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3371A -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63371A KR20010063371A KR1019990060434A KR19990060434A KR20010063371A KR 20010063371 A KR20010063371 A KR 20010063371A KR 1019990060434 A KR1019990060434 A KR 1019990060434A KR 19990060434 A KR19990060434 A KR 19990060434A KR 20010063371 A KR20010063371 A KR 200100633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case
- locking
- bay system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등의 전자장비에 이용되는 디바이스를 간단한 조작으로 본체 또는 모니터 등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디바이스가 삽입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디바이스가 안착되는 트레이와, 디바이스 삽입시 상기 트레이를 록킹시키고,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트레이를 언록킹시키는 제어장치와,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로 상기 디바이스가 나오도록 상기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된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바이스 베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 등의 장치의 하드드라이브나 CD-ROM, 또는 디스켓 드라이브 등이 내장된 디바이스를 장치의 본체 또는 모니터 등에 설치된 디바이스 베이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디바이스 베이의 디바이스 착탈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등의 장치에는 하드드라이브(HDD)나 디스켓 드라이브 또는 CD-ROM 등이 설치되어 이용되는데, 종래의 이러한 장치들은 컴퓨터 등의 본체 내에 고정되게 설치된 베이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바, 사용자는 장치의 교체나 고장 등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기 장치들을 본체에서 제거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한편, 컴퓨터의 보급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의 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나, 상기와 같은 장치들은 그 용량 및 사용범위가 제한되어 있고, 특히 디스켓을 사용하는 경우, 현재 이용되고 있는 디스켓들은 그 저장 용량이 매우 적으므로 단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많은 수의 디스켓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자주 발생했다.
따라서, 근래에는 하드드라이브와 같이 저장용량이 큰 보조기억장치, 또는 CD-ROM등 디스켓처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위 디바이스들이 개발되고 있으며,이에 따라 이러한 디바이스를 본체 또는 모니터 등에 자유롭게 장착하기 위한 베이의 개발이 함께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근거하여 안출된 것으로, 컴퓨터 등의 전자장비에 이용되는 디바이스를 간단한 조작으로 본체 또는 모니터 등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바이스 베이의 디바이스 착탈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의 일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에 디바이스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텐션 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빠짐방지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디바이스 1a: 디바이스 홈
100: 케이스 110: 업퍼케이스
111: 업퍼케이스 체결구 120: 바텀케이스
121: 바텀케이스 체결구 122: 주버튼 가이드
123: 보조버튼 가이드 124: 유격 가이드
125: 고정돌기 126: 슬릿
130: 프론트케이스 131: 개방부
132: 프론트케이스 체결돌기 141: 덮개
142: 덮개용 탄성부재 200: 트레이
210, 351a: 경사면 220: 걸림턱
310: 리퀘스트 스위치 320: 주버튼
331: 솔레노이드 332: 피시비(P.C.B)
333: 탄성판 333a: 걸기
334: 고리 335: 발광다이오드(LED)
336: 간섭방지부 341: 케이스 돌기
342: 주버튼 돌기 343: 탄성부재
351: 보조버튼 352: 보조버튼 경사면
353a: 보조버튼 돌기 353b: 케이스 돌기
353c: 탄성부재 354: 핀구멍
411: 정회전 이젝트바 412: 역회전 이젝트바
413: 직선운동 이젝트바 413a: 긴홈
414: 바 가이드 415: 손잡이
421: 이송돌기 422: 이송홈
431: 케이스 절곡돌기 432: 바 절곡돌기
433: 탄성부재 441: 트레이 가이드
442: 트레이 받침턱 510: 리텐션 부재
520: 걸림돌기 유도부 530: 돌출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디바이스가 삽입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디바이스가 안착되는 트레이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와 함께, 디바이스 삽입시 상기 트레이를 록킹시키고,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트레이를 언록킹시키는 제어장치와,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로 상기 디바이스가 나오도록 상기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된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내용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의 일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에 디바이스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텐션 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빠짐방지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진다.
