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846B1 -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846B1
KR100871846B1 KR1020020018803A KR20020018803A KR100871846B1 KR 100871846 B1 KR100871846 B1 KR 100871846B1 KR 1020020018803 A KR1020020018803 A KR 1020020018803A KR 20020018803 A KR20020018803 A KR 20020018803A KR 100871846 B1 KR100871846 B1 KR 100871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actuator
base
adjusting
t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9620A (ko
Inventor
최언진
허영우
배병영
홍순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8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846B1/ko
Publication of KR20030079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2Aligning the head or the light source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otherwise than during transducing, e.g. adjusting tilt set screw during assembly of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개시된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는, 스핀들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액츄에이터가 탑재된 픽업베이스를 슬라이딩시키면서 정보를 기록하거나 독취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액츄에이터와의 틸트를 조정하는 장치로서, 스핀들모터 또는 액츄에이터의 경사를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거나 또는 왼나사와 오른나사의 조합으로 구성된 조정수단에 의해 적어도 3개소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광디스크의 절대높이의 변화가 없고 박형화된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설계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Tilt adjusting apparatus for optical disc drive}
도 1a는 종래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틸트조정장치의 제1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종래의 광디스크 드라이브 틸트조정장치의 제2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B-B'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3a,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틸트조정장치로서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스핀들모터의 경사를 조정하는 방식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4a, 도 4b는 도 3a의 탄성부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5a, 도 5b는 도 3a의 탄성부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6a, 도 6b는 도 3a의 탄성부재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7a,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틸트조정장치로서 나사의 조합을 이용하여 스핀들모터의 경사를 조정하는 방식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7c는 나사의 조합을 이용하여 스핀들모터의 경사를 조정하는 방식의 제2실시예의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8a,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틸트조정장치로서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액츄에이터의 경사를 조정하는 방식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9a, 도 9b는 도 8a의 탄성부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10a, 도 10b는 도 8a의 탄성부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11a,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틸트조정장치로서 나사의 조합을 이용하여 액츄에이터의 경사를 조정하는 방식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11c는 나사의 조합을 이용하여 액츄에이터의 경사를 조정하는 방식의 제2실시예의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픽업베이스 110......액츄에이터
150......스핀들모터 220......모터베이스
130,230......메인베이스 270......광디스크
310, 710......조정나사 321,322,323,811,812,813......체결부
340......결합보스 410......스프링와셔
600......판스프링 720,750......제2보스
730,760......제1보스 R......레이디얼방향
T......탄젠셜방향 S......스핀들모터 축방향
본 발명은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틸트조정을 위한 상하 조정공간을 줄이고, 광디스크의 절대높이의 변화가 없는 광디스크 틸트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광디스크에 동심형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기록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상기 기록면으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이는 장치로서, 선속도방식으로 회전하는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픽업베이스에 탑재된 액츄에이터로부터 빔(beam)을 방사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읽어들이는 장치를 말한다.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수록된 데이터를 정확히 읽어들이거나 또는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정확히 기록하기 위해서는 광디스크의 기록면과 액츄에이터에서 출사되는 빔의 광축이 항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액츄에이터를 슬라이딩시키는 픽업베이스나 광디스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 는 스핀들모터의 조립부는 오차를 가질 수 밖에 없으며 이에 의해 광축과 광디스크의 신호면이 소정의 각도를 벗어나게 되는데 이를 틸트현상이라 한다.
이러한 틸트현상은 광디스크면을 기준으로 픽업베이스의 슬라이딩방향 즉,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의 경사를 나타내는 레이디얼 틸트와 상기 반경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탄젠셜 틸트로 나누어지는데, 액츄에이터에서 방사된 빔이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정확히 입사하기 위해서는 레이디얼방향 및 탄젠셜방향의 틸트를 조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도 1a는 종래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로서 픽업베이스의 경사를 조정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도 1b는 도 1a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는, 픽업베이스(100)를 가이드하는 2개의 가이드 샤프트(101)를 지지하는 지지부(102a,102b,102c,102d)와, 상기 지지부(102a,102b,102c,102d)를 메인베이스(130)에 체결하기 위한 4개의 체결나사(103a,103b,103c,103d) 및 상기 지지부(102b,102c,102d)와 메인베이스(130)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4개의 지지부(102a,102b,102c,102d) 중 참조번호 102a는 틸트조정을 위한 기준이로서 체결나사(103a)에 의해 메인베이스에 고정되어 있으며, 나머지 3개의 지지부(102b,102c,102d)는 스프링(104)에 의해 탄성을 받아 체결나사(103b,103c,103d)의 조임양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체결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체결구조를 갖는다. 체결나사(103b,103c,103d)를 조이거나 풀게 되면 지지부(102b,102c,102d)가 승강하게 되고 가이드 샤프트(101)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픽업베이스(100)의 경사가 레이디얼방향(R) 또는 탄젠셜방향(T)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체결나사(103b,103c,103d)의 조임양을 조정함으로써 광디스크의 기록면과 액츄에이터(110)에서 방사되는 빔의 광축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조정할 수 있다.
그런데,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 픽업베이스(100)는 광디스크(미도시)의 반경을 커버하면서 슬라이딩하여야 하므로 가이드 샤프트(101)의 길이는 사용하는 광디스크(미도시)의 반경에 의해 결정되며, 일반적으로는 광디스크(미도시)의 중심 즉, 스핀들모터(150)의 회전축(S)으로부터 최대반경 60mm 정도이다.
