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5855A -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 스큐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 스큐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5855A
KR20010055855A KR1019990057175A KR19990057175A KR20010055855A KR 20010055855 A KR20010055855 A KR 20010055855A KR 1019990057175 A KR1019990057175 A KR 1019990057175A KR 19990057175 A KR19990057175 A KR 19990057175A KR 20010055855 A KR20010055855 A KR 20010055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up
guide shaft
adjusting
pickup guide
sk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성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57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5855A/ko
Publication of KR20010055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85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7Arrangements for mechanically moving the whole head
    • G11B7/08582Sled-type positioners

Landscapes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 스큐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픽업베이스(20)상의 체결대(35)에 회전가능하게 조정구(30)가 설치되고, 상기 조정구(30)에는 나선형으로 캠홈(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정구(30)의 캠홈(32)에 상기 픽업(5)의 이동을 안내하는 픽업가이드축(25)의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이때, 상기 픽업가이드축(25)은 그 단부가 상기 캠홈(32)의 조정구간(ad)에 죔새를 가지고 압입된다. 따라서 픽업(5)의 스큐조절은 상기 캠홈(32)의 경사에 의한 높이차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픽업가이드축(25)의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경향은 상기 캠홈(32)의 상면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정구(30)의 캠홈(32)만으로 상기 픽업가이드축(25)을 이용한 스큐조절과 설치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 스큐조절장치{pickup skew adjusting apparatus for disk driver}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픽업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픽업가이드축의 단부 높이조를 조절하여 픽업의 스큐를 조절하는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스큐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베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픽업베이스(1) 상에는 디스크(D)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모터(2)가 설치되고, 상기 스핀들모터(2)에는 상기 디스크(D)가 안착되는 턴테이블(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D)의 신호기록면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독취하기 위한 광픽업(5)이 픽업가이드축(6,6')에 의해 상기 디스크(D)의 반경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광픽업(5)의 일측에는 피드가이드(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드가이드(7)는 상기 픽업베이스(1) 상에 설치되어 있는 슬레드모터(8)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스크류(9)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광픽업(5)이 상기 픽업가이드축(6,6')을 따라 이동되게 한다.
한편, 상기 픽업가이드축(6,6')을 픽업베이스(1) 상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은다음과 같다. 상기 픽업베이스(1) 상에 몰드물인 안내대(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대(10)는 상기 픽업가이드축(6,6')의 설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부로는 상기 픽업가이드축(6,6')의 상측에 놓여지는 스토퍼(11)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11)의 하면과 상기 픽업가이드축(6,6')의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G)이 있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픽업가이드축(6,6')의 끝부분은 조절구(13)에 의해 지지되는데, 상기 조절구(13)는 상기 픽업가이드축(6,6')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조절구(13)는 픽업가이드(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픽업가이드축(6,6')이 지지되는 지지면(14)은 캠면을 이루어 상기 조절구(13)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픽업가이드축(6,6')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된다.
한편, 상기 픽업가이드축(6,6)의 상부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스프링(15)이 사용된다. 상기 스프링(15)는 상기 픽업베이스(1)의 일측에 지지되고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픽업가이드축(6,6')의 상단부를 그 탄성력으로 눌러주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픽업가이드(1)는 일반적으로 메인베이스(도시되지 않음) 상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D)가 안착되는 트레이(도시되지 않음)의 이동과 간섭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종래에는 상기 픽업가이드축(6,6')은 상기 조절구(13)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스토퍼(11)와의 간격(G)의 없어질 때까지, 그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였다. 또한, 상기 스토퍼(11)는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상기 픽업가이드축(6,6')이 안내대(10)로부터 탈거되어 제위치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픽업가이드축(6,6')의 일단부를 지지하면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구(13)와 스프링(15)을 사용한다. 다시 말해 상기 조절구(13)와 스프링(15)을 각각 설치하여 이들이 서로 협력하여 픽업가이드축(6,6')의 고정 및 높이조절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여러개의 부품을 사용하게 되면 각각의 부품이 제조시부터 가지고 있던 공차와 조립시에 발생하는 조립공차 등에 누적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픽업가이드축(6,6')을 지지하는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부품의 수가 많아지게 되면 제조원가가 높아지고 제조공정의 조립공수가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픽업가이드축의 조절과 지지를 위한 구성을 보다 간단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 스큐조절장치가 구비된 픽업베이스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 스큐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조정구의 형상을 보인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조정구의 좌측면도.
도 4c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조정구의 우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픽업베이스 2: 스핀들모터
3: 턴테이블 5: 광픽업
6,6': 픽업가이드축 8: 슬레드모터
9: 리드스크류 10: 안내대
13: 조절구 14: 지지면
20: 픽업베이스 25: 픽업가이드축
28: 좌우가이드보스 30: 조정구
32: 캠홈 35: 체결대
ad: 조정구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픽업베이스 상에서 광픽업을 가이드하는 픽업가이드축과, 상기 픽업가이드축의 설치 높이를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픽업가이드축의 상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캠부를 구비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캠부는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캠홈으로, 그 스큐조정구간에서는 상기 픽업가이드축과 캠홈 사이에 죔새(interference)가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픽업베이스 상에 원터치식으로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스큐 조절장치에 의하면 픽업의 스큐조절을 위한 구성이 간단하게 되고 그 장착이 간단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원용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픽업베이스(20)의 일측에는 픽업(5)의 이동을 위한 픽업가이드축(25)이 설치된다. 상기 픽업가이드축(25)은 상기 픽업베이스(20)의 양단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픽업베이스(20)의 일측에는 상기 픽업가이드축(25)의 좌우방향 유동을 규제하기 위한 좌우가이드보스(28)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픽업가이드축(25)의 일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 상기 픽업베이스(20)에 구비된다. 즉, 상기 픽업베이스(20) 상에 대략 원통상의 조정구(30)가 설치된다. 상기 조정구(30)의 형상은 도 4a,4b,4c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정구(30)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상으로 캠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홈(23)은 도 4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입구부(33)가 상기 조정구(30)의 하단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캠홈(23)의 구간 중 일부에는 픽업의 스큐를 조절하기 위한 조정구간(ad)이 구비되는데, 상기 조정구간(ad)은 상기 입구부(33)에서 약 180도 정도 회전된 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캠홈(23)중 픽업의 스큐를 조절하기 위한 조정구간(ad)의 폭은 상기 픽업가이드축(25)의 지름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픽업가이드축(25)이 조정구간(ad)에서는 상기 캠홈(23)에 죔새(interference)가 있도록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조정구(30)의 상면에는 조절홈(34)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조정구(30)를 돌려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조정구(30)는 상기 픽업베이스(20)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대(35)에 원터치식으로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원터식방식은 상기 체결대(35)와 조정구(30)의 대응하는 부분에 탄성을 가지는 구조를 형성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정구(30)는 체결대(3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물론 본 발명에서 상기 조정구(30) 자체에 원터치식으로 체결할 수 있는 구성을 형성하여 직접 픽업베이스(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정구(20)는 회전되면서 스큐를 조절할 때 소정의 토오크가 발생하도록 상기 픽업베이스(20)에 경압입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 스큐조절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스큐조절장치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하면, 상기 픽업가이드축(25)의 단부를 상기 입구부(33)를 통해 상기 캠홈(32)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조정구(30)를 180도 회전시켜 상기 픽업가이드축(25)이 스큐의 조절을 위한 조정구간(ad)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픽업가이드축(25)의 조립이 완성된다.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조정구(30)를 약간씩 회전시키면서 상기 픽업가이드축(25)을 조절하여 스큐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정구간(ad)에 삽입되어 있는 픽업가이드축(25)은 죔새를 가지고 끼워진 상태이므로, 상기 캠홈(32)의 상측면에 의해 상기 픽업가이드축(25)의 상면이 어느 정도의 탄성으로 눌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캠홈(32)의 조정구간(ad) 내에서 상기 픽업가이드축(25)이 이동되면서 픽업가이드축(25)의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캠홈(32)의 상면에 의해 픽업가이드축(25)이 눌러지면서 상부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상기 픽업가이드축(25)이 안정되게 설치되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 스큐조절장치는 조정구의 캠홈만으로 픽업가이드축의 위치설정 및 상부로의 유동방지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픽업가이드축을 설치하고 픽업의 스큐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으로 제품의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조립공차가 최소화되어 스큐조절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픽업베이스 상에서 광픽업을 가이드하는 픽업가이드축과,
    상기 픽업가이드축의 설치 높이를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픽업가이드축의 상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캠부를 구비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스큐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캠홈으로, 그 스큐조정구간에서는 상기 픽업가이드축과 캠홈 사이에 죔새(interference)가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스큐 조절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픽업베이스 상에 원터치식으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스큐조절장치.
KR1019990057175A 1999-12-13 1999-12-13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 스큐조절장치 KR20010055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175A KR20010055855A (ko) 1999-12-13 1999-12-13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 스큐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175A KR20010055855A (ko) 1999-12-13 1999-12-13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 스큐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855A true KR20010055855A (ko) 2001-07-04

