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6418A - 모뎀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 - Google Patents

모뎀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6418A
KR20010066418A KR1019990068133A KR19990068133A KR20010066418A KR 20010066418 A KR20010066418 A KR 20010066418A KR 1019990068133 A KR1019990068133 A KR 1019990068133A KR 19990068133 A KR19990068133 A KR 19990068133A KR 20010066418 A KR20010066418 A KR 20010066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mode
data
wireless handse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8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미
Original Assignee
이정태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태,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정태
Priority to KR1019990068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6418A/ko
Publication of KR20010066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41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3Telephone terminals interfacing a personal computer, e.g. using 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의 무선핸드셋에 모뎀을 접속하기 위한 모뎀결합포트를 구비하여, 무선핸드셋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등에 구비된 모뎀을 연결함으로써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모뎀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무선핸드셋으로 구성되고, 본체와 무선핸드셋간은 소정의 주파수신호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된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핸드셋은 모뎀을 접속하기 위한 모뎀접속포트와,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를 저장하기 위한 제 1모드저장수단, 이 모드저장수단에 저장된 동작모드에 관한 모드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모드메시지저장수단 및, 상기 모뎀접속포트에 모뎀이 접속되는 경우에는 모드저장수단의 동작모드를 모뎀모드로 설정하고 모드메시지저장수단에서 모뎀모드메시지를 독출하여 본체로 송출함과 더불어, 동작모드가 모뎀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모뎀접속포트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는 본체로 송출하고, 또한 본체로부터 송출되어 온 데이터는 모뎀접속포트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 1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국선과의 통화로를 설정하기 위한 통화로접속수단과, 소정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국선과 송수화기측과의 데이터 송수신경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전화모드 및 모뎀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경로를 스위칭제공하는 데이터경로선택수단,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를 저장하기 위한 제 2모드저장수단 및, 상기 무선핸드셋으로부터 모뎀모드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 2모드저장수단의 모드를 모뎀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통화로접속수단을 온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상기 데이터경로선택수단을제어하여 국선과 무선핸드셋간의 데이터 송수신경로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 2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뎀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Wireless telephone with modem connecting port}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전화기의 무선핸드셋에 모뎀을 접속하기 위한 모뎀결합포트를 구비하여, 무선핸드셋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등에 구비된 모뎀을 연결함으로써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모뎀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을 비롯하여 회사 및 우리의 생활공간 도처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전화단말기는 정보화시대를 맞이한 현대인의 가장 기본적인 생활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바, 현재에는 전화기의 기능이 고도화되면서 종래의 핸드셋에 해당하는 부분을 본체에 대해 무선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전화기의 본체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위치에서도 통화를 실행할 수 있도록 된 무선전화기가 상용화되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상기한 무선전화기는 국선에 대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본체와, 이 본체에 대해 소정의 주파수신호(RF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통화기능을 제공하는 무선핸드셋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현재사회가 고도화를 이루어 가면서 각 가정에서도 컴퓨터의 사용이 생활화되고 있으며, 특히 컴퓨터에 모뎀을 연결하여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는 바, 컴퓨터의 모뎀을 국선과 결합된 전화기에 접속함으로써, 컴퓨터를 통한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모뎀을 장착한 후, 이 모뎀과 전화기를 결합하고, 전화기에 결합된 국선을 통해 상대측 컴퓨터와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게 되는데, 현재에는 무선전화기의 본체에만 모뎀을 결합할 수 있는 모뎀결합포트가 구비되어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컴퓨터는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특정 위치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게 되는 바, 국선과 접속되는 무선전화기의 본체가 설치된 위치와 컴퓨터가 설치된 위치가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경우에는 컴퓨터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이동이 자유로운 무선전화기의 무선핸드셋에 모뎀을 결합할 수 있는 모뎀결합포트를 구비하여, 이 모뎀결합포트를 통해 모뎀이 결합된 경우에는 통상의 전화통화를 일시 정시시키고 모뎀을 통한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도록 된 모뎀결합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에서 무선핸드셋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1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에서 본체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무선핸드셋 외관의 일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3a는 도1a의 구성으로 된 무선핸드셋의 동작플로우챠트.