여기서 틸트조정한계각도(θ)와 최대반경(Rmax)에 따른 수직방향의 조정높이(H)는 H = Rmax ×tan(θ)의 관계를 가지므로, 틸트조정한계를 약 0.3°로 볼 경우 반경 60mm 지점에서의 수직방향으로의 조정높이는 편측으로 약 0.31mm 정도가 되며 상하방향으로 조정하여야 하므로 약 0.62mm의 조정공간을 확보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즉, 지지부(102b,102c,102d)의 상하 틸트조정공간으로서 0.62mm의 여유 공간이 필요하다. 이는 틸트조정한계각도가 클수록 더욱 커지게 되어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며 최근의 박형화 추세에 부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도 2a는 종래의 광디스크 틸트조정장치로서 일본 특개평2001-0084685에 개시된 스핀들모터를 조정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도 2b는 도 2a의 B-B'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11)에 광디스크(270)를 지지하는 허브(260)가 결합된 스핀들모터(150)와 결합되며 메인베이스(230)와 체결하기 위한 3개의 체결부(221,222,223)를 갖는 모터베이스(220)와, 상기 메인베이스(230)와 모터베이스(220)의 제2체결부(222) 및 제3체결부(223)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부가하는 코일스프링(250)과, 메인베이스(230)와 모터베이스(220)의 제1체결부(221)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모터베이스(220)와 대면하는 쪽에 만곡부(291)를 구비한 기준부쉬(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체결부(221)는 체결나사(241)에 의해 기준부쉬(290)를 사이에 두고 메인베이스(230)와 고정되며, 제2체결부(222) 및 제3체결부(223)는 체결나사(242,243)의 조임양에 따라 코일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하게 된다.
제2체결부(222)의 체결나사(242)의 조임량을 조정하면 모터베이스(220)가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며 제1체결부(221)의 기준부쉬(290)을 회전축으로 하여 만곡부(291)를 따라 레이디얼방향(R)으로 경사가 변하게 된다. 또한, 제3체결부(233)의 체결나사(243)의 조임량을 조정하면 모터베이스(220)가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며 제1체결부(231)의 기준부쉬(29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만곡부(291)를 따라 탄젠셜방향(T)으로 경사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제2체결부(222) 및 제3체결부(223)의 체결나사(242,243)의 조임양을 조정함으로써 광디스크(270)의 기록면과 광픽업부(100)에 탑재된 액츄에이터(110)에서 방사되는 빔의 광축을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조정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틸트조정장치에서는 제1체결부(221)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고 이를 중심으로 제2체결부(222) 및 제3체결부(223)의 조임량을 조정하므로, 탄젠셜방향(T) 및 레이디얼방향(R)의 틸트조정 후에는 허브(260)에 의해 지지되는 광디스크(270)의 높이도 변하게 된다. 광디스크(270)의 높이가 낮아지면 광디스크(270)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픽업베이스(100)와 접촉되면서 액츄에이터(110)를 손상시키거나 광디스크(270)의 기록면에 수록된 데이터가 훼손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광디스크(270)의 높이가 높아지면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감싸는 외장부(미도시)와 터치(TOUCH)되어 고장이나 데이터 훼손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틸트조정을 위한 상하 조정공간을 줄이고, 광디스크의 절대높이의 변화가 없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는, 스핀들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액츄에이터가 탑재된 픽업베이스를 슬라이딩시키면서 정보를 기록하거나 독취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액츄에이터와의 틸트를 조정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로서, 적어도 3개소에서 스핀들모터의 경사를 조정하는 경우와 적어도 3개소에서 액츄에이터의 경사를 조정하는 경우가 있다.
먼저, 스핀들모터의 경사를 조정하는 경우는, 상기 스핀들모터가 설치되며 적어도 3개소의 체결부을 갖는 모터베이스와, 상기 모터베이스가 설치되는 메인베이스와, 상기 메인베이스에 대해 적어도 3개소에서 상기 모터베이스를 승강시키며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액츄에이터와의 틸트를 조정하는 적어도 3개의 조정수단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액츄에이터의 경사를 조정하는 경우는, 적어도 3개소의 체결부을 갖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가 탑재되는 픽업베이스와, 상기 픽업베이스에 대해 적어도 3개소에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승강시키며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액츄에이터와의 틸트를 조정하는 적어도 3개의 조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정수단은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왼나사와 오른나사의 조합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스핀들모터의 경사를 조정하는 경우로서 탄성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와 왼나사와 오른나사의 조합을 이용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틸트조정장치로서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스핀들모터의 경사를 조정하는 방식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3b는 도 3a의 조정수단의 절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와 도 3b를 보면, 스핀들모터(150)가 설치되며 3개소의 체결부(321,322,323)을 갖는 모터베이스(220)와, 모터베이스(220)가 설치되는 메인베이스(230)와, 체결부(321,322,323)를 통해 메인베이스(230)에 대해 모터베이스(220)를 승강시키며 광디스크(270)와 액츄에이터(110)와의 틸트를 조정하는 3개소의 조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조정수단은, 탄성부재(330), 결합보스(340) 및 조정나사(310)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베이스(220)에는 스핀들모터(150)의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대면하여 레이디얼방향(R)으로 1개의 체결부(321)와 탄젠셜방향(T)으로 2개의 체결부(322,3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부(231,232,233)를 통하여 조정나사(310)가 결합보스(340)와 체결된다.
여기서, 체결부는 레이디얼방향(R)으로 2개와 탄젠셜방향(T)으로 1개의 체결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고 레이디얼방향(R) 및 탄젠셜방향(T)의 틸트조정이 가능한 위치에 형성하면 된다.
결합보스(340)는 일측은 메인베이스(230)에 고정되며 타측은 모터베이스(220) 방향으로 연장되어 체결부(321,322,323)와 동심을 이루는 암나사부(341)를 구비하고 있으며, 체결부(321,322,323)를 통하여 조정나사(310)가 결합보스(340)의 암나사부(341)에 체결됨으로써 모터베이스(220)와 메인베이스(230)가 결합된다.
