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9965A - 해충 퇴치기 - Google Patents

해충 퇴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9965A
KR20010059965A KR1019990067960A KR19990067960A KR20010059965A KR 20010059965 A KR20010059965 A KR 20010059965A KR 1019990067960 A KR1019990067960 A KR 1019990067960A KR 19990067960 A KR19990067960 A KR 19990067960A KR 20010059965 A KR20010059965 A KR 20010059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electric shock
led
rectifier circuit
circui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여종
Original Assignee
김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여종 filed Critical 김여종
Priority to KR1019990067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9965A/ko
Publication of KR20010059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9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CELECTRIC CIRCUIT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EQUIPMENT FOR KILLING, STUNNING, OR GUIDING LIVING BEINGS
    • H05C3/00Other circuit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해충퇴치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감전장치에 의한 바퀴벌레퇴치기와 자기장을 이용한 해충퇴치기를 결합하여 자기장 발생에 의하여 쥐, 바퀴벌레, 개미 등을 퇴치시키고 동시에 전기감전장치에 의하여 바퀴벌레를 퇴치하도록 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전기를 이용한 해충퇴치장치에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해충을 퇴치시키는 장치, 전기감전장치에 의하여 바퀴벌레를 퇴치하는 장치, 훈증매트를 가열하여 해충을 퇴치하는 장치, 초음파를 이용하여 해충을 퇴치하는 장치 등이 있는데 이 장치들을 종래에는 개별적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개별적으로 사용하면 단기적으로 효과가 있으나 해충들의 학습효과에 의해 장기적으로는 퇴치효과가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자기장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장치는 해충의 주위 서식을 막는다는 이점은 있으나 해충을 직접 살충할 수는 없으며, 감전장치는 해충을 직접 살충한다는 이점은 있으나 감전장치에 접근한 해충만을 퇴치하기에 근본적으로 해충을 퇴치하지는 못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고전압과 자기장을 이용하여 바퀴벌레를 퇴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인정제를 이용하여 본 발명 해충퇴치기 내부로 바퀴벌레를 유인하여 바퀴벌레를 전기감전으로 감전시켜 죽게 하고, 또한 동시에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여 바퀴벌레가 근처에서 서식할 수 없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해충퇴치기.

Description

해충 퇴치기 { An apparatus which extirpates vermin }
본 발명은 해충퇴치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감전장치에 의한 바퀴벌레퇴치기와 자기장을 이용한 해충퇴치기를 결합하여 자기장 발생에 의하여 쥐, 바퀴벌레, 개미 등을 퇴치시키고 동시에 전기감전장치에 의하여 바퀴벌레를 퇴치하도록 한 것이다.
현재 우리가 생활하는 도중에 자주 접하게 되는 바퀴벌레, 개미, 쥐, 파리, 모기 등은 인체에 해로운 여러 전염병을 일으키는 세균을 운반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또한 전염병이외에도 피부 알레르기, 식중독 등을 유발시키는 원인을 제공하는 것들로 널리 알려져 있다.