Family

ID=1962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175A KR20010055855A (ko) 1999-12-13 1999-12-13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 스큐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58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316A (ko) * 2002-05-27 2003-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의 스큐조정장치
KR100449705B1 (ko) * 2001-09-08 2004-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 조정장치
KR100728012B1 (ko) * 2005-11-10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틸트 보상 방법 및 틸트 보상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705B1 (ko) * 2001-09-08 2004-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 조정장치
KR20030091316A (ko) * 2002-05-27 2003-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의 스큐조정장치
KR100728012B1 (ko) * 2005-11-10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틸트 보상 방법 및 틸트 보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9755A (en) Pickup adjusting apparatus of an optical disk player
JPS642293Y2 (ko)
US6636473B1 (en) Optical disc unit having guide shaft for guiding optical pickup
KR100276589B1 (ko) 회전헤드드럼장치
JP2569957B2 (ja) ヘッドキャリッジ駆動装置
KR20010055855A (ko)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 스큐조절장치
EP0469191B1 (en) Gear drive carriage and stepper adjustment system
KR200171814Y1 (ko)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가이드축 이탈방지장치
US5872766A (en) Device for adjusting the preload of a plate spring for an optical pickup apparatus
KR20010055854A (ko)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 스큐조정장치
KR20010027355A (ko)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가이드축 이탈방지장치
JPH0799564B2 (ja) Vtrの磁気ヘッド位置調整機構
KR20030072974A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스큐조정장치
WO2007029370A1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JP4143424B2 (ja) 光ディスク装置
US6704171B2 (en) Apparatus and systems for lifting a tape drive transducer head
KR20020050678A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베이스 조립체
KR20020081816A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턴테이블장치
KR20020015881A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스핀들모터 장착구조
KR100871846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
KR20030038165A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가이드축 장착장치
KR20010053740A (ko) 디스크 드라이버의 턴테이블
KR19990042118A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
KR910001340Y1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의 지터 조정장치
KR100377766B1 (ko) 광기록재생기기의 스큐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