processed are stored.

다음으로, 롯의 흐름에 따라서 처리공정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프로세스 제어장치에서는, 임의의 공정을 선택하여 제어대상의 공정으로 할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롯 투입시(M1)에 상품종(제품명)을 지정함으로써, 롯 투입시에 설정되어 있는 처리 플로우상의 각 공정에서의 제어방법에 따라서, (a)제어를 걸지 어떤지, (b) 어떠한 제어를 걸지, (c) 이력수집을 행할지 어떤지 등을 판단하면서 제어가 행하여진다. 또한, 제어가 행하여진 공정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M1∼M8의 각 스텝에 의해 제어가 실시된다.Next, a control method of the treatment process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lot. In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process can be selected to be a process to be controlled. In Fig. 3, by designating the product type (product name) at the time of lot input M1,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in each process on the processing flow set at the time of lot input, whether or not (a) is controlled or not (b) The control is performed while judging what control is to be performed and (c) whether or not to collect history. In addition, in the process by which control was performed, control is performed by each step of M1-M8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여, 칩명(상품종)을 지정하여 롯을 투입하고(S1), 칩명에 의해 SPW(검이표 T1)를 취득한다(S2). SPW(검이표)에는, 그 칩명 및 검이표 번호가 기입되어 있다. 이하의 흐름도의 설명에 있어서, 각 처리로 주고 받는 데이터의 내용이 처리의 옆에 표시되어 있다. 이 후, 검이표 번호에 대응하는 검이표 테이블 T2를 읽어 가고, 다음 공정정보를 취득한다(S3). 이 다음 공정정보에 따라서 그 롯의 반송처가 선택된다(S4). 도 5를 참조하여, 본 도면에는, 피드포워드 제어공정의 장치 그룹, 그 장치의 특성의 산출방법 및 그 산출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 공정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검이표 번호 및 일련번호는 생략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반송처 검색을 개시한(S5)후, 다음 공정 검색(S6)일 때에, 검이표 테이블에 표시되어 있는 장치그룹을 특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 지시수단은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지만, 포함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롯은 직접, 장치그룹에 보내어지는 것은 아니고, 장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선반(스토커)에 일시적으로 수납되어, 처리 대기 상태로 된다. 그래서, 다음 공정의 장치그룹을 특정한 후, 다음 공정 장치 스토커를 검색한다(S7). 검색은 검이표 테이블의 서브테이블인 장치 그룹 테이블 T3이 우선 대상이 되고, 처리되는 장치를 알 수 있으면, 다음에 그 장치의 장치테이블 T4를 검색하여 그 장치용의 스토커를 특정한다. 다음으로, 장치로부터의 롯 선택(S8)으로 옮긴다. 장치로부터의 롯 선택은, 장치의 가동율을 높이는 제어모드이고, 다른 제어모드로서 롯 특성을 최우선시켜 처리장치를 선택하는 롯 우선 모드가 있다. 처리장치로부터의 롯 선택을 실시하는가 아닌가는, 기준정보에 이미 저장되어 있다.With reference to FIG. 4, the lot is input by designating a chip name (product type) (S1), and the SPW (test table T1) is acquired by a chip name (S2). In the SPW (test table), the chip name and the test table number are written. In the following flowchart description, the contents of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y each process are displayed next to the process. Thereafter, the tag table T2 corresponding to the tag table number is read, and the next step information is obtained (S3). The return destination of the lot is selected according to this next process information (S4). With reference to FIG. 5, the apparatus group of a feedforward control process,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apparatus, and the data collection process required for the calculation are shown by this figure. In addition, the tag table number and serial number are omitted. With reference to FIG. 6, after starting transfer destination search (S5), in the next process search (S6), the device group displayed in the inspection table table is identifi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veying instruction means is provided in a separate device, but it is of course possible to include it. The lot is not directly sent to the device group, but is temporarily stored in a shelf (stocker) arranged in the device area, and the processing is in a waiting state. Then, after specifying the device group of the next process, the next process device stocker is searched for (S7). In the retrieval, the device group table T3, which is a subtable of the index table table, becomes a target first, and if the device to be processed is known, the device table T4 of the device is searched next to specify a stocker for the device. Next, the process moves to lot selection S8 from the apparatus. The lot selection from the apparatus is a control mode for increasing the operation rate of the apparatus, and there is a lot priority mode for selecting a processing apparatus with priority of the lot characteristics as another control mode. Whether or not lot selection from the processing apparatus is performed is already stored in the reference information.

