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454Y1 -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454Y1
KR200283454Y1 KR2019970029521U KR19970029521U KR200283454Y1 KR 200283454 Y1 KR200283454 Y1 KR 200283454Y1 KR 2019970029521 U KR2019970029521 U KR 2019970029521U KR 19970029521 U KR19970029521 U KR 19970029521U KR 200283454 Y1 KR200283454 Y1 KR 200283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driven pulley
output gear
magnetic record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5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173U (ko
Inventor
최성훈
백명철
채유석
홍성표
박종대
이수범
방준봉
연의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700295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454Y1/ko
Publication of KR199900161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1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4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50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by mechanical linkage, e.g. clutc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Landscapes

  • Gear Transmiss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에서 캡스턴 모터로부터의 동력을 릴측으로 전달함에 있어서 회전방향에 따라 토크에 차이가 나도록 하는 클러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동력전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소요부품수의 절감을 도모한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릴 구동장치는 샤시상에 일단부가 지지되는 회전중심축의 주위에 축설되어 캡스턴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풀리와, 종동풀리의 상면과의 사이에 마찰부재를 개재시킨 상태로 회전중심축의 주위에 설치되며 상면에 맞물림 클러치가 돌출형성된 클러치 회전판과, 클러치 회전판 상부의 회전중심축 주위에 설치되며 본체 하부로 상기 맞물림 클러치와 접속되는 맞물림 클러치가 형성된 출력기어 및 클러치 회전판과 출력기어 사이의 회전중심축상에 스프링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종동풀리와 한 몸체로 회전하도록 장착된 클러치 캡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
본 고안은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캡스턴 모터로부터의 동력을 릴축으로 전달함에 있어서 캡스턴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토크에 차이가 나도록 하여 릴측으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클러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동력전달의 신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소요부품수의 절감을 도모한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의 일예를 제1도 및 제2도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는 종래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에 대한 평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 장치중 클러치부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릴 구동장치는, 공급릴(1)과 권취릴(2)의 사이에 이들 각각과 기어결합을 이루고 있는 두개의 연결기어(3)(3')가 위치하고, 상기 연결기어(3)(3')의 사이에는 이들 중 어느 일측에 선택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아이들러 기어(4)가 위치하는 한편, 상기 아이들러 기어(4)는 캡스턴 풀리(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풀리(6)와 기어결합을 이루고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캡스턴 풀리(5)와 종동풀리(6) 사이에는 벨트(7)가 연결되어 캡스턴 모터로부터의 회전구동력이 종동풀리(6)로 전달된다. 그리고, 종동풀리(6)의 일측에는 고속감기(FF/REW) 모드 절환을 위한 F/R 레버(8)가 장착되어 종동풀리(6)의 회전축(6a)에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축설됨과 아울러 타측에는 아이들러 기어(4)가 지지되는 아이들러 아암(9)을 수직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릴 구동장치에서는 자기 테이프이 주행계 특성에 기인하여캡스턴 모터의 회전방향, 즉 플레이 모드(CUE 모드)일 때와 REV 모드일 때를 구분하여 각 릴에 공급되는 토크(Torque)에 차이가 나도록 함으로써 테이프 주행계를 주행하는 테이프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는 바, 이러한 토크의 변화는 제1도의 장치중 종동풀리(6)의 회전축상에 설치된 클러치부에 의해서 수행되는 데, 그 클러치부의 일반적인 구조를 제2도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 릴 구동장치의 클러치부는 종동풀리(6)의 회진중심축(6a)을 따라 축수(10)가 외삽되고, 축수(10)를 중심으로 그 상부에 캡(11)과 출력기어(12)가 결합되는 한편, 그 아랫쪽의 베어링(13)이 개재된 종동풀리(6)의 상하면에는 상,하부 마찰부재(14a)(14B)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하부 마찰부재(14b)의 저면에는 축수(10)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된 받침판(10a)이 위치하고 상부 마찰부재(14a)의 상면에는 지지판(15)이 설치되는 한편 지지판(15)과 출력기어(12) 사이에는 압축스프링(16)이 개재됨에 따라 상,하부 마찰부재(14a)(14b)는 종동풀리(6)의 상하면에 밀착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캡(11)의 저면에는 경사면을 갖는 결합돌기(11a)가 구비되고, 캡(11)의 저면과 접촉하는 출력기어(12)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1a)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결합요부(12a)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릴 구동장치의 클러치 구조에 의한 동력전달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캡스턴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풀리(6)가 회전함에 따라 그회전력은 마찰부재(14a)(14b), 축수(10) 및 캡(11)을 거쳐 출력기어(12)로 전달되는데, 이때 캡(11)과 출력기어(12) 사이에는 각기 경사면을 갖는 결합돌기(11a)와 결합요부(12a)간의 관계에 의해서 캡(11)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출력기어(12)가 경사면을 따라 상하로 일정폭만큼 이동하게 된다.
