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1261A -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피에스강선 지지장치, 피에스강선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 - Google Patents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피에스강선 지지장치, 피에스강선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1261A
KR20010061261A KR1019990063752A KR19990063752A KR20010061261A KR 20010061261 A KR20010061261 A KR 20010061261A KR 1019990063752 A KR1019990063752 A KR 1019990063752A KR 19990063752 A KR19990063752 A KR 19990063752A KR 20010061261 A KR20010061261 A KR 20010061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plate
fixing
block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3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6478B1 (ko
Inventor
이창남
Original Assignee
이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남 filed Critical 이창남
Priority to KR10-1999-0063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6478B1/ko
Publication of KR20010061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1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1Construction of stressing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의 양 단부 상단에 다수개의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 또는 매부리형 PS강선 정착장치를 고정하고, 양 중앙부 하단에 다수개의 원형 또는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를 고정하고, PS강선 정착장치와 PS강선 지지장치 사이에 타원형블럭 또는 원형 블록 PS강선 연결장치를 설치하고, PS강선을 설치한 후 긴장력을 가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유지함으로서 내력이 부족한 부재를 보강하는 PS강선 지지장치, PS강선 지지장치, PS강선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 하단 밑으로 PS강선의 위치를 조정하여 지지할 수 없는 원형 PS강선 지지장치(1) 또는 PS강선의 위치를 보 하단 밑으로 일정간격 조정하여 지지할 수 있는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2) 및 한 줄 또는 두 줄의 PS강선을 연결하여 긴장할 수 있는 타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3) 및 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4)를 조합하여 건축구조물을 보강한다. 상기 PS강선 정착장치, PS강선 지지장치 및 PS강선 연결장치를 조합하여 PS강선을 유압 잭으로 긴장시킨 후 정착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하고 유지함으로서, 종래의 보강대상부재의 양 단부의 상부에서는 장애물 때문에 효과적인 포스트텐션을 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소되며 제한된 공간에서 두 줄의 PS강선도 용이하게 포스트텐션을 가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를 보강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피에스강선 지지장치, 피에스강선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Grip, Supporter, and Connector for prestressing wire and post-tension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에 PS강선 정착장치, PS강선 지지장치및 PS강선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하고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에 PS강선 정착장치, PS강선 지지장치 및 PS강선 연결장치를 설치한 후 PS강선을 설치하고, 유압 잭을 이용하여 PS강선에 포스트텐션을 도입한 후 원추대형 쐐기를 이용하여 정착함으로서 포스트텐션을 유지하는 PS강선 정착장치, PS강선 지지장치와 PS강선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구조물의 외적 포스트텐션 방법은 내적 포스트텐션 방법과 병용하여 또는 단독으로 건축구조물 제작 또는 보강에 이용되기도 하지만 별도의 PS강선을 수용하기 위한 콘크리트 내부에 설치되는 덕트 및 쉬스의 이용없이 포스트텐셔닝 대상부재 내부에 PS강선을 설치한 후 포스트텐션을 도입하여 구조내력이 부족한 구조물을 보강하는데 이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또한 종래의 외적 포스트텐션 방법은 PS강선을 절곡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 방향전환 블록을 절곡해야 할 위치에 배치하여 PS강선의 설치방향을 조정한 후, 부재의 정착부에 유압 잭을 이용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한 뒤 쐐기를 이용하여 정착함으로서 포스트텐션을 유지한다. 