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4253A - 에이티엠교환시스템에서 망연동장치의 메시지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에이티엠교환시스템에서 망연동장치의 메시지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4253A
KR20010064253A KR1019990062403A KR19990062403A KR20010064253A KR 20010064253 A KR20010064253 A KR 20010064253A KR 1019990062403 A KR1019990062403 A KR 1019990062403A KR 19990062403 A KR19990062403 A KR 19990062403A KR 20010064253 A KR20010064253 A KR 20010064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link
transmitter
dpram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7120B1 (ko
Inventor
조광수
박태준
이성재
김정식
Original Assignee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오길록
Priority to KR1019990062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7120B1/ko
Publication of KR20010064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1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19Network Node Interface, e.g. tandem connections, transit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65Interaction of ATM with oth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72Multiplexing, e.g. coding, scra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교환시스템 망연동장치(TIWM: Trunk Interworking Module)의 망연동보드에서 망연동프로토콜과 디바이스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메시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망연동보드는 신호메시지 관련하여 메시지전달부 계층 2 프로토콜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메시지에 대한 다중프로세싱방식을 사용하는 방법과 사용자 메시지 송수신 관련하여 디바이스의 물리적 연결과 ATM교환시스템의 ATM연결을 새로운 데이터구조를 사용해서 융통성 있게 수행하도록 스위치를 이용한다.
본 발명은 망연동보드에서 스위치연결 및 해제가 동적으로 발생할 경우 데이터구조 정보에 신속하게 반영되도록 관리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 기능 및 메시지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ATM교환시스템의 망연동장치에서는 여러 개의 신호링크메시지를 동적으로 처리 및 변경 가능하여 교환기중계선연동 운용유지보수를 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호처리프로세서 및 운용자의 중계선연결/해제에 대한 접근에 있어서 이전 교환기연결보다 융통성과 기능의 확장성을 기술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이티엠교환시스템에서 망연동장치의 메시지 제어 방법 {A method of message control for Trunk interworking module in ATM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교환시스템 망연동장치에서의 메시지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ATM교환시스템의 망연동장치(TIWM:Trunk Interworking Module)에서 2.048Mbps속도의 중계선 트렁크를 연동하기 위한 망연동보드에서 다중방식의 망연동프로토콜 및 디바이스제어에 관한 메시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개발된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방식의 디지털교환기의 중계선메시지처리방식은 단일 신호프로토콜을 이용하므로 고정적인 자원할당 및 동시에 여러 개의 신호링크를 한보드의 프로세서에서 처리할수 없었다. 또한 중계선자원의 연결설정 및 해제를 정적으로 관리하는 장치가 따로 존재하여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구조가 분산되어 있어 관리 및 처리가 용이하지 못하며, 향후 새로운 서비스연결 요구시 용량확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프로토콜 메시지의 효율적인 다중 처리방법과 디바이스 메시지의 효율적인 처리방법을 사용하여 E1중계선연동을 제공하는 ATM교환시스템의 망연동보드에서 E1중계선을 연동하기 위한 메시지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교환시스템의 망연동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구현된 망연동보드의 하드웨어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구현된 신호프로토콜부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구조도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제어 구성 흐름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망연동보드내 신호프로토콜부를 메시지처리를 위한 각 기능별로 링크수신부, DPRAM송신부, 링크송신부, 메시지분배부, 링크관리부로 모듈화하여 효율성있는 구조로 구성하고, 신호메시지, 관리메시지등이 동적으로 처리되어 시스템에 운용되도록 신호링크정보데이터구조의 링크레코드를 링크갯수 만큼 순차구조로 구성하고 이를 하나의 주레코드를 통해 순차 접근구조를 구성하며, 스위치연결메시지가 동적인 데이터구조로 동작하기 위한 스위치연결정보데이터구조의 연결레코드를 연결갯수만큼 순차구조로 구성하고, 이를 이중링크트리스트구조로 만들어 하나의 주레코드를 통해서 동적으로 접근 및 데이터를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망연동보드 초기 동작시 시스템을 초기화 하는 제1과정; 메시지분배부가 메시지를 수신하여 분배하는 제2과정; 링크송신부가 메시지를 수신하여 스위치부로 송신하는 제3과정; 링크관리부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4과정; 및 링크수신부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교환시스템의 망연동장치 구성도로서, 로컬교환서브시스템(ALS : ATM Local Switching Subsystem)(1)에 연결되고 중앙교환서브시스템(ACS: : ATM Central Switching Subsystem)(2)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IMI(Inter Module Interface)형태로 망연동장치(3)와 연결된다.
