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3166A -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3166A
KR20010063166A KR1019990060135A KR19990060135A KR20010063166A KR 20010063166 A KR20010063166 A KR 20010063166A KR 1019990060135 A KR1019990060135 A KR 1019990060135A KR 19990060135 A KR19990060135 A KR 19990060135A KR 20010063166 A KR20010063166 A KR 20010063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cc
block
ecc block
data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0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9164B1 (ko
Inventor
신종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60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164B1/ko
Priority to US09/735,645 priority patent/US6842411B2/en
Publication of KR20010063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3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6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interleav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 G11B7/0037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carrier with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2ECC block, i.e. a block of error correction encoded symbols which includes all parity data needed for de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재생기의 기록 방법은, 데이터 기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데이터 기록 명령을 분석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사용자 영역 블록을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사용자 영역 블록에 대응되는 ECC 블록을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ECC 블록이 앞서 수신된 데이터 기록 명령에 따라 처리되는 ECC 블록과 연결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ECC 블록이 앞서 수신된 데이터 기록 명령에 따라 처리되는 ECC 블록과 연결되면, ECC 블록에 기록할 데이터의 인코딩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ECC 블록에 기록할 데이터의 인코딩이 수행되지 않았으면, 수신된 데이터 중에서 ECC 블록에 기록할 데이터를, 인코딩을 수행하기 위해 대기 중인 ECC 블록의 지정된 위치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ECC 블록의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ECC 블록의 경계와 어긋나는 데이터 기록 명령이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에, 첫 데이터 기록 명령과 마지막 데이터 기록 명령에 대해서만 데이터 재생을 수행하고, 중간의 연속되는 데이터 기록 명령에 대해서는 데이터 재생 수행없이 각각의 ECC 블록마다 인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서보의 이동을 줄여 데이터 기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Method for writing data in an optical disk reader/writer}
본 발명은 광기록재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히는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러 정정 코드(ECC:Error Correction Code) 블록의 경계와 어긋나는 데이터 기록 명령이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에, 서보(servo)의 시크(seek) 횟수를 줄여 데이터 기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기록 매체는 반복 기록의 가능 여부에 따라서 읽기 전용의 ROM(Read Only Memory)형과, 1회 기록 가능한 WORM(Write Once Read Many)형 및 반복적으로 기록할 수 있는 재기록 가능형 등으로 크게 3종류로 분류된다.
여기서, ROM형 광기록 매체는 컴팩트 디스크(CD:Compact Disc) ROM과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Digital Versatile Disc) ROM 등이 있으며, WORM형 광기록 매체는 1회 기록 가능한 컴팩트 디스크(CD-R:Recodable Compact Disc)와 1회 기록 가능한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R:Recodable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또한, 자유롭게 반복적으로 재기록 가능한 디스크로는 재기록 가능한 컴팩트 디스크(CD-RAM:Rewritable Compact Disc)와 재기록 가능한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RAM:Rewritable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한편, DVD-RAM 드라이브는, 호스트(host)의 명령에 의해서 디스크에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user data)를 재생하거나, 상기 호스트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디스크에 기록한다. 이때, 상기 호스트는 명령 코드와 함께 재생 또는 기록할 위치와 기록 섹터 수를 지정해서 명령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드라이브는 그수신된 명령을 해석하여, 데이터 재생 명령의 경우에는 상기 디스크에서 그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며, 데이터 기록 명령의 경우에는 데이터를 전송받은 후, 명령을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응답 신호를 상기 호스트에게 먼저 전달하고 시간이 허용되는 데로 그 데이터를 상기 디스크에 기록한다.
따라서, 상기 호스트는 데이터 재생의 경우에는 상기 드라이브가 주는 데이터를 다 받은 후에 다음 명령을 전달하고, 데이터 기록의 경우에는 기록 데이터를 모두 전송한 후에 상기 드라이브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다음 명령을 전달한다.
한편, 연속되는 사용자 영역 블록에 대한 데이터 기록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기록 완료 시점에 다음 데이터 기록 명령이 수신되면, 픽업은 이미 현재 명령을 수행하고 나서 다음 명령을 수행할 부분을 지나가 버리는 경우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서보가 백 점프(back jump)를 수행하여 기록하고자 하는 부분을 다시 찾아 기록을 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데이터 기록 명령이 내려질 때마다 서보가 백 점프를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기록 성능을 상당히 저하시킨다.