이러한 종래의 방향전환 블럭은 PS강선이 절곡되어야 할 방향으로 구멍을 형성시켜 PS강선의 설치방향을 조정하므로 긴장력을 가할 경우 절곡되는 부분의 PS강선에 불필요한 응력집중이 가해지고, 다수 개의 블록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PS강선 설치방향의 변경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절곡해야 할 부위가 많은 경우 방향조정을 위해 다수개의 방향전환 블록이 이용되어 포스트텐셔닝 대상부재의 양 단부에서 긴장력을 가하면 절곡되는 부위마다 유효한 포스트텐션을 도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PS강선의 양단에 정착장치를 설치하여 긴장하는 작업을 기존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정착장치에 유압 잭을 설치할 공간이 필요하지만 주위에 기둥 및 슬래브등 장애물이 많아 포스트텐셔닝 대상부재의 양 단부에서 긴장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상기 양 단부의 안쪽에서 PS강선의 긴장을 가하는 각도를 줄여 긴장력을 가할 수밖에 없어 보강효과가 떨어져 종래의 포스트텐셔닝 보강방법은 부재길이가 긴 교량 또는 보에서는 이용될 수 있으나 전체 길이가 짧은 건축구조부재 보강에는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두 줄 이상의 PS강선을 연결하여 건축구조물을 보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종래의 PS강선 연결장치는 주로 대형구조물을 위한 것이므로 무겁고 둔탁한 느낌을 주어 보강작업이 어렵고, 주위에 장애물이 많고 좁은 공간에서 구조물 보강작업을 해야하며 외적미관이 중요시되는 건축구조물에서는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와 같이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의 주위에 장애물이 많아 종래의 PS강선 정착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불가능한 보 양단에서의 긴장작업을 주위의 장애물에 영향 없이 PS강선에 포스트텐션을 도입할 수 있는 PS강선 지지장치, PS강선 지지장치, PS강선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규모가 크고, 외적미관이 크게 고려되지 않는 토목구조물과는 달리 소규모이면서 외적미관이 중요시되는 건축구조물의 보강을 위해 두 줄 이상의 PS강선을 설치하여 포스트텐션을 가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작고 가벼우며, 곡면으로 형성하여 둔탁한 느낌이 들지 않으며, 최소한의 장비만으로도 구조물을 보강할 수 있는 PS강선 정착장치, PS강선 지지장치, PS강선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의 길이와 높이에 따라 경사 PS강선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한채 절곡되어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라도 PS강선을 직선상태에서 포스트텐션을 가할 수 있어 PS강선에 불필요한 응력집중의 방지 및 유효 포스트텐션을 안정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PS강선 정착장치, PS강선 지지장치, PS강선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의 복부에 발생하는 주응력의 궤도에 따라 길이가 길어 무거운 PS강선을 설치하는 대신 길이가 짧아 가벼운 다수개의 PS강선을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고, 주응력 궤도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PS강선을 설치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유지할 수 있는 PS강선 정착장치, PS강선 지지장치, PS강선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A는 PS강선이 설치된 와이어콘이 고정된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B는 두 줄의 PS강선이 설치된 매부리형 PS강선 정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C는 매부리형 PS강선 정착장치의 평면도이다.
도2A 내지 도2C는 본 발명의 원형 PS강선 지지장치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3A 내지 도3C는 본 발명의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타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의 사시도 및 입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6A 내지 도6E는 본 발명의 PS강선 정착장치, PS강선 연결장치 및 PS강선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를 보강하는 방법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원형 PS강선 지지장치
2: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
3: 타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
4: 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
5: 와이어콘이 고정된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단선용)
6,16,31: 정착판
8,18,32: 보강판
9,19: 와이어홈블럭
12,21: 와이어홈
14: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
15,15'': PS강선
30: 매부리형 PS강선 정착장치(쌍선용)
33: 정착블럭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PS강선 정착장치는 도1B 및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줄의 PS강선(15)을 동시에 정착시킬 수 있는 매부리형 PS강선 정착장치(30)로서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PS강선 지지장치(1) 또는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2)와 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4)와의 조합으로 이용되며, 정착판(31), 보강판(32) 및 정착블럭(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착판(31)은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4)에 매부리형 PS강선 정착장치(30)를 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트구멍(34)이 중앙에 형성된 좌측·우측 원형판과 상기 좌측·우측 원형판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된 반원형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판(32)은 상기 정착판(31) 위에, 좌측·우측 원형판 사이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인장판 및 상기 정착판(31)의 반원형판이 형성된 방향으로 인장판의 중간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압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착블럭(33)을 지지한다.
