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719B1 - 디바이스 베이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베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719B1
KR100364719B1 KR1019990056241A KR19990056241A KR100364719B1 KR 100364719 B1 KR100364719 B1 KR 100364719B1 KR 1019990056241 A KR1019990056241 A KR 1019990056241A KR 19990056241 A KR19990056241 A KR 19990056241A KR 100364719 B1 KR100364719 B1 KR 100364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plate
detachable
case
device bay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146A (ko
Inventor
이천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6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719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7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1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resilient memb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 베이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등의 장치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나 CD-ROM, 또는 디스켓 드라이브 등의 기능을 하는 장치들이 내장된 디바이스를 장치의 본체 또는 모니터 등에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바닥면을 이루는 기저부와, 이 기저부의 후방에 수직하게 형성된 후방벽부와, 상기 기저부의 전방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디바이스가 삽입 및 취출되는 전면개방부가 형성된 전방덮개와, 상기 기저부의 양 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덮개를 구비한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내의 기저부 상에는 상기 케이스 내로 삽입된 디바이스가 안착되는 안착판이 앞뒤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안착판의 하부의 기저부 상에는 상기 안착판을 고정시킴과 더불어 이동가능하도록 해제하는 착탈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후방벽부의 후방면에는 상기 착탈수단과 연결되어 이 착탈수단이 고정 및 해제작동을 하도록 연동시키기 위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가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안착판에 안착된 디바이스를 케이스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취출수단이 장착되어 있는 디바이스 베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바이스 베이{A device bay assembly}
본 발명은 디바이스 베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 등의 장치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나 CD-ROM, 또는 디스켓 드라이브 등의 기능을 하는 장치들이 내장된 디바이스를 장치의 본체 또는 모니터 등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한 디바이스 베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등의 장치에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나 디스켓 드라이브 또는 CD-ROM 등이 설치되어 사용되는데, 종래의 이러한 장치들은 컴퓨터 등의본체 내에 고정되게 설치된 베이에 고정되어 사용되었다.
한편, 컴퓨터의 보급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의 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나, 상기와 같은 장치들은 그 용량 및 사용범위가 제한되어 있고, 특히 디스켓을 사용하여 자료를 저장하는 경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디스켓들은 그 저장 용량이 매우 적으므로 단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많은 수의 디스켓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자주 발생했다.
따라서, 근래에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와 같이 저장용량이 큰 보조기억장치, 또는 CD-ROM 등을 디스켓처럼 장치 내에 자유롭게 착탈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위 디바이스(Device)들이 개발되어 표준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디바이스를 본체 또는 모니터 등에 자유롭게 장착하기 위한 디바이스 베이의 개발이 함께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근거하여 안출된 것으로, 컴퓨터 등의 전자장비에 이용되는 디바이스를 간단한 조작으로 본체 또는 모니터 등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바이스 베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베이에 디바이스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디바이스 베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디바이스 베이의 각 구성부의 장착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덮개부를 투명하게 하여 나타낸 사시도로, 각 구성부의 장착상태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안착판은 제거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의 착탈수단의 고정 및 해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디바이스 베이 후방부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요부단면도로서, 도 4a는 상기 착탈수단의 고정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해제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 디바이스 10 - 기저부
11 - 수평브라켓 12 - 안내브라켓
13 - 지지브라켓 14 - 돌출단
20 - 후방벽부 21 - 후면개방부
30 - 전방덮개 31 - 전면개방부
32 - 구멍 40 - 상부덮개
50 - 측벽부 51 - 돌출단
60 - 안착판 61 - 안내홈
62 - 걸림턱 70 - 솔레노이드
80 - 착탈브라켓 81 - 걸개부
84 - 수동해제용 91 - 작동바아
92 - 취출바아 93 - 고정바아
94, 95 - 힌지핀 96 - 인장스프링
100 - 착탈해제용 브라켓 101 - 수직판
102 - 해제용 돌출단 106 - 인장스프링
110 - 고정축 111 - 로울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면을 이루는 기저부와, 이 기저부의 후방에 수직하게 형성된 후방벽부와, 상기 기저부의 전방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디바이스가 삽입 및 취출되는 전면개방부가 형성된 전방덮개와, 상기 기저부의 양 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덮개를 구비한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내의 기저부 상에는 상기 케이스 내로 삽입된 디바이스가 안착되는 안착판이 앞뒤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안착판의 하부의 기저부 상에는 상기 안착판을 고정시킴과 더불어 이동가능하도록 해제하는 착탈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후방벽부의 후방면에는 상기 착탈수단과 연결되어 이 착탈수단이 고정 및 해제작동을 하도록 연동시키기 위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가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안착판에 안착된 디바이스를 케이스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취출수단이 장착되어 있는 디바이스 베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베이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바이스 베이는, 후방부에 수직하게 형성된 후방벽부(20)를 구비하는 기저부(10)의 전방에 디바이스(1)가 삽입 및 취출되는 전면개방부(31)가 형성된 전방덮개(30)가 장착되고, 상기 후방벽부(20)와 전방덮개(30) 상단에는 양 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된 측벽부(50)를 구비한 상부덮개(40)가 장착되어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를 이룬다.
