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740Y1 -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 - Google Patents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3740Y1
KR0113740Y1 KR2019940029905U KR19940029905U KR0113740Y1 KR 0113740 Y1 KR0113740 Y1 KR 0113740Y1 KR 2019940029905 U KR2019940029905 U KR 2019940029905U KR 19940029905 U KR19940029905 U KR 19940029905U KR 0113740 Y1 KR0113740 Y1 KR 01137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am gear
headphone stereo
deck mechanism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99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722U (ko
Inventor
박현찬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시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400299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3740Y1/ko
Publication of KR960018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7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3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37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 G11B15/106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mechanically operat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내에 설치된 메인베이스에 장착되어 구동모터에서 구동된 동력을 소정구간내에서 중계시키는 중계수단과, 상기 중계수단에 연동되어, 모드변환에 따라 캠기어를 회전시키는 접동수단과, 상기 접동수단에 맞물림되어 각 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는 모드변환홈이 형성된 캠기어와, 상기 캠기어의 모드별로 회전시 좌우측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여 레버헤드 양측에 장착된 서플라이 및 테이크 아암핀치를 작동시키는 모드변환수단을 장착시킴으로써, 테이프의 각 모드(리버스플레이, 되감기, 빨리감기, 플레이)주행시 이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등의 부품이 삭제되어 재료비,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공차의 오차로 인한 오동작이 미연에 방지되어 메카니즘 동작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도 : 제1도

