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4820A -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 - Google Patents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4820A
KR20010054820A KR1019990055796A KR19990055796A KR20010054820A KR 20010054820 A KR20010054820 A KR 20010054820A KR 1019990055796 A KR1019990055796 A KR 1019990055796A KR 19990055796 A KR19990055796 A KR 19990055796A KR 20010054820 A KR20010054820 A KR 20010054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le
lever
piece
pressing piece
ex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일
Original Assignee
김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일 filed Critical 김상일
Priority to KR1019990055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4820A/ko
Publication of KR20010054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82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7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removing surgical staples or wound c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는 스테이플을 발취하기 위하여 제1, 제2 가위형 레버를 쥐고 힘을 가하였다가 그 힘을 제거하였을 때 탄성복원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거나 탄성복원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그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요소가 합성수지로 성형된 가위형 레버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어서 탄성복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거나 쉽게 절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제1, 제2 가위형 레버에 결합되는 강판으로 성형된 스테이플 받침편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편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탄성복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절단 등의 파손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1, 제2 가위형 레버와 이에 결합되는 스테이플 받침편 및 스테이플 누름편을 하나의 축핀에 의해 조립할 수 있게 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간편하게 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SURGICAL STAPLE REMOVER}
본 발명은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surgical staple extractor; 外科用 스테이플 拔取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과 수술 과정에서의 피부나 생체 조직의 봉합은 예로부터 바늘과 실을 사용하는 기술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는 고도의 숙련과 세심한 주의를 요하는 것이어서 근래에는 스테이플러형으로 된 외과용 봉합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외과용 스테이플은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양단에 직각으로 절곡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에 의해 "ㄷ"자형으로 스테이플형 봉합기에 장전되며, 수직부의 끝단이 피부나 생체 조직을 뚫고 들어감과 아울러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대략 "ㅁ"자형으로 봉합된다.
이와 같이 봉합된 스테이플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내측으로 절곡된 양측 끝단을 가시 벌어지게 하면서 끌어내야 한다.
종래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로서는 Blake에 의한 미합중국 특허 제4,515,358호와, Markus에 의한 미합중국 특허 제4,589,631호와, Powell에 의한 미합중국 특허 제4,802478호 및 Di Cesare 등에 의한 미합중국 특허 제4,805,876호 등으로 알려진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는 후단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한 쌍의 합성수지로 된 가위형 레버(lever)와, 양측 레버의 선단 중 상측에 위치하는 선단에결합되는 금속제(스테인레스 강제)의 스테이플 누름편과, 양측 레버의 선단 중 하측에 위치하는 선단에 결합되는 금속제(스테인레스 강제)의 한 쌍의 스테이플 받침편으로 구성되어 봉합된 스테이플과 봉합 부위의 사이로 한 쌍의 스테이플 받침편을 삽입하여 스테이플 수평부의 양단 부근이 한 쌍의 스테이플 받침편에 얹혀진 상태로 되도록 한 다음 가위형 레버의 손잡이부를 누르면 스테이플 누름편이 하강하면서 스테이플의 수평부 중앙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스테이플 수평부의 중간부가 하방으로 절곡되면서 양단 부분이 상대적으로 들어올려지게 되며, 수평부의 양단에 연결된 스테이플 수직부가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피부나 생체 조직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최종적으로 스테이플은 그 수평부가 한 쌍의 스테이플 받침편과 스테이플 누름편 사이에 걸쳐진 상태로 되므로 이 때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를 들어올리는 것에 의하여 스테이플의 발취가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Blake 등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는 