상기 정착블럭(33)은 인장보강리브(33)와 압축보강리브(35)로 구분된다. 상기 인장보강리브(33)는 상기 보강판(32)의 인장판 위에 형성된 속이 빈 반 원통형상으로서, 정착판의 반원형판이 형성된 방향의 반대쪽으로 형성된 측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두 줄의 PS강선(15)이 삽입된 두 개의 원추대형 와이어콘(38)이 수용되고, 정착판의 반원형판이 형성된 방향으로 형성된 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타원형의 두 개의 슬롯구멍(37)이 형성되고 좌측·우측마구리에는 구멍(39)이 형성되어 매부리형 PS강선 정착장치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PS강선이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알 수 있다. 상기 슬롯구멍(37)을 관통하여 두 줄의 PS강선(15)이 원추대형 와이어콘(38)에 삽입된다. 상기 두 줄의 PS강선이 설치된 원추대형 와이어콘(38)은 슬롯구멍(37)에 지지되며 곡면으로 형성된 타원형의 슬롯구멍(37)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슬롯구멍(37)에 지지되는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압축보강리브(35)는 인장보강리브(33)의 두 개의 슬롯구멍(37) 사이에 형성되며, 정착판(31)의 반원형판이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부리형상의 판이다. 중앙에는 구멍(39)이 형성되어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PS강선 지지장치는 PS강선 지지장치의 정착판을 상·하로 조정할 수 없는 원형 PS강선 지지장치(1)와 PS강선 지지장치의 정착판을 상·하로 조정할 수 있어 PS강선(15'')을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 부재의 하단으로부터 5㎝이상 일정간격 밑에서 지지할 수 있는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2)로 구분된다.
상기 원형 PS강선 지지장치(1)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판(6), 보강리브(8), 와이어홈블럭(9) 및 하중지지판(10)으로 구성되며,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4)인 빔 또는 거더의 양 단부의 양 측면 하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일정간격 안쪽에 고정된다. 도6A 내지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성제품인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5,5') 또는 본 발명의 매부리형 PS강선 정착장치(30,30')의 조합으로 이용된다.
상기 정착판(6)은 중앙에 감량구멍(11)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된 부채형상의 판이다.
상기 보강리브(8)는 정착판(6) 위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정착판(6)의볼트구멍 및 감량구멍(11)을 따라 형성된 부채형상의 덧살이다.
상기 와이어홈블럭(9)은 정착판(6) 아래쪽에 형성된 반달형의 블록으로서, 하부 원호면을 따라 PS강선(15'')을 지지할 'ㄷ' 형상의 와이어홈(1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수평중공(13)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중공(13)은 도6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편에 설치되는 원형 PS강선 지지장치와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연결볼트(29)를 체결하기 위한 것이며, 와이어홈(12)의 폭은 두 줄의 PS강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두줄의 PS강선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볼트(29)는 전 길이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중지지판(10)은 정착판(6) 아래쪽에 상기 와이어홈블럭(9)이 형성된 방향의 반대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직사각형판(10')과 상기 와이어홈블럭(9)의 수평중공(13)의 좌측·우측에 상기 직사각형판(10') 하부면에 직각으로 형성된 두 개의 보강블럭(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홈블럭(9)에 설치되는 PS강선(15'')에 포스트텐션이 도입되면 PS강선(15'')을 지지하는 원형 PS강선 지지장치(1)가 위쪽으로 힘을 받게되고 이 힘은 하중지지판(10)을 통하여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4)에 전달되어 구조물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2)는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판(16), 볼트체결구(17), 보강리브(18), 와이어홈블럭(19), 볼트(23) 및 하중지지판(24)으로 구성되며, 상기 원형 PS강선 지지장치(1)의 변형예이다. 도6A 내지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성제품인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5,5') 또는 본 발명의 매부리형 PS강선 정착장치(30,30')의 조합으로 이용된다.