이 때, 탄성부재(330)는 모터베이스(220)의 하단과 메인베이스(230)의 상면 또는 결합보스(340)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체결부(321,322,323)를 통하여 체결되는 조정나사(310)가 통과하도록 관통부를 구비하거나 또는 체결부(321,322,323)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조정나사(321,322,323)에 의해 모터베이스(220)와 메인베이스(230)가 체결되면 탄성부재(330)에 의해 모터베이스(220)와 메인베이스(230)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받으므로, 조정나사(321,322,323)를 조금씩 풀거나 조이면 모터베이스(220)가 메인베이스(230)에 대해 승강하게 된다.
이제, 레이디얼방향(R)의 틸트를 조정해보면, 참조부호 321로 표시된 체결부의 조정나사(310)를 조금씩 풀거나 조이면 모터베이스(220)가 도 3b의 참조부호 353 방향으로 승강하고, 이를 도 3a에서 보면 참조부호 35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참조부호 321로 표시된 체결부의 조정나사(230)의 조임량을 조정함으로써 레이디얼 방향(R)의 틸트를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탄젠셜방향(T)의 틸트를 조정해 보면, 참조부호 322 및 323으로 표시된 체결부의 조정나사(310)를 조금씩 풀거나 조이면 모터베이스(220)가 도 3a의 보면 참조부호 35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참조부호 322, 323으로 표시된 체결부의 조정나사(230)의 조임량을 조정함으로써 탄젠셜 방향(T)의 틸트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3개의 조정나사(321,322,323)를 조이거나 풀면서 틸트를 조정하게 되면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해 모터베이스(220)가 참조부호 351, 352 방향으로 회전하며 레이디얼방향 및 탄젠셜방향의 틸트를 조정할 수 있다.
도 4a는 탄성부재의 제2실시예로서 스프링와셔를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스프링와셔를 채용한 경우의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와셔(410)는 다수의 상하방향의 굴곡부를 가지는 웨이브 형상으로서 상측은 모터베이스(220)의 하단에 접촉하고 하측은 결합보스(340)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다.
조정나사(310)가 체결부(321,322,323)를 통하여 스프링와셔(410)의 중앙부의 관통홀(411)을 거쳐 결합보스(340)에 체결되면 모터베이스(220)와 메인베이스(230)가 결합됨과 동시에 스프링와셔(410)의 굴곡부가 상하방향으로 변형하면서 모터베이스(220)와 메인베이스(230)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조정나사(321,322,323)의 조임량을 조정함으로써 모터베이스(220)가 메인베이스(230)에 대해 승강하게 되어 틸트조정이 가능하다.
도 5a는 탄성부재의 제3실시예로서 모터베이스와 일체로 형성한 탄성아암을 채용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도 5b는 도 5a의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아암(510)은 체결부(321,322,323)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일측(511)은 모터베이스(220)와 일체로 형성되며 다른 일측(512)은 메인베이스(230)를 향하여 절곡되어 결합보스(340)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다.
조정나사(310)가 체결부(321,322,323)를 통하여 결합보스(340)에 체결되면 모터베이스(220)와 메인베이스(230)가 결합됨과 동시에 탄성아암(510)이 상하방향으로 변형하면서 모터베이스(220)와 메인베이스(230)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조정나사(310)의 조임량을 조정함으로써 모터베이스(220)가 메인베이스(230)에 대해 승강하게 되어 틸트조정이 가능하다.
도 6a는 탄성부재의 제4실시예로서 판스프링을 채용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도 6b는 도 6a의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600)은 상면은 모터베이스(220)에 밀착되며, 조정나사(310)가 결합되는 3개소의 관통부(610)와, 관통부(610)에서 메인베이스(230)를 향하여 절곡되어 결합보스(340)의 상면에 접촉하는 탄성아암(620)을 구비하고 있다.
조정나사(310)가 체결부(321,322,323)를 통하여 판스프링(600)의 관통부(610)를 거쳐 결합보스(340)에 체결되면 모터베이스(220)와 메인베이스(230)가 결합됨과 통시에 탄성아암(620)이 상하방향으로 변형하면서 모터베이스(220)와 메인베이스(230)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조정나사(310)의 조임량을 조정함으로써 모터베이스(220)가 메인베이스(230)에 대해 승강하게 되어 틸트조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틸트를 조정하는 경우 탄성부재의 일측이 메인베이스에 접촉하는 것도 가능하며, 결합보스 없이 조정나사를 메인베이스에 직접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틸트조정장치로서 왼나사와 오른나사의 조합을 이용하여 스핀들모터의 경사를 조정하는 방식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7b는 도 7a의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수단은, 제1보스(730), 제2보스(720) 및 조정나사(710)을 구비한다.
제1보스(730)의 일측은 메인베이스(23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에는 모터베이스(220) 방향로 연장되어 제1회전방향(오른쪽)으로 회전할 때 체결되는 오른나사방식의 제1암나사부(731)가 형성되어 있다.
제2보스(720)는, 제1보스(730)의 제1암나사부(731)에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오른나사방식으로 형성된 수나사부(721)와, 상기 수나사부(721)와 동심을 이루며 제1회전방향의 반대방향(왼쪽)으로 회전할 때 체결되는 왼나사방식의 제2암나사부(722)를 구비하고 있다.
조정나사(710)는 모터베이스(220)의 체결부(321,322,323)를 통하여 제2보스(720)의 제2암나사부(722)와 결합할 수 있도록 왼나사방식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정나사(710)와 제2보스(720)의 제2암나사부(722)는 왼나사방식, 제2보스(720)의 수나사부(721)와 제1보스(730)의 암나사부(731)는 오른나사방식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터베이스(220)에는 스핀들모터(150)의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대면하여 레이디얼방향(R)으로 1개의 체결부(321)와 탄젠셜방향(T)으로 2개의 체결부(322,3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부(321,322,323)를 통하여 조정나사(710)가 제2보스(720)와 체결된다.