도 7을 참조하여, 이 롯 선택을 할 때, 복수의 롯이 처리 대기 상태로 스토커에 놓여 있다. 우선, 검이표 테이블을 읽어가고, 피드포워드 제어를 하는 지 어떤지를 검지한다(S9). 피드포워드 제어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실 롯(선행 롯)부터 장치능력을 도출한다(S12). 도출일 때에, 우선, 칩 그룹 T9에 있어서 칩그룹명을 특정하여, 그 칩 그룹명을 기초로 하여, 제어 공정 테이블 T5, 피드포워드 롯 데이터 수집 테이블 T6 및 규격 파라미터 테이블 T7을 읽어 간다. 상기한 피드포워드 롯 데이터 수집 테이블에는, 처리를 기다리고 있는 복수의 롯의 제품특성, 또는 모양새 값도 수납되어 있다. 도 8∼도 10에, 제어공정테이블 T5, 피드포워드 롯 데이터 수집 테이블 T6 및 장치 상태 테이블 T8의 데이터 내용을 나타낸다. 도 8의 제어공정테이블에는, 롯 특성의 구체적인 수치인 모양새 값을 산출하는 식, 장치상태를 갱신하여 산출하는 식, 미기억의 선행 롯수로부터 장치상태를 예측하는 관계식 등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피드포워드 롯 데이터 수집 테이블에는 수집 공정명이나 처리한 장치, 이력 데이터의 종류나 수집 데이터 격납부에 등록한 일시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장치상태테이블에는, 제어공정에서 사용하는 장치명, 장치상태의 구체예인 기구 편차 계수 산출 방법이, 미기억의 선행 롯의 영향도 고려된 뒤에 수납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새로운 이력이 기억되면 갱신되기 때문에, 갱신 일시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 선행의 실 롯이 없는 경우에는, 더미 등의 측정값으로부터 장치상태를 도출한다(S13). 측정 데이터는 FA 단말 입력 테이블 T8에, 단말 입력장치(6)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FA 단말 입력 테이블은,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그 처리장치의 식각비 등을 손 입력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그 후, 장치상태와 롯 특성(모양새 값)을 비교하여, 그 장치에서 보아 최적의 롯을 스토커로 대기중인 롯중에서 선택한다(S14). 이 롯 선택에서는, 장치 상태 테이블 및 피드포워드 롯 데이터 수집 테이블에 수납되어 있는 데이터가 판독된다. 이 선택에서는 당연한 것이지만 롯의 대기시간의 장단은 고려되지 않고, 그 시점의 장치상태와 성격이 잘맞는 좋은 롯으로부터 순차로 처리되어, 남은 롯은, 처리에 따라서 변동하여 가는 장치상태와의 성격이 잘맞게 좋게 된 것으로부터 순차로 처리되어 간다. 처리는 모든 롯에 관해서 남김 없이 행해지기 때문에, 처리조건의 변경이 필요하게 되는 롯에 관해서는 처리조건을 변경하여 처리가 실시된다. 이때, 롯 주체로 처리장치가 선택되는 모드는, 어떤 공정에서 처리가 종료하고, 검사에 의해 그 처리결과의 특성이 나와서, 그 특성이 미리 기준정보로 정해진 범위에 있는 경우에 선택되어, 그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 지정되어 있는 처리장치로 반송되고, 그 처리장치에서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장치 선택이 대상이 되는 공정에서는, 각 처리장치는 장치상태의 경시적인 변동이 작고, 또한 장치상태의 처리장치간 변동이 큰 경우가 많다. 상기와 같은 롯 주체의 장치선택이 주어지는 경우가 아니라, 롯이 검이표 테이블에 정해진 처리장치로 처리되는 경우에 피드포워드 제어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롯의 우선도로 롯 선택이 행하여져(S10), 처리검사조건결정으로 돌려진다(S15).Referring to Fig. 7, when making this lot selection, a plurality of lots are placed in the stocker in a state of waiting for processing. First, the tag table is read and it is detected whether feedforward control is performed (S9). When feedforward control is being performed, the device capability is derived from the slot (preceding lot) (S12). At the time of derivation, first, the chip group name is specified in the chip group T9, and the control process table T5, the feedforward lot data collection table T6, and the standard parameter table T7 are read based on the chip group name. The feedforward lot data collection table described above also stores product characteristics or shape values of a plurality of lots awaiting processing. 8 to 10 show the data contents of the control process table T5, the feedforward lot data collection table T6, and the device state table T8. In the control process table of FIG. 8, a formula for calculating the shape value, which is a specific value of the lot characteristic, an formula for updating the device state, a relational formula for predicting the device state from the unprecedented number of lots, and the like are stored. As shown in Fig. 9, the feed forward lot data collection table describes the collection process name, the processing apparatus, the type of history data, and the date and time registered in the collection data storage unit. In the device state table, the device name used in the control process and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mechanism deviation coefficient that are specific examples of the device state are stored aft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influence of the preceding lot of unmemory. As shown in Fig. 10, when a new history is stored, it is updated, so that the date and time of updating is recorded. In Fig. 7, when there is no prior lottery, the device state is derived from the measured value of the dummy or the like (S13). The measurement data can be manually input to the FA terminal input table T8 by the terminal input device 6. As shown in FIG. 11, the FA terminal input table is capable of inputting an etching ratio or the like of the processing apparatus by hand input. In Fig. 7, the device status and the lot characteristics (shape value) are then compared, and the optimal lot is selected from the waiting queues by the stocker (S14). In this lot selection, the data stored in the device state table and the feedforward lot data collection table are read. Naturally, this selection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long and short wait times of the lot, and is processed sequentially from a good lot that match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at that time. We are processed sequentially from thing which became good suitably. Since the processing is carried out with respect to all the lots, the processing is performed by chang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for the lot that needs to be changed. At this time, the mode in which the processing unit is selected as the lot main body is selected when the processing is terminated in a certain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ing result are shown by inspe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are in a range determined in advance as reference information. If there is, it is conveyed to the designated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processing is perform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In the process for which the device selection is the target, each processing device often has a small fluctuation in the device state over time and a large variation between the processing devices in the device state. If the device selection of the lot subject as described above is not given, but the feed forward control is not performed when the lot is process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specified in the tag table, the lot selection is performed with the priority of the lot (S10). Return to the processing inspection condition determination (S15).