디바이스(1)가 삽입되도록 개방부(131)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디바이스를 안착시키는 트레이(200)와, 디바이스 삽입시 상기 트레이를 록킹시키고,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트레이를 언록킹시키는 제어장치와,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로 상기 디바이스가 나오도록 상기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첫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삽입시에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디바이스(1)를 상기 케이스(100)의 개방부(131)로 삽입하면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한 트레이(200)에 상기 디바이스가 안착된다.
그 후, 상기 디바이스(1)를 계속해서 밀게되면 상기 디바이스의 플러그(plug, 도시생략)가 상기 베이 시스템에 고정된 리셉터클 유닛(receptacle unit, 도시생략)에 삽입되어(삽입길이 3mm)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베이 시스템에장착된다.
둘째, 디바이스 취출시에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제어장치에 록킹되어 있는 상기 트레이(200)를 언록킹시킨 후, 상기 트레이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이송장치를 동작시키면(이송장치의 동작은 후술한다) 상기 트레이가 상기 디바이스(1)를 밀게 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개방부(131)로 나오게된다.
한편, 도 1, 도 2, 도 4a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인 상기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0) 배면측에 위치한 리퀘스트 스위치(310)와, 상기 리퀘스트 스위치를 눌러주는 주버튼(320)과, 상기 주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트레이(200)를 록킹시키거나 언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 주버튼 조작 후, 상기 주버튼이 원 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인가하는 제1 복귀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첫째, 디바이스 삽입시, 상기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디바이스(1)를 케이스의 개방부(131)에 삽입한 후, 상기 디바이스를 계속 밀게되면 상기 트레이(200)는 상기 록킹수단에 억지 록킹된다.
둘째,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주버튼(320)의 일단을 누르게되면, 상기 주버튼은 전진하여 상기 주버튼의 타단이 상기 리퀘스트 스위치(310)를 누르게된다.
상기 리퀘스트 스위치(310)가 눌리면 전원의 전류가 상기 록킹수단으로 인가되어 상기 록킹수단은 작동되고(록킹수단의 작동은 후술한다) 그 작동에 의해 상기 트레이(200)는 언록킹된다.
한편, 도 1, 도 2, 도 4a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의 구성인 상기 록킹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코일(도시생략) 내부에 막대(331a)가 삽입된 것으로서,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막대가 이동되도록 한 솔레노이드(331)와, 상기 솔레노이드를 제어하는 피시비(P.C.B, 332)와, 일단은 상기 막대의 끝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절곡되어 돌출된 형상을 한 걸기(333a)가 형성된 탄성판(333)과, 상기 걸기에 걸리도록 상기 트레이(200)에 돌출 형성된 고리(334)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록킹수단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첫째, 디바이스 삽입시, 상기 록킹수단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131)에 삽입한 후, 상기 디바이스(1)를 밀게되면 상기 트레이의 고리(334)가 상기 탄성판의 걸기(333a)를 밀치면서 상기 고리는 상기 걸기에 록킹된다.