상기 후방벽부(20)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디바이스(1)의 후방면에 형성된 컨넥터(1a)가 디바이스 베이의 후방에 설치된 리셉터클(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도록 후면개방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저부(10)의 양 측편에는 수직하게 절곡 형성된 측면브라켓(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측면브라켓(11)의 상단에는 다시 내측으로수직하게 절곡 형성된 안내브라켓(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저부(10) 상에는 그 중간부위에 회전가능한 한 쌍의 로울러(111)들을 구비한 2개의 고정축(110)이 앞뒤로 장착되되, 이들 각 고정축(110)의 양단은 상기 기저부(10)의 양 측면브라켓(11)에 고정되도록 장착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 내에는 상기 전방덮개(30)의 전면개방부(31)를 통해 삽입된 디바이스(1)가 안착되는 안착판(60)이 앞뒤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바, 이 안착판(60)은 상기 기저부(10)의 고정축(110) 상에 안착됨과 더불어, 그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기저부(10)의 안내브라켓(12) 바로 아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고정축(110)의 로울러(111)에 의해 원활하게 전후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착판(60)에는 이 안착판(60)이 상기 고정축(110)의 각 로울러(111)와 접촉하게 되는 부위를 따라 안내홈(61)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판(60)이 상기 안내홈(61)에 의해 원활하게 앞뒤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판(60)의 후방 일측에는 이 안착판(60)의 고정 및 해제를 위해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걸림턱(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착판(60)의 후방 끝단부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이 안착판(60)에 안착되는 디바이스(1)의 후방면이 접촉하게 되는 걸림단(63)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판(60)은 이 걸림단(63)에 의해 디바이스(1)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후방벽부(20)의 외측에는 장치의 외부에서 사용자가 조작할 수있도록 된 제어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7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솔레노이드(70)는 그 내측 상단에 고정샤프트(71)와, 이 고정샤프트(71) 하부에서 상승 및 하강 이동하도록 된 이동샤프트(72) 및, 이 이동샤프트(72)의 하단에 형성된 플런저(73)로 구성되어, 상기 솔레노이드(70)가 온(on)상태일 때 상기 이동샤프트(72)가 고정샤프트(71)에서 떨어져 하강하며, 상기 솔레노이드(70)가 오프(off) 상태일 때는 상기 이동샤프트(72)가 상기 고정샤프트(71)와 붙도록 상승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기저부(10) 후방 일측에는 상기 안착판(60)을 고정 및 이동가능하게 해제시키도록 착탈하기 위한 착탈브라켓(80)이 설치되는데, 이 착탈브라켓(80)은 대략 V자형으로 절곡된 형상의 부재로서, 그 후방 끝단이 상기 후방벽부(20)를 관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70)의 플런저(73)에 연결되고, 전방 끝단은 상기 안착판(60)의 걸림턱(62)을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거의 수직하게 형성된 걸개부(8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착탈브라켓(80) 중간의 절곡된 부위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힌지돌기(83)가 형성되어, 이 힌지돌기(83)가 상기 기저부(10) 상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상기 착탈브라켓(80)이 상기 힌지돌기(83)를 중심으로 시소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착탈브라켓(80)은, 그 후방 끝단에 연결된 솔레노이드(70)의 이동샤프트(72)의 하강 및 상승 이동에 의해 상기 착탈브라켓(80) 전방부가 상승 및 하강하면서 착탈브라켓(80) 전방 끝부분의 걸개부(81)가 상기 안착판(60) 후방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62)을 