도 1은 일반적인 광 디스크의 데이터 저장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여기서 A-16, A, A+16, A+32 및 a는 광기록 디스크의 번지를 나타낸 것이다. 디스크는 제조된 이후에 0번 번지부터 이후 16의 배수에 해당하는 번지마다 가상의 경계가 나누어져 있다. 이 경계를 ECC 블록 경계라 한다. 이 ECC 블록은 상기 디스크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또는 상기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위가 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a 번지부터 시작되는 x 부분의 데이터를 재생하라는 명령을 받으면, 이에 따라 호스트로 전송해 주는 데이터는 x 부분의 데이터에 불과하지만, 그 x 부분의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X 전체의 데이터 즉, y1, x, y2부분의 데이터를 읽어야 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도 x 부분에 데이터를 기록하라는 명령이 수신되면 x 부분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y1, y2부분의 데이터도 같이 인코딩 (encoding)하여 기록하여야 하며, 또한 ECC 블록 단위로 기록해야 한다.
이와 같이, DVD-RAM은 기록을 하거나 재생을 할 때, 항상 ECC 블록 단위로 처리를 한다. 하지만, 호스트는 반드시 ECC 블록 단위로 기록이나 재생을 명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호스트로부터 섹터 단위의 데이터 기록 명령을 수신한 드라이브는 기록하라고 명 받은 섹터를 포함하는 ECC 블록을 먼저 재생하고, 상기 호스트에서 넘겨 받은 사용자 데이터를 그 ECC 블록 내의 지정 위치에 삽입한 후 인코딩하여 ECC 블록에 맞추어서 기록을 해야 한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ECC 블록 내에 존재하는 다른 섹터의 데이터가 손상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특히 ECC 블록 경계와 어긋나는 데이터 기록 명령이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재생/기록 동작이 반복되기 때문에 그 기록 속도가 상당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ECC 블록의 경계와 어긋나는 데이터 기록 명령이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에, 서보의 이동을 줄여 데이터 기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광 디스크의 데이터 저장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의 구현을 위한 광기록재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데이터 기록 명령의 수신에 따른 데이터 기록 수행에 있어서, 이어지는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의 데이터 저장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에 따른 데이터 처리 과정의 한 예를 나타낸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디스크 202... 데이터 프로세서
203... ECC 메모리부 204... 마이콤
205... 버퍼 206... 호스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재생기의 기록 방법은,
(a) 데이터 기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단계 (a)에서 수신된 데이터 기록 명령을 분석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사용자 영역 블록을 검출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 (b)에서 검출된 사용자 영역 블록에 대응되는 ECC 블록(Ec)을 검출하는 단계와;
(d) 상기 단계 (c)에서 검출된 ECC 블록(Ec)이 그보다 앞서 수신된 데이터 기록 명령에 따라 처리되는 ECC 블록(Ep)과 연결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e) 상기 단계 (d)의 판단 결과, 상기 ECC 블록(Ec)이 그보다 앞서 수신된 데이터 기록 명령에 따라 처리되는 ECC 블록(Ep)과 연결되면, 상기 ECC 블록(Ec)에 기록할 데이터의 인코딩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f) 상기 단계 (e)의 판단 결과, 상기 ECC 블록(Ec)에 기록할 데이터의 인코딩이 수행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 (a)에서 수신된 데이터 중에서 상기 ECC 블록 (Ec)에 기록할 데이터를, 인코딩을 수행하기 위해 대기 중인 상기 ECC 블록(Ec)의 지정된 위치에 삽입하는 단계; 및
(g) 상기 단계 (f)에서 처리된 상기 ECC 블록(Ec)의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d)의 판단 결과, 상기 ECC 블록(Ec)이 그보다 앞서 수신된 데이터 기록 명령에 따라 처리된 ECC 블록(Ep)과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ECC 블록(Ec)의 데이터를 재생하며, 상기 단계 (e)의 판단 결과, 상기 ECC 블록(Ec)에 기록할 데이터의 인코딩이 수행되었으면 상기 ECC 블록(Ec)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ECC 블록의 경계와 어긋나는 데이터 기록 명령이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에, 첫 데이터 기록 명령과 마지막 데이터 기록 명령에 대해서만 데이터 재생을 수행하고, 중간의 연속되는 데이터 기록 명령에 대해서는 데이터 재생 수행없이 각각의 ECC 블록마다 인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서보의 이동을 줄여 데이터 기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의 구현을 위한 광기록재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재생기의 기록 방법의 구현을 위한 광기록재생 시스템은, 디스크(201)와, 상기 디스크(201)로부터 독출한 데이터 및 디스크(201)에 기록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프로세서(202)와,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202)가 데이터를 읽고/쓰는 ECC 블록 단위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ECC 메모리부(203)와,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202)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마이콤으로 약칭)(204)와,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202)가 상기 디스크(201)에 기록하려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205) 및 상기 마이콤(204)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호스트 (206)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광기록재생 시스템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에 따라 먼저, 호스트(206)로부터 데이터 기록 명령이 수신되면(단계 301), 마이콤(204)은 상기 전송된 데이터 기록 명령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302).
