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7362A -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7362A
KR20010057362A KR1019990060268A KR19990060268A KR20010057362A KR 20010057362 A KR20010057362 A KR 20010057362A KR 1019990060268 A KR1019990060268 A KR 1019990060268A KR 19990060268 A KR19990060268 A KR 19990060268A KR 20010057362 A KR20010057362 A KR 20010057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outer cylinder
cap
clip
kn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0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원
Original Assignee
김충경
동아연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경, 동아연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충경
Priority to KR1019990060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7362A/ko
Publication of KR20010057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736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placed on the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8Clips combined with means for propelling, projecting or retracting the writing unit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옷에 꽂으면 자동으로 팁이 은폐되어 잉크에 의한 옷의 오염 및 얼룩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통과, 외통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팁이 설치되는 필기심과, 외통에 조립되고 필기심의 팁이 내부에 위치하는 캡과, 캡과 필기심 사이에 설치되고 필기심에 힘을 가하는 제1탄성부재와, 외통과 필기심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누름부재와, 캡의 반대쪽에서 외통에 조립되는 클립과, 클립과 필기심 사이에 설치되고 누름부재가 1회째 전진하면 팁이 노출된 필기상태를 유지시키고 2회째 전진하면 필기심이 후진하여 팁이 은폐되는 해제상태로 되며 필기상태에서 클립을 들어올리면 팁이 은폐되는 보관상태로 되는 녹크수단을 포함하는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를 제공한다.
녹크수단은 외통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부재와, 이동부재에 클립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며 제1탄성부재보다 작은 탄성력을 보유한 제2탄성부재와, 외통과 필기심 사이에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부재와, 클립에 형성되고 외통에 형성되는 고리구멍에 삽입되어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작동부재의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 {Side Safety Knock Type Writing Instrument}
본 발명은 필기심의 팁 끝부분이 캡 바깥쪽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옷깃이나 주머니깃 등에 꽂기 위하여 클립을 들어올리면 자동으로 필기심의 팁 끝부분이 캡 안쪽으로 은폐되도록 이루어지는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로는 연필, 볼펜, 싸인펜 등이 있으며, 필기구와 유사한 기구로서 수정액 등을 도포하는 도포구가 알려져 있다.
상기한 필기구는 팁부가 노출된 상태로 외통에 필기심이 고정되고 노출된 팁부를 뚜껑을 사용하여 보호하는 고정식과, 외통에 필기심이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누름부재의 작동에 따라 팁부가 외통 바깥쪽으로 노출되거나 삽입되는 녹크식이 있다.
종래의 녹크식 필기구는 누름부재를 한번 누르면 필기심이 이동하여 팁부가 외통의 바깥쪽으로 노출되고 다시 누름부재를 누르면 필기심이 이동하여 팁부가 외통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한 누름부재가 외통의 팁부 반대쪽 끝부분에 설치되는 일반 녹크식 필기구와 누름부재가 외통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녹크식 필기구로 구분된다.
상기한 녹크식 필기구는 필기심의 아래쪽 끝부분에 팁부의 반대쪽으로 힘을 가하도록 스프링을 설치하고, 누름부재를 한번 누르면 이동된 상태가 유지되고 다시 누르면 복귀하도록 이루어지는 녹크수단을 설치한다.