다음으로, 상기 처리장치와 롯의 조합으로의 처리조건 및 검사조건을 결정한다. 도 12에 처리조건 및 검사조건을 결정하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다. 처리조건 검색 개시후에, 피드포워드 제어를 행하는가 아닌가 판단한다(S16). 이 판단은, 검이표 테이블에 기재되어 있다. 검이표 테이블을 읽어 가서 설정이 되어 있으면, 피드포워드 제어를 한다. YES의 경우, 상품종인 칩 그룹 T9을 읽어가고, 그 롯의 칩 그룹을 특정한 후, 제어조건 선택 테이블 T10로 설정되어 있는, 그 칩그룹이 시행되는 제어방법이 특정된다. 도 13 및 도 14에, 칩 그룹과 제어조건 선택 테이블의 데이터 내용을 나타낸다. 칩 그룹에는 칩 명이 기재되고, 제어조건 선택 테이블에는 칩 명 그룹에 대응한 제어공정, 장치, 처리조건을 변경하는데 필요한, 선택 ID 등의 정보가 수납되어 있다. 그 후, 각각의 제어방법으로 제어조건을 선택한다. 선택 ID의 선택에 의해, 제어 공정 테이블 T5와 다른 테이블의 조합이 결정되어, 제어조건이 설정된다(S18). 즉, 롯 모양새 값을 포함하는 제어 조건 테이블 T11, 앞 공정 제어코드를 포함한 제어 조건 테이블 T12, 앞 공정 파라미터를 포함한 제어 조건 테이블 T13 및 제어 코드 파라미터 테이블 T14중 어느 하나와 제어 공정 테이블 T5를 조합시킴으로써, 제어조건이 설정된다. 이 후, 처리/검사의 개시 지시를 기다린다. 한편, 피드포워드 제어를 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준정보에 설정되어 있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어조건을 선택한다 (S19). 이 선택을 할 때에는, 기준정보 격납부에 격납되어 있는 제어조건 선택 테이블 T10을 읽어 가서 제어조건을 선택한다. 이 후, 피드포워드 제어를 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검사의 개시지시를 기다린다.Next, processing conditions and inspection conditions for the combination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lot are determined. 12 shows a processing flow for determining processing conditions and inspection conditions. After the start of processing condition search, it is determined whether feedforward control is performed (S16). This judgment is described in the examination table table. The feedforward control is performed by reading the tag table and setting it up. In the case of YES, the chip group T9 which is a product type is read, the chip group of the lot is specified, and the control method in which the chip group is implemented, which is set in the control condition selection table T10, is specified. 13 and 14 show data contents of the chip group and the control condition selection table. The chip name is described in the chip group, and the control condition selection table stores information such as a selection ID required for changing the control process, apparatus, and processing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chip name group. Then, control conditions are selected for each control method. The combination of the control process table T5 and another table is determined by selection of the selection ID, and the control condition is set (S18). That is, by combining the control process table T5 with any one of the control condition table T11 including the lot shape value, the control condition table T12 including the preceding process control code, the control condition table T13 including the preceding process parameter and the control code parameter table T14. , The control condition is set. After that, it waits for an instruction to start processing / inspection. On the other hand, when feedforward control is not performed, the control condition is selected by the usual method set in the reference information (S19). When this selection is made, the control condition selection table T10 stored in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unit is read to select the control condition. Thereafter, as in the case of performing feedforward control, the instruction for starting processing / inspection is waited.

도 15에 처리/검사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처리/검사 개시 지시를 시작한 후, 결정한 상기 처리조건을 장치에 송신한다(S22). 그 후, 롯에 대하여 처리 및 검사가 실시된다. 그 후, 검사로 얻어진 품질 데이터가 수집된다. 도 16에 도시한 것과같이, 장치로부터의 처리 데이터 수집(S25)에서는, 피드포워드 롯 데이터 수집 테이블 T6에 수집해야 할 데이터로서 예를 들고 있는 롯 번호, 처리 장치명, 원재료, 처리조건, 처리 파라미터, 검사조건 등을 기입한다. 다음으로, 피드포워드 제어를 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을 할 것인지 판단한다(S26). 상기 처리/검사의 데이터가 피드포워드 제어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수집 데이터 격납부(5)에 상기 처리/검사의 데이터가 격납된다. 이 지시는, 기준정보인 검이표 테이블의 피드포워드 제어에 기재되어 있다. 데이터 수집을 하는 경우에는, 피드포워드용의 데이터 수집을 하여(S27), 피드포워드 롯 데이터 수집 테이블 T6에 상기 데이터를 격납한다. 격납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롯명마다 수집공정, 처리장치명, 처리조건, 처리 파라미터 등이다. 처리 결과의 각 종 측정결과도 기록된다. 또한, 롯 번호마다 처리가 행해지지 않은 처리 공정에서의 (a) 모니터 검사 데이터도, 롯 번호와의 대응이 되도록 하여 기록된다. 즉, 확산처리공정 등과 같이, 예를 들면, 웨이퍼 100장 단위(25장의 롯, 4롯)로 처리되는 경우, 더미 웨이퍼를, 예를 들면 3장 더하고, 상, 중, 하의 위치에 1장씩 배치하여 합계 103장의 웨이퍼 처리를 한다. 이 확산처리에는, 상기 4롯의 번호와 관련된 배치 번호가 부여된다. 웨이퍼의 두께 측정은, 더미의 3장에 관해서만 행해진다. 이 확산처리의 배치 번호에는, 상기 3장의 더미의 두께 치수가 처리결과로서 기록되어, 상기 4롯 번호에도 그 두께 치수가 기록된다. 이와 같이, 롯 번호마다 처리되지 않은 처리공정의 데이터도 그 롯의 이력으로서, 당연히 기록되어 롯 선택 등의 제어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b) 사진 재생롯의 데이터와 같은 경우에도, 실제 처리의 이력이 그 웨이퍼와 대응 붙임이 붙어질수 있도록 하여 기록되어, 제어에 이용된다. 즉, 사진제판처리에 있어서, 레지스트를 도포하여 마스크를 합친 후에 패턴 치수를 측정한 결과, 웨이퍼마다 재시도를 하는 경우, 재시도 웨이퍼는 일괄하여 재시도를 한다. 재시도 할 웨이퍼는 종합되어지고, 재생 롯 번호가 부착되고, 먼저 도포한 레지스트가 벗겨지고, 재도포가 행하여져 사진제판처리가 행하여진다. 재처리가 된 웨이퍼는, 사진제판처리 후에, 모집단(롯)에 다시 합류하여, 모 롯과 동시에 처리를 진행하여 간다. 이 사진제판공정에서 재생 롯 번호가 부착된 웨이퍼의 이력은, 사진제판처리공정에서는, 재시도 한 처리조건이 이력으로서 기록되어야 되고, 실제, 재시도의 처리조건이 기록된다. 따라서, 프로세스제어도, 재시도 한 웨이퍼에 관해서는, 이 재시도의 처리조건에 따라서 행해진다.15 is a flowchart of processing / inspection. After the processing / inspection start instruction is started, the determined processing condition is transmitted to the apparatus (S22). Thereafter, the lot is processed and inspected. Thereafter, quality data obtained by inspection is collected. As shown in Fig. 16, in the processing data collection from the apparatus (S25), the lot number, processing apparatus name, raw materials, processing conditions, processing parameters, which are exemplified as data to be collected in the feedforward lot data collection table T6, Enter the inspection conditions. 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o collect data for feedforward control (S26). When the data of the process / inspection is used for feedforward control, the data of the process / inspection is stored in the collection data storing section 5. This instruction is described in the feedforward control of the tag table, which is the reference information. In the case of data collection, data for feed forward is collected (S27), and the data is stored in the feed forward lot data collection table T6. The data to be stored is, for example, a collection process, a processing apparatus name, a processing condition, a processing parameter, etc. for each lot name. The results of each measurement of the treatment results are also recorded. In addition, the (a) monitor inspection data in the processing process in which the processing is not performed for each lot number is also recor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t number. That is, in the case of processing in 100 wafer units (25 lots, 4 lots), for example, in a diffusion treatment step or the like, three dummy wafers are added, for example, and arranged one by one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positions. In total, 103 wafers are processed. In this diffusion process, a batch number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the four lots is assigned. The thickness measurement of a wafer is performed only about three sheets of a dummy. In the arrangement number of this diffusion process,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said three piles is recorded as a process result, and the thickness dimension is also recorded in the said 4 lot number. In this way, the data of the processing process not processed for each lot number is also recorded as the history of the lot, and can be used for control of lot selec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b) even in the case of the data of the photo reproduction slot, the history of the actual processing is recorded so that the wafer and the corresponding paste can be attached and used for control. That is, in photolithography, when the pattern is measured after applying the resist and combining the masks, when retrying is performed for each wafer, the retry wafers are collectively retried. The wafer to be retried is synthesized, the regeneration lot number is affixed, the first applied resist is peeled off, the recoating is performed, and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is performed. The wafer which has been reprocessed is joined again to the population (lot) after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and is processed at the same time as the lot. In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in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the retrying processing conditions should be recorded as the history, and the retry processing conditions are recorded. Therefore, the process control is also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his retry with respect to the retryed wafer.