도3b는 도1b의 구성으로 된 본체의 동작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6 : 키패드, 2 ; 마이크로 폰,
3 : 스피커, 4 : 표시부,
5,25 : 메모리, 6 : 모뎀결합포트,
7,34 : 설정모드저장부, 8 : 모드메시지저장부,
9,32 : 안테나, 10,33 : RF송수신부,
11,35 : 마이크로 프로세서, 12 : 충전전원부,
21 : 국선접속포트, 22 : 링검출부,
23 : 링발생부, 24 : 인터페이스회로,
27 : 송수화기, 28 : 통화로접속부,
29 : 데이터경로선택부, 30 : 네트워크회로,
31 : 음성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뎀결합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는, 본체와 무선핸드셋으로 구성되고, 본체와 무선핸드셋간은 소정의 주파수신호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된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핸드셋은 모뎀을 접속하기 위한 모뎀접속포트와,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를 저장하기 위한 제 1모드저장수단, 이 모드저장수단에 저장된 동작모드에 관한 모드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모드메시지저장수단 및, 상기 모뎀접속포트에 모뎀이 접속되는 경우에는 모드저장수단의 동작모드를 모뎀모드로 설정하고 모드메시지저장수단에서 모뎀모드메시지를 독출하여 본체로 송출함과 더불어, 동작모드가 모뎀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모뎀접속포트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는 본체로 송출하고, 또한 본체로부터 송출되어 온 데이터는 모뎀접속포트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 1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국선과의 통화로를 설정하기 위한 통화로접속수단과, 소정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국선과 송수화기측과의 데이터 송수신경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전화모드 및 모뎀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경로를 스위칭제공하는 데이터경로선택수단,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를 저장하기 위한 제 2모드저장수단 및, 상기 무선핸드셋으로부터 모뎀모드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 2모드저장수단의 모드를 모뎀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통화로접속수단을 온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상기 데이터경로선택수단을 제어하여 국선과 무선핸드셋간의 데이터 송수신경로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 2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무선전화기의 무선핸드셋에 모뎀결합포트를 구비하여, 무선핸드셋의 모뎀결합포트에 모뎀이 결합된 경우에는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본체를 통해 국선으로 송출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체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모뎀결합포트를 통해 모뎀으로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컴퓨터의 위치와 무선전화기의 본체간의 거리가 떨어져 있더라도 무선핸드셋을 통해 컴퓨터통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에서 무선핸드셋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1에서, 참조번호 1은 사용자가 다이얼링을 하거나 특정기능 실행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가 구비된 키패드이고, 2는 사용자의 입력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 폰, 3은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이다.
또한, 참조번호 4는 무선핸드셋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5는 무선핸드셋의 통상적인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6은 컴퓨터의 모뎀과 결합되어 모뎀과 본 무선핸드셋간의데이터송수신을 위한 모뎀결합포트로서, 이는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핸드셋의 외부에 설치되어 컴퓨터모뎀과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무선핸드셋의 경우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게 되므로 충전상태에서도 동작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무선핸드셋의 측면에 모뎀결합포트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참조번호 7은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정보, 즉 전화모드인지 또는 모뎀모드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설정모드저장부, 8은 현재 설정된 모드에 관한 안내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모드메시지저장부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9는 RF신호를 송출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이고, 10은 이후에 설명할 마이크로프로세서(11)의 제어신호에 따라 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복조하고, 송출되는 신호를 변조 및 증폭하는 RF송수신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11은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이는 특히 모뎀결합포트(6)에 컴퓨터모뎀이 결합되는 경우, 현재 모드를 모뎀모드로 설정하고, 이 모드정보를 안테나(9)를 통해 본체로 송출함과 더불어, 모뎀결합포트(6)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안테나(9)를 통해 본체로 송출하고, 또한 안테나(9)를 통해 본체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모뎀결합포트(6)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참조번호 12는 평상시 소정의 충전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그 전원을 충전하고, 또한 본체에서 이격되었을 경우 본 무선핸드셋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전원부이다.