걸어 지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기저부(10) 상에는 상기 착탈브라켓(80)의 힌지돌기(83)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지지브라켓(13)이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브라켓(13)은 후방 상단이 돌출되고, 이 돌출된 부위의 하부에 상기 착탈브라켓(80)의 힌지돌기(83)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착탈브라켓(80)이 기저부(10)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방벽부(20)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착탈브라켓(80) 후방부가 후방벽부(20) 외부로 관통하도록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구멍(22)의 높이는 상기 착탈브라켓(80) 후방부가 상하로 이동되는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상기 착탈브라켓(80)의 중간부위 일측에는 상기 솔레노이드(70)가 오프된 상태에서 강제로 안착판(6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때, 상기 착탈브라켓(80)을 수동으로 해제 작동하기 위한 수동해제용 작동편(84)이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 작동편(84)은 전방 상측에서 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 디바이스 베이는 상기 케이스 내에 장착된 디바이스(1)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수단을 구비하는데, 이 취출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일 측벽부(50)의 외측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바아(91)와, 상기 케이스 내의 후방벽부(20)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됨과 더불어 일단이 상기 측벽부(50)를 관통하여 상기 작동바아(91)의 후방 끝단에 힌지핀(94)을 매개로 연결된 취출바아(92) 및, 일단이 상기 취출바아(92)의 중간부위에 힌지핀(95)을 매개로 수직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벽부(20)에 고정되게 장착된 고정바아(9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아(91)가 장착되는 케이스의 측벽부(50)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단(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바아(91)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슬롯(91a)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이들 각 슬롯(91a)에 상기 측벽부(50)의 돌출단(51)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작동바아(91)가 측벽부(50) 외측면에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측벽부(50)의 전방부에는 서로 대향된 한 쌍의 브라켓(52)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바아(91)가 상기 브라켓(52)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측벽부(5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과 더불어, 상기 브라켓(52)에 의해 안내되면서 전후진하게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측벽부(50)의 후방부에는 상기 작동바아(91)의 후방 끝단과 연결되는 취출바아(92)가 관통하는 관통구멍(5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관통구멍(52)은 상기 작동바아(91)의 후방이동에 따라 취출바아(92)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내의 후방벽부(20) 바로 앞에 위치되는 취출바아(92)의 끝단부와 후방벽부(20) 사이에는 인장스프링(96)이 설치되어, 상기 취출바아(92)의 끝단부가 앞으로 회동되었다가 다시 뒤쪽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 디바이스 베이는 전원이 오프되어 상기 솔레노이드(70)가 전기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된 상태에서 상기 디바이스(1)를 케이스 내에서 취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안착판(60)의 고정 상태를 수동조작으로 강제로 해제하기 위한 수동조작용 해제수단을 구비하는데, 이 수동조작용 해제수단은, 상기 