또한, 재시도 제품으로 이루어진 재생 롯에 대해서의 재시도 처리공정에서 본 발명의 프로세스 제어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모 롯으로 수집한 앞 공정의 수집 데이터를 사용하여서 재시도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재시도 제품으로 이루어진 재생 롯의 재시도 처리공정에서의 처리장치도, 말할 필요도 없이, 본 발명의 프로세스 제어장치의 적용 대상이다.In addition, when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a retry processing process for a regeneration lot made of retry products, the retry processing can be controlled by using the collected data of the previous process collected by the lot. That is, needless to say, the processing apparatus in the retry processing process of the regeneration lot which consists of retry products is the object of application of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of this invention.

또한, 피드포워드 장치 데이터 수집 테이블 T16에는, 처리장치명마다 처리공정, 처리 롯, 처리조건을 격납한다. 도 17에 피드포워드 장치 데이터 수집 테이블의 데이터 내용을 나타낸다. 이 후, 품질 체크를 한다. 한편, 피드포워드 제어를 위한 데이터 수집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즉시 품질 체크를 한다.The feedforward device data collection table T16 stores a processing step, a processing lot, and processing conditions for each processing device name. 17 shows data contents of the feedforward device data collection table. After that, the quality is checked. On the other hand, if no data is collected for feedforward control, the quality is checked immediately.

도 18에 도시한 것과 같이, 품질 체크 개시후, 규격 체크가 행하여진다(S29). 이 규격 체크일 때에, 규격 테이블에 규격을 읽어 가, 규격을 체크한다. 그 후, 각 종의 체크를 하여, 공정완료처리를 한다. 도 19에 도시한 것과 같이 공정 완료 처리 개시 후, 다음 공정을 검색한다(S33). 다음 공정검색일 때에, 검이표 테이블을 읽어 가고, 검이표 번호를 지정하여 일련번호, 공정 및 장치 그룹을 특정한다. 그 후, 자(自) 데이터를 갱신하여 반송처를 선택한다(S35).As shown in Fig. 18, after the start of the quality check, a standard check is performed (S29). When checking the standard, read the standard in the standard table and check the standard. After that, each kind of check is carried out and a process completion process is performed. After the start of the process completion process as shown in FIG. 19, the next process is searched for (S33). At the next process search, the tag table is read and the serial number, process and device group are specified by specifying the tag table number. Thereafter, the own data is updated to select a return destination (S35).

도 20에 도시한 것과 같이, 경우 1은, 롯의 모양새 값과 장치 능력(기구 편차 계수)로부터 처리조건인 레시피 코드를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경우 2는, 롯의 모양새 값만으로부터 레시피 코드를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경우 3은 앞 공정에서 사용한 레시피로부터 처리공정의 레시피를 변경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러한, 처리조건의 변경에 있어서의 기준이 되는 관계는, 모두 기준정보로서 기준정보 격납부에 격납된다.As shown in FIG. 20, the case 1 shows the case where the recipe code which is processing conditions is changed from the appearance value of a lot and the apparatus capability (mechanical deviation coefficient). Case 2 shows a case where the recipe code is changed from only the appearance value of the lot. In addition, the case 3 shows the case where the recipe of a process is changed from the recipe used by the previous process. All of these relationships, which are the criteria for chang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are stored in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unit as reference information.

상기 프로세스 제어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롯 특성에 대해서는 피드포워드 제어를, 또한 처리장치에 대해서는 피드백 제어를 거는 것에 의해 제어공정에서의 처리를, 변동을 억제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처리공정의 성질에 따라서 적절한 처리방법을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어, 복잡하고 다방면에 걸친 각 처리공정에서의 제어를 효율 좋게, 간편히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using the above process control apparatus, the feed forward control for the lot characteristics and the feedback control for the processing apparatus can be performed to suppress the fluctuations. In addition, an appropriate treatment method can be flexibly used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the treatment step, and it becomes possible to efficiently and easily control the complicated and multifaceted treatment steps.