먼저, 모터베이스(220)의 체결부(321,322,323)를 통해 조정나사(710)를 제2보스(720)의 제2암나사부(722)와 체결하여 모터베이스(220)와 제2보스(720)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조정나사(710)를 제1회전방향(왼쪽)과 반대방향(오른쪽)으로 회전 시켜 제2보스(720)의 수나사부(721)를 제1보스(730)의 암나사부(731)에 체결하여 모터베이스(220)와 메인베이스(230)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조정나사(710)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돌리면 제2보스(720)와 제1보스(730)의 체결량이 변하면서 모터베이스(220)가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베이스(220)에 형성된 3개소의 체결부(321,322,323)를 통하여 조정나사(710)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돌리면서 제1보스(730)와 제2보스(720)의 체결량을 변화하면서 틸트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조정나사(710)에 의해 체결되는 제2보스(720)와 모터베이스(220)는 조정나사(710)를 돌릴 때 제2보스(720)와 모터베이스(220)가 서로 미끄러질 수 있을 정도로 체결된다. 만일 제1보스(730)와 제2보스(720)의 체결량을 조정하기 위해 조정나사(710)를 오른쪽으로 돌릴 때 제2보스(720)가 조정나사(710)와 풀리게 되면 조정나사(710)를 다시 왼쪽으로 돌려 제2보스(720)와 조정나사(710)를 조인 후 다시 조정나사(710)를 오른쪽으로 돌리면서 체결량을 조정한다. 위와 같은 조정과정을 되풀이하여 3개소의 체결부(321,322,323)를 통하여 제1보스(730)와 제2보스(720)의 체결량을 변화시키면서 틸트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보스(730)의 암나사부(731)를 메인베이스(230)를 향하여 관통하여 형성하고 제2보스(720)의 메인베이스(230)방향의 단면 또는 모터베이스(220) 및 메인베이스(230)방향의 단면에 홈을 형성하여 메인베이스(230)의 바닥면을 통해 홈에 스크류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결합시켜 제2보스(720)를 회전시킴으로써 틸트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c는 왼나사와 오른나사의 조합을 이용하여 스핀들모터의 경사를 조정하는 방식의 제2실시예의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수단은 제1보스(760), 제2보스(750) 및 조정나사(710)을 구비하고 있다.
제1보스(760)의 일측은 메인베이스(230)에 고정되며, 타측에는 모터베이스(220) 방향로 연장되어 제1회전방향(오른쪽)으로 체결되는 오른나사방식의 수나사부(761)가 형성되어 있다.
제2보스(750)는, 메인베이스(230)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제1보스(760)의 수나사부(761)에 대응하여 형성된 오른나사방식의 제1암나사부(751)와, 모터베이스(220)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회전방향의 반대방향(왼쪽)으로 회전할 때 체결되는 왼나사방식의 제2암나사부(752)와, 제1암나사부(751) 및 제2암나사부(752)의 사이에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원통부(753)를 구비하고 있다.
조정나사(760)는, 모터베이스(220)의 체결부(321,322,323)를 통하여 제2보스(750)의 제2암나사부(752)와 결합하도록 왼나사방식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정나사(710)와 제2보스(750)의 제2암나사부(752)는 왼나사방식, 제1보스(760)의 수나사부(761)와 제2보스(750)의 제1암나사부(751)는 오른나사방식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모터베이스(220)의 체결부(321,322,323)를 통해 조정나사(710)를 제2보스(750)의 제2암나사부(752)와 체결하여 모터베이스(220)와 제2보스(750)를 결합 한다. 다음으로 조정나사(710)를 제1회전방향(왼쪽)과 반대방향(오른쪽)으로 회전시켜 제2보스(750)의 제1암나사부(751)를 제1보스(760)의 수나사부(761)에 체결하여 모터베이스(220)와 베인베이스(230)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조정나사(710)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돌리면 제2보스(750)와 제1보스(760)의 체결량이 변하면서 모터베이스(220)가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베이스(220)에 형성된 3개소의 체결부(321,322,323)를 통하여 조정나사(710)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돌리면서 제1보스(760)와 제2보스(750)의 체결량을 변화하면서 틸트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정나사(710)를 돌리는 대신에 제2보스(750)의 외주면에 너트와 같이 2 이상의 단면부를 형성하고 이 단면부에 스패너 등의 공구를 끼워 제2보스(750)를 회전시키면서 틸트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왼나사와 오른나사의 조합을 이용하여 틸트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틸트조정을 완료한 후에 나사의 조임량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틸트를 조정하면, 광디스크(270)의 높이 즉, 스핀들모터(150)의 축방향(S) 위치가 변하게 된다. 광디스크(270)의 절대높이가 변하면 액츄에이터(110)와의 터치(TOUCH) 등에 의해 치명적인 데이터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이를 보정하여야 한다. 광디스크(270)의 높이가 높아진 경우에는 3개의 조정나사(310,710)를 같은 양 만큼 조이면 틸트가 조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모터베이스(220)를 하강시켜 광디스크(270)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반대로 광디스크(270)의 높이가 낮아진 경우에는 3개의 조정나사(310,710)를 같은 양 만큼 풀어주면 틸트가 조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모터베이스(220)를 상승시켜 광디스크(270)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광디스크의 절대높이가 변하지 않고도 틸트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설계에 있어서 틸트조정높이를 감안한 상하높이의 여유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박형화 설계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액츄에이터의 경사를 조정하는 경우로서 탄성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와 왼나사와 오른나사의 조합을 이용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틸트조정장치로서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액츄에이터의 경사를 조정하는 방식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8b는 도 8a의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3개소의 체결부(811,812,813)를 갖는 액츄에이터(110)와, 액츄에이터(110)가 탑재되는 픽업베이스(100)와, 픽업베이스(100)에 대해 액츄에이터(110)의 적어도 3개소를 승강시킴으로써 광디스크(270)와 액츄에이터(110)와의 틸트를 조정하는 적어도 3개소의 조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조정수단은, 탄성부재(400), 결합보스(340) 및 조정나사(310)를 구비하고 있다.