망연동장치(3)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수개의 망연동보드(5)와 망연동보드(5)들을 다중화하여 상위 호처리프로세서와 통신 및 사용자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링크다중화보드(4)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구현되는 망연동장치내의 망연동보드(5)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보둣이, 망연동보드는 6개의 모듈, 즉 디바이스처리부(10), 스위치처리부(11), AAL1 처리부(12), 신호프로토콜부(13), 에코처리부(14), DPRAM버퍼부(15)로 구성된다.
여기서, 디바이스처리부는(10)는 4개의 E1과의 인터페이스 및 프레임정합기능을 수행하며, 스위치처리부는(11) 물리계층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타임슬롯별로 스위칭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AAL(ATM Adaptation Layer)1처리부는(12) 스위칭된 데이터를 ATM계층에서 사용할수 있도록 셀조립 및 분해기능을 수행하고, 신호프로토콜부(13)는 각 하드웨어 디바이스의 고장감시 및 물리계층, 타임스위치, AAL1의 제어를 담당한다. 에코처리부(14)는 사용자데이터의 에코발생시 에코제거기능을 처리하며 DPRAM(Dual Port RAM)버퍼부(15)는 상위 링크다중화부(4)와의 메시지 송수신을 처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구현된 망연동보드내 신호프로토콜부(13)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신호프로토콜부(13)는 링크수신부(20), DPRAM 송신부(21), 메시지분배부(22), 링크송신부(23), 링크관리부(24)로 구성된다.
여기서, 링크수신부(20)는 스위치처리부(11)를 경유한 데이터가 타임슬롯지정기를 통하고 HDLC(High-level Data Linke Control Procedure)에 의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블록이다. DPRAM송신부(21)는 상위로 사용자데이터와 신호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블록이고, 링크송신부(23)는 HDLC 버퍼기술자를 제어하여 사용자데이터 및 신호데이터를 스위치처리부(11)로 전송하는 블록이다.
메시지분배부(22)는 상위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들을 각각의 나머지블록으로 메시지를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링크관리부(24)는 융통성있는 신호링크를 관리하여 프로그램에 의한 신호링크 스위치변경 및 시험뿐만아니라 사용자/운용자의 명령에 의한 가변적인 시험을 수행하는 블록이다.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적용된 동적 신호링크정보 데이터구조와 동적 스위치연결정보 데이터구조이다.
신호프로토콜부(13)는 계층 2프로토콜과 신호링크관리 및 이중버퍼관리의 효율적인 관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신호링크정보데이터구조를 갖고 동작한다.
데이터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신호링크보드의 정보를 표시하는 레코드 1개와(30∼33) 보드내의 링크갯수에 따라서 관리되는 여러 개의 링크레코드가 있다.(34∼41)
신호링크정보레코드는 신호단말인덱스(30), 최대신호링크수[0-3](31) 여러링크들로부터 수신되는 하위수신링버퍼포인터(32), 상위 DPRAM링버퍼포인터(33)로구성된다. 그리고 링크레코드정보는 신호단말번호[0-3](34), 각64kbps속도를 갖는 채널번호[0-31](35), 현재 레코드의 등록/비등록 여부를 표시하는 등록표시(36), 신호링크의 활성화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링크활성화표시(37), 신호링크의 비정상적인 이유를 표시하는 연결실패이유(38), 각 링크별 스위치와의 데이터송수신시 수신버퍼기술자(40), 송신버퍼기술자(41), 현재신호링크의 가용상태/비가용상태를 나타내는(41)것등으로 구성된다.