종래의 측면녹크식 필기구에 있어서는 상기한 녹크수단이 누름부재가 설치된 부분에 연결되어 설치되므로, 외통의 팁부 반대쪽 끝부분에 설치되는 클립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따라서 클립을 이용한 안전녹크장치를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필기심의 팁 끝부분이 캡 바깥쪽으로 노출된 상태로 옷깃이나 주머니깃 등에 꽂아 보관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팁 끝부분의 볼이 옷감에 접촉함에 따라 잉크가 흘러나와 옷을 오염시키거나 얼룩을 발생시킬 우려가 많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기심의 팁 끝부분이 캡 바깥쪽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옷깃이나 주머니깃 등에 클립을 꽂기 위하여 클립을 외통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들어올리면 자동으로 녹크수단이 작동하여 팁 끝부분이 캡 안쪽으로 은폐되는 상태로 변경되어 필기심의 볼이 옷감과 접촉하여 잉크가 유출되는 것에 의하여 옷이 오염되거나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해제 및 보관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이 제안하는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통과, 상기한 외통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내부에는 잉크가 저장되며 한쪽 끝부분에는 필기가 이루어지는 팁이 설치되는 필기심과, 상기한 외통의 한쪽 끝부분에 조립되고 상기한 외통에 삽입된 필기심의 팁이 내부에 위치하는 캡과, 상기한 캡과 필기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한 필기심에 캡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한 외통과 필기심 사이에 상기한 필기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누름부재와, 상기한 캡의 반대쪽에서 상기한 외통에 조립되고 옷에 꽂을 수 있도록 캡쪽으로 길게 고리가 형성되는 클립과, 상기한 클립과 필기심 사이에 설치되고 누름부재가 팁쪽으로 1회째 전진하면 필기심의 팁 끝부분이 캡 바깥쪽으로 노출된 필기상태를 유지시키고 다시 2회째 전진하면 상기한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필기심이 후진하여 필기심의 팁 끝부분이 캡 안쪽으로 완전하게은폐되는 해제상태로 되며 필기상태에서 클립의 고리를 외통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들어올리면 필기심이 클립쪽으로 이동하여 필기심의 팁 끝부분이 캡 안쪽으로 완전하게 은폐되는 보관상태로 되는 녹크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녹크수단은 상기한 외통에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부재와, 상기한 이동부재와 클립 사이에 설치되고 이동부재에 클립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며 상기한 제1탄성부재보다 작은 탄성력을 보유한 제2탄성부재와, 상기한 필기심이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클립쪽으로 이동할 때에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한 외통과 필기심 사이에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클립쪽을 향한 끝면은 상기한 이동부재와 접하는 작동부재와, 상기한 클립의 고리 끝부분에 외통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한 외통에 형성되는 고리구멍에 삽입되어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한 작동부재의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상기한 외통의 내주면에는 상기한 작동부재가 설치되는 부분에 소정의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안쪽으로 돌출하고 한쪽면은 외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통의 중심선에 대하여 평행하며 다른쪽면은 외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지는 경사면인 복수의 안내돌기를 형성하고, 상기한 작동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한 안내돌기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회전돌기를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형성한다.
또 상기한 작동부재의 외주면에는 외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한 회전돌기와 소정의 간격으로 두고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녹크돌기를 형성하고, 상기한 녹크돌기는 상기한 클립의 고리에 형성한 걸림돌기에 교대로 걸리도록 형성한다.
상기한 외통의 클립쪽 내면 일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하나이상의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한 이동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한 안내홈에 각각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나이상의 회전방지돌기를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통(2)과, 상기한 외통(2)의 내부에 삽입되는 필기심(10)과, 상기한 외통(2)의 한쪽 끝부분(4)에 조립되는 캡(20)과, 상기한 캡(20)과 필기심(1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한 필기심(10)에 캡(20)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1탄성부재(26)와, 상기한 외통(2)과 필기심(10) 사이에 상기한 필기심(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누름부재(40)와, 상기한 캡(20)의 반대쪽에서 상기한 외통(2)에 조립되는 클립(30)을 포함한다.
상기한 필기심(10)은 내부에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관(12)과, 상기한 잉크저장관(12)의 한쪽 끝부분에 조립되고 필기가 이루어지며 볼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팁(14)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필기심(1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팁홀더(15)를 이용하여 잉크저장관(12)과 팁(14)을 연결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팁홀더(15)는 한쪽 끝부분은 상기한 팁(14)이 내주면에 삽입되도록 형성하고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한 잉크저장관(12)의 내주면에 삽입되도록 형성하고, 상기한 팁(14)의 외경과 잉크저장관(12)의 내경 사이의 지름차이에 따라 계단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팁홀더(15)를 계단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제1탄성부재(26)가 한쪽 끝부분은 상기한 팁홀더(15)에 걸리고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한 캡(20)에 걸려서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한 필기심(10)의 잉크저장관(12)에는 도 1∼도 2 및 도 4∼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누름부재(40)의 아래쪽 끝부분이 걸리는 하나이상의 고정날개(13)가 외주면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상기한 고정날개(13)는 일부분에 돌출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원주면 전체에 걸쳐서 돌출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팁홀더(15)를 사용하지 않고 팁(14)을 잉크저장관(12)에 직접 조립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제1탄성부재(26)의 한쪽 끝부분이 상기한 고정날개(13)에 걸려서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한 제1탄성부재(26)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탄성부재(26)는 상기한 캡(20)과 필기심(10)의 고정날개(13) 또는 팁홀더(15) 사이에 위치가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한 캡(2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통(2)의 아래쪽 끝부분(4)에 조립되고, 대략 콘(cone)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필기심(10)의 팁(14)이 콘형상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한 캡(20)은 외통(2)의 아래쪽 끝부분(4)에 나사결합으로 조립되거나, 끼워맞춤으로 조립된다.