전방덮개(30) 바로 후방에서부터 상기 착탈브라켓(80)의 수동해제용 작동편(84)의바로 전방 위치에까지 이르는 길이를 갖는 앞뒤로 이동가능한 착탈해제용 브라켓(100)과, 이 착탈해제용 브라켓(100)의 끝단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착탈해제용 브라켓(100)의 후방이동시 상기 수동해제용 작동편(84)과 접촉하게 되는 해제용 돌출단(102) 및, 상기 착탈해제용 브라켓(100)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복원력을 가하는 인장스프링(10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착탈해제용 브라켓(100)은, 그 전방 끝단부에 사용자가 전방덮개(30) 외부에서 철침과 같은 강성체로 밀어낼 수 있도록 편평한 수직판(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방부에 길이가 긴 통공(103)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 일측에 상기 인장스프링(106)의 일단이 고정되는 돌출단(10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저부(10) 상에는 상기 착탈해제용 브라켓(100)의 통공(103)에 삽입되는 고정핀(104)이 고정되어 있는데, 이 고정핀(104)은 그 머리가 상기 통공(103)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착탈해제용 브라켓(100)을 기저부(10) 상에서 앞뒤로 이동가능하게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기저부(10) 상에는 상기 착탈해제용 브라켓(100)의 돌출단(105)의 전방 위치에 상기 인장스프링(106)의 타단이 고정되는 돌출단(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덮개(30)의 하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착탈해제용 브라켓(100)의 수직판(101)에 미는 힘을 가하기 위하여 철침 등의 강성체를 삽입시킬 수 있는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바이스 베이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사용자가 디바이스(1)를 베이 내에 장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장치의 외부에 형성된 제어장치(미도시)를 통해 솔레노이드(70)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바이스(1)를 전방덮개(30)의 전면개방부(31)를 통해 밀어넣으면, 이 디바이스(1)는 기저부(10) 상의 안착판(60) 상을 따라 미끄러져 들어가게 되고, 이어 상기 삽입되던 디바이스(1)의 후방면이 안착판(60) 후방 끝단부의 걸림단(63)에 걸리게 되면 상기 안착판(60)이 상기 디바이스(1)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안착판(60)은 그 하부의 로울러(111)에 의해 원활하게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하던 안착판(60)과 디바이스(1)는 상기 디바이스(1)가 후방벽부(20)에 설치된 취출바아(92)에 닿을 때까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디바이스(1)의 후방면에 형성된 컨넥터(1a)가 베이 후방에 설치된 리셉터클(미도시)에 연결되고, 이 때, 상기 솔레노이드(70)는 오프된 상태이므로 상기 착탈브라켓(80)의 걸개부(81)는 안착판(60) 밑면과 접촉하다가 안착판(60)의 걸림턱(62)을 걸어 지지하게 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프된 솔레노이드(70)는 그 이동샤프트(72)가 고정샤프트(71)에서 떨어져 하강함으로써 상기 착탈브라켓(80)의 후방 끝단부(82)를 누르게 되고, 상기 착탈브라켓(80)은 지지브라켓(13) 후방 끝단에 걸려 지지된 힌지돌기(83)를 중심으로 시소운동하여 착탈브라켓(80) 전방부가 상승한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착탈브라켓(80) 전방 끝단의 걸개부(81)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걸개부(81)는 후방으로 이동하고 있는 안착판(60)의 걸림턱(62)을 타고 넘어가 걸림턱(62) 전방에 위치함으로써 걸림턱(62)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게 되고, 이로써 디바이스(1)의 장착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디바이스(1)가 베이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 디바이스(1)를 베이 내에서 빼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베이 외부에 설치된 제어장치(미도시)를 통해 솔레노이드(70)를 온(on)시킨 상태에서 베이의 측벽부(50) 외측에 설치된 작동바아(91)를 누름으로써 디바이스(1)를 취출할 수가 있다.