둘째,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록킹수단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주버튼(320)을 누르게되면, 상기 피시비(332)에 의해 제어된 전원의 전류가 상기 솔레노이드(331)의 코일로 인가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의 막대(331a)가 이동되고, 상기 막대의 일측에 결합된 탄성판(333)이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판의 걸기(333a)가 따라서 이동되어 상기 트레이의 고리(334)에서 상기 걸기가 언록킹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수단을 바람직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록킹상태인지 언록킹상태인지를 소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0)에 장착되어 상기 피시비(332)에 의해 제어되는 발광다이오드(LED, 335)와,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의해 상기 트레이(200)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트레이에 홈이 형성된 간섭방지부(336)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한편, 도 2, 도 4a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의 구성인 상기 제1 복귀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0)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341)와, 상기 주버튼(320)에 형성된 돌기(342)와, 상기 돌기들을 서로 연결시켜 상기 주버튼을 원위치로 보내주는 탄성부재(343)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복귀수단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탄성부재(343)의 복원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주버튼(320)이 상기 리퀘스트 스위치(310)를 누른 후 원 위치로 돌아오도록 복원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는 정전시, 상기 트레이(200)를 상기 록킹수단으로부터 억지 해제시키기 위해 보조해제수단이 더 추가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해제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수단을 억지 해제시키기 위해 끝단에 경사면(351a)이 형성된 보조버튼(351)과, 상기 보조버튼을 눌렀을 때, 상기 탄성판의 걸기(333a)가 상기 트레이의 고리(334)로부터 떨어지도록 상기 경사면(351a)과 상응하게 상기 탄성판(333)의 끝단부에 형성된 경사면(352)과, 억지 해제 후, 상기 보조버튼이 원 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인가하는 제2 복귀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조해제수단은 다음과 같은 동작 및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보조버튼(351)을 밀게되면 상기 보조버튼의 끝단에 형성된 경사면(351a)이 전진하여 상기 탄성판의 경사면(352)을 밀게됨에 따라 상기 탄성판의 걸기(333a)가 상기 트레이의 고리(334)에서 이탈되어 상기 트레이(200)는 억지 해제된다.
그 후, 상기 보조버튼(351)은 상기 제2 복귀수단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해제수단의 구성인 제2 복귀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버튼(351)에 형성된 절곡 돌기(353a)와, 상기 케이스(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절곡 돌기(353b)와, 상기 절곡 돌기들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보조버튼을 원위치로 보내주는 탄성부재(353c)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복귀수단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탄성부재(353c)의 복원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보조버튼(351)이 상기 탄성판의 경사면(352)을 누른 후 원 위치로 돌아오도록 복원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해제수단은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만 상기 보조버튼(351)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보조버튼이 상기 케이스(100)에 내장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보조버튼을 뾰족한 핀으로 누를 수 있게 핀구멍(354)이 형성된 것이 더 추가되어 이루어짐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도 5a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인 상기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트레이(200)가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131)를 통해 외부로 나오도록 상기 트레이에 직선운동을 부여하는 이젝트수단과, 상기 이젝트수단의 직선력이 상기 트레이에 전달되도록 상기 이젝트수단과 상기 트레이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과, 디바이스 취출후, 상기 이젝트수단을 원위치 시켜주는 제3 복귀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이젝트수단을 동작시키면(이젝트수단의 동작은 후술한다) 상기 이젝트수단은 정/역방향 회전운동을 하면서 생성된 직선력을 상기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트레이(200)에 전달한다.
상기 직선력을 전달받은 상기 트레이(200)에 의해 디바이스(1)는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131)를 통해 외부로 나오게된다.
그 후, 상기 이젝트수단은 상기 제3 복귀수단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한편, 도 1, 도 5a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장치의 구성인 이송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일측이 상기 케이스(100)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되어 상기 타측에 힘을 가하면 소정거리 회전되는 정회전 이젝트바(411)와, 일측이 상기 정회전 이젝트바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에 따라 타측이 상기 정회전 이젝트바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역회전 이젝트바(41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와 함께, 일측이 상기 역회전 이젝트바(412)의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정회전 이젝트바의 일측이 통과되도록 긴홈(413a)이 형성되어 직선운동을 하는 직선운동 이젝트바(413)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이젝트수단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소비자가 상기 정회전 이젝트바(411)의 타측에 힘을 가하게되면 상기 정회전 이젝트바는 정회전운동을 하게되고, 상기 정회전 이젝트바에 의해 회전력을 인가받은 상기 역회전 이젝트바(412)는 역회전운동을 하게된다.
그 후, 상기 역회전 이젝트바(412)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상기 직선운동 이젝트바(413)는 직선운동을 하게된다.