상기에서 끼워맞춤으로 캡(20)을 외통(2)에 조립하는 경우에는 조리된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하나이상의 돌기를 형성하거나 조립면을 테이퍼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캡(20)은 콘형상 위쪽으로 소정의 길이로 원통부를 형성하여 상기한 제1탄성부재(26) 및 필기심(10)의 아래쪽 부분이 삽입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클립(3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외통(2)의 위쪽 끝부분(6)에 조립되는 몸체(32)와, 상기한 몸체(32)의 한쪽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옷깃이나 주머니깃 등에 꽂을 수 있도록 캡(20)쪽으로 길게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고리(34)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클립(30)은 상기한 캡(20)과 마찬가지로 외통(2)의 위쪽 끝부분(6)에 끼워맞춤으로 조립되거나 나사결합으로 조립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누름부재(40)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누름면(44)이 형성되거나,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이상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누름면(44)이 형성된다.
상기한 누름면(44)은 캡(20)쪽(아래쪽)에서 클립(30)쪽(위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작아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 상기한 누름부재(40)에는 상기한 필기심(10)의 고정날개(13)와 상기한 제1탄성부재(26)의 반대쪽에서 접하는 가압부(42)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외통(2)의 한쪽 옆면에는 상기한 누름부재(40)의 누름면(44)을 밀어서 누름부재(40)를 외통(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버튼(46)이 삽입되는 버튼구멍(5)이 형성된다.
상기한 버튼(46)에는 도 1∼도 2 또는 도 4∼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누름부재(40)의 누름면(44)에 접하는 복수의 누름편(47)을 소정의 길이로 형성한다.
상기한 누름편(47)의 뒤쪽 끝부분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외통(2)의 버튼구멍(5)에 삽입된 다음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돌기(48)를 외통(2)의 버튼구멍(5) 측면이 삽입되는 삽입홈(49)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한다.
또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외통(2)의 버튼구멍(5)에 삽입된 다음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돌기(48)를 상기한 누름편(47)의 아래쪽 끝부분에 돌출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누름편(47)은 필기심(10)의 잉크저장관(12) 외경보다 큰 간격을 두고 양쪽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누름부재(40)와 버튼(46)을 각각 외통(2)에 조립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46)을 누르면, 버튼(46)의 누름편(47)이 누름부재(40)의 누름면(44)을 누르게 되고, 상기한 누름면(44)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므로누름부재(40)는 상기한 캡(2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에서 누름부재(40)의 누름면(44)에 접하는 상기한 버튼(46)의 누름편(47)의 끝면 일부는 누름면(44)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버튼(46)을 누를 때에 가압력이 원활하게 전달되므로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누름편(47)의 길이는 상기한 외통(2)에 조립되었을 때에 상기한 누름부재(40) 누름면(44)의 최대높이보다 중앙으로 더 깊게 삽입되어 누름면(44)이 항상 접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조립된 누름부재(40)의 위치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클립(30)과 필기심(10) 사이에 설치되고 누름부재(40)가 캡(20)쪽으로 1회째 전진하면 필기심(10)의 팁(14) 끝부분이 캡(20) 바깥쪽으로 노출된 필기상태(도 1 참조)를 유지시키고, 상기한 누름부재(40)가 캡(20)쪽으로 다시 2회째 전진하면 상기한 제1탄성부재(26)의 탄성력에 의하여 필기심(10)이 후진하여 필기심(10)의 팁(14) 끝부분이 캡(20) 안쪽으로 완전하게 은폐되는 해제상태(도 3참조)로 되며 필기상태에서 클립(30)의 고리(34)를 외통(2)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들어올리면 필기심(10)이 클립(30)쪽으로 이동하여 필기심(10)의 팁(14) 끝부분이 캡(20) 안쪽으로 완전하게 은폐되는 보관상태(도 3 참조)로 되는 녹크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녹크수단은 상기한 외통(2)에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부재(50)와, 상기한 이동부재(50)와 클립(30) 사이에 설치되고 이동부재(50)에 클립(30)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며 상기한 제1탄성부재(26)보다 작은 탄성력을 보유한 제2탄성부재(27)와, 상기한 필기심(10)이 제1탄성부재(26)의 탄성력에 의하여 클립(30)쪽으로 이동할 때에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한 외통(2)과 필기심(10) 사이에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클립(30)쪽을 향한 끝면은 상기한 이동부재(50)와 접하는 작동부재(60)와, 상기한 클립(30)의 고리(34) 끝부분에 외통(2)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한 외통(2)에 형성되는 고리구멍(8)에 삽입되어 제1탄성부재(26)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한 작동부재(60)의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돌기(36)를 포함한다.