스위치연결정보데이터구조를 살펴보면, 스위치의 주정보를 표시하는 레코드 1개와(50∼53) 연결별정보를 표시하는 여러 개의 연결레코드가 있다(54∼59).
스위치의 주정보를 표시하는 레코드는 스위치에서 AAL1으로 변환을 제공해주는 총연결수가 128개이고 이것을 지정하기 위한 필드(50), 연결정보의 맨처음을 나타내는 필드(51), 연결의 맨끝을 나타내는 필드(52), 현재 사용되고있는 총연결수(53)로 구성된다. 각 연결레코드의 구성은 입력PCM(Pulse Code Modulation)정보필드(54), 출력PCM정보필드(55), 입력채널번호(56), 출력채널번호(57), 출력포드 인가표시(58), 연결들간 이중링크트리스트포인터(59)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제어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망연동보드가 전원이 켜지고 신호프로토콜처리부(13)가 시작되면, 운영체계가 시작되어 메모리, 타스크 로컬스택을 검사하고 신호프로토콜처리부(13)에 연결된 하드웨어디바이스의 기능에 맞게 칩선택자를 초기화 및 시험한 후(S101), 운영체계의 정상여부를 판단하여(S102)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재시동 또는 작동을 종료하고, 정상이면 응용프로그램중 다중프로세싱이 필요한 상위메시지큐 스케쥴링타스크와 하위메시지큐 스케쥴링타스크를 등록하고 디바이스처리부의 링크들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타스크를 등록한다. 또 메시지 처리에 요구되는 타이머들을 등록한다(S103).
이후, 링크수신부와 메시지분배부가 사건(event)이 발생할 때마다 동작하여메시지 처리를 제어한다(S104).
도 6은 메시지분배부의 동작 흐름도이다.
메시지분배부(22)가 동작되면 우선 DPRAM버퍼부(15)로부터 인터럽트가 발생하였는지를 계속 조사하여 인터럽트가 발생하면(S111) DPRAM 링버퍼포인터가 지시하는 읽기(READ)값과 현재까지 사용한 쓰기(WRITE) 값을 읽어(S112) 데이터가 있는지 검사한다(S113). DPRAM 링버퍼포인터가 지시하는 읽기(READ)값과 현재까지 사용한 쓰기(WRITE) 값을 비교하여 다르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이고, 같으면 데이터가 없다는 의미이다.
단계 S113에서의 검사결과, 비교한 값이 다르면(데이터가 있으면) 해당데이터를 읽어 상위메시지큐 스케쥴링타스크로 메시지를 송신하고(S114), DPRAM 링버퍼포인터(인덱스)의 값을 1증가하여 세그멘트수(DPRAM의 메모리를 여러 개의 세그멘트로 분리함)로 모듈러(Moduler)시킨 후(S115), 계속하여 나머지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단계 S113으로 돌아간다.
단계 S112에서의 검사결과, 데이터가 없으면 단계 S111으로 분기하여 DPRAM 인터럽트의 발생을 대기한다.
도 7은 상위메시지 스케쥴링큐타스크의 메시지 처리 흐름도이다.
상위메시지 스케쥴링큐타스크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면(S116), 프로토콜 계층2의 상태메시지인가를 검사하여(S117), 맞으면 상태메시지를 저장 및 프로토콜처리[계층 2의 링크프로토콜]를 수행한다(S118). 이후, 링크상태메시지가 비가용상태인가를 검사하고(S119) 비가용상태이면 링크송신부(23)로 메시지를 송신한 후(S120) 상위호처리로 응답요구가 필요한가를 검사하고(S121), 가용상태이면 바로 상위호처리로 응답요구가 필요한가를 검사한다(S121). 검사결과 응답요구가 필요하면 DPRAM송신부(21)로 해당결과메시지를 만들어 보낸 후(S122) 종료한다.