그리고, 상기 마이콤(204)은 상기 호스트(206)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기록 명령을 분석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사용자 영역 블록을 검출한다(단계 303). 또한, 마이콤(204)은 검출된 사용자 영역 블록에 대응되는 ECC 블록(Ec)을 검출하며(단계 304), 상기 ECC 블록(Ec)이 그보다 앞서 수신된 데이터 기록 명령에 따라 처리되는 ECC 블록(Ep)과 연결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05).
이때, 상기 단계 305의 판단 결과, 상기 ECC 블록(Ec)이 그보다 앞서 수신된 데이터 기록 명령에 따라 처리되는 ECC 블록(Ep)과 연결되면, 상기 ECC 블록(Ec)에 기록할 데이터의 인코딩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06).
여기서, 상기 단계 306의 판단 결과, 상기 ECC 블록(Ec)에 기록할 데이터의 인코딩이 수행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 301에서 상기 호스트(206)으로부터 수신된데이터 중에서 상기 ECC 블록(Ec)에 기록할 데이터를, 인코딩을 수행하기 위해 대기 중인 상기 ECC 블록(Ec)의 지정된 위치에 삽입한다(단계 307). 이와 같이 처리된 상기 ECC 블록(Ec)의 데이터는 인코딩되고(단계 308), 디스크(201)에 기록된다(단계 309).
한편, 상기 단계 305의 판단 결과, 상기 ECC 블록(Ec)이 그보다 앞서 수신된 데이터 기록 명령에 따라 처리되는 ECC 블록(Ep)과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새로 기록할 데이터의 크기가 ECC 블록의 크기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10).
이때, 상기 단계 310의 판단 결과, 새로 기록할 데이터의 크기가 ECC 블록의 크기와 같으면, 상기 ECC 블록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지 아니하고, 새로 기록할 데이터를 바로 인코딩 하고(단계 308), 디스크(201)에 기록한다(단계 309). 이는, 새로 기록하는 데이터의 크기가 ECC 블록의 크기와 같기 때문에 기존의 ECC 블록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단계 306의 판단 결과, 상기 ECC 블록에 기록할 데이터의 인코딩이 수행되었으면, 상기 단계 310 이후의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도 4는 데이터 기록 명령의 수신에 따른 데이터 기록 수행에 있어서, 이어지는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경우의 데이터 저장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에 따른 데이터 처리 과정의 한 예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여기서, 도 4의 A, A+16, A+32, A+48 및 A+64는 디스크(201)의 ECC 블록 단위의 경계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a, a+16, a+32 및 a+48은 호스트(206)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기록 명령에 지시된 데이터 블록의 경계를 각각 나타낸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기록 명령이 전달되면, 전송받은 x1영역의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하여 A 번지부터 16 섹터의 데이터를 재생하고, y1영역의 데이터와 x1영역의 데이터를 합쳐 인코딩한 후 A 번지부터 데이터를 기록한다. 그리고, 그 동안에 제 2 기록 명령이 전달되면, 상기 x2영역의 데이터가 아직 인코딩 과정을 거치지 않은 경우에는 x2영역의 데이터를 재생할 필요없이 x2영역의 데이터와 x3영역의 데이터를 합쳐서 인코딩하고 A+16 번지부터 기록하면 된다. 즉, 기록할 부분에 대한 재생 여부의 판단은 그 블록의 인코딩이 시작되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여 결정된다. 그 블록에 대한 인코딩이 시작되지 않았다면 인코딩을 하기 위해 준비 중인 블록에 호스트(206)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삽입하여 인코딩하고 기록하면 된다.
한편, 상기 호스트(206)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기록 명령에 대하여 도 5와 같은 타이밍도를 이루며 수행되는 경우의 데이터 처리는, 제 1 기록 명령에 의하여 y1영역의 데이터를 재생한 후, y1영역의 데이터와 x1영역의 데이터가 인코딩되었으며, x2부분을 인코딩하기 전에 제 2 기록 명령에 의한 x3영역의 데이터와 x4영역의 데이터가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기록 명령에 따른 x2영역의 데이터에 대한 재생은 수행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기록 명령에서 전달된 x2영역의 데이터와상기 제 2 기록 명령에서 전달된 x3영역의 데이터를 합하여 인코딩이 수행된다.