다시말해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70)를 온(on)시키면 고정샤프트(71)와 떨어져 있던 이동샤프트(72)가 위로 상승하여 고정샤프트(71)에 붙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샤프트(72) 하단의 플런저(73)가 착탈브라켓(80) 후방 끝단부를 끌어올림으로써 착탈브라켓(80) 전방부를 하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착탈브라켓(80)의 전방 끝단의 걸개부(81)가 하강하여 안착판(60)의 걸림턱(62)을 지지하던 힘이 없어지게 되므로, 상기 안착판(60)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측벽부(50)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바아(91)의 전방 끝부분을 누르면, 상기 작동바아(91)가 뒤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작동바아(91)의 후방 끝단에 힌지핀(94)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취출바아(92)가 그 중간에 연결된 고정바아(93)의 힌지핀(95)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하여, 상기취출바아(92)의 끝단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디바이스(1) 후방면을 밀어내게 되고, 이어 상기 디바이스(1)는 그 후방면의 컨넥터(1a)가 리셉터클(미도시)과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해제된 안착판(60)과 함께 상기 안착판(60) 하부의 로울러(111)에 의해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디바이스(1)가 상기 전방덮개(30)의 전면개방부(31)를 통해 일부분이 취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전방덮개(30)를 통해 튀어나온 디바이스(1) 일부분을 손으로 잡고서 디바이스(1)를 베이 내에서 빼내면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취출작동에 따르면, 상기 안착판(60)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다음 디바이스(1)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상기 취출바아(92)만에 의한 디바이스(1)의 변위량은 상기 디바이스(1)의 일부가 전방덮개(30)의 전면개방부(31) 외부로 노출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지 않기 때문에, 상기 디바이스(1)에 전방으로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안착판(60) 및 그 하부의 로울러(111)에 의해서 더 큰 변위량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취출작동에 있어서, 상기 취출바아(92)가 디바이스(1) 후방면을 미는 것만으로도 상기 고정해제된 안착판(60)이 디바이스(1)와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디바이스(1)와 안착판(60)과의 마찰력에 기인함은 이해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디바이스 베이는, 전원이 오프되어 상기 솔레노이드(70)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킬 수 없을 경우에도 상기 디바이스(1)를 취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판(60)과 착탈브라켓(80)과의 고정상태를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방덮개(30)의 구멍(32)을 통해 철침 등의 가느다란 강성체를 삽입하여, 기저부(10) 상에 설치된 착탈해제용 브라켓(100) 전방의 수직판(101)을 밀면 이 수직판(101)과 일체로 형성된 착탈해제용 브라켓(100)이 뒤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착탈해제용 브라켓(100) 후방 끝단의 해제용 돌출단(102)이 상기 착탈브라켓(80)의 후방부에 일체로 형성된 수동해제용 작동편(84)의 경사진 전면을 따라 들어가면서 상기 착탈브라켓(80) 후방부가 점차적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착탈브라켓(80) 전방부는 아래로 하강하게 되므로, 상기 착탈브라켓(80)의 걸개부(81)와 안착판(60)의 걸림턱(62)과의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수동으로 상기 안착판(60)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작동바아(91)를 누름으로써 디바이스(1)를 취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으로 이동한 착탈해제용 브라켓(100)은 인장스프링(106)의 작용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적인 간단한 조작으로 디바이스를 디바이스 베이 내에 착탈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디바이스를장착 및 교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바이스 베이 내의 안착판이 전기적으로 착탈되지 않을 경우에도 수동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어떠한 상황에서도 상기 디바이스를 취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Claims (15)

  1. 바닥면을 이루는 기저부와, 이 기저부의 후방에 수직하게 형성된 후방벽부와, 상기 기저부의 전방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디바이스가 삽입 및 취출되는 전면개방부가 형성된 전방덮개와, 상기 기저부의 양 측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덮개를 구비한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의 기저부 상에서 앞뒤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 내로 삽입된 디바이스가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하부의 기저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판을 고정시킴과 더불어 이동가능하도록 해제하는 착탈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후방벽부의 후방면에 장착되고, 상기 착탈수단과 연결되어 이 착탈수단이 고정 및 해제작동을 하도록 연동시키기 위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안착판에 안착된 디바이스를 케이스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취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바이스 베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베이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오작동시 상기 착탈수단을 수동으로 해제작동시키기 위한 비상용 해제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바이스 