단순히 가위형 레버를 힌지핀으로 연결한 것으로서 양측 가위형 레버를 오므려 스테이플을 발취한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가위형 레버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Markus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는 스테이플을 발취하기 위하여 한 쌍의 가위형 레버의 손잡이부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였을 때 양측 가위형 레버의 손잡이부와 선단부가 서로 벌어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일측 가위형 레버에 탄성편을 일체로 형성하고 타측 가위형 레버에는 상기 탄성편에 접촉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으나 그 탄성복원력이 충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쉽게 절단되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Powell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는 스테이플에 의하여 봉합하였을 때 스테이플 수평부의 양측단부가 중간부보다 들려진 상태로 되도록 함으로써 발취시 스테이플 발취기의 스테이플 받침편을 피부나 생체 조직과 스테이플 수평부 사이로 삽입하기 쉽도록 한 것일 뿐 한 쌍의 가위형 레버의 탄성복원에 대한 배려가 없는 것이어서 사용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Di Cesare 등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는 스테이플 받침편을 뱀머리형으로 형성하여 피부나 생체 조직과 스테이플 수평부 사이로 스테이플 받침편을 삽입하기 쉽도록 한 것이나 한 쌍의 가위형 레버의 탄성복원에 대한 배려가 없는 것이어서 사용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가위형 레버의 탄성복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구성 요소의 절단 등의 파손을 배제한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쌍의 가위형 레버의 선단에 결합되는 스테이플 받침편과 스테이플 누름편의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의 종단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회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에 의하여 스테이플을 발취하는 과정을 보인 우측면도로서,
도 5a는 스테이플 받침편을 스테이플의 수평부와 피부 또는 생체 조직 사이로 삽입하는 단계를 보인 우측면도이고,
도 5b는 스테이플 받침편을 스테이플의 수평부와 피부 또는 생체 조직 사이로 삽입 완료한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이며,
도 5c는 스테이플의 발취가 완료된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에 의하여 스테이플을 발취하는 과정을 보인 종단 정면도로서,
도 6a는 스테이플 받침편을 스테이플의 수평부와 피부 또는 생체 조직 사이로 삽입 완료한 단계를 보인 종단 정면도.
도 6b는 스테이플의 발취가 완료된 상태를 보인 종단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0 : 제1, 제2 가위형 레버 13 : 스테이플 받침편 결합부
16 : 스테이플 받침편 삽입홈 17 : 핀공
23 : 스테이플 누름편 결합부 24 : 스테이플 누름편 지지판부
27 : 핀공 28 : 안내돌기
30 : 스테이플 받침편 31,31 : 레버 결합부
32,32 : 스테이플 받침날부 34 : 탄성편
35 : 핀공 36 : 안내장공
40 : 스테이플 누름편 41,41 : 레버 결합부
42,42 : 스테이플 누름날부 44 : 핀공
45 : 안내돌기 관통공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축핀에 의하여 서로 회동 가능하게결합되는 제1, 제2 가위형 레버와; 상기 제1 가위형 레버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피부 또는 생체 조직과 스테이플 수평부의 양단 부분 사이로 삽입되는 스테이플 받침편과; 상기 제2 가위형 레버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스테이플 수평부의 중간부를 누르는 스테이플 누름편과;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과 일체로 형성되어 그 끝단부가 제1 가위형 레버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제1, 제2 가위형 레버가 상시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1 가위형 레버의 스테이플 받침편 결합부의 양측벽과 제2 가위형 레버의 스테이플 누름편 결합부의 누름편 지지판부와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의 레버 결합부 및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의 레버 결합부에는 상기 축핀이 삽입되는 핀공이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 가위형 레버의 스테이플 누름편 결합부의 스테이플 누름편 지지판부 양측면에는 상기 핀공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의 레버 결합부에는 상기 안내돌기가 관통되는 안내돌기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의 레버 결합부에는 상기 핀공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의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안내돌기가 삽입 안내되는 원호형 안내장공이 형성된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근에서 축핀(P)으로 연결되어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제2 가위형 레버(10,20)와, 상기 제1 가위형 레버(10)의 선단에 결합되어 피부 또는 생체 조직(S)과 스테이플(1)의 수평부(1a) 사이에 삽입되어 수평부(1a)의 양단 부근을 받혀주는 스테이플 받침편(30)과, 상기 제2 가위형 레버(20)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30)에 의해 받혀진 수평부(1a)의 중간부를 누르는 스테이플 누름편(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제2 가위형 