이 결과, DRAM 등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큰 수율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원래의 대상으로 하는 레벨의 미세가공처리보다도 1레벨 이상 높은 레벨의 미세가공처리를 시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64M 바이트의 DRAM용의 제조라인에, 상기 프로세스 제어장치를 사용함으로써 128M 바이트 또는 256M 바이트의DRAM, 또는 이들 DRAM 이외의 차세대 시스템 LSI 등의 반도체 디바이스에 필요로 하는 미세가공이 가능해진다.As a result, large yield improvement can be achieved in the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s such as DRAM. Moreover,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the micromachining process of the level 1 level or more higher than the micromachining process of the original target level. In other words, by using the above process control apparatus in a production line for 64M bytes of DRAM, fine processing required for semiconductor devices such as 128M bytes or 256M bytes of DRAM or next-generation system LSI other than these DRAMs becomes possible.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프로세스 제어장치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도 1에 나타낸 구성과 유사한 프로세스 제어장치의 구성이 사용된다. 큰 차이는, 제품 이력중 측정된 데이터가 영역별 데이터로 되어 있는 점이다. 처리조건은, 처리장치가 영역별로 처리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영역마다 설정되고, 영역마다 설정할 수 없는 처리장치의 경우에는 간단히 처리조건이 설정된다. 도 21a∼도 21c에, 영역별로 처리조건을 설정하는 경우의 처리조건설정의 사고방식을 도시한다. 또한, 도 21d는 영역별로 처리조건을 설정할 수 없지만, 영역별로 제품특성을 파악하여, 그 제품특성과 처리장치의 습관을 고려하여 처리조건을 설정하거나, 처리장치의 습관에 맞추어서 롯 선택을 하는 경우의 사고방식을 도시한다. 반도체 웨이퍼의 중앙영역과 주변영역에서 도 21a의 실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특성이 변하는 경우, 처리공정에서는, 도 21b의 점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제어하여 처리를 하면, 도 21c에 나타낸 처리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영역별로 제품특성을 파악하여, 그 제품특성에 맞추어서 처리장치의 처리조건을 설정하거나, 처리장치에 맞추어서 롯 선택을 하는 경우는, 장치능력이 도 21d에 나타낸 상태(습관)의 경우에 상기 롯을 선택하도록 한다. 이 롯 선택에 의해, 웨이퍼 전체에 걸쳐 변동이 작은 균일한 처리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1a∼21d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성이 영역에 걸쳐서연속적인 그래프를 나타내었지만, 영역별의 특성은, 도 21a∼21d와 같이, 연속적인 그래프가 아니라 이산적인 값인 경우가 대부분이다.As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in the second embodiment, a configuration of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is used. The big difference is that the data measured in the product history is data for each area. The processing conditions are set for each area when the processing apparatus can set the processing conditions for each area, and in the case of the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not be set for each area, the processing conditions are simply set. 21A to 21C show the way of thinking about setting processing conditions when setting processing conditions for each area. In addition, in FIG. 21D, processing conditions cannot be set for each area, but the product characteristics are identified for each area, and the processing conditions ar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product characteristics and the habits of the processing apparatus, or the lot selection is made in accordance with the habits of the processing apparatus. Illustrates the way of thinking. In the case where the characteristic changes in the central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as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21A, the processing result can be obtained by controlling the process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21B, and the processing result shown in FIG. 21C can be obtained. .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product characteristics are grasped for each region and the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re set in accordance with the product characteristics, or the lot selection is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ing apparatus, the apparatus capability is in the case of the state (habit) shown in Fig. 21D. Be sure to select a lot. By this lot selection, a uniform processing result with little variation over the entire wafer can be obtained. 21A to 21D show graphs in which characteristics are continuous across region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s are often discrete values rather than continuous graphs as in FIGS. 21A to 21D.

상기와 같은 영역별의 롯 특성이나 영역별의 장치 특성을 파악하여, 롯 선택이나 처리조건의 변경을 하거나, 영역별로 처리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처리결과가 웨이퍼 전체에 걸쳐 목표 범위 내에 들어가기 쉽게 된다. 이 때문에, 수율 향상을 얻을 수 있고, 변동이 작아진 결과, 대상으로 하는 레벨보다 위의 미세가공을 시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knowing the lot characteristics for each region and the device characteristics for each region as described above, the lot selection and processing conditions are changed, or the processing conditions are changed for each region, so that the processing results are easily within the target range over the entire wafer. For this reason, a yield improvement can be obtained, and as a result of the fluctuation | variation becoming small, it becomes possible to implement fine processing above the target level.

(실시예들)(Examples)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1에 나타낸 프로세스 제어장치를 적용한 2개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2에 상기 프로세스 제어를 적용한 2개의 처리공정을 도시한다. 하나의 처리공정은 산화막의 드라이 에칭 공정(실시예 1)이고, 다른 하나는 사진제판처리공정(실시예 2)이다.Next, two embodiments to which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22 shows two processing steps to which the above process control is applied. One process is a dry etching process of the oxide film (Example 1), and the other is a photolithography process (Example 2).

(실시예 1)(Example 1)

도 22에 있어서, 실시예 1의 드라이 에치에서는, 사진제판후의 검사로 얻을 수 있는 치수를 롯의 특성으로서 롯의 모양새 값을 산출한다.In FIG. 22, in the dry etching of Example 1, the shape value of a lot is computed as a characteristic of a lot by the dimension acquired by the inspection after photolithography.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산화막 드라이 에치 처리에 대해서는, 주사형 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SEM)에 의한 현상검사로 얻을 수 있는 치수가 롯 특성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장치 상태에는 동일하게 SEM에 의한 사진검사로 얻어진 CD 손실의 치수가 사용된다. CD 손실은 도 24 및 도 25를 사용하여 정의된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것과 같이, 현상검사에서는, 드라이에칭시에 에치가 주어지지 않은 피에칭막의 부분을 덮은 레지스트 부분의 치수 A가 측정된다. 드라이 에치가 주어진 후의 사진검사에서는, 드라이 에치되지 않은 피에칭막 부분의 치수 B가 측정된다. CD 손실이란, CD 손실=|현상 검사시의 치수A - 사진 검사시의 치수B|로서 정의된다. CD 손실과 식각비는, 상관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예를 든 산화막의 드라이 에칭에서는, 식각비와 CD 손실은 상관이 있는 것이 확인되어 있고, CD 손실을 장치의 식각비의 지표로서 사용한다. 이 산화막 드라이 에치공정의 하나의 장치 EK120으로 처리된 선행 롯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As shown in Fig. 23, for the oxide film dry etch treatment, dimensions obtained by developing inspection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re used as lot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n the apparatus state, the dimension of the CD loss obtained by the SEM inspection similarly is used. CD loss is defined using FIGS. 24 and 25. As shown in Figs. 24 and 25, in the development inspection, the dimension A of the portion of the resist covering the portion of the etching target film that is not etched during dry etching is measured. In the photographic inspection after the dry etch is given, the dimension B of the portion of the etched film which is not dry etched is measured. CD loss is defined as CD loss = | Dimension A at the time of a development inspection-Dimension B at the time of a photographic inspection. CD loss and etch rate may or may not be correlated. In the dry etching of the oxide film exemplified here, it is confirmed that the etching ratio and the CD loss have a correlation, and the CD loss is used as an index of the etching ratio of the apparatus. Table 1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ceding lots treated with one device EK120 in this oxide film dry etch process.