상기 원형 PS강선 지지장치(1)는 정착판(6)과 하중지지판(10)이 분리될 수 없어 PS강선(15'')을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4) 하단에서 약 5㎝ 밑에서 지지할 수밖에 없지만,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2)는 정착판(16)과 하중지지판(24)을 분리하여 조립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4) 하단에서 5㎝ ,10㎝, 15㎝, 20㎝, 25㎝ 또는 30㎝ 밑에서 PS강선(15'')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정착판(16)은 상·하가 길쭉한 타원형의 판으로서, 중앙에 상·하로 길쭉한 감량구멍(25)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고장력 볼트를 체결할 볼트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감량구멍(25)의 좌·우측에 상·하로 일렬로 형성된 볼트구멍(22)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볼트체결구(17)는 원통형상으로서 정착판(16)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2)를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4)에 고정하기 위한 팽장볼트가 체결된다.
상기 보강리브(18)는 정착판(16)의 전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타원형의 감량구멍(25)을 따라 형성된 부채형상의 덧살이다.
상기 와이어홈블럭(19)은 정착판(16) 아래쪽에 형성된 반달형의 블록으로서, 하부 원호면을 따라 PS강선(15'')을 지지할 'ㄷ' 형상의 와이어홈(2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수평중공(20)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중공(20)은 도6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편에 설치되는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와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연결볼트(29)를 체결하기 위한 것이며, 와이어홈(21)의 폭은 두 줄의 PS강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두줄의 PS강선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하중지지판(24)은 L형강이 주로 이용되며, 두 개의 고장력볼트(23)를 이용하여 정착판(16) 배면에 너트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볼트구멍이 형성된다. 하중지지판(24)과 정착판(16)이 분리되어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정착판(16)의 위치를 하중지지판(24)을 기준으로 상·하로 조정할 수 있어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4)의 하단으로부터 5㎝이상 일정간격 밑으로 PS강선(15'')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PS강선 연결장치는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으로 한 줄의 PS강선(15,15'')을 연결하는 단선용 타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3)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으로 두 줄의 PS강선(15,15'')을 연결하는 쌍선용 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4)로 구분되며, 도6A 내지 도6C에 도시된바와 같이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5)또는 매부리형 PS강선 정착장치(30,30')와 원형 PS강선 지지장치(1) 또는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2)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양쪽으로 한 줄의 PS강선(15,15'')을 연결하는 타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3)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두 개의 타원형블럭(26,26')과 상기 두 개의 타원형블럭(26,26')의 좌측 및 우측 원추대형중공부(27',27'')사이에 설치된 두 개의 연결 PS강선(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 PS강선(15')은 원추대형 쐐기를 상기 연결 PS강선(15')의 양 단부에 삽입하고, 양 좌측 및 우측 중공부(27',27'')에 끼워 넣은 후 파이프 토막을 원추대형 쐐기머리에 대고 망치로 타격하여 정착시킴으로서 두 개의 타원형블럭(26,26')이 연결된다.
상기 타원형블럭(26,26')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세 개의 원추대형중공(27,27',27'')이 일렬로 형성되며, 중앙 원추대형중공(27)의 형성방향과 좌측 및 우측 원추대형중공(27',27'')의 형성방향이 서로 반대이므로 두 개의 중앙 원추대형중공(27)에 삽입된 양쪽 PS강선(15,15'')중 하나의 PS강선(15)에만 포스트텐션을 가해도 서로 다른 방향의 포스트텐션이 PS강선(15)에 도입된다. PS강선(15,15'')을 타원형블럭(26,26')의 중앙 원추대형중공(27)에 정착하는 방법은 상기 연결 PS강선(15')을 양 타원형블럭(26,26')의 좌측 및 우측 원추대형중공(27',27'')에 정착시키는 방법과 동일하며, PS강선(15) 또는 PS강선(15'')이 삽입된 원추대형 쐐기를 유압잭을 이용하여 원추대형중공에 밀어 넣어 PS강선 긴장작업을 완결한다.