한편, 도 2, 도 5a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젝트수단은 상기 직선운동 이젝트바(413)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100)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된 바 가이드(414)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젝트수단은 상기 정회전 이젝트바(411)의 타측 끝단부에 손잡이(415)가 더 추가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 도 5a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장치의 구성인 제3 복귀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절곡돌기(431)와, 상기 정회전 이젝트바(411)의 일측에 형성된 절곡돌기(432)와, 상기 절곡돌기들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정회전 이젝트바을 원위치로 보내주는 탄성부재(433)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3 복귀수단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탄성부재(433)의 복원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정회전 이젝트바(411)가 당겨진 후 원 위치로 돌아오도록 복원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장치의 구성인 상기 연결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선운동 이젝트바(413)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돌기(421)와, 상기 이송돌기가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홈(422)이 형성된 트레이(2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직선운동 이젝트바(413)의 직선력을 상기 트레이(200)에 전달하게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트레이가 정확히 이송되도록 안내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레이(200)를 안내하기 위해 트레이의 양 사이드에 형성된 트레이 가이드(441)와, 상기 트레이의 전부위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트레이 받침턱(442)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인 상기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체결구(111)가 형성된 업퍼케이스(upper case, 110)와, 체결구(121)가 형성된 바텀케이스(bottom case,120)와, 디바이스(1)가 삽입되는 개방부(131)와 체결돌기(132)가 형성된 프론트케이스(front case, 130)가 서로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의 구성인 상기 바텀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버튼(320)을 안내하는 주버튼 가이드(122)와, 상기 보조버튼(351)을 안내하는 보조버튼 가이드(123)와, 상기 정회전 이젝트(411)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유격 가이드(124)와, 상기 발광다이오드(336)에 연결되는 전선을 고정하는 고정돌기(125)가 형성된 바닥면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와 함께,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록킹시 상기 탄성판의 걸기(333a)가 정확히 상기 고리(334)에 록킹되고, 언록킹시 상기 탄성판의 걸기에서 정확히 상기 고리가 언록킹되도록 상기 탄성판의 중심부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안착시키는 슬릿(126)이 형성된 후방 절곡면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도 1, 도 4a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지렛대 원리는 본 발명에 다음과 같이 적용되었다.
상기 탄성판의 걸기(333a)의 움직임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언록킹시, 상기 탄성판의 걸기를 상기 트레이의 고리(334)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솔레노이드(331)의 막대(331a)가 상기 코일 내부로 들어가면상기 탄성판(333)의 일단도 상기 막대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반면, 상기 탄성판(333)의 타단에 형성된 걸기(333a)는 상기와 반대방향인 상기 트레이의 고리(334)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이게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탄성판(333)을 장기간 사용해도 상기 걸기(333a)의 이동거리가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걸기가 상기 고리(334)에 록킹시와 언록킹시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슬릿(126)을 중심으로 탄성판(333)의 일단과 타단의 거리비를 이용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상기 탄성판의 걸기(333a)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개방부(131)를 덮는 덮개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방부측에 체결되어 상기 개방부(131)를 개폐시키는 덮개(141)와, 디바이스 취출후, 상기 개방부로 먼지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상기 덮개가 원 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14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인 상기 트레이(200)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디바이스(1)의 원활한 삽입을 유도하기 위해 경사면(210)이 형성된 정면과,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디바이스가 걸려서 함께 이동되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턱(22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한편, 도 6, 도 7a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바이스삽입후,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131)로 상기 디바이스(1)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빠짐방지장치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빠짐방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0)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된 리텐션 부재(510)와, 상기 리텐션 부재의 타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에 형성된 홈(1a)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511)와,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디바이스 