베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 상에는 상기 안착판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그 중심부에 다수의 로울러가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기저부의 측면에 고정된 다수의 고정축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에는 이 안착판이 상기 고정축의 로울러와 접지되는 부위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V자형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절곡된 중간부위에 양측으로 돌출된 힌지축이 형성되어 이 힌지축이 상기 기저부 상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후방 끝단은 상기 후방벽부를 관통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되며, 그 전방 끝단은 상기 안착판을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의 상승 및 하강 작동에 의해 상기 착탈수단이 그 중심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의 일측에 상기 착탈수단의 전방 끝단에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의 일측에 상기 착탈수단의 전방 끝단에 걸려 고정되도록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의 중간부위 바로 후방에 경사지게 형성된 수동해제용 작동편이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일 측벽부를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측벽부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작동바아와,
    상기 작동바아의 후방 끝단에 힌지핀을 매개로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벽부를 관통하여 케이스의 후방벽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바아와 연동하여 디바이스를 밀어낼 수 있도록 된 취출바아와,
    일단이 상기 취출바아의 중간부위에 힌지핀을 매개로 수직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후방벽부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취출바아를 후방벽부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바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아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벽부에는 상기 작동바아의 슬롯에 끼워져 상기 작동바아를 이 측벽부에 전후 이동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돌출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아가 장착되는 케이스의 측벽부 외측에는 상기 작동바아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1개 이상의 브라켓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바아의 끝단부와 후방벽부 사이에 인장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용 해제수단은,
    상기 전방덮개 바로 후방에서부터 상기 착탈수단의 수동해제용 작동편의 바로 전방 위치에까지 이르는 길이를 갖는 앞뒤로 이동가능한 착탈해제용 브라켓과,
    상기 착탈해제용 브라켓의 끝단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착탈해제용 브라켓의 후방이동시 상기 착탈수단의 수동해제용 작동편의 경사진 면을 밀고 들어감으로써, 상기 수동해제용 작동편과 일체로 형성된 착탈수단의 후방부를 상승시키도록 된 해제용 돌출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용 해제수단은 상기 착탈해제용 브라켓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복원력을 가하는 인장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해제용 브라켓의 전방부에는 사용자가 전방덮개외부에서 상기 착탈해제용 브라켓을 밀어낼 수 있도록 수직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
KR1019990056241A 1999-12-09 1999-12-09 디바이스 베이 KR100364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241A KR100364719B1 (ko) 1999-12-09 1999-12-09 디바이스 베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241A KR100364719B1 (ko) 1999-12-09 1999-12-09 디바이스 베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146A KR20010055146A (ko) 2001-07-04
KR100364719B1 true KR100364719B1 (ko) 2002-12-16

Family

ID=19624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241A KR100364719B1 (ko) 1999-12-09 1999-12-09 디바이스 베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47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146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1744B2 (en) Mounting apparatus for disk drive
TWI525611B (zh) 具樞轉把手之驅動機載架
US7402070B1 (en) Latch mechanism with spring back function
US6683785B1 (en) Mobile rack for hard disk drives
EP2632240B1 (en) Connection device for cable management arm and slide assembly
KR20020092696A (ko) 저장매체의 착탈 장치
KR100364719B1 (ko) 디바이스 베이
JPH03273323A (ja) 小型電子機器の増設装置
KR100364718B1 (ko) 디바이스 베이
KR100331811B1 (ko) 디바이스 베이
JP3326667B2 (ja) 電子機器用接続装置
CN101644289A (zh) 弹出机构和包括弹出机构的电子设备
JP2549112B2 (ja) Icカ−トリツジリ−ダ−ライタ−
KR910008941Y1 (ko) 비디오 테이프레코오드의 테이프 이중삽입방지장치
JP2003272765A (ja) レセプタクル
KR20010063371A (ko)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KR20010094561A (ko) 디바이스 베이 시스템
JP2943611B2 (ja) 記録再生装置
JPS6160511B2 (ko)
JPS6123599B2 (ko)
JPH062431U (ja) 電子機器
JP2911366B2 (ja) 機能拡張用ボックス
JP2616501B2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3551501B2 (ja) ディスク装置
KR200301931Y1 (ko) 캠코더용엘씨디의전원온/오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