종래의 해충퇴치기중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적인 장치에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해충을 퇴치시키는 장치, 전기감전장치에 의하여 바퀴벌레를 퇴치하는 장치, 훈증매트를 가열하여 해충을 퇴치하는 장치, 초음파를 이용하여 해충을 퇴치하는 장치 등이 있었다. 자기장을 이용한 해충퇴치장치는 자기장을 발생시켜 주위에 서식하는 해충들에게 자기장에 의한 스트레스를 줌으로서 서식을 억제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며, 전기감전장치에 의하여 바퀴벌레를 퇴치하는 장치는 양전극판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양전극판의 사이에 바퀴벌레가 접촉하여 폐회로를 형성함으로서 접촉한 바퀴벌레를 감전시켜 퇴치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훈증매트를 가열하는 장치는 모기나 파리 등이 싫어하는 냄새를 발산시켜 이 냄새로 모기와 파리의 접근을 금지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초음파를 이용하는 장치는 바퀴벌레나 쥐 등과 같은 해충이 20-50 [Hz]의 초음파를 가장 싫어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20-50 [Hz]의 초음파를 계속 발생시켜 바퀴벌레나 쥐 등과 같은 해충을 퇴치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한 장치들은 대부분이 개별적으로 구입하여야만 사용이 가능하며, 어느 한 해충퇴치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장기간동안 사용하게 되면 사용하는 해충퇴치장치에 대하여 해충들이 학습효과를 얻어 해충퇴치장치에 적응하는 능력이 생김으로서 해충을 퇴치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저하되어 해충퇴치장치를 사용하는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한가지 해충퇴치장치에 대하여 효과가 저하되면 다른 해충퇴치장치를 추가로 구입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서 구입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전기적인 장치로는 단순히 초음파를 이용하거나 또는 단순히 전자파 또는 자기장을 이용하는 장치가 있으나 이는 바퀴벌레 등의 해충의 수를 감퇴시키는 효과만 있을 뿐 바퀴벌레 등의 해충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 바퀴벌레를 퇴치하려는 방법으로 바퀴벌레에 직접 약을 분사하여 죽이는 스프레이식과, 바퀴벌레의 접근을 막기 위한 약제를 살포하는 방법, 바퀴벌레가 먹고 죽도록 유인살충제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이러한 살충제나 약제 또는 스프레이를 이용하는 방법은 바퀴벌레를 퇴치할 수는 있으나 완전한 제거는 불가능하며 또한 약제가 살포되는 지역이 주로 사람이 활동하는 지역이므로 인체에 심각한 해를 끼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기감전장치에 의한 바퀴벌레퇴치기에 있어서도 바퀴벌레가 수회 전기쇼크를 경험하게 되면, 얼마 지나지 않아 바퀴벌레는 감전장치의 전극 근방으로 가까이 오려하지 않게 되는데 이것은 수회의 전기쇼크를 경험함으로써 바퀴벌레가 일종의 학습효과를 얻어서 거기에 무언가 위험한 것이 있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터득하여 방어하려고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감전장치에 의하여 바퀴벌레를 퇴치를 할 수는 있지만 이는 감전장치에 접근한 바퀴벌레를 살충하여 퇴치하는 효과만이 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바퀴벌레를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기감전과 자기장을 이용하여 바퀴벌레 및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인정제를 이용하여 본 발명 장치 내부로 바퀴벌레를 유인하여 바퀴벌레를 전기감전으로 감전시켜 죽게 하고, 또한 동시에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여 바퀴벌레 및 해충이 근처에서 서식할 수 없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자기장발생장치정류회로부 2: 동작컨트롤러부
3: 12비트바이너리카운터 4: 14비트바이너리카운터
5: 포토커플러 6: 트라이액
7: 전원 8: 변압기
9: 전기감전장치정류회로부 10: 발진회로부
11: 점화장치 12: 전극판
100: 자기장발생장치 200: 전기감전장치
L: 자기장발생코일 LED: 발광다이오드
SW: 스위치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인가받은 전원을 통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발생장치(100)와 전기감전을 일으키는 전기감전장치(200)로 구성이 된다.
자기장발생장치(100)는 전원(7)을 통하여 입력된 교류를 직류로 바꿔주는 정류회로부(1)와, 동작컨트롤러부(2)와, 자기장발생코일(L)과, 포토커플러(5)와, 트라이액(6)과, 발광다이오드(LED1)로 구성이 된다. 자기장발생장치(100)의 정류회로부(1)는 저항들과 커패시터들과 다이오드들로 구성이 된다. 자기장발생장치(100)의 동작컨트롤러부(2)는 12비트바이너리카운터(3)와 14비트바이너리카운터(4)와 저항들과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로 구성이 된다.