상기한 외통(2)의 내주면에는 상기한 작동부재(60)가 설치되는 부분에 소정의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안쪽으로 돌출하고 한쪽면은 외통(2)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통(2)의 중심선에 대하여 평행한 수직면(68)이고 다른쪽면은 외통(2)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지는 경사면(69)인 복수의 안내돌기(67)를 형성한다.
상기한 작동부재(60)의 외주면에는 상기한 안내돌기(68)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회전돌기(62)를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회전돌기(62)는 상기한 안내돌기(68)와 접하는 미끄럼면(63)을 안내돌기(68)의 경사면(69)과 대략 같은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작동부재(60)의 외주면에는 외통(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한 회전돌기(62)와 소정의 간격으로 두고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녹크돌기(64)를 형성한다.
상기한 녹크돌기(64)는 상기한 클립(30)의 고리(34)에 형성한 걸림돌기(36)에 교대로 걸리도록 형성한다.
상기에서 안내돌기(68)와 회전돌기(62) 및 녹크돌기(64)는 동일한 수로 형성되고, 2∼4개정도를 원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안내돌기(68)는 상기한 작동부재(60)가 1회째 전진한 뒤 후진하면 상기한 녹크돌기(64)가 상기한 걸림돌기(36)에 걸리고, 상기한 작동부재(60)가 2회째 전진한 뒤 후진하면 상기한 녹크돌기(64)가 상기한 걸림돌기(36)에 걸리지 않도록 위치를 설정하여 형성한다.
즉 상기한 안내돌기(68)의 수직면(68)이 상기한 클립(30)의 고리(34)에 형성한 걸림돌기(36)보다 상기한 회전돌기(62) 및 녹크돌기(64)의 회전방향 앞쪽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상기한 녹크돌기(64)는 상기한 걸림돌기(36)에 걸리기 쉽고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걸리는 걸림면(65)을 상기한 걸림돌기(36)쪽으로 경사져 돌출하는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상기한 걸림돌기(36)에는 상기한 녹크돌기(64)의 걸림면(65)이 삽입되도록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외통(2)의 클립(30)쪽 내면 일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하나이상의 안내홈(58)을 형성하고, 상기한 이동부재(50)의 외주면에는 상기한 안내홈(58)에 각각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나이상의 회전방지돌기(52)를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안내홈(58) 및 회전방지돌기(52)는 2∼6개정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이동부재(50) 및 작동부재(60)의 접촉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상기한 안내돌기(67)의 2배에 해당하는 갯수로 서로 맞물리는 삼각형상의 톱니(56), (66)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한 안내홈(58), 안내돌기(57), 회전방지돌기(52), 회전돌기(62), 톱니(56), (66)는 상기한 회전돌기(62)가 안내돌기(57)의 수직면(68)에 접하여 미끄러지는 상태로 상기한 작동부재(60)가 이동할 때에 있어서 항상 작동부재(60)가 안내돌기(57)의 경사면(69)을 따라 회전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한 안내돌기(57)의 수직면(68)과 안내홈(58)의 중심선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한 안내돌기(57)와 안내홈(58)을 형성하고, 상기한 안내홈(58) 및 회전방지돌기(52)의 중심선과 상기한 이동부재(50)의 접촉면에 형성하는 톱니(56)의 오목한 꼭지점이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톱니(56)를 형성하며, 상기한 작동부재(60)의 접촉면에 형성하는 톱니(66)의 돌출한 꼭지점이 상기한 안내돌기(57)의 수직면(68)과 접하는 상기한 회전돌기(62)의 측면보다 회전방향 앞쪽에 위치하도록 톱니(66)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한 회전돌기(62)가 상기한 안내돌기(57)의 수직면(68)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한 이동부재(50)에 형성된 톱니(56)의 오목한 꼭지점과 상기한 작동부재(60)에 형성된 톱니(66)의 돌출한 꼭지점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므로, 상기한 제1탄성부재(26)의 탄성력 및 제2탄성부재(27)의 탄성력이 작용할 때에, 상기한 작동부재(60)에는 톱니(66)의 돌출한 꼭지점과 톱니(56)의 오목한 꼭지점이 밀착되는 상태로 회전시키려는 힘이 작용한다.