레버(10,2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후단부에는 손가락 삽입공(12,22)이 형성된 손잡이부(11,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가위형 레버(20)의 손잡이부(20) 후방에는 손가락 걸림부(21a)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가위형 레버(10)는 손잡이부(11)가 상측에 위치하고 선단부가 하측에 위치하게 되며, 제2 가위형 레버(20)는 손잡이부(21)가 하측에 위치하고 선단부가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 가위형 레버(10)의 선단부에는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30)을 결합하기 위한 스테이플 받침편 결합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 결합부(13)는 양측벽(14,14)과 상면벽(15) 및 이들 양측벽(14,14)과 상면벽(15) 사이에 형성되는 스테이플 받침편 삽입홈(16)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벽(14,14)에는 상기 한 쌍의 가위형 레버(10,20)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축핀(P)이 관통되는 핀공(17)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제2 가위형 레버(20)의 선단부에는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40)이 결합되는 스테이플 누름편 결합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 결합부(23)는 박판형의 스테이플 누름편 지지판부(24)와,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 지지판부(24)의 양측 상하 연부를 따라 형성되는 스테이플 누름편 걸림턱(25,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 지지판부(24)에는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 결합부(13)의 양측벽(14,14)에 천공된 핀공(17)에 대응하는 핀공(27)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 지지판부(24)의 양측면에는 상기 핀공(27)에 대하여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안내돌기(2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가위형 레버(20)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스테이플 받침편(30)의 탄성편(35)의 끝단부를 안내하는 탄성편 안내홈(29)이 형성된다.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30)은 상기 제1 가위형 레버(10)의 스테이플 받침편 결합부(13)에 결합되는 레버 결합부(31,31)와, 상기 레버 결합부(31,31)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스테이플 받침날부(32,32)와, 상기 레버 결합부(31,31)의 후면 하방으로 연장되는 탄성편(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30)은 하나의 스테인레스 강판을 절곡하여 외측 두께가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 결합부(13)의 스테이플 받침편 삽입홈(16)에 삽입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고, 내측 간격은 제2 가위형 레버(20)의 스테이플 누름편 결합부(23)와 스테이플 누름편(4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레버 결합부(31,31)는 상측 연부의 일부만 연결부(33)에 의하여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레버 결합부(31,31)에는 상기 제1, 제2 가위형 레버(10,20)의 핀공(17,27)에 대응하는 핀공(35)이 천공됨과 아울러 상기 핀공(35)을 중심으로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위형 레버(20)에 형성된 안내돌기(28)가 삽입, 안내되는 안내장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플 받침날부(32,32)는 피부나 생체 조직(S)과 스테이플의 수평부(1a) 사이로 삽입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선단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진 하측 경사연부(32a,32a)와 수평을 유지하는 상측의 수평연부(32b,32b)에 의하여 선단이 예리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테이플 받침날부(32,32)는 그 선단이 서로 안쪽을 향해 절곡되어 서로 밀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편(34)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끝단부가 상기 제2 가위형 레버(20)의 탄성편 안내홈(29)에 삽입,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편(34)의 끝단부에는 탄성편 안내홈(29)에 삽입, 안내되는 과정에서 탄성편 안내홈(29)의 내면이 긁히지 않도록 상향 절곡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40)은 상기 제2 가위형 레버(20)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레버 결합부(41,41)와, 상기 레버 결합부(41,41)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스테이플 누름날부(42,42)로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40)은 하나의 스테인레스 강판을 절곡하여 상기 레버 결합부(41,41)는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 결합부(23)의 스테이플 누름판 지지판부(24)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스테이플 누름날부(42,42)는 서로 밀착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테이플 누름날부(42,42)는 하측 연부에서만 연결부(43)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레버 결합부(41,41)에는 상기 핀공(17,27) 및 (35)에 대응하는 핀공(44)이 천공됨과 