전기감전장치(200)는 변압기(8)와, 정류회로부(9)와, 발진회로부(10)와, 스위치(SW)와, 발광다이오드(LED 2, LED 3)와, 전극판(12a, 12b)으로 구성이 된다. 전기감전장치(200)의 변압기(8)는 1차측은 전원(7)의 입력전압 AC 220 또는 AC110 [V]에 연결되고 2차측은 정류회로부(9)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입력전압 AC 220 또는 AC 110 [V]를 AC 12 [V]로 변환하도록 구성을 한다. 전기감전장치(200)의 정류회로부(9)는 변압기(8)의 2차측에 연결되어 있는 다이오드들을 갖는 브리지회로와 브리지회로의 다이오드들과 접지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로 구성이 된다. 전기감전장치(200)의 발진회로부(10)는 슈미트트리거내장형인터버회로와 저항들과 커패시터들과 다이오드로 구성이 된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장발생장치(100)는 전원(7)에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으면 먼저 정류회로부(1)를 거쳐 입력된 전원은 정류가 되어 동작컨트롤러부(2)로 흐르게된다.
12비트바이너리카운터(3)와 발진기를 내장한 14비트바이너리카운터(4)로 구성이 된 동작컨트롤러부(2)의 14비트바이너리카운터(4)에 내장된 발진기의 발진회로는 기본 주파수를 발진시켜 기본 주파수의 1/16로 주파수를 분주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동작컨트롤러부(2)는 자기장을 불규칙하게 발생시켜 해충들이 자기장파에 적응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약 일주일에 한번씩 발진회로의 발진주파수를 변화시켜서 포토커플러IC(5)로 보내어지는 펄스데이터의 시간을 바꾸어 주도록 하여 온상태와 오프상태를 계속 반복하되 불규칙하게 반복되도록 동작을 한다. 예를 들면 첫 번째 온과 오프동작을 2분 유지하고 온상태를 1분 유지한 다음, 두 번째 온과 오프동작을 1분 유지하고 온상태를 3분 유지한 다음, 세 번째 온과 오프동작을 6분 유지하고 온상태를 2분 유지하는 형식으로 불규칙한 자기장 발생을 통하여 해충들이 자기장에 적응하지 못하도록 하고 자기장에 의한 해충퇴치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동작컨트롤러부(2)에는 발광다이오드(LED 1)가 연결이 되는데 이는 자기장의 발생여부를 표시해주는 것으로서 자기장이 발생하는 동안 상기 발광다이오드(LED 1)는 주기적으로 깜박거리게 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LED 1)는 해충퇴치장치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가 쉽게 자기장의 발생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동작컨트롤러부(2)를 거쳐 분주되어 출력되는 펄스에 의하여 포토커플러IC(5)가 동작하게 되며 상기 포토커플러IC(5)는 트라이액(6)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포토커플러IC(5)에서 나온 펄스신호를 트라이액(6)의 게이트단에 공급하게 되고 포토커플러(5)가 온과 오프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트라이액(6)도 온과 오프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트라이액(6)의 A1에 코일을 통하여 전원라인의 한쪽에 연결하고 A2는 다른 전원라인에 바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토커플러(5)가 온과 오프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온과 오프동작을 반복하는 트라이액(6)에 의하여 트라이액(6)이 온상태가 되었을 때 자기장발생코일(L)에 전류가 공급되어져 상기 자기장발생코일(L)에 자기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때 자기장발생코일(L)에 자기장이 발생하게 되면 전원라인에도 발생한 자기장이 실리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해충은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자기장이 발생하는 주변지역에 서식하지 못하게 되고 주변에 있던 해충을 퇴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자기장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불규칙적인 시간으로 발생을 하기 때문에 해충들이 학습효과를 얻을 수가 없으며 이로 인해 주변의 해충들의 서식을 막을 수가 있는 것이다.