상기한 작동부재(6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필기심(10)의 위쪽 끝부분이 삽입되고 외주면에는 상기한 녹크돌기(64)와 회전돌기(62)가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심삽입부(70)와, 상기한 심삽입부(70)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한 필기심(10)의 위쪽 끝면이 접하여 지지되고 외주면에는 상기한 톱니(66)가 형성되는 톱니부(72)로 구성한다.
상기한 이동부재(5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제2탄성부재(27)가 지지되도록 한쪽 옆면이 폐쇄되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한 회전방지돌기(52)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작동부재(60)의 톱니부(72)를 톱니(66)가 형성된 부분 위쪽으로 상기한 이동부재(27)에 삽입되도록 돌출시키는 것이, 이동부재(50)와 작동부재(60)의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다.
또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작동부재(60)를 상기한 필기심(10)에 삽입되는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한 이동부재(50)에 상기한 필기심(10)의 위쪽 끝부분이 삽입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필기심(10)에는 상기한 작동부재(60)를 지지하고 상기한 제1탄성부재(26)의 탄성력이 필기심(10)에 작용할 때 이를 작동부재(60)에 전달하기 위한 지지돌기(17)를 형성한다.
상기한 지지돌기(17)는 복수의 돌기를 필기심(10)이 외주면에 돌출시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시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부재(60)와 이동부재(50)를 형성하면 상기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부재(60)와 이동부재(50)를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필기심(10)의 길이를 길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잉크의 저장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버튼(46)을 누르면, 버튼(46)의 누름편(47)이 경사면인 누름부재(40)의 누름면(44)을 누름에 따라, 누름부재(40)가 캡(20)이 조립된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한 필기심(10)이 제1탄성부재(26)의 탄성력을 이기고 캡(20)쪽으로 이동하고, 필기심(10)의 팁(14) 끝부분이 캡(20) 바깥쪽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한 필기심(10)의 통하여 상기한 작동부재(60)와 이동부재(50)에 전달되는 상기한 제1탄성부재(26)의 탄성력은 해제되고, 상기한 작동부재(60)와 이동부재(50)에는 상기한 제2탄성부재(27)의 탄성력만이 작용하므로, 상기한 작동부재(60) 및 이동부재(50)는 상기한 제2탄성부재(27)의 탄성력에 의하여 캡(20)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한 작동부재(20)는 회전돌기(62)가 상기한 외통(2)에 형성된 안내돌기(67)의 수직면(68)에 접하여 미끄러짐에 따라 외통(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한 이동부재(50)는 회전방지돌기(52)가 상기한 외통(2)에 형성된 안내홈(58)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외통(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계속하여 버튼(46)을 누르는 상태에서 상기한 작동부재(60)의 회전돌기(62)가 안내돌기(67)의 수직면(68) 끝부분을 벗어난 뒤 버튼(46)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한 이동부재(50) 및 작동부재(60)의 톱니(56), (66) 한쪽면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상기한 작동부재(60)에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상태이므로, 상기한 작동부재(60)가 회전하면서 상기한 작동부재(60)의 회전돌기(62)가 안내돌기(67)의 수직면(68) 꼭지점을 타넘어가고, 상기한 회전돌기(62)는 안내돌기(67)의 경사면(69)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작동부재(60)는 회전돌기(62)가 안내돌기(67)의 경사면(69)을 따라 이동하므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또 상기한 필기심(10)을 통하여 제1탄성부재(26)의 탄성력이 상기한 작동부재(60)에 전달되어 상기한 작동부재(60)는 회전하면서 클립(30)쪽으로 이동하고, 클립(30)의 고리(34)에 형성된 걸림돌기(36)가 작동부재(60)에 형성된 녹크돌기(64)보다 회전방향 뒤쪽에 위치하므로, 녹크돌기(64)가 클립(30)의 걸림돌기(36)에 걸리게 된다.