표 1에서는, 처리순으로 위에서 아래로 배열된 롯 번호 KA∼KG에 관해서, 사진검사치수(일부)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CD 손실도 표시되어 있다. 또한, 표 1에 있어서 평균(3L)은 CD 손실의 3점 이동 평균을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CD 손실의최신의 이동평균값은 최하란의 0.0195㎛이다. 롯 선택시의 장치 상태에는 이 최신 값이 이용된다. 목표 CD 손실은 0.02㎛이기 때문에, 목표값을 1로 하여서 규격화하면, 이 장치 EK120의 능력은(0.0195/0.02)= 0.9750으로 표시된다. 이 0.9750이, 이 시점의 이 장치 EK120의 기구 편차 계수이다.In Table 1, photograph inspection dimensions (partly) are described with respect to lot numbers KA-KG arranged from top to bottom in the order of processing. CD loss is also shown. In Table 1, the average 3L indicates a three-point moving average of CD losses. Therefore, the latest moving average value of CD loss is 0.0195 mu m of the lowest column. This latest value is used for the device state at the time of lot selection. Since the target CD loss is 0.02 占 퐉, normalizing with the target value of 1, the capability of this device EK120 is expressed as (0.0195 / 0.02) = 0.9750. This 0.9750 is the mechanism deviation coefficient of this apparatus EK120 at this time.

한편, 장치 EK120의 처리를 기다리고 있는 처리 대기 상태의 롯은 OA∼OJ까지 10 롯이 있다. 이 10롯을 표 2에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10 lots from OA to OJ in the waiting state for processing waiting for the processing of the device EK120. This 10 lot is shown in Table 2.

각 롯에 관해서, 사진제판결과의 현상치수(일부) 및 그 평균값 등이 표 2에 표시되어 있다. 이 치수의 목표치수는 0.25㎛이다. 이 목표치수를 1로 규격화하기 위해서, 각 롯의 평균값을 목표값 0.25㎛로 나누면 각 롯의 모양새 값을 구할 수 있다. 각 롯의 모양새 값은 1을 중심으로 상하로 변동하고 있다. 장치로부터 롯을 선택하는 기준은, 기구 편차 계수로 롯 모양새 값을 나눈 상이 1에 가장 가까운 것이다. 그래서, 장치 선택 계수=|1-(모양새 값/기구 편차 계수)|라는 지표를 도입하여, 이 장치선택계수가 가장 제로에 가까운 롯을 그 시점의 장치가, 우선 처리해야할 것으로서 처리가 실시된다. 남은 롯은, 장치상태가 처리에 따라서 순차로 변화되어 가기 때문에, 롯이 하나 처리될 때마다 상기 장치선택계수를 산출하고, 장치 선택 계수가 작은 것으로부터 처리되어 간다. 표 2에 의하면, 롯 번호 OA가 가장 작고, 이 롯을 선택하여 처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치수검사에서는,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남기기 치수"를 측정한 경우의 장치 선택 계수를 도출하는 방법을 나타내었지만, 에치되어 소실된 부분의 "제거 치수"로 기구 편차 계수나 모양새 값을 도출하는 경우가 있다. 기구 편차 계수를 제거 치수로 도출한 경우에는, 장치 선택 계수= |1-(모양새 값× 기구 편차 계수)|로서, 제로에 가까운 롯을 처리대상으로 선택한다.Regarding each lot, the development dimension (part) of the photo-printing result, the average value thereof, and the like are shown in Table 2. The target dimension of this dimension is 0.25 탆. In order to normalize this target dimension to 1, by dividing the average value of each lot by the target value of 0.25 mu m, the shape value of each lot can be obtained. The shape value of each lot fluctuates up and down around 1. The criterion for selecting a lot from the device is that the image divided by the lot shape value by the instrument deviation coefficient is closest to one. Thus, an index of the device selection coefficient = | 1- (shape value / mechanical deviation coefficient) | is introduced, and processing is performed as the device at that time should first process the lot whose device selection coefficient is closest to zero. Since the remaining lot is changed in sequence with the processing, the device selection coefficient is calculated each time one lot is processed, and the processing results from the smaller device selec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able 2, lot number OA is the smallest, and this lot is selected and processed. At this time, in the above-described dimensional inspection, as shown in Figs. 24 and 25, the method of deriving the device selection coefficient in the case of measuring the "dimension dimension" is shown, but the mechanism deviation is determined by the "removal dimension" of the portion etched and lost. Sometimes coefficients or appearance values are derived. In the case where the mechanism deviation coefficient is derived as the removal dimension, a lot close to zero is selected as the processing target as the device selection coefficient = | 1- (shape value x mechanism deviation coefficient) |.

상기 제어방법을 실시하는 것에 의한 효과를 표 3에 나타낸다.Table 3 shows the effects of implementing the above control method.

표 3에는, 드라이 에치후의 사진검사로 얻어진, 일정 기간내의 치수의 3 시그마(sigma)(3σ)가 표시되어 있다. 본 프로세스 제어장치를 도입하지 않은 경우에 얻을 수 있는 3σ는, 예를 들면, 기간 a에서는 0.038㎛이던 것이, 0.028㎛ 이 되고, 0.01㎛의 대폭감소를 얻을 수 있었다. 다른 기간에 관해서도, 대폭적인 변동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결과, 수율 향상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품질 향상에 의해서 제품의 경제적 가치를 높일 수 있었다. 또한, 1 순위상의 미세가공처리도 가능해졌다.In Table 3, the three sigma (3σ) of the dimension in a fixed period obtained by the photograph inspection after dry etching is shown. When 3 sigma obtained when this process control apparatus was not introduced, what was 0.038 micrometers in period a, for example, became 0.028 micrometers, and the significant reduction of 0.01 micrometers was obtained. As for the other period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variation was obtained. As a result, not only the yield can be improved, but also the economic value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by the quality improvement. In addition, micromachining on the first rank became possible.