상기 양쪽으로 두 줄의 PS강선(15,15'')을 연결하는 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4)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원추대형중공(28,28',28'',28''')이 십자형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두 줄의 PS강선(15,15'')을 양쪽에서 연결할 수 있는 원형블럭이다. 상기 한 줄의 PS강선을 연결하는 타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3)의 변형예이다. 네 개의 원추형중공(28,28',28'',28''')중 마주보는 두 개의 원추대형중공(28,28')의 형성방향과 마주보는 다른 두 개의 원추형중공(28'',28''')의 형성방향은 서로 반대이며,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부리형 PS강선 정착장치(30,30')와 원형 PS강선 지지장치(1) 또는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2) 사이에 설치한다. 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4) 양쪽에 두 줄의 PS강선(15,15'')을 정착하는 방법은 두 줄의 PS강선이 설치된 원추대형 쐐기를 원추대형 중공에 삽입한 후 파이프 토막을 상기 원추대형 쐐기 머리에 대고 망치로 타격하여 정착시키고, 남은 두 줄의 PS강선이 설치된 원추대형 쐐기를 유압잭을 이용하여 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4)의 원추대형 중공에 밀어넣어 긴장작업을 완결한다.
본 발명의 PS강선 정착장치, PS강선 지지장치 및 PS강선 연결장치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은 다수개의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5,5') 또는 매부리형 PS강선 정착장치(30,30')를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4)의 좌·우측에 고정하는 단계; 다수개의 원형 PS강선 지지장치(1,1') 또는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2,2')를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4)의 중앙에 고정하는 단계; 다수개의 PS강선(15,15'')을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5,5') 또는 매부리형 PS강선 정착장치(30,30')와 원형 PS강선 지지장치(1,1') 또는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2,2') 사이에 타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3) 또는 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4)를 매개로 하여 설치하는 단계; 그리고 타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3) 또는 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4)에 설치된 PS강선(15'')을 잭을 이용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하고, 쐐기로 정착하여 포스트텐션을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개의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5,5')는 도1A에 도시된바와 같이 정착판, 보강리브, 정착블럭 및 와이어콘으로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콘에 한 줄의 PS강선(15)이 삽입되어 정착된다.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4)에 팽창볼트로 박아 고정하며,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4)의 양단부의 최상단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측면에도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5,5')를 고정한다.
상기 다수개의 매부리형 PS강선 정착장치(30,30')는 한 줄의 PS강선을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4)에 고정하기 위한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5,5')의 변형예로서, 두 줄의 PS강선을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4)에 고정하기 위한 PS강선 정착장치이다.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4)에 팽창볼트로 박아 고정하며,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4)의 양단부의 최상단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측면에도 매부리형 PS강선 정착장치(30,30')를 고정한다.
상기 다수개의 원형 PS강선 지지장치(1,1') 또는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2,2')는 도6A 내지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4)의 양단부의 하단으로부터 중간부를 향하여 일정간격 안쪽에 수직중공(13,20)이 노출되도록 팽창볼트로 박아 고정하며, PS강선(15'')을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4)의 하단으로부터 5㎝이상 밑으로 지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2)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14)의 경간(Span)이 길지 않을 경우에는 부재중간에 하나의 원형 PS강선 지지장치(1) 또는 타원형PS강선 지지장치(2)를 설치할 수 있다.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측면에도 원형 PS강선 지지장치(1,1') 또는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2,2')를 고정하며,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원형 PS강선 지지장치(1,1') 또는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2,2')의 수직구멍(13,20) 사이에 연결볼트(29)를 설치한다.