아울러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30)의 원호형 안내장공(36)에 대응하는 안내돌기 관통공(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가위형 레버(10,20)와 스테이플 받침편(30) 및 스테이플 누름편(40)을 조립함에 있어서는 상기 제1 가위형 레버(10)의 스테이플 받침편 결합부(13)에 형성된 스테이플 받침편 삽입홈(16)에 스테이플 받침편(30)의 레버 결합부(31,31)를 삽입하여 레버 결합부(31,31)의 외측면이 스테이플 받침편 삽입홈(16)을 형성하는 양측벽(14,14)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레버 결합부(31,31)의 상측 연부가 상기 상면벽(15)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 결합부(13)의 양측벽(14,14)에 천공된 핀공(17)과 스테이플 받침편(30)의 레버 결합부(31,31)에 천공된 핀공(35)이 서로 일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2 가위형 레버(20)의 스테이플 누름편 결합부(23)에 형성된 스테이플 누름편 지지판부(24)를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40)의 레버 결합부(41,41) 사이로 삽입하여 레버 결합부(41,41)의 내측면이 스테이플 누름편 지지판부(24)의 양측면에 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측 연부가 스테이플 누름편 걸림턱(25,26)에 걸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 결합부(23)의 스테이플 누름편 지지판부(24)에 천공된 핀공(27)과 스테이플 누름편(40)의 레버 결합부(41,41)에 천공된 핀공(44)이 서로 일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 지지판부(24)에 돌출 형성된 안내돌기(28)가 스테이플 누름편(40)의 레버 결합부(41,41)에 천공된 안내돌기 관통공(45)을 통하여 관통, 돌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가위형 레버(10)에 스테이플 받침편(30)이, 제2 가위형 레버(20)에 스테이플 누름편(40)이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40)이 결합된 제2 가위형 레버(20)의 선단부를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30)이 결합된 제1 가위형 레버(10)의 선단부를 스테이플 누름편(40)의 레버 결합부(41,41) 사이로 삽입하여 스테이플 누름날부(42,42)가 스테이플 받침날부(32,3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제1 가위형 레버(10)와 스테이플 받침편(30)의 핀공(17,35)과 제2 가위형 레버(20)와 스테이플 누름편(40)의 핀공(27,44)이 일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안내돌기 관통공(45)을 통해 관통, 돌출된 안내돌기(28)가 스테이플 받침편(30)의 안내장공(36)에 삽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30)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편(34)의 끝단부가 제2 가위형 레버(20)의 탄성편 안내홈(29)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핀공(17,27,35,44)을 통하여 축핀(P)을 삽입하여 스테이플 받침편(30)과 스테이플 누름편(40)이 각각 결합된 제1, 제2 가위형 레버(10,20)가 가위형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축핀(P)으로서는 리벳이나 볼트, 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리벳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가위형 레버(10)의 스테이플 받침편 결합부(13)의 일측면으로부터 리벳을 삽입하여 그 끝단이 반대측에서 돌출되도록 한 다음 그 돌출단부를 코킹하면 되고, 볼트와 너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스테이플 받침편 결합부(13)의 일측면으로부터 볼트를 삽입하여 그 끝단이 반대측에서 돌출되도록 한 다음 그 돌출단부에 너트를 체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가위형 레버(10)에 결합된 스테이플 받침편(30)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편(34)이 제2 가위형 레버(20)에 형성된 탄성편 안내홈(29)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되므로 제1, 제2 가위형 레버(10,20)는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과 아울러 이들에 결합된 스테이플 받침편(30)의 스테이플 받침날부(32,32)와 스테이플 누름판(40)의 스테이플 누름날부(42,42)도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과 같이 제1 가위형 레버(10)의 손잡이부(11)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공(12)에는 엄지를, 제2 가위형 레버(20)의 손잡이부(21)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공(22)에는 중지 또는 검지를 삽입하여 가위 잡는 식으로 잡는다.
이때, 제2 가위형 레버(20)의 손가락 삽입공(22)에 중지를 삽입하였을 때는 약지가, 검지를 삽입하였을 때는 중지가 손가락 걸림부(21a)에 걸리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도 5a와 같이 손잡이부(11,21)를 들어올리고 선단부가 밑으로 내려가는 상태로 기울여서 스테이플 받침편(30)의 스테이플 받침날부(32,32)의 선단이 피부 또는 생체 조직(S)과 스테이플(1)의 수평부(1a)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를 전진시켜 스테이플 받침날부(32,32)의 선단부가 피부 또는 생체 조직(S)과 스테이플(1)의 수평부(1a) 사이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스테이플 받침날부(32,32)의 선단은 하측 경사연부(32a,32a)와 수평을 유지하는 상측의 수평연부(32b,32b)에 의하여 선단이 예리하게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양측 스테이플 받침날부(32,32)가 안쪽으로 절곡되어 서로 밀착되어 있으므로 스테이플 받침날부(32,32)는 피부 또는 생체 조직(S)과 스테이플(1)의 수평부(1a)와의 사이로 쉽게 삽입된다.