단계 S117에서 검사한 결과, 수신된 메시지가 프로토콜 계층 2 상태메시지가 아니면 상위사용자메시지인가를 검사한다(S123). 검사결과 상위사용자메시지이면 메시지를 신뢰성있게 전달하기 위해서 링크별로 전송큐 및 재전송큐에 저장한 후(S124), 링크송신부(23)로 해당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요청한다(S125).
단계 S117에서 검사한 결과, 상위사용자메시지가 아니면 메시지를 링크관리부로(24) 송신하여 처리하도록 한다(126)
도 8은 링크송신부의 메시지 처리 흐름도 이다.
링크송신부(23)가 메시지를 수신하면(S130), 링크별(0-3)로 구분하여 송신버퍼기술자 선택 및 읽기를 수행한다(S131). 이 후, 송신버퍼기술자의 연속모드상태가 셋(SET)되고 이전부터 계속해서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보내고 있었으면(S132) 연속모드를 해제하여(S133) 송신을 중단시킨 후에 버퍼상태표시자가 유휴상태인가를 검사한다(S134). 버퍼상태표시자가 유휴상태이면 해당메시지를 송신버퍼에 복사하고 메시지를 스위치처리부(11)로 송신하면 디바이스처리부(10)를 경유하여 외부로 메시지가 송신된다
또한 메시지송신후 송신버퍼기술자(인덱스)를 1증가한후 송신버퍼갯수만큼모듈러시키고 상위메시지인경우 전송큐에서 메시지를 삭제시킨다(135).
도 9a 내지 도 9b는 링크관리부의 메시지 처리 흐름도 이다.
링크관리부(24)는 수신한 메시지를 판별하여 64kbps링크등록/삭제요구메시지이면 도 9a에 도시한 단계 S142 내지 S146 단계를 수행하여 메시지를 처리하고, 중계선 사용자 스위치 채널 연결이면 도 9b에 도시한 단계 S149 내지 S153을 수행하며, 디바이스 관련 메시지이면 도 9c에 도시한 단계 S155 내지 S159를 수행하고, AAL1 연결/해제 메시지이면 도 9c에 도시한 단계 S160, S161 및 S158을 수행하여 메시지를 처리한다.
먼저, 메시지를 수신하면(S140) 64kbps링크등록/삭제요구메시지인지 검사하고(S141), 64kbps링크등록/삭제요구메시지이면 신호링크정보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S142). 검사결과 등록이 최초이고 호처리에서 정의한 최대등록갯수이하이면(S143) 신호링크정보테이블 변경 및 처리를 수행하고(S144) 스위치처리부(11)를 제어하여 스위치연결/해제 및 정보를 저장하여(S145) 물리적인데이터가 스위치를 경유하여 신호프로토콜부(13)와 연결이 완료되게 된다. 이후 스위치연결에 대한 결과메시지를 만들어 DPRAM송신부(21)로 송신한다(S146).
단계 S142에서의 검사결과, 신호등록정보테이블에 등록이 잘못되었거나(예를들어 등록되어 있는데 재등록을 요구하거나, 등록되어 있지 않는 것에 대해 삭제를 요구하는 경우) 단계 S143에서의 검사결과 최대등록갯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즉 초과한 경우에는 실패메시지를 만들어(S147) DPRAM송신부(21)로 송신한다.