다시말하면, 캡스턴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출력기어(12)의 높이가 변화되어 압축스프링(16)의 압축고가 변화됨으로써 마찰부재(14a)(14b)와 이들과 마찰접촉하고 있는 부재들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변화되어 출력기어(12)를 통해서 릴측으로 전달되는 토크가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릴 구동장치의 클러치 구조에서는 벨트(7) 장력에 따른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축수(10) 및 베어링(13)등의 부품을 필요로 함에 따라 재료비의 상승 및 조립성의 악화라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동풀리가 베어링을 개재시킴이 없이 직접 회전축에 결합되도록 하는 한편 종동풀리로부터 출력기어로 전달되는 회전구동력의 정역방향에 의한 토크 변화는 클러치 회전판과 출력기어간의 경사면 결합구조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한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회전중심축에 외삽된 종동풀리와, 경사면을 갖는 맞물림 클러치가 구비되고 종동풀리의 상면과의 사이에 마찰부재를 사이에 두고 회전축 주위에 설치되는 클러치 회전판과, 클러치 회전판의 맞물림 클러치와 접속되는맞물림 클러치가 구비되고 회전축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출력기어간의 유기적인 결합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제3도는 본 고안 릴 구동장치의 동력전달계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릴 구동장치는 샤시(20)상에 상단부가 지지되는 회전중심축(21)을 중심으로 종동풀리(22)와 종동풀리(22)의 회전구동력을 아이들러 기어(14)로 전달하는 출력기어(23)가 결합되고, 다시 아이들러 기어(24)는 릴(26)과 기어결합하는 대,소기어(25a)(25b)가 구비된 연결기어(25)와 기어결합되어 캡스턴 모터로부터의 동력은 종동풀리(22), 출력기어(23), 아이들러 기어(24) 및 연결기어(25)를 거쳐 최종적으로 릴(26)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러 기어(24)의 회전중심축과 출력기어(23)의 회전중심축(21)상에는 아이들러 아암(27)이 이들 회전중심축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아이들러 아암(27)의 일측 상면에는 절환레버(28)의 단부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서 빨리감기 모드시에는 절환레버(27)의 동작에 의해서 아이들러 아암(27)의 하부에 위치하는 출력기어(23) 및 아이들러 기어(24)의 하향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제4도는 본 고안 클러치 조립체의 조립전 상태에 대한 종단면도로서, 이에 의거하여 클러치 조립체의 구조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클러치 조립체는 종동풀리(22)의 중앙부에 형성된 보스(22a) 외부에 제1마찰부재(29)와 클러치 회전판(30) 및 제2마찰부재(31)가 순차적으로 끼워지고, 다시 그위로 마찰토크 발생용 스프링(32)와 클러치 캡(33)이 설치되는 한편 클러치 캡(33)의 상부에 와셔(34)와 스프링(35)이 개재된 상태에서 출력기어(23)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클러치 회전판(30)의 상면에는 동심원상으로 다수개의 맞물림 클러치(30a)가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출력기어(23)의 하부로는 상기 클러치 회전판(30)의 맞물림 클러치(30a)에 접속되는 맞물림 클러치(23a)가 대응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 캡(33)은 그 하부로 연장된 원통형 플랜지부가 종동풀리(22)의 보스(22a)에 압입상태로 외삽되어 종동풀리(22)와는 한 몸체로 회전하게 되며, 그 상면 주연부상에는 맞물림 클러치(33a)가 형성되어 출력기어(23)의 저면 내측에 대응 형성된 맞물림 클러치(23b)가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5도는 본 고안 릴 구동장치의 회전방향에 따른 토크변화를 보인 클러치부에 대한 확대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출력기어(23)의 맞물림 클러치(23a) 하단부 일측에는 경사면(S1)이 형성되고, 이에 대향하는 클러치 회전판(30)의 맞물림 클러치(30a) 상단부 일측이 경사면(S2)으로 형성되어 있다. 반면에 상기 맞물림 클러치(23a)의 경사면(S1) 반대편면(R1)과 이에 대향하는 맞물림 클러치(30a)의 상단면(R2)는 서로 수직으로 평행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클러치 구조에서 클러치 회전판(30)이 반시계 방향(본 실시예에서Play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양 맞물림 클러치(23a)(30a)의 서로 수직으로 평행한 면들(R1, R2)간에 접촉이 발생하여 클러치 회전판(30)과 제1마찰부재(29)에는 스프링(32)의 하중만이 작용함으로써 상대적인 토크의 세기가 낮은 상태가 된다.
반대로, 클러치 회전판(30)이 시계방향(본 실시예에서 Rev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양 맞물림 클러치(23a)(30a)의 경사면(S1, S2)에서 접촉이 발생하여 경사면 각도에 따른 수직분력 "-F"와 스프링(32)의 하중이 클러치 회전판(30)과 제1마찰부재(29)에 가해지게 된다. 이때, 토크는 하중에 비례하기 때문에 출력기어(23)를 통해서 릴측으로 전달되는 토크가 커지게 된다.
한편, 제3도는 재생모드(Play/Rev)시의 기어결합 관계를 보인 것으로, 이때의 동력전달은 앞서 살펴본 바와같이 클러치 회전판(30)과 출력기어(23)간의 맞물림 클러치(30a)(23a)판의 결합에 의해서 종동풀리(22)로 입력된 회전구동력이 출력기어(23)를 거쳐 이에 기어결합된 아이들러 기어(24)로 전달되고, 다시 그 회전구동력은 연결기어(25)의 대기어(25a)를 거처 릴(26)로 전해져서 릴(26)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다음, 제6도는 빨리감기 모드(FF/Rew)시의 기어결합 관계를 보인 것으로, 이때의 동력전달은 절환레버(28)의 작동에 의해서 출력기어(23) 및 아이들러 기어(24)가 각각의 회전중심축을 따라 하향이동됨에 따라 종동풀리(22)로부터의 회전구동력은 클러치 캡(33)의 맞물림 클러치(33a)와 출력기어(23)의 내측에 형성된 맞물림 클러치(23b)간의 접속을 통해서 출력기어(23), 아이들러 기어(24), 연결기어(25)를 순차적으로 거쳐 릴(26)측으로 전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릴 구동장치에서는 종래의 클러치 구조에 비해서 베어링이나 축수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클러치 구성을 통해서 정,역 방향의 토오크가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클러치 조립체의 조립성 개선 및 재료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도는 종래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에 대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 릴 구동장치중 클러치부에 대한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릴 구동장치의 재생모드시 동력전달 과정을 보인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릴 구동장치중 클러치부에 대한 조립전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 릴 구동장치의 회전방향에 따른 토크변화를 보인 클러치부에 대한 확대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 릴 구동장치의 빨리감기 모드시 동력전달 과정을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회전중심축 22. 종동풀리
22a. 보스 23. 출력기어
23a, 23b, 30a, 33a. 맞물림 클러치
29, 31. 마찰부재 30. 클러치 회전판
32, 35. 스프링 33. 클러치 캡

