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5683A -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5683A
KR20010055683A KR1019990056947A KR19990056947A KR20010055683A KR 20010055683 A KR20010055683 A KR 20010055683A KR 1019990056947 A KR1019990056947 A KR 1019990056947A KR 19990056947 A KR19990056947 A KR 19990056947A KR 20010055683 A KR20010055683 A KR 20010055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m
mode
logic deck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0923B1 (ko
Inventor
조광훈
신순용
주민곤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9-0056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923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9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5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second movement only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직데크의 FF 및 REW 모드 변환동작을 한 개의 데크 구동모터로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한 모드 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구성은, 로직데크(210)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20)와 연설되는 로딩기어(230) 일측에 캠기어(250)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프릭션 기어(240)가 설치되고, 상기 프릭션 기어(240)와 맞물려 회전 구동하는 캠기어(250)의 저부에는 브러쉬 스위치(260)가 캠기어(250) 하측의 모드 패턴(280)과 접촉하여 모드 변환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캠기어(150)는 그 저부에 외곽캠(290)이 형성되어, 이에 방향 전환레버(300)의 일단부(301)가 접촉하여 외곽캠(290)에 의해 좌우측으로 일정각도 회전토록 설치되고, 상기 방향 전환레버(300)의 타단에는 방향전환 기어(310)가 설치되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플라이 휘일기어(320) 및 리일기어(330)와 선택적으로 맞물려 모드 방향을 전환토록 하는 것을 요지로한다.

Description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장치{DEVICE FOR MODE DIVERT IN CAR LOGIC DECK}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카 로직 데크(Car Logic Deck)에 있어서, 상기 로직데크의 빨리감기(FF) 및 되감기(REW) 모드 변환동작을 한 개의 데크 구동모터로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한 모드 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구동모터와 연설되는 로딩기어 일측에 프릭션 기어(Friction Gear)가 설치되어 모드 변환동작을 수행하는 캠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며, 상기 캠기어 하측에는 외곽캠이 형성되어 이에 방향 전환레버의 일단부가 위치되고, 상기 방향 전환레버는 아암 스프링에 탄설되어 좌측 및 우측의 플라이 휘일기어와 맞물리는 리일기어와 맞물려 회전 구동토록 함으로 인하여, 카 로직데크의 FF 및 REW 모드 변환동작시, 한 개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이와 플릭션 기어를 개재하여 연설되는 캠기어를 회전 구동하여 로직데크의 FF 및 REW 모드 변환동작을 손쉽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캠기어의 회전에 의해 모드 변환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한 개의 구동모터의 사용에 따른 로직데크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유지하면서도,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한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는 종래의 카 로직 데크에 있어서는, 로직데크의 내부에 테이프 로딩모터 및 구동모터가 각각 설치되어, 데크의 FF 및 REW모드 변환 동작시, 로딩모터의 구동에 의해 로딩 플레이트가 좌,우로 이송하여 FF 또는 REW 모드를 선택한후, 재차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와 벨트로서 연설되는 리일기어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모드 변환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카 로직데크의 모드 변환장치의 구성에 있어서는 도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로직데크(10)의 샤시(20) 일측으로 데크 구동모터(30) 및 그 일측으로 테이프 로딩모터(4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로딩모터(40)와 로딩기어(50) 및 피니언기어(60)를 개재하여 로딩 플레이트(70)에 횡설되는 랙기어(70a)와 맞물려 상기 로딩 플레이트(70)를 좌,우 이송토록 설치되며, 상기 로딩 플레이트(70) 저부에는 브러쉬 스위치(80)가 착설되어 그 하측의 인쇄회로기판(90)상에 인쇄된 모드패턴(10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데크 구동모터(30)는 벨트(110)를 개재하여 로직데크(10) 내부의 양측 리일기어(120)(120')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모드 변환장치는, 로직데크(10)의 FF 모드 전환시, 로딩모터(40)의 구동에 의해 로딩기어(50)를 개재하여 피니언기어(6)의 회전에 의해 로딩 플레이트(70)를 직선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로딩 플레이트(70)하측의 브러쉬 스위치(80)가 모드 패턴(100)의 FF동작 패턴에 접촉할 경우, 전기적인신호에 의해 구동모터(30)를 구동하게 되고,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에 의해 벨트(110)와 연설된 리일기어(120)(120')를 시계방향으로 빠르게 회전토록 함으로써, FF 모드를 실행하게 된다.