상기 다수개의 PS강선(15,15'')의 설치는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으로 한 줄의 PS강선(15,15'')을 두 개의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5,5')와 하나의 원형 PS강선 지지장치(1) 사이에 설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PS강선(15,15'')의 한쪽 단부 각각을 원추대형 쐐기를 이용하여 좌·우측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5,5')에 정착한 후, 좌측 PS강선(15)의 타 단부는 타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3)의 좌측 중앙 원추형중공(27)에 원추대형 쐐기를 이용하여 정착하고, 우측 PS강선(15'')의 타 단부는 원형 PS강선 지지장치(1)의 와이어홈(12)를 지나 타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3)의 우측 중앙 원추형중공에 포스트텐션을 가하기 위해 삽입하여 둔다. 도6C에 도시 된바와 같이 PS강선(15,15'')을 양쪽으로 두 줄씩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PS강선 연결장치를 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4)를 이용하여 PS강선(15,15'')을 두 개씩 설치한다. 또한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위에 장애물이 많아 작업공간이 제한되어 간단하게 보강작업을 해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타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3)을 분리한 후 하나의 타원형블럭(26)만을 이용하여 PS강선(15,15'')을 연결할 수 있다.
타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3) 또는 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4)에 설치된 PS강선(15,15'')에 포스트텐션을 도입·유지하는 방법은 타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3) 또는 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4)에 삽입하여둔 PS강선(15,15'')중 하나의 PS강선에 유압잭을 이용 긴장력을 가함으로서 포스트텐션이 도입되고, 원추대형 쐐기를 이용하여 정착함으로서 상기 포스트텐션이 유지된다.
PS강선 정착장치, PS강선 지지장치, PS강선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은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의 주위에 있는 장애물 때문에 양 단부에서 유압잭을 작동시킬 여유공간이 없는 경우 및 보강대상부재의 깊이가 낮은 경우라도 효율적으로 포스트테션을 도입·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설사 유압잭을 작동시킬 최소한의 여유공간을 확보한다해도 유압잭을 작동시키는 위치가 거꾸로 되어 작업성이 나쁘므로 본 발명에 의해 효율적으로 포스트테션을 도입·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길이가 긴 PS강선을 소정의 각도로 절곡하여 설치해야 할 경우라도 PS강선이 절곡되는 위치마다 부분적으로 직선상태에서 PS강선에 포스트텐션을 도입함으로서 PS강선에 불필요한 응력집중을 가하지 않으면서 유효 포스트텐션을 확보할 수 있고,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의 복부에 발생하는 주응력의 궤도에 따라 길이가 짧아 가벼운 다수개의 PS강선을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고, 주응력 궤도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PS강선을 설치함으로서 최적의 포스트텐션을 도입·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가벼워 시공이 용이하며, 둔탁한 느낌을 주지 않아 외적미관이 중요시되는 건축구조물에 적합하고, 두 줄 이상의 PS강선에 효율적으로 포스트텐션을 도입·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Claims (6)

  1. 중앙에 볼트구멍(34)이 형성된 좌측·우측 원형판 및 상기 좌측·우측 원형판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된 반원형판으로 이루어진 정착판(31);
    상기 정착판(31)의 중앙에 형성되며, 정착판(31)의 볼트구멍(34)에 사이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인장판 및 정착판(31)의 반원형판이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인장판 중간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압축판으로 이루어진 보강판(32); 및,
    상기 보강판(32)의 인장판 위에 형성되며 정착판(31)의 반원형판이 형성된 방향의 반대쪽으로 형성된 측면이 개방된 속이 빈 반 원통 형상으로서, 정착판(31)의 반원형판이 형성된 쪽으로 형성된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PS강선(15)이 삽입된 원추대형 와이어콘(38)을 내부에서 지지하는 타원형의 두 개의 슬롯구멍(37)과 좌·우 마구리에 형성된 두 개의 구멍(39)으로 이루어진 인장보강리브(36) 및 상기 보강판(32)의 압축판 위에 형성되며 상기 인장보강리브(36)의 타원형의 두 개의 슬롯구멍(37) 사이에 정착판(31)의 반원형판이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부리형상으로서, 중앙에 구멍(39)이 형성된 압축보강리브(35)로 이루어진 정착블럭(33);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부리형 PS강선 정착장치.