한편,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 본체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참조번호 21은 외부국선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국선접속포트이고, 22는 국선접속포트(21)에 인가되는 링신호를 감지하는 링검출부, 23은 인가된 링신호를 전화 벨소리로 출력하는 링발생부, 24는 통화로의 접속여부 및 장치 내·외부로 입출력되는 통신신호 전반의 인터페이스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회로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25는 단축다이얼기능 등 본체의 통상적인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이고, 26은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가 구비된 키패드,27은 송수화기, 28은 이후에 설명할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통화로의 연결여부를 단속하는 통화로 접속부, 29는 이후에 설명할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데이터의 송수신경로를 스위칭하기 위한 데이터경로선택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30은 상기 인터페이스회로(24)와 통화로접속부(28)를 거쳐 상대 단말기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기능과 측음에 대한 신호처리 등을 수행하는 네트워크회로, 31은 음성신호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음성제어부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32는 RF신호를 송출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33은 이후에 설명할 마이크로프로세서(35)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복조하고, 송출되는 신호를 변조 및 증폭하는 RF송수신부, 34는 현재 본체에 설정된 동작모드정보, 즉 전화모드인지 또는 모뎀모드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설정모드저장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35는 본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이는 특히 안테나(32)를 통해 무선핸드셋으로부터 인가되는 모드정보를 설정모드저장부(34)에 저장함과 더불어, 현재 모드가 모뎀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경로선택부(29)를 제어하여 안테나(32)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국선접속포트(21)를 통해 상대측으로 송출하도록 하고, 국선접속포트(21)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안테나(32)를 통해 무선핸드셋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무선전화기 동작을 도3a 및 도3b에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a는 무선핸드셋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우선 가입자가 무선핸드셋을 사용하지 않는 정상적인 대기상태에서(ST1), 마이크로프로세서(11)는 모뎀결합포트(6)에 컴퓨터모뎀접속단자(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된 모뎀접속상태인지를 확인하게 된다(ST2).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모뎀결합포트(6)가 모뎀접속상태인 것이 확인되면, 설정모드저장부(7)에 저장된 동작모드를 모뎀모드로 설정함과 더불어(ST3), 모드메시지저장부(8)에 저장된 메시지중에서 모뎀모드메시지를 독출하여 RF송수신부(10) 및 안테나(9)를 통해 본체로 송출하게 된다(ST4).
이후,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모뎀결합포트(6)에 결합된 컴퓨터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RF송수신부(10) 및 안테나(9)를 통해 본체로 송출함과 더불어, 본체로부터 안테나(9) 및 RF송수신부(1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모뎀결합포트(6)로 송출함으로써 컴퓨터모뎀으로 인가하게 된다(ST5).
그리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현재 모뎀결합포트(6)에 컴퓨터 모뎀이 비접속상태인지를 확인하여(ST6), 컴퓨터모뎀이 비접속상태인 것이 확인되게 되면, 설정모드저장부(7)의 모드를 대기모드로 변경설정함과 더불어(ST7), 모드메시지저장부(8)에 저장된 메시지중에서 대기모드메시지를 독출하여 RF송수신부(10) 및 안테나(9)를 통해 본체로 송출하게 된다(ST8).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설정모드저장부(7)에 설정된 동작모드가 모뎀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입자가 키패드(1)를 통해 무선핸드셋을 오프훅 상태로 전환하려는 경우, 전화통화를 위한 통화로를 설정하지 않음과 더불어, 소정의 모뎀모드메지시를 표시부(4)를 통해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를 통해 모뎀모드메시지를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설정모드저장부(7)에 설정된 동작모드가 모뎀모드인 경우, 표시부(7)를 통해 현재모드가 모뎀모드인 것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어, 도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에서 본체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마이크로 프로세서(35)는 통상의 대기상태에서(ST21), 무선핸드셋으로부터 송출되어 안테나(32) 및 RF송수신기(33)를 통해 소정의 메시지가 수신되게 되면, 수신된 메시지가 모뎀모드메시지인지를 확인하게 된다(ST22).
이때, 상기 ST2단계에서 무선핸드셋으로부터 송출되어 온 메시지가 모뎀모드메시지이게 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5)는 설정모드저장부(34)의 동작모드를 모뎀모드로 설정하게 된다(ST23).
이어, 마이크로 프로세서(35)는 통화로접속부(28)를 제어하여 온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ST24), 데이터경로설정부(29)의 경로를 모뎀경로로 설정하게 된다(ST25).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35)는 데이터경로설정부(29)를 스위칭제어하여 모뎀모드인 경우 국선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는 RF송수신기(33) 및 안테나(32)를 통해 무선핸드셋으로 송출하고, 무선핸드셋으로부터 안테나(32) 및 RF송수신기(33)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는 국선접속단자(21)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35)는 무선핸드셋으로부터 안테나(32) 및 RF송수신기(33)를 통해 대기모드메시지가 수신되지를 확인하여(ST26), 대기모드메시지가 수신되게 되면, 설정모드저장부(34)의 동작모드를 대기모드로 변경설정함과 더불어(ST27), 통화로접속부(28)를 제어하여 오프상태로 설정하게 된다(ST28).