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291B1 - 에이티엠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에이티엠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291B1
KR100468291B1 KR10-2002-0051408A KR20020051408A KR100468291B1 KR 100468291 B1 KR100468291 B1 KR 100468291B1 KR 20020051408 A KR20020051408 A KR 20020051408A KR 100468291 B1 KR100468291 B1 KR 100468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atm
proxy
data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9709A (ko
Inventor
김상욱
전재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1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291B1/ko
Publication of KR2004001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5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the faulty arrangement being the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 H04L2012/5627Fault tolerance and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M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과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으로 이중화하여 망관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 ATM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과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으로 이중화함으로써,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우회 전송 경로인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망관리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망관리를 할 수 있고, 망의 토폴로지 변경 및 ATM 장비의 절체 동작 없이 우회 전송 경로로의 절체를 수행함으로써, 비용이 절감되고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이중화 구성에 효율성 및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이티엠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uplexing Inband Data Communication Network In ATM Network}
본 발명은 ATM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Inband Data Communication Network)을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Mater Inband Data Communication Network)과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Proxy Inband Data Communication Network)으로 이중화하여 망관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 ATM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은 정보 전송을 위해서 53 바이트의 고정된 셀(Cell)을 스위칭하는 기술로, 대부분의 ATM 장비는 자신의 망관리 데이터를 망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이하 EMS라함)으로 전송하기 위해 자신의 가입자 망 이외에 LAN(Local Area Network) 혹은 WAN(Wide Area Network)을 이용한 아웃밴드 데이터 통신망(Outband Data Communication Network)을 제공한다.
그러나 서비스 사업자 특성상 가입자 망 이외에 아웃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시설할 수 없는 경우나 망의 규모가 소규모인 경우 망관리 데이터를 자신의 가입자 망을 통해 EMS로 전송할 수 있도록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Inband Data Communication Network)을 제공한다. 즉, 상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은 ATM 망에서 해당 망을 구성하는 시스템들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망으로 관리 대상이 되는 망 자체를 사용하는 대역내 관리(Inband Management) 기능을 가지는데, 이는 관리자가 시스템 하나에 접속하게 되면 내부 망을 통해서 다른 시스템에도 접근하여 관리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최소한의 자원을 사용하면서 전체 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ATM 셀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 설정이나 해제는 셀 헤더에 포함되는 가상 경로 식별자(Virtual Path Identifier;이하 VPI라함)와 가상 채널 식별자(Virtual Channel Identifier;이하 VCI라함) 값을 사용하는데, 여기서, VPI와 VCI는 셀 식별 및 라우팅에 사용되는 논리 채널 번호를 의미한다.
그리고, 종래의 ATM 장비에서 다수의 가입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연결 타입(Type)으로는 교환 가상 연결(Switched Virtual Connection;이하 SVC라함)과 영구 가상 연결(Permanent Virtual Connection;이하 PVC라함)의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전술한 VPI/VCI 값은 SVC 또는 PVC 연결시 필요로 하는 시스템 자원으로서 SVC 연결시에는 장비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할당하고, PVC 연결시에는 관리자가 직접 수동으로 연결에 필요한 VPI/VCI 값을 할당한다. 특히, ATM의 경우 인밴드 전송을 위해, 즉 ATM 망을 구성하는 시스템을 통해 다른 시스템에 접근하려면 두 시스템간에 PVC 연결이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ATM 망에서 단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ATM 망에서 단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단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은 해당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PVC로 구성하게 되는 경우에 단중화되어 있는 EMS에 장착되는 ATM 카드 및 다수의 ATM 장비의 가입자 포트들 간에 물리적인 연결을 통해 구성되며, 각 ATM 장비는 체인(Chain)형태의 물리적인 토폴로지(Topology)를 가지게 된다. 그 상위의 연결 구성 또한 PVC 연결을 이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PVC 연결은 데이터 통신에서 통신 상대방을 고정적으로 설정하는 접속 방식을 말한다.