이 때 상기한 작동부재(60)의 톱니(66)가 이동부재(50)의 톱니(56)를 한칸 넘어가고, 녹크돌기(64)가 걸림돌기(36)에 걸리면 상기한 톱니(66)의 돌출한 꼭지점과 톱니(56)의 오목한 꼭지점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이 녹크돌기(64)가 걸림돌기(36)에 걸리면, 상기한 작동부재(60)의 회전 및 이동이 정지되고, 작동부재(60)에 접한 필기심(10)의 이동도 정지되며, 필기심(10)의 팁(14) 끝부분이 캡(20) 바깥쪽으로 노출된 필기상태(도 1 및 도 5 참조)가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필기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46)을 다시 누르면, 버튼(46)의 누름편(47)이 경사면인 누름부재(40)의 누름면(44)을 누름에 따라, 누름부재(40)가 캡(20)이 조립된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필기심(10)이 제1탄성부재(26)의 탄성력을 이기고 캡(20)쪽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필기심(10)이 이동하면, 상기한 작동부재(60) 및 이동부재(50)에는 상기한 제2탄성부재(27)의 탄성력만이 작용하여 상기한 이동부재(50) 및 작동부재(60)는 필기심(10)을 따라 캡(20)쪽으로 이동하고, 작동부재(60)의 녹크돌기(64)가 클립(30)의 걸림돌기(36)에 걸린 상태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녹크돌기(64)가 걸림돌기(36)로부터 벗어난 뒤 버튼(46)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한 필기심(10)에는 제1탄성부재(26)의 탄성력이 작용하고 상기한 이동부재(50)에는 제2탄성부재(27)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상태이며, 상기한 제1탄성부재(26)의 탄성력이 제2탄성부재(27)의 탄성력보다 크므로 상기한 필기심(10)이 클립(30)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상기에서 녹크돌(64)가 걸림돌기(36)로부터 벗어나면, 상기한 이동부재(50) 및 작동부재(60)의 톱니(56), (66) 한쪽면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상기한 작동부재(60)에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상태이므로, 상기한 작동부재(60)가 회전하면서 녹크돌기(64)가 상기한 걸림돌기(36)가 위치하는 부분을 벗어난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이 필기심(10)이 클립(30)쪽으로 이동하면, 이에 따라 상기한 작동부재(60)와 이동부재(60)가 이동하고, 상기한 작동부재(60)는 회전돌기(62)가 외통(2)에 형성된 안내돌기(67)의 경사면(69)에 접한 상태이므로 경사면(69)을 따라 회전한다.
이 때 상기한 작동부재(60)의 톱니(66)가 이동부재(50)의 톱니(56)를 한칸 넘어가고, 회전돌기(62)가 안내돌기(67) 경사면(69)의 위쪽(클립쪽) 끝부분에 위치하면 상기한 톱니(66)의 돌출한 꼭지점과 톱니(56)의 오목한 꼭지점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
또 상기와 같이 필기심(10)이 클립(30)쪽으로 이동하여 캡(20) 바깥쪽으로 노출된 필기심(10)의 팁(14) 끝부분이 캡(20) 안쪽으로 완전하게 은폐되는 해제상태(도 3 참조)에서 이동이 정지된다.