액츄에이터(110)에는 광픽업부(120)을 중심으로 대면하여 레이디얼방향(R)으로 1개의 체결부(811)와 탄젠셜방향(T)으로 2개의 체결부(812,813)가 형성되어 있 으며 체결부(811,812,813)를 통하여 조정나사(310)가 결합보스(340)와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는 레이디얼방향(R)으로 2개와 탄젠셜방향(T)으로 1개의 체결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고 레이디얼방향(R) 및 탄젠셜방향(T)의 틸트조정이 가능한 위치에 적어도 3개소를 형성하면 된다.
여기서, 탄성부재(410)는 다수의 상하방향의 굴곡부를 가지는 웨이브 형상으로서 상측은 액츄에이터(110)의 하단에 접촉하고 하측은 결합보스(340)의 상면에 접촉하는 스프링와셔(410)이다.
결합보스(340)는 일측은 픽업베이스(100)에 고정되며 타측은 액츄에이터(110)방향으로 연장되어 체결부(811,812,813)와 동심을 이루는 암나사부(341)를 구비하고 있으며, 체결부(811,812,813)를 통하여 조정나사(310)가 결합보스(340)의 암나사부(341)에 체결됨으로써 픽업베이스(100)와 액츄에이터(110)가 결합된다.
조정나사(310)가 체결부(811,812,813)를 통하여 스프링와셔(410)의 중앙부의 관통홀(411)을 거쳐 픽업베이스(100)에 체결되면 액츄에이터(110)와 픽업베이스(100)가 결합됨과 통시에 스프링와셔(410)의 굴곡부가 상하방향으로 변형하면서 액츄에이터(110)와 픽업베이스(100)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조정나사(310)의 조임량을 조정함으로써 액츄에이터(110)가 픽업베이스(100)에 대해 승강하게 되어 틸트조정이 가능하다.
이제, 레이디얼방향(R)의 틸트를 조정해보면, 참조부호 811로 표시된 체결부의 조정나사(310)를 조금씩 풀거나 조이면 액츄에이터(110)가 상하방향으로 승강하 고, 이를 도 8a에서 보면 참조부호 35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참조부호 811로 표시된 체결부의 조정나사(310)의 조임량을 조정함으로써 레이디얼 방향의 틸트를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탄젠셜방향(T)의 틸트를 조정해 보면, 참조부호 812 및 813으로 표시된 체결부의 조정나사(310)를 조금씩 풀거나 조이면 액츄에이터(110)가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고, 이를 도 8a에서 보면 참조부호 35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참조부호 812 및 813으로 표시된 체결부의 조정나사(310)의 조임량을 조정함으로써 탄젠셜 방향의 틸트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3개의 조정나사(310)를 조이거나 풀면서 틸트를 조정하게 되면 스프링와셔(410)의 탄성력에 의해 액츄에이터(110)가 참조부호 351, 352방향으로 회전하며 레이디얼방향 및 탄젠셜방향의 틸트를 조정할 수 있다.
도 9a는 탄성부재의 제2실시예로서 액츄에이터와 일체로 형성한 탄성아암을 도시한 것이며, 도 9b는 도 9a의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아암(920)은 체결부(811,812,813)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일측(921)은 액츄에이터(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다른 일측(922)은 픽업베이스(100)를 향하여 절곡되어 결합보스(340)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다.
조정나사(310)가 체결부(811,812,813)를 통하여 픽업베이스(100)에 체결되면 액츄에이터(110)와 픽업베이스(100)가 결합됨과 동시에 탄성아암(920)이 상하방향으로 변형하면서 액츄에이터(110)와 픽업베이스(100)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 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조정나사(310)의 조임량을 조정함으로써 액츄에이터(110)가 픽업베이스(100)에 대해 승강하게 되어 틸트조정이 가능하다.
도 10a는 탄성부재의 제3실시예로서 판스프링을 채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b는 도 10a의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600)상면은 액츄에이터(110)에 밀착되며, 조정나사(310)가 결합되는 3개소의 관통부(610)와, 관통부(610)에서 픽업베이스(100)를 향하여 절곡되어 결합보스(340)의 상면에 접촉하는 탄성아암(620)을 구비하고 있다.
조정나사(310)가 체결부(811,812,813)를 통하여 판스프링(600)의 관통부(610)를 거쳐 픽업베이스(100)에 체결되면 액츄에이터(110)와 픽업베이스(100)가 결합됨과 통시에 탄성아암(620)이 상하방향으로 변형하면서 액츄에이터(110)와 픽업베이스(100)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조정나사(310)의 조임량을 조정함으로써 액츄에이터(110)가 픽업베이스(100)에 대해 승강하게 되어 틸트조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틸트를 조정하는 경우 탄성부재의 일측이 픽업베이스에 접촉하고, 결합보스 없이 조정나사를 픽업베이스에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틸트조정장치로서 왼나사와 오른나사의 조합을 이용하여 액츄에이터의 경사를 조정하는 방식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b는 도 11a의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수단은, 제1보스(730), 제2보스(720) 및 조정나사(710)를 구비하고 있다.