홈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걸림돌기 유도부(520)가 형성된 트레이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와 함께,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트레이의 걸림돌기 유도부(520)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511)가 상기 디바이스 홈(1a)에서 빠지도록 상기 리텐션 부재(510)를 눌러주는 돌출부(5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빠짐방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동작 및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케이스(100)가 개방부(131)측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트레이(200)에 안착된 디바이스(1)가 상기 개방부로 빠지는 것을 미연에 막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디바이스 삽입시, 상기 디바이스(1)는 상기 트레이(200)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트레이의 걸림돌기 유도부(520)를 통과한 상기 리텐션부재의 걸림돌기(511)가 상기 디바이스에 형성된 홈(1a)에 삽입되어 상기 디바이스의 빠짐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이송장치가 동작되어 상기 트레이(200)는 개방부(131)측으로 이동되는데, 이 때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돌출부(530)가 상기 리텐션부재(510)를 누르게되어 상기 디바이스의 홈(1a)에서 상기 리텐션부재의걸림돌기(511)는 빠져나오게 됨과 동시에, 상기 디바이스(1)는 개방부(131)측으로 취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디바이스를 착탈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디바이스를 장착 손쉽게 장착 및 교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 다수개의 홈이 형성된 디바이스가 삽입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케이스와,상기 케이스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디바이스가 안착되는 트레이와,디바이스 삽입시 상기 트레이를 록킹시키고, 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트레이를 언록킹시키는 제어장치와,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로 상기 디바이스가 나오도록 상기 트레이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제어장치는;상기 케이스 배면측에 위치한 리퀘스트 스위치와,상기 리퀘스트 스위치를 눌러주는 주버튼과,상기 주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트레이를 록킹시키거나 언록킹시키는 록킹수단과,주버튼 조작 후, 상기 주버튼이 원 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인가하는 제1 복귀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록킹수단은;코일 내부에 막대가 삽입된 것으로서,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막대가 이동되도록 한 솔레노이드와,상기 솔레노이드를 제어하는 피시비(P.C.B)와,일단은 상기 막대의 끝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절곡되어 돌출된 형상을 한 걸기가 형성된 탄성판과,상기 걸기에 걸리도록 상기 트레이에 돌출 형성된 고리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록킹상태인지 언록킹상태인지를 소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피시비에 의해 제어되는 발광다이오드(LED)와,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의해 상기 트레이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트레이에 홈이 형성된 간섭방지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제1 복귀수단은;상기 케이스 바닥면에 형성된 돌기와,상기 주버튼에 형성된 돌기와,상기 돌기들을 서로 연결시켜 상기 주버튼을 원위치로 보내주는 탄성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정전시, 상기 트레이를 상기 록킹수단으로부터 억지 해제시키기 위해 보조해제수단이 더 추가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보조해제수단은;상기 록킹수단을 억지 해제시키기 위해 끝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보조버튼과,상기 보조버튼을 눌렀을 때, 상기 탄성판의 걸기가 상기 트레이의 고리로부터 떨어지도록 상기 경사면과 상응하게 상기 탄성판의 끝단부에 형성된 경사면과,억지 해제 후, 상기 보조버튼이원 위치되도록 복원력을 인가하는 제2 복귀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제2 복귀수단은;상기 보조버튼에 형성된 절곡 돌기와,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된 절곡 돌기와,상기 절곡 돌기들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보조버튼을 원위치로 보내주는 탄성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정전시에만 상기 보조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보조버튼이 상기 케이스에 내장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보조버튼을 뾰족한 핀으로 누를 수 있게 핀구멍이 형성된 것이 더 추가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이송장치는;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트레이가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나오도록 상기 트레이에 직선운동을 부여하는 이젝트수단과,상기 이젝트수단의 직선력이 상기 트레이에 전달되도록 상기 이젝트수단과 상기 트레이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과,디바이스 취출후, 상기 이젝트수단을 원위치 시켜주는 제3 복귀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이젝트수단은;일측이 상기 케이스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되어 상기 타측에 힘을 가하면 소정거리 회전되는 정회전 이젝트바와,일측이 상기 정회전 이젝트바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에 따라 타측이 상기 정회전 이젝트바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역회전 이젝트바와,일측이 상기 역회전 이젝트바의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정회전 이젝트바의 일측이 통과되도록 긴홈이 형성되어 직선운동을 하는 직선운동 이젝트바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직선운동 이젝트바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된 바 가이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제3 