도 5b 및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플 받침날부(32,32)가 피부 또는 생체 조직(S)과 스테이플(1)의 수평부(1a) 사이로 완전히 삽입되며, 스테이플 받침날부(32,32)는 스테이플(1)의 수평부(1a)의 양단 부분을 받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제2 가위형 레버(10,20)의 손잡이부(11,21)를 쥐고 힘을 가하면 스테이플 받침날부(32,32)와 스테이플 누름날부(42,42)는 서로 접근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테이플 받침날부(32,32)가 스테이플(1)의 수평부(1a)의 양단 부분을 받치고 있는 상태에서 스테이플 누름날부(42,42)가 스테이플(1)의 수평부(1a)의 중간부를 누르게 되므로 수평부(1a)의 중간부가 하방으로 절곡되며 상대적으로 양단 부분과 수직부(1b)가 위로 올라오는 식으로 절곡되면서 대략 "ㅁ"자형으로 봉합되어 있던 스테이플(1)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3"자형으로 변형된다.
이때, 스테이플 받침날부(32,32)가 스테이플(1)의 수평부(1a)의 양단 부분을 받친 상태에서 스테이플 누름날부(42,42)가 스테이플(1)의 수평부(1a)의 중간부를 누르는 것만으로 스테이플(1)이 피부 또는 생체 조직(S)으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지 않게 되면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를 들어올려서 미쳐 빠져나오지 않은 부분을 빼내는 것에 의하여 스테이플을 완전히 발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스테이플의 발취가 완료되고, 손잡이부(11,21)를 쥐고 힘을 주었던 손에서 힘을 제거하면 제1, 제2 가위형 레버(10,20)는 탄성편(34)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벌어진 상태로 됨과 동시에 이들에 결합되어 있는 스테이플 받침편(30)의 스테이플 받침날부(32,32)와 스테이플 누름편(40)의 스테이플 누름날부(42,42)도 벌어진 상태, 즉 초기 상태로 복원되어 다음 번 사용을 대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작동 과정에서 상기 탄성편(34)은 그 끝단부가 제2 가위형 레버(20)의 탄성편 안내홈(29)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게 되므로 탄성편(34)이 임의로 이탈되는 일이 없어 탄성복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형성된 스테이플 받침편에 탄성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제1, 제2 가위형 레버 및 이들에 결합된 스테이플 받침편과스테이플 누름편의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것이므로 초기 상태로의 탄성복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면서도 구성 요소의 절단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제2 가위형 레버와 스테이플 받침편 및 스테이플 누름편을 조립함에 있어서 하나의 축핀을 삽입하는 것만으로써 조립이 완료되므로 그 조립이 간편하고 부품수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축핀에 의하여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제2 가위형 레버와;
    상기 제1 가위형 레버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피부 또는 생체 조직과 스테이플 수평부의 양단 부분 사이로 삽입되는 스테이플 받침편과;
    상기 제2 가위형 레버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스테이플 수평부의 중간부를 누르는 스테이플 누름편과;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과 일체로 형성되어 그 끝단부가 제1 가위형 레버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제1, 제2 가위형 레버가 상시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위형 레버의 선단부에는 양측벽과 상면벽 및 이들 양측벽과 상면벽 사이에 형성되는 스테이플 받침편 삽입홈을 가지는 스테이플 받침편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은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 삽입홈에 삽입되는 레버 결합부와, 상기 레버 결합부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피부 또는 생체 조직과 스테이플 수평부의 사이로 삽입되는 스테이플 받침날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가위형 레버의 선단부에는 박판형의 스테이플 누름편 지지판부와,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 지지판부의 양측 상하 연부를 따라 형성되는 스테이플 누름편 걸림턱을 가지는 스테이플 누름편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은 상기 박판형 스테이플 누름편 지지판부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레버 결합부와, 상기 레버 결합부에서 선단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스테이플 수평부의 중간부를 누르는 스테이플 누름날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의 레버 결합부는 스테인레스 강판을 절곡하여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되며 내측면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전체 두께를 가지는 한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의 스테이플 받침날부는 상기 한쌍의 레버 결합부의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그 사이에 상기 스테이플 누름날부가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가지는 한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의 레버 결합부는 스테인레스 강판을 절곡하여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되며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그 내측면이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 지지판부의 양측면에 밀착되도록 한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의 스테이플 누름날부는 상기 한쌍의 레버 결합부의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밀착되는 한쌍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위형 레버의 스테이플 받침편 결합부의 양측벽과 제2 가위형 레버의 스테이플 누름편 결합부의 누름편 지지판부와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의 레버 결합부 