(실시예 2)(Example 2)

본 실시예는, 도 22에 있어서, 사진제판처리를 제어대상으로 하는 예이다. 이 사진제판처리에서는, 롯 특성으로서 앞 공정에서의 반사율을 사용한다. 또한, 장치상태로서 사진제판후의 치수검사에 있어서의 제거 치수를 사용한다. 단, 이 경우의 장치상태는 상기한 실시예 1과는 달리, 장치상태계수는 구하지 않고, 별도의 형태로 본 제어에 받아들여진다. 도 26에, 반사율과 사진제판처리에 의해 빠질 수 있는 부분의 치수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반사율 및 제거 치수는 규격화 표시되어 있다. 반사율이 낮은 것은 레지스트막이 얇은 것을 의미하고, 같은 노광량으로 노광하면, 제거 치수는 커져 버린다. 즉, 도 26으로부터, 반사율이 커짐에 따라, 선형으로 제거 치수가 작아지는 경향이 인정을 받는다. 이 반사율과 제거 치수의 관계는, 다른 요인이 변하면 변화되지만, 그와 같은 변화는 장치상태로서 피드백되어 항상 최신의 관계가 격납된다. 예를 들면, 반사율이 크더라도, 제거 치수가 종래보다 커진 최신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경우, 노광량은 이 최신의 데이터를 3점 이동 평균 등으로 받아들여 수정된다.This embodiment is an example in which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is the control object in FIG. In this photolithography, the reflectance in the previous step is used as the lot characteristic. In addition, the removal dimension in the dimension inspection after photolithography is used as an apparatus state. However, in this case, unlike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 device state is not obtained, but is taken into this control in a separate form. Fig. 26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lectance and the dimensions of portions that can be left out by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Reflectance and removal dimensions are standardized. The low reflectance means that the resist film is thin, and when exposed at the same exposure dose, the removal dimension is increased. That is, from FIG. 26, the tendency for a removal dimension to become linear becomes small as a reflectance becomes larg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lectance and the removal dimension changes when other factors change, but such a change is fed back as an apparatus state so that the latest relationship is always stored. For example, even if the reflectance is large, when the latest data having a larger removal size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one can be obtained, the exposure amount is corrected by taking the latest data as a three-point moving average or the like.

본 발명의 프로세스 제어장치를 적용하여 노광량을 조절한 결과를 도 27에도시한다. 도 27의 좌측은, 상대 반사율이 1.0∼1.2의 범위에 있고, 노광 에너지 Ed를 20.7mJ로 하여, 상대 치수 평균 0.7835를 얻었다. 각 웨이퍼의 값은 변동이 적게 갖추어져 있다. 또한, 우측은 기초막인 질화막의 두께가 두껍게 되어 반사율이 저하한 경우의 제거 치수와 그 변동 3σ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 이와 같이 낮은 상대 반사율에서는, 상대 제거 치수는 0.9 정도의 것이 될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장치상태의 피드백에 의해 노광량을 제어함으로써, 상대 반사율이 높은 좌측의 롯과 비교하여, 거의 같은 상대 제거 치수를 얻을 수 있었다.27 shows the result of adjusting the exposure amount by applying the process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left side of FIG. 27, the relative reflectance was in the range of 1.0 to 1.2, the exposure energy Ed was 20.7 mJ, and a relative dimensional average 0.7835 was obtained. The value of each wafer is equipped with little fluctuation. The right side is a graph showing the removal dimension and the variation 3σ when the thickness of the nitride film serving as the base film becomes thick and the reflectance decreases. Without th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low relative reflectance, the relative removal dimension would be about 0.9. However, by controlling the exposure amount by the feedback of the apparatus state, it was possible to obtain almost the same relative removal dimension as compared to the lot on the left side where the relative reflectance was high.

따라서, 상기 프로세스 제어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설정 실수 등의 명확한 이유가 있는 반사율의 변동이 있어도, 그와 같은 사태에 대처하여 목표대로 또는 그것에 가까운 제거 치수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율 저하를 방지하여 제품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같은 가공장치를 사용하여 1 순위상의 정밀도의 가공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refore, by using the above process control apparatus, even if there is a fluctuation in reflectance for which there is a clear reason such as a setting error, it is possible to cope with such a situation to obtain a removal dimension as desired or close to the target. For this reason,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a yield fall and to improve product valu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processing of the precision of the first rank using the same processing apparatus.

상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상기 실시예들에 관해서 설명을 하였지만, 상기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상기 실시예들은, 어디까지나 예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발명의 실시예 및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서 표시되고,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In the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bov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for the sake of illustration on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mbodiments of these inventions. And the abov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equivalent to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프로세스 제어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처리조건 변경의 위험부담을 지지 않고, 또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한 채로 그 시점의 장치상태에 있어서 성격이 잘맞는 좋은 롯 선택을 함에 따라 고정밀도의 초미세 가공처리를 시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롯 선택만으로는 고정밀도가 기대할 수 없는 경우에는, 처리조건을 변경하여, 유연한 대응을 할 수 있다. 또한, 제품마다 처리조건을 변경하거나, 롯 특성에만 따라서 롯 선택이나 처리조건의 변경을 하는 간편하고 섬세하고 치밀한 제어를 할 수 있다. 품질을 최대한 중시하는 경우에는, 롯측으로부터 장치를 선택하여 대단히 고정밀도의 초미세가공을 시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품 1단위를 영역으로 구분하여, 영역마다 최적의 처리조건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결과, 큰 수율 향상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밀도 향상에 의해 제품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설비를 갱신하지 않고, 1 순위상의 미세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using the process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chieve a high-accuracy lot selection without sacrificing the risk of changing the processing conditions and to maintain a high productivity and to select a good lot suitable for the state of the apparatus at that tim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ultrafine processing. In addition, when high precision cannot be expected only by lot selection, processing conditions can be changed and flexible response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simple, delicate and precise control of changing processing conditions for each product or changing lot selection or processing conditions according to lot characteristics only. In the case where quality is of the utmost importance,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an apparatus from the lot side and to perform extremely high precision ultra-machining.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divide one unit of product into regions and to set the optimum processing conditions for each region. As a result, not only a large yield improvement can be obtained, but also the product value can be raised by the precision improvem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fine processing on a priority order without updating equipment.