복귀수단은;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절곡돌기와,상기 정회전 이젝트바의 일측에 형성된 절곡돌기와,상기 절곡돌기들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정회전 이젝트바을 원위치로 보내주는 탄성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연결수단은;상기 직선운동 이젝트바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돌기와,상기 이송돌기가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홈이 형성된 트레이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이송장치는 안내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제 15 항에 있어서,안내수단은;상기 트레이를 안내하기 위해 트레이의 양 사이드에 형성된 트레이 가이드와,상기 트레이의 전부위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된 트레이 받침턱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케이스는;체결구가 형성된 업퍼케이스(upper case)와,체결구가 형성된 바텀케이스(bottom case)와,디바이스가 삽입되는 개방부와 체결돌기가 형성된 프론트케이스(front case)가 서로 체결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제 3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바텀케이스는;상기 주버튼을 안내하는 주버튼 가이드와, 상기 보조버튼을 안내하는 보조버튼 가이드와, 상기 정회전 이젝트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유격 가이드와,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연결되는 전선을 고정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바닥면과,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록킹시 상기 탄성판의 걸기가 정확히 상기 고리에 록킹되고, 언록킹시 상기 탄성판의 걸기에서 정확히 상기 고리가 언록킹되도록 상기 탄성판의 중심부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안착시키는 슬릿이 형성된 후방 절곡면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트레이는;디바이스의 원활한 삽입을 유도하기 위해 경사면이 형성된 정면과,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디바이스가 걸려서 함께 이동되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턱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디바이스 삽입후,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로 상기 디바이스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빠짐방지장치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제 20 항에 있어서,빠짐방지장치는;상기 케이스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된 리텐션 부재와,상기 리텐션 부재의 타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디바이스에 형성된 홈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와,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디바이스 홈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걸림돌기 유도부가 형성된 트레이와,디바이스 취출시, 상기 트레이의 걸림돌기 유도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디바이스 홈에서 빠지도록 상기 리텐션 부재를 눌러주는 돌출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60434A KR20010063371A (ko) | 1999-12-22 | 1999-12-22 |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60434A KR20010063371A (ko) | 1999-12-22 | 1999-12-22 |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63371A true KR20010063371A (ko) | 2001-07-09 |
Family
ID=19628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60434A KR20010063371A (ko) | 1999-12-22 | 1999-12-22 |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006337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1350B1 (ko) * | 2002-07-02 | 2004-05-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컴퓨터 |
-
1999
- 1999-12-22 KR KR1019990060434A patent/KR2001006337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1350B1 (ko) * | 2002-07-02 | 2004-05-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컴퓨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985142B (zh) | 一种isofix连接器以及儿童安全座椅 | |
JPH10116135A (ja) | 電子装置における回路カードの固着装置 | |
JPH0124790Y2 (ko) | ||
KR20010063371A (ko) |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
KR0143603B1 (ko) | 디스크플레이어 | |
KR20010094561A (ko) |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
JP2774435B2 (ja) | コンパクト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マガジン自動取出し装置 | |
KR100539810B1 (ko) | 노트북 컴퓨터용 모듈 착탈 장치 | |
JPS5930262A (ja) | カセツト装着装置 | |
KR100364719B1 (ko) | 디바이스 베이 | |
KR100619165B1 (ko) |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취출장치 | |
JPS6215894Y2 (ko) | ||
JP3835340B2 (ja) | 光ディスク装置 | |
KR20010063370A (ko) |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 |
KR910000259Y1 (ko) | 리모콘 수납착탈장치 | |
KR100364718B1 (ko) | 디바이스 베이 | |
JPS58166571A (ja) | カセツト装着装置 | |
JP2002050103A (ja) | 記録媒体装着装置 | |
KR100197393B1 (ko) | 테이프 레코더의 해제 레버 | |
KR0113202Y1 (ko) | 자기기록재생기의 카세트 삽입 안전장치 | |
KR910003268Y1 (ko) | Vtr 카세트 하우징 로킹장치 | |
KR0118112Y1 (ko) | 밧데리 팩 탈거장치 | |
JPH0337100Y2 (ko) | ||
KR950011884B1 (ko) | 캠코더의 카셋트 테이프 이젝트장치 | |
KR20040043235A (ko) | 통신장비의 피씨비 착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