상기 ATM 장비에서는 상기 단중화 되어 있는 EMS로 인해 인밴드 정보를 설정할 때, 대상(Target) EMS IP를 한 개만 설정하게 된다. 즉, 상기 ATM 장비에서는 인밴드 정보로 대상 EMS IP "150.150.1.1"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EMS의 ATM 카드에서는 상기 PVC 연결을 설정할 때, IPoA(IP Over ATM)을 위한 대상 ATM 장비 IP와 VPI/VCI를 설정하게 된다. 즉, 상기 ATM 카드에서는 도 2(도 1의 단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있어, EMS의 ATM 카드에 설정되는 VPC 테이블의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PVC 테이블을 설정하는데, 해당 PVC 테이블에는 대상 ATM 장비 IP와 VPI/VCI가 할당된다. 예를 들면, ATM 장비 3의 대상 ATM 장비 IP는 "150.150.1.13"이고 VPI/VCI는 "0/113"이며, ATM 장비 5의 대상 ATM 장비 IP는 "150.150.1.16"이고 VPI/VCI는 "0/116"이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ATM 망에서 단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서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설명한다.
종래의 ATM 망에서 단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서 EMS와 ATM 장비간에 망관리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상기 EMS는 대상 ATM 장비의 IP를 기준으로 망관리데이터를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제어하게 되는데, 이 때 IP 계층 망관리 데이터는 하위의 데이터 링크 레이어에서 망관리 데이터 ATM 셀로 변환되어 ATM 카드에 설정된 PVC 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응되는 VPI/VCI 통로를 통해 대상 ATM 장비 IP를 갖는 ATM 장비로 전송된다. 이에, 상기 ATM 장비는 상기 망관리 데이터 ATM 셀을 전송받아 최종 종착점이 자기 자신인 망관리 데이터 ATM 셀을 IP 계층 망관리 데이터로 변환하여 수신하고 응답한다.
반면에, 그 역으로 ATM 장비는 대상 EMS IP를 기준으로 망관리 데이터 ATM 셀을 상기 EMS로 전송한다. 이에, 상기 EMS의 ATM 카드는 상기 망관리 데이터 ATM 셀을 전송받아 IP 계층 망관리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EMS는 해당 변환된 IP 계층 망관리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인밴드의 특성상 2개 이상의 홉(Hop)을 거쳐가는 경우 중간 전송 경로에 있는 ATM 장비는 단지 전송로 역할만 하기 위해 PVC 연결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종래의 단중화된 인밴트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의 교환은 ATM-IP-SNMP의 프로토콜 스택을 가지며 ATM 계층은 PVC 연결을 통해 EMS와 ATM 장비간에 연결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ATM 망에서 단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단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있어,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ATM 망에서 단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서는 전송 경로가 되는ATM 장비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ATM 장비의 가입자 포트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ATM 장비간의 전송 경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등 해당 단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장애 발생한 ATM 장비 이후에 연결되어 있는 ATM 장비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M 장비 1과 ATM 장비 2간의 전송 경로(Network Broken)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EMS는 장애 발생한 지점 이후에 있는 ATM 장비 2, ATM 장비 4 및 ATM 장비 5에 접근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장애 발생시 접근 불가에 대비하기 위해 VPI/VCI만을 이중화하여 설정하는 경우에도 ATM 장비에 대상 EMS IP가 오직 한 개 밖에 설정되지 않기 때문에 ATM 장비에서 같은 IP에 대해 다른 VPI/VCI로 구별하여 망관리 데이터를 전송해줄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ATM 망에서 단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은 인밴드 전송을 위해 PVC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PVC 연결의 경우 한번 연결을 설정하면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우회 전송 경로의 절체 기능을 제공할 수 없어 장애 발생 지점 이후에 체인형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ATM 장비에 대해 망관리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없어 망관리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PVC 연결을 이중화하여 구성하더라도 ATM 장비에 할당되는 IP 주소가 이중화되지 않는 이상 EMS와 ATM 장비 사이에 PVC 이중화만으로는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이중화를 구성할 수 없고 오직 단중화만이 가능하게 되어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우회 전송 경로를 제공하지 못해 여전히 망관리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없어 망관리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과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으로 이중화함으로써,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우회 전송 경로인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망관리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망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망의 토폴로지 변경 및 ATM 장비의 절체 동작 없이 우회 전송 경로로의 절체를 수행함으로써, 비용이 절감되고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이중화 구성에 효율성 및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ATM 망에서 단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단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있어, EMS의 ATM 카드에 설정되는 PVC 테이블의 예시도.