제1보스(730)의 일측은 픽업베이스(100)에 고정되며, 타측에는 액츄에이터(110) 방향로 연장되어 제1회전방향(오른쪽)으로 체결되는 오른나사방식의 제1암나사부(731)가 형성되어 있다.
제2보스(720)는, 제1보스(730)의 제1암나사부(731)에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오른나사방식의 수나사부(721)와, 상기 수나사부(721)와 동심을 이루며 제1회전방향의 반대방향(왼쪽)으로 회전할 때 체결되는 왼나사방식의 제2암나사부(722)를 구비하고 있다.
조정나사(710)는, 액츄에이터(110)의 체결부(811,812,813)를 통하여 제2보스(720)의 제2암나사부(722)와 결합하도록 왼나사방식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정나사(710)와 제2보스(720)의 제2암나사부(722)는 왼나사방식, 제2보스(720)의 수나사부(721)와 제1보스(730)의 암나사부(731)는 오른나사방식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츄에이터에(110)는 레이디얼방향(R)으로 1개의 체결부(811)와 탄젠셜방향(T)으로 2개의 체결부(812,8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부(811,812,813)를 통하여 조정나사(710)가 결합보스(340)와 체결된다.
먼저, 액츄에이터(110)의 체결부(811,812,813)를 통해 조정나사(710)를 제2보스(720)의 제2암나사부(722)와 체결하여 액츄에이터(110)와 제2보스(720)를 결합 한다. 다음으로 조정나사(710)를 제1회전방향(왼쪽)과 반대방향(오른쪽)으로 회전시켜 제2보스(720)의 수나사부(721)를 제1보스(730)의 암나사부(731)에 체결하여 액츄에이터(110)와 픽업베이스(100)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조정나사(710)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돌리면 제2보스(720)와 제1보스(730)의 체결량이 변하면서 액츄에이터(110)가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110)에 형성된 3개소의 체결부(811,812,813)를 통하여 조정나사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돌리면서 제1보스(730)와 제2보스(720)의 체결량을 변화하면서 틸트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조정나사(710)에 의해 체결되는 제2보스(720)와 액츄에이터(110)는 조정나사(710)를 돌릴 때 제2보스(720)와 액츄에이터(110)가 서로 미끄러질 수 있을 정도로 체결된다. 만일 제1보스(730)와 제2보스(720)의 체결량을 조정하기 위해 조정나사(710)를 오른쪽으로 돌릴 때 제2보스(720)가 조정나사(710)와 풀리게 되면 조정나사(710)를 다시 왼쪽으로 돌려 제2보스(720)와 조정나사(710)를 조인 후 다시 조정나사(710)를 오른쪽으로 돌리면서 체결량을 조정한다. 위와 같은 조정과정을 되풀이하여 3개소의 체결부(811,812,813)를 통하여 제1보스(730)와 제2보스(720)의 체결량을 변화시키면서 틸트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보스(730)의 암나사부(731)를 픽업베이스(100)를 향하여 관통하여 형성하고 제2보스(720)의 픽업베이스(100)방향의 단면 또는 액츄에이터(110) 및 픽업베이스(100)방향의 단면에 홈을 형성하여 픽업베이스(100)의 바닥면을 통해 홈에 스크류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결합시켜 제2보스(720)를 회전시킴으로써 틸트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c는 왼나사와 오른나사의 조합을 이용하여 액츄에이터의 경사를 조정하는 방식의 제2실시예로서 조정수단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수단은 제1보스(760), 제2보스(750) 및 조정나사(710)를 구비하고 있다.
제1보스(760)의 일측은 픽업베이스(100)에 고정되며, 타측에는 액츄에이터(110) 방향로 연장되어 제1회전방향(오른쪽)으로 회전할 때 체결되는 오른나사방식의 수나사부(761)가 형성되어 있다.
제2보스(750)는, 픽업베이스(100)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제1보스(760)의 수나사부(761)에 대응하여 형성된 오른나사방식의 제1암나사부(751)와, 액츄에이터(110)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회전방향의 반대방향(왼쪽)으로 회전할 때 체결되는 왼나사방식의 제2암나사부(752)와, 제1암나사부(751) 및 제2암나사부(752)의 사이에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원통부(753)를 구비하고 있다.