이와반대로 REW 모드의 실행시, 역시 로딩모터(40)의 구동으로 로딩 플레이트(70)를 이송하여 브러쉬 스위치(80)가 REW 모드 패턴과 접촉하게 되면,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3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리일기어(120)(120')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토록 함으로써, 로직데크의 모드 변환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이 로직데크의 FF 및 REW 모드 변환은, 로직데크(10)의 모드 변환을 위한 테이프 로딩모터(40)를 별도로 설치한후, 이를 구동하고, 재차 구동모터(30)를 구동함으로 인하여, 상기 로딩모터(40)의 설치에 따른 제품의 단가를 상승시키게 되며, 로직데크의 협소한 공간내에 별도의 공간을 초래하게 되어 제품의 크기가 크게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같은 로직데크(10)에 있어서는, 모드 변환작업시 로딩모터(40)를 구동한후, 재차 테이프 구동모터(30)를 구동하여 모드 변환을 수행토록 함으로인하여, 신속한 모드 변환작업을 기대할 수 없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에 설치되는 카 로직데크의 FF 및 REW 모드 변환동작시, 한 개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이와 프릭션 기어를 개재하여 연설되는 캠기어를 회전 구동하여 로직데크의 FF 및 REW 모드 변환동작을 손쉽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캠기어의 회전에 의해 모드 변환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한 개의 구동모터의 사용에 따른 로직데크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유지하면서도,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카 로직데크의 FF 및 REW 모드 변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구조도.
도 2는 종래 카 로직데크의 모드 변환작업을 수행하는 로딩 플레이트 및 PCB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 로직데크의 FF모드 변환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인 카 로직데크의 REW 모드 변환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조도.
도 5 A 및 B는 본 발명의 프릭션 기어와 맞물려 방향전환 작업을 수행하는 캠기어의 개략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로직데크 220...구동모터
230...로딩기어 240...프릭션 기어
250...캠기어 260...브러쉬 스위치
270...PCB 280...모드 패턴
290...외곽캠 300...방향 전환레버
301...일단부 302...아암 스프링
310...방향전환 기어 320...플라이 휘일기어
330...리일기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구동모터와 연설되는 로딩기어 일측에 설치되어 캠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프릭션 기어와,
상기 프릭션 기어와 맞물려 회전 구동하며, 하측으로 착설되는 브러쉬 스위치가 하부의 PCB에 인쇄된 모드 패턴과 접촉토록 설치되어 모드 변환동작을 수행하는 캠기어와,
상기 캠기어 하측에는 외곽캠이 형성되어 상기 외곽캠에 일단부가 접촉하여 좌우측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방향 전환레버와,
상기 방향 전환레버 타단에 설치되어 좌측 및 우측의 플라이 휘일기어 및 리일기어와 맞물려 회전 구동하는 방향전환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 로직데크의 FF모드 변환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카 로직데크의 REW 모드 변환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조도로서, 로직데크(210)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20)와 연설되는 로딩기어(230) 일측에 캠기어(250)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프릭션 기어(240)가 설치되고, 상기 프릭션 기어(240)와 맞물려 회전 구동하는 캠기어(250)의 저부에는 브러쉬 스위치(260)가 캠기어(250) 하측에 위치되는 PCB(270)에 인쇄된 모드 패턴(280)과 접촉하여 모드 변환동작을 수행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캠기어(150)는 그 저부에 외곽캠(290)이 형성되어, 상기 외곽캠(290)에 방향 전환레버(300)의 일단부(301)가 접촉하여 외곽캠(290)에 의해 좌우측으로 일정각도 회전토록 설치되고, 상기 방향 전환레버(300)의 타단에는 방향전환 기어(310)가 설치되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플라이 휘일기어(320) 및 리일기어(330)와 선택적으로 맞물려 모드 방향을 전환토록 설치된다.