도 3은 도 1의 단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있어,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도 5에 있어,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서 ATM 장비의 응답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도 5에 있어,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서 프록시 트랜시버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도 7에 있어,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서 ATM 장비의 응답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 망에서 이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a는 도 9의 이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있어, 마스터 EMS의 마스터 ATM 카드에 설정되는 PVC 테이블의 예시도.
도 10b는 도 9의 이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있어, 프록시 EMS의 프록시 ATM 카드에 설정되는 PVC 테이블의 예시도.
도 11은 도 9의 이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있어,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마스터 EMS 11 : 망관리 응용 계층 프로세스부
12 : 망 정합부 13 : 공유 메모리부
14 : 마스터 감시 프로세스부 15 : ATM 장비 정보 DB부
16 : 마스터 ATM 카드 20 : 프록시 EMS
21 : 프록시 트랜시버 22 : 프록시 감시 프로세스부
23 : 프록시 ATM 카드 30 : ATM 장비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에이티엠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은,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또는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 및 응답을 송수신하여 전체 망을 관리하는 마스터 EMS와; 상기 마스터 EMS와 이더넷으로 연결되어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 및 응답을 송수신하여 상기 마스터 EMS로 전송하는 프록시 EMS와; 상기 마스터 EMS와 프록시 EMS에 대해 각각 상이한 PVC 연결을 설정하며 상기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또는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마스터 EMS 또는 프록시 EMS와 상기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 및 응답을 송수신하는 다수의 ATM 장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에이티엠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방법은, 망 정합부가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및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장애 발생 상태를 점검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여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수신한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프록시 트랜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프록시 트랜시버로부터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수신하여, 망관리 응용 계층 프로세스부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은 마스터 EMS(10), 프록시 EMS(20) 및 다수의 ATM 장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마스터 EMS(10)는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 및 응답을 송수신하며 해당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 및 응답을 송수신하여 전체 망을 관리하고, 상기 프록시 EMS(20)는 상기 마스터 EMS(10)와 이더넷(Ethernet)으로 연결되어 상이한 IP 및 PVC 테이블을 가지며 상기 마스터 EMS(10)로부터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여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해당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마스터 EMS(10)로 전송하며, 상기 다수의 ATM 장비(30)는 상기 마스터 EMS(10)와 프록시 EMS(20)에 대해 각각 상이한 VPI/VCI를 할당하여 각각 상이한 PVC 연결을 설정하며 상기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마스터 EMS(10)와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 및 응답을 송수신하고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프록시 EMS(20)와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 및 응답을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은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과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으로 이중화되는데, 상기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은 상기 마스터 EMS(10)와 ATM 장비(30)간에 해당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 및 응답을 송수신하기 위한 전송 경로이고,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은 상기 프록시 EMS(20)와 ATM 장비(30)간에 해당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 및 응답을 송수신하기 위한 전송 경로이다.