전기감전장치(200)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선(7)을 통하여 인가된 전원은 변압기(8)를 거치면서 전압이 AC220 또는 AC110 [V]에서 AC 12[V]로 변환이 된다. 변환된 AC 12 [V]는 브리지정류회로로 구성된 정류회로부(9)를 거쳐 직류전압으로 정류가 되고 변화된 직류전압 12 [V]는 전기감전장치(200) 내부에 인가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정류회로부(9)에는 녹색의 발광다이오드(LED 2)가 연결되어 전기감전장치(200)에 전원이 인가된 경우에는 계속하여 발광하여 사용자가 전기감전장치(200)에 전원(7)이 인가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정류회로부(9)에 스위치(SW)를 연결하고 상기 스위치(SW)는 본 발명의 외부 장치의 덮개와 본체사이에 연결이 되어 덮개를 열게되면 스위치(SW)는 개방되어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덮개를 열고 유인정제를 양 전극판(12a, 12b) 사이에 넣을 시에 스위치(SW)가 개방되어 감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한다. 양 전극판(12a, 12b) 사이에 유인정제를 넣은 후에 덮개를 닫게되면 스위치(SW)는 다시 단락이 되어 전원(7)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하는 유인정제는 인체에는 무해하며, 바퀴벌레가 쉽게 유인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토록 한다.
직류전압 12 [V]로 변환이 된 전압은 발진회로부(10)로 공급되고, 상기 발진회로부(10)에서는 점화장치(11)의 온,오프 시간을 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발진회로부(10)는 본 실시예에서는 슈미트트리거내장형인버터회로를 이용하여 구성을 하였다.
상기 발진회로부(10)를 거쳐 점화장치가 구동됨으로서 전기가 통하는 2개의 전극판(12a, 12b)을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게 나란히 배치시킨 다음 두 전극판(12a, 12b)을 점화장치(11)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한다. 이때 발진회로부(10)와 점화장치 (11)사이에는 발광다이오드(LED 3)가 연결되어 발진회로부(10)에서 점화장치(11)로 고전압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발광하여 고전압이 발생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한다.
상기 두 전극판(12a, 12b)의 사이공간에는 바퀴벌레를 유인할 수 있는 유인정제를 놓아 바퀴벌레를 유인한 다음 일정시간에 한번씩 점화장치(11)를 동작시켜 전극판(12a)과 전극판(12b) 사이에 있는 바퀴벌레를 전기감전에 의하여 퇴치시키는 것이다. 전극판(12a, 12b)사이에 놓인 유인정제에 의하여 유인된 바퀴벌레는 유인정제를 먹기 위하여는 양 전극판(12a, 12b)에 걸쳐서 위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때 점화장치(11)를 통하여 고전압이 전극판(12a, 12b)으로 인가되면 양 전극판(12a, 12b)에 걸쳐있던 바퀴벌레는 전극판(12a, 12b)을 단락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전기감전장치(200)를 폐회로로 형성하게 되어 감전되어 죽게되는 것이다.
본 발명 해충퇴치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자기장을 발생시켜 주위의 해충이나 쥐 등에게 스트레스를 주게 되어 주변 지역에서 서식하는 것을 막게 되는 이점이 있으며, 동시에 전기감전장치를 구비함으로서 바퀴벌레를 직접 죽여 퇴치시킨다는 이점이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본 장치는 인체에 유해한 약품을 사용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가정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가정용 일반 전원을 사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두기만 하면 되므로 가정에서 장기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해충퇴치장치에 있어서, 정류회로부(1)와 동작컨트롤러부(2)와 포토커플러(5)와 트라이액(6)과 자기장발생코일(L)과 발광다이오드(LED 1)로 구성되어 시간적으로 불규칙하게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발생장치(100)와, 변압기(8)와 정류회로부(9)와 스위치(SW)와 발진회로부(10)와 발광다이오드(LED 2, LED 3)와 점화장치(11)와 전극판(12a, 12b)으로 구성되는 전기감전장치(200)를 같은 전원(7)의 입력단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자기장에 의한 해충퇴치와 전기감전에 의한 해충 퇴치를 동시에 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퇴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자기장발생장치(100)는 전원(7)과 연결되어 저항들과 커패시터들과 다이오드들로 이루어져 입력전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주는 