Description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의 회전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동작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베이스 11 : 구동모터
14,34 : 힌지 12,13 : 서플라이 및 테이크 업 플레이휠
15 : 폴리 16 : 벨트
20,21 : 제1,2아이들기어 22 : 고정축
23 : 캠기어 23a : 모드변환홈
24 : 클러치기어 25,29 : 제1,2릴기어
26,27,28 : 플레이기어 30 : 기어센서
31 : 레버체인지 31a : 수평장공
32,36 : 축 33 : 아암
35 : 아암플레이 37 : 토션스프링
38 : 고정핀 39 : 헤드
40 : 레버헤드 41,41 : 서플라이 및 테이크 업 아암핀치
본 고안은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캠기어(cam gear)의 동작을 제어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solenoid)를 삭제함으로써, 기존의 모델(model)에 비하여 재료비 및 조립공수를 감소시킴은 물론 데크를 박형화시킬 수 있도록 한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headphone stereo deck mechanism)은 테이프에 기록된 음을 재생하거나 또는 외부의 음을 테이프에 기록하는 기기로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테이프에 기록된 음중에서 A면음이나 B면음을 선택해서 재생시킬 수 있도록 각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구성과 작동방식을 갖고 있다.
이러한, 헤드폰 스테레오의 작동은 기기본체내에 듣고자 하는 테이프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레이 키(play key)를 누르면, 마이콤에 의해서 인가되는 전원(2볼트를 정격전압으로 사용)에 의해서 구동기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함과 동시에 구동기구 일측에 장착된 솔레노이드가 온(on)되면서 4개의 종동부(follower)가 캠의 다중 프로파일(profile)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프로파일 즉, 테이프를 플레이할 수 있는 프로파일을 따라 갈 수 있도록 캠을 제어한다.
그리고, 헤드폰 스테레오를 끄고자 할때에는 모드중의 하나인 스톱 키(stop key)를 누르면, 테이프의 플레이와 역순으로 구동기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솔레노이드가 온되면서 스톱을 위한 프로 파일을 캠이 따라 가도록 제어하여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종래의 스테리오 데크 메카니즘은 캠이 선택된 모드(플레이, 되감기, 빨리감기)등의 프로파일을 따라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등의 부품수가 많아 조립작업이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서 재료비가 증가됨은 물론 조립공차가 크므로 각 모드의 동작을 정확하게 진행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테이프의 플레이 도중에 메카니즘이 오동작이 발생되면, 이 에러(error)를 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에러방지수단이 없기 때문에 메카니즘 동작의 신뢰도가 저하되었으며, 스테레오 구동시 2볼트(v)의 정격전압이 사용되어 소비전류가 높아지므로 사용자가 베터리를 한번 충전하여 쓸 수 있는 시간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메인베이스에 구동모터의 동력을 중계시키는 서플라이 및 테이크 업 플라이휠, 플리와 동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기어들 및 캠기어를 장착하고, 상기 캠기어에 좌우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레버체인지을 연결시킴으로써, 테이프의 각 모드(리버스플레이, 되감기, 빨리감기, 플레이) 주행시 이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등의 부품이 삭제되어 재료비 및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공차의 오차로 인한 오동작이 미연에 방지되어 메카니즘 동작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테이프에 기록된 음을 재생하거나 또는 외부의 음을 테이프에 기록하는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에 있어서, 본체내에 설치된 메인베이스에 장착되어 구동모터에서 구동된 동력을 소정구간내에서 중계시키는 중계수단과, 상기 중계수단에 연동되어 모드변환에 따라 캠기어를 회전시키는 접동수단과, 상기 접동수단에 맞물림되어 각 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는 모드변환홈이 형성된 캠기어와, 상기 캠기어의 모드별로 회전시 좌우측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여 레버헤드 양측에 장착된 서플라이 및 테이크 업 아암핀치를 작동시키는 모드변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메카니즘의 회전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2도는 동작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되지 않은 본체내에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된 메인베이스(10)에는 구동모터(11)에서 구동된 동력을 소정구간내에서 중계시키기 위하여 중계수단인 서플라이 및 테이크 업 플라이휠(12)(13)이 각각 힌지(1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서플라이 플라이휠(12) 일측에는 풀리(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크 업 플라이휠(13) 및 풀리(15)에는 구동모터(1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벨트(16)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서플라이 플라이휠(12)에는 엇걸기 타입(anti rolling type)으로 벨트(16)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테이크 업 플라이휠(13)에는 구동모터(11)에서 구동된 동력을 전달시키기 위해 접동수단인 제1아이들기어(20)가 맞물림되고, 제1아이들기어(20)에는 제2아이들기어(21)와 고정축(22)에 의해 메인베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캠기어(23)가 맞물림되어 있으며, 상기 캠기어(23)에는 리버스 플레이(RVS PLAY), 되감기(REW), 빨리감기(F.F), 플레이(FORD PLAY)의 모드를 변환시킬수 있는 모드변환홈(2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아이들기어(21)에는 클러치기어(24) 및 테이프가 안착되는 제 1 릴기어(25)가 맞물림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기어(24)에는 다수의 플레이기어(26)(27)(28)가 맞물림되어 있으며, 상기 플레이기어(28) 일측에는 제2 릴기어(29)가 맞물림되고, 상기 제1릴기어(25)와 플레이기어(26)사이에는 기어센서(30)가 맞물림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캠기어(23)의 중앙에 고정된 고정축(22)에는 일단부에 모드변환수단인 수평장공(31a)이 형성된 레버체인지(lever change)(31)가 좌우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체인지(31) 상단부에는 축(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아암(33)이 장착되고, 하단부에는 레버체인지(31)의 좌우 이동시 힌지(34)를 중심으로 좌우회전되는 아암플레이(3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암플레이(35) 일측에는 축(36)에 삽입된 토션스프링(37)이 구비되어 있고, 이 토션스프링(37)의 일단은 아암플레이(35)의 저면에 고정되며, 또 다른 일단은 고정핀(38)에 의해 걸림유지되면서 아암플레이(35) 상면에 고정되며, 이 아암플레이(35) 하방향에는 헤드(head)(39)가 장착된 레버헤드(lever head)(4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레버헤드(40)좌, 우측에는 서플라이 및 테이크 업 아암핀치(41)(42)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베이스(10)에 장착된 한쌍의 제1,2 릴기어(15)(29)에 테이프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본체에 설치되는 플레이키(도시되지않음)를 누르면, 플레이모드일때 구동모터(1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벨트(16)에 의해 동력을 중계시키는 서플라이 및 테이크 업 플레이휠(12)(13) 및 풀리(15)가 회전되고, 상기 테이크 업 플레이휠(13)에 맞물림된 제 1 아이들기어(20)를 회전시켜 회전계에 동력을 전달시킨다. 이때,상기 서플라이 플라이휠(12)에 엇걸려진 벨트(16)에 의해 테이프의 정, 역방향 플레이시 모터의 회전방향을 변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테이크 업 플라이휠(1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아이들기어(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아이들기어(20) 일측에서 맞물림된 캠기어(2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맞물림된 제 2 아이들기어(21) 및 다수의 기어군을 회전시켜 테이프를 주행시킨다.
그리고, 상기 캠기어(23)의 고정축(22)에 수평장공(31a)이 삽입된 레버 체인지(31)는 구동모터가 모드변환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 1 아이들기어(20)에 의해 회전되는 캠기어(23)의 모드변환홈(23a)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축(32)에 의해 고정된 아암(3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레버체인지(31)하단단부에 설치된 아암플레이가 힌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아암플레이(35)의 상면과 저면에 고정된 토션스프링(37)은 인장하게 되며, 상기 아암플레이(35)가 회전됨에 따라서 레버헤드(40)양측에 설치된 서플라이 및 테이크 업 아암핀치(41)(42)를 각 모드별로 동작시키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에 의하면, 테이프의 각 모드(리버스플레이, 되감기, 빨리감기, 플레이) 주행시 이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등의 부품이 삭제되어 재료비,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공차의 오차로 인한 오동작이 미연에 방지되어 메카니즘 동작의 신뢰도를 향상시킬수 있다.