상기 마스터 EMS(10)는 망관리 응용 계층 프로세스부(11), 망 정합부(12), 공유 메모리부(13), 마스터 감시 프로세스부(14), ATM 장비 정보 DB부(15) 및 마스터 ATM 카드(16)를 구비하는데, 상기 망관리 응용 계층 프로세스부(11)는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전송하고 해당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수신하여 망을 관리하고, 상기 공유 메모리부(13)는 상기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및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장애 발생 상태를 저장하고, 상기 ATM 장비 정보 DB부(15)는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고, 상기 마스터 감시 프로세스부(14)는 상기 ATM 장비 정보 DB부(15)의 ATM 장비(30)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감시하고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장애 발생을 감지한 경우 상기 공유 메모리부(13)에서 장애 발생 상태를 갱신하며, 상기 마스터 ATM 카드(16)는 상기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대한 대상 ATM 장비 IP 및 VPI/VCI가 할당된 PVC 테이블이 설정되고, 상기 망 정합부(12)는 상기 망관리 응용 계층 프로세스부(11)로부터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수신할 때마다 상기 공유 메모리부(13)를 점검하여 해당 ATM 장비(30)에 대한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및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마스터 ATM 카드(16)를 통해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으로 또는 상기 프록시 EMS(20)를 통해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으로 해당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전송하고 해당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망관리 응용 계층 프로세스부(11)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마스터 감시 프로세스부(14)는 상기 각각의 ATM 장비(30)와 핑(ping) 또는 다른 방법을 통해 해당 ATM 장비(30)에 대한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감시하고, 상기 망 정합부(12)는 SNM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IP 계층-ATM 계층과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의한 전송 경로로 상기 ATM 장비(30)와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프록시 EMS(20)는 프록시 트랜시버(Proxy Transceiver)(21), 프록시 감시 프로세스부(22) 및 프록시 ATM 카드(23)를 구비하는데, 상기 프록시 감시 프로세스부(22)는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감시하여 상기 마스터 감시 프로세스부(14)로 전송하고, 상기 프록시 ATM 카드(23)는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대한 대상 ATM 장비 IP 및 VPI/VCI가 할당된 PVC 테이블이 설정되며, 상기 프록시 트랜시버(21)는 상기 망 정합부(12)로부터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프록시 ATM 카드(23)를 통해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서 상기 ATM 장비(30)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전송하고 해당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망 정합부(12)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프록시 감시 프로세스부(22)는 상기 각각의 ATM 장비(30)와 핑(ping) 또는 다른 방법을 통해 해당 ATM 장비(30)에 대한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감시하고, 상기 프록시 트랜시버(21)는 SNM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IP 계층-ATM 계층과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의한 전송 경로로 상기 ATM 장비(3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하, 도 5, 도 9, 도 10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 망에서 이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a는 도 9의 이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있어, 마스터 EMS의 마스터 ATM 카드에 설정되는 PVC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먼저, 마스터 EMS(10)에서 망관리 응용 계층 프로세스부(11)는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망 정합부(12)로 전송하고, 이에, 상기 망 정합부(12)는 상기 망관리 응용 계층 프로세스부(11)로부터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여(S501), 공유 메모리부(13)에서 해당 ATM 장비(30)에 대한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및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장애 발생 상태를 점검한다(S502). 여기서, 상기 ATM 장비(30)는 상기 망관리 응용 계층 프로세스부(11)의 망관리 데이터 요청의 대상이다.
그런 후, 상기 망 정합부(12)는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S503).
상기 판단 결과(S503),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망 정합부(12)는 상기 수신한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마스터 ATM 카드(16)의 PVC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해당 ATM 장비(30)로 전송한다(S504). 여기서, 상기 마스터 ATM 카드(16)의 PVC 테이블은 해당 마스터 ATM 카드(16)에 설정되는데, 도 9에서 상기 망 정합부(12)가 "ATM 장비 5"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하는 경우라면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ATM 장비 IP 및 VPI/VCI가 할당된다. 이때, 대상 ATM 장비 IP 및 VPI/VCI는 상기 "ATM 장비 5"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의 전송 경로인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있는 "ATM 장비 1", "ATM 장비 2", "ATM 장비 4", 및 "ATM 장비 5"의 IP 및 VPI/VCI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망 정합부(12)는 상기 ATM 장비(30)로부터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수신하여(S505), 상기 망관리 응용 계층 프로세스부(11)로 전송한다(S510). 이에, 상기 망관리 응용 계층 프로세스부(11)는 상기 망 정합부(12)로부터 수신한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참조하여 망을 관리한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S503),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망 정합부(12)는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S506).
이때, 상기 판단 결과(S506),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망 정합부(12)는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접근이 불가함을 상기 망관리 응용 계층 프로세스부(11)로 알린다(S507). 이에, 상기 망관리 응용 계층 프로세스부(11)는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마스터 인밴드데이터 통신망 및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이 모두 장애 발생 상태에 있어 상기 망관리 데이터 요청의 대상이 되는 ATM 장비(30)에 대한 접근이 불가함을 인지한다.
반면에, 상기 판단 결과(S506),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망 정합부(12)는 상기 수신한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프록시 EMS(20)의 프록시 트랜시버(21)로 전송한다(S508).