및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의 레버 결합부에는 상기 축핀이 삽입되는 핀공이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위형 레버의 스테이플 누름편 결합부의 스테이플 누름편 지지판부 양측면에는 상기 핀공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플 누름편의 레버 결합부에는 상기 안내돌기가 관통되는 안내돌기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의 레버 결합부에는 상기 핀공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의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안내돌기가 삽입 안내되는 원호형 안내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스테이플 받침날부의 선단은 하측의 경사연부와 상측의 수평연부에 의하여 선단이 예리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으로 절곡되어 그 선단이 서로 밀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스테이플 받침편의 연결부에서 후방 및 하방으로 만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그 끝단이 상기 제2 가위형 레버에 탄성적으로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위형 레버에는 상기 탄성편의 끝단이 삽입 안내되는 탄성편 안내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
KR1019990055796A 1999-12-08 1999-12-08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 KR20010054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796A KR20010054820A (ko) 1999-12-08 1999-12-08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796A KR20010054820A (ko) 1999-12-08 1999-12-08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820A true KR20010054820A (ko) 2001-07-02

Family

ID=1962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796A KR20010054820A (ko) 1999-12-08 1999-12-08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48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006B1 (ko) * 2006-03-13 2006-11-13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20190002186U (ko) * 2018-02-21 2019-08-29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의료용 스테이플 제거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6520A (en) * 1976-03-05 1977-05-31 Senco Products, Inc. Surgical staple extractor
JPS5969878U (ja) * 1982-10-30 1984-05-11 磐田電工株式会社 事務用ホツチキス針の抜外し器
KR840007349A (ko) * 1983-01-06 1984-12-07 월터 블레이크 3세 죠셉 (외 1) 수술용 스테이플 제거기
US4487394A (en) * 1982-04-14 1984-12-11 Senco Products, Inc. Extractor for surgical staples
US4685460A (en) * 1981-08-10 1987-08-11 Edward Weck & Company, Inc. Skin clip remover
KR950029748U (ko) * 1994-04-28 1995-11-17 조도연 제침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6520A (en) * 1976-03-05 1977-05-31 Senco Products, Inc. Surgical staple extractor
US4685460A (en) * 1981-08-10 1987-08-11 Edward Weck & Company, Inc. Skin clip remover
US4487394A (en) * 1982-04-14 1984-12-11 Senco Products, Inc. Extractor for surgical staples
JPS5969878U (ja) * 1982-10-30 1984-05-11 磐田電工株式会社 事務用ホツチキス針の抜外し器
KR840007349A (ko) * 1983-01-06 1984-12-07 월터 블레이크 3세 죠셉 (외 1) 수술용 스테이플 제거기
KR950029748U (ko) * 1994-04-28 1995-11-17 조도연 제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006B1 (ko) * 2006-03-13 2006-11-13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20190002186U (ko) * 2018-02-21 2019-08-29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의료용 스테이플 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7394A (en) Extractor for surgical staples
CA2107635C (en) Surgical clip applier
CA1071053A (en) Surgical staple extractor
US4805876A (en) Surgical staple remover
US9717521B2 (en) Surgical knife and tools adapted for simplified blade removal
EP0294945A1 (en) Lens forcep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60023718A (ko) 수술용 스테이플 및 이를 구비한 수술용 자동 문합기
US5699908A (en) Scalpel blade removal and storage apparatus
US5085404A (en) Staple removing device
US7090198B1 (en) Magnetic staple remover
US4589631A (en) Surgical staple remover
KR20010054820A (ko) 외과용 스테이플 발취기
WO2006077878A1 (ja) 医療用ステープル
US5605320A (en) Staple removers
US5749564A (en) Staple removing device
DK2604200T3 (en) REPLACEMENT DEVICE AND TOOLS
DE3301803A1 (de) Auszieher fuer eine chirurgische klammer
JP2005152463A (ja) 内視鏡用処置具
WO1997043093A1 (en) Improved staple remover
JP3725971B2 (ja) 魚の骨抜き具
JP3118904U (ja) 医療用カッター
KR102299712B1 (ko) 칼날 교체식 의료용 메스홀더
US11045936B2 (en) Staple remover
JP3184448U (ja) 毛抜き
KR20030076466A (ko) 손톱깎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