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전화기의 무선핸드셋에 모뎀결합포트를 구비하여, 무선핸드셋의 모뎀결합포트에 모뎀이 결합된 경우에는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본체를 통해 국선으로 송출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체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모뎀결합포트를 통해 모뎀으로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컴퓨터의 모뎀을 통해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컴퓨터의 위치와 무선전화기의 본체간의 거리가 떨어져 있더라도 무선핸드셋을 통해 컴퓨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전화기의 동작모드를 전화모드와 모뎀모드로 설정하여 두고, 통상의 대기상태에서는 전화모드로 설정되도록 하고, 모뎀접속포트를 통해 모뎀이 접속된 경우에만 동작모드를 모뎀모드로 변경설정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전화기의 무선핸드셋에 모뎀결합포트를 구비하여, 무선핸드셋의 모뎀결합포트에 모뎀이 결합된 경우에는 모뎀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본체를 통해 국선으로 송출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체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모뎀결합포트를 통해 모뎀으로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컴퓨터의 위치와 무선전화기의 본체간의 거리가 떨어져 있더라도 무선핸드셋을 통해 컴퓨터통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본체와 무선핸드셋으로 구성되고, 본체와 무선핸드셋간은 소정의 주파수신호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된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핸드셋은 모뎀을 접속하기 위한 모뎀접속포트와,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를 저장하기 위한 제 1모드저장수단, 이 모드저장수단에 저장된 동작모드에 관한 모드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모드메시지저장수단 및, 상기 모뎀접속포트에 모뎀이 접속되는 경우에는 모드저장수단의 동작모드를 모뎀모드로 설정하고 모드메시지저장수단에서 모뎀모드메시지를 독출하여 본체로 송출함과 더불어, 동작모드가 모뎀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모뎀접속포트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는 본체로 송출하고, 또한 본체로부터 송출되어 온 데이터는 모뎀접속포트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 1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국선과의 통화로를 설정하기 위한 통화로접속수단과, 소정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국선과 송수화기측과의 데이터 송수신경로를 제공하거나, 또는 전화모드 및 모뎀모드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경로를 스위칭제공하는 데이터경로선택수단,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를 저장하기 위한 제 2모드저장수단 및, 상기 무선핸드셋으로부터 모뎀모드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 2모드저장수단의 모드를 모뎀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통화로접속수단을 온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상기 데이터경로선택수단을 제어하여 국선과 무선핸드셋간의 데이터 송수신경로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 2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결합포트는 무선핸드셋이 충전중인 경우에도 모뎀과 결합할 수 있도록 무선핸드셋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핸드셋은 표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제어수단은 상기 모뎀접속수단에 모뎀에 접속된 경우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모뎀모드임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핸드셋은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제어수단은 상기 모뎀접속수단에 모뎀이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오프훅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모뎀모드메시지를 송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모드저장수단 및 제 2모드저장수단은 대기상태에서 전화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
KR1019990068133A 1999-12-31 1999-12-31 모뎀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 KR20010066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133A KR20010066418A (ko) 1999-12-31 1999-12-31 모뎀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133A KR20010066418A (ko) 1999-12-31 1999-12-31 모뎀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418A true KR20010066418A (ko) 2001-07-11

Family

ID=1963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8133A KR20010066418A (ko) 1999-12-31 1999-12-31 모뎀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64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08280A (zh) * 2017-11-03 2018-01-19 深圳市康冠商用科技有限公司 多信源usb接口电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08280A (zh) * 2017-11-03 2018-01-19 深圳市康冠商用科技有限公司 多信源usb接口电路
CN107608280B (zh) * 2017-11-03 2024-05-03 深圳市康冠商用科技有限公司 多信源usb接口电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3505B2 (en) Efficient and flexible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with base-to-base communication
KR20010066418A (ko) 모뎀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기
JP3584248B2 (ja) 移動通信端末の受け台
KR200293071Y1 (ko) 캐릭터가 움직이는 핸드폰 케이스
KR100393603B1 (ko) 무선 헤드셋의 재다이얼 번호 안내 방법
KR100996084B1 (ko) 전류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한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간의 통신 연결방법
KR10049500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정장치
KR100215722B1 (ko)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JP2001060994A (ja) 携帯電話装置および応答方法の変更方法
JP3308067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3619787B2 (ja) 親子電話装置の親機
KR200186082Y1 (ko) 무선통신 회로를 이용한 플러그형 전화기
KR200188087Y1 (ko)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KR100468580B1 (ko) 공중통신망 접속 휴대전화기 장치 및 그 운용방법
JP2002190766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0148466B1 (ko) 무선전화기에서 고정장치의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통화형성하는 방법
KR200187431Y1 (ko)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KR100424615B1 (ko) 무선전화기 및 무선전화기를 구비한 복합기기에있어서 휴대장치 통화중 고정장치로의 통화절환 및 통화해제방법
KR20010036594A (ko) 외부신호 수신 휴대용 핸즈프리 무선전화 시스템
KR19980052725A (ko) 전화단말기의 긴급 다이얼링 방법
KR19980035372A (ko) 자동 연속 재다이얼 기능을 갖춘 통신단말기
KR20040015914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화장치 및 방법
KR19980056078A (ko)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KR20040050940A (ko) 통화 불능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