그리고, 상기 망 정합부(12)는 상기 프록시 트랜시버(21)로부터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수신하여(S509), 상기 망관리 응용 계층 프로세스부(11)로 전송한다(S510). 이에, 상기 망관리 응용 계층 프로세스부(11)는 상기 망 정합부(12)로부터 수신한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참조하여 망을 관리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서 ATM 장비(30)의 응답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은 도 5에 있어,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서 ATM 장비의 응답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망 정합부(12)는 상기 수신한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마스터 ATM 카드(16)의 PVC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해당 ATM 장비(30)로 전송하면(S504), 상기 ATM 장비(30)는 상기 망 정합부(12)로부터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수신한다(S601).
그리고, 상기 ATM 장비(30)는 상기 수신한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에 따라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상기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망 정합부(12)로 전송한다(S602). 즉, 상기 ATM 장비(30)는 자신에게 할당된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대응하는 VPI/VCI에 의한 PVC 연결을 통해 자신의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상기 망 정합부(12)로 전송한다.
이하, 도 7, 도 10b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서 프록시 트랜시버(2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도 5에 있어,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서 프록시 트랜시버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0b는 도 9의 이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있어, 프록시 EMS의 프록시 ATM 카드에 설정되는 PVC 테이블의 예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이중화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있어,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망 정합부(12)는 상기 수신한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프록시 EMS(20)의 프록시 트랜시버(21)로 전송하면(S508), 상기 프록시 트랜시버(21)는 상기 망 정합부(12)로부터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수신한다(S701).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 인밴드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고 반면에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망 정합부(12)는 이더넷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프록시 EMS(20)의 프록시 트랜시버(21)를 이용하여 우회 전송 경로인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 및 응답을 송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록시 트랜시버(21)는 상기 수신한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프록시 ATM 카드(23)의 PVC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해당 ATM 장비(30)로 전송한다(S702). 여기서, 상기 마스터 ATM 카드(16)의 PVC 테이블은 해당 프록시 ATM 카드(23)에 설정되는데, 도 9에서 상기 망 정합부(12)가 "ATM 장비 5"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하는 경우라면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ATM 장비 IP 및 VPI/VCI가 할당된다. 이때, 대상 ATM 장비 IP 및 VPI/VCI는 상기 "ATM 장비 5"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의 전송 경로인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있는 "ATM 장비 1", "ATM 장비 3", "ATM 장비 4", 및 "ATM 장비 5"의 IP 및 VPI/VCI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프록시 트랜시버(21)는 상기 ATM 장비(30)로부터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수신하여(S703), 상기 망 정합부(12)로 전송한다(S704).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서 ATM 장비(30)의 응답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은 도 7에 있어,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서 ATM 장비(30)의 응답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상기 프록시 트랜시버(21)는 상기 수신한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프록시 ATM 카드(23)의 PVC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해당 ATM 장비(30)로 전송하면(S702), 상기 ATM 장비(30)는 상기 프록시 트랜시버(21)로부터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수신한다(S801).
그리고, 상기 ATM 장비(30)는 상기 수신한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에 따라 상기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프록시 트랜시버(21)로 전송한다(S802). 즉, 상기 ATM 장비(30)는 자신에게 할당된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대응하는 VPI/VCI에 의한 PVC 연결을 통해 자신의 ATM 장비(30)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상기 프록시 트랜시버(21)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과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으로 이중화함으로써,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우회 전송 경로인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망관리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망관리를 할 수 있고, 망의 토폴로지 변경 및 ATM 장비의 절체 동작 없이 우회 전송 경로로의 절체를 수행함으로써, 비용이 절감되고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이중화 구성에 효율성 및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또는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 및 응답을 송수신하여 전체 망을 관리하는 마스터 EMS와;
    상기 마스터 EMS와 이더넷으로 연결되어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 및 응답을 송수신하여 상기 마스터 EMS로 전송하는 프록시 EMS와;
    상기 마스터 EMS와 프록시 EMS에 대해 각각 상이한 PVC 연결을 설정하며 상기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또는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마스터 EMS 또는 프록시 EMS와 상기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 및 응답을 송수신하는 다수의 ATM 장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EMS는,
    상기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 및 응답을 송수신하여 망을 관리하는 망관리 응용 계층 프로세스부와;
    상기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및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장애 발생 상태를 저장하는 공유 메모리부와;
    상기 ATM 장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ATM 장비 정보 DB부와;
    상기 ATM 장비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감시하고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장애 발생 상태를 갱신하는 마스터 감시 프로세스부와;
    상기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ATM 장비에 대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장애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또는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으로 전송하고 해당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망관리 응용 계층 프로세스부로 전송하는 망 정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 EMS는,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감시하여 상기 마스터 감시 프로세스부로 전송하는 프록시 감시 프로세스부와;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대한 PVC 테이블이 설정되는 프록시 ATM 카드와;
    상기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ATM 장비로 전송하고 해당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망 정합부로 전송하는 프록시 트랜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
  4. 망 정합부가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및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의 장애 발생 상태를 점검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여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수신한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프록시 트랜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프록시 트랜시버로부터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수신하여, 망관리 응용 계층 프로세스부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수신한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해당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ATM 장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ATM 장비로부터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수신하여, 망관리 응용 계층 프로세스부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ATM 장비에 대한 접근이 불가함을 상기 망관리 응용 계층 프로세스부로 알리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TM 장비의 응답과정은.