상기 방향 전환레버(300)는 그 일측으로 아암 스프링(302)이 탄설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같이, 로직데크(210) 내부에 설치되는 한 개의 구동모터(220)를 이용하여 테이프의 로딩, 이젝트 동작과 함께, 상기 테이프의 모드 변환동작을 수행할 겨우에는, 상기 구동모터(220)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구동모터와 연설된 모터풀리(미도시)는 클러치에 의해 회전하지 않게 되며, 상기 구동모터(220)의 회전으로 이와 연설되는 로딩기어(230)가 회전하며, 상기 로딩기어(230) 일측에 설치되는 프릭션 기어(240)가 모드 변환동작을 수행하는 캠기어(250)와 맞물려 상기 캠기어(250)를 회전 구동하게 된다.
상기 프릭션 기어(240)와 맞물려 회전 구동하는 캠기어(25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캠기어(250)의 저부에 착설된 브러쉬 스위치(260)가 캠기어(250) 하측에 위치되는 PCB(270)의 모드 패턴(280)과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FF 모드 패턴에 위치하게 되면 캠기어 회전이 정지되면서 FF 모드 변환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캠기어(250)는 그 저부에 외곽캠(290)이 형성되는 상태에서, 상기 외곽캠(290)에는 방향 전환레버(300)의 일단부(301)가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캠기어(250)의 회전에 의해 일체로 회전하는 외곽캠(290)에 의해 상기 방향 전환레버(300)가 좌측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상기 방향 전환레버(300)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향전환 기어(310)가 좌측에 설치되는 플라이 휘일기어(320) 및 리일기어(330)와 맞물리는 상태로 된다.
이에따라서, 상기 캠기어(250)의 회전에 의해 브러쉬 스위치(260)가 하측의 모드패턴(280)의 FF 모드패턴에 위치되어 정지되면,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220)가 반 시계방향으로 빨리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모터풀리(K)와 벨트(B)로서 연설되는 리일 기어(330)가 회전하여 FF 모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로직데크(210)의 구동중 REW 모드 변환동작을 수행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모터(220)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프릭션 기어(240)가 캠기어(250)와 맞물려 캠기어(250)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캠기어(250)는 그 하측 브러쉬 스위치(260)와 함께 회전하여 REW모드 패턴에 위치시 캠기어(250)의 회전이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캠기어(250)의 저부에 형성된 외곽캠(290)과 접촉하는 방향 전환레버(300)의 일단부(301)가 외곽캠(290)으로 부터 이탈되는 상태가 되고, 상기 방향 전환레버(300)의 일측에 탄설되는 아암 스프링(302)의 탄력에 의해 상기 방향 전환레버(300)를 우측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방향 전환레버(300)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향전환 기어(310)가 우측에 설치되는 플라이 휘일기어(320) 및 리일기어(330)와 맞물리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캠기어(250)의 회전에 의해 브러쉬 스위치(260)가 하측의 모드패턴(280)의 REW 모드패턴에 위치되어 정지되면,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220)가 반 시계방향으로 빨리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모터풀리(K)와 벨트(B)로서 연설되는 리일 기어(330)가 회전하여 되감기(REW) 모드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이때 헤드는 캠기어(250)의상측 캠선도를 타고 상측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에따라서, 상기 로직데크(210)는, 한 개의 구동모터(220)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회전 동작에 의해 프릭션 기어(240)와 맞물리는 캠기어(250)의 회전에 의해 방향 전환레버(300)가 좌측 및 우측으로 이송되어 신속한 FF 및 REW 모드 변환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 로직데크의 모드 변환장치에 의하면, 차량에 설치되는 카 로직데크의 FF 및 REW 모드 변환동작시, 한 개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이와 프릭션 기어를 개재하여 연설되는 캠기어를 회전 구동하여 로직데크의 FF 및 REW 모드 변환동작을 손쉽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캠기어의 회전에 의해 모드 변환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한 개의 구동모터의 사용에 따른 로직데크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유지하면서도,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카 로직데크의 모드 변환장치에 있어서,