Claims (4)

  1. 샤시(20)상에 일단부가 지지되는 회전중심축(21)의 주위에 축설되어 캡스턴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풀리(22)와,
    종동풀리(22)의 상면과의 사이에 마찰부재(29)를 개재시킨 상태로 회전중심축(21)의 주위에 설치되며 상면에 맞물림 클러치(30a)가 돌출형성된 클러치 회전판(30)과,
    클러치 회전판(30) 상부의 회전중심축(21) 주위에 설치되며 본체 하부로 상기 맞물림 클러치(30a)와 접속되는 맞물림 클러치(23a)가 형성된 출력기어(23) 및
    클러치 회전판(30)과 출력기어(30) 사이의 회전중심축(21)상에 스프링(32)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종동풀리(22)와 한 몸체로 회전하도록 장착된 클러치 캡(3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풀리(22)는 중앙부에 회전중심축(21)의 삽입을 안내하는 축삽입용 보스(22a)가 구비되어 그 보스(22a)의 외주면에 상기 클러치 캡(33)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클러치 회전판(30)의 맞물림 클러치(30a)와 출력기어(23)의 맞물림 클러치(23a)간의 접속부중 회전방향별 일측 접속부에 각각 경사면(S1)(S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클러치 캡(33)은 상부에 맞물림 클러치(33a)가 구비되고, 출력기어(23)의 하부에는 빨리감기 모드시 상기 맞물림 클러치(33a)에 접속되는 맞물림 클러치(23b)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
KR2019970029521U 1997-10-24 1997-10-24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 KR2002834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521U KR200283454Y1 (ko) 1997-10-24 1997-10-24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521U KR200283454Y1 (ko) 1997-10-24 1997-10-24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173U KR19990016173U (ko) 1999-05-25
KR200283454Y1 true KR200283454Y1 (ko) 2002-10-31

Family

ID=5389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521U KR200283454Y1 (ko) 1997-10-24 1997-10-24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4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173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3418A (en) Reel-driving clutch assembly for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4059245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US4760751A (en) Rotary driving mechanism
KR200283454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
US5788175A (en) Reel driving apparatus for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5230483A (en) Reel torque device for video cassette tape recorder
KR0176532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 구동장치
US4499783A (en) Tape recording machine
KR19990033550A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구동장치
US5884858A (en) Reel table driving mechanism for a video cassette recorder
KR0130219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고속감기 절환장치
US5964425A (en) Deck mechanism of headphone stereo
KR930007874Y1 (ko) Vcr의 릴 구동장치
KR100253210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고속감기 절환장치
KR0165260B1 (ko) 릴구동장치
KR880003914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아이들러전환 및 동력절환장치
KR940001203Y1 (ko) 자기기록 및 재생기용 릴의 일방향 클러치장치
KR940005808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 디스크 구동장치
KR930006583Y1 (ko) 브이 씨 알의 유체 클러치를 이용한 릴 구동장치
US5833164A (en) Tape reel driving device
EP0455548A2 (en) Reel driving apparatus of video cassette recorders
KR900003391Y1 (ko) 원심력을 이용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클러치 절환장치
KR930003972Y1 (ko) 브이씨알의 릴테이블 구동장치
US5881961A (en) Reel driving device capable of eliminating friction between a pressing plate and a rotating driving gear
KR0131564B1 (ko) 테이프레코더의 릴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