    상기 망 정합부로부터 상기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상기 마스터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망 정합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 트랜시버의 동작과정은,
    상기 망 정합부로부터 상기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ATM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ATM 장비로부터 상기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망 정합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TM 장비의 응답단계는,
    상기 프록시 트랜시버로부터 상기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ATM 장비에 대한 망관리 데이터 응답을 상기 프록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프록시 트랜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방법.
KR10-2002-0051408A 2002-08-29 2002-08-29 에이티엠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 및방법 KR100468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408A KR100468291B1 (ko) 2002-08-29 2002-08-29 에이티엠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408A KR100468291B1 (ko) 2002-08-29 2002-08-29 에이티엠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709A KR20040019709A (ko) 2004-03-06
KR100468291B1 true KR100468291B1 (ko) 2005-01-27

Family

ID=37324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408A KR100468291B1 (ko) 2002-08-29 2002-08-29 에이티엠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2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856B1 (ko) * 2008-08-20 2010-07-29 이미지랩(주) 테이블형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709A (ko) 200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24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from a signalling failure in a switched connection data transmission network
JP4576165B2 (ja) 分散型保護スイッチング
US5539734A (en) Method of maintaining PVC status packetized communication system
US6229787B1 (en) Mechanism to achieve very fast failover in ATM backbone networks using multi-homed circuits
JP5546461B2 (ja) チェーン及びリング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透過的なオートリカバリ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5987526A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layer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mechanism for ATM permanent virtual connections
US5982745A (en) LAN bridging redundancy
EP1260066B1 (en) Interconnection link redundancy in a modular switch node
US6404740B1 (en) System for testing internal connectivity in ATM switching equipment
JP2002057685A (ja) 一点から多点への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
JP4087970B2 (ja) 管理チャネルを提供する方法、このような方法を実現する回線終端装置、第1のネットワーク終端装置カード、第2のネットワーク終端装置カード
JP3008850B2 (ja) ネットワークサーバの冗長構成方式
US6118782A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network
KR100468291B1 (ko) 에이티엠 망에서 인밴드 데이터 통신망 이중화 시스템 및방법
KR100192651B1 (ko) 제어셀에 의해 입력셀의 전송을 제어하는 atm교환망, atm교환기 및 atm교환망에 있어서의 신호처리방법
JP2001508618A (ja) 非同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638902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asynchronous transfer mode call in an ATM switching system
KR100423530B1 (ko) 에이티엠 접속망 및 망 접속 방법
WO2021259097A1 (zh) 通信方法、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100258144B1 (ko) 비동기 전송 모드 셀을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송수신 방법
JP6499624B2 (ja) 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フレーム転送方法
JPH08274802A (ja) Lanエミュレーション方式
KR100353707B1 (ko) 비동기전송모드 망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제공방법및 장치
KR100450512B1 (ko) 패킷망 기반 망 요소의 전달 경로 다중화 방법
Hattori et al. FDTN architecture: Functionally distributed transport networking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