만약 단계 S141에서의 검사 결과 64kbps링크등록/삭제요구메시지가 아니면 링크관리부(24)에서 수신한 메시지가 중계선사용자 스위치 채널연결인가를 검사하여(S148), 중계선사용자 스위치 채널연결이면 스위치의 자원을 검색하여(S149) 유휴한지 검사하고(S150), 스위치의 유휴자원이 있으면 스위치연결정보데이터구조를 이용하여 스위치의 입력/출력 PCM및 채널을 설정한 후, 연결 데이터를 데이터구조에 저장한 후(S151), 연결에 대한 결과를 DPRAM송신부(21)로 송신한다(S152). 한편, 단계 S150에서의 검사결과 스위치의 유휴자원이 없으면 연결실패메시지를 작성하여(S153) DPRAM송신부(21)로 전달한다.
단계 S148에서의 검사 결과 링크관리부(24)에서 수신한 메시지가 중계선사용자 스위치 채널연결이 아니면 디바이스관련 시험메시지인지 검사한다(S154).
검사결과 디바이스시험메시지이면, 먼저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상태를 나타내는 알람표시기(AIS: Alarm Indicate Signal), 프레임이상표시(OOF:Out Of Frame),신호손실표시(LOS:Los Of Signal)를 모니터링한다(S155).
모니터링한 상태값을 이전값과 비교하여(S156), 값이 다르면 에러 발생을 의미하므로 DPRAM송신부(21)의 링크정보메모리부분에 상태값을 변경하여 망운용자에게 통보해주고(S159) 그렇지않으면 디바이스시험요구에 대한 디바이스의 변수를 ??팅한 후(S157) 결과메시지를 DPRAM송신부(21)로 전달한다(S158).
만약 단계 S154에서 검사한 결과 링크관리부(24)에서 수신한 메시지가 디바이스관련 시험메시지가 아니면 AAL1연결/해제메시지인지 검사한다(S160).
검사결과 AAL1연결/해제메시지이면,해당파라메타정보인 VPI/VCI(Virtual Path Identifier /Virtual Channel Identifier)를 분석하여 ATM셀헤더정보와 라우팅택(tag)정보를 변경하고 ATM셀다중화/역다중화를 처리하여 스위치로 입력된 채널데이터들이 비동기방식의 ATM셀로 만들어져 상위셀버스를 통해서 전송되도록 한 후 (S161), 결과메시지를 만들어 DPRAM송신부(21)로 전송한다(158).
도 10은 링크수신부의 동작 흐름도이다.
링크수신부(20)는 시리얼통신제어기(SCC: Serial Communication Controller)의 인터럽트를 대기하고 있다가 인터럽트가 발생하면(S200), 인터럽트종류를 검사하여 정상적인 메시지수신인터럽트이면(S201) 수신버퍼기술자의 상태를 검사하고 수신버퍼가 데이터로 채워져 있으면 데이터를 읽어(S202) 메시지를 하위메시지큐 스케쥴링 타스크로 송신한다(S203). 이후 인터럽트를 해제하고 수신버퍼기술자를 1증가 및 총수신버퍼수로 모듈러를 취한후에(S204), 다른수신버퍼에 아직도 수신메시지가 있는지 조사하여(S205) 있으면 단계 S202로 돌아가 계속해서 메시지를 처리하고, 없으면 단계 S200으로 돌아가 시리얼통신제어기의 인터럽트를 대기한다.
단계 S201에서 검사결과 정상적인 수신 인터럽트가 아니면, 인터럽트의 종류가 비정상적이고 수신에러인터럽트인가를 검사한다(S206).
검사결과, 수신에러인터럽트이면 현재의 링크상태가 서비스중인가를 확인하여(S208) 가용상태이면 신호링크를 절단하고 에러종류와 에러발생횟수를 누적하여저장한다(S209)
만약 단계 S206에서 검사결과, 인터럽트의 종류가 비정상적이고 수신에러인터럽트가 아니면 수신한 메시지를 버퍼에서 삭제한 후 수신버퍼기술자를 정상상태로 다시 복구한다(S207)
단계 S207 및 S209 수행후에는 단계 S200으로 돌아가 시리얼통신제어기의 인터럽트를 대기한다.
도 11은 하위메시지큐스케쥴링타스크의 메시지 처리 흐름도 이다.