Claims (4)

  1. 테이프에 기록된 음을 재생하거나 또는 외부의 음을 테이프에 기록하는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에 있어서, 본체내에 설치된 메인베이스에 장착되어 구동모터에서 구동된 동력을 소정구간내에서 중계시키는 중계수단과, 상기 중계수단에 연동되어 모드변환에 따라 캠기어를 회전시키는 접동수단과, 상기 접동수단에 맞물림되어 각 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는 모드변환홈이 형성된 캠기어와, 상기 캠기어의 모드별로 회전시 좌우측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여 레버헤드 양측에 장착된 서플라이 및 테이크 업 아암핀지를 작동시키는 모드변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가니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시 구동력을 회전계로 전달시키는 서플라이 및 테이크 업 플라이휠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서플라이 플라이휠 일측에 설치되는 풀리와, 상기 서플라이 및 테이크 업 플라이휠과 풀리에 엇걸리게 연결된 벨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수단은, 테이프가 안착된 제1,2릴기어의 주행시키기 위하여 테이크 업 플라이휠에 맞물림되는 제 1 아이들기어와, 상기 제1아이들기어 일측으로 제 2아이들기어, 클러치 기어 및 다수의 플레이기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변환수단은, 상기 캠기어의 모드변환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장착되는 수평장공이 형성된 레버체인지와, 상기 레버체인지 상단부에는 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아암과, 상기 레버체인지 하단부에 장착되어 레버체인지 좌우 이동시 힌지를 중심으로 좌우회전되는 아암플레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
KR2019940029905U 1994-11-11 1994-11-11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 KR01137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9905U KR0113740Y1 (ko) 1994-11-11 1994-11-11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9905U KR0113740Y1 (ko) 1994-11-11 1994-11-11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722U KR960018722U (ko) 1996-06-19
KR0113740Y1 true KR0113740Y1 (ko) 1998-04-17

Family

ID=1939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9905U KR0113740Y1 (ko) 1994-11-11 1994-11-11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37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722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1132B1 (ko) 리버스식 기록 재생장치의 모드전환기구
CN1074571C (zh) 用于盒式录象机的卷带盘传动装置
KR0113740Y1 (ko)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 메카니즘
KR0113741Y1 (ko) 헤드폰 스테레오의 모드 변환장치
KR930002274Y1 (ko) 자기테이프용 카세트 데크
US5729402A (en) Logic controlled cassette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100200636B1 (ko) 휴대용 오디오 로직데크의 벨트 장력 가변장치
JPH0581978B2 (ko)
JPH067465Y2 (ja) 動力伝達装置
KR930002276Y1 (ko) 로직형 카세트 데크의 솔레노이드 보력장치
JPH045085Y2 (ko)
KR0113742Y1 (ko) 헤드폰 스테레오의 클러치 구동장치
JPH0538419Y2 (ko)
KR100282139B1 (ko) 테이프 리코더의 구동 시스템
JPH067461Y2 (ja) リバ−ス式テ−プレコ−ダの駆動機構
KR200204185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테이프 가이드장치
JPH021711Y2 (ko)
JPS6142761A (ja) 記録媒体駆動装置
KR930007872Y1 (ko) 오토 리버스 카 데크의 센서
KR930002273Y1 (ko) 로직형 카세트 데크의 모드 록킹장치
KR910000953Y1 (ko) 테이프 주행장치에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KR0130219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고속감기 절환장치
KR940007619B1 (ko) 오토 리버스형 카세트 레코더의 핀치 암 구동장치
KR200283454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
KR10027773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모드 감지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