Claims (3)

복수의 롯으로 구분된 피처리체(제품)에 대하여 처리하는 처리장치의 프로세스 제어장치에 있어서,In the process control device of the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target object (produc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ots, 상기 처리장치에 의해서 처리된 제품의 처리결과로부터 상기 처리장치의 능력을 평가하는 처리장치 평가수단(14)과,Processing apparatus evaluating means (14) for evaluating the capability of the processing apparatus from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product process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처리장치 평가수단에 의해서 평가된 상기 처리장치의 능력과 상기 복수의 롯의 특성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롯 중에서 처리해야 할 롯을 선택하는 롯 선택수단(1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제어장치.And a lot selecting means (15) for selecting a lot to be process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lots according to the capability of the processing apparatus evaluat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evaluating mea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urality of lots. Control unit. 피처리체(제품)를 처리하는 처리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스 제어장치에 있어서,A process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target object (product), 상기 처리장치에 의해서 처리된 제품의 처리결과에 관한 정보인 영역(35, 36)별의 이력을 기억하는 이력 기억수단(5)과,History storage means (5) for storing a history for each of the areas (35, 36) which is information on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product processed by the processing device; 상기 처리공정의 처리장치에 의해서 처리된 선행제품의 상기 이력으로부터 영역별 처리장치의 능력을 평가하는 처리장치 평가수단(14)과,Processing device evaluating means (14) for evaluating the capability of the processing device for each area from the history of the preceding product processed by the processing device of the processing step; 상기 처리장치의 상기 영역별 능력과, 상기 제품의 영역별 이력과의 관계에 따라서, 해당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결과를 목표에 가깝도록 그 처리장치의 처리조건을 설정하는 처리조건 설정수단(1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제어장치.Processing condition setting means 16 for setting processing conditions of the processing apparatus so as to be close to a target in accordance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ea-specific capability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history of each region of the product; Process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복수의 롯으로 구분된 피처리체(제품)에 대하여 처리하는 처리장치의 프로세스 제어장치에 있어서,In the process control device of the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target object (produc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ots, 상기 처리장치에 의해서 처리된 상기 제품의 처리결과에 관한 정보인 영역별의 이력을 기억하는 이력 기억수단(5)과,History storage means (5) for storing a history for each area which is information on a processing result of the product process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처리공정의 처리장치에 의해서 처리된 선행제품의 이력으로부터, 해당 처리장치의 영역별 능력을 평가하는 처리장치 평가수단(14)과,Processing apparatus evaluating means (14) for evaluating the capability of each processing apparatus from the history of prior products process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ocessing step; 상기 처리공정보다 앞의 상기 롯의 상기 이력과 상기 처리장치 평가수단에 의해서 평가된 상기 영역별의 능력과의 관계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롯중에서 처리해야 할 롯을 선택하는 롯 선택수단(1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제어장치.Lot selecting means (15) for selecting a lot to be process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lot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y of the lot before the processing step and the capability of each area evaluat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evaluating means. Process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KR10-2000-0056594A 1999-12-28 2000-09-27 Process control device KR10039393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273699A JP4524720B2 (en) 1999-12-28 1999-12-28 Process control device
JP11-372736 1999-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234A true KR20010067234A (en) 2001-07-12
KR100393936B1 KR100393936B1 (en) 2003-08-09

Family

ID=18500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594A KR100393936B1 (en) 1999-12-28 2000-09-27 Process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24720B2 (en)
KR (1) KR100393936B1 (en)
DE (1) DE10040397A1 (en)
TW (1) TW503462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510B1 (en) * 2006-11-28 2010-09-06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Control apparatus of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recorded medium for storing control progra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6243B2 (en) * 2001-10-30 2004-06-29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scade control using integrated metrology
JP4732726B2 (en) * 2003-09-09 2011-07-2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JP5080013B2 (en) * 2006-03-02 2012-11-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Work support system for field process status and work support method for field process situation
JP2010045115A (en) * 2008-08-11 2010-02-25 Nec Electronics Corp Production control system, production control method, production control program, and host computer
JP4500876B1 (en) * 2009-01-20 2010-07-14 シャープ株式会社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1694B2 (en) * 1992-03-11 1998-07-30 山口日本電気株式会社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anagement method
US5444632A (en) * 1994-04-28 1995-08-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scheduling processing machines
JPH1085155A (en) * 1996-09-12 1998-04-07 Marutomi Seishi Kk Toilet paper roll, toilet paper roll manufacture and toilet paper roll manufacturing device
JPH10283014A (en) * 1997-04-04 1998-10-23 Hitachi Ltd Load progress prediction method and system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510B1 (en) * 2006-11-28 2010-09-06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Control apparatus of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recorded medium for storing control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24720B2 (en) 2010-08-18
DE10040397A1 (en) 2001-07-19
JP2001189247A (en) 2001-07-10
KR100393936B1 (en) 2003-08-09
TW503462B (en) 200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4012B1 (en) Lots dispatching method for variably arranging processing equipment and/or processing conditions in a succee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preced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6721940B2 (en) Exposure processing method and exposure system for the same
US20210080836A1 (en) Methods of determining corrections for a patterning process,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ontrol system for a lithographic apparatus and lithographic apparatus
US202103494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ation of lithographic process
KR102451504B1 (en) Optimization of the sequence of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product units
US10345794B2 (en) Product quality prediction method for mass customization
US10281825B2 (en) Method of sequencing lots for a lithographic apparatus
US20220342319A1 (en) Method for determining contribution to a fingerprint
WO2019149562A1 (en) Method to label substrates based on process parameters
KR100393936B1 (en) Process control device
US7514274B2 (en) Enhanced uniqueness for pattern recognition
KR1022097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performance of metrology system
TW464942B (en) Lots dispatching method for variably arranging processing equipment and/or processing conditions in a succee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preced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77159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a plurality of processing tools
JP2000049068A (en) Method for determining exposure conditions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exposure conditions in semiconductor manufacture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