하위메시지큐스케쥴링타스크가 메시지를 수신하면(S211) 메시지를 하나의 수신큐(FIFO)에서 제거하고(S212) 메시지 길이를 검사하여(S213) 메시지의 종류를 판별한다. 여기서, 메시지길이가 5 옥텟과 279 옥텟 사이이면 사용자 메시지로, 그렇지 않으면 계층2의 상태메시지로 판단한다.
단계 S213에서의 판단결과 사용자메시지이면 메시지순서번호가 0-127사이에 있는지 검사하여, 메시지순서번호가 0-127사이에 없으면 수신메시지를 폐기한다. 그리고 수신큐의 폭주상태를 검사하여 폭주가발생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메시지를 처리하고, 폭주가 발생하면 수신한 메시지를 DPRAM송신부로 송신하고(S217) 링크송신부로 폭주관련메시지를 송신한다(S218).
단계 S213에서의 판단결과 사용자메시지가 아닌 계층2의 상태메시지이면 계층2의 상태프로토콜을 처리한 후(S214) 링크송신부(23)로 메시지를 송신한다(215).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ATM교환시스템의 망연동장치에서 여러 개의 신호링크메시지를 동적으로 처리 및 변경 가능하여 교환기중계선연동 운용유지보수를 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호처리프로세서 및 운용자의 중계선연결/해제에 대한 접근에 있어서 이전 교환기연결보다 융통성과 기능의 확장성을 기술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5)

  1. ATM교환시스템의 망연동장치에서 메시지 제어 방법에 있어서,
    망연동보드내 신호프로토콜부를 메시지처리를 위한 각 기능별로 링크수신부, DPRAM송신부, 링크송신부, 메시지분배부, 링크관리부로 모듈화하여 효율성있는 구조로 구성하고,
    신호메시지, 관리메시지등이 동적으로 처리되어 시스템에 운용되도록 신호링크정보데이터구조의 링크레코드를 링크갯수 만큼 순차구조로 구성하고 이를 하나의 주레코드를 통해 순차 접근구조를 구성하며,
    스위치연결메시지가 동적인 데이터구조로 동작하기 위한 스위치연결정보데이터구조의 연결레코드를 연결갯수만큼 순차구조로 구성하고, 이를 이중링크트리스트구조로 만들어 하나의 주레코드를 통해서 동적으로 접근 및 데이터를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망연동보드 초기 동작시 시스템을 초기화 하는 제1과정;
    메시지분배부가 메시지를 수신하여 분배하는 제2과정;
    링크송신부가 메시지를 수신하여 스위치부로 송신하는 제3과정;
    링크관리부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4과정; 및
    링크수신부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시스템에서 망연동장치의 메시지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메시지분배부에서 DPRAM 인터럽트 발생시 DPRAM을 조사하여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상위메시지큐스케쥴링으로 메시지를 보낸 후 계속 데이터를 검사하는 제1단계;
    상위메시지 스케쥴링큐타스크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프로토콜 계층2의 상태메시지인 경우, 상태메시지 저장 및 프로토콜처리(계층2의 링크프로토콜)를 수행한 후, 링크상태메시지가 비가용상태이면 링크송신부로 메시지를 송신하고, 또 상위호처리로 응답요구가 필요하면 DPRAM송신부로 해당결과메시지를 송신하는 제2단계; 및
    상위메시지 스케쥴링큐타스크(115)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상위사용자메시지인경우, 링크별로 전송큐 및 재전송큐를 처리한 후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시스템에서 망연동장치의 메시지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링크송신부에서 메시지를 수신한 후 링크별(0-3)로 구분하 송신버퍼기술자의 연속모드상태를 조사하여 연속모드이면 링크상태메시지 연속모드를 해제하는제1단계와;