  2. 중앙에는 감량구멍(1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된 부채형상의정착판(6);
    상기 정착판(6)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부의 볼트구멍(7)과 상기 볼트구멍(7) 아래의 감량구멍(11)을 따라 형성된 부채형상의 보강리브(8);
    상기 정착판(6) 아래쪽에 보강리브(8)가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된 반달형상의 블럭으로서, 중앙에 수평중공(13)이 형성되고 하부의 원호면에는 'ㄷ' 형 와이어홈(12)이 형성된 와이어홈블럭(9); 및,
    상기 와이어홈블럭(9)의 수평중공(13)보다 위쪽에 와이어홈블럭(9)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직사각형판(10') 및 상기 와이어홈블럭(9)의 수평중공(13) 좌·우측으로 직사각형판(10') 하부면에 직각으로 형성된 두 개의 보강블럭(10'')으로 이루어진 하중지지판(1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PS강선 지지장치.
  3. 상·하로 길쭉한 타원형상의 판으로서 중앙에는 상·하로 길쭉한 감량구멍(25)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감량구멍(25)의 좌측 및 우측에 상·하로 일렬로 형성된 다수개의 볼트구멍(22)이 형성된 정착판(16);
    상기 정착판(16) 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정착판(16)의 볼트구멍 주위로 형성된 원통형의 볼트체결구(17);
    상기 정착판(16) 전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감량구멍(25) 주위를 따라 형성된 보강리브(18);
    상기 정착판(16)의 아래쪽 전면으로 돌출된 반달형상의 블럭으로서, 중앙에 수평중공(20)이 형성되고 하부의 원호면에는 'ㄷ' 형 와이어홈(21)이 형성된 와이어홈블럭(19);
    상기 정착판(16) 배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정착판(16)의 감량구멍(25)의 좌·우측에 형성된 볼트구멍(22)과 체결될 수 있는 두 개의 볼트구멍이 형성된 하중지지판(24); 및,
    상기 정착판(16)의 감량구멍(25)의 좌·우측에 형성된 볼트구멍(22)과 상기 하중지지판(24)의 볼트구멍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두 개의 볼트(2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
  4.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세 개의 원추대형중공(27,27',27'')이 일렬로 형성되고 중앙의 원추대형중공(27)과 좌측 및 우측 두 개의 원추대형중공(27',27'')은 형성방향이 서로 반대인 두 개의 타원형 블록(26,26'); 및,
    상기 두 개의 타원형 블럭(26,26')의 좌측 원추대형중공(27') 및 우측 원추대형중공(27'') 사이에 설치된 두 개의 연결 PS강선(15');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
  5. 네 개의 원추대형중공(28,28',28'',28''')이 십자형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원추대형중공(28,28')및 서로 마주보는 다른 두 개의 원추대형중공(28'',28''')은 형성방향이 서로 반대인 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
  6. 다수개의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5,5') 또는 제1항의 매부리형 PS강선 정착장치(30,30')를 보강대상부재(14)의 좌·우측에 설치하는 단계;
    다수개의 제2항의 원형 PS강선 지지장치(1,1') 또는 제3항의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2,2')를 보강대상부재(14)의 중앙에 설치하는 단계;
    다수개의 PS강선(15,15'')을 상기 다수개의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5,5') 또는 매부리형 PS강선 정착장치(30,30')와 상기 원형 PS강선 지지장치(1,1') 또는 타원형 PS강선 지지장치(2,2') 사이에 제4항의 타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3) 또는 제5항의 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4)를 매개로 하여 설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타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3) 또는 상기 원형블럭 PS강선 연결장치(4)에 설치된 다수개의 PS강선(15,15'')을 잭을 이용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하고, 쐐기로 정착하여 포스트텐션을 유지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S강선 정착장치, PS강선 지지장치, PS강선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
KR10-1999-0063752A 1999-12-28 1999-12-28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피에스강선 지지장치, 피에스강선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 KR100386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752A KR100386478B1 (ko) 1999-12-28 1999-12-28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피에스강선 지지장치, 피에스강선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752A KR100386478B1 (ko) 1999-12-28 1999-12-28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피에스강선 지지장치, 피에스강선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261A true KR20010061261A (ko) 2001-07-07