조정나사(710)는, 액츄에이터(110)의 체결부(811,812,813)를 통하여 제2보스(750)의 제2암나사부(752)와 결합하도록 왼나사방식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정나사(710)와 제2보스(750)의 제2암나사부(752)는 왼나사방식, 제1보스(760)의 수나사부(761)와 제2보스(750)의 제1암나사부(751)는 오른나사방식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액츄에이터(110)의 체결부(811,812,813)를 통해 조정나사(710)를 제2 보스(750)의 제2암나사부(752)와 체결하여 액츄에이터(110)와 제2보스(750)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조정나사(710)를 제1회전방향(왼쪽)과 반대방향(오른쪽)으로 회전시켜 제2보스(750)의 제1암나사부(751)를 제1보스(760)의 수나사부(761)에 체결하여 액츄에이터(110)와 픽업베이스(100)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조정나사(710)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돌리면 제2보스(750)와 제1보스(760)의 체결량이 변하면서 액츄에이터(110)가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110)에 형성된 3개소의 체결부(811,812,813)를 통하여 조정나사(710)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돌리면서 제1보스(760)와 제2보스(750)의 체결량을 변화하면서 틸트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정나사(710)를 돌리는 대신에 제2보스(750)의 외주면에 너트와 같이 2 이상의 단면부를 형성하고 이 단면부에 스패너 등의 공구를 끼워 제2보스(750)를 회전시키면서 틸트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왼나사와 오른나사의 조합을 이용하여 틸트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틸트조정을 완료한 후에 나사의 조임량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틸트를 조정하면, 액츄에이터(110)의 높이 즉, 스핀들모터(150)의 축방향(S) 위치가 변하게 된다. 액츄에이터(110)의 절대높이가 변하면 광디스크(270)와의 터치(TOUCH) 등에 의해 치명적인 데이터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이를 보정하여야 한다. 액츄에이터(110)의 높이가 높아진 경우에는 3개의 조정나사(310,710)를 같은 양 만큼 조이면 틸트가 조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액츄 에이터(110)를 하강시켜 액츄에이터(110)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반대로 액츄에이터(110)의 높이가 낮아진 경우에는 3개의 조정나사(310,710)를 같은 양 만큼 풀어주면 틸트가 조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액츄에이터(110)를 상승시켜 액츄에이터(110)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의 절대높이가 변하지 않고도 틸트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설계에 있어서 틸트조정높이를 감안한 상하높이의 여유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박형화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광디스크의 휨에 의한 틸트의 보정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틸트조정 후에도 광디스크의 절대높이가 변하지 않으므로 광디스크와 액츄에이터가 터치(TOUCH)로 인한 고장이나 기록정보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틸트조정 후에도 광디스크의 절대높이가 변하지 않으므로 광디스크 드라이브 설계시에 틸트조정을 위한 수직공간을 미리 확보할 필요가 없어 박형화된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설계가 가능하다.
셋째, 액츄에이터 틸트를 통하여 광디스크의 변형, 휨 등에 의한 광신호의 부정확성을 교정하여 광신호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 론이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스핀들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액츄에이터가 탑재된 픽업베이스를 슬라이딩시키면서 정보를 기록하거나 독취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서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액츄에이터와의 틸트를 조정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로서,
    상기 스핀들모터가 설치되며 적어도 3개소의 체결부를 갖는 모터베이스;
    상기 모터베이스가 설치되는 메인베이스; 및
    상기 메인베이스에 대해 적어도 3개소에서 상기 모터베이스를 승강시키며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액츄에이터와의 틸트를 조정하는 적어도 3개의 조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모터베이스와 상기 메인베이스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베이스가 상기 메인베이스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상기 메인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모터베이스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암나사부를 갖는 결합보스; 및
    상기 체결부를 통하여 상기 결합보스의 암나사부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모터베이스와 상기 메인베이스를 결합함과 동시에 조임양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모터베이스를 승강시키며 틸트를 조정하는 조정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다수의 상하방향의 굴곡부를 가지는 웨이브 형상으로서 상측은 상기 모터베이스의 하단에 접촉하고 하측은 상기 결합보스의 상면에 접촉하는 스프링 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
  5. 삭제
  6. 스핀들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액츄에이터가 탑재된 픽업베이스를 슬라이딩시키면서 정보를 기록하거나 독취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서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액츄에이터와의 틸트를 조정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로서,
    상기 스핀들모터가 설치되며 적어도 3개소의 체결부를 갖는 모터베이스;
    상기 모터베이스가 설치되는 메인베이스; 및
    상기 메인베이스에 대해 적어도 3개소에서 상기 모터베이스를 승강시키며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액츄에이터와의 틸트를 조정하는 적어도 3개의 조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메인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모터베이스 방향로 연장되어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체결되는 제1암나사부가 형성된 제1보스;
    상기 제1보스의 제1암나사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나사부와 동심을 이루며 상기 제1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체결되는 제2암나사부가 형성된 제2보스; 및
    상기 체결부를 통하여 상기 제2보스의 제2암나사부와 결합하고 다시 상기 제2보스의 수나사부를 상기 제1보스의 제1암나사부에 체결하여 상기 모터베이스와 상기 메인베이스를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제1보스와 상기 제2보스의 체결량에 따라 상기 모터베이스를 승강시키며 틸트를 조정하는 조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
  7. 스핀들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액츄에이터가 탑재된 픽업베이스를 슬라이딩시키면서 정보를 기록하거나 독취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서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액츄에이터와의 틸트를 조정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로서,
    상기 스핀들모터가 설치되며 적어도 3개소의 체결부를 갖는 모터베이스;
    상기 모터베이스가 설치되는 메인베이스; 및
    상기 메인베이스에 대해 적어도 3개소에서 상기 모터베이스를 승강시키며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액츄에이터와의 틸트를 조정하는 적어도 3개의 조정수단;을 포함하며,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메인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모터베이스 방향로 연장되어 제1회전방향으로 체결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보스;
    상기 메인베이스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보스의 수나사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암나사부와, 상기 모터베이스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체결되는 제2암나사부와, 상기 제1암나사부 및 상기 제2암나사부의 사이에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원통부를 구비한 제2보스; 및
    체결부를 통하여 상기 제2보스의 제2암나사부와 결합하고 다시 상기 제2보스의 제1암나사부를 상기 제1보스에 체결하여 상기 모터베이스와 상기 메인베이스를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제1보스와 상기 제2보스의 체결량에 따라 상기 모터베이스를 승강시키며 틸트를 조정하는 조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스핀들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액츄에이터가 탑재된 픽업베이스를 슬라이딩시키면서 정보를 기록하거나 독취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서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액츄에이터와의 틸트를 조정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로서,
    적어도 3개소의 체결부를 갖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가 탑재되는 픽업베이스; 및