    송신버퍼기술자의 유휴상태를 검사하여 송신버퍼기술자의 버퍼상태가 유휴상태이면 해당메시지를 송신버퍼에 복사하고 메시지를 망연동보드내 스위치처리부로 송신하고, 메시지송신후 송신버퍼기술자를 1증가한 후 송신버퍼갯수만큼 모듈러시키고 상위메시지인경우 전송큐에서 메시지를 삭제처리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시스템에서 망연동장치의 메시지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은,
    링크관리부에서 수신한 메시지가 64kbps링크등록/삭제요구메시지인 경우, 신호링크정보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사하여, 등록이 최초이고 호처리에서 정의한 최대등록갯수이하이면 신호정보테이블변경 및 처리를 수행하며, 망연동보드내 스위치처리부를 제어하여 스위치연결/해제 및 정보를 저장하고, 스위치연결에 대한 결과메시지를 만들어 DPRAM송신부로 송신하는 제1단계;
    링크관리부에서 수신한 메시지가 중계선사용자 스위치 채널연결인 경우,
    스위치의 자원을 검색하여 유휴자원이 있으면 스위치연결정보데이터구조를 이용하여 스위치의 입력/출력 PCM및 채널을 설정한 후 데이터구조에 저장한 다음, 결과를 DPRAM송신부로 송신하는 제2단계;
    링크관리부에서 수신한 메시지가 디바이스시험메시지인 경우,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상태를 나타내는 알람표시기(AIS), 프레임이상표시(OOF), 신호손실표시(LOS)를 모니터링하여, 이전상태와 비교하고 비교한 값이 서로다르면 에러로 판단하여 DPRAM송신부의 링크정보메모리부분에 상태값을 변경하여 망운용자에게 통보하고 그렇지않으면 디바이스시험요구에 대한 디바이스의 변수를 ??팅한 후 결과메시지를 DPRAM송신부로 전달하는 제3단계; 및
    링크관리부에서 수신한 메시지가 AAL1연결/해제메시지인 경우 해당파라메타정보인 VPI/VCI를 분석하여 ATM셀헤더정보와 라우팅택정보를 변경하고, ATM셀다중화/역다중화를 처리하여 스위치로 입력된 채널데이터들을 비동기방식의 ATM셀로 만들어 상위셀버스를 통해서 전송되도록 한 후, 결과메시지를 만들어 DPRAM송신부로 전송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망연동장치에서 메시지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은,
    링크수신부에서 수신된 시리얼통신제어메시지 인터럽트가 정상적인 메시지수신인터럽트인 경우 수신버퍼기술자의 수신버퍼의 데이터를 읽어 메시지를 하위메시지큐 스케쥴링 타스크로 송신한 후 인터럽트를 해제하고 수신버퍼기술자를 1증가 및 총수신버퍼수로 모듈러를 취한후에 다른수신버퍼에 아직도 수신메시지가 있는지 조사하여 처리하는 제1단계;
    링크수신부에서 수신된 시리얼통신제어메시지 인터럽트가 비정상적이고 수신에러인터럽트인 경우, 현재의 링크상태가 서비스중인가를 확인하여 가용상태이면 신호링크를 절단하고 에러종류와 에러발생횟수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제2단계;
    하위메시지큐스케쥴링타스크가 수신한 메시지가 사용자메시지인 경우 메시지순서번호가 번호외인 경우 이를 폐기하고, 수신큐의 상태를 검사하여 폭주가 발생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메시지를 처리하고, 폭주가 발생하면 수신한 메시지를 DPRAM송신부로 송신하고 또 링크송신부로 폭주관련메시지를 송신하는 제3단계; 및
    하위메시지큐스케쥴링타스가 수신한 메시지가 계층2의 상태메시지인 경우 계층2의 상태프로토콜을 처리한 후 링크송신부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망연동장치에서 메시지 제어 방법.