또한, 제 3 명령에 대한 데이터 처리 과정도 상기 제 2 명령에 따른 데이터 처리 과정과 동일하며, 다만 상기 제 3 명령에서 전달된 x6영역의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에, 이어지는 데이터 기록 명령이 없으므로, y2영역의 데이터를 재생하여 x6영역의 데이터와 y2영역의 데이터를 합하여 인코딩을 수행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경우에는 인코딩이 모두 수행된 이후에 데이터 기록이 수행되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은, ECC 블록의 경계와 어긋나는 기록 명령이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에, 첫 데이터 기록 명령과 마지막 데이터 기록 명령에 대해서만 데이터 재생을 수행하고, 중간의 연속되는 데이터 기록 명령에 대해서는 데이터 재생 수행없이 각각의 ECC 블록마다 인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서보의 이동을 줄여 데이터 기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a) 데이터 기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단계 (a)에서 수신된 데이터 기록 명령을 분석하여, 데이터를 기록할 사용자 영역 블록을 검출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 (b)에서 검출된 사용자 영역 블록에 대응되는 ECC 블록(Ec)을 검출하는 단계와;
    (d) 상기 단계 (c)에서 검출된 ECC 블록(Ec)이 그보다 앞서 수신된 데이터 기록 명령에 따라 처리되는 ECC 블록(Ep)과 연결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e) 상기 단계 (d)의 판단 결과, 상기 ECC 블록(Ec)이 그보다 앞서 수신된 데이터 기록 명령에 따라 처리되는 ECC 블록(Ep)과 연결되면, 상기 ECC 블록(Ec)에 기록할 데이터의 인코딩(encoding)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f) 상기 단계 (e)의 판단 결과, 상기 ECC 블록(Ec)에 기록할 데이터의 인코딩이 수행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 (a)에서 수신된 데이터 중에서 상기 ECC 블록 (Ec)에 기록할 데이터를, 인코딩을 수행하기 위해 대기 중인 상기 ECC 블록(Ec)의 지정된 위치에 삽입하는 단계; 및
    (g) 상기 단계 (f)에서 처리된 상기 ECC 블록(Ec)의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판단 결과, 상기 ECC 블록(Ec)이 그보다 앞서 수신된 데이터 기록 명령에 따라 처리되는 ECC 블록(Ep)과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ECC 블록 (Ec)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의 판단 결과, 상기 ECC 블록(Ec)에 기록할 데이터의 인코딩이 수행되었으면, 상기 ECC 블록(Ec)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
KR1019990060135A 1999-12-22 1999-12-22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 KR100609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135A KR100609164B1 (ko) 1999-12-22 1999-12-22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
US09/735,645 US6842411B2 (en) 1999-12-22 2000-12-14 Optical disc driver and data record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135A KR100609164B1 (ko) 1999-12-22 1999-12-22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3166A true KR20010063166A (ko) 2001-07-09
KR100609164B1 KR100609164B1 (ko) 2006-08-02

Family

ID=1962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0135A KR100609164B1 (ko) 1999-12-22 1999-12-22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190B1 (ko) * 2000-01-26 200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의 에러정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5370A (ja) * 1995-06-07 1996-12-17 Sony Corp データ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JP3930072B2 (ja) * 1996-08-22 2007-06-13 株式会社東芝 データリードライト処理システム
JPH1064066A (ja) * 1996-08-22 1998-03-06 Toshiba Corp 光ディスク情報記録システム
JPH11296996A (ja) * 1998-04-15 1999-10-29 Ricoh Co Ltd 情報記録媒体に対する情報記録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190B1 (ko) * 2000-01-26 200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의 에러정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164B1 (ko)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01748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及びその記録装置並びに再生装置
CN1111307C (zh) 解码光盘串码切割区记录信息所需的同步信息的检测方法
KR19990060372A (ko) 광 디스크 재생장치에서 종류 검출을 위한 디스크와그 종류 검출방법
JPH1186338A (ja) ハイブリッドディスクとディスク判別方法
US20060146675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ecording data on and/or reproducing data from an optical disk
KR100609164B1 (ko)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
KR100604029B1 (ko)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
US6842411B2 (en) Optical disc driver and data recording method therefor
KR100268386B1 (ko) Dvd-ram드라이브의 기록제어방법
JP4015544B2 (ja) 情報処理装置
JP3892729B2 (ja) 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241746B1 (ko) 기록재생이 가능한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시스템에서픽업의 트랙이탈시 에러처리방법
JP3941771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の記録方法
JP3941834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の再生方法
KR100217752B1 (ko) 광 디스크면의 배드섹터 처리방법
JP3927091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と情報記録再生方法と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KR100200214B1 (ko) 디스크 재생위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016265B2 (ja) 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
KR20020095856A (ko)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재생 속도 제어 방법
JPH05174386A (ja) 光ディスクの再生方法
JP3795539B2 (ja) 情報再生装置の情報再生方法
JPH08106722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20010058778A (ko) 광 디스크의 데이터 복사 방법
JPH11144399A (ja) 情報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161868A (ja) 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