본 발명에 다른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에 있어서는 상기한 버튼(46)을 누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한 필기상태(도 1 및 도 5 참조)와 해제상태(도 3 참조)가 반복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필기상태(도 1 및 도 5 참조)에서 녹크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깜박 잊고 옷깃이나 주머니깃 등에 클립(30)을 꽂기 위하여 고리(34)를 외통(2)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들어올리면, 상기한 클립(30)의 고리(34)에 형성된 걸림돌기(36)가 상기한 작동부재(60)의 녹크돌기(64)가 걸린 상태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상기한 제1탄성부재(10)의 탄성력이 필기심(10)을 통하여 전달되므로 상기한 작동부재(60) 및 이동부재(50)는 상기한 해제상태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해제상태와 동일한 보관상태(도 3 참조)로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를 측면녹크식 필기구에 적용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일반 녹크식 필기구에도 응용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볼펜 이외의 필기구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에 의하면, 측면녹크식 필기구에 있어서도 필기심의 팁이 캡 바깥쪽으로 노출된 필기상태에서 옷깃이나 주머니깃 등에 꽂기 위하여 클립을 들어올리면 자동으로 필기심의 팁이 캡 안쪽으로 완전하게 은폐되는 보관상태로 되므로, 팁과 옷감이 접촉함에 따라 잉크가 유출되어 옷을 오염시키거나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다른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에 의하면, 종래 측면녹크식 필기구에 있어서 버튼 앞쪽(캡쪽)으로 위치하는 작동부재와 이동부재를 버튼 뒤쪽(클립쪽)으로 변경시켜 위치시키므로, 버튼을 캡쪽에 근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필기시에 엄지를 이용하여 녹크작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버튼이 필기를 위하여 필기구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 위쪽으로 위치하므로 녹크작동을위하여 필기구의 잡은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종래 측면녹크식 필기구에 비하여 녹크작동이 매우 편리하다.

Claims (7)

  1.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통과,
    상기한 외통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내부에는 잉크가 저장되며 한쪽 끝부분에는 필기가 이루어지는 팁이 설치되는 필기심과,
    상기한 외통의 한쪽에 조립되고 필기심의 팁이 내부에 위치하는 캡과,
    상기한 캡과 필기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한 필기심에 캡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한 외통과 필기심 사이에 상기한 필기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며 캡쪽으로 이동할 때에 필기심에 힘을 가하도록 설치되는 누름부재와,
    상기한 캡의 반대쪽에서 상기한 외통에 조립되고 캡쪽으로 길게 소정의 길이로 고리가 형성되는 클립과,
    상기한 클립과 필기심 사이에 설치되고 누름부재가 캡쪽으로 1회째 전진하면 필기심의 팁 끝부분이 캡 바깥쪽으로 노출된 필기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한 누름부재가 캡쪽으로 다시 2회째 전진하면 상기한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필기심이 후진하여 필기심의 팁 끝부분이 캡 안쪽으로 완전하게 은폐되는 해제상태로 되며 필기상태에서 클립의 고리를 외통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들어올리면 필기심이 클립쪽으로 이동하여 필기심의 팁 끝부분이 캡 안쪽으로 완전하게 은폐되는 보관상태로 되는 녹크수단을 포함하는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누름부재에는 하나 또는 2개이상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누름면을 형성하고,
    상기한 누름부재의 누름면에 접하는 복수의 누름편과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한 누름부재의 누름면을 밀어서 누름부재를 캡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한 외통의 한쪽 옆면에 형성하는 버튼구멍에 삽입되는 버튼을 더 포함하는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녹크수단은 상기한 외통에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부재와,
    상기한 이동부재와 클립 사이에 설치되고 이동부재에 클립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며 상기한 제1탄성부재보다 작은 탄성력을 보유한 제2탄성부재와,
    상기한 필기심이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클립쪽으로 이동할 때에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한 외통과 필기심 사이에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클립쪽을 향한 끝면은 상기한 이동부재와 접하는 작동부재와,
    상기한 클립의 고리 끝부분에 외통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한 외통에 형성되는 고리구멍에 삽입되어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한 작동부재의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통의 내주면에는 상기한 작동부재가 설치되는 부분에 소정의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안쪽으로 돌출하고 한쪽면은 외통의 길이방향을따라 외통의 중심선에 대하여 평행한 수직면이고 다른쪽면은 외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지는 경사면인 복수의 안내돌기를 형성하고,