KR1019990062403A 1999-12-27 1999-12-27 에이티엠교환시스템에서 망연동장치의 메시지 제어 방법 KR100317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403A KR100317120B1 (ko) 1999-12-27 1999-12-27 에이티엠교환시스템에서 망연동장치의 메시지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403A KR100317120B1 (ko) 1999-12-27 1999-12-27 에이티엠교환시스템에서 망연동장치의 메시지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253A true KR20010064253A (ko) 2001-07-09
KR100317120B1 KR100317120B1 (ko) 2001-12-24

Family

ID=19629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403A KR100317120B1 (ko) 1999-12-27 1999-12-27 에이티엠교환시스템에서 망연동장치의 메시지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71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851B1 (ko) * 2000-11-09 200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선 제어 비트를 이용한 교환기간 중계선 양방향 운용방법
CN113359124A (zh) * 2021-05-20 2021-09-07 陕西长岭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机载悬停指示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578B1 (ko) * 2002-01-31 2004-07-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라우터의 내부 기능 프로세서간 운용자 메시지 처리방법
KR101589003B1 (ko) 2015-08-17 2016-01-26 박현진 목걸이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3093A (ja) * 1993-10-25 1995-05-12 Fujitsu Ltd Atm交換機におけるコネクションレスサービス実現方法
JPH1132056A (ja) * 1997-07-14 1999-02-02 Fujitsu Ltd 複数プロトコルを収容する非同期転送モード交換機及びそれにおけるインターワーキング制御方法
KR100241333B1 (ko) * 1997-12-03 2000-02-01 이계철 비동기 전달방식 교환기에서의 4개의 t1/e1 프레임 릴레이연동장치
KR100243415B1 (ko) * 1997-12-17 2000-02-01 이계철 프레임 릴레이 망 연동용 에이티엠 스위치 정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851B1 (ko) * 2000-11-09 200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선 제어 비트를 이용한 교환기간 중계선 양방향 운용방법
CN113359124A (zh) * 2021-05-20 2021-09-07 陕西长岭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机载悬停指示器
CN113359124B (zh) * 2021-05-20 2024-02-23 陕西长岭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机载悬停指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7120B1 (ko) 200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9438B2 (ja) ディジタル・データの逆多重化
US62924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from a signalling failure in a switched connection data transmission network
KR100253053B1 (ko) 에이티엠 교환기
US5854789A (en) ATM communication system with a modular structure and communication modules
US7486613B2 (en) Protection-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in asynchronous transfer mode system with ring topology
KR100317120B1 (ko) 에이티엠교환시스템에서 망연동장치의 메시지 제어 방법
EP0884860A2 (en) Channel allocation method for a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US6594237B1 (en) Fixed length data processing apparatus
JP2001508618A (ja) 非同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0173380B1 (ko) 분산형 액세스 노드 시스템에서의 성능관리 방법
KR100198467B1 (ko) Atm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 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JPH11355313A (ja) Atm加入者通信網における代理呼制御装置
KR0164120B1 (ko) Atm 계층용 가입자 액세스 처리장치
KR100211023B1 (ko) 초고속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에이.티.엠(atm) 서비스 노드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0175485B1 (ko) 완전 분산형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 재시도를 이용한 경로 제어 방법
KR100260054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장애 처리 보고 방법
KR100237403B1 (ko) Atm 교환기 ds1e 가입자 정합장치
KR0175578B1 (ko) 능동형 단방향 이중버스에서의 셀 릴레이 및 에드/드랍장치 및 방법
KR100468291B1 (ko) 에이티엠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 및방법
KR0153936B1 (ko)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 고정형 가상 경로 연결 설정을 위한 발신 및 착신 처리 방법
KR0140783B1 (ko) 에이티엠교환기 중계선의 특정서비스 조정기능 관리방법
KR100195057B1 (ko) 에이티엠 네트워크 시스템의 유지보수 셀 처리장치
KR100628746B1 (ko) Saal의 이중화 방법
KR100440580B1 (ko)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
KR100373334B1 (ko) 미디어 게이트웨이에서 넌에이티엠 서비스 연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