KR100386478B1 KR100386478B1 (ko) 2003-06-02

Family

ID=19631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3752A KR100386478B1 (ko) 1999-12-28 1999-12-28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피에스강선 지지장치, 피에스강선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64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538A (ko) * 2002-04-17 2002-05-11 강신량 소형 바닥 슬라브 보강공법 및 그 장치
KR100439685B1 (ko) * 2001-11-14 2004-07-12 강신량 와이어 텐션장치를 이용한 바닥 슬래브 보강공법
KR100490017B1 (ko) * 2002-10-17 2005-05-17 박유복 처짐보 보강장치
KR100581981B1 (ko) * 2004-04-26 2006-05-25 주식회사 도화구조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
KR100686467B1 (ko) * 2003-12-04 2007-02-27 이창남 포스트텐션 연속보(큰 보 또는 작은 보) 보강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975B1 (ko) 2006-02-13 2006-06-19 변항용 아이볼트 및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구조물 전단보강시스템
KR101458973B1 (ko) * 2013-03-12 2014-11-07 이창남 강선지지구, 강선 긴장용 유압잭 및 유압잭을 이용한 휨 부재 가변지주 공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685B1 (ko) * 2001-11-14 2004-07-12 강신량 와이어 텐션장치를 이용한 바닥 슬래브 보강공법
KR20020035538A (ko) * 2002-04-17 2002-05-11 강신량 소형 바닥 슬라브 보강공법 및 그 장치
KR100490017B1 (ko) * 2002-10-17 2005-05-17 박유복 처짐보 보강장치
KR100686467B1 (ko) * 2003-12-04 2007-02-27 이창남 포스트텐션 연속보(큰 보 또는 작은 보) 보강공법
KR100581981B1 (ko) * 2004-04-26 2006-05-25 주식회사 도화구조 콘크리트보 강선 보강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6478B1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8447B1 (en) Reinforcement bar support system
KR100664698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교의 인장강도 보강장치
KR100386478B1 (ko)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피에스강선 지지장치, 피에스강선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
KR20090126493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AU744021B2 (en) Method of installing conduit or the like on mountain surface using steel cable
KR100832100B1 (ko) 주탑 기부 응력저감 가설구조 및 주탑 기부 응력저감 공법
KR100277606B1 (ko) 양방향 트러스를 이용한 구조보강 방법
KR100356063B1 (ko)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방법
KR20100057446A (ko) 수직 구조체 전도 방지 장치
KR20030029077A (ko) 아치형 보가 기울어진 아치교
JP2744955B2 (ja) ゲルバー橋ヒンジ部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KR101725734B1 (ko) 강거더와 일체화된 힘전달장치를 구비한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426611B1 (ko) 교량의 외부 강선 보강을 위한 연결장치
KR100750762B1 (ko) 잭킹유닛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셔닝 보강공법
WO2017204393A1 (ko) 데크 단부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114541283A (zh) 一种用于解决大跨度pc梁桥持续下挠问题的结构及方法
KR20060057233A (ko) 슬래브 단부 보강이 용이하고 유지보수시 재긴장이 가능한피에스씨 아이빔 및 그 피에스씨 아이빔을 이용한 교량시공·보수 방법
KR20210110244A (ko) 링빔형 케이블 교량
KR100504265B1 (ko) 강재 교량의 내하력 증진을 위하여 단계적으로 강재에프리스트레싱 도입을 위하여 설치한 내하력 보강장치 및이를 이용한 내하력 보강방법
JP2979297B2 (ja) 外ケーブルを併用した吊床版橋及びその構築方法
JP2807845B2 (ja) スティパネル橋の斜材の施工方法
KR20060117646A (ko) 피시 빔
KR101044469B1 (ko) 돌출보가 부착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KR200188426Y1 (ko) 피에스강선 정착장치
KR200197017Y1 (ko) 슬리퍼형 피에스강선정착장치(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