정류회로부(1)와, 정류회로부(1)와 연결되어 12비트바이너리카운터(3)와 발진기를 내장한 14비트바이너리카운터(4)와 저항과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로 이루어져 기본주파수를 발진시켜 분주하고 발진주파수를 변화시켜 포토커플러(5)로 보내어지는 펄스데이타의 시간을 변화시켜주는 동작컨트롤러부(2)와, 동작컨트롤러부(2)에 연결되어 동작컨트롤러부(2)에서 분주되어 출력되는 펄스에 의해 동작하는 포토커플러(5)와, 포토커플러(5)에 연결되어 포토커플러(5)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서 동작하는 트라이액(6)과, 트라이액(6)에 연결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발생코일(L)과, 동작컨트롤러부(2)에 연결되어 자지장 발생시 주기적으로 깜박거려 자기장발생을 외부에 알려주는 발광다이오드(LED 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퇴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전기감전장치(200)는 입력전압 AC 220 V 또는 AC 110 V 를 AC 12 V로 변환시키는 변압기(8)와, 변압기(8)에 연결되어 변환된 AC 12 V는 직류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회로부(9)와, 정류회로부(9)에 연결되어 전원(7)이 인가된 경우에는 발광하여 전기감전장치(200)에 전원이 인가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발광다이오드(LED 2)와, 정류회로부(9)에 연결되어 온,오프에 따라서 발진회로부(10)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인가되지 않도록 하는 스위치(SW)와, 점화장치(11)의 온,오프 시간을 정하는 역할을 발진회로부(10)와, 발진회로부(10)에 의하여 구동되는 점화장치(11)와, 발진회로부(10)와 점화장치(11) 사이에 연결되어 점화장치(11)에 고전압이 발생한 경우에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LED 3)와, 점화장치(11)의 두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두 전극판(12a, 12b)으로 구성되는 전기감전장치.
KR1019990067960A 1999-12-31 1999-12-31 해충 퇴치기 KR20010059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960A KR20010059965A (ko) 1999-12-31 1999-12-31 해충 퇴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960A KR20010059965A (ko) 1999-12-31 1999-12-31 해충 퇴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965A true KR20010059965A (ko) 2001-07-06

Family

ID=1963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960A KR20010059965A (ko) 1999-12-31 1999-12-31 해충 퇴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99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57250B2 (ja) 昆虫の電子的捕獲
US5205064A (en) Device for attracting and destroying insects
US4471561A (en) Insect eradicator
KR100929245B1 (ko)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해충퇴치기
AU582041B2 (en) Roach electrocution trap
WO2023219358A1 (ko) 휴대용 해충 퇴치기
CN109788749B (zh) 配备安全开关结构的电子害虫杀灭器
KR20010059965A (ko) 해충 퇴치기
KR101822098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살충 소음이 최소화된 휴대용 해충 기피 및 유인 살충기
CN201018865Y (zh) 一种具有驱虫功能的厨房家电
US10004219B1 (en) Insect repellent
GB2420957A (en) Apparatus for attracting and killing flying insects
KR101815114B1 (ko) 휴대용 엘이디 유인 전격 해충 살충기
KR101175480B1 (ko) 해충박멸수를 표시하는 전자살충기
KR101786814B1 (ko) 엘이디로 유인하여 살충시키는 휴대용 저소음 전격 살충기
KR200303179Y1 (ko) 전자장 인디케이터가 구비된 해충퇴치기
KR200221499Y1 (ko) 해충퇴치기
KR102330950B1 (ko) 조명장치 부착형 해충퇴치장치
KR200375240Y1 (ko) 전기를 이용한 휴대용 모기 및 해충퇴치기
RU201395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ничтожения вредных насекомых
JPS6025763Y2 (ja) 超音波防虫器付屋外灯
KR200201026Y1 (ko) 해충 퇴치기
JPH0719264Y2 (ja) 電撃殺虫器
CN217364416U (zh) 一种组合式物理驱蚊器
CN215648902U (zh) 气味诱捕的灭蚊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