    상기 픽업베이스에 대해 상기 액츄에이터의 적어도 3개소를 승강시키며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액츄에이터와의 틸트를 조정하는 적어도 3개의 조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픽업베이스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픽업베이스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상기 픽업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암나사부를 갖는 결합보스; 및
    상기 체결부를 통하여 상기 결합보스의 암나사부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픽업베이스를 결합함과 동시에 조임양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를 승강시키며 틸트를 조정하는 조정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다수의 굴곡부를 가지는 웨이브 형상으로서 상측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단에 접촉하고 하측은 상기 결합보스의 상면에 접촉하는 스프링 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
  12. 삭제
  13. 스핀들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액츄에이터가 탑재된 픽업베이스를 슬라이딩시키면서 정보를 기록하거나 독취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서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액츄에이터와의 틸트를 조정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로서,
    적어도 3개소의 체결부를 갖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가 탑재되는 픽업베이스; 및
    상기 픽업베이스에 대해 상기 액츄에이터의 적어도 3개소를 승강시키며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액츄에이터와의 틸트를 조정하는 적어도 3개의 조정수단;을 포함하며,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픽업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액츄에이터 방향로 연장되어 제1회전방향으로 체결되는 제1암나사부가 형성된 제1보스;
    상기 제1보스의 제1암나사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나사부와 동심을 이루며 상기 제1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체결되는 제2암나사부가 형성된 제2보스; 및
    상기 체결부를 통하여 상기 제2보스의 제2암나사부와 결합하고 다시 상기 제2보스의 수나사부를 상기 제1보스의 제1암나사부에 체결하여 상기 픽업베이스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제1보스와 상기 제2보스의 체결량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를 승강시키며 틸트를 조정하는 조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
  14. 스핀들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액츄에이터가 탑재된 픽업베이스를 슬라이딩시키면서 정보를 기록하거나 독취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서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액츄에이터와의 틸트를 조정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로서,
    적어도 3개소의 체결부를 갖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가 탑재되는 픽업베이스; 및
    상기 픽업베이스에 대해 상기 액츄에이터의 적어도 3개소를 승강시키며 상기 광디스크와 상기 액츄에이터와의 틸트를 조정하는 적어도 3개의 조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픽업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액츄에이터 방향로 연장되어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체결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보스;
    상기 픽업베이스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보스의 수나사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암나사부와, 상기 액츄에이터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체결되는 제2암나사부와, 상기 제1암나사부 및 상기 제2암나사부의 사이에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원통부를 구비한 제2보스; 및
    상기 체결부를 통하여 상기 제2보스의 제2암나사부와 결합하고 다시 상기 제2보스의 제1암나사부를 상기 제1보스에 체결하여 상기 픽업베이스와 상기 액츄에이터를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제1보스와 상기 제2보스의 체결량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를 승강시키며 틸트를 조정하는 조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
KR1020020018803A 2002-04-06 2002-04-06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 KR100871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803A KR100871846B1 (ko) 2002-04-06 2002-04-06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803A KR100871846B1 (ko) 2002-04-06 2002-04-06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620A KR20030079620A (ko) 2003-10-10
KR100871846B1 true KR100871846B1 (ko) 2008-12-03

Family

ID=32378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803A KR100871846B1 (ko) 2002-04-06 2002-04-06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18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026A (ko) * 1996-12-20 1998-09-15 배순훈 틸트조정이 용이한 광픽업장치
KR19980066403A (ko) * 1997-01-23 1998-10-15 김광호 디스크 플레이어의 위상차 조정장치
KR19990008723U (ko) * 1997-08-11 1999-03-05 구자홍 광디스크 기록/재생기의 메카니즘 슈크 조절장치
KR20030063516A (ko) * 2002-01-22 2003-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대물렌즈 경사 조정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KR20030076895A (ko) * 2002-03-23 2003-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광디스크 드라이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026A (ko) * 1996-12-20 1998-09-15 배순훈 틸트조정이 용이한 광픽업장치
KR19980066403A (ko) * 1997-01-23 1998-10-15 김광호 디스크 플레이어의 위상차 조정장치
KR19990008723U (ko) * 1997-08-11 1999-03-05 구자홍 광디스크 기록/재생기의 메카니즘 슈크 조절장치
KR20030063516A (ko) * 2002-01-22 2003-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대물렌즈 경사 조정용 광픽업 액츄에이터
KR20030076895A (ko) * 2002-03-23 2003-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광디스크 드라이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620A (ko) 200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9368B1 (en) Head stack assembly having an actuator body with multiple slots adjacent to a bore
US6344950B1 (en) Head disk assembly including ramp having pivoting locational features
US6246547B1 (en) Low profile flexure and slider-flexure assembly
US5764618A (en) Pickup adjusting device in an optical disk player
US6160686A (en) Composite ramp structure for data storage devices
WO2001041136A1 (en) Tolerance ring with low consistent installation force profile
US5761182A (en)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5796707A (en)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correcting installation angle of spindle motor
US6373812B2 (en) Disk player capable of adjusting tilt of optical pickup
US7158343B2 (en) Disk clamp of hard disk drive to prevent slippage of disk and damage to spindle motor
US7307813B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mproving disk pack balancing in disk drives including methods for centering disk clamps
US5777832A (en) Disk having stress relieving zones for use with a disk clamping device in a hard disk drive
US6738229B2 (en) Head stack assembly having decreased track misregistration characteristics
KR20020071026A (ko) 모터부착구조 및 디스크 드라이브장치
KR100871846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
WO2006075639A1 (ja) ディスク装置
US7016147B2 (en) Disk clamp balancing in a disc stack assembly
US4943881A (en) Head supporting structure in disk drive system for double sided flexible disk
EP1383122B1 (en) Disk clamp of hard disk drive
KR20030076895A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광디스크 드라이브
US11955149B1 (en) Disk device with positioned ramp
CN1324071A (zh) 盘片播放机的光感器倾斜调节机构
KR20030073762A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틸트 조정장치
JP3206942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4143424B2 (ja) 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