    카 로직데크(210)의 구동모터(220)와 연설되는 로딩기어(230) 일측에 설치되어 캠기어(250)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프릭션 기어(240)와,
    상기 프릭션 기어(240)와 맞물려 회전 구동하며, 하측으로 착설되는 브러쉬 스위치(260)가 하부의 PCB(270)에 인쇄된 모드 패턴(280)과 접촉토록 설치되어 모드 변환동작을 수행하는 캠기어(250)와,
    상기 캠기어(250) 하측에는 외곽캠(290)이 형성되어 상기 외곽캠(290)에 일단부(301)가 접촉하여 좌우측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방향 전환레버(300)와,
    상기 방향 전환레버(300) 타단에 설치되어 좌측 및 우측의 플라이 휘일기어(320) 및 리일기어(330)와 맞물려 회전 구동하는 방향 전환기어(31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레버(300)는 그 일측으로 아암 스프링(302)이 탄설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20)의 모터풀리(K)는 벨트(B)로서 리일 기어(330)와 연설되어 리일 기어(330)를 회전 구동토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장치.
KR10-1999-0056947A 1999-12-11 1999-12-11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장치 KR100320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947A KR100320923B1 (ko) 1999-12-11 1999-12-11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947A KR100320923B1 (ko) 1999-12-11 1999-12-11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683A true KR20010055683A (ko) 2001-07-04
KR100320923B1 KR100320923B1 (ko) 2004-09-07

Family

ID=19625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947A KR100320923B1 (ko) 1999-12-11 1999-12-11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9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825B1 (ko) * 2002-11-05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모드 스위치 장치
KR101701868B1 (ko) * 2016-09-07 2017-02-02 국방과학연구소 시공간 다이버시티 구현을 위한 실시간 원격측정 데이터 병합 장치 및 병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825B1 (ko) * 2002-11-05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모드 스위치 장치
KR101701868B1 (ko) * 2016-09-07 2017-02-02 국방과학연구소 시공간 다이버시티 구현을 위한 실시간 원격측정 데이터 병합 장치 및 병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0923B1 (ko) 2004-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13620A (ko) 릴 구동 장치
KR100320923B1 (ko) 카 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장치
JPS6132246A (ja) 記録再生装置のモ−ド切換え装置
CN86102708A (zh) 装有数个盒式磁带的盒式磁带录音机
CN2047829U (zh) 自动倒转式录音机走带控制装置
KR100340409B1 (ko) 카로직 데크의 모드 변환용 캠기어
KR100332877B1 (ko) 카 로직 데크의 테이프 주행방향 변환장치
KR20040067330A (ko) 모드 스위치 장치
JPS623349Y2 (ko)
KR0113741Y1 (ko) 헤드폰 스테레오의 모드 변환장치
KR200141241Y1 (ko) 헤드폰 스테레오 메카니즘의 기어절환장치
KR0113742Y1 (ko) 헤드폰 스테레오의 클러치 구동장치
KR0113743Y1 (ko) 헤드폰 스테레오의 아암구동장치
JPS6069852A (ja) テ−プレコ−ダの動作モ−ド切換機構
KR940007538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인식 장치
KR910000953Y1 (ko) 테이프 주행장치에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KR0113740Y1 (ko)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
KR870001886Y1 (ko) 프론프 로우딩 방식 브이 티 알의 카세트 캐리어 이송용 스위치 장치
JPH048512Y2 (ko)
KR870002524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회전형 모우드 스위치
JPS647481Y2 (ko)
JPH0516670Y2 (ko)
JPH0744945A (ja) テープレコーダの動作モード切換機構
KR960016892B1 (ko) 테이프레코더의 데크구동장치
KR100195132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 메커니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