    상기한 작동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한 안내돌기를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회전돌기를 상기한 안내돌기와 동일한 수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외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한 회전돌기와 소정의 간격으로 두고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상기한 클립의 고리에 형성한 걸림돌기에 걸리는 복수의 녹크돌기를 형성하며,
    상기한 안내돌기의 수직면을 상기한 클립의 고리에 형성한 걸림돌기보다 상기한 회전돌기 및 녹크돌기의 회전방향 앞쪽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며,
    상기한 외통의 클립쪽 내면 일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하나이상의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한 이동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한 안내홈에 각각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나이상의 회전방지돌기를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하며,
    상기한 이동부재 및 작동부재의 접촉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상기한 안내돌기의 2배에 해당하는 갯수로 서로 맞물리는 삼각형상의 톱니를 각각 형성하는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안내돌기의 수직면과 안내홈의 중심선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한 안내돌기와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한 안내홈 및 회전방지돌기의 중심선과 톱니의 오목한 꼭지점이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한 이동부재에 톱니를 형성하며,
    돌출한 꼭지점이 상기한 안내돌기의 수직면과 접하는 상기한 회전돌기의 측면보다 회전방향 앞쪽에 위치하도록 상기한 작동부재에 톱니를 형성하는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부재는 상기한 필기심의 위쪽 끝부분이 삽입되고 외주면에는 상기한 녹크돌기와 회전돌기가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심삽입부와 상기한 심삽입부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한 필기심의 위쪽 끝면이 접하여 지지되고 외주면에는 톱니가 형성되는 톱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이동부재는 상기한 제2탄성부재가 지지되도록 한쪽 옆면이 폐쇄되는 통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한 작동부재의 톱니부를 톱니가 형성된 부분 위쪽으로 상기한 이동부재에 삽입되도록 돌출시키는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부재는 상기한 필기심이 삽입되는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한 이동부재는 상기한 필기심의 위쪽 끝부분이 삽입되면서 상기한 제2탄성부재가 지지되도록 한쪽 옆면이 폐쇄되는 통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한 필기심에는 상기한 작동부재를 지지하고 상기한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작동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지지돌기를 형성하는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
KR1019990060268A 1999-12-22 1999-12-22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 KR20010057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268A KR20010057362A (ko) 1999-12-22 1999-12-22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0268A KR20010057362A (ko) 1999-12-22 1999-12-22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362A true KR20010057362A (ko) 2001-07-04

Family

ID=1962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0268A KR20010057362A (ko) 1999-12-22 1999-12-22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73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0962A1 (en) * 2004-12-31 2006-07-06 Morris Corporation Safety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CN114683743A (zh) * 2020-12-25 2022-07-01 青岛点石文具用品有限公司 按压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0962A1 (en) * 2004-12-31 2006-07-06 Morris Corporation Safety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CN100439125C (zh) * 2004-12-31 2008-12-03 莫里斯公司 安全触碰式书写器
CN114683743A (zh) * 2020-12-25 2022-07-01 青岛点石文具用品有限公司 按压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6022B1 (ko) 안전녹크식 필기구
KR20010057362A (ko) 측면안전녹크식 필기구
JP4906625B2 (ja) ノック式筆記具
JPH0761758B2 (ja) 筆記用具の回転出没装置
JP2008155508A (ja) 多芯筆記具
KR100361071B1 (ko) 안전녹크식 필기구
KR20010091787A (ko) 안전녹크식 필기구
JP3837916B2 (ja) 後端ノック式筆記具
JPS6111175A (ja) 塗布具
KR200225436Y1 (ko) 심회전식 필기구
JPH0231061Y2 (ko)
KR200228954Y1 (ko) 안전녹크식 필기구
JPH053356Y2 (ko)
JPH0335594Y2 (ko)
JPS6217264Y2 (ko)
JP2585314Y2 (ja) 棒状物繰り出し機構
KR890004778Y1 (ko) 필기구
JPS5913096Y2 (ja) 筆記具の芯の保護パイプ
JPH0615731Y2 (ja) 筆記又は塗布具
KR20010055642A (ko) 안전녹크식 필기구
KR20010068763A (ko) 녹크식 필기구
JPH0432306Y2 (ko)
KR200214559Y1 (ko) 심회전식 필기구
JPS6226229Y2 (ko)
JPH0615742Y2 (ja) 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